KR100830349B1 - 생기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기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349B1
KR100830349B1 KR1020080007890A KR20080007890A KR100830349B1 KR 100830349 B1 KR100830349 B1 KR 100830349B1 KR 1020080007890 A KR1020080007890 A KR 1020080007890A KR 20080007890 A KR20080007890 A KR 20080007890A KR 100830349 B1 KR100830349 B1 KR 10083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plant
seeds
oil
mi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바이오
Priority to KR102008000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0~10℃ 사이의 저온 상태로 냉장 보관된 식물 종자를 물에 침수시켜 1~3회 수세하는 수세 공정과; 수세가 완료된 식물 종자를 5~10%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도록 30~48℃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과; 건조가 완료된 식물 종자를 풍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 공정과; 선별이 완료된 식물 종자를 30~48℃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착유 공정; 및 착유된 생기름을 상온에서 4~8일간 자연 침전시키는 정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참깨, 들깨, 잣, 호박씨, 연꽃씨, 오디씨와 같은 식물 종자를 저온에서 건조시킨 후 저온에서 착유함으로써 발암물질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고, 투명한 성상으로 인해 불순물의 투여가 미연에 차단되며, 식물 종자의 고유의 향과 색상이 보존되고, 주요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함량을 높일 수 있으며, 산화 및 변질을 막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생기름, 날기름, 참깨, 들깨, 잣, 저온, 건조

Description

생기름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OF RAW OIL}
본 발명은 생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참깨, 들깨, 잣과 같은 식물 종자를 열처리없이 건조 및 착유과정을 통해 생기름을 얻을 수 있는 생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깨는 참깨과(Pedaliaceae) 참깨속(Sesamum)에 속하는 1년생 초목(Sesamun indicum)으로 종자가 식품으로 사용된다. 참깨가 유량식물(油糧植物)중에서 특히 귀중한 유량식품(油糧食品)으로 인식이 되어 있는데 이는 언제부터인가 확실치는 않으나 다양한 약효를 지니는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3세기경 중국의 고의서「신농본초경」에서는 참깨는 신장의 기능을 회복하여 신체에 활력을 주는 식품이고, 오장의 기능을 보강하고 원기를 주며 체력을 튼튼하게 하고 성장을 촉진시키며, 뇌를 좋게 한다고 쓰여져 있다.
참깨에 존재하는 주요 생리활성물질로서 토코페롤을 들 수가 있다. 특히 γ-토코페롤은 비타민 E로서의 활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 γ-토코페롤의 비타민 E로서의 생화학적 기능은 항암효과, 면역기능 강화 효과, 혈전증과 염증반응 조절 효과, 그리고 핵산과 단백질 지방 대사에 영향을 미치 는 것 등으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도 γ-토코페롤의 가장 큰 기능은 생체 막에서의 항산화제로서 프리 래디칼(free radical)과 과산화물에 의해 야기된 손상된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다.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 또는 free radical은 생성되어 축적되면 생체기능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노화 및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는 노화, 암, 동맥경화 및 당뇨 등의 원인이라는 학설이 인정됨에 따라 오래 전부터 활성산소 및 free radical등의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할 수 있는, 즉 항산화 기능을 갖는 생리활성물질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또한 γ-토코페롤의 항산화 효과는 참깨에 함께 존재하는 세사몰과 상승작용을 일으킨다는 연구보고 (H. Yoshida and S. Takagi,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vol 79, 220~226, 1999)도 있다.
그리고, 들깨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 가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의약작물, 유지작물 및 잎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즉,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고, 학습능력 향상 및 수명 연장 효과 등의 생체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종실자체는 통깨로서 들깨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들깨 잎에는 식물성 정유로서 독특한 향기를 가진 페릴라 알데히드, 리모넨, 페릴라 케톤 등이 함유되어 있어 돼지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느끼한 맛이나 비린 내를 없애주고 그 독특한 향은 입맛을 돋우어 줄 수 있어 신선 잎채소로 이용되고 있고, 들깨잎의 추출물은 화장품 색소나 향료로 이용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토코페롤이 심장혈관계 질환 및 암을 예방하고, 면역기능을 보조하며,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완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이러한 토코페롤의 최대 천연 공급원 중의 하나인 들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참깨 또는 들깨로 제조되는 종래의 기름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이물질이 제거된 참깨 또는 들깨를 고온에서 볶은 다음, 볶은 참깨 또는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추출 생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기름 생산방법은 몇가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는데, 첫 번째로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발암 물질인 벤조피린이 발생되고, 갈색 성상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각종 화학 색소와 같은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고, 두 번째로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참깨 또는 들깨의 고유의 향이 증산되어 소실되고, 열처리에 의한 높은 산가를 갖게 되어 보관시 기름이 산화 및 변질되어 지방산이 많아져 기름을 장기간 보관할 수 없고, 세 번째로 유지성분외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함량이 낮고 고열에 의해 파괴 변질되는 점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변형 또는 파괴되지 않은 상태로 기름을 고수율로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유기용매를 이용하는 화학적 추출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나 한편, 유기 용매의 사용은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특히 유기 용매를 식품제조에 사용한다는 것에 대한 소비자들의 큰 부정적인 반응이 예상된다는 문제점이 따 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처리없이 식물종자를 건조시킨 후 저온에서 착유함으로써 발암물질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고, 투명한 성상으로 인해 불순물의 투여가 미연에 차단되며, 식물 종자의 고유의 향과 색상이 보존되고, 주요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함량을 높일 수 있으며, 산화 및 변질을 막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생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0~10℃ 사이의 저온 상태로 냉장 보관된 식물 종자를 물에 침수시켜 1~3회 수세하는 수세 공정과; 수세가 완료된 식물 종자를 5~10%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도록 30~48℃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과; 건조가 완료된 식물 종자를 풍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 공정과; 선별이 완료된 식물 종자를 30~48℃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착유 공정; 및 착유된 생기름을 상온에서 4~8일간 자연 침전시키는 정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식물 종자는 참깨, 들깨, 잣, 호박씨, 연꽃씨, 오디씨중 어느 하나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생기름 제조방법에 따르면, 참깨, 들깨, 잣, 호박씨, 연꽃씨, 오디씨와 같은 식물 종자를 저온에서 건조시킨 후 저온에서 착유함으로써 열처리없이 식물종자를 건조시킨 후 저온에서 착유함으로써 발암물질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고, 투명한 성상으로 인해 불순물의 투여가 미연에 차단되며, 식물 종자의 고유의 향과 색상이 보존되고, 주요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함량을 높일 수 있으며, 산화 및 변질을 막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기름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기름 제조방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기름 제조방법은 0~10℃ 사이의 저온 상태로 냉장 보관된 참깨, 들깨, 잣, 호박씨, 연꽃씨, 오디씨중 어느 하나의 식물 종자를 물에 침수시켜 1~3회 수세하는 수세 공정(S100)과, 수세가 완료된 식물 종자를 일정 수분 함량을 유지하도록 일정 건조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S110)과, 건조가 완료된 식물 종자를 풍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 공정(S120)과, 선별이 완료된 식물 종자를 일정 압착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착유 공정(S130)과, 착유된 생기름을 상온에서 4~8일간 자연 침전시키는 정제 공정(S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세 공정(S100)에서는 비중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하고, 세척하도록 상수도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건조 공정(S110)에서의 수분 함량은 5~10%이고, 바람직하게는 7%이다. 이때, 수분 함량이 5% 미만인 경우 착유시 기름양이 적고, 10%를 초과하는 경우 수분량이 많아져 보관 기간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서 또, 상기 건조 공정(S110)에서의 건조 온도는 30~48℃이고, 바람직하게는 40℃이다. 이때, 건조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48℃를 초과하는 경우 실제 고온 가열 효과와 동일해져 고유의 향이 소실되고, 열처리에 의한 높은 산가를 갖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서 또, 상기 착유 공정(S130)에서의 압착 온도는 30~48℃이고, 바람직하게는 건조 온도와 동일하게 40℃이다. 이때, 착유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 착유 온도가 낮아 추출량이 줄어들고, 48℃를 초과하는 경우 실제 고온 가열 효과와 동일해져 고유의 향이 소실되고, 열처리에 따른 높은 산가를 갖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정제가 완료된 생기름을 용기에 충진하여 포장하고, 출하 검사를 통해 제품을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잣기름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해본 결과 아래의 표 1과 같다.
성분 생잣기름 평균 SD
C16:0 5.12 0.10
C16:1 0.05 0.00
C18:0 2.15 0.00
C18:1 n9 27.95 0.00
C18:2 n6 47.99 0.05
C18:3 (5,9,12) 14.15 0.04
C18:3 n3 0.18 0.00
C20:0 0.37 0.01
C20:1 1.40 0.01
C20:2 0.66 0.00
ΣSFA ΣUSFA 7.64 92.36 100.00 0.10 0.1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잣기름에는 C18:3 (5,9,12)(피놀렌산)의 함유량이 14%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고, 나머지 수치를 통해서도 잣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이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잣기름의 품질 검사 성적서는 아래의 표 2 및 표 3과 같다.
Figure 112008006300854-pat00001
Figure 112008006300854-pat00002
상기의 시험 성적서를 살펴보면 생잣기름의 경우 산가가 0.6로 매우 낮고, 요오드가가 154.42로 매우 뛰어난 품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산가는 유지의 정제도나 산패도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으로 유지는 공기 중의 산소, 햇빛, 열 등에 의해 내부적인 화학 반응을 일으켜 불쾌한 맛과 냄새를 형성하고 품질을 떨어트리게 된다.
정제가 덜 되거나 오래 저장되어 산패가 진행될수록 유리지방산이 많이 생성되고 산가가 높게 된다.
또한, 요오드가는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유지일수록 높은 값을 갖으며, 각 식용유지마다 고유의 값을 나타내므로 유지를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들깨기름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해본 결과 아래의 표 4와 같다.
성분 생들깨기름 평균 SD
C16:0 6.17 0.03
C16:1 0.09 0.00
C18:0 2.34 0.01
C18:1 n9 16.78 0.04
C18:2 n6 14.29 0.05
C18:3 n3 60.30 0.14
C20:1 0.12 0.00
ΣSFA ΣUSFA 8.41 91.59 100.00 0.04 0.04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들깨기름의 특징인 알파-리놀렌산 C18:3 n3(오메가3)의 함유량이 60%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고, 나머지 수치를 통해서도 들깨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이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들깨기름의 품질 검사 성적서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Figure 112008006300854-pat00003
상기의 시험 성적서를 살펴보면 생들깨기름의 경우 산가가 1.0으로 매우 낮고, 요오드가가 200으로 매우 뛰어난 품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참깨기름의 품질 검사 성적서는 아래의 표 6과 같다.
Figure 112008006300854-pat00004
상기의 시험 성적서를 살펴보면 생참깨기름의 경우 산가가 1.7로 매우 낮고, 요오드가가 117로 매우 뛰어난 품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참깨, 들깨, 잣 등을 이용하여 생기름을 착유시 이들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피놀렌산과 알파-리놀렌산 등의 함유량을 높일 수 있고, 산도를 낮게 유지하여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기름 제조방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S100 : 수세 공정 S110 : 건조 공정
S120 : 선별 공정 S130 : 착유 공정
S140 : 정제 공정

Claims (5)

  1. 0~10℃ 사이의 저온 상태로 냉장 보관된 식물 종자를 물에 침수시켜 1~3회 수세하는 수세 공정과;
    수세가 완료된 식물 종자를 5~10%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도록 30~48℃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과;
    건조가 완료된 식물 종자를 풍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 공정과;
    선별이 완료된 식물 종자를 30~48℃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착유 공정; 및
    착유된 생기름을 상온에서 4~8일간 자연 침전시키는 정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기름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종자는,
    참깨, 들깨, 잣, 호박씨, 연꽃씨, 오디씨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기름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07890A 2008-01-25 2008-01-25 생기름 제조방법 KR10083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890A KR100830349B1 (ko) 2008-01-25 2008-01-25 생기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890A KR100830349B1 (ko) 2008-01-25 2008-01-25 생기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349B1 true KR100830349B1 (ko) 2008-05-20

Family

ID=3966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890A KR100830349B1 (ko) 2008-01-25 2008-01-25 생기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34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57B1 (ko) 2008-07-07 2009-08-10 주식회사 두바이오 식물종자의 지방 추출 분말 제조방법
KR100966834B1 (ko) 2009-06-11 2010-06-29 이판석 닭 사료 첨가용 들깨 분말의 제조방법, 그에 의한 분말, 그 분말을 사용한 닭 사료
KR101006872B1 (ko) * 2009-09-30 2011-01-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압착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KR101078275B1 (ko) * 2010-12-23 2011-10-31 이근태 바이오 연료 제조 시스템 및 폐식용유 정제 시스템
KR101218252B1 (ko) * 2010-11-24 2013-01-03 엄익현 식물의 종자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KR101395023B1 (ko) 2013-04-12 2014-05-15 (주)청양식품 생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1764A (ko) * 2014-11-24 2016-06-01 주식회사 방깐에프앤비 생 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8642A (ko) 2015-08-10 2017-02-20 맹진영 들기름 및 참기름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170019887A (ko)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식물성 식용유 제조 방법
WO2018021776A1 (ko) * 2016-07-25 2018-02-01 주식회사 강림오가닉 저온 냉장보관시의 응고 부유물 발생을 억제하는 저온처리 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0312A (ko) * 2018-01-24 2019-08-01 임수복 저온 냉장보관시의 응고 부유물 발생을 억제하며, 발암물질이 생성되지 않는 저온처리 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2813A (ko) 2019-11-22 2021-06-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국동백연구소 동백오일의 정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백오일의 정유방법
KR20230030299A (ko) * 2021-08-25 2023-03-06 이정옥 유해 성분이 저감된 식용 기름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987A (en) 1994-06-27 1997-11-25 Seabrook Enterprises, Inc. Food grade processing method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KR20020078573A (ko) * 2001-04-06 2002-10-19 신언치 참기름의 제조방법
JP2004000342A (ja) * 2002-05-31 2004-01-08 Sunstar Inc 電動ブラシ
KR20040004144A (ko) * 2002-07-02 2004-01-13 (주)넥스젠 식물 종자로부터 기름체 및 올레오신 단백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987A (en) 1994-06-27 1997-11-25 Seabrook Enterprises, Inc. Food grade processing method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KR20020078573A (ko) * 2001-04-06 2002-10-19 신언치 참기름의 제조방법
JP2004000342A (ja) * 2002-05-31 2004-01-08 Sunstar Inc 電動ブラシ
KR20040004144A (ko) * 2002-07-02 2004-01-13 (주)넥스젠 식물 종자로부터 기름체 및 올레오신 단백질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생명과학회지 vol.16, no.3, p.427~432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57B1 (ko) 2008-07-07 2009-08-10 주식회사 두바이오 식물종자의 지방 추출 분말 제조방법
KR100966834B1 (ko) 2009-06-11 2010-06-29 이판석 닭 사료 첨가용 들깨 분말의 제조방법, 그에 의한 분말, 그 분말을 사용한 닭 사료
KR101006872B1 (ko) * 2009-09-30 2011-01-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압착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KR101218252B1 (ko) * 2010-11-24 2013-01-03 엄익현 식물의 종자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KR101078275B1 (ko) * 2010-12-23 2011-10-31 이근태 바이오 연료 제조 시스템 및 폐식용유 정제 시스템
KR101395023B1 (ko) 2013-04-12 2014-05-15 (주)청양식품 생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1764A (ko) * 2014-11-24 2016-06-01 주식회사 방깐에프앤비 생 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74076B1 (ko) * 2014-11-24 2016-11-22 주식회사 방깐에프앤비 생 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8642A (ko) 2015-08-10 2017-02-20 맹진영 들기름 및 참기름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170019887A (ko)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식물성 식용유 제조 방법
WO2018021776A1 (ko) * 2016-07-25 2018-02-01 주식회사 강림오가닉 저온 냉장보관시의 응고 부유물 발생을 억제하는 저온처리 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57889B2 (en) 2016-07-25 2019-10-29 Soobook LIM Low-temperature treated perilla oil for suppressing generation of coagulated suspended materials during low-temperature cold stora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90090312A (ko) * 2018-01-24 2019-08-01 임수복 저온 냉장보관시의 응고 부유물 발생을 억제하며, 발암물질이 생성되지 않는 저온처리 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2854B1 (ko) * 2018-01-24 2021-03-05 임수복 저온 냉장보관시의 응고 부유물 발생을 억제하며, 발암물질이 생성되지 않는 저온처리 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2813A (ko) 2019-11-22 2021-06-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국동백연구소 동백오일의 정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백오일의 정유방법
KR20230030299A (ko) * 2021-08-25 2023-03-06 이정옥 유해 성분이 저감된 식용 기름 제조 방법
KR102641665B1 (ko) 2021-08-25 2024-02-28 이정옥 유해 성분이 저감된 식용 기름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349B1 (ko) 생기름 제조방법
KR101613484B1 (ko) 참기름 또는 들기름의 제조방법
KR101557558B1 (ko)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1559543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자반생선의 제조방법
KR101815616B1 (ko) 양파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20150014799A (ko) 레몬밤 분말이 첨가된 떡갈비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26006B1 (ko) 방풍이 함유된 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떡
Peighambardoust et al. Physicochemical, nutritional, shelf life and sensory properties of Iranian Sangak bread fortified with grape seed powder.
KR20220028527A (ko) 향기성분이 강화된 들샘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1445276B1 (ko) 잣나무 정유를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Sturza et al. Use of sea buckthorn fruits in the pastry manufacturing
KR102273857B1 (ko) 죽염 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35859A (ko) 표고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소고기 패티
KR102275247B1 (ko) 통조림 캔의 기능성 첨가유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통조림 캔의 기능성 첨가유
KR20140147471A (ko) 오미자씨유의 제조방법
KR101184914B1 (ko) 블루베리를 이용한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생선, 간고등어
KR20120097814A (ko) 칠면초 추출액으로 코팅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4164B1 (ko) 통닭튀김 전용유 제조방법
Lalel et al. Effort to explore the potential use of palmyrah fruit for functional food
KR20180007555A (ko) 포도주박을 첨가한 무뼈 족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1963B1 (ko)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들기름 제조방법
KR102672769B1 (ko) 고추씨를 포함하는 매운 참기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매운 참기름
KR102477936B1 (ko) 신선편이 파프리카 침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0025A (ko) 허브딜(Dill) 또는 바질(Basil)을 이용한 과메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과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