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925B1 - 통신모듈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통신모듈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5925B1 KR100815925B1 KR1020010075185A KR20010075185A KR100815925B1 KR 100815925 B1 KR100815925 B1 KR 100815925B1 KR 1020010075185 A KR1020010075185 A KR 1020010075185A KR 20010075185 A KR20010075185 A KR 20010075185A KR 100815925 B1 KR100815925 B1 KR 100815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mmunication module
- mounting
- cover member
- high frequenc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고주파회로(102)가 실장된 통신모듈(100)을 실장배선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10)가 개시된다. 이 커넥터는, 실장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본체(1)와, 접촉부(2)와, 고주파 신호용 커넥터부품(7)을 장착하기 위한 고주파 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본체(1)에는, 통신모듈(100)이 장착되는 장착공간(3)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공간(3)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통신모듈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연직선 둘레로 거의 180도 회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에 장착되는 통신모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간략화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통신모듈을 커넥터에 장착하는 도중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통신모듈을 커넥터에 장착한 장착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 미장착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동축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동축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축 커넥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본체 2 … 신호접속 접촉부
3 … 모듈장착공간 4 … 규제부재
5 … 커버부재 6 … 전열부재
10 … 커넥터 11 … 바닥면벽
12 … 슬릿 13, 14 … 커버부재 설치축
17 … 잠금용 오목부 18 … 전열부재 압입부
18a … 압입홈 21 … 접점부
22 … 접속부 29, 30 … 압입부
41 … 규제부 42, 43 … 수직하강부
51, 52 … 회전이동 설치부 53 … 본체부
54a, 56a … 잠금부 54~57, 59, 60 … 연장부
58 … 스프링편 61 … 계단부
71 … 신호 접촉부 71a … 돌출부
71b … 숄더부 72 … 접지 접촉부
72a … 플랜지 72b … 잠금용 결합구멍
73 … 신호 접촉부 가압부재 73A … 압축 코일 스프링
74 … 유지통 74b … 플랜지
75 … 하우징 75a … 압입구멍
75b … 잠금클로 76 … 접지 접속부재
76a … 땜납 접합부 77 … 접지 접촉부 코일 스프링
100 … 통신모듈 105, 106 … 금속패드
150 … 실장배선기판
본 발명은, 불루투스(bluetooth)용 송수신모듈로 대표되는 통신모듈을 각종 기기의 실장배선기판에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에릭슨사, IBM사, 인텔사, 노키아사 및 토시바의 5사가, 1998년 5월부터 표준화 활동을 개시한 근거리 통신기술이며, 음성데이터나 비동기 데이터 등을 10m정도의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근거리 통신기술의 실현을 위해서는, 휴대전화기, 노트북, 디지털 가전기기 등, 통신에 관여하는 기기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송수신 모듈)을 탑재할 필요가 있다.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가령, 기기 내의 실장배선기판과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넥터부가 기기의 실장배선기판 상에 설치된 커넥터부와 결합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기기의 전기접속이 달성된다.
불루투스 통신모듈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는 것과, 내장 안테나가 없는, 외부안테나와의 접속을 위한 동축 커넥터부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있다. 안테나 내장형의 것은, 외부접속부로서, 실장배선기판과의 신호송수신을 위한 커넥터부가 있음에 불과하다. 이것에 대해서, 외부 안테나의 사용을 전제로 한 것은, 실장배선기판과의 사이의 신호용 커넥터부 외에, 무선주파수대용 동축 커넥터부를 보유하게 된다. 실장배선기판에도 동축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통신모듈과 실장배선기판과의 사이에서의 고주파신호의 주고받음은, 각 동축 커넥터부에 끼워맞추는 동축 커넥터부를 양단에 보유하는 전용 케이블을 통해서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속구조에서는, 불루투스 통신모듈에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한편, 기기의 실장배선기판에는 그 커넥터부와 끼워맞추어야할 커넥터부를 실장하여 두게 된다. 그런데, 불루투스 통신모듈과, 이 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기기와, 이들을 접속하는 커넥터는, 각각 다른 메이커에 의해서 제조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커넥터 메이커는, 서로 끼워맞추어야할 한쌍의 커넥터부를 통신모듈 메이커와 기기 메이커에 개별적으로 납품해야만 하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한데다가, 품질보증도 곤란하게 된다.
동축 커넥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음과 아울러, 통신모듈에 구비되는 동축 커넥터부는 극히 미소하므로, 이 동축 커넥터부에 전용 케이블측의 동축 커넥터부를 끼워맞추는 작업이 까다롭다. 또한, 전용 케이블의 가격이 높은 점도 문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급이 용이한 통신모듈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고주파회로(102)가 실장된 통신모듈(100)을 실장배선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100)에 관한 것이다. 이 커넥터는, 상기 실장배선기판에 실장되 는 커넥터본체(1)와, 이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통신모듈의 단자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부(21), 및 상기 실장배선기판에 전기접속되는 접속부(22)를 보유하는 접촉부(2)와, 상기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7)을 장착하기 위한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19)를 포함한다. 괄호안의 알파벳 및 숫자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구성요소 등을 표시하지만, 본 발명이 그 실시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이 항목에 있어서 동일하다.
상기 통신모듈은, 불루투스 송수신 모듈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배선기판(101)의 표면에, 상기 단자부로서의 금속패드(103)를 보유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장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본체에는, 통신모듈과의 접속을 위한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접촉부가 실장배선기판에 전기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통신모듈의 구성부품으로서의 배선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부를 접촉부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통신모듈을 실장배선기판에 전기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형태에서는, 통신모듈측에는 커넥터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모듈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데다가, 커넥터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는, 오로지 실장배선기판측에만 설치하게 되므로, 커넥터의 품질보증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모듈용 커넥터에는,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를 설치하여 두어서, 이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고주파신 호용 커넥터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장착하여 두면, 통상의 신호(고주파신호보다도 저주파수의 신호)를 위한 전기접속과 아울러, 고주파신호(가령, 무선주파수대의 신호)를 위한 전기접속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본체에는, 통신모듈이 장착되는 장착공간(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장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재(5)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착공간에 통신모듈을 장착하여, 커버부재를 닫음으로써, 통신모듈을 확실하게 지지하고, 이 통신모듈과 접촉부와의 탄성적인 접촉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 및/또는 커넥터본체의 일방 또는 양방에, 커버부재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기구(잠금클로 등)(54a, 56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는 커넥터본체의 일단에 대해서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통신모듈의 일단부를 상기 장착공간 내로 규제하는 것이고, 상기 커넥터본체의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는, 통신모듈의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타단부에 결합하여, 이 타단부를 상기 장착공간 내로 규제하는 규제부재(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모듈의 상기 타단부를 규제부재에 의해서 규제시킨 상태로 장착공간에 수용하고, 커버부재를 닫음으로써, 통신모듈을 커넥터본체의 장착공간 내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신모듈이 장착되는 기기에 충격이 가해져도, 통신모듈이 커넥터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고, 통신모듈과 기기의 실장배선기판과의 사이의 전기접속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본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본체의 상기 타단부에 상기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본체의 상기 일단측이 커버부재에 의해서 규제됨으로써,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과 통신모듈과의 사이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것과 아울러, 통신모듈의 상기 타단부가 규제부재에 의해서 규제됨으로써, 접촉부와 통신모듈의 단자부의 사이의 전기접속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부재에 의해, 노이즈 차폐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커버부재에 의해서 덮이도록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면,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통하는 고주파신호 전송로 및 그 근방의 고주파회로로의 노이즈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양호한 노이즈 차폐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커버부재의 폐쇄상태에서, 이 커버부재를 실장배선기판의 저임피던스부(전원부 또는 접지부)에 접속하는 노이즈 차폐용 접속부재(6)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의 측부에 장착공간의 일부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연장부 (54~57, 59, 60)를 설치하여 두면, 노이즈 차폐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통신모듈(특히, 발열부의 외표면, 가령, 고주파회로부 근방의 외표면)에 압접하는 스프링편(58)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통신모듈 내의 회로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과, 스프링편(가령, 커버부재와 일체인 금속제의 것)을 통해서 방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상태에서 이 커버부재에 압접됨과 아울러, 상기 실장배선기판에 접합되어서, 상기 실장배선기판으로의 방열경로를 형성하는 전열부재(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모듈에서 발생한 열은, 스프링편을 통해서 금속제 커버부재를 통하고, 또한 전열부재(상기 노이즈 차폐용 접속부재와 겸용의 부재이어도 좋다.)를 통해서 실장배선기판으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서, 통신모듈의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회전이동 기단부에 설치되고, 통신모듈의 상기 장착공간으로의 장착조작시에, 통신모듈의 일단에 접촉되고, 통신모듈을 상기 장착공간에 눌러넣음으로써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을 일으키는 장착보조부재(51, 5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모듈의 장착시에 커버부재의 폐쇄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통신모듈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예컨대, 통신모듈을 한손으로 커넥터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통신모듈의 장착에 의해서 도 통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재(9)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본체에 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스위치부재의 도통/차단상태를 감시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재는, 기기의 실장배선기판에 전기접속되게 되지만, 이 전기접속은, 스위치부재의 단자(91, 92)를 실장배선기판에 땜납 접속함으로써 달성되어도 좋고, 복수개의 접촉부 중 일부를 스위치부재와 실장배선기판과의 사이의 전기접속을 위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에 장착되고, 통신모듈의 고주파신호용 단자부(104)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7)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에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이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통신모듈과의 사이에서 통상의 주파수대의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컨대 무선주파수대 등의 고주파신호의 주고받음도 겸해서 행할 수 있다.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은, 통신모듈의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통신모듈측에는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예컨대, 통신모듈의 고주파신호용 단자부는, 배선기판 상에 형성된 금속패드(105, 106)의 형태를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단자부에 대해서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탄성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고주파신호의 전송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통신모듈이, 예컨대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통신모듈에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서, 통신모듈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이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의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에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압접시키는 구성이므로, 커넥터부품 끼리를 끼워맞추거나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기기의 실장배선기판에 땜납 접합하면, 고가의 전용 케이블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은,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의 접지부(106)에 접촉하는 접지 접촉부(72)와,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의 신호부(105)에 접촉하는 신호 접촉부(71)와, 상기 접지 접촉부를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의 접지부로 향하여 탄성적으로 미는 접지 접촉부 가압부재(77)와, 상기 신호 접촉부를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의 신호부로 향하여 탄성적으로 미는 신호 접촉부 가압부재(7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지 접촉부 및 신호 접촉부가, 각각 통신모듈 상의 신호부 및 접지부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과 통신모듈과의 사이에, 양호한 고주파신호 전송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의, 또는 또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통신모듈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연직선 둘레로 거의 180도 회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통신모듈용 커넥터(10)는, 불루투스용 송수신 모듈 등의 통신모듈을, 휴대전화기, 노트북 및 디지털 가전기기로 대표되는 기기의 실장배선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10)는, 기기의 실장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본체(1)와, 이 커넥터본체(1)에 대해서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본체(1)는, 합성수지재료의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평면에서 바라봐서 거의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상을 보유하고 있다. 이 커넥터본체(1)의 일방의 짧은 변 부근에는, 탄성을 보유하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접촉부(2)가 병설되어 있다.
각 접촉부(2)는, 커넥터본체(1)의 내방에 모듈장착공간(3)을 구획하는 바닥면벽(11)으로부터 돌출된 접점부(21)와, 이 접점부(21)에 연결되고, 커넥터본체(1)의 일방의 짧은 변 부근에서 커넥터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돌출된 접속부 (22)를 보유하고 있다. 접속부(22)는, 커넥터본체(1)의 바닥면(기기의 실장배선기판에 대향하는 표면)과 거의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접속부 (22)는, 기기의 실장배선기판에 땜납 접합되게 된다.
접점부(21)는 바닥면벽(11)에 형성된 슬릿(12)에 끼워넣어져서, 바닥면벽 (11)의 상방으로 거의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있다. 슬릿(12)은, 커넥터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슬릿(12)끼리는, 커넥터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거리만큼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서, 인접하는 접촉부(2)의 접점부(21)는 커넥터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돌출위치가 어긋나져 있어서, 소위 지그재그 배열상태로 되어 있다.
커넥터본체(1)의 접촉부(2)측의 짧은 변에는, 모듈장착공간(3)에 장착되는 통신모듈의 일방의 끝부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4)가, 양측면(15, 16)에 형성된 압입부(29, 30)에 압입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듈장착공간(3)의 일단부에는, 통신모듈의 일방 끝부를 수용하는, 단면이 거의 コ자형상의 외각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재(4)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모듈장착공간 (3)에 장착된 통신모듈의 일단부 상에 위치하게 되는 평판형상의 규제부(41)와, 이 규제부(41)의 양단으로부터 커넥터본체(1)의 측면(15, 16)을 따라서 수직하강한 수직하강부(42, 43)와, 동일하게 규제부(41)의 양단 부근에 있어서 커넥터본체(1)의 끝면을 따라서 수직하강한 별도의 수직하강부(44, 45)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하강부(42 ~ 45)의 선단은, 기기의 실장배선기판을 따르도록 L자형상으로 굴곡성형되어 있어서, 이 선단부가 실장배선기판에 땜납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본체(1)에 있어서 접촉부(2)와는 반대측의 짧은 변에는, 커버부재(5)가 회전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커버부재 설치축(13, 1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 설치축(13, 14)은, 커넥터본체(1)의 짧은 변을 따라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커버부재 설치축(13, 14)에, 커버부재(5)의 회전이동 설치부(51, 52)가 회전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부재(5)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커넥터본체(1)의 모듈 장착공간(3)의 일부를 덮는 본체부(53)와, 이 본체부(53)의 회전이동 기단부를 일부 잘라 올리고, 또한 이 컷아웃부에 성형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된 상기 회전이동 설치부(51, 52)와, 본체부(53)의 양측부에 간격을 두어서 각 한쌍 형성된 수직하강부(보강탭)(54, 55, 56, 67)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하강부(54 ~ 57)는, 커버부재 (5)를 도시의 상태로부터 회전이동시켜서 모듈장착공간(3)의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상태로 하였을 때에, 커넥터본체(1)의 측면을 따라서 수직하강한 자세를 가진다.
수직하강부(54 ~ 57) 중, 커버부재(5)의 폐쇄상태에서 모듈장착공간(3)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한쌍의 수직하강부(54, 56)의 선단에는, 커버부재(5)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부(54a, 56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잠금부(54a, 56a)는, 커버부재(5)의 폐쇄상태에서 모듈장착공간(3)으로 향하여 돌출함과 아울러, 커넥터본체 (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상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커넥터본체(1)의 일방의 측면(15)에는, 잠금부(54a)가 결합하는 잠금용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본체(1)의 타방의 측면(16)에는, 수직하강부 (54)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열부재 압입부(18)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전열부재 압입부(18)는, 모듈장착공간(3)의 외방으로 향하여 개방된 형태를 보유하고 있다. 전열부재 압입부(18)에는, 압입홈(18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압입홈(18a)에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전열부재(6)가 압입되어 있다. 이 전열부재(6)는, 잠금부(54a)와 결합하도록 모듈장착공간(3)으로 향하여 움푹 패인 계단부(61)와, 하단 부근에 있어서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실장배선기판에 땜납 접합되는 접합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부재(5)를 커넥터본체(1)에 근접하도록 회전이동시켜서 폐쇄상 태로 도입하면, 잠금부(56a)가 잠금용 오목부(17)에 결합하고, 잠금부(54a)가 전열부재(6)의 계단부(61)와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부재(5)는 폐쇄상태로 잠겨진다.
커버부재(5)가 폐쇄상태로 있을 때, 잠금부(54a)는 전열부재(6)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커버부재(5)로부터의 열은, 전열부재(6)를 통해서 실장배선기판에 방열되게 된다. 접합부(62)는, 실장배선기판의 금속부, 가령, 접지전위로 된 폭넓은 배선패턴으로 땜납 접합된다.
커버부재(5)에 있어서, 회전이동 설치부(51, 52)와는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는, 본체부(53)의 일부를 잘라 올려서 형성된 방열용 설편(舌片)(5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방열용 설편(58)은, 스프링성을 보유하고 있어서, 커버부재(5)의 폐쇄상태에서, 모듈장착공간(3)의 내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거의 원통면형상의 만곡면을 보유하고 있다. 이 방열용 설편(58)은, 모듈장착공간(3)에 장착된 통신모듈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서, 통신모듈에서 발생한 열은, 방열용 설편(58)에 전달되고, 본체부(53)로부터 공기 중에 방열되는 외에, 수직하강부(54) 및 전열부재(6)를 통해서 실장배선기판으로 전달되어서 방열된다.
커버부재 설치축(13, 14)의 근방에는, 고주파 신호용 커넥터부품으로서의 동축 커넥터(7)를 압입에 의해 장착할 수 있는 고주파 신호용 커넥터 부품장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주파 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19)는, 모듈장착공간(3)을 구획하는 판형상부재(25)에 동축 커넥터 압입부(26)로서의 노치부를 관통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동축 커넥터 압입부(26)의 형상은, 동축 커넥터(7)의 미장착 상태 를 나타내는 도 6에 표시되어 있다.
동축 커넥터(7)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이 동축 커넥터(7)는 중앙에 신호 접촉부(71)를 보유하고, 이 신호 접촉부(7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원통형상의 접지 접촉부(72)를 보유하고 있다. 신호 접촉부(71) 및 접지 접촉부(72)는, 각각, 후술하는 구성에 의해서, 도 1 또는 도 2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향하여 탄성가압되어 있다.
모듈장착공간(3)에 있어서, 커넥터본체(1)의 일방의 측면(15) 부근의 위치에는, 통신 모듈의 장착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부재(9)가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부재(9)는, 각각 탄성을 보유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접점(91, 9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접점(91, 92)의 기단부는, 커넥터본체(1)의 측면(15)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접점 압입부(27, 28)에 각각 압입되어 있다. 접점(91, 92)의 기단부는, 커넥터본체(1)의 측면(15)을 따라서 수직하강하여, 커넥터본체(1)의 바닥면 부근까지 도달되어 있다. 또한, 이들 기단부가, 실장배선기판 상의 배선패턴에 각각 땜납 접합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모듈장착공간(3)에 통신모듈이 장착되면, 일방의 접점(91)이 탄성 변형되어, 타방의 접점(92)에 접촉하고, 스위치부재(9)가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모듈장착공간(3)에 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접점(91, 92) 간은 차단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기기측에 있어서 스위치부재(9)의 도통/차단을 검출함으로써 통신모듈의 장착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커넥터(10)에 장착되는 통신모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간략화한 사시도이다. 이 통신모듈(100)은,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로서, 배선기판(101)과, 배선기판(101) 상에 실장되어서, 고주파회로(102)를 형성하는 복수의 회로부품을 포함한다. 배선기판(101)은, 거의 직사각형의 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배선기판(101)의 일단부측의 짧은 변을 따라서, 실장배선기판과의 사이에서 통상 주파수대역의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기 위한 통상 신호용 금속패드(103)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패드(103)는, 가령, 배선기판(101) 상의 금속배선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금속패드(103)는, 커넥터(10)의 복수의 접촉부(2)에 있어서의 접점부(21)의 배열에 대응하여, 지그재그배열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배선기판(101)의 타단부측(금속패드(103)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커넥터본체(1)에 장착된 동축 커넥터(7)의 배치에 정합하도록, 고주파 신호용 단자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주파 신호용 단자부(104)는 고주파 신호용 금속패드(105)와, 이 고주파 신호용 금속패드(105)를 둘러싸는 원고리형상의 접지용 금속패드 (106)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패드(105, 106)는, 배선기판(101) 상에 형성된 배선도체의 일부를 노출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통신모듈(100)을 커넥터(10)에 장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통신모듈(100)을 커넥터(10)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통신모듈(100)은, 금속패드(103, 105, 106)(도 3참조)를, 접촉부(2) 및 동축 커넥터(7)에 각각 대향시킨 하향의 자세로, 모듈장착공간(3)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모듈(100)은, 금속패드(103)측의 단부를 접촉부(2)측에 정합시키고, 금속패드(105, 106)측의 단부를 동축 커넥터(7)측에 정합시킨 자세로 되고, 금속패드(103)측의 단부가, 규제부재(4)와 바닥면벽(11)과의 사이의 공간에 찔러넣어진다. 규제부재(4)의 모듈장착공간(3)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상향으로부터 만곡하게 형성된 안내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46)는, 경사지게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통신모듈(100)의 일단부를 규제부재(4)의 하방의 공간에 원활하게 안내한다.
통신모듈(100)의 일단부가 규제부재(4)와 바닥면벽(11)과의 사이에 삽입되면, 통신모듈(100)의 타단부가 모듈장착공간(3)으로 밀어넣는다. 이 때, 통신모듈 (100)의 타단부는, 커버부재(55)의 회전이동 설치부(51, 52)의 선단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통신모듈(100)을 더욱 모듈장착공간(3)에 밀어 넣으면, 통신모듈 (100)로부터 회전이동 설치부(51, 52)를 통해서 커버부재(5)에 폐쇄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주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통신모듈(100)의 장차조작에 수반하여, 커버부재 (5)는, 폐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기 시작하게 된다. 통신모듈(100)을 모듈장착공간 (3)에 밀어넣은 후, 조작자는, 커버부재(5)를 더욱 폐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동축 커넥터(7)로부터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잠금부(54a 56a)를 각각 전열부재(6)의 계단부(61) 및 잠금용 오목부(17)에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폐쇄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통신모듈(100)의 금속패드(103)는 접촉부(2)의 접점부(2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상태는, 통신모듈(100)의 일단부가 규제부재(4)에 의해서 규제됨으로써 유지된다. 한편, 통신모듈(100)의 타단부에 있어서는, 금속패드(105, 106)가 동축 커넥터(7)의 신호 접촉부(71) 및 접지 접촉부(72)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접촉상태는, 커버부재(5)가 폐쇄상태로 잠겨져 있음으로써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잠금부(54a)를 통해서 커버부재(5)와 접촉하게 되는 전열부재(6)는 실장배선기판의 접지전위부에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5)에, 노이즈 차폐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5)의 내방에 위치하게 되는 통신모듈(100) 상의 고주파 회로(102)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를, 커버부재(5)에 의해서 차폐할 수 있다. 커버부재(5)에는, 회전이동 설치부(51, 52)의 근방에, 수직하강부(55, 57)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수직하강부(55, 57)는, 모듈장착공간(3)을 측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노이즈 차폐기능의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도 7은, 동축 커넥터(7)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그 종단면도이다. 동축 커넥터(7)는, 신호 접촉부(71)와, 이 신호 접촉부(71)를 상방으로 향하여 탄성적으로 미는 신호 접촉용 코일 스프링(73)과, 신호 접촉부(71) 및 신호 접촉용 코일 스프링(73)을 수용한 유지통(74)과, 이 유지통(74) 및 접지 접촉부(72)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75)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75)은,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중앙에 지지통(74)이 압입되는 압입구멍(75a)을 보유하고, 거의 원통면을 이루는 외주면에는 금속제 접지 접속부재(76)가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접지 접속부재(76)는, 동일하게 거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하단 가장자리에는, 실장배선기판에 땜납 접합되는 땜납 접합부(76a)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접지 접속부재(76)의 외주면에는, 접지 접촉부(72)를 상방으로 탄성적으 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접지 접촉용 코일 스프링(77)이 감겨져 설치되어 있다. 이 접지 접촉용 코일 스프링(77)은 금속제이며, 접지 접촉부(72)와 접지 접속부재(76)와의 사이의 전기접속을 담당하고 있다. 접지 접속부(72)에는, 상단에 내향의 플랜지(7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플랜지(72a)가 접지 접촉용 코일 스프링(77)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접지 접촉부(72)의 하방의 부위에는, 잠금용 결합구멍(72b)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용 결합구멍(72b)에는, 하우징(7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잠금클로(75b)가 각각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서, 접지 접촉용 코일 스프링(7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접지 접촉부(72)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규제하고 있다. 잠금클로(75b)는, 하우징(75)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방으로 세워올려져서 형성된 프레임부(75c)의 상측레버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강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75)에 접지 접속부재(76)를 끼워넣고, 또한 이 접지 접속부재(76)에 접지 접촉용 코일 스프링(77)을 감아 설치하여, 접지 접촉부(72)를 하우징(75)으로 향하여 압입하면, 접지 접촉부(72)의 하단 가장자리는, 잠금클로(75b)의 내방측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에 의해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서, 잠금클로(75b)는 외방으로 탄성변형한다. 또한, 더욱 접지 접촉부(72)를 압입하면, 잠금클로(75b)가, 그 복원력에 의해서 잠금용 결합구멍(72b)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클로(75b)의 하면을 이루는 거의 수평인 잠금면이 잠금용 결합구멍(72b)의 하단면에 대향하고, 접지 접촉부(72)의 이탈을 저지한다.
신호 접촉부(71)는, 유지통(74)의 상단의 관통구멍(74a)으로부터 외방(상방)으로 돌출한 돌출부(71a)와, 유지통(74)의 상단에 형성된 내향의 플랜지(74b)에 의해서 유지통(74)의 내부공간에 유지되는 숄더부(71b)를 보유하고 있다. 숄더부 (71b)의 하면은, 유지통(74)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이 경사진 하면에 신호 접촉용 코일 스프링(73)이 접촉하고 있다. 신호 접촉용 코일 스프링(73)은 압축상태로 유지통(74) 내에 수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신호 접촉부(71)의 돌출부(71a)는 유지통(74)의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유지된다.
신호 접촉부(71), 신호 접촉용 코일 스프링(73) 및 유지통(74)은, 모두 금속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유지통(74)에는, 도 7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땜납접합부(74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땜납접합부(74c)는 실장배선기판에 납땜된다. 따라서, 신호 접촉부(71)는 코일 스프링(73)을 통해서 유지통(74)에 전기 접속되어 있고, 또한 이 유지통(74)을 통하여 실장배선기판에 전기 접속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동축 커넥터(7)를 사용함으로써, 신호 접촉부(71) 및 접지 접촉부(72)를 각각 스프링이 자체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접촉부 (71) 및 접지 접촉부(72)와 통신모듈 상의 금속패드(105, 106)와의 전기접속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동축 커넥터(7)를 사용함으로써, 신호 접촉부(71) 및 접지 접촉부(72)를 각각 스프링이 자체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접촉부 (71) 및 접지 접촉부(72)와 통신모듈 상의 금속패드(105, 106)와의 전기접속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부재(5)는, 모듈장착공간 (3)의 전부를 덮는 것은 아니고, 동축 커넥터(7) 부근의 일부의 공간만을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장착공간(3)의 전영역을 덮는 크기의 커버부재(5A)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큰 커버부재 (5A)를 이용하면, 큰 방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다가, 외부 노이즈의 차폐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큰 커버부재(5A)에는, 폐쇄상태에서 접촉부 (2)의 근방에 위치하게 되는 선단부의 양측부에, 본체부(53)로부터 수직하강하는 수직하강부(보강탭)(59, 6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노이즈 차폐효과의 더나은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도 9의 구성의 경우에는, 큰 커버부재(5A)의 개폐를 위한 큰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커버부재의 개폐공간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작은 커버부재(5)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8의 경우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동축 커넥터(7)는, 실장배선기판에 땜납 접합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상하 대칭의 구조를 보유하는 동축 커넥터(7A)를 이용함으로써, 실장배선기판(150) 및 통신모듈(100) 중 어느 것에 대해서나 신호 접촉부(71A, 71B) 및 접지 접촉부(72A, 72B)가 각각 탄성적으로 압접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신호 접촉부(71A, 71B)는, 공통의 유지통(74A)에 유지되어 있어서, 이 유지통(74A) 내에 수용된 1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73A)에 의해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있어서, 상기 도 8에 나타낸 각 부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8의 경우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동축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로 이용되는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통신모듈에 안테나가 내장되는 경우에는, 커넥터에 동축 커넥터를 장착할 필요는 없다. 즉, 이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형태로 상기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즉, 상기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는 통신모듈과 안테나 내장형 통신모듈에 겸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여 왔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된 구체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하여 해석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출원은, 2000년 12월 27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특원2000-397215호에 대응하고 있으며, 본 출원의 전체 개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모듈용 커넥터는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Claims (16)
- 고주파회로가 실장된 통신모듈을 실장배선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로서,상기 실장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본체;이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통신모듈의 단자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부, 및 상기 실장배선기판에 전기접속되는 접속부를 보유하는 접촉부;상기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를 포함하며,상기 커넥터본체에는 통신모듈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장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잠금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커넥터본체의 일단에 대해서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통신모듈의 일단부를 상기 장착공간 내로 규제하는 것이고,상기 커넥터본체의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는, 통신모듈의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타단부에 결합하여, 이 타단부를 상기 장착공간 내로 규제하는 규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의 상기 일단측에 상기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본체의 상기 타단부에 상기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서 덮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상태에서, 이 커버부재를 실장배선기판의 저임피던스부에 접속하는 노이즈 차폐용 접속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측부에 상기 장착공간의 일부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통신모듈을 압접하는 스프링편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상태에서 이 커버부재에 압접됨과 아울러, 상기 실장배선기판에 접합되어서, 상기 실장배선기판으로의 방열경로를 형성하는 전열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상태에서 이 커버부재에 압접됨과 아울러, 상기 실장기판의 저임피던스부에 접합되어서, 상기 실장배선기판으로의 방열경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노이즈 차폐용 접속부재로서 겸용되는 전열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회전이동 기단부에 설치되고, 통신모듈의 상기 장착공간으로의 장착조작시에, 통신모듈의 일단에 접촉되고, 통신모듈을 상기 장착공간에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커버부재의 폐쇄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을 일으키는 장착보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에 설치되고, 통신모듈의 장착에 의해서 도통 또는 차단되는 스위치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1항, 제3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 장착부에 장착되고, 통신모듈의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신호용 커넥터부품은,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의 접지부에 접촉하는 접지 접촉부와,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의 신호부에 접촉하는 신호 접촉부와, 상기 접지 접촉부를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의 접지부로 향하여 탄성적으로 미는 접지 접촉부 가압부재와, 상기 신호 접촉부를 고주파신호용 단자부의 신호부로 향하여 탄성적으로 미는 신호 접촉부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모듈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397215A JP3546180B2 (ja) | 2000-12-27 | 2000-12-27 | 通信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および通信モジュールの接続構造 |
JPJP-P-2000-00397215 | 2000-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3711A KR20020053711A (ko) | 2002-07-05 |
KR100815925B1 true KR100815925B1 (ko) | 2008-03-24 |
Family
ID=1886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5185A KR100815925B1 (ko) | 2000-12-27 | 2001-11-30 | 통신모듈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447303B1 (ko) |
EP (1) | EP1220358B1 (ko) |
JP (1) | JP3546180B2 (ko) |
KR (1) | KR100815925B1 (ko) |
CN (1) | CN1215604C (ko) |
DE (1) | DE60128053T2 (ko) |
TW (1) | TW53685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A182003A (de) * | 2003-01-09 | 2005-03-15 | Weingartner Bernhard Dipl Ing | Klinkenstecker |
US20040224571A1 (en) * | 2003-04-25 | 2004-11-11 | Sheng-Hsing Yeh | Terminal structure having improved electroplate |
TW577644U (en) * | 2003-06-17 | 2004-02-21 | Molex Taiwan Ltd | Electronic card connector |
JP2005302432A (ja) * | 2004-04-08 | 2005-10-27 | Citizen Electronics Co Ltd | スプリングコネクタ |
JP4550564B2 (ja) * | 2004-11-30 | 2010-09-22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電気部品用ソケット |
JP4962871B2 (ja) * | 2008-07-01 | 2012-06-27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 |
DE202009009066U1 (de) * | 2009-06-30 | 2009-09-03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Automatisierungsgerät |
JP5657363B2 (ja) * | 2010-12-07 | 2015-01-21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 カード用コネクタ |
CN102857270A (zh) * | 2011-06-28 | 2013-01-02 | 英业达股份有限公司 | 电子装置及其固定结构 |
US9250264B2 (en) | 2011-08-30 | 2016-02-02 | Leeno Industrial Inc. | Coaxial probe |
DE202012000487U1 (de) * | 2012-01-19 | 2012-02-27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Verbindungselement |
JP5569548B2 (ja) * | 2012-03-13 | 2014-08-13 | 第一精工株式会社 | 同軸型電気コネクタ及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装置 |
CN205319469U (zh) * | 2015-12-16 | 2016-06-15 | 华为技术有限公司 | 射频连接器 |
JP2018107097A (ja) * | 2016-12-28 | 2018-07-05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電子部品及び撮像装置 |
JP6546616B2 (ja) * | 2017-05-17 | 2019-07-17 | 株式会社広田製作所 | Ssd用外部機器接続アダプタ |
EP3550669B1 (en) * | 2018-03-30 | 2021-10-20 |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 Coaxial connector |
CN109921215B (zh) * | 2019-01-23 | 2020-10-27 | 苏州瑞可达连接系统股份有限公司 | 一种冲制弹性连接器 |
CN111509446A (zh) * | 2019-01-31 | 2020-08-07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连接器 |
CN113678324B (zh) * | 2019-04-03 | 2024-04-02 | 爱沛股份有限公司 | 连接器及其制造方法 |
DE102019117473A1 (de) * | 2019-06-28 | 2020-12-31 | Tesat-Spacecom Gmbh & Co. Kg | Schaltungsanordnung bestehend aus zwei miteinander verbundenen Hochfrequenzkomponenten |
JP2021114430A (ja) * | 2020-01-21 | 2021-08-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WO2022092224A1 (ja) * | 2020-10-29 | 2022-05-05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15224521A (zh) | 2021-04-19 | 2022-10-21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浮动连接器及其组合 |
US12080978B2 (en) * | 2021-12-30 | 2024-09-03 | Raytheon Company | High frequency impedance matching edge launch RF connecto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54734A (en) * | 1993-03-22 | 1995-10-03 | Itt Industries, Inc.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JPH07282208A (ja) * | 1994-04-13 | 1995-10-27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コネクタユニット |
US5718592A (en) * | 1995-11-16 | 1998-02-17 | The Whitaker Corporation |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y |
JPH10106674A (ja) * | 1996-09-27 | 1998-04-24 | Hosiden Corp | カードコネクタ |
US5769652A (en) * | 1996-12-31 | 1998-06-23 |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03320A (en) * | 1983-04-13 | 1986-07-29 | Anico Research, Ltd. Inc. | Connector interface |
US4603926A (en) * | 1983-12-29 | 1986-08-05 | Rca Corporation | Connector for joining microstrip transmission lines |
US4993956A (en) * | 1989-11-01 | 1991-02-19 | Amp Incorporated | Active electrical connector |
US5364280A (en) * | 1993-07-16 | 1994-11-15 | Molex Incorporated |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assembly |
US5627416A (en) * | 1995-07-21 | 1997-05-06 | Itt Corporation | Multi-voltage IC card host |
JPH11297415A (ja) * | 1998-04-03 | 1999-10-29 | Molex Inc | カード用コネクタ |
US6203333B1 (en) * | 1998-04-22 | 2001-03-20 | Stratos Lightwave, Inc. | High speed interface converter module |
-
2000
- 2000-12-27 JP JP2000397215A patent/JP354618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11-06 US US09/985,829 patent/US64473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1-15 EP EP01309642A patent/EP122035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11-15 DE DE60128053T patent/DE60128053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1-30 KR KR1020010075185A patent/KR1008159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2-21 TW TW090131818A patent/TW53685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2-26 CN CNB011434198A patent/CN121560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54734A (en) * | 1993-03-22 | 1995-10-03 | Itt Industries, Inc.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JPH07282208A (ja) * | 1994-04-13 | 1995-10-27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コネクタユニット |
US5718592A (en) * | 1995-11-16 | 1998-02-17 | The Whitaker Corporation |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y |
JPH10106674A (ja) * | 1996-09-27 | 1998-04-24 | Hosiden Corp | カードコネクタ |
US5769652A (en) * | 1996-12-31 | 1998-06-23 |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20081910A1 (en) | 2002-06-27 |
US6447303B1 (en) | 2002-09-10 |
JP2002198107A (ja) | 2002-07-12 |
CN1362758A (zh) | 2002-08-07 |
DE60128053T2 (de) | 2007-12-27 |
EP1220358B1 (en) | 2007-04-25 |
DE60128053D1 (de) | 2007-06-06 |
KR20020053711A (ko) | 2002-07-05 |
CN1215604C (zh) | 2005-08-17 |
EP1220358A3 (en) | 2003-10-22 |
JP3546180B2 (ja) | 2004-07-21 |
EP1220358A2 (en) | 2002-07-03 |
TW536852B (en) | 2003-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5925B1 (ko) | 통신모듈용 커넥터 | |
KR100818146B1 (ko) | 카드형 디바이스용 커넥터 | |
KR100433725B1 (ko) |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와 그것을 이용한 접속 구조및 이 접속 구조를 이용한 전자 장치 | |
TWI595713B (zh)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locking member | |
JP3894007B2 (ja) | 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通信機器 | |
KR101390191B1 (ko) | 정전 방전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 |
EP3352306B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locking member of electrical connector | |
US6312274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5951317A (en) | Accessory connector assembly | |
KR100891921B1 (ko) | 플래시메모리카드용 커넥터 | |
JP2004356067A (ja) | アンテナ用コネクタ | |
JPH03504553A (ja) | 携帯通信装置用アダプタ | |
EP1096757B1 (en) | Earphone jack holding device | |
JP6935724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7747009B2 (en) | Retaining device for mobile user devices | |
JP6927248B2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ロック部材 | |
US7338322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EP1420489B1 (en) | Hinge connector and circuit board connected to connector | |
EP1041680B1 (en) |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a coaxial connector | |
KR100778364B1 (ko) |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JP4212012B2 (ja) | コネクタ | |
KR100465990B1 (ko) | 무선랜카드가 장착되는 휴대용컴퓨터 | |
KR20050069004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 |
JPWO2006025406A1 (ja) | コンピュータカードのアダプタ装置及び該アダプタ装置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カード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0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