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378B1 - 내시경용 도입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도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378B1
KR100815378B1 KR1020067016181A KR20067016181A KR100815378B1 KR 100815378 B1 KR100815378 B1 KR 100815378B1 KR 1020067016181 A KR1020067016181 A KR 1020067016181A KR 20067016181 A KR20067016181 A KR 20067016181A KR 100815378 B1 KR100815378 B1 KR 10081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side
side coil
clip
wir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3526A (ko
Inventor
고오 기무라
다까유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17/12013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2Packages or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62Packages or dispensers for MIS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61B2017/0053Loading magazines or sutures into apply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1Details of heads or jaws with releasabl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시경용 도입 장치(10)는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에 삽입 관통되는 관형체(20)와, 이 관형체의 내강에 삽입 관통된 와이어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형체는 상기 관형체의 선단부측에 배치된 선단부측 코일(22)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내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24)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와 상기 손잡이측 코일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와 상기 손잡이측 코일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내경을 변화시킨 내경 변화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내시경 도입 장치, 조작 와이어, 관형체, 와이어 부재, 내경 변화 부재

Description

내시경용 도입 장치{INSERTION APPARATUS FOR ENDOSCOP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생검(生檢, biopsy) 클램프나 클립 도입 장치 등, 연성의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280701호 공보에는 연성의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도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생검 클램프나 클립 도입 장치 등의 도입 장치는, 도23 및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강재 등의 금속선의 코일로 제작된 외투관(관형체)(120)과, 이 외투관(120) 내에 삽입 관통되어 선단부의 처치 기구에 연결한 가는 금속 단선 내지는 꼬임선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와이어(130)에 의해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130)는, 예를 들어 클립 유닛 등의 처치 기구가 결합되는 훅(131)과, 와이어(132)를 구비하고, 훅(131)과 와이어(132) 사이에는, 예를 들어 원기둥형의 접속 부재(131b)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생검 클램프나 클립 유닛 등 조작 와이어(130)의 선단부에 배치되거나 결합되거나 하는 처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작 와이어(130) 등의 조작 부재를 외투관(120)에 대해 강한 힘으로 견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시경의 삽입부의 만곡을 더 따르거나, 또는 조작자가 조작하기 쉬운 구조로 하기 위해, 외투관(120)은 선단부측과 기단부측에서 2개의 코일(122, 124)(도23 참조)을 접합하여 선단부측 코일(122)을 손잡이측 코일(124)보다도 부드럽게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외투관(120)은 선단부측 코일(122)의 기단부와, 이 선단부측 코일(122)보다도 두껍고 내경이 작은 손잡이측 코일(124)의 선단부를,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등으로 직접 접합하고 있다. 또한, 조작 와이어(130)는 상기한 것 외에 2개의 와이어를 접합하여 선단부측을 기단부측보다도 부드러운 와이어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강한 견인력에 견딜 수 있는 외투관(120)을 가지면서 연성의 내시경의 만곡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등의 성질의 양방을 실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80701호 공보에 개시된 클립 도입 장치로 대표되는 도입 장치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측 코일(122)의 기단부와, 이 선단부측 코일(122)보다도 두껍고 내경이 작은 손잡이측 코일(124)의 선단부를 레이저 용접 등으로 직접 접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코일(122, 124)끼리 2개 접합한 도입 장치에서는 코일(122, 124)끼리의 접합부의 내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 접합부에 내경차에 의한 단차가 생긴다.
2개의 코일(122, 124)이 만곡 상태(예를 들어, 반경 10 ㎜ 내지 30 ㎜ 정도)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예를 들어 클립 유닛의 클립핑 시 등, 조작 와이어(130)에 손잡이측으로의 인장력이 인가된다. 이로 인해, 코일(122, 124)에 압축력이 발생하고, 접합부의 내경 차에 의한 단차에 의해 조작 와이어(130)와 선단부측 코일(122)의 기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d)이 생긴다.
그렇게 하면, 선단부측 코일(122)에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가 선단부측 코일(122)의 소선의 허용 응력을 넘으면 소성 변형되고, 손잡이측 코일(124)에 대해 부드러운 선단부측 코일(122)에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간극(d)에 선단부측 코일(122)의 소선이 뒤로 밀려 선단부측 코일(122)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선단부측 코일(122)의 허용 응력 이하라도, 조작 와이어(130)에 의해 반복의 압축력이 가해짐으로써, 선단부측 코일(122)의 소선의 변형이나, 선단부측 코일(122) 및 손잡이측 코일(124)끼리의 접합부의 수명을 빠르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30)의 처치 기구가 결합되는 훅(131)과 와이어(132) 사이에는, 예를 들어 원기둥형의 접속 부재(131b)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연성 내시경의 최대 만곡 형상(예를 들어, 반경 10 ㎜ 내지 30 ㎜ 정도) 등의 작은 만곡 상태에서는 접속 부재(131b)의 외경과 코일(122)의 외경의 외경 차에 의해, 코일(122)과 와이어(132) 사이에 간극(d)이 생긴다.
그렇게 하면, 코일(122)에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가 소선의 허용 응력을 넘으면 소성 변형되고, 코일(122)의 소선에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간극(d)에 코일(122)의 소선이 뒤로 밀려 코일(122)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코일(122)의 허용 응력 이하라도, 반복의 압축력이 가해짐으로써, 코일(122)의 소선의 변형이나, 코일(122, 124)끼리의 접합부의 수명을 빠르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외투관으로서 코일을 사용한 연성 내시경용 도입 장치에 있어서, 심한 만곡 형상이고 조작 와이어에 강한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코일 소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도입 장치는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는 관형체와, 이 관형체의 내강에 삽입 관통된 와이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형체는 상기 관형체의 선단부측에 배치된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내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와 상기 손잡이측 코일의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와 상기 손잡이측 코일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내경을 변화시킨 내경 변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의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2의 (a)는 클립 도입 장치의 선단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2의 (b)는 클립 도입 장치의 기단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선단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5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 와이어 의 기단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5의 (b)는 도5의 (a) 중 5B-5B선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슬라이더의 제1 슬라이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7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7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에 있어서의 클립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8의 (a) 및 도8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을 클립 도입 장치에 장전할 때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0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에 클립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10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에 클립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도입관을 클립 유닛이 배치된 카트리지에 삽입하여 카트리지에 도입관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2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와 클립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입관을 카트리지로부터 인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12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와 클립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입관의 내부로 클립 유닛을 인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 다.
도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삽입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4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도입관의 선단부로부터 클립 유닛을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14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도입관의 선단부에 클립 유닛의 돌출 함몰(突沒) 윙을 계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14의 (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이고, 도입관의 선단부에 클립 유닛의 돌출 함몰 윙을 계지시킨 상태에서 클립을 클립 도입 장치의 손잡이측으로 인입하여 클립을 최대로 개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15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켜 도입관의 선단부에 클립 유닛의 돌출 함몰 윙을 배치하고, 클립을 클립 도입 장치의 손잡이측으로 인입하고, 클립을 최대로 개각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의 손잡이측의 조작부 본체의 회전 그립을 회전시켜 클립 유닛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15의 (b)는 도15의 (a) 중 15B-15B선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6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이고, 도입관의 선단부에 클립 유닛의 돌출 함몰 윙을 계지시킨 상태에서 클립을 클립 도입 장치의 손잡이측으로 인입하고, 클립을 폐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16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이고, 도입관의 선단부에 클립 유닛의 돌출 함몰 윙을 계지시킨 상태에서 클립을 클립 도입 장치의 손잡이측으로 인입하고, 클립 유닛의 클립 및 압박관을 연결 부재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1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도입관을 만곡시키고, 선단부측 코일과 코일 접속 파이프와 손잡이측 코일의 내주면에 와이어를 따르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도입관을 만곡시키고, 선단부측 코일과 코일 접속 파이프와 손잡이측 코일의 내주면에 와이어를 따르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손잡이측 코일 두께의 값으로부터 선단부측 코일 두께의 값을 뺀 값(H)과, 이 부호 H와, 삽입부를 가장 만곡시킨 상태의 만곡 반경(R)에 의해 결정되는 코일 접속 파이프의 선단부측의 길이(L)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도입관을 만곡시키고, 도입관에 조작 와이어를 따르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도입관을 도시하는 동시에, 그 도입관을 만곡시키고, 선단부측 코일과 손잡이측 코일의 내주면에 와이어를 따르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1의 (a) 및 도21의 (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파지 클램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21의 (c)는 파지 클램프를 도입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22의 (a) 및 도22의 (b)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유치 스네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22의 (c)는 유치 스네어를 도입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23은 종래 기술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도입관을 만곡시키고, 선단부측 코일과 손잡이측 코일의 내주면에 와이어를 따르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4는 종래 기술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도입관을 만곡시키고, 도입관에 조작 와이어를 따르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은 클립 도입 장치(도1 내지 도 6 참조)(10)와, 클립 유닛(60)[도7의 (a) 내지 도8 참조]과, 카트리지(70)(도9 내지 도10의 (b) 참조)와, 내시경(도13 참조)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우선, 도1 내지 도6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체강 내로의 도입 장치(조작 장치)인 클립 도입 장치(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도입 장치(10)는 도입관(20)과 조작 와이어(30)와 조작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립 도입 장치(10)는, 예를 들어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관통되는 등, 내시경과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로 인해, 도입관(20)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을 삽입 관통 가능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관(20)은 내시경의 삽입부의 만곡에 따라서 만곡하도록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2의 (a), 도2의 (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관(20)은 선단부 칩(21)과 선단부측 코일(22)과 코일 접속 파이프(23)와 손잡이측 코일(24)과 코일 수용 파이프(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입관(20)은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측 코일(22)은 도입관(20)의 선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선단부 칩(21)은 선단부측 코일(22)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 칩(21)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이고 내경이 2 ㎜ 정도, 외경이 2 ㎜ 내지 3 ㎜ 정도의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부 칩(21)의 일단부인 도입관(20)의 선단부는 완만하게 라운딩되어 있다.
선단부측 코일(22)은 스테인레스강재의 평선이 밀하게 권취된 나선형으로 형 성되고, 전체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22)의 내경은 2 ㎜ 정도, 외경은 2.5 ㎜ 내지 3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접속 파이프(23)는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접속 파이프(23)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이고 축길이가 짧은 대략 파이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와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선단부 사이는,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23)의 내경 및 외경은 선단부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파이프(23)의 선단부는 기단부에 비해 내경 및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코일 접속 파이프(23)는 조작 와이어(30)의 후술하는 화살촉 훅부(31)를 선단부측에 배치하고, 기단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예를 들어, 이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선단부의 내경은 2 ㎜ 정도, 외경은 2.5 ㎜ 내지 3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파이프(23)의 기단부의 내경은 1 ㎜ 정도, 외경은 2 ㎜ 내지 2.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측 코일(24)은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기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측 코일(24)은 스테인레스강재제의 와이어가 밀하게 권취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기단부와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 사이는,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코일(24)의 내경은 1 ㎜ 정도, 외경은 2 ㎜ 내지 2.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2의 (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수용 파이프(25)는 손잡이측 코일(24)의 기단부의 일부의 외주를 덮은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코일 수용 파이 프(25)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로 대략 파이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 수용 파이프(25)의 기단부는 조작부(40)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파이프(25)의 내경은 손잡이측 코일(24)의 외경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외경은 2 ㎜ 내지 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2의 (a) 및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는 훅부(31)와 와이어(32)와 조작 파이프(33)와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31)는 클립 유닛(60)[도7의 (a) 참조]을 걸기 위해 사용된다. 즉, 훅부(31)는 클립 유닛(60)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부(31)는 선단부측이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훅부(31)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 등의 금속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훅부(31)는 클립 유닛(60)을 걸어 결합하는 대략 원추형의 결합부(31a)와, 이 결합부(31a)의 기단부에 설치된 와이어 접속부(3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와이어 접속부(31b)는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직경 축소되는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1a)의 원추 상의 기단부측에는 복수의 평면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부(31a)의 선단부의 횡단면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기단부의 횡단면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15의 (b) 참조]. 이로 인해, 결합부(31a)는 전체적으로 화살촉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기단부와 와이어 접속부(31b)의 선단부 사이는 서로의 중심축 상에 배치된 축부(31d)에 의해 간격을 비워둔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32)의 선단부는 와이어 접속부(31b)에,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 정되어 있다. 즉, 와이어(32)의 선단부에는 훅부(31)가 고정되어 있다. 이 와이어(32)는 도입관(20)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와이어(32)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 등의 금속제 단선 와이어가, 예를 들어 19개 합쳐서 꼬아져 형성되어 있다.
도3 및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32)의 기단부에는 조작 파이프(3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파이프(33)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 등의 금속재에 의한 얇은 파이프(두께 0.1 ㎜ 정도)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파이프(23)는 와이어 수용 파이프(34)와 함께 와이어(32)의 기단부에서 코오킹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33)는 후술하는 슬라이더(42)의 이동 스트로크보다도 길이가 길고, 와이어(32)의 기단부를 피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2의 (b) 및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파이프(33)의 기단부에는 와이어 수용 파이프(34)가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는, 예를 들어 금속재이고 두꺼운 파이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파이프(34)는 조작 파이프(33)의 기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파이프(34)는 조작 파이프(33)와 함께 코오킹되어 와이어(32)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34)의 외주면은 코오킹에 의해 편평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2의 (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40)는 조작부 본체(41)와, 슬라이더(42)와, 가이드 파이프(43)와, O링(44)과, 와셔(45)와, 접힘 정지 수용부(46)와, 접힘 정지부(47)와, 섬 링(48)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본체(41)는, 예를 들어 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는 슬라이더(42)를 받는 슬릿부(41a)와, 본체(41)의 전체를 본체(41)의 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그립(41b)을 외주면에 구비하고 있다. 회전 그립(41b)은 본체(41)의 선단부측에 형성되고, 슬릿부(41a)는 본체(41)의 기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부(41a)는 본체(41)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의 기단부에는 섬 링(48)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착부(41c)에는 섬 링(48)이 본체(41)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의 중심축 상에는 몇 개의 단차를 갖고, 선단부에서 내경이 크고, 기단부에서 선단부에 비해 내경이 작은 구멍(4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41d)은 본체(41)의 기단부에서 폐색되어 있다[도1 및 도2의 (b) 참조]. 본체(41)의 구멍(41d)의 선단부에는 손잡이측 코일(24)의 기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측 코일(24)의 기단부의 외주면이고, 코일 수용 파이프(25)의 선단부에는 접힘 정지 수용부(4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접힘 정지 수용부(46)의 외주면에는 접힘 정지부(4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접힘 정지부(47)의 기단부의 외주면은 본체(41)의 구멍(41d)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파이프(43)는 상술한 본체(41)의 구멍(41d)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가이드 파이프(43)는 본체(41)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파이프(43)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파이프(43)는 O링(44)이 수납되는 O링 수납부(43a)와, 손잡이측 코일(24)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코일 삽입부(43b)를 구비하고 있다. O링(44)은 O링 수납부(43a) 내에 배치되어 조작 파이프(33)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은 내경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O링(44)의 내주면은 조작 파이프(3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O링 수납부(43a)는 가이드 파이프(43)의 기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O링 수납부(43a)는 가이드 파이프(43)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 O링 수납부(43a)는 O링(44)의 외경보다도 크고, 가이드 파이프(43)의 외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O링 수납부(43a)는 O링(44)이, 예를 들어 2 ㎜ 내지 6 ㎜의 범위 내에서 가이드 파이프(43)에 대해 가동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셔(45)는 가이드 파이프(43)의 기단부에서 O링 수납부(43a)에 기단부측으로부터 덮개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워셔(45)는 조작 파이프(33)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과, 가이드 파이프(43)와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O링(44)은 와셔(45)에 접촉되는 상태와, 와셔(45)에 대해 격리하여 O링 수납부(43a)의 선단부에 접촉되는 상태 사이의 범위 내를 조작 파이프(33)의 외주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42)는 와이어 수용 압박으로서의 제1 슬라이드 부재(51)와, 이 제1 슬라이드 부재(51)에 결합된 제2 슬라이드 부재(5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51)는 와이어(32)의 기단부에 배치된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도5의 (a) 및 도5의 (b) 참조]를 고정하기 위해 1 쌍 배치되어 있다. 도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제1 슬라이드 부재(51)는 절반 링(51a)과, 노출부(51b)와, 결합부(51c)와, 다리부(51d, 51c)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 슬라이드 부재(51)는, 예를 들어 녹색 등으로 착색한 수지재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절반 링(51a)은 절반 도넛형으로 형성되어 제2 슬라이드 부재(52)의 기단부에 결합된다. 이 절반 링(51a)은 본체(41)의 기단부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절반 링(51a)의 기단부에는 돌기부(51g)가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51b)는 절반 링(51a)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노출부(51b)는 제2 슬라이드 부재(52)에 끼워 맞추어졌을 때, 손가락이 놓이도록 외표면이 노출되어 있다. 결합부(51c)는 노출부(51b)의 선단부에서 선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결합부(51c)의 선단부에는 제2 슬라이드 부재(52)와 결합하는 걸이부(51h)가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걸이부(51h)는 제2 슬라이드 부재(52)와 결합된다. 또한, 걸이부(51h)는 슬릿부(41a)에 대해 슬라이더(42)를 선단부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2 슬라이드 부재(52)를 받는다. 즉, 걸이부(51h)에는 슬라이더(42)를 선단부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힘이 가해진다.
노출부(51b)와 결합부(51c) 사이에는 제2 슬라이드 부재(52)로부터의 힘을 받는 수용부(51i)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용부(51i)는 슬릿부(41a)에 대해 슬라이더(42)를 손잡이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2 슬라이드 부재(52)를 받는다. 다리부(51d, 51e)는 노출부(51b)로부터 본체(41)의 슬릿부(41a)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들 다리부(51d, 51e)는 슬릿부(41a)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이들 다리부(51d, 51e) 사이에는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고정 부(51j)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51j)에 의해 와이어 수용 파이프(34)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리부(51d, 51e)가 이동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도 이동한다.
본체(41)에 대해 선단부측의 다리부(51d)의 선단부면에는 본체(41)의 슬릿부(41a)의 선단부에 접촉되는 슬릿 맞댐 부착면(51m)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41)에 대해 기단부측의 다리부(51e)의 기단부면에는 슬릿부(41a)의 기단부에 접촉되는 슬릿 맞댐 부착면(51n)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 맞댐 부착면(51m, 51n)은 슬릿부(41a)에 대한 슬라이더(42)의 이동량을 규정한다.
제2 슬라이드 부재(52)는 손가락 걸이부(52a)와 슬릿부(52b)와 슬릿 단부(52c)와 단차부(52d)를 구비하고 있다. 손가락 걸이부(52a)는 서로 평행한 1 쌍의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측의 손가락 걸이부(52a)와 기단부측의 손가락 걸이부(52a) 사이에는 노출부(51b)가 배치되는 슬릿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노출부(51b)와, 제2 슬라이드 부재(52)의 슬릿부(52b)가 끼워 맞추어져 제2 슬라이드 부재(52)와 노출부(51b)의 외주면이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릿부(52b)에는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다리부(51d, 51e)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부(52b)의 선단부측의 슬릿 단부(52c)는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결합부(51c)의 기단부의 수용부(51i)에 접촉되어 있다.
슬릿 단부(52c)보다도 선단부측에는 단차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52d)는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결합부(51c)의 선단부의 걸이부(51h)에 접촉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슬라이드 부재(51)와 제2 슬라이드 부재(52)가 끼워 맞 추어진 슬라이더(42)는 본체(41)의 슬릿부(41a)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접힘 정지 수용부(46)는 본체(41)의 구멍(41d)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접힘 정지 수용부(46)는 손잡이측 코일(24)의 외경보다도 크고, 코일 수용 파이프(25)의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구비하고 있다. 접힘 정지 수용부(46)의 선단부측 외경부에는 접힘 정지부(47)를 비틀어 넣어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부(46a)를 구비하고 있다.
접힘 정지부(47)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제의 단선 와이어가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힘 정지부(47)는 선단부측이 성기고 손잡이측이 밀하다. 이 접힘 정지부(47)의 기단부의 내주면은 접힘 정지 수용부(46)의 나사부(46a)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접힘 정지부(47)의 외주면은 본체(41)의 선단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다음에, 도7의 (a) 내지 도8의 (b)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치 기구(처치구)로서의 클립 유닛(6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클립 도입 장치(10)의 와이어(32)의 선단부의 훅부(31)에는 클립 유닛(60)을 장전 가능하다.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은 클립(61)과, 연결 부재(62)와, 체결 부착 부재로서의 압박관(63)을 구비하고 있다.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재 등에 의한 판 스프링재 등의 금속제 판재를 대략 중앙부에서 절곡하여 루프부(기초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61)은 루프부(61a)의 근방 위치에서 교차시킨 후에, 확대 개방 습성을 갖는 1 쌍의 아암(클립 아암)(61b)을 각각 선단부가 이격되 는 상태로 연장시키고 있다. 이 클립(61)의 선단부에는 조직 파지부(클립 갈고리)(61c)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61)의 아암(61b)의 교차부는 선단부측으로부터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조직 파지부(61c)가 서로 대향한다. 아암(61b)의 루프부(61a)의 근방에는 판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톱날형의 돌기(61d)가 형성되어 있다.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61d)는, 조직 파지부(61c)측은 예각인 경사면, 루프부(61a)측은 둔각인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61)을 압박관(63)으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압박관(63)의 내면을 미끄럼 이동하지만, 인입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압박관(63)의 내면에 맞물린다.
조직 파지부(61c)는 서로 대향하도록 아암(61b)의 선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대략 90도 내지 150도 정도로 절곡되어 있다. 조직 파지부(61c)의 한쪽은 대략 삼각형의 볼록부(61f)가 형성되어 있다. 조직 파지부(61c)의 다른 쪽은 볼록부(61f)와 맞물리는 대략 삼각형의 오목부(61g)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62)는,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나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등의 고강도인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도8의 (a) 및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2)는 원기둥 막대형이고, 그 선단부에 돌출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62a)의 기초부(62b)는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62a)의 선단부측에는 축방향으로 긴 편평 타원형의 돌기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62c)에는 클립(61)의 루프부(61a)가 걸려 있고 클립(61)과 연결 부재(62)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 부재(62)의 타단부는 두 갈래형으로 분기되어, 분기부에 절결부(62d)[도7의 (a)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절결부(62d)에는 평면부(62j)[도15의 (b) 참조]와 탄성 아암부(62e)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62j)는 상술한 화살촉 훅부(31)(도4 참조)의 선단부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에 대해 접촉한다. 연결 부재(62)의 중간부는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 파단부로서의 가는 직경부(62f), 중간 직경부(62g) 및 굵은 직경부(62h)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가는 직경부(62f)는, 예를 들어 20 N 내지 60 N의 파단 역량이 가해졌을 때에 파단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굵은 직경부(62h)는 압박관(63)의 내주면과 밀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외경으로 설정되고, 이 외주면의 일부에는 걸림 돌기(62i)가 설치되어 있다.
압박관(63)은 클립(61)보다도 부드러운 재질, 예를 들어 PPA(폴리프탈아미드), PA(폴리아미드) 등의 적절한 탄성을 갖는 고강성의 수지재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이 압박관(63)은 클립(61)의 아암(61b)에 끼움 장착함으로써 클립(61)의 아암(61b)을 폐각한다.
압박관(63)의 선단부에는 스테인레스강재 등의 고강도의 금속재로 형성된 선단부관(63a)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이 선단부관(63a)의 외경은 압박관(63)과 동일 외경이고, 내경은 기단부의 최소 내경부(63b)로부터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대경이 되는 내경 경사부(63c)에 형성되어 있다. 압박관(63)의 외주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 함몰 가능한 1 쌍의 돌출 함몰 윙(63d)[도7의 (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클립(61)과 연결 부재(62)와 압박관(63)을 조립하는 클립 유닛(60)의 조립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관(63)의 후단측으로부터 연결 부재(62)를 삽입하고, 연결 부재(62)의 돌기부(62c)를 압박관(63)의 선단부관(63a)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돌기부(62c)에 클립(61)의 루프부(61a)를 걸면, 클립(61)과 연결 부재(62)가 결합한다.
다음에, 연결 부재(62)를 손잡이측으로 인장하면, 클립(61)의 루프부(61a)가 압박관(63)의 선단부관(63a)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때, 연결 부재(62)의 걸림 돌기(62i)가 압박관(63)의 후단부측 단면과 결합하고, 클립(61), 연결 부재(62), 압박관(63)이 결합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 부재(62)를 손잡이측으로 당기면, 클립(61)의 루프부(61a)가 압박관(63)의 선단부관(63a)으로부터 압박관(63)의 내부로 인입된다. 따라서,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의 루프부(61a)가 눌려 찌그러지므로, 아암(61b)이 개각된다.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2)를 손잡이측으로 더 인장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클립(61)의 돌기(61d)가 압박관(63)의 내경 단차부(63f)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압박관(63) 내로의 인입이 정지된다. 따라서, 아암(61b)은 최대 개각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62)를 손잡이측으로 더 인장하면, 클립(61)의 돌 기(61d)가 압박관(63)의 내경 단차부(63f)를 타고 넘어 클립(61)이 압박관(63)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아암(61b)이 폐각된다.
이때, 압박관(63)은 클립(61)보다 부드러운 적절한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돌기(61d)는 압박관(63)의 내벽에 맞물려 구속되고, 클립(61)이 압박관(63)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폐각 상태로 유지된다. 클립(61)의 돌기(61d)는 루프부(61a)의 판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톱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61)은 고정측[아암(61b)의 폐각 방향]으로는 가볍게 움직이지만, 클립(61)은 복귀측[아암(61b)의 개각 방향]으로는 돌기(61d)가 압박관(63)의 내벽에 맞물려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클립 유닛(60)은, 도9 내지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의 클립 도입 장치(10)로의 장전을 용이하게 하는 카트리지(클립 케이스)(70)에 내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다음에 도9 및 도10의 (b)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치 기구로서의 카트리지(7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을 수납하는 카트리지(70)는 서로 동일 형상을 갖는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는, 예를 들어 ABS, PC, PP, PS, 아크릴, 시클로올레핀폴리머 등, 적절한 경도가 있고, 또한 투명한 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어 있다. 카트리지(70)의 폭은 10 ㎜ 내지 20 ㎜ 정도, 길이는 50 ㎜ 정도, 두께는 5 ㎜ 정도이고, 손으로 들기 쉬운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클립 유닛 수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에는 압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74)는, 예를 들어 20 ㎜ 사방 정도이고, 손가락에서 집는 데도 적절한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 수납부(73)와 압착부(74)의 연결부(73a)로부터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의 압착부(74)가 서로에 대해 이격되도록 굴곡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압착부(74)의 상호 간에는 간격(74a)이 형성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에 있어서의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내면에는 3개의 결합 갈고리(75)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3개의 결합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71)의 결합 갈고리(75)는 하부 케이스(72)의 결합 구멍(76)에 결합하고, 하부 케이스(72)의 결합 갈고리(75)는 상부 케이스(71)의 결합 구멍(76)에 결합한다. 이로 인해,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가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는 서로 동일 형상이므로, 한쪽의 하부 케이스(72)에 대해 대표로 설명한다.
도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내면에는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이 개각 상태로 수납되는 대략 T자형이나 대략 Y자형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클립 수납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립 수납부(77)에는 이 수납부(77)와 연속해서 원호 홈으로 이루어지는 압박관 수납부(78) 및 연결 부재 수납 부(79)가 설치되어 있다. 압박관 수납부(78)의 바닥부에는 클립 유닛(60)의 돌출 함몰 윙(63d)이 수납되는 돌출 함몰 윙 수납 오목부(78a)[도10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수납부(79)의 바닥부에는 탄성 아암부(62e)가 화살촉 훅부(31)와 결합할 때에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아암부 직경 확장부(79a)[도10의 (b)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압착부(74)의 내면에는 연결 부재 수납부(79)가 연속해서 원호 홈으로 이루어지는 도입관 삽입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74)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로서 반구형의 복수개의 오목부(80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 수납부(79)와 도입관 삽입부(80)의 경계부에는 선단부 칩 맞댐부(81a)[도10의 (b) 참조] 및 대략 5도 내지 90도 정도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돌출 함몰 윙 직경 축소부(81)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 유닛(60)의 압박관(63)은 돌출 함몰 윙 직경 축소부(81)를 통과할 때에 돌출 함몰 윙(63d)이 내측으로 압입된다.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이 압입되는 도입관 삽입부(80)는 입구(82)[도10의 (b) 참조]를 향해 점차 직경 확장되는 경사면부(83)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82)의 직경은, 예를 들어 3 ㎜ 이상이고,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의 원호면(84)이 형성되어 있다. 도입관 삽입부(80)의 바닥면에는, 예를 들어 길이 1 ㎜ 내지 5 ㎜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에 의해 도입관(20)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압박하여 고정하는 도입관 고정부(85)[도10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10), 클립 유닛(60) 및 카트리지(70)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 도11 내지 도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의 (b)에 도시하는 클립 도입 장치(10)의 슬라이더(42)를 섬 링(48)에 근접하는 기단부측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도2의 (a)에 도시하는 훅부(31)의 선단부는 도입관(20)의 선단부측 코일(22)의 내부이고, 코일 접속 파이프(23)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의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 사이에는 클립 유닛(60)이 수납되어 있다. 클립(61)은 클립 수납부(77)에 세트되고, 압박관(63)은 압박관 수납부(78)에 세트되고, 연결 부재(62)는 연결 부재 수납부(79)에 세트되어 있다.
도10의 (b)에 도시하는 상태의 카트리지(70)의 입구(82)로부터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을,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관 삽입부(코일 삽입부)(80)에 대해 내측까지 삽입한다.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을 선단부 칩 맞댐부(81a)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70)의 압착부(74)를 손가락으로 집어 압착한다. 이때, 압착부(74)가 탄성 변형되어 도입관 고정부(85)에 의해 도입관(20)의 선단부측 코일(22)을 끼움 지지한다. 도입관(20)은 축방향에 대해 고정된다(도11 참조).
다음에, 도1 및 도2의 (b)에 도시하는 슬라이더(42)를 섬 링(48)에 대해 격리하는 선단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51, 52),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를 거쳐서 와이어(32)가 도입관(20)의 선단부측을 향해 이동된다. 그렇게 하면, 와이어(32)의 선단부에 접속된 화살촉 훅부(31)가 도입관(20)의 선단부측 코일(22)의 선단부의 선단부 칩(21)에 대해 돌출된다. 즉, 조작 와이어(30)가 이동하여 화살촉 훅부(31)가 도입관(20)의 선단부측 코일(22)의 선단부의 선단부 칩(21)에 대해 돌출된다.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e)에 형성된 원추 구멍에 화살촉 훅부(31)의 선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더(42)를 선단부측으로 더 이동시킨다. 클립(61)의 아암(61b)이 클립 수납부(77)의 선단부의 형상을 따라서 탄성적으로 확대 개방되는 동시에, 압박관(63) 및 연결 부재(62)도 이동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e)가 화살촉 훅부(31)의 경사면부에 의해 외측으로 확대된다. 그 후, 화살촉 훅부(31)를 탄성 아암부(62e)로 더 압입하면, 탄성 아암부(62e)가 화살촉 훅부(31)를 통과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탄성력에 의해 폐색되고, 축부(31d)가 탄성 아암부(62e)에 끼움 지지된다. 이로 인해, 화살촉 훅부(31)의 결합부(화살촉 대경부)(31a)가 탄성 아암부(62e)에 결합한다. 따라서, 화살촉 훅부(31)가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e)에 결합되어 빠지지 않게 되고, 클립 유닛(60)이 조작 와이어(30)에 결합된다.
다음에, 슬라이더(42)를 기단부측으로 이동시키면,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를 거쳐서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압박관(63)의 돌출 함몰 윙(63d)이 돌출 함몰 윙 직경 축소부(81)의 경사면에 의해 내측으로 압입된다. 이로 인해, 돌출 함몰 윙(63d)은 선단부 칩(21) 의 단부면에 걸지 않고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의 아암(61b)은 도입관(20)의 내경에 맞추어 폐각된다. 압박관(63)의 돌출 함몰 윙(63d)은 도입관(20)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탄성 변형되어 압박관(63)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내부로 인입된 후, 카트리지(클립 케이스)(70)의 압착부(74)를 집는 역량을 약하게 하면, 압착부(74)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확대된다. 도입관(20)을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로부터 발취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클립 도입 장치(10)의 조작 와이어(30)의 선단부에는 클립 유닛(60)이 장착되어 있다.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의 선단부는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해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 있다.
다음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삽입부(90)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을 통해 도입관(20)을 체강 내로 도입하고, 내시경에 의해 체강 내를 관찰하면서 도입관(20)의 선단부를 대상 부위 근방까지 유도한다.
다음에, 생체 조직을 클립(61)에 의해 클립핑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2의 (b)에 도시하는 슬라이더(42)를 선단부측으로 압출하는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30)를 거쳐서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내부를 전진한다. 이때, 압박관(63)의 선단부관(63a)의 외경은 도입관(20)의 내부를 쉽게 미끄러지도 록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점차 소직경이 되도록 외경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입관(20)의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특히,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시경의 삽입부(90)의 곡률 반경이 작은 상태로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슬라이더(42)의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30)를 더 전진시키면, 도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압박관(63)의 돌출 함몰 윙(63d)은 선단부측을 향해 내리막 구배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클립 유닛(60)은 원활하고, 또한 저항없이 압출된다. 그리고, 압박관(63)의 돌출 함몰 윙(63d)은 도입관(20)의 내면과의 접촉 상태로부터 개방되어 압박관(63)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클립(61)의 1 쌍의 아암(61b)은 확대 개방 습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입관(20)으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어느 정도 개각한다.
그 후, 슬라이더(42)를 기단부측으로 이동시키면, 도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가 기단부측으로 되돌아가고, 압박관(63)의 돌출 함몰 윙(63d)의 기단부측 단면이 선단부 칩(21)의 단부면에 결합한다.
슬라이더(42)를 기단부측으로 더 이동시켜 조작 와이어(30)를 되돌리면, 도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2)를 거쳐서 클립(61)의 루프부(61a)가 압박관(63)의 내부로 인입되고, 또한 클립(61)이 개각된다. 그리고, 클립(61)의 돌기(61d)가 압박관(63)의 내경 단차부(63f)에 접촉하고, 아암(61b)이 최대로 개각된다.
이 상태에서, 내시경에 의해 생체 조직의 목적 부위를 관찰하면서 그 목적 부위에 클립(61)을 어프로치하여 클립(61)의 조직 파지부(61c)를 압박한다. 이때, 조작부(40)의 섬 링(48)에 엄지 손가락을 삽입하고, 검지와 중지에 의해 슬라이더(42)를 끼워 넣어 조작하지만, 섬 링(48)은 조작부 본체(4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도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2)로부터 손을 놓는다. 그리고, 섬 링(48)을 오른손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왼손으로 조작부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을 보유 지지하고, 본체(41)의 축 주위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슬라이드 부재(와이어 수용 파이프 압박부)(51) 및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를 거쳐서 와이어(32)가 회전된다. 즉, 훅부(31)가 회전된다. 이로 인해, 도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에 설치된 평면부(31c)로부터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절결부(62d)의 내면의 평면부(62j)에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이 훅부(31)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 주위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클립 유닛(60)을 회전시켜 방향을 변경할 때에는 조작부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을 보유 지지하여 본체(41)를 회전시키지만, 섬 링(48)에 엄지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라도 조작부 본체(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42)를 기단부측으로 더 이동시키면, 조작 와이어(30)가 후퇴되고, 연결 부재(62)를 거쳐서 클립(61)의 아암(61b)이 압박관(63)의 내부로 인입된다. 따라서, 클립(61)의 돌기(61d)가 압박관(63)의 내경 단차부(63f)를 타고 넘어, 도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의 아암(61b)이 폐각된다. 생체 조직은 클립(61)의 아암(61b) 사이에 확실하게 끼워 넣어진다. 이때, 압박관(63)은 클 립(61)보다 부드러운 적절한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돌기(61d)가 압박관(63)의 내벽에 맞물리고, 클립(61)이 압박관(63)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구속된다. 따라서, 클립(61)이 개각 상태로 유지된다.
슬라이더(42)를 기단부측으로 더 이동시키고 조작 와이어(30)를 후퇴시키면, 클립(61)의 연결 부재(62)의 파단부로서 가는 직경부(62f)[도8의 (a) 참조]가, 도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된다. 이로 인해, 클립(61) 및 압박관(63)은 연결 부재(62)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의 클립(61) 및 압박관(63)은 클립 도입 장치(10)로부터 이탈하여 생체 조직을 파지한 상태에서 체강 내에 유치된다.
클립(61)의 유치 후, 클립 도입 장치(10)를 내시경의 삽입부(90)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의 내부로부터 제거한다. 클립 유닛(60)을 재장전하기 위해, 화살촉 훅부(31)로부터 연결 부재(62)를 제거한다. 이 경우,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e)를 개방함으로써, 화살촉 훅부(31)를 연결 부재(62)의 절결부(62d)로부터 발취할 수 있다.
다음에, 도입관(20)의 손잡이측 코일(24)과 조작부(40)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입관(20)의 손잡이측 코일(24)의 기단부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43)에 삽입되어 있을 뿐이고, 접착이나 용접 등의 고정은 되어 있지 않다. 손잡이측 코일(24)은 가이드 파이프(43)의 코일 삽입 구 멍(41d)의 손잡이측 단부면과, 접힘 정지 수용부(46) 사이에 축방향에 약간의 간극(덜걱거림)을 갖는 상태에서 끼워 넣어져 있다. 이로 인해, 조작부(40)와 도입관(20)은 서로에 대해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조작부(40)의 회전 그립(41b)을 본체(41)의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 도입관(20)이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조작부(40)와 도입관(20) 사이에 여분의 반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의 회전에 의해 효율적으로 조작 와이어(30)에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을 본체(41)의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30)를 거쳐서 반응 좋고 원활하게 클립 유닛(6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뿐만 아니라, 조작 와이어(30)로 처치부를 회전시키는 모든 처치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다음에, 와이어(32)의 기단부가 고정된 와이어 수용 파이프(34)의 구조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는 코오킹에 의해 도4(b)에 도시하는 편평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고정부(51j)는 와이어 수용 파이프(34)의 편평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수용 파이프(34)의 편평부를,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부터 압입한다. 그로 인해, 회전 조작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51)가 회전하면,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도 회전한다. 따라서,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의 회전 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슬라이더(42)의 제1 슬라이 드 부재(51)의 고정부(51j), 와이어 수용 파이프(34) 및 조작 파이프(33)를 거쳐서 와이어(32)로 확실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조작 와이어(30)로 처치부를 회전시키는 모든 처치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 파이프(33)의 외주에 설치된 O링(44)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O링(44)은 조작 파이프(33)의 외주에 배치되어 조작 파이프(33)를 내경 방향에 체결 부착하고 있다. O링(44)은 슬라이더(42)나 본체(41)의 자중 정도의 힘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연고정(軟固定)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전 조작이나 회전 조작 등으로 슬라이더(42)로부터 손가락을 이격해도 O링(44)과 조작 파이프(3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조작 파이프(33)가 본체(41)에 대해 결합된 상태로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슬라이더(42)가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32)의 장력이 완화(해방)되었을 때에 도입관(20)에 수납된 클립 유닛(60)이나, 훅부(31)가 불필요하게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회전 그립(41b)의 회전 조작 시에 슬라이더(42)에 손가락을 걸면, 조작 와이어(30)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클립 유닛(60)의 압박관(63)의 돌출 함몰 윙(63d)과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단부면이 압박된다. 즉, 회전하지 않는 도입관(20)과 회전하는 돌출 함몰 윙(63d)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을 선단부에 배치한 조작 와이어(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없다. 즉, 클립 유닛(60)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회전 그립(41b)의 회전 조작 시에는 슬라이더(42)로부터 손가락을 이격할 필요가 있지만, O링(44)에 의해 슬라이더(42)가 이동하지 않도록 연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그립(41b)을 안심하고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그립(41b)의 회전 조작 시에 확실하게 조작 와이어(30)의 인장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이드 파이프(43)의 O링 수납부(43a)에는 O링이 2 ㎜ 내지 6 ㎜ 정도, 전후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공간(덜걱거림)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더(42)를 놓으면 확실하게 와이어(32)의 인장력이 완화(해방) 된다. 즉, 조작 와이어(30)가 전체적으로로 선단부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에 돌출 함몰 윙(63d)의 기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더(42)를 놓으면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와 돌출 함몰 윙(63d)의 기단부 사이의 접촉이 해제된다. 즉,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와 돌출 함몰 윙(63d)의 기단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되거나, 혹은 완전히 없어진다. 그렇게 하면, 도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41)를 회전시켰을 때에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와 돌출 함몰 윙(63d)의 기단부 사이의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고, 클립 유닛(6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뿐만 아니라, 처치부를 회전시키는 처치구 전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다음에, 슬라이더(42)의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구조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슬릿 맞댐 부착면(51m, 51n) 사이의 길이는 슬라이더(42) 전체의 길이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42)의 제2 슬라이드 부재(52)의 선단부측은 본체(41)의 슬릿부(41a)를 넘어 선단부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42)의 이동량을 확보하면서 본체(4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클립 도입 장치(10)를 멸균 팩에 봉입하는 봉입 시 등의 취급 용이의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뿐만 아니라, 모든 처치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다음에, 내시경의 삽입부(90)의 앵글부가 만곡된 만곡 상태의 경우에 있어서의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17은 내시경의 삽입부(90)(도13 참조)가 비교적 작은 만곡 상태[반경(R)]로 구부려져 있을 때에 그 삽입부(90)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에 삽입 관통된 클립 도입 장치(10)의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 코일 접속 파이프(23) 및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은 코일 접속 파이프(23)를 끼운 상태에서 선단부측 코일(22)과 손잡이측 코일(24)을 접합하고 있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내주면은 내시경의 삽입부(90)의 만곡 시의 조작 와이어(30)의 견인에 의한 주행에 맞추어 선단부측 코일(22)의 내경으로부터 손잡이측 코일(24)의 내경으로 직경을 축소하도록 서서히 변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내시경의 삽입부(90)의 만곡 반경(R)으로 구부린 경우의 조작 와이어(30)의 주행에 맞춘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내면 형상에 의해, 도17에 도시하는 선단부측 코일(22)과 조작 와이어(30) 사이에 생기는 간극(d)을 줄 이고 있다.
또한, 도18 중 부호 H는, 예를 들어 손잡이측 코일(24)의 두께의 값으로부터 선단부측 코일(22)의 두께를 뺀 값이다. 부호 L은 상기 부호 H와, 삽입부(90)를 가장 만곡시킨 상태의 만곡 반경(R)에 의해 결정되는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선단부측의 길이이다.
이와 같이,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의 내경과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의 내경이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길이나 내경이 조정되어 있으므로,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와 조작 와이어(30) 사이의 간극(d)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삽입부(90)가 심한 만곡 형상의 상태에서 조작 와이어(30)에 강한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부측 코일(22)이 변형되거나, 소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의 훅부(31)의 결합부(31a)와 와이어(32)의 접속부인 훅부(31)의 와이어 접속부(31b)의 외면 형상은, 와이어(32)측이 훅부(31)의 결합부(31a)측에 비해 직경 축소된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와이어 접속부(31b)의 외면 형상은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작 와이어(30)의 견인에 의한 주행에 맞추어 와이어 접속부(31b)의 외주면의 일부가 대략 면형으로 선단부측 코일(22)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훅부(31)의 와이어 접속부(31b)가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접속부(31b) 및 와이어(32)와, 선단부측 코일(22)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d)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삽입부(90)가 심한 만곡 형상의 상태에서 조작 와이어(30)에 강한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부측 코일(22)이 변형되거나, 소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17 내지 도19를 이용하여 설명한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뿐만 아니라, 도입관(외투관)(20)에 코일(22)을 이용한 모든 처치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내경을, 선단부측을 대직경, 기단부측을 소직경으로, 예를 들어 테이퍼형으로 서서히 변화시킴으로써 도입관(20)을 만곡시켰을 때에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와 조작 와이어(30) 사이의 간극(d)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90)가 심한 만곡 형상의 상태에서 조작 와이어(30)에 강한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부측 코일(22)이 변형되거나, 소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시경의 삽입부(90)를 최대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10)를 삽입부(90)의 채널(92)에 삽입하고, 조작 와이어(30)에 강한 견인력을 가해도 선단부측 코일(22)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와이어(30)를 강한 힘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클립 도입 장치(10)에 있어서, 내경이 다른 2개의 코일(22, 24)을 접합한 도입관(20)을 사용해도 접합부 부근에 있어서 선단부측 코일(22)의 소선에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이므로, 우수한 내구성과, 내시경의 삽입부에 대한 우수한 삽입성을 양립한 도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훅부(31)의 와이어 접속부(31b)의 선단부측을 큰 직경으로, 기단부측을 와이 어(32)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한(직경 축소함) 대략 원추형을 가지므로, 도입관(20)을 만곡시켰을 때에 와이어 접속부(31b)의 기단부와 선단부측 코일(22)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d)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90)가 심한 만곡 형상의 상태에서 조작 와이어(30)에 강한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훅부(31)의 와이어 접속부(31b)에 의해 선단부측 코일(22)이 변형되거나, 선단부측 코일(22)의 소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시경의 삽입부(90)를 최대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10)를 삽입부(90)의 채널(92)로 삽입하고, 조작 와이어(30)에 강한 견인력을 가해도 선단부측 코일(22)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와이어(30)를 강한 힘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클립 도입 장치(10)에 있어서, 와이어 접속부(31b)의 외면 형상을 손잡이측을 향해 직경 축소시키는 테이퍼형으로 함으로써, 와이어 접속부(31b)와 와이어(32)의 접합부 부근에 있어서, 선단부측 코일(22)의 소선에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이므로, 우수한 내구성과, 내시경의 삽입부에 대한 우수한 삽입성을 양립한 도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는 코오킹에 의해 편평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와이어 수용 파이프 압박부(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고정부(51j)는 와이어 수용 파이프(34)의 편평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편평부에 의해 상하로부터 밀어 넣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 수용 파이프 압박부(51)가 회전하면, 와이어 수용 파이프(34)도 회전하므로, 회전력을 확실 하게 조작 와이어(30)로 전달할 수 있다.
O링(44)은 조작 파이프(33)를 체결 부착하고 있고, 슬라이더(42) 본체(41)의 자중 정도의 힘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연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전 조작이나 회전 조작 등으로 슬라이더(42)로부터 손가락을 이격해도 불필요하게 슬라이더(42)가 움직이지 않는다. 이에 의해, 도입관(20)에 수납된 클립 유닛(60)이나, 훅부(31)가 불필요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회전 조작 시에 슬라이더(42)에 손가락을 걸면, 조작 와이어(30)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클립 유닛(60)의 돌출 함몰 윙(63d)과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단부면이 압박되어 강한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고, 회전 조작 시에는 슬라이더(42)로부터 손가락을 이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O링(44)에 의해 슬라이더(4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안심하고 회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 시에 확실하게 조작 와이어(30)의 인장력을 없애기 위해, 가이드 파이프(43)의 O링 수납부(43a)에는 O링(44)이 2 ㎜ 내지 6 ㎜ 정도, 전후로 움직이는 공간(덜걱거림)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42)를 이격하면 확실하게 인장력을 해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와이어 수용 파이프 압박부(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슬릿 맞댐 부착면(51m, 51n) 사이의 길이가 슬라이더(42)의 전체 길이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고, 슬라이더(42)의 선단부측을 본체(41)의 슬릿부(41a)를 넘어 선단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42)의 이동량을 확보하면서 본체(4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멸균 팩으로의 봉입 시 등의 취급 용이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은 선단부 칩(21)과, 선단부측 코일(22)과, 손잡이측 코일(24)과, 코일 수용 파이프(2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코일 접속 파이프(23)(도17 및 도18 참조)는 제거되어 있다.
손잡이측 코일(24)의 기단부의 내경은 도시하지 않지만, 선단부측 코일(22)의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측 코일(24)은 그 선단부에 있어서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테이퍼형으로 내경이 직경 확장되어 있다.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의 내경은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측 코일(24)의 내주면은 내시경의 삽입부(90)의 만곡 시의 조작 와이어(30)의 견인에 의한 주행에 맞추고, 선단부측에서 내경이 큰 상태로부터 기단부측에서 내경이 작은 상태로 직경을 축소하도록 서서히 변화되어 있다. 이로 인해, 내시경의 삽입부(90)의 만곡 반경(R)으로 구부린 경우의 조작 와이어(30)의 주행에 맞춘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의 내면 형상에 의해, 선단부측 코일(22)과 조작 와이어(30) 사이에 생기는 간극(d)을 줄이고 있다.
이와 같이,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의 내경과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의 내경이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의 내경이 조정되어 있으므로,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와 조작 와이어(30) 사이의 간극(d)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삽입부(90)가 심한 만곡 형상의 상태에서 조작 와이어(30)에 강한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부측 코일(22)이 변형되거나, 소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의 내경을, 선단부측을 대직경, 기단부측을 소직경으로 테이형으로 서서히 변화시킴으로써 선단부측 코일(22)의 기단부와 조작 와이어(30) 사이의 간극(d)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90)가 심한 만곡 형상의 상태에서 조작 와이어(30)에 강한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부측 코일(22)이 변형되거나, 소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21의 (a) 내지 도21의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클립 도입 장치(10)에 의해 조작되는 처치구는 클립 유닛(60)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21의 (a) 및 도21의 (b)에 도시하는 파지 클램프(96)를 사용 가능하다. 이 파지 클램프(96)는 조직 파지부(96a)와 연결 부재(96b)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96b)의 기단부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연결 부재(6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연 결 부재(96b)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연결 부재(62)와 동일 구조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 부재(96b)의 선단부에는 조직 파지부(96a)의 기단부가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이 파지부(96a)는 1 쌍의 아암(96c)과 1 쌍의 파지손(96d)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96c)의 기단부는 연결 부재(96b)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파지손(96d)은 각각의 아암(96c)의 선단부에 1개씩 고정되어 있다. 이들 파지손(96d)은 각각 조직 파지용으로 넓게 형성된 파지면(96e)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파지면(96e)은 생체 조직(100)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도록 거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적합하다.
1 쌍의 아암(96c)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아암(96c)은 기단부측, 즉 연결 부재(96b)의 선단부에서 양자의 폭이 좁아져 있지만,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암(96c)은 탄성 변형에 의해 선단부의 폭이 확대 및 축소된다.
이 파지 클램프(96)를 클립 유닛(60)과 마찬가지로, 도입 장치(클립 도입 장치)(10)에 접속하여 처치를 행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클립 유닛(60)을 카트리지(70)[예를 들어, 도10의 (a) 참조]의 내부에 배치한 것과 마찬가지로, 파지 클램프(96)를 카트리지(70)의 내부에 배치해 둔다. 이때, 파지 클램프(96)의 연결 부재(96b)는 카트리지(70)의 연결 부재 수납부(79)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를 통해 맞댐부(81a)에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을 맞댄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31a)를 도입관(20)의 선 단부에 대해 돌출시키고, 연결 부재(96b)의 기단부를 카트리지(70)의 선단부측을 향해 압출한다. 그러면, 파지부(96a)의 1 쌍의 아암(96c)은 점차 개방되고, 연결 부재(96b)가 선단부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파지 클램프(96)의 연결 부재(96b)가 탄성 아암부 직경 확장부(79a)에 배치되고, 연결 부재(96b)의 기단부가 조작 와이어(30)의 결합부(31a)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와이어(30)의 와이어(32)를 손잡이측으로 인입하여 도입관(20)의 내부에 파지 클램프(96)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파지 클램프(96)의 기단부를 결합부(31a)에 결합한 도입관(20)을,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을 삽입 관통시켜 체강 내에 배치한다. 즉, 도입관(20)의 선단부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킨다.
조작 와이어(30)의 와이어(32)를 선단부측으로 이동시키고 파지 클램프(96)를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해 돌출시킨다. 그리고, 파지 클램프(96)를 회전시켜 배향을 맞추고 파지 클램프(96)의 파지손(96d)의 파지면(96e)으로 생체 조직을 파지한다. 이때, 도입관(20)을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의 선단부에 대해 더 돌출시킨다. 그러면, 상대적으로는 파지 클램프(96)의 연결 부재(96b)가 도입관(20)의 내측 구멍으로 인입되고, 1 쌍의 아암(96c)이 도입관(20)의 선단부의 내측 모서리부에 접촉한다. 또한, 파지 클램프(96)가 도입관(20)의 내측 구멍으로 인입되면, 도입관(20)의 선단부의 내측 모서리부에 접촉된 아암(96c)이 탄성 변형되어 양자를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을 향해 서서히 근접시키면서 도입관(20)의 내측 구멍으로 인입된다. 즉, 도입관(20)의 선단부에 의해 1 쌍의 아암(96c)을 폐쇄하는 방향 으로 가이드한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는 파지 클램프(96)의 파지손(96d)이 도입관(20)의 내측 구멍으로 인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손(96d)에 파지면(96e)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파지손(96d)이 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적합하다. 또한, 이와 같은 컵형의 파지손(96d)이 도입관(20)의 내측 구멍에 배치되었을 때, 양 파지손(96d)이 맞추어 대략 알형의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22의 (a) 내지 도22의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클립 도입 장치(10)에 의해 조작되는 처치구는 클립 유닛(60)이나 파지 클램프(96)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22의 (a) 및 도22의 (b)에 도시하는 유치 스네어(98)를 사용 가능하다. 이 유치 스네어(98)는 스네어부(98a)와, 스토퍼(98b)와, 연결 부재(98c)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98c)의 선단부에는 루프형으로 형성된 스네어부(98a)가 고정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98c)의 선단부측이며, 스네어부(98a)의 기단부에는 스토퍼(98b)가 스네어부(98a)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98b)는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축에 관통 구멍(98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98d)에는 스네어부(98a)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이 스토퍼(98b)의 외경은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내경보다도 크고,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98b)는, 예를 들어 PTFE 등의 스네어부(98a)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의 내벽에 대한 슬라이딩성이 높은 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그 단부면의 모서리부는 각각 모따기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로 인해, 이 스토퍼(98b)를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에 맞닿게 하고,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 내를 도입관(20)과 함께 삽입 관통할 때에도 용이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
이 유치 스네어(98)를 클립 유닛(60)이나 파지 클램프(96)와 마찬가지로 도입 장치(클립 도입 장치)에 접속하여 처치를 행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치 스네어(98)를 적당한 형상의 카트리지의 내부에 배치해 둔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스토퍼(98b)를 배출 가능한 직경을 갖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또는, 유치 스네어(98)는 반드시 카트리지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조작 와이어(30)의 선단부의 결합부(31a)를 유치 스네어(98)의 연결 부재(98c)의 기단부에 결합시킨다. 스토퍼(98b)의 기단부를 도입관(20)의 선단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연결 부재(98c)를 도입관(20)의 내측 구멍으로 인입한다. 그리고, 스네어부(98a)를 스토퍼(98b)로부터 제거하지 않을 정도까지 조작 와이어(30)의 와이어(32)를 손잡이측으로 인입하고 도입관(20)의 내부에 유치 스네어(98)의 연결 부재(98c)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유치 스네어(98)의 기단부를 결합부(31a)에 결합한 도입관(20)을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을 삽입 관통시켜 체강 내에 배치한다. 이때, 스토퍼(98b)는 도입관(20)의 외경보다도 작고, 또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의 내벽에 대해 슬라이딩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입관(20)의 선단부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조작 와이어(30)의 와이어(32)를 선단부측으로 이동시켜 유치 스네어(98)의 스네어부(98a) 및 스토퍼(98b)를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해 돌출시킨다. 그리고, 유치 스네어(98)의 스네어부(98a)를 생체 조직(100)의 주위에 배치한다. 즉, 스네어부(98a)를 돌출된 생체 조직(100)에 건다. 그리고, 와이어(32)를 손잡이측으로 당기는 동시에, 도입관(20)을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에 대해 더 돌출시킨다. 그러면, 스토퍼(98b)가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98c)에 고정된 스네어부(98a)의 루프 직경이 좁아진다. 이로 인해, 생체 조직(100)이 긴박된다.
그리고, 유치 스네어(98)를 스네어부(98a)에서 생체 조직(100)을 긴박한 상태에서 도입 장치(10)로부터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와이어(30)를 적극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도입관(20)을 조작 와이어(30)에 대해 인입한다. 그러면, 유치 스네어(98)의 연결 부재(98c)가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해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도입 장치(10)를 전체적으로 손잡이측으로 인장한다. 그렇게 하면, 유치 스네어(98)의 연결 부재(98c)의 탄성 아암부(62e)가 인장력에 견딜 수 없어 탄성력에 의해 개방된다. 따라서, 조작 와이어(30)와 유치 스네어(98)의 결합이 해제되고, 유치 스네어(98)가 생체 조직(100)을 긴박한 상태에서 유치된다.
또한, 처치구는 상술한 클립 유닛(60), 파지 클램프(96) 및 유치 스네어(98)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지금까지, 몇개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행해지는 모든 실시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하기 사항의 발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항의 조합도 가능하다.
[부기]
(부기항 1) 선단부측 코일(22)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24)을 갖는 도입관(20)과,
상기 도입관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30)를 구비하고,
상기 도입관을 반경 10 ㎜ 내지 30 ㎜의 만곡 형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 와이어를 만곡 중심측의 상기 선단부측 코일 및 손잡이측 코일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시켰을 때, 상기 손잡이측 코일은 상기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손잡이측 코일 사이의 접속부의 근방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 코일의 내면과 상기 조작 와이어의 외면과의 간극(d)이 상기 선단부 코일의 허용 응력을 넘는 변형량보다도 작아지는 내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내시경용 도입 장치(10).
(부기항 2) 선단부측 코일(22)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24)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손잡이측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손잡이측 코일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23)를 갖는 도입관(20)과,
상기 도입관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30)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도입관을 반경 10 ㎜ 내지 30 ㎜의 만곡 형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 와이어를 만곡 중심측의 코일 내면을 따라서 배치시켰을 때, 상기 접속 부재 및 손잡이측 코일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접속 부재의 근방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내면과 상기 조작 와이어의 외면과의 간극이 선단부 코일의 허용 응력을 넘는 변형량보다도 작아지는 내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내시경용 도입 장치(10).
(부기항 3) 상기 접속 부재(23)는 선단부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내경이 커지는 내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항 2에 기재의 도입 장치(10).
(부기항 4) 상기 손잡이측 코일(24)의 내면 형상이 선단부측을 향해 직경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내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항 1 혹은 부기항 2에 기재된 도입 장치(10).
(부기항 5) 코일(22, 24)과,
상기 코일 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30)와,
상기 조작 와이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경질 부재(31)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을 반경 10 ㎜ 내지 30 ㎜의 만곡 형상으로 코일을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 와이어를 만곡 중심측의 코일 내면을 따라서 배치시켰을 때,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코일의 내면과 상기 경질 부재의 손잡이측 단부와의 간극이 상기 코일의 허용 응력을 넘는 변형량보다도 작아지는 외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내시경용 도입 장치(10).
(부기항 6) 상기 경질 부재(31)는 최대 외경부로부터 손잡이측을 향해 직경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외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항 5에 기재된 도입 장치(10).
(부기항 7) 상기 연성 내시경용 처치 기구(60)는 클립 도입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항 1 내지 부기항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입 장치(10).
(부기항 8) 선단부측 코일(22)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24)을 갖는 도입관(20)과,
상기 도입관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30)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측 코일은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커지는 내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내시경용 도입 장치(10).
(부기항 9) 선단부측 코일(22)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24)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손잡이측 코일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23)를 갖는 도입관(20)과,
상기 도입관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30)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커지는 내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내시경용 도입 장치(10).
(부기항 10) 도입관(20)과,
상기 도입관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30)와,
상기 조작 와이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경질 부재(31)를 구비하고,
상기 경질 부재는 최대 외경부로부터 손잡이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의 외면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내시경용 도입 장치(10).
(부기항 11) 내시경의 삽입부(90)에 삽입 관통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10)와, 상기 도입 장치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처치구(60)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 시스템이며,
상기 도입 장치는,
시스(20)와,
상기 시스에 삽입 관통되어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그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조작 와이어(30)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처치구를 결합 가능한 결합부(31)와,
상기 시스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조작 와이어의 기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및 그 축 주위의 회전을 조작하는 조작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스의 기단부에 배치된 조작부 본체(41)와,
상기 조작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조작부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42)와,
상기 조작부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 본체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부재(44)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본체는 상기 이동 규제 부재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와이어의 인장력이 가해져 있을 때에 그 인장력을 해방하도록 상기 이동 규제 부재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동 허용부(43a)를 구비하고,
상기 처치구는 상기 도입 장치의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시스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의 인장력이 해방되면 상기 이동 허용부의 내부를 상기 이동 규제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시스의 선단부로의 접촉이 해제되는 연결부(62)를 기단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 시스템.
조작 와이어에 장력이 가해져 있을 때에는, 처치구는 시스의 선단부에 그 장력에 의해 접촉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작 와이어를 회전시켜도 처치구가 회전되기 어렵다. 그러나, 이동 허용부에 의해 조작 와이어의 인장력이 해방되면, 처치구와 시스의 선단부와의 사이의 마찰력이 경감되므로, 조작 와이어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수반하여 용이하게 처치구도 회전된다.
(부기항 12) 상기 이동 규제 부재(44)는 내주가 상기 조작 와이어(30)에 접촉하고, 외주가 상기 이동 허용부(43a)로부터 이격된 O링(4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항 11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 시스템.
이로 인해, 저비용으로 조작 와이어에 장력이 가해져 있을 때에는 처치구의 회전을 방지하고, 장력이 해방되었을 때에는 조작 와이어의 회전에 수반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부기항 13) 내시경의 삽입부(90)에 삽입 관통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10)와, 상기 도입 장치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처치구(60)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 시스템이며,
상기 도입 장치는,
긴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조작 와이어(30)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치구가 결합되는 결합부(31)를 구비하고,
상기 처치구는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62)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조작 와이어의 회전에 수반하는 회전력을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로 전달하는 평면부(31c, 62j)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르면, 외투관으로서 코일을 사용한 연성 내시경용 도입 장치에 있어서, 심한 만곡 형상이고 조작 와이어에 강한 견인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코일 소선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선단부측 코일(22)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24)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 및 상기 손잡이측 코일의 내부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와이어(30)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에 의해 동작되는 처치 기구(60, 96, 98)와,
    상기 손잡이측 코일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그 내경이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서서히 작게 형성된 접속 부재(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3.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에 삽입 관통되는 관형체(20)와,
    이 관형체의 내강에 삽입 관통된 와이어 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체는,
    상기 관형체의 선단부측에 배치된 선단부측 코일(22)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내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24)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손잡이측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손잡이측 코일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23)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와 상기 손잡이측 코일의 선단부와의 내경을 가깝게 하고,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직경 축소되는 서서히 변화된 내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4. 선단부측 코일(22)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손잡이측 코일(24)과,
    상기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손잡이측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부측 코일과 상기 손잡이측 코일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23)와,
    상기 선단부측 코일, 상기 접속 부재 및 상기 손잡이측 코일의 내부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와이어(30)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에 의해 동작되는 처치 기구(60, 96, 98)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서서히 작게 형성된 내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23)의 내경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측 코일(24)의 선단부의 내경은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직경 축소된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7.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에 삽입 관통되는 관형체(20)와,
    이 관형체의 내강에 삽입 관통된 와이어 부재(30)와,
    이 와이어 부재의 선단부에 배치된 처치 기구(60, 96, 98)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체는 코일(22, 24)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코일 내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처치 기구를 동작시키는 조작 와이어(30)와,
    상기 조작 와이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의 외경보다도 적어도 일부가 큰 외경을 갖는 경질 부재(31)를 구비하고,
    상기 경질 부재는,
    상기 경질 부재의 기단부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경질 부재의 기단부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와의 외경을 가깝게 하는 접속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8.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92)에 삽입 관통되는 관형체(20)와,
    상기 관형체의 내부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와이어(30)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와이어에 의해 작동되는 처치 기구(60, 96, 98)와,
    상기 조작 와이어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경질 부재(31)를 구비하고,
    상기 경질 부재(31)는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서서히 작게 형성된 외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31)는 선단부로부터 기단부를 향해 직경 축소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10.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기구(60)는 생체 조직에 클립(61)이 유치되는 클립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11.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기구(96)는 생체 조직을 파지하는 파지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12.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 기구(98)는 생체 조직을 긴박하는 스네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도입 장치.
KR1020067016181A 2004-12-07 2005-11-30 내시경용 도입 장치 KR100815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4617 2004-12-07
JP2004354617A JP2006158668A (ja) 2004-12-07 2004-12-07 内視鏡用処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526A KR20060123526A (ko) 2006-12-01
KR100815378B1 true KR100815378B1 (ko) 2008-03-19

Family

ID=3657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181A KR100815378B1 (ko) 2004-12-07 2005-11-30 내시경용 도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14098B2 (ko)
EP (1) EP1820457A4 (ko)
JP (1) JP2006158668A (ko)
KR (1) KR100815378B1 (ko)
CN (1) CN100493464C (ko)
WO (1) WO20060620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64B1 (ko) 2008-05-28 2010-07-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철 와이어 송출장해 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6128A (ja) * 2005-11-17 2007-06-07 River Seiko:Kk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JP4160608B2 (ja) 2006-08-03 2008-10-0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8162959B2 (en) 2007-05-03 2012-04-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ingle stage hemostasis clipping device
JP5004176B2 (ja) * 2007-07-02 2012-08-22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JP5004175B2 (ja) * 2007-07-02 2012-08-22 有限会社リバー精工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JP5246394B2 (ja) * 2007-11-28 2013-07-2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クリップ、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クリップ装置
JP5246393B2 (ja) * 2007-11-28 2013-07-2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体外回収部品離脱用カートリッジ及び両用カートリッジ
JP5498673B2 (ja) 2008-01-18 2014-05-21 Hoya株式会社 内視鏡の配管接続部及びその製造方法
JP5114224B2 (ja) * 2008-01-23 2013-01-09 Hoya株式会社 内視鏡の配管部材の接続方法
JP4838278B2 (ja) * 2008-03-25 2011-1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連結クリップパッケージおよびクリップ装填方法
JP2010046277A (ja) * 2008-08-21 2010-03-04 Fujifilm Corp クリップパッケージ
JP2010046275A (ja) * 2008-08-21 2010-03-04 Fujifilm Corp クリップパッケージ
US8267869B2 (en) * 2008-12-31 2012-09-18 Manua Kea Technologies Multi-purpose biopsy forceps
JP2010193994A (ja) * 2009-02-24 2010-09-09 Fujifilm Corp クリップパッケージ及び連発式クリップシステム、並びに連発式クリップシステムの誤装填防止機構
JP2010264001A (ja) * 2009-05-13 2010-11-25 Fujifilm Corp 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US9295485B2 (en) 2009-10-09 2016-03-29 Ethicon Endo-Surgery, Inc. Loader for exchanging end effectors in vivo
US20120004647A1 (en) * 2010-07-02 2012-01-05 The University Of Utah Steerable surgical snare and method of use
US20120078291A1 (en) * 2010-09-24 2012-03-29 Nobis Rudolph H Laparoscopic instrument with attachable end effector
CN103930054A (zh) 2011-09-15 2014-07-16 泰利福医疗公司 手动外科结扎夹钳施用器
US9456824B2 (en) 2011-09-15 2016-10-04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Manual surgical ligation clip applier
WO2013108940A1 (ko) 2012-01-18 2013-07-25 Lee Se-Dong 치료용 클립, 클립 유닛 및 클립 장치
US9125681B2 (en) 2012-09-26 2015-09-08 Ethicon Endo-Surgery, Inc. Detachable end effector and loader
US9220496B2 (en) 2012-12-13 2015-12-29 Ethicon Endo-Surgery, Llc Packaging for surgical needle cartridge and suture
US9451937B2 (en) 2013-02-27 2016-09-27 Ethicon Endo-Surgery, Llc Percutaneous instrument with collet locking mechanisms
WO2014181676A1 (ja) * 2013-05-07 2014-11-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WO2015190284A1 (ja) * 2014-06-09 2015-12-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器具
CN104083190B (zh) * 2014-06-18 2018-05-25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医疗手术夹持器械咬合部位表面结构
CN104605910A (zh) * 2015-01-23 2015-05-13 沈阳尚贤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夹合消化道内软组织的软组织夹
JP6794369B2 (ja) * 2015-11-30 2020-12-02 株式会社カネカ 医療用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
US10820903B2 (en) * 2016-09-22 2020-11-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Hemostasis clip with reloadable clipping mechanism
EP3518723B1 (en) * 2016-09-30 2022-10-05 Ambu A/S A set comprising an endoscope and a work tool unit
CA3032053C (en) 2016-11-03 2021-07-1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User actuated reloadable clip cartridge
KR101826446B1 (ko) 2016-12-08 2018-02-06 최원준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
EP3932326A1 (en) 2017-03-20 2022-01-0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traction device and delivery system
KR102115491B1 (ko) * 2017-11-20 2020-05-2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클립장치
CN108158617A (zh) * 2018-01-18 2018-06-15 张建国 内窥镜下使用的手术夹
EP3764918B1 (en) 2018-03-14 2023-08-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traction device and delivery system
CN108703782B (zh) * 2018-07-30 2024-06-25 江苏唯德康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止血夹的手柄组件
CN113164174B (zh) * 2018-12-14 2024-06-14 奥林巴斯株式会社 供给器、医疗设备以及医疗设备的操作方法
WO2020121523A1 (ja) * 2018-12-14 2020-06-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医療機器、および医療機器の装着方法
WO2020136826A1 (ja) * 2018-12-27 2020-07-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機器、および医療機器の装着方法
JP2022518957A (ja) * 2019-02-01 2022-03-17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有する内視鏡用処置具装置
JP7149913B2 (ja) * 2019-09-26 2022-10-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EP3984471A1 (en) 2020-10-16 2022-04-2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Bendable clip device
JP7499169B2 (ja) 2020-12-23 2024-06-13 株式会社カネカ 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クリップと線状物の連結方法
KR102440229B1 (ko) *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609A (ja) * 2000-10-16 2002-07-09 Olympus Optical Co Ltd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4009A (ja) 1986-01-16 1987-07-20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光分配器の製造方法
JP3490135B2 (ja) 1994-03-17 2004-01-26 テルモ株式会社 外科用器具
JP3523712B2 (ja) * 1995-04-13 2004-04-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紮装置
JPH09149905A (ja) 1995-11-30 1997-06-1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JP3441640B2 (ja) 1998-01-16 2003-09-0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の連結機構
JP3790074B2 (ja) 1999-10-26 2006-06-2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マーキング装置
JP4414662B2 (ja) 2003-03-03 2010-02-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密巻コイル及びこの密巻コイルを用いた医療用処置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609A (ja) * 2000-10-16 2002-07-09 Olympus Optical Co Ltd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64B1 (ko) 2008-05-28 2010-07-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철 와이어 송출장해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58668A (ja) 2006-06-22
KR20060123526A (ko) 2006-12-01
EP1820457A1 (en) 2007-08-22
US8114098B2 (en) 2012-02-14
CN1917820A (zh) 2007-02-21
US20060271066A1 (en) 2006-11-30
EP1820457A4 (en) 2013-06-05
WO2006062020A1 (ja) 2006-06-15
CN100493464C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378B1 (ko) 내시경용 도입 장치
JP4700608B2 (ja) 内視鏡用処置具システム、および、処置具が内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KR100832957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KR10088125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US10786254B2 (en) Through the scope tension member release clip
JP5343113B2 (ja) 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結紮装置
US8298249B2 (en) Medical ligating apparatus
EP1982661B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retaining device, and attaching device
WO2018173474A1 (ja) クリップ処置具
US20030009175A1 (en) Cannula interface
US5478350A (en) Rack and pinion actuator handle for endoscopic instruments
US11284904B2 (en) Clip treatment tool
EP2627262B1 (en)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thread
US8777964B2 (en) Suture and ligature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US11141167B2 (en) Clip treatment tool
WO20191401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endoscope relative to suturing system
EP2370017B1 (en) Clip for handling an endoscopic device
JP7520957B2 (ja) 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
CA2194775A1 (en) Track guided end effector assembly
US20240108355A1 (en) Cartridge system, cartridge and method for loading clip unit
WO2024154745A1 (ja) 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22179466A (ja) クリップユニットおよびクリップアプリケ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