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957B1 -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957B1
KR100832957B1 KR1020067023796A KR20067023796A KR100832957B1 KR 100832957 B1 KR100832957 B1 KR 100832957B1 KR 1020067023796 A KR1020067023796 A KR 1020067023796A KR 20067023796 A KR20067023796 A KR 20067023796A KR 100832957 B1 KR100832957 B1 KR 10083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treatment instrument
main body
connecting memb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903A (ko
Inventor
고오 기무라
겐 후지사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9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2Packages or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62Packages or dispensers for MIS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61B2017/0053Loading magazines or sutures into apply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1Details of heads or jaws with releasabl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은 체강 내에의 도입 장치(10)와 처치구(60)와 카트리지(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처치구가 수납되는 처치구 수납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처치구 수납부는 처치구의 연결 부재(62)를 수납하는 연결 부재 수납부(79)와, 처치구 본체(61, 63)를 수납하는 처치구 본체 수납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 수납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기단부의 결합부(62b)에 대한 상기 도입 장치의 접속부(31)의 결합을 방지한다. 처치구 본체 수납부는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의 선단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처치구 본체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에 상기 도입 장치의 상기 접속부를 결합할 때에 그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 허용부(78a)를 구비하고 있다.
도입 장치, 처치구, 카트리지, 연결 부재, 결합 허용부, 클립 아암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ENDO-THERAPY PRODUCT SYSTEM AND CARTRIDGE INCLUDING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생검 겸자(生檢 鉗子)나 클립 도입 장치 등, 연성의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260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3646호 공보에는, 클립 도입 장치(도입 장치), 클립 유닛(처치구) 및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도32의 (A) 및 도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71) 및 하부 케이스(172)를 갖는 카트리지(170)에 내포된 클립 유닛(160)은, 클립 도입 장치(110)에 접속 가능하다. 이 도입 장치(110)는 도입관(120)과, 이 도입관(120)의 내강에 그 축 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한 와이어 부재(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와이어 부재(130)의 선단부의 훅부(접속부)(131)는 클립 유닛(160)의 기단부의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아암부(162k)에 결합 가능하다.
이 경우, 도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70)의 클립 유닛 수납부(173)의 기단부에는, 탄성 아암부(162k)가 확대 개방 가능한 스페이스(186)가 형 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3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부(131)가 탄성 아암부(162k)의 기단부에 접촉되면, 탄성 아암부(162k)가 확대 개방하여, 훅부(131)가 탄성 아암부(162k)에 유지된다.
상술한 클립 유닛용의 카트리지(170)에서는, 클립 유닛(160)의 연결 부재의 아암부(162k)를 확대 개방 가능하게 하기 위해, 클립 유닛(160)의 연결 부재(162)와 카트리지(170) 사이에 스페이스(186)가 확보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연결 부재(162)에 훅부(접속부)(131)를 압입할 때에 훅부(131)의 축 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170)에 내포된 클립 유닛(160)의 아암부(162k)의 축 방향이 구부러져 있으면, 훅부(131)가 연결 부재(162)의 탄성 아암부(162k)의 중심축에 대하여 외측으로 벗어난 상태로 배치되는 등, 능숙하게 결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클립 유닛(160)이 연결 부재(162)에 대하여 확실하게 결합되지 않을 경우,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160)이 훅부(131)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처치구의 연결 부재와 도입 장치를 확실하게 결합 가능하게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를 도입 장치에 확실하게 결합 가능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은 도입 장치와, 처치구와,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다. 도입 장치는 내시경의 채널 내로 삽입 통과 가능한 관 형상 부재와, 이 관 형상 부재의 내강에 상기 관 형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삽입 통과된 와이어와, 이 와이어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의 선단부에 대하여 돌출 및 인입 가능한 접속부를 갖는다. 처치구는 상기 접속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기단부에 갖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처치구 본체를 갖는다. 카트리지는 상기 처치구가 수납되어, 상기 접속부와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킬 때에 사용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처치구가 수납되는 처치구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처치구 수납부는 연결 부재 수납부와, 처치구 본체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 수납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도입 장치의 상기 접속부의 결합을 방지한다. 처치구 본체 수납부는,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의 선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치구 본체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에 상기 도입 장치의 상기 접속부를 결합할 때에 그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 허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어, 체강 내에 도입되는 도입 장치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기단부에 갖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된 처치구 본체를 포함하는 처치구를 수납한다. 카트리지는, 상기 처치구가 수납되는 처치구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처치구 수납부는 연결 부재 수납부와 처치구 본체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 수납부는, 상기 처치구 수납부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처치구의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도입 장치의 선단부의 결합을 방지하는 상태로 상기 결합부를 유지한다. 처치구 본체 수납부는, 상기 도입 장치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부가 결합될 때에 힘이 가해져 상기 결합부가 상기 처치구 수납부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도입 장치의 선단부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 허용부를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의 선단부 측에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2의 (A)는 클립 도입 장치의 선단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2의 (B)는 클립 도입 장치의 기단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선단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5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 와이어의 기단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5의 (B)는 도5의 (A) 중의 5B-5B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슬라이더의 제1 슬라이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8의 (A)는 일 실시예에 관한 클립 유닛에 있어서의 클립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8의 (B)는 도8의 (A) 중의 루프부의 근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9의 (A) 및 도9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9의 (C)는 도9의 (B) 중의 화살표 9C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0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에 있어서의 누름 관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10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에 있어서의 누름 관의 선단부관과 누름 관 본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10의 (C)는 도10의 (B) 중의 화살표 10C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1의 (A) 및 도11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12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을 클립 도입 장치에 장전할 때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12의 (B)는 도12의 (A) 중의 직경 축소부 근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3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에 클립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13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에 클립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13의 (C)는 도13의 (B) 중의 13C-13C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13의 (D)는 도13의 (B) 중의 13D -13D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4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내포된 카트리지가 멸균 팩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이며, 도14의 (B)는 도14의 (A)의 측면도이다.
도15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15의 (B)는 도15의 (A)의 측면도이며, 도15의 (C)는 멸균 팩의 멸균지가 압착부의 원호부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15의 (D)는 도15의 (C)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압착부의 파열 돌기로 멸균지에 구멍을 마련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를 멸균 팩으로부터 꺼내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도입관을 클립 유닛이 배치된 카트리지에 삽입해서 카트리지에 도입관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8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도입관의 선단부 칩을 카트리지의 선단부 칩 충돌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의 훅부의 선단부를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18의 (B)는 도18의 (A) 중의 18B-18B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18의 (C)는 도18의 (A) 중의 18C-18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9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와 클립 유닛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19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와 클립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입관을 카트리지로부터 당겨 빼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19의 (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와 클립 유닛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입관의 내부에 클립 유닛을 인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2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에 삽입 통과시키고, 또한 삽입부를 만곡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1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에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도입관의 선단부로부터 클립 유닛을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21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에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도입관의 선단부에 클립 유닛의 돌몰 윙을 걸리게 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21의 (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에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도입관의 선단부에 클립 유닛의 돌몰 윙을 걸리게 한 상태에서, 클립을 클립 도입 장치의 손잡이 측에 인입하여, 클립을 최대로 개각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22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도입 장치를, 내시경의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에 삽입 통과시켜, 도입관의 선단부에 클 립 유닛의 돌몰 윙을 배치하고, 클립을 클립 도입 장치의 손잡이 측에 인입하여, 클립을 최대로 개각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의 손잡이 측의 조작부 본체의 회전 그립을 회전시켜서, 클립 유닛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22의 (B)는 도22의 (A) 중의 22B-22B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3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의 클립의 다리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23의 (B)는 도23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를 파단시켜, 클립 유닛을 클립 도입 장치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4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의 클립의 다리부를 폐쇄하고, 상하 방향으로 폭이 넓은 생체 조직을 클립으로 클립핑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24의 (B)는 도24의 (A) 중의 24B-24B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24의 (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의 클립의 다리부를 폐쇄하고, 상하 방향의 폭이 좁은 생체 조직을 클립으로 클립핑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24의 (D)는 도24의 (C) 중의 24C-24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2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훅부에 나머지 연결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다시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의 기단부에 그 나머지 연결 부재의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6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을 클립 도입 장치에 장전할 때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26의 (B)는 도26의 (A) 중의 직경 축소부 근방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7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27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에 클립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8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에 클립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28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도입관의 선단부 칩을 카트리지의 선단부 칩 충돌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의 훅부의 선단부를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29의 (A)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도입관의 선단부 칩을 카트리지의 선단부 칩 충돌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의 훅부의 선단부를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29의 (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도입관의 선단부 칩을 카트리지의 선단부 칩 충돌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의 훅부의 선단부를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에 접촉시켜서 클립 유닛을 카트리지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30의 (A) 및 도30의 (B)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파지 겸자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30의 (C)는 파지 겸자를 도입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31의 (A) 및 도31의 (B)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유치(留置) 스네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31의 (C)는 유치 스네어를 도입 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32의 (A)는 종래의 기술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도입관의 선단부 칩을 카트리지의 선단부 칩 충돌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클립 도입 장치의 훅부의 선단부를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32의 (B)는 도32의 (A) 중의 32B-32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33은 종래의 기술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의 훅부에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생체 조직을 클립핑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은, 클립 도입 장치(10)(도1 내지 도6 참조)와, 클립 유닛(60)[도7 내지 도11의 (B) 참조]과, 카트리지(70)[도12의 (A) 내지 도14의 (B) 참조]와, 내시경(도20 참조)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우선, 도1 내지 도6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체강 내에의 도입 장치(조작 장치)인 클립 도입 장치(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클립 도입 장치(10)는 도입관(20)과 조작 와이어(와이어 부재)(30)와 조작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립 도입 장치(10)는, 예를 들어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도20 참조)에 삽입 통과되는 등, 내시경과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로 인해 도입관(20)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을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관(20)은, 내시경의 삽입부의 만곡에 맞추어 만곡하도록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2의 (A), 도2의 (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관(20)은 선단부 칩(21)과 선단부 측 코일(22)과 코일 접속 파이프(23)와 손잡이 측 코일(24)과 코일 받침 파이프(25)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 측 코일(22)은 도입관(20)의 선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선단부 칩(21)은 선단부 측 코일(22)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 칩(21)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재에 의해 내부 직경이 2 ㎜ 정도, 외부 직경이 2 ㎜ 내지 3 ㎜ 정도인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작 와이어(30)의 후술하는 화살촉 훅부(31)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선단부 칩(21)의 일단부인 도입관(20)의 선단부는, 매끄럽게 라운딩되어 있다.
선단부 측 코일(22)은 스테인리스 강재의 평선이 밀 권취의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22)의 내부 직경은 2 ㎜ 정도, 외부 직경은 2.5 ㎜ 내지 3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접속 파이프(23)는 선단부 측 코일(22)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접속 파이프(23)는, 스테인리스 강재에 의해 축 길이가 짧은 대략 파이프 형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 측 코일(22)의 기단부와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선단부와의 사이는,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23)의 내부 직경 및 외부 직경은, 선단부 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파이프(23)의 선단부는 기단부에 비해 내부 직경 및 외부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선단부의 내부 직경은 2 ㎜ 정도, 외부 직경은 2.5 ㎜ 내지 3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파이프(23)의 기단부의 내부 직경은 1 ㎜ 정도, 외부 직경은 2 ㎜ 내지 2.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코일 접속 파이프(23)는 조작 와이어(30)의 후술하는 화살촉 훅부(31)를 선단부 측에 배치하고, 소정의 위치로부터 기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손잡이 측 코일(24)은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 측 코일(24)은, 스테인리스 강재로 된 와이어가 밀 권취의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서 전체적으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접속 파이프(23)의 기단부와 손잡이 측 코일(24)의 선단부와의 사이는,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코일(24)의 내부 직경은 1 ㎜ 정도, 외부 직경은 2 ㎜ 내지 2.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2의 (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받침 파이프(25)는 손잡이 측 코일(24)의 기단부의 일부를 덮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받침 파이프(25)는, 스테인리스 강재로 된 대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 받침 파이프(25)의 기단부는 조작부(40)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파이 프(25)의 내부 직경은 손잡이 측 코일(24)의 외부 직경에 따르도록 형성되고, 외부 직경은 2 ㎜ 내지 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2의 (A) 및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는 화살촉 훅부(접속부)(31)와 와이어(32)와 조작 파이프(33)와 와이어 받침 파이프(34)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31)는 클립 유닛(60)(도7 참조)을 걸어 두기 위해 사용된다. 즉, 훅부(31)는 클립 유닛(60)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부(31)는 선단부 측이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훅부(3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재 등의 금속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훅부(31)는, 클립 유닛(60)을 걸어 두어 결합하는 대략 원뿔 형상의 결합부(31a)와, 이 결합부(31a)의 기단부에 설치된 와이어 접속부(3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와이어 접속부(31b)는 선단부 측으로부터 기단부 측을 향해 직경 축소하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31a)의 원뿔 위의 기단부의 측부에는, 복수의 평면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부(31a)의 선단부의 횡단면은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단부의 횡단면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22의 (B) 참조]. 이로 인해, 결합부(31a)는 전체적으로 화살촉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기단부와 와이어 접속부(31b)의 선단부와의 사이는, 서로의 중심축 위에 배치된 축부(31d)에 의해 간격이 생기게 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32)의 선단부는 와이어 접속부(31b)의 기단부에,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와이어(32)의 선단부에는 훅부(31)가 고정되어 있다. 이 와이어(32)는 도입관(20)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와이어(32)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재 등의 금속으로 된 단선 와이어가 예를 들어 19개가 서로 꼬여져 형성되어 있다.
도3 및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32)의 기단부에는, 조작 파이프(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파이프(33)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재 등의 금속재에 의한 얇은 파이프(두께 0.1 ㎜ 정도)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파이프(33)는, 와이어 받침 파이프(34)와 함께 와이어(32)의 기단부에서 코오킹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33)는, 후술하는 슬라이더(42)의 이동 스트로크보다도 길이가 길어, 와이어(32)의 기단부를 피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2의 (B) 및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파이프(33)의 기단부에는 와이어 받침 파이프(34)가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받침 파이프(34)는, 예를 들어 금속재에 의해 두꺼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파이프(34)는, 조작 파이프(33)의 기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파이프(34)는 조작 파이프(33)와 함께 코오킹되어 와이어(32)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34)의 외주면은, 코오킹에 의해 편평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2의 (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40)는 조작부 본체(41)와 슬라이더(42)와 가이드 파이프(43)와 O링(44)과 와셔(45)와 접힘 방지 받침부(46)과 접힘 방지부(47)과 섬 링(48)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본체(41)는, 예를 들어 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는 슬라이더(42)를 받치는 슬릿부(41a)와, 본체(41)의 전체를 본체(41)의 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그립(41b)을 외주면에 구비하고 있다. 회전 그립(41b)은 본체(41)의 선단부 측에 형성되고, 슬릿부(41a)는 본체(41)의 기단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부(41a)는 본체(41)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의 기단부에는 섬 링(48)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41c)에는 섬 링(48)이 본체(41)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장착부(41c)와 섬 링(48)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의 중심축 위에는 단차를 갖고, 선단부에서 내부 직경이 크고, 기단부에서 선단부에 비해 내부 직경이 작은 구멍(4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41d)은 본체(41)의 기단부에서 폐색되어 있다. 본체(41)의 구멍(41d)의 선단부에는, 손잡이 측 코일(24)의 기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 측 코일(24)의 기단부의 외주면에서, 코일 받침 파이프(25)의 선단부에는 접힘 방지 받침부(4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접힘 방지 받침부(46)의 외주면에는, 접힘 방지부(4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접힘 방지부(47)의 기단부의 외주면은, 본체(41)의 구멍(41d)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파이프(43)는, 상술한 본체(41)의 구멍(41d)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가이드 파이프(43)는 본체(41)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파이프(43)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재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파이프(43)는, O링(44)이 수납되는 O링 수납부(43a)와, 손잡이 측 코일(24)의 기단부가 삽입되는 코일 삽입부(43b)를 구비하고 있다. O링(44)은 O링 수납부(43a) 안에 배치되어, 조작 파이프(33)의 외부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내부 직경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O링(44)의 내주면은, 조작 파이프(3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O링 수납부(43a)는 가이드 파이프(43)의 기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O링 수납부(43a)는 가이드 파이프(43)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 O링 수납부(43a)는, O링(44)의 외부 직경보다도 크고, 가이드 파이프(43)의 외부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O링 수납부(43a)는, O링(44)이, 예를 들어 2 ㎜ 내지 6 ㎜의 범위 내에서 가이드 파이프(43)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셔(45)는 가이드 파이프(43)의 기단부에서, O링 수납부(43a)에 기단부 측으로부터 덮개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와셔(45)는 조작 파이프(33)의 외부 직경보다도 약간 큰 내부 직경과, 가이드 파이프(43)와 대략 같은 외부 직경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O링(44)은 와셔(45)에 접촉되는 상태와, 와셔(45)에 대하여 떨어져서, O링 수납부(43a)의 선단부에 접촉되는 상태와의 사이의 범위 내를 조작 파이프(33)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42)는 와이어 받침 누름으로서의 제1 슬라이드 부재(51)와, 이 제1 슬라이드 부재(51)에 결합된 제2 슬라이드 부재(5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51)는 와이어(32)의 기단부에 배치된 와이어 받침 파이프(34)[도5의 (A) 및 도5의 (B) 참조]를 고정하기 위해 한 쌍 배치되어 있다. 도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제1 슬라이드 부재(51)는 절반 링(51a)과, 노출부(51b)와, 결합부(51c)와, 다리부(51d, 51e)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 슬라이드 부재(51)는, 예를 들어 녹색 등에 착색한 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절반 링(51a)은 절반 도넛형으로 형성되고, 제2 슬라이드 부재(52)의 기단부에 결합된다. 이 절반 링(51a)은, 본체(41)의 기단부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절반 링(51a)의 기단부에는, 돌기부(51g)가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51b)는 절반 링(51a)으로부터 선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노출부(51b)는 제2 슬라이드 부재(52)와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손가락이 놓여지도록 외표면이 노출되어 있다. 결합부(51c)는 노출부(51b)의 선단부에서, 선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결합부(51c)의 선단부에는, 제2 슬라이드 부재(52)와 결합하는 걸림부(51h)가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걸림부(51h)는 제2 슬라이드 부재(52)와 결합된다. 또한, 걸림부(51h)는 슬릿부(41a)에 대하여 슬라이더(42)를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2 슬라이드 부재(52)를 받친다. 즉, 걸림부(51h)에는 슬라이더(42)를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힘이 가해진다.
노출부(51b)와 결합부(51c)와의 사이에는, 제2 슬라이드 부재(52)로부터의 힘을 받치는 받침부(51i)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받침부(51i)는 슬릿부(41a)에 대하여 슬라이더(42)를 손잡이 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2 슬라이드 부재(52)를 받친다. 다리부(51d, 51e)는 노출부(51b)로부터 본체(41)의 슬릿부(41a)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들 다리부(51d, 51c)는 슬릿부(41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이들 다리부(51d, 51c) 사이에는, 와이어 받침 파이프(34)를 사이 에 두고 고정하는 고정부(51j)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51j)에 의해 와이어 받침 파이프(34)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리부(51d, 51e)가 이동하면, 그에 수반하여 와이어 받침 파이프(34)도 이동한다.
본체(41)에 대하여 선단부 측의 다리부(51d)의 선단부면에는, 본체(41)의 슬릿부(41a)의 선단부에 접촉되는 슬릿 덧댐면(51m)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41)에 대하여 기단부 측의 다리부(51e)의 기단부면에는, 슬릿부(41a)의 기단부에 접촉되는 슬릿 덧댐면(51n)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 덧댐면(51m, 51n)은 슬릿부(41a)에 대한 슬라이더(42)의 이동량을 규정한다.
제2 슬라이드 부재(52)는, 손가락 걸이부(52a)와 슬릿부(52b)와 슬릿 단부(52c)와 단차부(52d)를 구비하고 있다. 손가락 걸이부(52a)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 측의 손가락 걸이부(52a)와 기단부 측의 손가락 걸이부(52a) 사이에는, 노출부(51b)가 배치되는 슬릿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노출부(51b)와, 제2 슬라이드 부재(52)의 슬릿부(52b)가 끼워 맞추어져 제2 슬라이드 부재(52)와 노출부(51b)와의 외주면이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릿부(52b)에는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다리부(51d, 51e)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부(52b)의 선단부 측의 슬릿 단부(52c)는,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결합부(51c)의 기단부의 받침부(51i)에 접촉되어 있다.
슬릿 단부(52c)보다도 선단부 측에는, 단차부(5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52d)는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결합부(51c)의 선단부의 걸림부(51h)에 접촉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슬라이드 부재(51)와 제2 슬라이드 부재(52)가 끼워 맞추어진 슬라이더(42)는 본체(41)의 슬릿부(41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접힘 방지 받침부(46)는 본체(41)의 구멍(41d)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접힘 방지 받침부(46)는, 손잡이 측 코일(24)의 외부 직경보다도 크고, 코일 받침 파이프(25)의 외부 직경보다도 작은 내부 직경을 구비하고 있다. 접힘 방지 받침부(46)의 선단부 측 외부 직경부에는, 접힘 방지부(47)을 비틀어 넣어서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부(46a)를 구비하고 있다.
접힘 방지부(47)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재로 된 단선 와이어가 선단부 측이 성기고 손잡이 측이 밀한 코일형으로 가공되어 있다. 이 접힘 방지부(47)의 기단부의 내주면은, 접힘 방지 받침부(46)의 나사부(46a)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접힘 방지부(47)의 외주면은, 본체(41)의 선단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다음에, 도7 내지 도11의 (B)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치 기구(처치구)로서의 대략 Y자형의 클립 유닛(6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립 도입 장치(10)의 와이어(32)의 선단부의 훅부(31)에는, 클립 유닛(60)을 장전 가능하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은 연결 부재(62)와, 처치구 본체를 이루는 클립(61) 및 체결 부재로서의 누름 관(63)을 구비하고 있다.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재 등에 의한 판 스프링재 등의 금속으로 된 널빤지를 중앙부에서 절곡하여 루프부(기초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61)은 루프부(61a)의 근방 위치에서 교차시킨 다음, 확대 개방 습성을 갖는 한 쌍의 아암(클립 아암)(61b)을 각각 선단부가 이격하 는 상태로 연장시키고 있다. 이 클립(61)의 선단부에는, 조직 파지부(클립 갈고리)(61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아암(61b)의 선단부 간의 거리는, 예를 들어 8 ㎜ 내지 9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61)의 아암(61b)의 교차부는 선단부 측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 조직 파지부(61c)가 서로 대향한다. 아암(61b)의 루프부(61a)의 근방에는, 판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톱날형의 돌기(61d)가 형성되어 있다.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61d)는 조직 파지부(61c) 측은 예각인 경사면, 루프부(61a) 측은 둔각인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61)을 누름 관(63)으로 인입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누름 관(63)의 내면을 미끄럼 이동하지만, 인입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누름 관(63)의 내면에 파고 든다.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 파지부(61c)는 서로 대향하도록, 내측을 향해서 대략 90도에서 150도 정도로 절곡되어 있다. 조직 파지부(61c) 중 한쪽은, 대략 삼각형의 볼록부(61f)가 형성되어 있다. 조직 파지부(61c) 중 다른 쪽은, 볼록부(611)와 맞물리는 대략 삼각형의 오목부(61g)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62)는,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나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등의 고강도의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62)는, 예를 들어 백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도9의 (A) 및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2)는 누름 관(63)의 내공에 삽입되는 삽입부(62a)와, 이 삽입부(62a)의 기단부에 설치된 연결부(62b)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62b)는, 도입 장치(10)의 화살촉 훅부(31)가 결합(연결)되는 결합부이다.
삽입부(62a)는 연결 부재(62)가 누름 관(63)의 내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누름 관(63)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62c)를 선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부(62c)는 대략 원기둥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62c)에는, 축 방향으로 긴 편평한 타원 형상의 돌기부(62d)가 형성되어 있다.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돌기부(62d)는 돌출부(62c)로부터 대략 부채형의 기둥형부가 예를 들어 깎이고 남은 부분이다.
돌출부(62c)의 기단부에는, 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가는 직경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는 직경부(62e)의 기단부에는, 대략 원뿔형의 원뿔부(621)가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62c)와 원뿔부(62f)와의 사이의 가는 직경부(62c)에는, 클립(61)의 루프부(61a)를 걸어 둘 수 있다. 가는 직경부(62c)는 그 클립(61)에 의해 돌출부(62c)에 대하여, 예를 들어 20N(뉴턴)으로부터 60N의 인장에 의한 파단역량이 가해졌을 때에 파단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원뿔부(621)는 선단부 측이 대직경이고, 기단부 측이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원뿔부(62f)의 선단부의 측부의 일부에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한 쌍의 하면부(62g)가 형성되어 있다.
원뿔부(62f)의 기단부에는, 기단부 측보다도 대직경의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원기둥부(62h)가 배치되어 있다. 이 원기둥부(62h)의 측부에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한 쌍의 평면부(62i)가 형성되어 있다.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뿔부(621)의 평면부(62g)와 원기둥부(62h)의 평면부(62i)라 함은, 가는 직경부(62e)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어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평면부(62g, 62i)는 누름 관(63)의 기단부의 후술하는 누름 관 본체(63a)의 기단부의 내주면의 평행면(631)에 합치하는 형상이다.
원기둥부(62h)의 평면부(62i)의 측부에는, 한 쌍의 걸림 돌기(62j)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뿔부(62f)의 선단부의 최대 외부 직경 및 원기둥부(62h)의 외부 직경은, 누름 관(63)의 내주면과 밀하게 끼워 맞추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원기둥부(62h)의 걸림 돌기(62j)는, 누름 관(63)의 내부 직경의 크기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걸림 돌기(62j)는 누름 관(63)의 기단부에 접촉된다[도11의 (A) 참조].
도9의 (A) 및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62b)는 삽입부(62a)의 원기둥부(62h)의 기단부에,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탄성 아암부(접속 아암부)(62k)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탄성 아암부(62k)는 원기둥부(62h)의 기단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 가능이다. 즉, 이들 탄성 아암부(62k)는 서로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다. 또한,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의 내주면에는, 화살촉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선단부가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에 접촉되었을 때에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선단부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테이퍼부(62n)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탄성 아암부(62k) 사이에는, 화살촉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를 쥐고 수납하는 절결부(62m)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62m)는 화살촉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절결부(62m)는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평면부(31c)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절결부(62m)의 내면에는 각각 평면부(621)[도22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621)는 상술한 화살촉 훅부(31)(도4 참조)의 선단부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평면부(31c)를 협지한다. 또한, 상술한 탄성 아암부(62k)는 절결부(62m)의 기단부에 설치되고, 훅부(31)의 축부(31d)를 협지한다.
도10의 (A) 및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관(63)은 누름 관 본체(63a)와, 이 누름 관 본체(63a)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선단부관(63b)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 관 본체(63a)는, 클립(61)보다도 부드러운 재질, 예를 들어 PPA(폴리프탈아미드), PA(폴리아미드) 등의 적절한 탄성을 갖는 고강성의 수지재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이 누름 관 본체(63a)는, 예를 들어 청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한편, 선단부관(63b)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재 등의 고강도의 금속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10의 (A) 및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관(63b)의 선단부의 외부 직경은 기단부 측에 대하여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부관(63b)의 최대 외부 직경은 누름 관 본체(63a)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관(63b)에는 그 내부 직경이, 최소 내부 직경부(63c)의 선단부로부터 선단부관(63b)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대직경이 되는 내부 직경 경사부(6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부관(63b)의 기단부에는, 누름 관 본체(63a)의 후술하는 끼워 맞춤부(63f)가 끼워 맞추어지는 직경으로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63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단부관(63b)의 내부 직경은 1 ㎜ 내지 2 ㎜ 정도이다.
누름 관 본체(63a)는, 선단부관(63b)의 기단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63f)를 구비하고 있다. 이 끼워 맞춤부(63f)는, 최대 외부 직경부에 대하여 외부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 직경은, 선단부 측이 약간 대직경으로 형성되고, 후단측의 내부 직경과의 사이에 내부 직경 단차부(63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직경 단차부(63g)의 외측에는, 한 쌍의 돌몰 윙(63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몰 윙(63h)은 누름 관 본체(63a)의 끼워 맞춤부(63f)의 기단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함으로써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에 대하여 돌몰 가능이다. 이들 돌몰 윙(63h)은 돌출 상태에서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내부 직경보다도 큰 외부 직경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돌몰 윙(63h)은 몰 상태에서 누름 관(63)의 선단부관(63b)의 외부 직경과 대략 동일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 직경은, 1 ㎜ 내지 2 ㎜ 정도이다. 또한, 누름 관 본체(63a)의 기단부의 외부 직경은,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내부 직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누름 관 본체(63a)의 기단부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부(63i)가 형성되어 있다. 도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누름 관 본체(63a)의 기단부의 내주면은, 2개의 반원면(63k)과, 2개의 평행면(631)에 의해 형성된 타원형 구멍(63j)을 구비하고 있다. 이 타원형 구멍(63j)을 구성하는 평행면(631)의 평행 축과, 한 쌍의 돌몰 윙(63h)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에 의해 이루는 각도는 90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연결 부재(62)와 누름 관(63)의 누름 관 본체(63a)는,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연결 부재(62)와 누름 관(63)의 누름 관 본체(63a)와의 경계 부분이 명확하게 인식된다.
다음에, 클립(61)과 연결 부재(62)와 누름 관(63)을 조립하는 클립 유닛(60)의 조립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관(63)의 누름 관 본체(63a)의 기단부로부터 연결 부재(62)를 삽입하고, 연결 부재(62)의 돌출부(62c)를 누름 관(63)의 선단부관(63b)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연결 부재(62)의 돌출부(62c)의 돌기부(62d)에 클립(61)의 루프부(61a)를 걸어 두면, 클립(61)과 연결 부재(62)가 결합된다.
다음에,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를 누름 관(63)에 대하여 손잡이 측으로 가볍게 인장하면, 클립(61)의 루프부(61a)가 누름 관(63)의 선단부관(63b)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연결 부재(62)의 걸림 돌기(62j)가 누름 관 본체(63a)의 기단부면에 접촉되어, 클립(61), 연결 부재(62) 및 누름 관(63)이 서로 결합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도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를 누름 관(63)에 대하여 다시 손잡이 측으로 당기면, 클립(61)의 루프부(61a)가 누름 관(63)의 금속재로 된 선단부관(63b)의 내부 직경 경사부(63d)를 통과시켜서 최소 내부 직경부(63c)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내부에 인입된다. 그렇게 하면, 도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 립(61)의 루프부(61a)가 누름 관(63)의 선단부관(63b)이나 누름 관 본체(63a)에 의해 압괘되므로, 일단 아암(61b)이 개각한다.
도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를 다시 손잡이 측으로 인장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클립(61)의 돌기(61d)가 누름 관(63)의 내부 직경 단차부(63g)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누름 관(63) 안으로의 인입이 저지된다. 따라서, 클립(61)의 아암(61b)은 최대 개각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를 누름 관(63)에 대하여 다시 손잡이 측으로 인장하면, 클립(61)의 돌기(61d)가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 직경 단차부(63g)를 타고 넘어서 클립(61)이 누름 관(63)의 내부로 다시 인입된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아암(61b)이 누름 관(63)의 선단부관(63b)의 내부 직경 경사부(63d)를 통과해 최소 내부 직경부(63c)에 도달하여 폐각된다.
이때, 누름 관 본체(63a)는 클립(61)보다 부드러운 적절한 탄성을 갖는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돌기(61d)는 누름 관 본체(63a)의 내벽에 파고 들어 구속되어, 클립(61)이 누름 관(63)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클립(61)의 아암(61b)은, 폐각 상태로 유지된다.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의 돌기(61d)는 루프부(61a)의 판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톱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61)은 체결 측[아암(61b)의 폐각 방향]으로는 가볍게 움직이지만, 클립(61)은 복귀 측[아암(61b)의 개각 방향]으로는 돌기(61d)가 누름 관 본체(63a)의 내벽에 파고들게 되므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클립 유닛(60)은, 도12의 (A) 및 도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의 클립 도입 장치(10)에의 장전(장착)을 쉽게 하기 위해 카트리지(클립 케이스)(70)에 내포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다음에 도12의 (A) 내지 도13의 (D)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치 기구로서의 카트리지(클립 케이스)(7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2의 (A) 및 도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을 수납하는 카트리지(70)는 서로 동일 형상을 갖는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는, 예를 들어 ABS, PC, PP, PS, 아크릴,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등, 적절한 경도가 있으며, 또한 투명한 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어 있다. 투명한 수지재인 것은, 클립 유닛(60)이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들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는, 각각 투명한 적색이나 황색, 청색, 녹색 등, 적당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도 적합하다. 이들의 색은, 클립 유닛(60)의 종류나, 클립 유닛(60)을 대신하는 처치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당하게 선택된다. 또한, 카트리지(70)의 폭은 10 ㎜ 내지 20 ㎜ 정도, 길이는 50 ㎜ 정도, 두께는 5 ㎜ 정도로, 손으로 들기 쉬운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클립 유닛(60)이 수납되는 클립 유닛 수납부(처치구 수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에는 압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74)는 예를 들어 20 ㎜ 사방 정도로, 손가락으로 쥐는 데 알맞은 크기이다. 또한, 압 착부(74)의 기단부에는 후술하는 멸균 팩(90)의 블리스터(90b)를 깰 때에 사용되는 파열 돌기(74a)가 형성되어 있다.
도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 수납부(73)와 압착부(74)와의 연결부(73a)로부터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의 압착부(74)가 서로에 대하여 이격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의 양방의 압착부(74)의 상호간에는, 간격(74b)이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74)의 외면에는, 압착 시의 미끄럼 방지로서 예를 들어 반구형의 복수 개의 오목부(74c)가 형성되어 있다.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에 있어서의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내면에는, 3개의 결합 갈고리(75a)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3개의 결합 구멍(75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71)의 결합 갈고리(75a)는 하부 케이스(72)의 결합 구멍(75b)에 결합하고, 하부 케이스(72)의 결합 갈고리(75a)는 상부 케이스(71)의 결합 구멍(75b)에 결합한다. 이로 인해,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가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는, 서로 동일 형상이므로 한쪽인 하부 케이스(72)에 대해 대표로 설명한다.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 수납부(73)는 대략 Y자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클립 본체 수납부(처치구 본체 수납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립 본체 수납부(76)는, 클립 수납부(77)와, 이 클립 수납부(77)의 기단부에 설치된 누름 관 수납부(체결 부재 수납부)(78)를 구비하고 있다.
클립 수납부(77)에는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이, 아암(61b)이 개각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 클립 수납부(77)의 선단부에는,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의 조직 파지부(61c)가 접촉되는 테이퍼면(7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77a)에는, 카트리지(70)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굴곡부(77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카트리지(70)의 중심축으로부터 굴곡부(77b)까지의 중심축에 대한 각도 α쪽이, 굴곡부(77b)로부터 테이퍼면(77a)의 단부까지의 중심축에 대한 각도 β에 대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퍼면(77a)의 마찰 계수를 동일하게 하면, 중심축으로부터 굴곡부(77b)까지를 이동시키는 쪽이, 굴곡부(77b)로부터 테이퍼면(77a)의 단부까지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의 조직 파지부(61c)를 미끄러지기 쉽게 형성되어 있다.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의 개각량은, 클립(61)의 선단부의 조직 파지부(61c)가 통상은 테이퍼면(77a)의 굴곡부(77b)에 접촉되는 상태이다. 이 테이퍼면(77a)에 의해,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의 선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개폐된다.
이 클립 수납부(77)의 기단부에는, 아암 축소부(77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 축소부(77c)는 클립(61)의 아암(61b)의 개각량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선단부 측의 테이퍼면(77a)과는 반대로, 클립(61)의 아암(61b)의 개각량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클립 수납부(77)의 기단부에는, 원호 홈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은 누름 관(63)을 수납하는 누름 관 수납부(고정 부재 수납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 관 수납부(78)는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의 개폐를 허용하는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와,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를 구비하고 있다.
도1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는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가 탄성적으로 넓혀지는(개폐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폐 허용부이다. 이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의 횡단면 형상은,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가 결합된 상태에서 대략 타원 형상이다. 이로 인해,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는 클립 도입 장치(10)의 화살촉 훅부(31)와,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가 결합할 때에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를 소정의 방향으로 개폐하도록 변형 가능하다. 즉,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는 탄성 아암부(62k)의 결합 허용부이다. 이로 인해,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는 직경 확대부(78a)에 의해, 확대(개폐)가 허용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의 기단부에는,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을 누름 관 본체(63a)에 대하여 돌출시키거나, 누름 관 본체(63a)에 수납하거나 하는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가 형성되어 있다.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에는 테이퍼면(78c)과, 이 테이퍼면(78c)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수직면(78d)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78c)은 1/4 원주형으로, 대략 테이퍼형(나팔형)으로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직경 확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누름 관(63)이 선단부 측으로부터 기단부 측을 향해 미끄럼 이동될 때에 그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이 누름 관(63)의 내측에 수납된다. 반대로, 누름 관(63)이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 부 측을 향해 미끄럼 이동될 때에 그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이 누름 관(6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들 테이퍼면(78c) 및 수직면(78d)의 기단부, 즉 누름 관 수납부(78)의 기단부에는,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를 수납하는 연결 부재 수납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도12의 (B) 및 도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 수납부(79)는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겸, 돌몰 윙 직경 축소부)(79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직경 축소부(79a)는, 탄성 아암부(62k)를 직경 축소(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폐색부이다. 즉, 직경 축소부(79a)는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에 수납되었을 때에,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의 확대를 방지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 직경 축소부(79a)는, 가령 직경이 1.9 ㎜ 정도 등, 선단부 측 코일(22)의 내부 직경보다도 직경이 작은 반원형의 홈인 최소 직경부이다. 도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직경 축소부(79a)의 횡단면 형상은,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가 결합된 상태로 대략 원형상이다. 이로 인해,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는 직경 축소부(79a)에 의해, 확대(개폐)가 방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 관(63)이 선단부 측으로부터 기단부 측을 향해 미끄럼 이동될 때에, 그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이 누름 관(63)의 내측에 수납된다. 이로 인해, 테이퍼면(78c)과 매끄럽게 접속된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는, 누름 관 수납부(78)의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를 수납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누름 관(63)이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로부터 테이퍼면(78c)을 향해 미끄럼 이동될 때에, 그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이 돌출해 간다.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의 기단부에는, 도입관(20)이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에 삽입되었을 때에,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선단부면이 부딪치게 되는 선단부 칩 충돌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와의 선단부 칩 충돌부(81)는,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가 결합된 상태로 원형상이다. 그리고, 선단부 칩 충돌부(81)에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선단부가 부딪치게 된 상태에서, 선단부 칩(21)의 내부 직경과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의 내부 직경은 동일하다. 이로 인해,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의 면과 선단부 칩(21)의 내주면이 매끄럽게 접속된다.
도12의 (A) 및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 칩 충돌부(81)의 기단부 측에서, 압착부(74)의 내면에는 연결 부재 수납부(79)의 직경 축소부(79a)에 연속하고, 원호 홈으로 이루어지는 도입관 삽입부(도입 장치 삽입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관 삽입부(80)는, 기단부 측의 입구(82)[도13의 (B) 참조]를 향해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부(83)[도13의 (A)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82)의 직경은 예를 들어 3 ㎜ 이상이고, 평면에서 볼 때에 반원형의 원호면(8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원호면(84)은 반드시 원호가 아닌, 예를 들어 V자 형상 등이라도 상관없다.
도입관 삽입부(80)의 기단부에는, 예를 들어 길이 1 ㎜ 내지 5 ㎜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에 의해 도입관(20)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압박하여 고정하는 도입관 고정부(85)[도13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클립 유 닛(60)은 카트리지(70)의 대략 중심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14의 (A) 및 도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이 수납된 카트리지(70)는 멸균 팩(90)에 블리스터 포장되어 봉입되어 있다. 이 멸균 팩(90)은 클립 유닛(60)이 적재된 멸균지(90a)와, 이 멸균지(90a)를 덮는 블리스터(90b)를 구비하고 있다. 블리스터(90b)는 열 밀봉에 의해 멸균지(90a)에 밀착된 상태로 밀봉되어, 내부의 멸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클립 유닛(60) 및 카트리지(70)는, 멸균 팩(90)의 내부에서 멸균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블리스터(90b)는 투명한 PET나 PS(폴리스티렌)로 된 시트 필름을 카트리지(70)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멸균 팩(90)은 블리스터(90b) 측으로부터 압출하도록 강한 힘이 가해지면, 카트리지(70)의 압착부(74)의 기단부에 형성된 파열 돌기(74a)에 의해, 멸균지(90a)가 후술하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열되어 개방된다. 이때, 4개의 파열 돌기(74a)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에 배치된 도입관 삽입부(80)의 입구(82)가 멸균지(90a)를 파열함으로써 출현한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70)를 멸균 팩(90)으로부터 완전히 꺼내지 않아도,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의 선단부를 쉽게 도입관 삽입부(80)의 입구(82)로부터 선단부 칩 충돌부(81)를 향해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10), 클립 유닛(60) 및 카트리지(70)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 도15의 (A) 내지 도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의 (B)에 도시하는 클립 도입 장치(10)의 슬라이더(42)를 섬 링(48)에 근접하는 기단부 측에 충돌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도2의 (A)에 도시하는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선단부는, 도입관(20)의 선단부 측 코일(2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15의 (A) 및 도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멸균 팩(90) 안에 멸균 상태로 수납된 카트리지(70)의 파열 돌기(74a)를, 블리스터(90b) 측으로부터 멸균지(90a) 측을 향해서 누른다. 그러면, 우선 파열 돌기(74a)에 의해 멸균지(90a)에 2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 멸균 팩(90)의 블리스터(90b) 측으로부터 멸균지(90a) 측으로 다시 누르면, 도15의 (C) 및 도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74)의 기단부의 원호면(84)을 따라 멸균지(90a)가 파열된다. 이로 인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벼운 힘으로 간단하게 카트리지(70)의 압착부(74)의 기단부가 노출되는 크기를 갖는 파열 개구(90c)가 멸균지(90a)에 형성된다.
즉, 클립 유닛(60)을 내포한 카트리지(70)가 봉입된 멸균 팩(90)을 카트리지(70)의 압착부(74)를 위를 향하게 하여 들고, 멸균 팩(90)의 상단부를 잡고 절곡하도록 당긴다. 그러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리스터(90b) 또는 멸균지(90a)가 찢어져서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의 입구(82)가 멸균 팩(90)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의 상부 케이스(71)와 하부 케이스(72) 사이에는, 클립 유닛(60)이 수납되어 있다. 클립 유닛(60)의 클립(61) 은,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의 각 클립 수납부(77)에 세트되고, 누름 관(63)은 각 누름 관 수납부(78)에 세트되고, 연결 부재(62)는 각 연결 부재 수납부(79)에 세트되어 있다.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는, 카트리지(70)의 최소 직경부인 직경 축소부(79a)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62k)는 확대 개방이 방지된 상태에 있다. 또한,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의 조직 파지부(61c)가 클립 수납부(77)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 있으며, 이 클립(61)의 아암(61b)의 탄성력에 의해, 클립 유닛(60)의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의 카트리지(70)의 압착부(74)의 입구(82)로부터,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을 도입관 삽입부(코일 삽입부)(80)에 대하여 속까지 삽입한다. 도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을 선단부 칩 충돌부(81)에 부딪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의 압착부(74)를 손가락으로 쥐고 압착한다. 이때, 압착부(74)가 탄성 변형하여 도입관 고정부(85)에 의해 도입관(20)의 선단부 측 코일(22)을 협지한다. 이로 인해, 도입관(20)은 축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다음에, 도1 및 도2의 (B)에 도시하는 슬라이더(42)를 섬 링(48)에 대하여 격리하는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킨다. 조작 와이어(30)에 의해 화살촉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선단부가 도입관(20)의 선단부의 선단부 칩(21)에 대하여 돌출된다.
이때, 도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선단부는, 직경 축소부(79a)에 배치된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의 테이퍼부(62n)에 부딪치게 된다. 이때,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는 직경 축소부(79a)에 의해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 즉 직경 확장이 규제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선단부는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의 중심에 형성된 테이퍼부(62n)에 확실하게 접촉된다. 즉,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는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의 테이퍼부(62n)에 결합된다.
그런데, 도18의 (A) 및 도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에 수납된 상태에서,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가, 카트리지(70)의 최소 직경부인 직경 축소부(79a)에 배치되어 있다. 직경 축소부(79a)의 내부 직경은 탄성 아암부(62k)의 외부 직경과 대략 같은 크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의 외주와 직경 축소부(79a)와의 사이에는, 거의 간극이 없다. 이로 인해,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선단부가 탄성 아암부(62k)의 테이퍼부(62n)로부터 빗나가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클립 도입 장치(10)를 반복하여 멸균해서 사용하는 도중에, 어떠한 요인으로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의 선단부가 축부(31d)의 선단부에서 구부러져 버린 경우 등에 특히 유효하다.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를 카트리지(70)에 대하여 다시 압입한다. 즉, 훅부(31)를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에 대하여 더욱 돌출시킨다. 이때,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가 클립 수납부(77)의 선단부의 테이퍼면(77a)을 따라 개각한다. 즉,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62k)는 클립 유닛(60)의 축 방향을 따라 선단부 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는 도18의 (A) 및 도18의 (C)에 도시하는 18C-18C 단면의 위치로 이동된다.
도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는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에 배치된다. 이때,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이 클립 수납부(77)의 선단부의 테이퍼면(77a)의 단부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클립 유닛(60)을 다시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클립 유닛(60)이 선단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를 카트리지(70)에 대하여 다시 압입함으로써 탄성 아암부(62k)가 기단부 측에서 확대 개방된다. 따라서,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가 탄성 아암부(62k) 사이의 절결부(62m)에 삽입된다.
이 클립 유닛 결합부(31a)가 탄성 아암부(62k)의 절결부(62m)에 삽입되면, 탄성 아암부(62k)가 탄성 변형에 의해 폐쇄된다. 이로 인해, 결합부(31a)가 탄성 아암부(62k)의 절결부(62m)에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부(31a)의 기단부의 축부(31d)가 탄성 아암부(62k) 사이에 협지된다. 따라서, 도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부(31)와 탄성 아암부(62k)가 연결된다. 즉, 클립 유닛(60)과 클립 도입 장치(10)의 조작 와이어(30)가 연결된다.
또한, 탄성 아암부(62k)의 절결부(62m)에 대하여, 훅부(31)의 결합부(31a)가 비스듬히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62)의 평면부(62g, 62i)[도9의 (A) 및 도9의 (B) 참조]와, 누름 관(63)의 평행면(63l)[도10의 (C) 참조]이 대향하고 있다. 또한, 클립(61)의 기단부가 연결 부재(62)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클립 유닛(60)의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 즉, 클립(61)이 개각된 상태에서는, 클립 수납부(77)의 상하 폭은 좁아, 클립(61)을 축 주위로 회전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해, 클립(61)에 연결된 연결 부재(62)도 회전시킬 수 없다. 그리고, 이 연결 부재(62)의 하면부(62g, 62i)와 누름 관(63)의 평행면(631)이 대향되어 있으므로, 연결 부재(62)에 대하여 누름 관(63)을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훅부(31)의 결합부(31a)를 탄성 아암부(62k)의 절결부(62m)에 삽입시킬 때에, 훅부(31)의 평면부(31c)가 탄성 아암부(62k)의 절결부(62m)의 평면부(621)에 압박된다. 즉, 탄성 아암부(62k)가 폐쇄하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훅부(31)의 결합부(31a)가 눌려져서, 이 결합부(31a)의 평면부(31c)가 탄성 아암부(62k)의 절결부(62m)의 평면부(621)와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렇게 하면, 훅부(31)가 탄성 아암부(62k)의 절결부(62m)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즉, 훅부(31)의 평면부(31c)가 탄성 아암부(62k)의 평면부(62l)가 접촉되어, 탄성 아암부(62k)가 훅부(31)의 결합부(31a)를 유지한 상태로 폐색된다. 또한, 누름 관(63)의 회전이 규제됨으로써, 카트리지(70) 내에서의 돌몰 윙(63h)의 방향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인입 시에 돌몰 윙(63h)이 수직면(78d)에는 닿지 않아 테이퍼면(78c)에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로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클립 도입 장치(10)에 연결된 클립 유닛(60)을, 내시경의 후술하는 삽입부(95)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도20 참조)에 통과시키기 위해,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의 내부로 인입하는 조작을 행한다.
도1에 도시하는 슬라이더(42)를 조작부 본체(41)의 기단부 측으로 이동시킨다. 도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를 거쳐서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내부에 인입된다. 이때,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이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의 테이퍼면(78c)에 의해 내측으로 압입된다. 즉, 돌몰 윙(63h)이,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에 압입된다. 이때, 직경 축소부(79a)에 의해 돌몰 윙(63h)이 완전히 누름 관 본체(63a)의 내측으로 압입된다. 이로 인해, 돌몰 윙(63h)은 직경 축소부(79a)의 기단부의 선단부 칩 충돌부(81)에 접촉된 선단부 칩(21)의 단부면에 걸리는 일없이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내부에 인입된다. 즉,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와 함께 누름 관(63)이 도입관(20)의 내부에 인입된다.
이때, 도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의 아암(61b)은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 및 선단부 측 코일(22)에 의해 그들의 내부 직경에 맞추어 폐각된다. 누름 관 본체(63a)의 돌몰 윙(63h)은 도입관(20)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내부에 인입된 후, 카트리지(클립 케이스)(70)의 압착부(74)를 잡는 역량을 약하게 하면, 압착부(74)가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71) 및 하부 케이스(72)가 결합된 상태에서 압착부(74) 사이만이 상하 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입관(20)을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로부터 빼낼 수 있다. 즉, 도입관(20)이 카트리지(7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클립 도입 장치(10)의 조작 와이어(30)의 선단부의 훅부(31)에는, 클립 유닛(60)이 장착되어 있다.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의 선단부는,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하여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 있다. 즉,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로부터 방출된다.
다음에,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을 조작 와이어(30)의 선단부에 연결한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을, 미리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삽입부(95)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을 통과시킨다. 도입관(20)의 선단부를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켜, 내시경에 의해 체강 내를 관찰하면서 도입관(20)의 선단부를 대상 부위의 근방까지 유도한다.
이 상태로부터 클립 유닛(60)의 클립(61)에 의해 생체 조직을 클립핑하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2의 (B)에 도시하는 슬라이더(42)를 조작부 본체(41)의 선단부 측으로 압출하는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30)를 거쳐서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내부를 전진한다. 이때, 누름 관(63)의 선단부관(63b)의 외부 직경은, 도입관(20)의 내부를 미끄러지기 쉽도록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점차 소직경이 되도록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입관(20)의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것은, 특히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시경의 삽입부(95)의 곡률 반경이 작은 상태로 만곡하고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슬라이더(42)의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30)를 더욱 전진시키면, 도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이 도입관(20)의 선단부의 선단부 칩(21)에 대하여 돌출된다. 이때,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은 선단부 측을 향해 내리막 구배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립 유닛(60)은 원활하게, 또한 저항 없이 압출된다. 그리고,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은 도입관(20)의 내면과의 접촉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누름 관(63)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클립(61)의 한 쌍의 아암(61b)은 확대 개방 습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입관(20)으로부터 돌출하는 동시에 어느 정도 개각한다.
이때, 연결 부재(62)와 누름 관(63)은, 다른 색[예를 들어 누름 관 본체(63a)가 청색이며, 연결 부재(62)가 백색 등]으로 착색된 수지재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므로, 연결 부재(62)와 누름 관 본체(63a) 사이의 경계 부분이 명확하게 인식된다.
따라서, 슬라이더(42)를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켜, 클립 유닛(60)을 체내에서 도입관(2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해서 돌몰 윙(63h)을 돌기 상태로 할 때에, 클립 유닛(60)을 도입관(20)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돌출해도, 클립(61)이 체강벽에 접촉하고, 훅부(31)와 클립 유닛(60)과의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버리기 전에, 클립 유닛(60)을 지나치게 돌출시킨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색의 경계선[연결 부재(62)와 누름 관 본체(63a) 사이의 경계]을 내시경 화상으로 확인하여, 클립 유닛(60)의 필요 충분한 돌출을 확인하여, 지나친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슬라이더(42)를 조작부 본체(41)의 기단부 측으로 이동시킨다. 도21 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30)가 기단부 측으로 되돌아오게 되어,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의 기단부면이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선단부면에 결합된다.
도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2)를 다시 기단부 측으로 이동시켜서 조작 와이어(30)를 되돌아오게 하면, 연결 부재(62)를 거쳐서 클립(61)의 루프부(61a)가 누름 관(63)의 내부에 인입된다. 이로 인해, 다시 클립(61)이 개각한다. 그리고, 클립(61)의 돌기(61d)가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 직경 단차부(63g)[도10의 (B) 참조]에 접촉하여, 아암(61b)이 최대로 개각한다.
이 상태에서, 내시경에 의해 생체 조직의 목적 부위를 관찰하면서 그 목적 부위에 클립 도입 장치(10)를 조작해서 클립(61)을 어프로치하고, 클립(61)의 조직 파지부(61c)를 눌러 덮는다. 이때, 조작부(40)의 섬 링(48)에 엄지 손가락을 삽입하고, 인지와 중지에 의해 슬라이더(42)를 사이에 두고 조작한다. 이때, 섬 링(48)은 조작부 본체(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로 인해,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2)로부터 손을 뗀다. 그리고, 섬 링(48)을 오른손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왼손으로 조작부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을 보유 지지하여, 본체(41)의 축 주위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슬라이드 부재(와이어 받침 파이프 누름)(51) 및 와이어 받침 파이프(34)를 거쳐서 조작 와이어(30)가 회전한다. 즉, 훅부(31)가 회전한다. 이로 인해, 도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에 설치된 평면부(31c)에 의해,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절결부(62m)의 내면의 평면부(621)에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이 축 주위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클립 유닛(60)을 회전시켜 방향을 변경할 때는, 조작부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을 보유 유지하여 본체(41)를 회전시키지만, 섬 링(48)에 엄지 손가락을 삽입한 채로도 조작부 본체(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클립 유닛(60)을 원하는 상태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더(42)를 다시 기단부 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작 와이어(30)가 후퇴하고, 연결 부재(62)를 거쳐서 클립(61)의 아암(61b)이 누름 관(63)의 선단부관(63b)의 내부에 인입된다. 따라서 클립(61)의 돌기(61d)가 누름 관(63)의 내부 직경 단차부(63g)를 타고 넘어, 도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의 아암(61b)이 폐각된다. 생체 조직을 클립(61)의 아암(61b) 사이에 확실하게 끼워 넣은 상태가 된다. 이때, 누름 관 본체(63a)는 클립(61)보다 부드러운 적절한 탄성을 갖는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61)의 돌기(61d)[도8의 (B) 참조]는 누름 관 본체(63a)의 내벽에 파고 들어, 클립(61)이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구속되어, 폐각 상태로 유지된다. 즉, 클립(61)은 생체 조직을 파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슬라이더(42)를 다시 기단부 측으로 이동시켜서 조작 와이어(30)를 후퇴시킨다. 클립(61)의 연결 부재(62)의 파단부로서 돌기부(62d)의 가는 직경부(62e)가 도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한다. 이로 인해, 클립(61)은 연결 부재(62)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은 클립 도입 장치(10)로부터 이탈 분리해서 생체 조직을 파지한 채 체강 내에 유치된다. 이때, 이 클립(61)은 누름 관(63)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연결 부재(62)의 평면부(62g, 62i)와 누름 관(63)의 타원형 구멍(63j)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하는 클립(61)이 누름 관(63)의 내부에 인입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누름 관(63)의 타원형 구멍(63j)의 평행면(631)과, 연결 부재(62)의 평면부(62i)가 맞춰져 있다. 이로 인해, 누름 관(63), 연결 부재(62) 및 클립(61)이 클립 유닛(60)의 길이 축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클립(61) 위의, 톱날형의 돌기(61d)와 누름 관(63)의 돌몰 윙(블레이드부)(63h)의 상대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도24의 (B) 및 도2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2)의 평면부(62g)도 상술한 평면부(62i)와 같이, 클립(61)이 누름 관(63)의 내부에 인입되었을 때에, 톱날형의 돌기(61d)와 돌몰 윙(63h)과의 상대 위치 관계가 어긋나지 않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클립(61)이 누름 관(63)의 선단부관(63b)이나 누름 관 본체(63a)의 내부에 인입되었을 때, 클립(61)의 톱날형의 돌기(61d)는 항상 누름 관 본체(63a)의 내벽에 꽂힌다. 이와 같이, 돌몰 윙(63h)이나 그 주위의 홈을 피하기 위해, 도24의 (A) 및 도24의 (C)에 도시하는 어떠한 두께의 대상물(생체 조직)(100)에 대하여 클립(61)을 클립핑해도, 클립(61)의 클립핑력이 느슨해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클립(61)의 생체 조직(100)[도24의 (A) 및 도24의 (C) 참조]에의 클립핑 후, 즉 클립(61)의 유치 후, 클립 도입 장치(10)를 내시경의 삽입부(95)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의 내부로부터 제거한다. 클립 유닛(60)을 재장전하기 위해, 화살 촉 훅부(31)로부터 연결 부재(62)를 제거한다. 이 경우, 조작 와이어(30)의 축선에 대하여 연결 부재(62)를 절결부(62m)의 개구 방향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살촉 훅부(31)를 연결 부재(62)의 절결부(62m)로부터 빼낼 수 있다. 즉, 훅부(31)의 축부(31d)를 탄성 아암부(62k)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와,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클립(61)을 폐각하여 연결 부재(62)를 파단시킨 후, 다음의 새로운 클립(61)을 장전하기 전에, 훅부(31)에 남은 연결 부재(62)[이하, 나머지 연결 부재(62z)라 부름]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나머지 연결 부재(62z)를 제거하는 조작을 잊어서 다음의 클립(61)을 장전해 버릴 가능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훅부(31)의 결합부(31a)를 나머지 연결 부재(62z)에 결합한 상태에서 나머지 연결 부재(62z)를 도입관(20)의 내부에 인입하면, 나머지 연결 부재(62z)가 훅부(31)로부터 제거된 것이라 생각해 버리는 경우이다. 그리고, 훅부(31)에 새로운 클립 유닛(60)을 장착하기 위해, 이러한 상태의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을 카트리지(70)의 입구로부터 충돌부(81)에 삽입해 버린다. 카트리지(70)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나머지 연결 부재(62z)나 클립 유닛(60)은 매우 작고, 또한 수술실 내부는 위치에 따라서는 어두운 장소가 있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70)의 내부에 배치된 클립 도입 장치(10)의 훅부(31)나 나머지 연결 부재(62z)를 시각적으로 판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연결 부재(62)와 나머지 연결 부재(62z)에는 모두 원뿔부(621)[도9의 (A) 참 조]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 도입 장치(10)에서 훅부(31)에 나머지 연결 부재(62z)가 결합된 상태에서 새로운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를 결합하려고 한다. 이 경우, 나머지 연결 부재(62z)의 돌출부(62c)가 파단에 의해 제거된 선단부는, 새로운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를 선단부 측으로 압박하여, 탄성 아암부(62k)를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에 배치한다. 그렇게 하면, 새로운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가 확대 개방하고, 나머지 연결 부재(62z)의 선단부가 새로운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의 절결부(62m)에 끼워 넣는다. 이때, 새로운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에 의해, 나머지 연결 부재(62z)의 원뿔부(62f)가 협지된다. 이 나머지 연결 부재(62z)의 원뿔부(62f)는 대략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 부재(62)의 탄성 아암부(62k)가 결합되었다고 해도 탄성 아암부(62k)가 원뿔부(62f)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다. 즉, 이와 같이 미끄러질 경우, 새로운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에 나머지 연결 부재(62z)가 결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70) 내의 클립 유닛(60)을 결합해서 카트리지(70)의 외부로 꺼내려고 해도, 카트리지(70)의 누름 관 수납부(78)의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에 설치된 수직면(78d)[도12의 (B) 참조]에 연결 부재(62)의 확대된 탄성 아암부(62k)의 기단부면이 걸린다. 이로 인해, 새로운 클립 유닛(60)을 카트리지(70)로부터 꺼내려고 하면, 새로운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가 나머지 연결 부재(62z)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어떻든 간에 나머지 연결 부재(62z)가 훅부(3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새로운 클립 유닛(60)이 나머지 연결 부재(62z)의 원뿔부(62f)에 결합되어 카트리지(70)로부터 취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렇게 하면, 나머지 연결 부재(62z)가 훅부(31)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인식된다.
다음에, 손잡이 측 코일(24)과 조작부(40)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입관(20)의 손잡이 측 코일(24)의 기단부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43)에 삽입되어 있는 것만으로, 접착이나 용접 등의 고정은 되어 있지 않다. 손잡이 측 코일(24)은, 가이드 파이프(43)의 코일 삽입 구멍(41d)의 손잡이 측 단부면과, 접힘 방지 받침부(46)와의 사이에 축 방향으로 약간의 간극(덜걱거림)을 갖는 상태로 끼워져 있다. 이로 인해, 조작부(40)와 도입관(20)은 서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을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부(40)의 회전 그립(41b)을 본체(41)의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 도입관(20)이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조작부(40)와 도입관(20)과의 사이에 여분의 반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의 회전에 의해, 효율적으로 조작 와이어(30)에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을 본체(41)의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작 와이어(30)를 거쳐서 반응 좋게 원활하게 클립 유닛(6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뿐만 아니라, 조작 와이어(30)로 처치부를 회전시키는 모든 처치구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다음에, 와이어 받침 파이프(34)의 구조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 받침 파이프(34)는 코오킹에 의해 도4의 (B)에 도시하는 편평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고정부(51j)는 와이어 받침 파이프(34)의 편평한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받침 파이프(34)의 편평부를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부터 밀어 넣는다. 그로 인해, 회전 조작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51)가 회전하면, 와이어 받침 파이프(34)도 회전한다. 따라서 본체(41)의 회전 그립(41b)의 회전 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슬라이더(42)의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고정부(51j), 와이어 받침 파이프(34) 및, 조작 파이프(33)를 거쳐서 조작 와이어(30)에 확실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조작 와이어(30)로 처치부를 회전시키는 모든 처치구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다음에, O링(44)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O링(44)은 조작 파이프(33)의 외주에 배치되어 조작 파이프(33)를 내부 직경 방향으로 체결하고 있다. O링(44)은, 슬라이더(42)나 본체(41)의 자신의 중량 정도의 힘으로는 조작 파이프(33)에 대하여 이동이 규제되고 있도록, 연(軟)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의 장전 조작이나 회전 조작 등으로 슬라이더(42)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도, O링(44)과 조작 파이프(33)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조작 파이프(33)가 본체(41)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부주의하게 슬라이더(42)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따라서 도입관(20)에 수납된 클립 유닛(60)이나, 훅부(31)가 도입관(20)의 선단부로부터 부주 의하게 돌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회전 그립(41b)의 회전 조작 시에 슬라이더(42)에 손가락을 걸면, 조작 와이어(30)에 인장력이 발생해서 클립 유닛(60)의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과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단부면이 압박된다. 즉, 회전하지 않는 도입관(20)과 회전하는 돌몰 윙(63h)과의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조작 와이어(3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없다. 즉, 클립 유닛(60)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회전 그립(41b)의 회전 조작 시에는 슬라이더(42)로부터 손가락을 뗄 필요가 있지만, O링(44)에 의해 슬라이더(42)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연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그립(41b)을 안심하고 조작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그립(41b)의 회전 조작 시에 확실하게 조작 와이어(30)의 인장력을 완화하기 위해, 가이드 파이프(43)의 O링 수납부(43a)에는, O링이 2 ㎜ 내지 6 ㎜ 정도, 전후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공간(덜걱거림)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42)를 분리하면 확실하게 와이어(32)의 인장력이 완화(해방)된다. 즉, 조작 와이어(30)가 전체적으로 선단부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에 돌몰 윙(63h)의 기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더(42)를 놓으면,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와 돌몰 윙(63h)의 기단부와의 사이의 접촉이 해제된다. 즉,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와 돌몰 윙(63h)의 기단부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 또는 완전히 없어진다. 그렇게 하면,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41)를 회전시켰을 때에,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와 돌몰 윙(63h)의 기단부와의 사이의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아, 클립 유닛(60)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뿐만 아니라, 처치부를 회전시키는 처치구 전부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다음에, 슬라이더(42)의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구조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51)의 슬릿 덧댐면(51m, 51n) 사이의 길이는, 슬라이더(42) 전체의 길이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42)의 제2 슬라이드 부재(52)의 선단부 측은, 본체(41)의 슬릿부(41a)를 넘어서 선단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42)의 이동량을 확보하면서, 본체(41)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클립 도입 장치(10)를 멸균 팩(90)에 봉입하는 봉입 시 등의 취급하기 쉬움의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작용은, 클립 도입 장치(10)뿐만 아니라, 모든 처치구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트리지(70)의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기단부에 직경 축소부(79a)를 설치하였으므로, 카트리지(70)에 클립 유닛(60)이 수납된 상태에서,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의 아암부(62k)를 폐색한 상태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립 도입 장치(10)와 클립 유닛(60)을 결합시킬 때에, 클립 도입 장 치(10)의 조작 와이어(30)의 훅부(31)의 결합부(31a)의 선단부를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의 아암부(62k)의 소정의 위치[테이퍼부(62n)]에, 항상 접촉시킬 수 있다. 즉, 클립 도입 장치(10)와 클립 유닛(60)을 결합시킬 때에, 서로에 대하여 확실하면서도 또한 쉽게 정렬할 수 있다.
또한,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선단부의 클립 수납부(77)의 테이퍼면(77a)을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를 슬라이드시키면서 개각시킬 수 있다. 즉, 클립 유닛(60)을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와 클립 도입 장치(10)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연결 부재(62)의 아암부(62k)를 확대 개방하여, 연결 부재(62)와 클립 도입 장치(10)를 연결(결합)할 수 있다. 즉, 클립 도입 장치(10)와 클립 유닛(60)을 확실하게 소정의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확대 축소하는 암형 결합 부재[탄성 아암부(62k)]에 수형 결합 부재[훅부(31)의 결합부(31a)]를 압입함으로써 선단부 처치부[클립 유닛(60)]를 착탈 가능하게 도입 장치[클립 도입 장치(10)]에 결합하는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수형 결합 부재를 암형 결합 부재에 대하여 압입하는 동작만으로 이들을 확실하면서도 또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의 클립 수납부(77)의 테이퍼면(77a)에 굴곡부(77b)를 형성했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가 테이퍼면(77a)을 따라 이동할 때에,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아암(61b)의 선단부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가 굴곡부(77b)를 넘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서, 도입관(20)의 화살촉 훅부(31)가 클립 유닛(60)의 기단부의 연결 부재(62)의 절결부(62m)에 결합되기 직전인 것이 인식된다.
다음에, 카트리지(70)의 파열 돌기(74a)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카트리지(70)에는 강한 힘으로 블리스터(90b) 측으로부터 멸균지(90a) 측으로 압출하면, 우선 파열 돌기(74a)에 의해, 우선 멸균지(90a)에 2개의 구멍이 개방된다[도15의 (D) 참조]. 다시 힘을 가하면, 2개의 돌기(74a)의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부 입구(82)의 근방의 멸균지(90a)가 찢어져(도16 참조),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의 입구(82)가 노출된다. 따라서,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의 선단부를,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의 입구(82)로부터 이 도입관 삽입부(80)를 따라 용이하게 충돌부(81)까지 부딪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돌기(74a)에 의해, 파열하도록 멸균지(90a)가 찢어지므로(도16 참조), 가벼운 힘으로 간단하게 카트리지(70)가 노출되는 큰 파열 개구(90c)를 형성할 수 있다.
클립 유닛(60)을 수납한 카트리지(70)의 압착부(74)에 원호면(84)을 마련하는 것은, 멸균 팩(90)을 사용하는 모든 기구에 유효하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26의 (A) 내지 도28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 예이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클립 유닛 수납부(73)와 압착부(74)를 구비하고 있다. 도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이 카트리지(70)의 연결 부재 수납부(79)의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는, 제1 실시 형태의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선단부 칩 충돌부(81)는 제1 실시 형태의 선단부 칩 충돌부(81)보다도, 압착부(74)에 근접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누름 관 수납부(78)는,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몰 윙 이동용 오목부(78c)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돌몰 윙 이동용 오목부(78c)는, 돌몰 윙(63h)을 누름 관 본체(63a)에 대하여 돌출시킨 상태에서 가이드한다.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는, 연결 부재(62)에 화살촉 훅부(31)의 결합부(31a)를 결합시킬 때에 탄성 아암부(62k)를 넓히므로 돌몰 윙 이동용 오목부(78e)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의 기단부와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의 테이퍼면(78c)의 선단부는,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도27의 (A) 및 도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수납부(77)와 누름 관 수납부(78)와의 사이에는, 완만한 모양으로 변화되는 경사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88)는, 특히 클립 수납부(77)와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88)는, 클립 수납부(77)와 누름 관 수납부(78)와의 사이를 매끄럽게 변화시키는, 종단면이 대략 수직인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88)의 각도는, 누름 관 수납부(78)의 면에 대하여 45도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을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누름 관(63)의 선단부면이 클립 수납부(77)의 기단부에 계지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경사부(88)가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 립 유닛(60)을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립 유닛(60)에는 도28의 (A) 및 도28의 (B)나, 상술한 도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61)이 작게 형성된 것이나, 그것보다도 크게 형성된 것이 있다. 즉, 클립(61)의 아암(61b)의 길이에는, 클립(61)을 계지하여 지혈하는 등 부위의 크기에 따라서는 다양한 것이 있다.
여기에서는, 클립(61)의 아암(61b)의 길이를,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아암(61b)보다도 짧게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즉, 도2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유닛(60)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클립 유닛(60)[도18의 (A) 참조]에 대하여, 클립(61)의 아암(61b)의 길이만이 변경되어 있다. 이들 아암(61b)의 선단부 간의 거리는, 예를 들어 4 ㎜ 내지 5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즉, 루프부(61a), 아암(61b)의 선단부의 조직 파지부(61c), 돌기(61d)의 형상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클립(61)과 마찬가지이다.
클립 유닛(60)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클립 유닛(60)의 구성과 같다. 즉, 연결 부재(62) 및 누름 관(63)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공통이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10), 클립 유닛(60) 및 카트리지(70)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카트리지(70)를 세워서 보유 지지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70)의 클립 유닛 수납부(73)[카트리지(70)의 선단부]를 하측에, 압착부(74)[카트리지(70)의 기단 부]를 상측에 세워서 배치한다. 그러면, 클립 유닛(60)의 중력에 의해, 클립 유닛(60)이 전체적으로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클립(61)의 아암(61b)의 선단부의 조직 파지부(61c)가 테이퍼면(77a)에 접촉된다. 클립 유닛(60)의 중력에 의해, 클립(61)의 아암(61b)이 테이퍼면(77a)을 따라 약간 개각되지만, 아암(61b)의 탄성력에 의해 개각은 방지된다. 이때,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62k)는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하지만,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카트리지(70)의 클립 유닛 수납부(73)[카트리지(70)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압착부(74)[카트리지(70)의 기단부]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다. 그러면, 도2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의 중력에 의해, 클립 유닛(60)이 전체적으로 압착부(74)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클립(61)의 아암(61b)의 길이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61b)은, 카트리지(70)의 클립 수납부(77)의 아암 축소부(계지부)(77c)에 접촉된다. 이때, 클립 유닛(60)의 중력에 의해 클립(61)의 아암(61b)이 약간 폐쇄되지만, 아암(61b)의 탄성력에 의해 폐각은 방지된다. 따라서, 아암(61b)의 외측의 일점(계지점)이 카트리지(70)의 아암 축소부(77c)에 접촉되어 클립 유닛(60)이 지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70)를 세운 경우, 아암(61b)의 탄성력에 의해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의 아암 축소부(77c)에 걸리게 된 상태에 있다.
기타, 아암(61b)의 탄성력에 따라서는, 도2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유닛(60)의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의 기단부가 돌몰 윙 수납 오목부(계지부)(78b)에 접촉되는 경우도 있다. 이 돌몰 윙(63h)은 외측으로 넓어질 수 있도록 압박되고 있으므로, 돌몰 윙(63h)의 기단부가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에 계지되는 경우가 있다. 즉, 클립 유닛(60)은 클립(61)의 아암(61b) 혹은 누름 관(63)의 돌몰 윙(63h)의 기단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에 의해 계지된다.
이때, 클립 수납부(77)의 아암 축소부(77c)에 클립(61)의 아암(61b)이 접촉된 아암(61b)의 부위(계지점)와, 클립(61)의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와의 사이의 길이는, 아암 축소부(77c)와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의 기단부와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는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70)를 세운 경우, 연결 부재(62)의 기단부가 도입관 삽입부(80)로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의 중심축은, 카트리지(70)의 내부에서 항상 대략 동일한 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몰 윙(63h)이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클립 유닛(60)의 돌몰 윙(63h)의 기단부와 카트리지(70)의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와의 사이의 접촉부(계지점)와, 클립 유닛(60)의 기단부인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와의 사이의 길이는, 돌몰 윙(63h)의 기단부의 접촉부와, 선단부 칩 충돌부(81)와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다. 이로 인해, 연결 부재(62)의 기단부가 도입관 삽입부(80)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의 중심축은, 카트리지(70)의 내부에서 항상 대략 동일 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는, 카트리지(70)에 내포된 상태에서, 통상은 연결 부재 수납부(79) 내부만을 이동한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에 내포된 상태에서 클립 유닛(60)의 중심축은, 항상 대략 동일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70)에, 이와 같이 클립 유닛(60)이 내포된 상태에서, 도입관(20)을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를 통과시켜서 삽입한다.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을 카트리지(70)의 선단부 칩 충돌부(81)에 부딪치게 한다. 이 상태로부터 도입관(20)의 도1에 도시하는 조작부(40)를 조작하여, 와이어(32)를 선단부 측 코일(22)에 대하여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화살촉 훅부(31)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가 선단부 칩(21)에 대하여 돌출하여, 테이퍼부(62n)에 접촉된다.
이때, 클립 유닛(60)의 중심축은 연결 부재 수납부(79)에 의해, 항상 대략 동일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60)의 중심축과 조작 와이어(30)의 중심축이 일치한 상태에서,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 내를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선단부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클립 수납부(77)와 누름 관 수납부(78)와의 사이에는, 완만한 경사면의 경사부(8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은 매끄럽게 이동해서 아암(61b)의 선단부의 조직 파지부(61c)가 테이퍼면(77a)에 접촉된다.
클립 유닛(60)의 클립(61)의 아암(61b)은, 테이퍼면(77a)에 조직 파지부(61c)가 접촉한 상태에서, 이 테이퍼면(77a)을 따라 개각하면서 이동한다.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는,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로부터 돌출해서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까지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연결 부재(62)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62k)가 개방되어 조작 와이어(30)의 선단부의 클립 유닛 결합부(31a)가 절결부(62m) 내에 배치된다.
그 후의 작용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작용과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결 부재 수납부(79)의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를 길게 형성했으므로, 클립 유닛(60)을 카트리지(70) 안에 내포한 상태에서,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재(62)의 기단부를 항상 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 안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립 유닛(0)의 중심축을 카트리지(70)의 중심축 위에 항상 유지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클립 유닛(60)에 도입관(20)의 화살촉 훅부(31)를 장착할 때에, 오장착을 방지하여, 항상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클립 수납부(77)와 누름 관 수납부(78)와의 사이에 경사부(88)를 형성했으므로, 단차가 없어져 클립 유닛(60)이 클립 수납부(77)의 기단부에 계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의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할 때에, 클립 수납부(77)의 기단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경사부(88)를 종단면이 대략 수직인 완만한 경사면으로서 설명했지만, 클립 수납부(77)와 누름 관 수납부(78)를 매끄럽게 접속할 수 있으면,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부터 아래로 볼록한 곡선으로 변화되는 변곡점을 갖는 등, 다양한 경사면이 허용된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29의 (A) 및 도29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변형 예이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 혹은 동일한 작용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9의 (A) 및 도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70)의 클립 수납부(77)의 테이퍼면(77a)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테이퍼면(77a)과 형상이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퍼면(77a)은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퍼면(77a)은 클립 유닛(60)이 카트리지(70)의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선단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클립(61)의 아암(61b)의 개각량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클립 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도입 장치(10), 클립 유닛(60) 및 카트리지(70)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의 입구(82)를 통과시켜 클립 도입 장치(10)의 도입관(20)을 삽입한다. 도입관(20)의 선단부의 선단부 칩(21)은, 선단부 칩 충돌부(81)에 접촉된다. 이 상태로부터, 화살촉 훅부(31)를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하여 돌출시켜, 클립 유닛(60)의 테이퍼부(62n)에 화살촉 훅부(31)를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클립 유닛(60)의 연결 부 재(62)의 기단부의 탄성 아암부(62k)를,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까지 이동시킨다.
한편, 카트리지(70)의 클립 수납부(77)의 선단부의 테이퍼면(77a)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립(61)의 아암(61b)도 그 테이퍼면(77a)을 따라 개폐량이 축소되어 간다.
그리고, 클립 유닛(60)의 기단부의 연결 부재(62)의 아암부(62k)가 개방되어, 화살촉 훅부(31)가 절결부(62m)에 결합된다.
그 후의 작용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작용과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립(61)의 아암(61b)의 길이가 긴 경우, 아암(61b)을 개각시키면, 카트리지(70)의 클립 유닛 수납부(73)의 폭에 대하여 완전히 수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때에,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형상을 갖으면, 카트리지(70)의 폭을 크게 하는 등의 변화를 시키지 않고, 동일한 작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립 유닛(60)을 내포한 카트리지(70)를 멸균 팩(90)에 수납할 때나, 카트리지(70)를 멸균 팩(90)에 봉입해서 상자 등에 수납할 때에, 다른 크기의 멸균 팩(90)의 블리스터(90b)나 상자를 작성할 필요 없이,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카트리지(70)를 수납하는 멸균 팩(90)이나 상자와 동일한 멸균 팩(90)이나 상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29의 (A) 및 도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 퍼면(77a)을 선단부를 향해 곧게 형성한 것을 도시했지만,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굴곡부(77b)[도13의 (A) 참조]를 설치하는 등,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클립(61)을 이동시키는 미끄럼 이동 저항을 크게 하는 것 등도 적합하다. 그렇게 하면, 사용자에게 있어서, 클립 유닛(60)의 기단부의 연결 부재(62)에, 도입관(20)의 화살촉 훅부(31)가 결합되기 직전인 것이 굴곡부(77b)를 넘음으로써 인식된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30의 (A) 내지 도30의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클립 도입 장치(10)에 의해 조작되는 처치구는 클립 유닛(6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30의 (A) 및 도30의 (B)에 도시하는 파지 겸자(96)를 처치구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 파지 겸자(96)는, 처치구 본체를 이루는 조직 파지부(96a)와, 연결 부재(96b)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96b)의 기단부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결 부재(62)의 연결부(62b)와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연결 부재(96b)에 대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결 부재(62)와 동일 구조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 부재(96b)의 선단부에는, 조직 파지부(96a)의 기단부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파지부(96a)는, 한 쌍의 아암(96c)과 한 쌍의 파지 손(96d)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96c)의 기단부는, 연결 부재(96b)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파지 손(96d)은, 각각의 아암(96c)의 선단부에 1개씩 고정되어 있다. 이들 파지 손(96d)은 각각 조직 파지용으로 넓게 형성된 파지면(96c)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파지면(96e)은, 생체 조직(100)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도록, 거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적합하다.
한 쌍의 아암(96c)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아암(96c)은, 기단부 측, 즉 연결 부재(96b)의 선단부에서 양자의 폭이 좁혀져 있지만, 선단부 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로 폭이 넓어져 있다. 이로 인해, 아암(96c)은 탄성 변형에 의해 선단부의 폭이 확대 및 축소된다.
이 파지 겸자(96)를 클립 유닛(60)과 마찬가지로, 도입 장치(클립 도입 장치)(10)에 접속하여, 처치를 행할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클립 유닛(60)을 카트리지(70)[예를 들어 도13의 (A) 참조]의 내부에 배치한 것과 같이, 파지 겸자(96)를 카트리지(70)의 내부에 배치해 둔다. 이때, 파지 겸자(96)의 연결 부재(96b)는, 카트리지(70)의 연결 부재 수납부(79)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70)의 도입관 삽입부(80)를 통과시켜서 충돌부(81)에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을 부딪치게 한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31a)를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하여 돌출시켜, 연결 부재(96b)의 기단부를 카트리지(70)의 선단부 측을 향해서 압출한다. 그러면, 파지부(96a)의 한 쌍의 아암(96c)은 점차로 개방하여 연결 부재(96b)가 선단부 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파지 겸자(96)의 연결 부재(96b)가 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에 배치되어, 연결 부재(96b)의 기단부가 조작 와이어(30)의 결합부(31a)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와이어(30)의 와이어(32)를 손잡이 측으로 인입해서 도인 관(20)의 내부에 파지 겸자(96)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파지 겸자(96)의 기단부를 결합부(31a)에 결합한 도입관(20)을,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을 삽입 통과시켜서, 체강 내에 배치한다. 즉, 도입관(20)의 선단부를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킨다.
조작 와이어(30)의 와이어(32)를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켜서 파지 겸자(96)를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하여 돌출시킨다. 그리고, 파지 겸자(96)를 회전시켜서 방향을 맞추어 파지 겸자(96)의 파지 손(96d)의 파지면(96e)으로 생체 조직을 파지한다. 이때, 도입관(20)을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의 선단부에 대하여 다시 돌출시킨다. 그러면, 상대적으로는 파지 겸자(96)의 연결 부재(96b)가 도입관(20)의 구멍 안으로 인입되어, 한 쌍의 아암(96c)이 도입관(20)의 선단부의 내연부에 접촉한다. 또한, 파지 겸자(96)가 도입관(20)의 구멍 안에 인입되면, 도입관(20)의 선단부의 내연부에 접촉된 아암(96c)이 탄성 변형하여 양자를 기단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서서히 근접시키면서 도입관(20)의 구멍 안에 인입된다. 즉, 도입관(20)의 선단부에 의해, 한 쌍의 아암(96c)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는, 파지 겸자(96)의 파지 손(96d)이 도입관(20)의 구멍 안으로 인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 손(96d)에 파지면(96c)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파지 손(96d)이 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컵 모양의 파지 손(96d)이 도입관(20)의 구멍 안에 배치되었을 때, 양 파지 손(96d)이 맞추어져 대략 계란형의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다음에,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31의 (A) 내지 도31의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변형 예이다.
제1 및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클립 도입 장치(10)에 의해 조작되는 처치구는 클립 유닛(60)이나 파지 겸자(96)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31의 (A) 및 도31의 (B)에 도시하는 유치 스네어(98)를 처치구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 유치 스네어(98)는, 처치구 본체를 이루는 스네어부(98a)와, 스토퍼(98b)와 연결 부재(98c)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98c)의 선단부에는, 루프형으로 형성된 스네어부(98a)가 고정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98c)의 선단부 측이며, 스네어부(98a)의 기단부에는 스토퍼(98b)가 스네어부(98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98b)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축에 관통 구멍(98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98d)에는, 스네어부(98a)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이 스토퍼(98b)의 외부 직경은,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의 내부 직경보다도 크고, 외부 직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98b)는 예를 들어 PTFE 등의 스네어부(98a)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의 내벽에 대한 슬라이딩성이 높은 부재로 형성되고, 또한 그 단부면의 가장자리는 각각 모따기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로 인해, 이 스토퍼(98b)를 선단부 칩(21)의 선단부에 부딪치게 하여,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 안을 도입관(20)과 함께 삽입 통과될 때에도, 용이하게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이 유치 스네어(98)를 클립 유닛(60)이나 파지 겸자(96)와 같이, 도입 장치(클립 도입 장치)에 접속하여, 처치를 행할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유치 스네어(98)를 적당한 형상의 카트리지의 내부에 설치해 둔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스토퍼(98b)를 배출 가능한 직경을 갖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또는, 유치 스네어(98)는 반드시 카트리지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조작 와이어(30)의 선단부의 결합부(31a)를, 유치 스네어(98)의 연결 부재(98c)의 기단부에 결합시킨다. 스토퍼(98b)의 기단부를 도입관(20)의 선단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연결 부재(98c)를 도입관(20)의 구멍 안으로 인입한다. 그리고, 스네어부(98a)를 스토퍼(98b)로부터 제거하지 않을 정도까지, 조작 와이어(30)의 와이어(32)를 손잡이 측으로 인입해서 도입관(20)의 내부에 유치 스네어(98)의 연결 부재(98c)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유치 스네어(98)의 기단부를 결합부(31a)에 결합한 도입관(20)을,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을 삽입 통과시켜서, 체강 내에 배치한다. 이때, 스토퍼(98b)는 도입관(20)의 외부 직경보다도 작고, 또한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의 내벽에 대하여 슬라이딩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입관(20)의 선단부를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조작 와이어(30)의 와이어(32)를 선단부 측으로 이동시켜서 유치 스네어(98)의 스네어부(98a) 및 스토퍼(98b)를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하여 돌출시킨다. 그리고, 유치 스네어(98)의 스네어부(98a)를 생체 조직(100)의 주위에 배치한다. 즉, 스네어부(98a)를 돌출한 생체 조직(100)에 걸어 둔다. 그리고, 와이어(32)를 손잡이 측으로 당기는 동시에, 도입관(20)을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95a)에 대하여 더욱 돌출시킨다. 그러면, 스토퍼(98b)가 도입관(20)의 선단부 칩(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98c)에 고정된 스네어부(98a)의 루프 직경을 좁힐 수 있다. 이로 인해, 생체 조직(100)이 긴박된다.
그리고, 유치 스네어(98)를 스네어부(98a)에서 생체 조직(100)을 긴박한 상태로 도입 장치(10)로부터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와이어(30)를 가능한 한 이동시키지 않고 도입관(20)을 조작 와이어(30)에 대하여 인입한다. 그러면, 유치 스네어(98)의 연결 부재(98c)가 도입관(20)의 선단부에 대하여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도입 장치(10)를 전체적으로 손잡이 측으로 인장한다. 그렇게 하면, 유치 스네어(98)의 연결 부재(98c)의 탄성 아암부(62k)가 인장력에 견디지 못해 탄성력에 의해 개방된다. 따라서 조작 와이어(30)와 유치 스네어(98)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유치 스네어(98)가 생체 조직(100)을 긴박한 상태로 유치된다.
또한, 처치구는 상술한 클립 유닛(60), 파지 겸자(96) 및 유치 스네어(98)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지금까지,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행해지는 모든 실시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하기 사항의 발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항의 조합도 가능하다.
[부기]
(부기 항 1)
탄성적으로 확대 축소할 수 있는 암형 결합 부재와, 상기 암형 결합 부재에 압입하는 동작에 의해 결합하는 수형 결합 부재에 의해 선단부 처치부와 조작 장치 가 결합되는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암형 결합 부재와 상기 수형 결합 부재를 압입 방향의 축을 따라 정렬시킨 상태로부터 상기 암형 결합 부재가 확대 축소해서 상기 수형 결합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상태와, 압입 동작에 의해 이행시킬 수 있는 결합을 보조하는 보조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부기 항 2)
선단부 처치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훅을 갖는 조작 장치와,
상기 훅을 파지하는 적어도 2개의 결합 아암으로, 상기 훅을 압입해서 결합할 수 있는 상기 결합 아암을 갖는 선단부 처치부와,
상기 선단부 처치부를 내포하는 카트리지로, 외부 직경을 둘러싸는 상기 결합 아암과 상기 훅이 압입 축을 따라 정렬시킨 상태로부터, 외부 직경이 넓어져 상기 결합 아암을 확대 축소할 수 있어 처치부와 상기 훅을 결합할 수 있는 상태와, 압박 동작에 의해 이행하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부기 항 3)
상기 선단부 처치부가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항 (2)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부기 항 4)
가는 직경부[탄성 아암부 직경 축소부(79a)]를 갖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되어, 클립 본체가 손잡이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 본체 계지부[클립 아암 축소부(77c), 돌몰 윙 수납 오목부(78b)]와,
상기 클립 본체 계지부에 접촉한 클립 본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클립 본체에 설치된 계지점[클립 아암(61b), 돌몰 윙(63h)]과,
상기 계지점으로부터 클립 본체의 기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상기 계지부로부터 상기 가는 직경부 기단부까지의 거리 쪽이 길어지도록 설치된 가는 직경부 기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70).
(부기 항5)
클립의 클립 아암의 개폐를 허용하는 암 개폐 허용부[클립 수납부(77)]와,
상기 허용부의 기단부에 설치된 수용부[누름 관 수납부(78)]와,
상기 수용부의 기단부에 설치된 직경 확대부[탄성 아암부 직경 확대부(78a)]와,
상기 수용부와 직경 확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와 직경 확대부를 매끄럽게 접속하는 이행부[경사면부(88)]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70).
(부기 항 6)
상기 암 개폐 허용부는, 선단부 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항 (5)에 기재된 카트리지(70).
(부기 항 7)
클립(61)과,
이 클립의 기단부에 접속된 연결 부재(62)와,
상기 클립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 부재의 일부를 덮는 통 형상의 고정 부재(63)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클립과의 접속이 파단에 의해 해제되면 상기 클립이 체벽에 유치되는 클립 유닛(60)과,
상기 클립 유닛을 내부에 수납 가능한 시스(20)를 갖고, 상기 클립과 상기 연결 부재와의 접속을 파단에 의해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플리케이터(10)를 구비하는 클립 시스템이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부착한 상태에서, 다른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의 장착을 방지하는 연결 방지부(62f)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시스템.
(부기 항 8)
체벽에 장착되는 클립 본체(61, 63)와,
상기 클립 본체의 기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클립 본체와 파단에 의해 접속이 해제되는 연결 부재(62)를 갖는 클립 유닛(60)과,
상기 클립 유닛을 내부에 수용 가능한 시스(20)와,
상기 클립 유닛의 상기 연결 부재의 기단부에 착탈 가능한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의 기단부에 접속된 와이어(32)를 갖고, 상기 시스의 내측에 삽입 통과된 와이어 부재(30)를 갖고,
상기 클립 유닛의 상기 클립 본체와 상기 연결 부재와의 사이를 파단시키는 것이 가능한 클립 본체 유치용 어플리케이터(1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다른 클립 유닛의 연결 부재의 기단부와의 결합을 방지하는 결합 방지 수단(62f)을 선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시스템.
(부기 항 9)
상기 연결 부재(62)는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개폐 가능한 한 쌍의 결합 아암(62k)을 그 기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결합 방지 수단(62f)은 상기 결합 아암이 결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도록,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항 (8)에 기재된 클립 시스템.
(부기 항 10)
한 쌍의 클립 아암(61b)을 갖고, 이들의 클립 아암이 폐쇄됨으로써 체벽에 유치되는 클립(61)과,
상기 클립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립 아암의 개폐를 조정하는 통 형상의 고정 부재(63)와,
상기 클립의 기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고정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과 파단에 의해 접속이 해제되는 연결 부재(6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평면부(62g, 62i)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그 내주면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평면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체결 부재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평면부(6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유닛.
(부기 항 11)
처치구(60)를 내부에 수납하고, 멸균 팩(90) 안에 멸균 상태로 배치되는 보호 케이스(70)이며,
상기 멸균 팩을 깨는 파열 돌기(74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70).
(부기 항 12)
처치구(60)를 내부에 수용하고, 멸균 팩(90) 안에 멸균 상태로 배치되는 보호 케이스(70)이며,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멸균 팩을 찢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파열 돌기(74a)와,
상기 파열 돌기의 꼭지점을 잇는 선의 중심선 상에서, 상기 일측면과 다른 측면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처치구를 상기 보호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꺼내는 어플리케이터(10)의 삽입구(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케이스(70).
본 발명에 따르면, 처치구의 연결 부재와 도입 장치를 확실하게 결합 가능하게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를 도입 장치에 확실하게 결합 가능한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내시경의 채널(95a) 내로 삽입 통과 가능한 관 형상 부재(20)와, 이 관 형상 부재의 내강에 상기 관 형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삽입 통과된 와이어(32)와, 이 와이어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의 선단부에 대하여 돌출 및 인입 가능한 접속부(31)를 갖는 도입 장치(10)와,
    상기 접속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62b)를 기단부에 갖는 연결 부재(62, 96b, 98c)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처치구 본체를 갖는 처치구와,
    상기 처치구가 수납되어, 상기 접속부와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킬 때에 사용되는 카트리지(70)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처치구가 수납되는 처치구 수납부(73)를 구비하고,
    상기 처치구 수납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도입 장치의 상기 접속부의 결합을 방지하는 연결 부재 수납부(79)와,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의 선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치구 본체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에 상기 도입 장치의 상기 접속부를 결합할 때에 그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 허용부(78a)를 갖는 처치구 본체 수납부(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본체는 상기 연결 부재(62)의 선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개각된 한 쌍의 클립 아암(61b)을 갖는, 체벽에 유치 가능한 클립 본체(61, 63)를 구비하고,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76)는, 그 선단부에 테이퍼면(77a)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62b)가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79)로부터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를 향해 이동할 때에, 상기 테이퍼면에 상기 클립 아암(61b)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클립 아암의 개각도가 변경되면서 상기 결합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본체는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개각된 한 쌍의 클립 아암(61b, 96c)을 구비하고,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76)는, 그 선단부에 테이퍼면(77a)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62b)가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79)로부터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상기 테이퍼면에 상기 클립 아암(61b, 96c)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클립 아암의 개각도가 변경되면서 상기 결합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4.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어, 체강 내로 도입되는 도입 장치(1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62b)를 기단부에 갖는 연결 부재(62, 96b, 98c)와,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된 처치구 본체를 포함하는 처치구를 수납하는 카트리지(70)이며,
    상기 처치구가 수납되는 처치구 수납부(73)를 구비하고,
    상기 처치구 수납부는,
    상기 처치구 수납부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처치구의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도입 장치의 선단부의 결합을 방지하는 상태로 상기 결합부를 유지하는 연결 부재 수납부(79)와,
    상기 도입 장치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부가 결합될 때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처치구 수납부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도입 장치의 선단부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 허용부(78a)를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의 선단부 측에 갖는 처치구 본체 수납부(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수납부(73)는, 상기 처치구가 수납되는 한 쌍의 케이스(71, 72)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가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76) 및 연결 부재 수납부(79)의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할 때에,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그 기단부가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 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본체는 상기 연결 부재(62;96b)의 선단부에 연결된 대략 Y자 형상의 클립 본체(61, 63, 96a)를 구비하고,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76)에는 상기 클립 본체(61, 63, 96a)가 수납되고,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는 상기 클립 본체가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의 기단부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클립 본체가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의 일부와 접해서 계지되는 계지점(77c, 78a)을 갖고,
    상기 계지점과 상기 연결 부재의 기단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계지점과 상기 연결 부재 수납부의 기단부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70).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본체는 상기 연결 부재(62, 96b)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개각된 한 쌍의 클립 아암(61b, 96c)을 갖고, 체벽에 유치 가능한 대략 Y자 형상의 클립 본체(61, 63)를 구비하고,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76)에는, 그 클립 본체가 배치되고,
    상기 처치구 본체 수납부는 상기 클립 아암의 개각도가 변경되면서 상기 클립 아암의 선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테이퍼면(77a)을 선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수납부(73)와 상기 결합 허용부(78a) 사이에는, 이들을 매끄럽게 접속하는 경사면부(88)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20067023796A 2004-12-07 2005-11-30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KR10083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3796A KR100832957B1 (ko) 2004-12-07 2005-11-30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4618 2004-12-07
KR1020067023796A KR100832957B1 (ko) 2004-12-07 2005-11-30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903A KR20070031903A (ko) 2007-03-20
KR100832957B1 true KR100832957B1 (ko) 2008-05-27

Family

ID=4164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796A KR100832957B1 (ko) 2004-12-07 2005-11-30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95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61B1 (ko) 2013-06-27 2013-12-11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 2014-11-13 2016-03-09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903502B1 (ko) 2018-05-17 2018-10-02 최원준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의 클립유닛이 내장된 카트리지
KR20190091771A (ko)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솔메딕스 내시경용 지혈클립
KR20220055203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KR20220162035A (ko) * 2021-05-28 2022-12-07 주식회사 엔도로보틱스 텐던-쉬스 구동 장치 및 로봇팔 구동 장치
KR20230055198A (ko)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KR20230090742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2894B2 (ja) * 2007-09-18 2013-01-1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10542868B2 (en) * 2014-09-10 2020-01-2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mating catheter tips and tools
KR101703453B1 (ko) * 2015-11-25 2017-02-06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93631B1 (ko) * 2016-12-23 2017-11-03 (주) 태웅메디칼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999525B1 (ko) * 2019-02-01 2019-07-12 (주) 태웅메디칼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US20220096089A1 (en) * 2019-02-01 2022-03-31 Taewoong Medical Co., Ltd. Cartridge, and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130A (en) 1977-04-08 1979-03-27 Samuels Peter B Hemostatic clip, clip applicator and cartridge therefor
US4936447A (en) 1989-09-26 1990-06-26 Horizon Surgical Inc. Hemostatic clip holder
US20050143767A1 (en) * 2002-08-21 2005-06-30 Olympus Corporation Living tissue lig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130A (en) 1977-04-08 1979-03-27 Samuels Peter B Hemostatic clip, clip applicator and cartridge therefor
US4936447A (en) 1989-09-26 1990-06-26 Horizon Surgical Inc. Hemostatic clip holder
US20050143767A1 (en) * 2002-08-21 2005-06-30 Olympus Corporation Living tissue ligation devic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61B1 (ko) 2013-06-27 2013-12-11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 2014-11-13 2016-03-09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20190091771A (ko) 2018-01-29 2019-08-07 주식회사 솔메딕스 내시경용 지혈클립
KR101903502B1 (ko) 2018-05-17 2018-10-02 최원준 내시경용 클립처치기구의 클립유닛이 내장된 카트리지
KR20220055203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KR20220162035A (ko) * 2021-05-28 2022-12-07 주식회사 엔도로보틱스 텐던-쉬스 구동 장치 및 로봇팔 구동 장치
KR102537189B1 (ko) 2021-05-28 2023-05-30 주식회사 엔도로보틱스 텐던-쉬스 구동 장치 및 로봇팔 구동 장치
KR20230055198A (ko)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KR20230090742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KR20240016376A (ko) 2021-12-15 2024-02-0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지혈제 분사기
KR20240017032A (ko) 2021-12-15 2024-02-0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 캡이 적용된 지혈제 분사기
KR20240017033A (ko) 2021-12-15 2024-02-0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출혈부위에 지혈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지혈제를 분사하는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903A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957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JP4700608B2 (ja) 内視鏡用処置具システム、および、処置具が内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US5817111A (en) Open loop suture snare
KR20060123526A (ko) 내시경용 도입 장치
US7727247B2 (en) Living tissue ligation device
JP4472217B2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US5814051A (en) Suture anchor insertion system
EP2455013B1 (en) Clip unit case for ligating device for biological tissue
US7806870B2 (en) Elastically deformable surgical access device having telescoping guide tube
JP4427070B2 (ja) クリップケース
EP1884207B1 (en) Medical suture ligation device
JP4242614B2 (ja) 生体組織の結紮装置
EP3534805B1 (en) User actuated reloadable clip cartridge
JP4472719B2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JP2022507535A (ja) 保持特徴部を有する組織回収システム
EP3457955B1 (en) Reloadable applicator for hemostatic clips
JP2009022776A (ja) 生体組織の結紮装置
JP2007196012A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CN115151202A (zh) 盒系统
JP2009011852A (ja) 生体組織の結紮装置
JP2009268637A (ja) ダミークリップ、連結クリップパッケージ、クリップ装填方法
US20240108355A1 (en) Cartridge system, cartridge and method for loading clip unit
JP2022179466A (ja) クリップユニットおよびクリップアプリケータ
JP2009022777A (ja) 生体組織の結紮装置
EP1977698B1 (en) Loading device for indwelling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