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525B1 -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525B1
KR101999525B1 KR1020190013268A KR20190013268A KR101999525B1 KR 101999525 B1 KR101999525 B1 KR 101999525B1 KR 1020190013268 A KR1020190013268 A KR 1020190013268A KR 20190013268 A KR20190013268 A KR 20190013268A KR 101999525 B1 KR101999525 B1 KR 10199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nnection port
pair
connec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민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01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525B1/ko
Priority to PCT/KR2020/001454 priority patent/WO2020159273A1/ko
Priority to US17/427,067 priority patent/US20220096089A1/en
Priority to JP2021544597A priority patent/JP2022518957A/ja
Priority to CN202080011505.1A priority patent/CN11341209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내부배치된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접속구와 타단이 접속연결되어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작동부 ; 상기 클립의 한쌍의 집게편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를 갖추어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작동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 및 상기 제1수용부를 통과하면서 벌림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클립의 선단을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와 접하여 정지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제3수용부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한쌍의 배치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 형성되는 접촉안내면으로부터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와 근접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한쌍의 배치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탄성편 및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탄성편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클립 받침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CONNECTING DEVIC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에 사용되는 처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에 삽입관내에 왕복이동되는 와이어의 접속구와 간편하게 걸림연결하고, 충분한 크기의 걸림력을 확보하여 클립의 오므림 및 벌림작동시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간의 접속연결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내시경 분야는 소화기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어 있으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즉 내시경 치료술은 초소형 고체촬상소자의 출현으로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기술의 발전, 워킹채널을 통한 다양한 진단,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수기의 숙련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위암 또는 대장암과 같은 경우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의 등장과 더불어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로 삽입되는 처치구를 통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을 수행함으로써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조기위암 또는 조기 대장암 등의 내시경적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또는 내시경 점막절제술(EMR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시술 시 내시경의 워킹채널을 통하여 삽입되는 처치구에 사용되는 처치용 툴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즉 처치구를 구성하는 처치바디와 연결되고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에 삽입되는 튜브를 통하여 처치구를 신체 내부로 진입시켜 사용하게 되는 데, 통상적으로 조직의 점막절제에 사용하는 나이프(Knife)와, 점막절제 등의 과정에서 출혈시 지혈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코어귤레이터(Coagulator)와, 절제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조직을 부풀리기 위한 수단으로 식염수 등을 주입하는 데 필요한 약물 주입을 위한 니들(Needle) 및 출혈 등으로 인한 시야 확보의 용이성을 위한 워셔액의 주입 등 다양한 종류의 처치구를 사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1793631 B1
특허문헌 1에는 제1수용부측으로 선단이 연장되는 분리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3수용부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체를 구비하는 이동관 분리부를 포함함으로써, 삽입관과 접하여 강제이동되는 외부이동관이 스토퍼를 통과하여 클립에 위치되면서 제1수용부내의 클립을 오므림상태로 전환시키고, 제1수용부내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선단이 분리바의 단부와 접해진 상태에서 접속구를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하고, 클립에 위치하는 외부이동관을 이동관 분리부까지 이동시켜 분리하는 내시경 처치구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를 카트리지로부터 외부로 분리한 다음, 삽입관내에 구비된 와이어를 전후진 작동시킴으로써 클립연결체의 제1연결구와 연결된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접속구와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간의 불안정한 접속연결에 기인하여 상기 접속구가 클립연결체로부터 분리되는 제품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어와 연결된 접속구가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에 접속연결되는 결합력을 높여 클립의 벌림작동시 접속구와 클립연결체간의 접속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집중응력에 의해서 접속구가 클립연결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삽입관의 내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의 선단에 접속구를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및 상기 클립과 일단이 걸림연결되는 클립연결체를 갖추어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속구와 클립연결체를 접속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원추단면상의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추단면상의 제2접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연결체는 상기 클립의 연결판이 걸림연결되는 걸림홈을 갖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접속구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접속결합되는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접속구와 대응하는 단부에 슬릿라인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 및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사이를 탄력적으로 벌리도록 진입되는 제1,2접속구가 삽입배치되는 공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에 상기 제1접속구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 상기 제2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연결구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내부턱을 외부노출시키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2접속구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슬릿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상기 제2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는 상기 제2접속구에 함몰형성된 요홈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선단에 제1접속구와 제2접속구로 이루어지는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내부배치된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일단이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접속구의 제1,2접속구와 타단이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2연결구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구비하는 클립연결체를 갖추어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작동부 ; 및 상기 클립의 한쌍의 집게편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를 갖추어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작동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는 원추단면상의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추단면상의 제2접속구를 포함하고,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접속구와 대응하는 단부에 슬릿라인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 및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사이를 탄력적으로 벌리도록 진입되는 제1,2접속구가 삽입배치되는 공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에 상기 제1접속구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 상기 제2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상기 제1수용부를 통과하면서 벌림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클립의 선단을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와 접하여 정지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제3수용부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한쌍의 배치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 형성되는 접촉안내면으로부터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와 근접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한쌍의 배치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탄성편 및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탄성편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클립 받침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관 분리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출구단과 대응하는 단부에 상기 제1수용부측으로 향하여 벌어진 벌림각을 형성하는 노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수용부를 통과하면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어 모아지는 한쌍의 집게편 선단이 상기 노치부에 접하여 정지될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관 분리부는 상기 클립을 따라 이동되는 외부이동관이 대응삽입되는 일정길이의 분리바와, 상기 분리바의 단부에 상기 외부이동관의 내부면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분리감지부를 포함할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용부에 형성되는 접촉안내면은 서로 다른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제1접촉안내면과 제2접촉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안내면과 제2접촉안내면사이의 경계에 상기 한쌍의 집게편의 톱니부가 절곡형성되는 절곡부위가 접하여 벌림 대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부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탄성편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클립 받침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쌍의 탄성편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은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쌍의 탄성편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는 오므림 변형되어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에 접해지는 클립의 선단 외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고정하도록 평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2접속구로 이루어지는 접속구가 클립연결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탄성걸림편을 통하여 공동부를 삽입배치됨으로써 제1접속구가 공동부에 형성되는 내부턱에 걸림연결되면서 제2접속구가 걸림탄성편에 걸림연결되어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간의 접속연결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전후진 작동에 의한 클립의 벌림 및 오므림 작동시 접속구가 클립연결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수용부와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와의 사이에 오므림 상태로 전환되는 클립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제3수용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함으로써 오므림 상태로 전환되는 클립의 선단을 사전에 설정된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속하는 접속연결작업을 불량없이 수행할 수 있어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외부이동관이 통과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분리감지부를 이동관 분리부에 구비함으로써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클립을 통과하여 분리바에 분리제거되는 외부이동관의 제거여부를 추가적인 구성부품의 필요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내부에서 클립연결체와 접속구를 접속연결하고, 삽입관을 카트리지의 외부로 분리인출하는 후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고,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서 카트리지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삽입부, 클립 및 클립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삽입부, 클립 및 클립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카트리지에 클립, 클립작동부 및 이동관 분리부를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클립작동부와 접속구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클립작동부와 접속구간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클립작동부와 접속구간의 결합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카트리지에 클립, 클립작동부 및 이동관 분리부를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구(113)를 갖는 삽입부(110),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갖는 클립(120), 클립연결체(131)를 갖는 클립작동부(130) 및 카트리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0)는 도 1 과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중공관 형태로 구비되는 삽입관(111)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관(111)의 내부공을 통해 외력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조작용 와이어인 일정길이의 와이어(112)를 포함하여 시술시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관(111)은 내시경의 삽입부에 형성되는 만곡부위를 따라 자연스럽게 만곡되도록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120)과 대응하는 삽입관(111)의 단부까지 전진되어 노출되는 와이어(112)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클립연결체(131)의 후단과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접속구(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구(113)는 상기 클립작동부와 대응하는 원추단면상의 제1접속구(113a)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구(113a)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추단면상의 제2접속구(113b)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속구(113b)의 후방에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삽입관과 더불어 카트리지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구(113a), 제2접속구(113b) 및 삽입체(114)는 일체형 구조물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112)의 선단에 압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111)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을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체(114)는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진입이 용이하도록 선단 일부에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부(110)는 시술사용자의 와이어 취급시 시술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삽입체(114)의 후단에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삽입관(111)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코일형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져 삽입체에 용접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113)를 선단에 구비하는 와이어(112)의 후단은 상기 삽입관내에 배치된 와이어(112)의 전후진조작이 가능하도록 조작손잡이와 연결된다.
상기 클립(120)은 도 3a, 도 3b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간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구비하여 상기 카트리지(140)에 내부수용되어 보관되고, 상기 접속구(113)와 연결된 상태에서 클립작동부와 더불어 카트리지(140)로부터 외부로 분리된 다음, 시술부위를 파지하여 제거하는 내시경 시술이 가능하도록 내시경 채널 내로 삽입되는 것이다.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은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된 일단에 톱니부(122a,122b)를 갖는 일정길이의 집게판(123a,123b)과, 상기 집게판(123a,123b)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서로 교차되는 교차판(124a,124b)과,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교차판(124a,124b)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톱니부(122a,122b)는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한쌍의 집게편(121a,121b)간의 근접에 따른 오므림 작동시 서로 맞물려 내시경을 통한 시술시 인체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파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집게판(123a,123b)의 각 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집게판(123a,123b)은 대략 원형공 단면상으로 이루어진 내시경 채널 내부로의 진입시 마찰저항에 의한 채널 내부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판(124a,124b)은 상기 집게판(123a,123b)의 판폭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폭크기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교차되며, 상기 연결판(125)은 상기 교차판(124a,124b)의 각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대략 'ㄷ' 단면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차판(124a,124b)의 폭은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의 탄성적인 벌림 및 오므림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집게판(123a,123b)의 대략 1/2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판(123a,123b)과 교차판(124a,124b)사이 경계영역에는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클립(120)의 오므림 전환시 오므려진 집게판(123a,123b)측으로 이동되는 스토퍼(135)의 선단과 접촉하면서 상기 집게판(123a,123b)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35)의 선단이 간섭되어 걸리는 제1걸림턱(126a,126b)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교차판(124a,124b)과 연결판(125)사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집게판(123a,123b)측으로 밀림이동되는 스토퍼(135)의 선단과의 접촉시 상기 집게판(123a,123b)의 최대벌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35)가 간섭되어 걸리는 제2걸림턱(127a,127b)을 외측으로 돌출형성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집게판(123a,123b)의 선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각도로 톱니부(122a,122b)가 절곡형성되는바, 상기 집게판과 톱니부와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각도(θ)는 대략 90°로 이루어지거나 90°보다 큰 둔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곡각도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어 서로 접하게 되는 한쌍의 톱니부는 선단이 판상으로 합형되거나 뾰족한 돌출형으로 합형되어 시술시 인체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클램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클립작동부(130)는 도 3a, 도 3b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12)의 전후진 왕복작동에 연동하여 한쌍의 집게편(121a,121b)으로 이루어지는 클립(120)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내측으로 오므림작동시킬 수 있도록 클립연결체(131), 스토퍼(135) 및 외부이동관(1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립작동부(130)는 상기 클립(120)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140)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며,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서 상기 클립(120)과 결합된 클립연결체(131)와 접속구(113)간의 접속연결시 상기 카트리지(140)의 외부로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클립연결체(131)는 상기 클립(120)의 후단인 연결판(125)이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131a)를 일단인 선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113)의 제1,2접속구(113a,113b)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림연결되는 제2연결구(131b)를 타단인 후단에 갖추어 상기 클립(120)과 접속구(113)와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상기 제1연결구(131a)는 상기 집게편(121a,121b)의 후단에 구비된 연결판(125)이 걸림배치되도록 요홈(132b)을 형성하는 걸림턱(132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120)과 클립연결체(131)간의 연결은 상기 스토퍼(135)의 안내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클립연결체의 선단인 제1연결구(131a)가 스토퍼의 선단을 통해 외부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의 연결판(125)을 요홈(132b)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하부로 대응삽입하면, 상기 연결판(125)이 요홈에 걸림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120)을 클립연결체(131)의 걸림턱(132a)에 연결하고, 이러한 연결상태로 카트리지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클립(120)과 클립연결체(131)를 서로 분리하는 작업은 상기 클립의 연결판(125)을 요홈으로부터 들어올려 상기 걸림턱(132a)과의 걸림연결을 해제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수행될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구(131b)는 도 5 및 도 6a,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단면상의 제1,2접속구(113a,113b)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는 접속구(113)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슬릿라인(133a)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연결구(131b)는 상기 제1접속구와 대응하는 단부에 슬릿라인(133a)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사이를 탄력적으로 벌리도록 진입되는 제1,2접속구(113a,113b)가 삽입되어 걸림배치되는 공동부를 몸체 내부에 형성한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2접속구로 이루어지는 접속구가 진입안내되는 안내홈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안내홈의 입구단에는 상기 제1접속구의 초기진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안내면(133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구(131b)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접속구(113a)가 걸림연결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내부턱(133b)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부에 삽입배치되는 제2접속구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의 내측단에 걸림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접속구(113b)가 걸림연결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의 내측단에는 상기 제2접속구(113b)에 함몰형성된 요홈과 접촉하는 돌출부(133c)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접속구에 형성되는 요홈과 이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걸림편에 형성되는 돌출부(133c)는 경사진 접촉경계면을 형성함으로써, 이들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면서 벌어진 한쌍의 탄성걸림편을 모아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것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구(131b)의 일측 외부면에는 상기 공동부에 삽입배치되는 제1접속구(113a)가 걸림연결되는 내부턱(133b)을 외부노출시키도록 절개형성되는 제1절개부(T1)를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구(131b)의 타측 외부면에는 상기 슬릿라인(133a)으로부터 연장되어 한쌍의 탄성걸림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절개부(T2)를 절개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구(113)와 클립연결체(131)는 상기 제1접속구(113a)와 제2접속구(113b)가 제2연결구(131b)의 공동부에 삽입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접속구(113a)와 내부턱(133d)간의 걸림에 의한 접속연결 및 상기 제2접속구(113b)와 탄성걸림편(133)간의 걸림에 의한 접속연결에 의해서 서로 접속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립(120)과 접속구(113)는 카트리지 내부에서 클립연결체(131)를 매개로 하여 서로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이들은 삽입관내에 구비된 와이어의 전후진 조작에 의하여 스토퍼 내부인 안내공에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립연결체(131)는 상기 클립이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131a)와, 상기 접속구의 제1,2접속구(113a,113b)가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131b)와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바(131c)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131c)는 상기 스토퍼(135)를 관통하는 안내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바의 외부면과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저항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135)의 안내공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클립연결체(131)의 왕복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131c)의 외부면과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 내부면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빈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이동관(137)의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135c)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수축변형이 가능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편(135c)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살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설계하는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구(131a)와 연결바(131c)의 일단 사이 그리고 상기 제2연결구(131b)와 연결바(131c)의 타단사이에는 상기 클립연결체(131)를 스토퍼(135)의 안내공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토퍼(135)에 형성된 안내공의 내경크기와 대략 동일한 외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외접하는 제1,2외경부(131d,131e)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클립연결체(131)가 내부 삽입되어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스토퍼의 외부면에는 자유단부가 외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한쌍의 날개편(135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5)는 길이중간 외부면에 절개형성되는 한쌍의 절개부(135d)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날개편(135c)을 갖추어 상기 클립연결체(131)의 제1,2외경부(131d,131e)가 대응결합되어 내부배치되는 제1스토퍼관체(135a)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12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131a)와 대응결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스토퍼관체의 선단과 접하는 제2스토퍼관체(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측으로 벌어진 한쌍의 날개편(135c)의 자유단은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삽입되어 삽입관의 외력에 의해서 이동되는 외부이동관(137)의 선단과 접해져 걸림으로써, 상기 외부이동관(137)의 후단과 접하여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142)내로 진입되는 삽입관(111)의 전진작동시 상기 삽입관의 선단에 걸림연결된 외부이동관은 상기 카트리지의 제1수용부내에 벌림배치된 클립을 오므림 상태로 전환시키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3수용부측으로 삽입관과 더불어 전진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쌍의 날개편(135c)을 형성하는 제1스토퍼관체(135a)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클립과 연결된 제1연결구(131a)가 내부배치되는 제2스토퍼관체(135b)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외부인출된 클립의 클램핑 조작시 상기 클립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스토퍼관체(135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 및 강도를 갖는 수지소재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퍼(135)는 일정길이를 갖는 제1스토퍼관체(135a)와,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관체(135b)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스토퍼관체가 이중사출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된 중공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제1수용부에 클립연결체의 제1연결구와 걸림연결된 클립을 내부배치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에 클립연결체를 내부배치하여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의 후단으로 외부노출된 제2연결구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내의 와이어 단부에 구비되는 제1,2접속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될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구(131b)와 대응하는 제2외경부(131e)에는 상기 스토퍼(135)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홈(135f)에 대응결합하도록 돌출형성된 결합턱(131f)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홈과 결합턱간의 상호결합에 의한 끼움조립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내 배치된 클립연결체(131)의 내부회전이 곤란하도록 상기 스토퍼(135)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이동관(137)은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135c)을 스토퍼의 외부면과 일치되도록 수축시키면서 클립(120)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되는 중공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이동관(137)은 상기 날개편(135c)과 대응하는 선단 내주면에 경사면(137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날개편의 자유단과의 접촉시 걸림발생없이 날개편의 자유단을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스토퍼의 외부면을 따라 전진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관(111)의 선단과 대응하는 외부이동관(137)의 후단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관(111)의 선단이 걸림배치되도록 단턱(137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내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선단이 상기 외부이동관의 후단에 형성된 단턱과 접하여 걸림연결된 상태에서 시술조작자가 파지하게 되는 삽입관의 전진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외부이동관은 제1수용부에 내부배치된 클립과 제2수용부에 내부배치된 클립작동부와 더불어 상기 카트리지의 제3수용부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이동관의 선단이 제1수용부에서 벌림대기하는 클립(120)과 접해지고, 상기 클립(120)의 한쌍의 집게편 선단이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되는 안내부의 한쌍의 탄성편(145a)에 접해지면서 클립은 벌림대기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고, 오므림 전환되는 클립은 삽입관과 더불어 전진이동되는 외부이동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140)는 도 1, 도 2 및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120)의 집게편(121a,121b)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141)와, 상기 클립작동부(130)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142)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어 외부이동관(137)을 분리하는 이동관 분리부(144)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143)를 갖추어 상기 클립(120)과 이에 연결된 클립작동부(130)를 내부수용하는 수용체이다
상기 제1수용부(141)는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으로 이루어진 클립(120)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대기하고,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측으로 강제 이동되는 클립(120)을 오므림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대략 마름모형상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용공간이다.
여기서, 상기 제1수용부(141)에는 외측으로 벌어진 클립의 집게편(121a,121b)과 마주하는 내부경사면(141c)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경사면(141c)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수용부(143)측으로 모아지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에 구비된 한쌍의 집게편과의 접촉시 안내이동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오므림 전환시키는 접촉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경사면(141c)은 상기 제2수용부(142)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서서히 좁아지는 제1수용부의 경사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접촉안내면은 상기 제3수용부(143)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서서히 좁아지는 제1수용부의 다른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안내면은 서로 다른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제1접촉안내면(141a)과 제2접촉안내면(14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안내면과 제2접촉안내면사이의 경계에 상기 한쌍의 집게편의 톱니부(122a,122b)가 절곡형성되는 절곡부위가 접하도록 위치하여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수용부(143)에 인접하는 제2접촉안내면(141b)의 경사면은 상기 내부경사면(141c)에 인접하는 제1접촉안내면(141a)의 경사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경사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수용부(142)는 상기 클립(120)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31)가 안내공에 대응삽입되고, 외부이동관(137)이 외면에 대응삽입된 스토퍼(135)를 포함하는 클립작동부(130)가 배치되어 대기하게 되고, 상기 제1수용부(141)의 입구단과 연통되는 직선형 수용공간이다.
상기 클립연결체(131)와 조립된 스토퍼(135)는 제2수용부(142)에 배치되어 대기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형성된 날개편(135c)의 자유단은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대응삽입된 외부이동관(137)의 선단과 접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111)의 단부와 대응하는 제2수용부(142)의 입구단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단면상을 갖는 테이퍼진 입구단(142a)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이동관(137)의 후단에는 제2수용부내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선단과 접하도록 단턱(137b)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수용부의 테이퍼진 입구단을 통하여 내부 진입되는 삽입관(111)의 선단은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된 외부이동관의 단턱과 접해지면서 상기 외부이동관을 클립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삽입관을 통하여 외력을 외부이동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수용부(141)와 제3수용부(143)와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의 접촉안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오므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이동되는 클립의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의 단부에 정지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14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이 배치되는 제1수용부(141)와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143)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고 클립이 통과하는 통로측으로 개방된 한쌍의 배치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배치부(146)에는 상기 제1수용부(141)의 내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촉안내면인 제2접촉안내면(141b)으로부터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의 단부와 근접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쌍의 탄성편(145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배치부(146)에 위치하는 한쌍의 탄성편(145a)은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클립받침턱(145b)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관 분리부측으로 안내이동되는 클립의 일측 모서리인 하부모서리가 상기 클립받침턱(145b)의 상부면에 접해짐으로써 오므림 변형되는 클립을 이동관 분리부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받침턱(145b)이 형성되는 한쌍의 탄성편(145a)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은 오므림변형되는 클립의 톱니부(122a,122b)와 안정적으로 접하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쌍의 탄성편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는 오므림 변형되어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에 접해지는 클립의 선단 외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평면부(145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탄성편(145a)과 상기 제1수용부(141)의 출구단사이에는 외측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145c)을 형성한다.
상기 절개홈에 의해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탄성편의 탄성복원력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카트리지의 제1수용부에서 제3수용부측으로 삽입관과 더불어 직진이동되는 클립과의 접촉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된 한쌍의 탄성편(145a)은 상기 삽입관과 외부분리링의 분리제거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수용부를 연속하여 통과하는 삽입관의 선단에 결합된 외부이동관은 상기 안내부의 탄성편과 접해지면서 상기 탄성편을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제3수용부의 내부로 진입됨으로써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한쌍의 집게편의 선단을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의 단부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수용부(143)는 상기 제1수용부(141)와 연통되어 상기 삽입관과 더불어 진입되는 외부이동관(137)이 대응삽입되어 분리제거되도록 선단이 상기 안내부(145)까지 연장되는 이동관 분리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관 분리부(144)는 상기 클립을 따라 이동되는 외부이동관(137)이 대응삽입되어 분리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원기둥상의 분리바(144a)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145)와 마주하는 분리바(144a)의 단부에 클립을 거쳐 분리제거되는 외부이동관(137)의 내부면과의 접촉시 일정세기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분리감지부(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바(144a)는 상기 제3수용부(143)의 중심에 정위치시키도록 상기 분리바(144a)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3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위치고정되는 고정체(144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바(144a)의 외경은 상기 외부이동관(137)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체(144d)는 상기 제3수용부의 밀폐단에 형성되는 고정보스(144e)에 끼움조립되는 끼움공을 갖추어 착탈가능하게 위치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트리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이동관(137)을 분리바에 대응삽입하여 클립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삽입관을 전진이동시키는 조작자는 상기 외부이동관(137)과 분리감지부(144b)간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삽입관을 통하여 전달되면서 이를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분리바에 위치하는 외부이동관(137)의 분리여부를 감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이상의 과도한 삽입관 진입이동을 중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클립과 클립작동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을 카트리지로부터 분리이탈하는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이동관이 분리바에 위치하여 분리되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외부이동관의 내부면과 상기 분리감지부의 외부면사이에서 1차적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을 근거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수용부내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내부면과 상기 분리감지부의 외부면사이에서 2차적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을 근거로 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141)의 출구단과 대응하는 단부에 상기 제1수용부(141)의 출구단측으로 향하여 일정각도 벌어진 벌림각을 형성하는 노치부(14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치부(144c)는 내측으로 오목한 대략 V자형으로 절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수용부(141)를 통과하면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어 모아지는 한쌍의 집게편 선단이 상기 노치부(144c)에 정확히 접해지면서 상기 클립을 제3수용부측으로 진입시키지 않고 정지시키는 반면에 상기 삽입관의 전진이동에 의해서 외부이동관을 상기 분리감지부를 거쳐 분리바까지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완전 분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노치부(144c)에 선단이 접하여 정지되는 클립(120)은 오므림 전환시 합쳐져 뾰족해지는 톱니부(122a,122b)가 미끄러지거나 외부이탈없이 상기 노치부에 정확히 삽입되면서 면접촉할 수 있도록 한쌍의 집게편의 단부에 둔각으로 절곡된 톱니부를 갖는 클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트리지(140)는 상기 제1수용부(141), 제2수용부(142) 및 제3수용부(143)를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함몰형성하여 합형되는 제1,2분할덮개(140a,140b)를 포함하고, 서로 마주하는 제1,2분할덮개의 내부면 중 어느 하나에는 합형시 대응조립되어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조립핀을 돌출형성하거나 조립홈을 함몰형성하고, 나머지 분할덮개에 형성되는 조립핀이나 조립홈간의 결합에 의해서 합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수용부(141)와 안내부(145)는 도면상 상부측 제1분할덮개(140a)와 합형되는 하부측 제2분할덮개(140b)의 길이중앙에 돌출형성된 융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분할덮개(140a)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내시경 처치구(100)를 이용하여 내시경 수술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용된 클립작동부(130)의 클립연결체(131)와 상기 삽입부(110)의 와이어(112) 선단에 구비된 접속구(113)의 제1,2접속구(113a,113b)를 서로 접속하여 연결한 다음, 상기 제1,2접속구와 접속연결된 클립작동부(130)를 클립과 더불어 카트리지(140)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인출하여야 한다.
먼저,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40)의 제1,2 및 3수용부(141,142,143)에는 상기 클립(120)과, 이에 연결된 클립작동부(130) 및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를 각각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110)의 삽입관(111)은 제2수용부(142)의 입구단에 대응하여 배치하며, 이때, 상기 클립(120)은 제1수용부(141)내에 벌림상태로 대기하고, 상기 스토퍼(135)의 날개편(135c)은 외부이동관(137)의 선단과 접해져 대기한다.
그리고,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삽입관(111)이 상기 제2수용부의 테이퍼진 입구단(142a)을 통하여 진입되면, 상기 삽입관의 선단인 단부는 외부이동관(137)의 후단에 형성된 단턱(137b)에 접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관(111)의 전진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삽입배치된 외부이동관(137)이 제2수용부내에서 클립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어 벌어져 있던 날개편(135c)의 자유단은 외력에 의해서 상기 외부이동관(137)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탄성변형되어 걸림해제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이동관은 삽입관과 더불어 상기 클립측으로 진입이동을 허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접속구(113a,113b)로 이루어지는 접속구(113)는 상기 클립연결체의 후단인 제2연결구와 접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삽입관 내부에 대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이동관(137)은 상기 삽입관의 전진이동에 의해서 제1수용부(141)에 벌림배치된 클립에 접하게 되고, 상기 클립의 한쌍의 집게편과 접하는 외부이동관의 계속적인 전진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수용부에 형성되는 접촉안내면의 제1,2접촉안내면과 상기 안내부의 한쌍의 탄성편에 의해서 한쌍의 집게편은 서로 모아지도록 오므려짐과 동시에 오므려지는 한쌍의 집게편은 상대이동되는 외부이동관의 내부로 진입되기 때문에 상기 한쌍의 집게편은 상기 안내부의 한쌍의 탄성편을 통과하면서 한쌍의 집게편에 절곡형성된 톱니부가 합쳐지도록 완전히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와 제3수용부사이에 구비되는 안내부의 탄성편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통과하면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한쌍의 집게편은 상기 탄성편의 내부면과 클립받침턱의 상부면과 접하여 궤도이탈없이 직진방향으로 안내이동되면서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의 단부 중앙에 형성된 노치부에 정확히 접하여 위치되어 정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8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120)의 선단이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인 노치부에 접해질때, 상기 클립(120)과 이에 연결된 클립연결체(131)의 전진이동은 정지되는 반면에 상기 외부이동관(137)은 외력에 의해서 계속 전진이동되는 삽입관과 더불어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관 분리부(144)의 분리바(144a)까지 이동되어 클립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리바(144a)까지 강제이동되어 분리된 외부이동관(137)의 분리여부는 상기 분리바의 단부에 형성된 분리감지부의 외부면과 분리대상물인 외부이동관의 내부면간에 발생하는 일정세기의 마찰력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외력을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삽입관이나 카트리지를 통하여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립작동부의 클립연결체와 상기 접속구의 제1,2접속구간의 접속연결은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노치부에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선단이 접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전진조작에 의해서 삽입관내의 접속구(113)를 구속정지된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131b)측으로 전진이동시키면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2접속구(113a,113b)가 제2연결구(131b)에 구비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을 양측으로 벌리면서 진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구의 몸체에 형성된 공동부에 삽입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에 상기 제1접속구(113a)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 상기 제2접속구(113b)가 걸림연결됨으로써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는 와이어에 의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접속연결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도 8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와 접속연결된 클립작동부 및 이에 연결된 클립을 내부수용한 삽입관을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인출하면,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는 외부이동관만이 잔류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클립(120)과 이에 연결된 클립작동부(130)를 내시경 채널을 통해 삽입한 다음, 클립의 클램핑 작동에 의해서 생체조직을 클램핑하여 제거하는 내시경 시술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삽입부
111 : 삽입관
112 : 와이어
113 : 접속구
113a,113b : 제1,2접속구
120 : 클립
121a,121b : 집게편
122a,122b : 톱니부
123a,123b : 집게판
124a,124b : 교차판
125 : 연결판
130 : 클립작동부
131 : 클립연결체
131a,131b : 제1,2연결구
131c : 연결바
132a : 걸림턱
132b : 요홈
133 : 탄성걸림편
133a : 슬릿라인
133b : 경사안내면
133c : 돌출부
135 : 스토퍼
135a : 날개편
137 : 외부이동관
140 : 카트리지
140a,140b : 제1,2분할덮개
141 : 제1수용부
132 : 제2수용부
143 : 제3수용부
144 : 이동관 분리부
144a : 분리바
144b : 분리감지부
144c : 노치부
145 : 안내부
145a : 탄성편
145b : 클립받침턱
145c : 절개홈
146 : 배치부

Claims (11)

  1. 삽입관의 내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의 선단에 접속구를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및 상기 클립과 일단이 걸림연결되는 클립연결체를 갖추어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속구와 클립연결체를 접속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원추단면상의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추단면상의 제2접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연결체는 상기 클립의 연결판이 걸림연결되는 걸림홈을 갖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접속구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접속결합되는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접속구와 대응하는 단부에 슬릿라인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 및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사이를 탄력적으로 벌리도록 진입되는 제1,2접속구가 삽입배치되는 공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에 상기 제1접속구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 상기 제2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1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내부턱을 외부노출시키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2접속구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슬릿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는 상기 제2접속구에 함몰형성된 요홈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연결장치.
  4. 선단에 제1접속구와 제2접속구로 이루어지는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내부배치된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일단이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접속구의 제1,2접속구와 타단이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2연결구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구비하는 클립연결체를 갖추어 상기 클립을 벌리거나 오므림작동시키는 클립작동부 ; 및
    상기 클립의 한쌍의 집게편이 벌림배치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클립작동부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단부가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부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를 갖추어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작동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는 원추단면상의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추단면상의 제2접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접속구와 대응하는 단부에 슬릿라인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 및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사이를 탄력적으로 벌리도록 진입되는 제1,2접속구가 삽입배치되는 공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에 상기 제1접속구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 상기 제2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를 통과하면서 벌림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클립의 선단을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와 접하여 정지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제3수용부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한쌍의 배치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 형성되는 접촉안내면으로부터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와 근접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한쌍의 배치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 분리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출구단과 대응하는 단부에 상기 제1수용부측으로 향하여 벌어진 벌림각을 형성하는 노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수용부를 통과하면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어 모아지는 한쌍의 집게편 선단이 상기 노치부에 접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 분리부는 상기 클립을 따라 이동되는 외부이동관이 대응삽입되는 일정길이의 분리바와, 상기 분리바의 단부에 상기 외부이동관의 내부면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분리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 형성되는 접촉안내면은 서로 다른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제1접촉안내면과 제2접촉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안내면과 제2접촉안내면사이의 경계에 상기 한쌍의 집게편의 톱니부가 절곡형성되는 절곡부위가 접하여 벌림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탄성편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클립 받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은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는 오므림 변형되어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에 접해지는 클립의 선단 외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고정하도록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20190013268A 2019-02-01 2019-02-01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999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68A KR101999525B1 (ko) 2019-02-01 2019-02-01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PCT/KR2020/001454 WO2020159273A1 (ko) 2019-02-01 2020-01-31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US17/427,067 US20220096089A1 (en) 2019-02-01 2020-01-31 Cartridge, and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comprising same
JP2021544597A JP2022518957A (ja) 2019-02-01 2020-01-31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有する内視鏡用処置具装置
CN202080011505.1A CN113412091A (zh) 2019-02-01 2020-01-31 匣盒及包括其的内窥镜用治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68A KR101999525B1 (ko) 2019-02-01 2019-02-01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525B1 true KR101999525B1 (ko) 2019-07-12

Family

ID=6725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268A KR101999525B1 (ko) 2019-02-01 2019-02-01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73A1 (ko) * 2019-02-01 2020-08-06 (주)태웅메디칼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3767A1 (en) * 2002-08-21 2005-06-30 Olympus Corporation Living tissue ligation device
KR20070031903A (ko) * 2004-12-07 2007-03-20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KR101340661B1 (ko) * 2013-06-27 2013-12-11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 2014-11-13 2016-03-09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03453B1 (ko) * 2015-11-25 2017-02-06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3767A1 (en) * 2002-08-21 2005-06-30 Olympus Corporation Living tissue ligation device
KR20070031903A (ko) * 2004-12-07 2007-03-20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KR101340661B1 (ko) * 2013-06-27 2013-12-11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 2014-11-13 2016-03-09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03453B1 (ko) * 2015-11-25 2017-02-06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73A1 (ko) * 2019-02-01 2020-08-06 (주)태웅메디칼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8761A (en) Surgical clip applier
JP5848827B2 (ja) 手動外科用結紮クリップアプライヤ
EP1762185B1 (en) Treating implement cartridge for living body tissue
US5387221A (en) Set of tools for suturing in deep surgical apertures or body cavities
JP3786731B2 (ja) 管縫合装置
KR101820517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이펙터 구조
CA2133687C (en) Surgical clip applier
US7235086B2 (en) Crimping instrument with motion limiting feature
JP4533695B2 (ja) 処置用内視鏡
JP4242491B2 (ja) 内視鏡治療装置
KR10134066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2014531248A (ja) 自動外科用結紮クリップアプライヤ
US9993233B2 (en) Large capacity biopsy forceps
JP3231773U (ja) 結腸鏡のハンドルアタッチメント装置
KR101703453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999525B1 (ko)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9363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EP3420924B1 (en) Needle holder for endoscope, suture set, and suture system
US20100152613A1 (en) Clip for handling an endoscopic device
KR102218943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3375797B2 (ja) 医療用糸付針の誘導具
CN113645910A (zh) 吻合器械
US20240041449A1 (en) Clip unit, clip delivery device, and clip release method
KR102554820B1 (ko) 봉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