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943B1 -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943B1
KR102218943B1 KR1020190081388A KR20190081388A KR102218943B1 KR 102218943 B1 KR102218943 B1 KR 102218943B1 KR 1020190081388 A KR1020190081388 A KR 1020190081388A KR 20190081388 A KR20190081388 A KR 20190081388A KR 102218943 B1 KR102218943 B1 KR 102218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nnector
tube
moving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645A (ko
Inventor
신경민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081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943B1/ko
Priority to CN202080011505.1A priority patent/CN113412091A/zh
Priority to US17/427,067 priority patent/US20220096089A1/en
Priority to PCT/KR2020/001454 priority patent/WO2020159273A1/ko
Priority to JP2021544597A priority patent/JP2022518957A/ja
Publication of KR2021000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4Fastening element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the outside of an endoscope, e.g. clips, clam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61B17/105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2Packages or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쌍의 집게편을 갖는 클립과, 상기 클립과 일단이 연결된 클립 연결체를 갖는 클립 작동부를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바와 더불어 내부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일정길이의 직선형 안내홈을 함몰형성하여 합형시 몸체 내부에 직선형 안내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분할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 분리바와 마주하는 클립의 선단에 끼움배치되어 한쌍의 집게편을 오므림 상태로 임시적으로 구속하는 전방 이동관과, 상기 클립 작동부의 외부면에 조립된 후방 이동관을 외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관 분리바 측으로 상기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활주이동가능하게 배치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CARTRIDG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므림 상태의 클립을 클립 연결체와 더불어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및 내시경 시술에 사용되는 처치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내시경 분야는 소화기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어 있으며,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치료 내시경, 즉 내시경 치료술은 초소형 고체촬상소자의 출현으로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기술의 발전, 워킹채널을 통한 다양한 진단,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수기의 숙련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위암 또는 대장암과 같은 경우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의 등장과 더불어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로 삽입되는 처치구를 통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을 수행함으로써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조기 위암 또는 조기 대장암 등의 내시경적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또는 내시경 점막절제술(EMR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시술 시 내시경의 워킹채널을 통하여 삽입되는 처치구에 사용되는 처치용 툴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즉 처치구를 구성하는 처치바디와 연결되고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에 삽입되는 튜브를 통하여 처치구를 신체 내부로 진입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조직의 점막절제에 사용하는 나이프(Knife)와, 점막절제 등의 과정에서 출혈시 지혈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코어귤레이터(Coagulator)와, 절제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조직을 부풀리기 위한 수단으로 식염수 등을 주입하는 데 필요한 약물 주입을 위한 니들(Needle) 및 출혈 등으로 인한 시야 확보의 용이성을 위한 워셔액의 주입 등 다양한 종류의 처치구를 사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1793631 B1
특허문헌 1에는 제1수용부측으로 선단이 연장되는 분리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3수용부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체를 구비하는 이동관 분리바를 포함함으로써, 삽입관과 접하여 강제이동되는 외부이동관이 스토퍼를 통과하여 클립에 위치되면서 제1수용부내의 클립을 오므림 상태로 전환시키고, 제1수용부내에서 오므림 상태로 전환된 클립의 선단이 분리바의 단부와 접해진 상태에서 접속구를 클립 연결체의 제2연결구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하고, 클립에 위치하는 외부이동관을 이동관 분리바까지 이동시켜 분리하는 내시경 처치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서 마름모형상의 제1수용부에 벌림 상태로 배치되어 대기하는 클립은 오므림 전환시 합쳐지는 클립선단의 톱니부가 분리바의 단부 중앙에 정확히 접해지지 않는 사용상 불량을 빈번하게 초래하였다.
즉, 벌림 상태에서 오므림 상태로 전환되는 클립의 단부인 톱니부가 분리바에 정확히 접하여 정지되지 않고 외측으로 벗어나거나 미끄러지게 되면서 클립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속구를 클립 연결체에 접속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제품불량을 초래하였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클립이 배치되는 제1수용부의 제2접촉안내면은 분리바가 배치되는 제3수용부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서서히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2접촉안내면과 접촉하면서 분리바측으로 이동되는 클립은 오므림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리바의 평면상 단부는 상기 제2접촉안내면의 종료단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분리바의 선단까지 안내하는 별도의 안내구조가 없기 때문에 제2접촉안내면과 접촉이동되면서 오므림 상태로 전환되는 클립의 선단인 톱니부가 분리바의 평면상 단부 정중앙에 정확하게 접해지지 않으면서 외측으로 벗어나거나 미끄러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클립의 선단인 톱니부가 둔각으로 절곡된 경우 오므림 상태에서 뾰족한 형상으로 합쳐지는 클립의 선단이 분리바의 평면상 단부의 정중앙에 접하여 정지되지 않고 외측으로 벗어나거나 미끄러지는 불량의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주요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카트리지 내부에서 벌림 초기상태의 클립을 오므림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이동구간을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길이 및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마름모 형상의 접촉안내구간을 정밀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품금형의 제작비용을 증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오므림 대기하는 클립의 선단을 설정된 정지위치까지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고, 클립이 정지된 상태에서 접속구와 클립 연결체를 접속연결하는 작업을 불량없이 수행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는, 한쌍의 집게편을 갖는 클립과, 상기 클립과 일단이 연결된 클립 연결체를 갖는 클립 작동부를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바와 더불어 내부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일정길이의 직선형 안내홈을 함몰형성하여 합형시 몸체 내부에 직선형 안내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분할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 분리바와 마주하는 클립의 선단에 끼움배치되어 한쌍의 집게편을 오므림 상태로 임시적으로 구속하는 전방 이동관과, 상기 클립 작동부의 외부면에 조립된 후방 이동관을 상기 이동관 분리바 측으로 상기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활주이동가능하게 배치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내부진입되는 삽입관의 내부에 오므림 상태로 재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방 이동관은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단부에 선단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직선형 안내로에 배치되거나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단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직선형 안내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관 분리바는 상기 전방 이동관에 의해서 오므려진 클립의 선단과 대응하는 단부에 함몰형성되는 노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관 분리바는 상기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의 각 내부면과 외부면이 접촉하면서 상기 전,후방 이동관이 통과하게 되는 일정길이의 분리 감지부와, 상기 분리 감지부를 통과하는 전,후방 이동관이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 감지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는 대경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 감지부는 상기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돌출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 감지부는 상기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의 이동방향과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 돌출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는,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내부배치된 삽입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일단이 걸림연결되는 클립 연결체의 타단과 접속구가 접속연결되고, 상기 클립 연결체가 스토퍼의 내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토퍼의 후단 외부면에 후방 이동관을 구비하는 클립 작동부 ; 및 상기 클립과 일단이 연결된 클립 연결체를 갖는 클립 작동부를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바와 더불어 내부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일정길이의 직선형 안내홈을 함몰형성하여 합형시 몸체 내부에 직선형 안내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분할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관 분리바와 마주하는 클립의 선단에 끼움배치되어 한쌍의 집게편을 오므림 상태로 임시적으로 구속하는 전방 이동관과, 상기 클립 작동부의 외부면에 조립된 후방 이동관을 상기 직선형 안내로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외력에 의해서 상기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활주이동시켜 상기 이동관 분리바에 분리수거하고,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서 오므림 상태로 구속되는 클립의 선단이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단부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와 클립 연결체를 서로 접속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속구는 제1접속구와 이에 인접하는 제2접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연결체는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접속구의 제1,2접속구와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접속구와 대응하는 단부에 슬릿라인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과,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사이를 탄력적으로 벌리도록 진입되는 제1,2접속구가 삽입배치되는 공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에 상기 제1접속구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 상기 제2접속구가 걸림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는 제2접속구와 탄성걸림편간의 걸림연결시 상기 제2접속구에 함몰형성된 요홈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방 이동관에 의해서 오므림 상태로 구속된 클립을 후방 이동관이 후단에 조립된 클립 작동부와 더불어 카트리지 내부의 직선형 안내로에 직선상으로 정렬배치함으로써 직선형 안내로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외력에 의해서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을 이동관 분리바 측으로 강제이동시켜 분리하고, 삽입관의 내부에서 오므림 상태로 재구속된 클립의 선단을 이동관 분리바의 단부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속구와 클립 연결체를 접속연결하는 작업을 카트리지 내부로 진입된 삽입관의 내부에서 불량없이 수행할 수 있어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이 통과하면서 접촉하는 분리 감지부를 이동관 분리바에 구비함으로써 클립을 경유하여 이동관 분리바의 기둥부에 배치되는 전,후방 이동관의 제거여부를 추가적인 구성부품의 필요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내부에서 클립 연결체와 접속구를 접속연결하고, 삽입관을 카트리지의 외부로 분리인출하는 후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고,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제1,2접속구로 이루어지는 접속구가 클립 연결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탄성걸림편을 통하여 공동부를 삽입배치됨으로써 제1접속구가 공동부에 형성되는 내부턱에 걸림연결됨과 동시에 제2접속구가 걸림탄성편에 걸림연결되어 클립 연결체와 접속구와의 접속연결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전후진 작동에 의한 클립의 벌림 및 오므림 작동시 접속구가 클립 연결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의 카트리지에 클립, 클립 작동부 및 이동관 분리바가 정열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의 클립, 클립 작동부 및 접속구를 도시한 조립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의 클립, 클립 연결체 및 접속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의 클립 연결체와 접속구와의 접속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에 작용되는 이동관 분리바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및 도 8e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 장치를 도시한 사용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10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구(113)를 갖는 삽입관(110),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갖는 클립(120), 상기 클립(120)과 연결되는 클립 연결체(131)를 갖는 클립 작동부(130) 및 이들을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14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관(110)은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중공관의 내부공을 통해 외력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조작용 와이어인 일정길이의 와이어(112)를 포함하여 시술시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된다.
상기 삽입관(110)은 내시경의 삽입부에 형성되는 만곡부위를 따라 자연스럽게 만곡되도록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112)의 선단에는 상기 클립과 선단이 연결되는 클립 연결체(131)의 후단에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는 접속구(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구(113)는 상기 클립 연결체(131)와 대응하는 대략 원추 단면상의 제1접속구(113a)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구(113a)와 대략 동일한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접속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2접속구(113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구(113a)는 상기 제2접속구(113b)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접속구(113a)와 제2접속구(113b)는 서로 동일한 외경크기를 갖는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접속구(113b)의 후방에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접속구(113)와 더불어 카트리지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체(11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접속구(113a), 제2접속구(113b) 및 삽입체(114)는 일체형 구조물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112)의 선단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110)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을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체(114)는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진입이 용이하도록 선단 일부에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체(114)의 후단에는 사용자의 와이어 취급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와이어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재는 상기 삽입관(110)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코일형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져 삽입체(114)에 용접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113)를 선단에 구비하는 와이어(112)의 후단은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112)의 전후진조작이 가능하도록 조작손잡이(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클립(120)은 도 4a 및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간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구비하여 상기 클립 작동부(130)의 클립 연결체와 걸림연결되고, 카트리지(140)의 직선형 안내로(141)에 오므림 상태로 클립 작동부(130)와 더불어 내부수용된다.
이러한 클립(120)은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110)의 내부에서 접속구(113)와 클립 연결체(131)가 접속연결된 다음 클립 작동부(130)와 더불어 카트리지(14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삽입관과 더불어 분리된다.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은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된 일단에 톱니부(122a,122b)를 갖는 일정길이의 집게판(123a,123b)과, 상기 집게판(123a,123b)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서로 교차되는 교차판(124a,124b) 및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교차판(124a,124b)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125)을 포함한다.
상기 톱니부(122a,122b)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집게편(121a,121b)들간의 근접에 따른 오므림 작동시 서로 맞물려 내시경을 통한 시술시 인체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파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집게판(123a,123b)의 각 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집게판(123a,123b)은 대략 원형공 단면상으로 이루어진 내시경 채널 내부로의 진입시 마찰저항에 의한 채널 내부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판(124a,124b)은 상기 집게판(123a,123b)의 판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크기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교차되며, 상기 연결판(125)은 상기 교차판(124a,124b)의 각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대략 'ㄷ' 단면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교차판(124a,124b)의 폭은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의 탄성적인 벌림 및 오므림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집게판(123a,123b)의 대략 1/2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판(123a,123b)과 교차판(124a,124b)과의 사이 경계영역에는 상기 클립 작동부(130)의 스토퍼(135) 선단이 접해지는 제1걸림턱(126a,126b)을 외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오므려진 집게판(123a,123b)측으로 이동되는 스토퍼(135)의 선단인 제2스토퍼관체와의 접촉시 상기 집게판(123a,123b)의 오므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교차판(124a,124b)과 연결판(125)사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스토퍼(135)가 간섭되어 걸리는 제2걸림턱(127a,127b)을 외측으로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집게판(123a,123b)측으로 밀림이동되는 스토퍼(135)의 선단인 제2스토퍼관체와의 접촉시 상기 집게판(123a,123b)의 최대벌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집게판(123a,123b)의 선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각도로 톱니부(122a,122b)가 절곡형성되는바, 상기 집게판과 톱니부와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각도(θ)는 대략 90°로 이루어지거나 90°보다 큰 둔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곡각도(θ)에 따라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의 오므림시 서로 접하게 되는 한쌍의 톱니부(122a,122b)는 선단이 판상으로 합형되거나 뾰족한 돌출형으로 합형되어 시술시 인체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클램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120)은 외측으로 벌어지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오므려진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의 선단에 끼움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집게편을 오므림 상태로 임시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이동관(128)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 이동관(128)은 상기 접속구(113)와 클립 연결체(131)간의 접속연결 전까지 상기 카트리지(140)의 내부에서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오므림 상태로 유지하도록 임시 구속하는 중공원통관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오므려진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구속하는 전방 이동관(128)의 내경은 오므려진 한쌍의 집게편의 선단인 한쌍의 톱니부(122a,122b)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이동관(128)에 의해서 오므림 상태로 임시구속되는 클립(120)은 상기 클립 작동부(130)와 더불어 카트리지(140)의 내부에 직선상으로 구비되는 직선형 안내로(141)에 정렬배치된다.
이러한 전방 이동관(128)은 상기 카트리지(140)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110)의 외력에 의해서 클립(120) 측으로 전진이동되는 후술하는 후방 이동관(137)과 더불어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까지 상기 카트리지(140)의 직선형 안내로(141)를 따라 활주이동됨으로써 클립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면서 상기 클립에 대한 임시 구속력을 해제한다.
상기 클립 작동부(130)는 도 3 및 도 4a,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연결체(131)와, 스토퍼(135) 및 후방 이동관(137)을 포함한다.
이러한 클립 작동부(130)는 상기 클립(120)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140)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물이며, 상기 클립 연결체(131)와 접속구(113)가 상기 카트리지(140)내부로 진입된 삽입관(110)의 내부에서 서로 접속연결된 다음, 상기 카트리지(14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기 삽입관(110) 및 클립(120)과 더불어 인출된다.
상기 카트리로부터 인출되는 클립 작동부(130)는 와이어(112)의 전후진 왕복작동에 연동하여 한쌍의 집게편(121a,121b)으로 이루어지는 클립(120)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내측으로 오므림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클립 연결체(131)는 상기 클립(120)의 후단인 연결판(125)이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131a)를 일단인 선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113)를 구성하는 제1,2접속구(113a,113b)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림연결되는 제2연결구(131b)를 타단인 후단에 갖추어 상기 클립(120)과 접속구(113)와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상기 제1연결구(131a)는 상기 집게편(121a,121b)의 후단에 구비된 연결판(125)이 걸림배치되도록 요홈(132b)을 형성하는 걸림턱(132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120)과 클립 연결체(131)와의 연결은 상기 스토퍼(135)의 안내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클립 연결체(131)의 선단인 제1연결구(131a)가 스토퍼의 선단을 통해 외부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의 연결판(125)을 요홈(132b)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하부로 대응삽입하면, 상기 연결판(125)이 요홈(132b)에 걸림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120)을 클립 연결체(131)의 걸림턱(132a)에 연결하고, 이러한 연결상태로 카트리지(140) 내부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클립 연결체(131)와 연결되는 클립(120)은 상기 전방 이동관(128)의 끼움배치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오므려진 상태로 구속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구(131b)는 원추단면상의 제1,2접속구(113a,113b)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는 접속구(113)와 탄력적으로 접속연결되도록 슬릿라인(133a)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연결구(131b)는 상기 제1접속구(113a)와 대응하는 단부에 슬릿라인(133a)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133)들사이를 탄력적으로 벌리면서 진입되는 제1,2접속구(113a,113b)가 걸림배치되는 공동부를 몸체 내부에 구비한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2접속구로 이루어지는 접속구(113)가 진입안내되는 안내홈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안내홈의 입구단에는 상기 제1접속구(113a)의 초기진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안내면(133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동부에 삽입배치되는 제1접속구(113a)는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133d)에 1차 걸림연결되고, 상기 제1접속구(113a)와 더불어 공동부에 삽입배치되는 제2접속구(113b)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의 내측단에 2차 걸림연결됨으로써 상기 클립 연결체(131)와 접속구(113)는 하나의 구조물로 접속연결된다.
상기 제2접속구(113b)가 걸림연결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의 내측단에는 상기 삽입체와 마주하는 제2접속구(113b)의 후면에 함몰형성된 요홈과 접해져 걸림연결되는 돌출부(133c)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33c)는 상기 요홈과 경사진 접촉경계면을 형성하도록 대략 테이퍼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이어(112)의 당김에 의한 접속구(113)의 후진이동시 상기 제2접속구의 요홈과 돌출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을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접속구(113)와 클립 연결체(131)간의 접속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보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구(131b)의 일측 외부면에는 상기 공동부에 삽입배치되는 제1접속구(113a)가 걸림연결되는 내부턱(133d)을 외부노출시키도록 절개형성되는 제1절개부(T1)를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구(131b)의 타측 외부면에는 상기 슬릿라인(133a)으로부터 연장되어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절개부(T2)를 절개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구(113)와 클립 연결체(131)는 상기 제1접속구(113a)와 제2접속구(113b)로 이루어지는 접속구(113)가 클립 연결체의 제2연결구(131b)에 형성된 공동부에 배치되도록 삽입되면, 상기 제1접속구(113a)와 내부턱(133d)과의 걸림에 의한 접속연결 및 상기 제2접속구(113b)와 탄성걸림편(133)과의 걸림에 의한 접속연결에 의해서 상기 카트리지의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진입된 삽입관의 내부에서 서로 접속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120)과 접속구(113)는 삽입관 내부에서 클립 연결체(131)를 매개로 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되고, 상기 삽입관 내에 구비된 와이어의 전후진 조작에 의하여 스토퍼 내부인 안내공에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클립 연결체(131)는 상기 클립(120)이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131a)와, 상기 접속구의 제1,2접속구(113a,113b)가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131b)와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바(131c)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131c)는 상기 스토퍼(135)를 관통하는 안내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바의 외부면과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저항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135)의 안내공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클립 연결체(131)의 왕복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131c)의 외부면과 상기 스토퍼(135)의 안내공 내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빈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후방 이동관(137)의 전진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135c)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수축변형이 가능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편(135c)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날개편의 살두께를 충분히 두껍게하는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구(131a)와 연결바(131c)의 일단과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2연결구(131b)와 연결바(131c)의 타단과의 사이에는 상기 클립 연결체(131)를 스토퍼(135)의 안내공 중심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토퍼(135)에 형성된 안내공의 내경크기와 대략 동일한 외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안내공의 내부면과 외접하는 제1,2외경부(131d,131e)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클립 연결체(131)의 제1,2외경부(131d,131e)가 내부배치되는 제1스토퍼관체(135a)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120)과 제1연결부(131a)와의 걸림연결부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스토퍼관체(135a)의 선단에 접하여 배치되는 제2스토퍼관체(135b)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 연결체가 내부공인 안내공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조립구조물이다.
상기 제1스토퍼관체(135a)는 길이중간 외부면에 절개형성되는 한쌍의 절개부(135d)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각도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날개편(135c)을 구비한다.
여기서, 한쌍의 날개편(135c)을 형성하는 제1스토퍼관체(135a)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클립과 연결된 제1연결구(131a)가 내부배치되는 제2스토퍼관체(135b)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외부인출된 클립의 클램핑 조작시 상기 클립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변형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스토퍼관체(135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 및 강도를 갖는 수지소재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퍼(135)는 일정길이를 갖는 제1스토퍼관체(135a)와,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관체(135b)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스토퍼관체가 이중사출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된 중공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35)는 상기 제1스토퍼관체(135a)의 외부면에 대응삽입되어 외측으로 벌어진 한쌍의 날개편(135c)의 자유단에 선단이 접하여 걸림배치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직선형 안내로(141)를 따라 진입되는 삽입관(110)에 의해서 상기 전방 이동관(128)측으로 활주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이동관(137)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 이동관(137)은 상기 제1스토퍼관체(135a)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편(135c)을 제1스토퍼관체의 외부면과 일치되도록 수축변형시키면서 클립(120)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스토퍼관체(135a)의 후단 외부면에 삽입배치되는 중공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날개편(135c)과 대응하는 후방 이동관(137)은 선단 내주면에 경사면(137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방 이동관(128) 측으로의 이동시 날개편의 자유단을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직선 안내로를 따라 전방 이동관(128) 측으로 전진이동된다.
상기 삽입관(110)의 선단과 대응하는 후방 이동관(137)의 후단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관의 외경과 대응하는 환고리형 단턱과 같은 접촉단(137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직선형 안내로의 개방된 일단으로 진입되는 삽입관(110)의 선단과 접해져 외력이 인가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트리지(140)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110)의 선단은 상기 후방 이동관(137)의 수직한 후단에 직접적으로 접해져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구(131b)와 대응하는 제2외경부(131e)에는 상기 스토퍼(135)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홈(135f)에 대응결합하도록 돌출형성된 결합턱(131f)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홈과 결합턱간의 상호결합에 의한 끼움조립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의 안내공내 배치된 클립 연결체(131)의 내부회전이 곤란하도록 상기 스토퍼(135)와 클립 연결체(131)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4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진입되는 삽입관(110)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구(113)와 클립 연결체(131)와의 탄력적인 접속연결이 가능하도록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갖는 클립(120)과, 상기 클립(120)과 일단이 연결된 클립 연결체(131)를 갖는 클립 작동부(130)를 이동관 분리바(144)와 더불어 내부 수용한다.
이러한 카트리지(140)는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합형시 대략 원형단면상을 갖는 원형공의 직선형 안내로(141)를 형성하도록 대략 반원단면상의 직선형 안내홈을 함몰형성한 제1,2분할덮개(140a,140b)를 포함한다.
서로 마주하는 제1,2분할덮개(140a,140b)중 어느 하나의 분할덮개 내부면에는 합형시 대응조립되어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조립핀(149)을 돌출형성하거나 조립홈을 함몰형성하고, 나머지 분할덮개에 대응하는 조립핀이나 조립홈을 형성하여 이들간의 결합에 의해서 조립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방법에 의해서 합형조립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40)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직선형 안내로(141)에는 상기 전방 이동관(128)에 의해서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이 오므림 상태로 임시 구속되는 클립(120)과 더불어 상기 후방 이동관(137)이 제1스토퍼관체(135a)의 후단 외부면에 조립된 클립 작동부(130) 및 상기 클립과 단부가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바(144)를 배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이동관(128)과 결합된 클립(120)은 상기 클립 작동부(130) 및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에 오므림 상태로 정렬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 이동관(128,137)의 각 외경은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 이동관(128,137)의 각 내경은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최대외경인 분리 감지부(144a)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이동관(128)과 후방 이동관(137)은 대략 서로 동일한 외경과 내경을 갖는 중공관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방 이동관(128)은 오므림 상태로 임시구속되는 클립(120)의 선단이 이동관 분리바(144)의 단부 중심에 정위치되도록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의 단부에 선단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에 대기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의 단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에 대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110)의 단부와 대응하는 직선형 안내로(141)의 개방된 개구단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단면상을 갖는 테이퍼진 입구단(141a)을 형성하고, 상기 입구단의 정반대편에는 내부진입되는 삽입관의 외력에 의해서 상기 클립 및 클립 작동부로부터 분리이동되는 전,후방 이동관을 수거하는 이동관 분리바(144)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는 상기 전,후방 이동관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전,후방 이동관(128,137)의 각 내부면과의 접촉시 일정세기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일정길이의 분리 감지부(144a)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 이동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추어 외력에 의해서 상기 분리 감지부를 통과하는 전,후방 이동관(128,137)을 수거하는 일정길이의 기둥부(144b)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관 분리바(144)는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중심에 분리 감지부(144a)를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144b)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2분할덮개 중 어느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위치고정되는 고정체(144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144b)는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밀폐단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보스(144e)에 끼움조립되는 보스공(144c)을 갖추어 착탈가능하게 위치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트리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는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이동관(128)에 의해서 오므려진 클립(120)의 선단과 대응하는 분리 감지부(144a)의 단부에 일정각도 외측으로 벌어진 벌림각을 형성하는 노치부(142)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치부(142)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호형으로 함몰형성되거나 대략 V자형으로 절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 이동관(128)에 의해서 오므려진 상태로 구속된 한쌍의 집게편 선단이 상기 노치부(142)에 정확히 접해져 상기 삽입관의 내부 진입시 클립의 전진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클립의 선단인 톱니부와 상기 이동관 분리부의 단부인 노치부가 서로 접촉되어 클립의 전진이동을 제한하는 상태에서, 상기 직선형 안내로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외력에 의해서 상기 후방 이동관과 전방 이동관은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분리 감지바(144a)를 거쳐 기둥부(144b)까지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방 이동관(128)이 분리제거된 클립(120)은 상기 분리 감지바에 선단이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 이동관(137)이 분리 감지바(144a)의 위치까지 이동되어 분리됨과 동시에 후속하는 상기 삽입관(110)의 내부면으로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이 진입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120)은 상기 카트리지(140)의 내부에 형성된 직선형 안내로(141)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전방 이동관(128)에 의해 오므림 상태로 구속되는 것과 동일하게 재차 구속유지된다.
한편, 상기 분리 감지부(144a)의 외경은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를 따라 이동되는 전,후방 이동관(128,137)의 각 내부면과 접촉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기둥부(144b)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전,후방 이동관(128,137)의 내경크기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의 외경크기를 갖는 원통상의 대경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감지부(144a)는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방 이동관(128,137)의 각 내부면과 외부면이 부분적으로 접촉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방 이동관(128) 또는 후방 이동관(137)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돌출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 감지부(144a)는 도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이동관(128,137)의 각 내부면이 접촉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전방 이동관(128) 또는 후방 이동관(137)의 이동방향과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 돌출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호형 돌출리브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 감지부를 경유하여 전방 이동관 및 후방 이동관(137)을 기둥부까지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활주이동시켜 분리수거하도록 삽입관을 전진이동시키는 조작자는 상기 전방 이동관(128) 또는 후방 이동관(137)과 분리 감지부(144a)간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삽입관을 통하여 조작자에게 전달되면서 이를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둥부에 위치하는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의 분리여부를 감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이상의 과도한 삽입관 진입이동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제1,2접속구로 이루어진 접속구(113)와 클립 작동부(130)를 삽입관(110)의 내부에서 접속연결한 다음, 이들을 카트리지(140)의 외부로 인출한다.
먼저,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40)의 내부에 직선형으로 형성된 직선형 안내로(141)에는 전방 이동관(128)에 의해서 오므림 상태로 임시구속된 클립(120)과, 상기 클립과 선단이 연결된 클립 연결체(131)를 갖는 클립 작동부(130) 및 오므림 상태로 임시구속된 클립(120)과 선단이 대응하는 이동관 분리바(144)를 정열배치한다.
상기 접속구(113)는 삽입관(110)의 개방된 입구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길이 진입되어 대기한다.
상기 클립(120)을 오므림 상태로 구속유지하는 전방 이동관(128)은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방 이동관의 중심과 직선형 안내로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켜 상기 전방 이동관에 의해서 오므림 상태로 구속된 클립의 선단을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중심과 서로 대응시킨다.
상기 클립 작동부(130)의 스토퍼 후단에 조립되는 후방 이동관(137)은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클립과 연결되어 스토퍼의 내부에 배치된 클립 연결체를 직선형 안내로의 중심과 서로 일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110)의 개방된 단부는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개방된 입구단과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삽입관(110)이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개방된 입구단(142a)을 통하여 진입되면, 상기 삽입관의 선단인 단부는 후방 이동관(137)의 후단에 접해지면서 외력을 전달한다.
상기 삽입관(110)의 외력에 의해서 후방 이동관(137)은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내부를 따라 일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스토퍼(135)를 경유하여 통과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35)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어 벌어져 있던 날개편(135c)의 자유단은 상기 후방 이동관(137)의 내부면과 접해지면서 제1스토퍼관체(135a)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내측으로 탄성변형되어 후방 이동관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를 따라 내부진입되는 삽입관(110)의 외력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여 클립으로 이동되는 후방 이동관의 선단은 상기 이동관 분리바 측으로 전방 이동관과 더불어 이동되도록 상기 클립을 오므림 상태로 구속유지하는 전방 이동관의 후단과 접해진다.
이때, 상기 접속구(113)는 상기 클립 연결체의 후단인 제2연결구와 접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삽입관(110)의 내부에 대기한다.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선형 안내로(141)의 내부를 따라 일방향 진입되는 삽입관(110)의 선단이 상기 클립(120)을 통과하여 이동관 분리바(144)의 위치까지 전진이동되면, 상기 전방 이동관(128)과 후방 이동관(137)은 외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의 분리 감지부(144a)를 통과하여 기둥바(144b)까지 강제 이동되어 분리배치된다.
상기 전,후방 이동관(128,137)이 이동관 분리바(144) 측으로 이동되어 분리되면,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의 단부에 형성된 노치부(142)에 선단이 접하는 클립(120)은 삽입관(110)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오므림 상태로 재차 구속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구(113)의 제1,2접속구와 상기 클립 작동부(130)의 클립 연결체를 서로 접속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클립(120)의 선단이 이동관 분리바(144)의 단부에 접해진 상태에서 전,후방 이동관(128,137)을 이동관 분리바(144) 측으로 분리이동시키기 위한 삽입관의 전진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배치된 접속구(113)가 클립 연결체의 제2연결구(131b)측으로 전진이동되기 때문에 제1,2접속구(113a,113b)가 제2연결구(131b)에 구비되는 한쌍의 탄성걸림편(133)을 양측으로 벌리면서 진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구의 몸체에 형성된 공동부에 삽입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에 상기 제1접속구(113a)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 상기 제2접속구(113b)가 걸림연결됨으로써 상기 클립 연결체와 접속구는 전,후방이동관을 강제이동시키기 위해서 카트리지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내부에서 서로 접속연결된다.
한편, 상기 이동관 분리바(144a)의 기둥부까지 강제이동되어 분리된 전,후방 이동관(128, 137)의 분리여부는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단부에 형성된 분리 감지부의 외부면과 분리대상물인 전,후방 이동관의 내부면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기인하는 외력을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삽입관이나 카트리지를 통하여 감각적으로 인지하고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이동관(128,137)을 이동관 분리바에 분리수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관(110)의 선단이 상기 분리 감지바(144a)의 단부까지 전진이동되면, 상기 전방 이동관(128)이 분리제거된 클립(120)의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이 상기 삽입관(110)의 내부로 진입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120)은 상기 카트리지(140)의 내부에서 상기 전방 이동관(128)에 의해서 오므림 상태로 구속되는 것과 동일하게 내부진입된 삽입관에 의해서 구속유지된다.
도 8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접속구(113)와 접속연결된 클립 작동부(130) 및 이에 연결된 클립(120)을 내부수용한 삽입관(110)을 카트리지(140)의 내부에서 직선형 안내로의 개방된 입구단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게 되면, 여 카트리지와 완전분리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관이 잔류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클립(120)과 이에 연결된 클립 작동부(130)를 삽입관과 더불어 내시경 채널을 통해 삽입한 다음, 도 8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노출되는 클립의 클램핑 작동에 의해서 신체의 생체조직을 클램핑하여 제거하는 내시경 시술작업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삽입관
112 : 와이어
113 : 접속구
113a,113b : 제1,2접속구
114 : 삽입체
120 : 클립
121a,121b : 집게편
122a,122b : 톱니부
124a,124b : 교차판
125 : 연결판
128 : 전방 이동관
130 : 클립 작동부
131 : 클립 연결체
133 : 탄성걸림편
135 : 스토퍼
137 : 후방 이동관
140 : 카트리지
141 : 직선형 안내로
142 : 노치부
144 : 이동관 분리바
144a : 분리 감지부
144b : 기둥부

Claims (11)

  1. 한쌍의 집게편을 갖는 클립과, 상기 클립과 일단이 연결된 클립 연결체를 갖는 클립 작동부를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바와 더불어 내부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일정길이의 직선형 안내홈을 함몰형성하여 합형시 몸체 내부에 직선형 안내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분할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 분리바와 마주하는 클립의 선단에 끼움배치되어 한쌍의 집게편을 오므림 상태로 임시적으로 구속하는 전방 이동관과, 상기 클립 작동부의 외부면에 조립된 후방 이동관을 상기 이동관 분리바 측으로 상기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활주이동가능하게 배치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내부진입되는 삽입관의 내부에 오므림 상태로 재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관은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단부에 선단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직선형 안내로에 배치되거나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단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직선형 안내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 분리바는 상기 전방 이동관에 의해서 오므려진 클립의 선단과 대응하는 단부에 함몰형성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 분리바는 상기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의 각 내부면과 외부면이 접촉하면서 상기 전,후방 이동관이 통과하게 되는 일정길이의 분리 감지부와, 상기 분리 감지부를 통과하는 전,후방 이동관이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감지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는 대경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감지부는 상기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돌출리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감지부는 상기 전방 이동관과 후방 이동관의 이동방향과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 돌출리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내부배치된 삽입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
    상기 클립과 일단이 걸림연결되는 클립 연결체의 타단과 접속구가 접속연결되고, 상기 클립 연결체가 스토퍼의 내부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토퍼의 후단 외부면에 후방 이동관을 구비하는 클립 작동부 ; 및
    상기 클립과 일단이 연결된 클립 연결체를 갖는 클립 작동부를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이동관 분리바와 더불어 내부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일정길이의 직선형 안내홈을 함몰형성하여 합형시 몸체 내부에 직선형 안내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분할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관 분리바와 마주하는 클립의 선단에 끼움배치되어 한쌍의 집게편을 오므림 상태로 임시적으로 구속하는 전방 이동관과, 상기 클립 작동부의 외부면에 조립된 후방 이동관을 상기 직선형 안내로의 내부로 진입되는 삽입관의 외력에 의해서 상기 직선형 안내로를 따라 활주이동시켜 상기 이동관 분리바에 분리수거하고,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서 오므림 상태로 구속되는 클립의 선단이 상기 이동관 분리바의 단부에 접해진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와 클립 연결체를 서로 접속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제1접속구와 이에 인접하는 제2접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연결체는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접속구의 제1,2접속구와 접속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접속구와 대응하는 단부에 슬릿라인에 의해서 분할된 한쌍의 탄성걸림편과,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사이를 탄력적으로 벌리도록 진입되는 제1,2접속구가 삽입배치되는 공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동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내부턱에 상기 제1접속구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 상기 제2접속구가 걸림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의 내측단에는 제2접속구와 탄성걸림편간의 걸림연결시 상기 제2접속구에 함몰형성된 요홈과 접촉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처치구 장치.
KR1020190081388A 2019-02-01 2019-07-05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2218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388A KR102218943B1 (ko) 2019-07-05 2019-07-05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N202080011505.1A CN113412091A (zh) 2019-02-01 2020-01-31 匣盒及包括其的内窥镜用治疗装置
US17/427,067 US20220096089A1 (en) 2019-02-01 2020-01-31 Cartridge, and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comprising same
PCT/KR2020/001454 WO2020159273A1 (ko) 2019-02-01 2020-01-31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2021544597A JP2022518957A (ja) 2019-02-01 2020-01-31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有する内視鏡用処置具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388A KR102218943B1 (ko) 2019-07-05 2019-07-05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45A KR20210004645A (ko) 2021-01-13
KR102218943B1 true KR102218943B1 (ko) 2021-02-23

Family

ID=7414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388A KR102218943B1 (ko) 2019-02-01 2019-07-05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9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61B1 (ko) 2013-06-27 2013-12-11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2014-11-13 2016-03-09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03453B1 (ko) 2015-11-25 2017-02-06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93631B1 (ko) 2016-12-23 2017-11-03 (주) 태웅메디칼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61B1 (ko) 2013-06-27 2013-12-11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601911B1 (ko) 2014-11-13 2016-03-09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03453B1 (ko) 2015-11-25 2017-02-06 김병철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93631B1 (ko) 2016-12-23 2017-11-03 (주) 태웅메디칼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45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66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4302602B2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処置システム並びに支持アダプタ
JP5848827B2 (ja) 手動外科用結紮クリップアプライヤ
US5342389A (en) Tissue manipulator
JP6203926B2 (ja) 縫合糸をガイ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3742542B2 (ja) 内視鏡用異物回収具
EP2294990A2 (en) Hermostatic clip and hemostatic clip ope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9993233B2 (en) Large capacity biopsy forceps
CN105188508B (zh) 内窥镜处理器具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03453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79363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5515594B2 (ja) クリップ、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クリップ装置
CA2744213C (en) Clip for handling an endoscopic device
KR102218943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KR101999525B1 (ko) 접속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CN110461245B (zh) 切割活检器械
US20220096089A1 (en) Cartridge, and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comprising same
CN211749834U (zh) 一种软组织夹的夹头
CN211723319U (zh) 一种软组织钳夹装置
KR101868442B1 (ko) 엔도클립장치
WO2023041011A1 (zh) 夹子器械
KR102235122B1 (ko) 내시경 시술용 처치구 삽입 가이드장치
US20110270234A1 (e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CA1051306A (en) Surgical clip and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