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251B1 - 내시경용 처치구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251B1
KR100881251B1 KR1020070076881A KR20070076881A KR100881251B1 KR 100881251 B1 KR100881251 B1 KR 100881251B1 KR 1020070076881 A KR1020070076881 A KR 1020070076881A KR 20070076881 A KR20070076881 A KR 20070076881A KR 100881251 B1 KR100881251 B1 KR 10088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constant
tubular body
per unit
treatment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766A (ko
Inventor
준이찌 고기소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5Details of shaft flex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만곡된 내시경의 채널 내에서 코일 형상의 관형체에 강한 압축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코일 소선이 어긋나 관형체가 소성 변형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내시경용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내시경의 만곡 가능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는 코일 형상의 관형체(6)를 갖는 클립 장치(1)이며, 관형체(6)가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가 되고, 관형체(6)의 기단부측에 배치된 전방측 코일(제1 코일)(10)과, 전방측 코일(10)의 선단부에 접속되고 전방측 코일(10)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고,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가 되고, 또한 전방측 코일(10)의 스프링 정수와는 다른 스프링 정수를 갖는 선단부측 코일(11)을 구비하고, 전방측 코일(10) 및 선단부측 코일(11)의 스프링 정수의 비가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이다.
Figure R1020070076881
관형체, 클립 장치, 코일, 훅, 코일 접속 파이프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클립 장치나 생검 겸자 등, 연성의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내시경용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연성의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클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클립 장치 등의 처치 장치는, 스테인레스 강재 등의 금속선의 코일로 제작된 관형체와, 이 관형체 내에 삽입 관통되고 선단부에 배치된 처치 기구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에 의해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는, 예를 들어 클립 유닛 등의 처치 기구가 결합되는 훅이,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의 접속 부재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클립 유닛 등,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에 배치되거나 결합되는 처치 기구는, 조작 와이어 등의 조작 부재를 관형체에 대해 강한 힘으로 견인 조작함으로써 작동시키고 있다.
이 때, 내시경의 삽입부의 만곡을 따라 관형체가 만곡된 상태에서도 조작자가 조작하기 쉬운 구조로 하기 위해, 관형체는 선단부측 코일과 기단부측 코일이, 양자보다도 경질의 접속부를 통해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선단부측 코일이 전방측 코일보다도 연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형체는 선단부측 코일 의 기단부와, 이 선단부측 코일보다도 두껍고 내경이 작은 전방측 코일의 선단부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등으로 직접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측 코일과 기단부측 코일의 접합부에서는 서로의 내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 접합부에는 내경차에 의한 단차를 발생시킨다. 그로 인해, 2개의 코일이 만곡 상태(예를 들어 반경 10 ㎜ 내지 30 ㎜ 정도)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예를 들어 클립 유닛의 클립핑시 등, 조작 와이어에 전방측으로의 인장력이 인가된 경우, 각 코일에는 압축력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08-28070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내시경용 처치구는, 선단부측 코일 쪽이 기단부측 코일보다도 연성이고 내경이 크기 때문에, 선단부측 코일과 기단부측 코일의 접합부 근방의 선단부측 코일의 기단부측에 응력이 집중하여 발생한다. 그로 인해, 이 응력이 선단부측 코일의 소선의 허용 응력을 초과한 경우에는, 선단부측 코일이 소성 변형하게 되어 선단부측 코일의 권취선간에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응력이 선단부측 코일의 허용 응력 이하라도, 조작 와이어에 의해 반복의 압축력이 가해짐으로써, 선단부측 코일의 소선의 변형이나 선단부측 코일 및 전방측 코일끼리의 접합부의 수명을 재촉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만곡된 내시경의 채널 내에서 코일 형상의 관형체에 강한 압축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코일 소선이 어긋나 관형체가 소성 변형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내시경용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는, 내시경의 만곡 가능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는 코일 형상의 관형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관형체가,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로 된 제1 코일과, 상기 제1 코일의 스프링 정수와는 다른 스프링 정수를 갖고 상기 제1 코일과 동축 상에 접속된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가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가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이므로, 관형체가 만곡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압축력이 부하되어도 스프링 정수가 낮은 쪽 코일의 단부에 굽힘 응력이 집중하여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는, 내시경의 만곡 가능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는 코일 형상의 관형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관형체가,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로 된 제1 코일과, 상기 제1 코일의 스프링 정수와는 다른 스프링 정수를 갖고 상기 제1 코일과 동축 상에 접속된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 또는 상기 제2 코일 중,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작은 쪽의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가 25 N㎜/rad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코일 또는 제2 코일 중,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작은 쪽의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가 25 N㎜/rad 이상이므로, 관형체가 만곡된 상태에서 압축력이 부하되어도,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낮은 코일의 비틀림이 억제된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 정수가 크기 때문에, 응력 집중을 억제하는 동시에, 응력 집중해도 어긋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는,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제1 코일이 상기 관형체의 기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이 상기 제1 코일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는,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제2 코일의 내경이 상기 제1 코일의 내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는,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제1 코일이 상기 관형체의 기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이 상기 제1 코일의 선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코일의 내경이 상기 제1 코일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상기 제2 코일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형체의 선단부측이 연성이기 때문에, 만곡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를 삽입 관통시킬 때에,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을 따라 만곡되기 쉬워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는, 상기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보다도 경질로 되어,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질의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접속부 근방의 코일 단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곡된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서 관형체에 강한 압축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코일 소선이 어긋나 관형체가 소성 변형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내시경용 처치구)(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2)와, 삽입부(2)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도시하지 않은 생체 조직을 끼움 지지하는 후술하는 클립 유닛(3)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5)를 구비하고 있다.
클립 장치(1)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 삽입부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어, 내시경과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로 인해, 삽입부(2)는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보다도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는 내시경 삽입부의 만곡에 맞추어 만곡되도록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2)는, 도2a, 도2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의 만곡 가능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는 코일 형상의 관형체(6)와, 관형체(6)를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관형체(6)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여 배치되고 클립 유닛(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단부측보다도 큰 직경의 훅(대직경부)(7)이 선단부에 접속된 조작 와이어(8)를 구비하고 있다.
관형체(6)는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가 되고, 관형체(6)의 기단부측에 배치된 전방측 코일(제1 코일)(10)과, 전방측 코일(10)의 선단부에 접속되고, 전방측 코일(10)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고,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가 되고, 또한 전방측 코일(10)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와는 다른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를 갖는 선단부측 코일(제2 코 일)(11)과, 전방측 코일(10) 및 선단부측 코일(11)보다도 경질로 되고 전방측 코일(10) 및 선단부측 코일(11)을 접속하는 코일 접속 파이프(접속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 코일(10)은 코일 접속 파이프(12)의 기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방측 코일(10)은 스테인레스 강재로 된 대략 원형 단면의 둥근 선이 평선(平線) 형상으로 찌부러져 평선(10a)이 된 것이 나선 형상으로 밀하게 권취되어, 전체적으로 내경이 대략 일정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접속 파이프(12)의 기단부와 전방측 코일(10)의 선단부는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 코일(10)의 내경은 1 ㎜ 정도, 외경은 2 ㎜ 내지 2.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코일(10)의 선단부는 외면측이 소정의 깊이로 깎여 있다.
선단부측 코일(11)은 스테인레스 강재의 대략 직사각형 단면의 평선(11a)이 나선 형상으로 밀하게 권취되어, 전체적으로 클립 유닛(3)이 삽입 관통 가능한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고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측 코일(11)의 내경은 2 ㎜ 정도, 외경은 2.5 ㎜ 내지 3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측 코일(11)의 선단부에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재로 내경이 2 ㎜ 정도, 외경이 2 ㎜ 내지 3 ㎜ 정도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 칩(13)이 배치되어 있다. 선단부 칩(13)의 선단부는 매끄럽게 라운딩되어 있다.
코일 접속 파이프(12)는 스테인레스 강재로 이루어지는 대략 파이프 형상이 되고, 외경이 선단부측 코일(1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선단부측 접속부(12A)와, 외경이 전방측 코일(10)과 대략 동일한 전방측 접속부(12B)가 접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측 접속부(12A)와 전방측 접속부(12B)의 내경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코일 접속 파이프(12)의 선단부측 접속부(12A)의 선단부의 내면측 및 전방측 접속부(12B)의 내면측은 각각 소정의 깊이로 깎여 있고, 각각 선단부측 코일(11)의 기단부와 전방측 코일(10)의 선단부가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 코일(10)의 기단부에는 도2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코일(10)의 기단부의 일부를 덮도록 코일 수용 파이프(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수용 파이프(15)는 스테인레스 강재로 된 대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수용 파이프(15)의 내경은 전방측 코일(10)의 외경에 따르도록 형성되고, 외경은 2 ㎜ 내지 4 ㎜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단부측 코일(11)의 코일 중심 축선(C)에 대해 평선(11a)의 수직인 변의 길이를 a, 평행한 변의 길이를 b, 횡탄성 계수를 G, 단위 체적의 중량을 γ, 코일의 유효 권취수를 n, 코일 평균 직경을 D로 하였을 때, 선단부측 코일(11)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 k1은 식 (1)이 된다. 또한, 이하, 축 하중의 작용선과 코일의 중심선이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피치각을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수1]
Figure 112007055926390-pat00002
(1)
전방측 코일(10)에 대해서도 평선이 권취되었다고 하고, 식 (1)에서 단위 길 이당 스프링 정수 k2를 산출한다.
또한, 전방측 코일(10)이, 둥근 선이 그대로 권취된 것으로 한 경우에는, 둥근 선의 소선(素線) 직경을 d라 하였을 때, 전방측 코일(10)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 k2는 식 (2)가 된다.
[수2]
Figure 112007055926390-pat00003
(2)
이 때, 전방측 코일(10)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 k2의 쪽이 선단부측 코일(11)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 k1보다도 크고, 또한 전방측 코일(10) 및 선단부측 코일(11)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는 1.0을 초과하여 2.0 이하로 되어 있다.
훅(7)은 클립 유닛(3)을 걸기 위해 사용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7)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재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고, 클립 유닛(3)을 걸어 결합하는 대략 원뿔 형상의 결합부(7A)와, 축부(7B)를 통해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부(7A)를 조작 와이어(8)에 접속하는 와이어 접속부(7C)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7A)의 측부에는 복수의 평면부(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결합부(7A)는 전체적으로 화살촉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와이어 접속부(7C)는,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직경이 축소되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8)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재 등의 금속제 단선 와이어가 합쳐져 꼬여 형성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8)의 기단부에는, 도2b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파이프(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파이프(16)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재 등의 금속재에 의한 얇은 파이프(두께 0.1 ㎜ 정도)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파이프(16)는 조작 와이어(8)의 기단부에서 코오킹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조작 파이프(16)는 후술하는 슬라이더(18)의 이동 스트로크보다도 길이가 길고, 조작 와이어(8)의 기단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5)는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체(6)의 기단부가 접속된 조작부 본체(17)와, 조작 와이어(8)의 기단부가 접속되어, 조작부 본체(17)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18)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본체(17)의 기단부에는 엄지 링(thumb ring)(20)이 조작부 본체(1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 본체(17)의 중심 축선(C) 상에는 선단부측의 내경이 크고, 단차부(18a)를 사이에 두고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보다도 내경이 작은 구멍(1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8A)의 기단부는 조작부 본체(17)의 기단부에서 폐색되어 있고, 단차부(18a)보다도 기단부측에는 가이드 파이프(21)가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파이프(21)의 선단부에는 전방측 코일(10)의 기단부가 내부에 끼워 맞춤되어 있고, 가이드 파이프(21)의 기단부에는 조작 파이프(16)가 내부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구멍(18A)의 선단부에는 관 형상의 꺾임 방지 부재(22)가 내부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꺾임 방지 부재(22)는 꺾임 방지 수용부(23)를 통해 전방측 코일(10)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 꺾임 방지 수용부(23)는 코일 수용 파이프(15)보다도 선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파이프(21)의 기단부에는 O링(25)이 수납되는 O링 수납부(25A)가 배치되어 있다. O링(25)은 O링 수납부(25A) 내에 배치되고, 조작 파이프(16)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은 내경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O링(25)의 내주면은 조작 파이프(16)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와셔(26)는 가이드 파이프(21)의 기단부에서, O링 수납부(25A)에 기단부측으로부터 덮개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클립 장치(1)와 함께 사용하는 클립 유닛(3)은,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재 등에 의한 판 스프링재 등의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는 클립(27)과, 클립(27)에 대해 이동하여 클립(27)을 폐쇄시키는 압박관(28)과, 훅(7)을 걸 수 있는 연결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27)의 중앙부는 절곡되어 루프부(27a)가 형성되고, 루프부(27a)의 근방 위치에서 일단 교차된 후에, 확대 개방 습성을 갖는 1쌍의 아암(27b, 27c)을 각각 선단부측이 점차 이격되도록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27b, 27c)의 선단부에는 조직 파지부(27d)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27b, 27c)의 교차부는, 선단부측보다도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직 파지부(27d)는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27b, 27c)의 루프부(27a)의 근방에는, 판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톱날 형상의 돌기(27e)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27e)는 클립(27)을 압박관(28)에 인입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압박관(28)의 내면을 미끄럼 이동하지만, 이와 역방향으로는 압박관(28)의 내면에 파고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박관(28)은 클립(27)보다도 연성의 재질, 예를 들어 PPA(폴리프탈아미드), PA(폴리아미드) 등의 적절한 탄성을 갖는 고강성의 수지재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이 압박관(28)은 클립(27)의 한 쌍의 아암(27b, 27c)에 끼움 부착됨으로써 클립(27)의 한 쌍의 아암(27b, 27c)을 폐쇄한다. 압박관(28)의 내면에는 도중에 내경 단차부(28a)가 마련되어 있고, 선단부측이 기단부측보다도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다.
압박관(28)의 선단부에는,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강재 등의 고강도의 금속재로 형성된 선단부 관(31)이 끼움 부착되어 있다. 이 선단부 관(31)의 외경은 압박관(28)과 동일 외경이고, 내면에는 기단부의 최소 내경부(31a)로부터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내경이 커지는 내경 경사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관(28)의 외주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 함몰 가능한 1쌍의 돌출 함몰 윙(32A, 32B)(도5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30)는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나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등의 고 강도의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어 있다. 연결 부재(3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에 돌출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0a)의 기부(基部)(30b)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0a)의 선단부측에는, 축 방향으로 긴 편평 타원 형상의 돌기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30c)에는 클립(27)의 루프부(27a)가 걸려 클립(27)과 연결 부재(30)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 부재(30)의 타단부측은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되고, 분기부에는 절결부(30d)(도5a 참조)를 구비하여 상술한 훅(7)을 파지하는 탄성 아암부(30e)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30)의 중간부는 선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 가는 직경부(30A), 중간 직경부(30B) 및 큰 직경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가는 직경부(30A)는 예를 들어 20 N 내지 60 N의 파단 역량이 가해졌을 때, 파단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큰 직경부(30C)는 압박관(28)의 내주면과 밀하게 끼워 맞춤하는 외경으로 설정되고, 이 외주면의 일부에는 계지 돌기(30f)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조작부(5)의 슬라이더(18)를 엄지 링(20)에 근접하는 기단부측에 충돌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도2a에 도시하는 훅(7)의 선단부는 선단부측 코일(11)의 내부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슬라이더(18)를 엄지 링(20)에 대해 이격하는 선단부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조작 와이어(8)에 의해 훅(7)이 선단부측 코일(11)의 선단부의 선단부 칩(13)에 대해 돌출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30)의 탄성 아암부(30e)에 훅(7)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슬라이더(18)를 더욱 선단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탄성 아암부(30e)가 훅(7)의 결합부(7A)에 의해 외측으로 압박되어 확대된다. 그 후, 훅(7)을 탄성 아암부(30e)에 더욱 압입하면, 탄성 아암부(30e)가 훅(7)을 통과한 시점에서 탄성력에 의해 폐색되고, 축부(7B)가 탄성 아암부(30e)에 끼움 지지된다. 이로 인해, 훅(7)의 결합부(7A)가 탄성 아암부(30e)와 결합한다. 이렇게 하여, 클립 유닛(3)이 조작 와이어(8)에 결합된다.
다음에, 슬라이더(18)를 기단부측으로 이동시켜, 조작 와이어(8)를 통해 클립 유닛(3)을 선단부측 코일(11)의 내부에 인입한다. 이 때, 압박관(28)의 돌출 함몰 윙(32A, 32B)을 내측으로 압입하여 압박관(28)의 내부로 인입해 둔다. 이로 인해, 돌출 함몰 윙(32A, 32B)이 선단부 칩(13)의 단부면에 걸리지 않고 클립 유닛(3)이 선단부측 코일(11)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 때, 클립(27)의 한 쌍의 아암(27b, 27c)은 선단부측 코일(11)의 내경에 맞추어 폐쇄된다. 여기서, 압박관(28)의 돌출 함몰 윙(32A, 32B)이 선단부측 코일(11)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탄성 변형되어 압박관(28)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고, 클립 유닛(3)이 선단부측 코일(1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33)의 내시경 삽입부(35)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6)을 통해 삽입부(2)를 체강 내에 도입하고, 내시경(33)에 의해 체강 내를 관찰하면서 삽입부(2)의 선단부를 대상 부위 근방까지 유도한다. 이 때,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삽입부(35)의 만곡 부분의 곡률 반경이 15 ㎜ 이상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관형체(6)의 선단부측을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6)로부터 돌출시킨다.
슬라이더(18)를 조작부 본체(17)에 대해 선단부측으로 압출하는 조작에 의해, 조작 와이어(8)를 통해 클립 유닛(3)을 관형체(6)에 대해 전진시킨다. 이 때, 압박관(28)의 돌출 함몰 윙(32A, 32B)이 선단부측을 향해 내리막 구배의 경사면으 로 되어 있으므로, 클립 유닛(3)이 선단부측 코일(11)로부터 원활하게, 또한 저항 없이 압출된다. 그리고, 압박관(28)의 돌출 함몰 윙(32A, 32B)이 관형체(6)의 내면과의 접촉 상태부터 개방되고, 압박관(28)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클립(27)의 1쌍의 아암(27b, 27c)은 확대 개방 습성을 갖고 있으므로,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측 코일(11)로부터 돌출하면 동시에 어느 정도 개방된다.
그 후, 슬라이더(18)를 기단부측으로 후퇴시키면,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8)가 기단부측으로 복귀되어, 돌출된 돌출 함몰 윙(32A, 32B)의 기단부측 단부면이 선단부 칩(13)의 단부면에 결합한다.
슬라이더(18)를 더욱 기단부측으로 이동시켜 조작 와이어(8)를 복귀시키면, 도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를 통해 클립(27)의 루프부(27a)가 압박관(28)의 내부로 인입되어, 더욱 클립(27)이 개방된다. 그리고, 클립(27)의 돌기(27e)가 압박관(28)의 내경 단차부(28a)에 접촉하여, 한 쌍의 아암(27b, 27c)이 최대로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내시경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생체 조직의 목적 부위를 관찰하면서 그 목적 부위에 클립(27)을 근접시켜, 클립(27)의 조직 파지부(27d)를 압박한다. 이 때, 조작부(5)의 엄지 링(20)에 대해 슬라이더(18)를 상대 회전시키면서 클립(27)의 배향을 조정한다.
슬라이더(18)를 더욱 기단부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작 와이어(8)가 후퇴하여, 연결 부재(30)를 통해 클립(27)의 한 쌍의 아암(27b, 27c)이 압박관(28)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 때, 클립(27)의 돌기(27e)가 압박관(28)의 내경 단차부(28a)를 타고 넘어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의 한 쌍의 아암(27b, 27c)이 폐쇄되어, 생체 조직을 클립(27)의 한 쌍의 아암(27b, 27c) 사이에 확실히 끼워 넣은 상태가 된다.
이 때, 압박관(28)은 클립(27)보다 연성의 적절한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립(27)의 돌기(27e)는 압박관(28)의 내벽에 파고들어가고, 클립(27)이 압박관(28)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구속되어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클립 유닛(3)의 돌출 함몰 윙(32A, 32B)이 선단부 칩(13)을 압박함으로써, 관형체(6)에는 축 방향으로 강한 압축력이 부하된다.
슬라이더(18)를 더욱 기단부측으로 이동시켜 조작 와이어(8)를 후퇴시키면, 관형체(6)에 축 방향으로 강한 압축력이 부하된 상태에서, 클립(27)의 연결 부재(30)의 가는 직경부(30A)가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단된다. 이로 인해, 클립(27)은 연결 부재(30)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클립 유닛(3)이 클립 장치(1)로부터 이탈하여 생체 조직을 파지한 상태에서 체강 내에 유치된다. 한편, 관형체(6)가 압축력으로부터 해방된다.
클립(27)의 유치 후, 클립 장치(1)의 삽입부(2)를 내시경 삽입부(35)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6)의 내부로부터 제거한다. 계속해서 클립 유닛(3)을 재장전할 때에는, 훅(7)으로부터 남은 연결 부재(30)를 제거하여 새로운 클립 유닛(3)을 장착한다.
여기서, 클립의 한 쌍의 아암(27b, 27c)이 폐쇄되고 나서 연결 부재(30)의 가는 직경부(30A)가 파단될 때까지의 동안, 클립 장치(1)의 삽입부(2)가 도10에 도 시한 바와 같이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6)의 만곡에 따라서 만곡된 상태에서 압축력이 부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경도가 불연속으로 변화되는 코일 접속 파이프(12)의 선단부측 접속부(12A) 근방에서,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낮은 선단부측 코일(11)측에 굽힘 응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클립 장치(1)에 따르면, 선단부측 코일(11) 및 전방측 코일(10)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는 1.0을 초과하고 2.0 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관형체(6)가 만곡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압축력이 부하되어도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낮은 선단부측 코일(11)의 기단부에 굽힘 응력이 집중하여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만곡된 내시경(33)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6) 내에서 관형체(6)에 강한 압축력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부측 코일(11)의 평선(11a)의 권취 상태가 어긋나 관형체(6)가 소성 변형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측 코일(11) 쪽이 전방측 코일(10)보다도 연성이기 때문에, 만곡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6) 내를 삽입 관통시킬 때에,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6)을 따라 만곡되기 쉬워져, 클립(27)의 유치에 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점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 치(40)에 관한 삽입부(41)의 관형체(42)에 있어서의 선단부측 코일(43)이, 또한 선단부측의 제1 선단부측 코일(코일)(45)과, 기단부측의 제2 선단부측 코일(제2 코일, 코일)(46)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 점이다.
제2 선단부측 코일(46)과 전방측 코일(10)이 코일 접속 파이프(4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선단부측 코일(45)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단부측 코일(11)의 평선(11a)이 권취되어 이루어지고, 선단부측 코일(11)과 같은 일정한 외경 및 내경을 갖고 있다. 제1 선단부측 코일(45)의 축 방향의 길이는 조작 와이어(8)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훅이나, 클립 유닛의 이동 거리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제2 선단부측 코일(46)은 선단부가 제1 선단부측 코일(45)의 기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평선(46a)은, 제1 선단부측 코일(45)의 평선(11a)보다도 코일 중심 축선(C)에 대한 평선(46a)의 수직인 변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즉, 이 평선(46a)이 권취됨으로써, 외경은, 제1 선단부측 코일(45)과 대략 동일해지고, 또한 내경이 제1 선단부측 코일(45)보다도 작고, 또한 전방측 코일(코일)(11)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조작 와이어(8)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훅이나 클립 유닛이 삽입 관통할 수 없는 크기로 되어 있고, 제1 선단부측 코일(45)과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경계 부분에는 단차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코일(45, 46, 11)의 내경이 선단부측 제1 선단부측 코일(45)로부터 기단부측의 전방측 코일(10)을 향해 차례로 작아지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기단부는 외면측이 소정의 깊이로 깎여 있다. 제2 선단부측 코일(46)과 전방측 코일(10)은 코일 접속 파이프(1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선단부측 코일(45)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를 k1, 전방측 코일(10)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를 k2,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를 k3이라 하였을 때, 각각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크기는, k1 < k3 < k2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선단부측 코일(46) 및 제1 선단부측 코일(45)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는, 1.0을 초과하고 2.0 이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측 코일(10)이, 둥근 선이 그대로 권취된 것으로 한 경우에는, 둥근 선의 종탄성 계수를 E라 하였을 때, 전방측 코일(10)의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 kt1은 식 (3)이 된다.
[수3]
Figure 112007055926390-pat00004
(3)
또한,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 kt2는 식 (4)가 된다.
[수4]
Figure 112007055926390-pat00005
(4)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방측 코일(10)은 둥근 선이 찌부러진 평 선(10a)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는 식 (4)를 사용한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방측 코일(10) 및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는, 2.0을 초과한 값으로 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 경우에는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작은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 kt2가 25 N㎜/rad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4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립 유닛이 장착된 클립 장치(40)의 삽입부(2)를 만곡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6)에 삽입 관통하고, 조작부(5)를 조작하여 클립을 생체 조직에 유치한다.
이 때, 클립의 한 쌍의 아암(27b, 27c)이 폐쇄되고 나서 연결 부재(30)의 가는 직경부(30A)가 파단될 때까지의 동안,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립 장치(40)의 삽입부(2)에 압축력이 부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경도가 불연속으로 변화되는 코일 접속 파이프(12)의 선단부측 접속부(12A) 근방에서,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낮은 제2 선단부측 코일(46)측으로 굽힘 응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클립 장치(40)에 따르면, 전방측 코일(10) 및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가 2.0을 초과하고 있어도,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작은 제2 선단부측 코일(46)의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 kt2가 25 N㎜/rad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관형체(42)가 만곡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압축력이 부하되어도,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낮은 제2 선단부측 코 일(46)의 기단부에 굽힘 응력이 집중하여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점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50)에 관한 삽입부(51)의 관형체(52)에 있어서의 전방측 코일(53)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방측 코일(10)과 대략 동일 구성을 갖는 제1 전방측 코일(55)과, 제1 전방측 코일(55)의 선단부에 접속된 제2 전방측 코일(56)(제1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고 한 점이다.
제2 전방측 코일(56)은 제1 전방측 코일(55)의 평선(10a)보다도 가는 둥근 선(56a)이 권취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 전방측 코일(55)의 외경과 제2 전방측 코일(56)의 외경은 대략 동일하게 되고, 제1 전방측 코일(55)의 내경 쪽이 제2 전방측 코일(56)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측 코일(11)의 기단부와 제2 전방측 코일(56)의 선단부는 코일 접속 파이프(57)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1 전방측 코일(55)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를 k1, 선단부측 코일(11)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를 k2, 제2 전방측 코일(56)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를 k3이라 하였을 때, 각각의 크기는 k1 > k2 > k3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k1과 k3의 비는, 2.0을 초과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단, k2와 k3의 비는, 1.0을 초과하고 2.0 이하로 되어 있다.
이 클립 장치(50)에 따르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40)와 같은 작 용ㆍ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코일(10) 및 선단부측 코일(11)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는 1.0을 초과하고 2.0 이하로 되어 있지만,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가 2.0을 초과하고 있어도, 선단부측 코일의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가 25 N㎜/rad 이상이면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의 조작부의 선단부 부분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의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 부분을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
도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클립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클립 유닛의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클립 유닛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클립 유닛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내시경 삽입부에 삽입 관통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이용하여 클립 유닛의 클립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이용하여 클립 유닛의 클립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이용하여 클립 유닛의 클립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이용하여 클립 유닛의 클립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이용하여 클립 유닛의 클립을 유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클립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0, 50 : 클립 장치(내시경용 처치구)
6, 42, 52 : 관형체
7 : 훅(대직경부)
10 : 전방측 코일(제1 코일, 코일)
11 : 선단부측 코일(제2 코일, 코일)
12 : 코일 접속 파이프(접속부)
46 : 제2 선단부측 코일(제2 코일, 코일)
56 : 제2 전방측 코일(제1 코일, 코일)

Claims (6)

  1. 내시경의 만곡 가능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는 코일 형상의 관형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관형체가,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로 된 제1 코일과,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가 되고, 또한 상기 제1 코일의 스프링 정수와는 다른 스프링 정수를 갖고, 상기 제1 코일과 동축 상에 접속된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의 비가 1.0을 초과하고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2. 내시경의 만곡 가능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는 코일 형상의 관형체를 갖는 내시경용 처치구이며,
    상기 관형체가,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로 된 제1 코일과,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15 N/㎜ 내지 500 N/㎜가 되고, 또한 상기 제1 코일의 스프링 정수와는 다른 스프링 정수를 갖고, 상기 제1 코일과 동축 상에 접속된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 또는 상기 제2 코일 중,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작은 쪽 의 단위 길이당 비틀림 스프링 정수가 25 N㎜/rad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이 상기 관형체의 기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이 상기 제1 코일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의 내경이 상기 제1 코일의 내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이 상기 관형체의 기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이 상기 제1 코일의 선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코일의 내경이 상기 제1 코일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가 상기 제2 코일의 단위 길이당 스프링 정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보다도 경질로 되어,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KR1020070076881A 2006-08-03 2007-07-31 내시경용 처치구 KR100881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2076A JP4160608B2 (ja) 2006-08-03 2006-08-03 内視鏡用処置具
JPJP-P-2006-00212076 2006-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766A KR20080012766A (ko) 2008-02-12
KR100881251B1 true KR100881251B1 (ko) 2009-02-05

Family

ID=3864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881A KR100881251B1 (ko) 2006-08-03 2007-07-31 내시경용 처치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35297B2 (ko)
EP (1) EP1884209B1 (ko)
JP (1) JP4160608B2 (ko)
KR (1) KR100881251B1 (ko)
CN (1) CN100569173C (ko)
DE (1) DE60200700659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2489B2 (en) * 2003-12-05 2006-05-30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device with deflecting shaft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9451936B2 (en) * 2007-07-10 2016-09-27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surgical tool
US20090228023A1 (en) * 2008-03-04 2009-09-10 Fujifilm Corporation Clipping device
JP2010063702A (ja) * 2008-09-11 2010-03-25 Fujifilm Corp 連結クリップユニット
JP2010004941A (ja) * 2008-06-24 2010-01-14 Fujifilm Corp 筒状部材、及び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JP2010035819A (ja) * 2008-08-05 2010-02-18 Fujifilm Corp 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JP5280767B2 (ja) * 2008-08-14 2013-09-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JP5064334B2 (ja) * 2008-08-21 2012-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クリップパッケージおよびクリップ装填方法
JP2010193994A (ja) * 2009-02-24 2010-09-09 Fujifilm Corp クリップパッケージ及び連発式クリップシステム、並びに連発式クリップシステムの誤装填防止機構
JP2010264001A (ja) * 2009-05-13 2010-11-25 Fujifilm Corp 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JP5515594B2 (ja) * 2009-10-07 2014-06-1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クリップ、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クリップ装置
US9138234B2 (en) * 2011-11-14 2015-09-22 Anrei Medical (Hz) Co., Ltd. Clip apparatus for ligature of living tissue
CN103501680B (zh) * 2011-12-16 2015-09-02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树脂管
CN102626335B (zh) * 2012-04-16 2014-04-09 常州市久虹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四连杆结构的止血夹
KR101575150B1 (ko) 2014-05-28 2015-12-21 한국과학기술원 가역적 반응이 가능한 활성산소종 탐지용 신규 보디피 화합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48461B (zh) * 2014-09-25 2016-06-22 安瑞医疗器械(杭州)有限公司 夹钳、夹钳推送装置和止血夹
USD782658S1 (en) * 2015-02-02 2017-03-28 Indian Ocean Medical Inc. Airway device
JP6447315B2 (ja) * 2015-03-31 2019-01-0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およびクリップ
US10646228B2 (en) 2015-03-31 2020-05-12 Sumitomo Bakelite Co., Ltd. Endoscopic clip device and clip
KR20190059911A (ko) * 2016-10-22 2019-05-31 오퍼튜니티 / 디스커버리 엘엘씨 일회용 피복 디바이스
EP3576596A4 (en) * 2016-12-02 2021-01-06 Vanderbilt University STEERABLE ENDOSCOPE WITH CONTINUOUS MANIPULATOR
KR102134342B1 (ko) * 2018-07-18 2020-08-2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텐던 구동 방식의 내시경 말단의 비틀림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640820B1 (ko) * 2019-05-28 2024-02-27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접을 수 있는 캡슐을 구비한 지혈 클립
CN112137672A (zh) * 2019-06-28 2020-12-29 南微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通过内窥镜的组织夹闭装置
CN110292411B (zh) * 2019-08-06 2024-04-16 南微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织夹闭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2231A (ja) 1997-01-13 1998-07-28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JP2004033525A (ja) 2002-07-04 2004-02-05 Fuji Photo Optical Co Ltd 硬度可変処置具
WO2006062020A1 (ja) 2004-12-07 2006-06-15 Olympus Corporation 内視鏡用導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246A (ja) 1989-04-13 1991-02-28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US5228451A (en) * 1990-05-10 1993-07-20 Symbiosis Corporation Biopsy forceps device having stiff distal end
JP3523712B2 (ja) * 1995-04-13 2004-04-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紮装置
US7052489B2 (en) * 2003-12-05 2006-05-30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device with deflecting shaft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DE102004057481B4 (de) * 2004-11-19 2008-08-07 Karl Storz Gmbh & Co. Kg Flexibler Schaft für ein Endoskop sowie derartiges Endoskop
CN100475165C (zh) * 2004-12-07 2009-04-08 奥林巴斯株式会社 用于内窥镜的处理装置系统和包括处理装置的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2231A (ja) 1997-01-13 1998-07-28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JP2004033525A (ja) 2002-07-04 2004-02-05 Fuji Photo Optical Co Ltd 硬度可変処置具
WO2006062020A1 (ja) 2004-12-07 2006-06-15 Olympus Corporation 内視鏡用導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35297B2 (en) 2013-09-17
EP1884209A3 (en) 2008-08-27
KR20080012766A (ko) 2008-02-12
CN100569173C (zh) 2009-12-16
US20080033239A1 (en) 2008-02-07
JP2008036003A (ja) 2008-02-21
JP4160608B2 (ja) 2008-10-01
CN101116606A (zh) 2008-02-06
DE602007006594D1 (de) 2010-07-01
EP1884209B1 (en) 2010-05-19
EP1884209A2 (en)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25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US7223271B2 (en) Apparatus for ligating living tissues
JP5343113B2 (ja) 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結紮装置
JP5750620B2 (ja) 内視鏡処置具
US7282055B2 (en) Medical retrieval instrument
JP4472217B2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US8114098B2 (en) Insertion apparatus for endoscope
JP5427857B2 (ja) 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結紮装置、並びにクリップ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4427070B2 (ja) クリップケース
US8777964B2 (en) Suture and ligature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JPWO2014181675A1 (ja) クリップユニット
JP2007136128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KR20070031903A (ko)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
CN108289687B (zh) 连接件、医疗用夹具装置及医疗用夹具装置的制造方法
EP3689254A1 (en) Pull clip for endoscope
JP4472719B2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US10441292B2 (en) Clip device for endoscope
JP2007196012A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JP4046981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JP4105406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WO2013038779A1 (ja) 医療用処置具
JP2006239139A (ja) 内視鏡用処置具
KR20200103670A (ko) 내시경용 처치구
JP4472720B2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JP2022179466A (ja) クリップユニットおよびクリップアプリケ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