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180B1 - 인쇄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180B1
KR100809180B1 KR1020070022509A KR20070022509A KR100809180B1 KR 100809180 B1 KR100809180 B1 KR 100809180B1 KR 1020070022509 A KR1020070022509 A KR 1020070022509A KR 20070022509 A KR20070022509 A KR 20070022509A KR 100809180 B1 KR100809180 B1 KR 10080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ink
lens
lens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163A (ko
Inventor
가츠히토 스즈키
후미아키 무카이야마
요이치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3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on optical devices, e.g. lens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쇄 매체에서는, 기재(30)는, 렌티큘러 시트(10a)와의 고착부로부터, 더욱 도면 우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연재부(10b)를 형성하고 있다. 인쇄 매체(10)에 마련된 잉크 투과층(50)에 「시차 화상」을, 인쇄 용지(60)에 「수신인 이름」을, 또한 잉크 투과층(50)에 「폴딩 라인(folding line)」을 각각 인쇄하고,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연재부(10b)를 구부림으로써 수신인 이름이 쓰여진 인쇄 부분을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쪽에 용이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인쇄 매체{PRINT MEDIUM}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인쇄 매체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a)는 실시예 1의 인쇄 매체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며, 도 2(b)는 연재부를 구부리는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2(c)는 연재부를 구부린 후의 인쇄 매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3(a)는 인쇄 매체의 표면에 대하여, 인쇄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b)는 도 3(a)를 윗면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a)는 인쇄 매체의 이면에 대하여, 인쇄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4(b)는 도 4(a)를 윗면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a)는 실시예 1의 인쇄 매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5(b)∼도 5(d)는, 변형예 1의 인쇄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a) 및 도 6(b)는 변형예 1의 또다른 변형예로서의 인쇄 매체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변형예 2와 변형예 3을 적용한 인쇄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인쇄 매체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a)는 실시예 2의 인쇄 매체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 9(b)는 연재부를 구부리는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9(c)는 연재부를 구부린 후의 인 쇄 매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실시예 2의 인쇄 매체에 대하여, 그 이면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1(a)는 실시예 2의 인쇄 매체에 대하여, 인쇄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1(b)는 도 11(a)를 윗면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인쇄 매체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a)는 실시예 3의 인쇄 매체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 13(b)는 연재부를 구부리는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13(c)는 연재부를 구부린 후의 인쇄 매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14(a)는 실시예 3의 인쇄 매체에 대하여, 인쇄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4(b)는 도 14(a)를 윗면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a)는 실시예 3의 인쇄 매체에 대하여, 인쇄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5(b)는 도 15(a)를 윗면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변형예 8을 적용한 인쇄 매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쇄 매체 10a : 렌티큘러 시트
10b : 연재부 20 : 볼록 렌즈
30 : 기재 40 : 잉크 흡수층
50 : 잉크 투과층 60 : 인쇄 용지
70 : 접착층 80 : 박리 시트
본 발명은, 표면이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를 갖는 인쇄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입체 화상을 즐기는 방법으로서, 표면에 원통 형상의 볼록 렌즈를 다수 병렬 배치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가 형성된 렌즈 시트(이후, 「렌티큘러 시트」라고도 부름)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평면적으로 복수의 볼록 렌즈가 배열된 플라이 아이 렌즈를 이용하는 인티그럴 포토그래피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에서는, 형성된 복수의 렌즈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우안용과 좌안용의 화상, 다시 말해, 시차(視差) 화상을 배치하고, 배치된 시차 화상을 관상함으로써 입체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차 화상이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입체 화상을 즐길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렌즈에 대한 시차 화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해, 렌티큘러 시트에 직접 시차 화상을 인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혹은, 렌티큘러 시트의 일부를 인쇄면에 남기고, 남긴 렌티큘러 시트의 각각의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차 화상을 인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최근, 상술한 특허문헌 1 또는 2와 같은 인쇄 기술에 부가하여, 렌티큘러 시트의 비용 저하나 프린터의 보급 등에 의해, 작성자는, 시차 화상을 손쉽게 인쇄 매체에 인쇄하여 입체 화상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작성자 개인이 입체 화상을 관상하여 즐길 뿐만 아니라, 시차 화상을 인쇄한 인쇄 매체를, 다른 사람에게 엽서로서 송부하는 것이 행해지는 것 같은 상황으로도 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했을 때, 작성한 렌티큘러 시트를 엽서로서 송부하는 것이 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시차 화상이 인쇄된 렌티큘러 시트면에 수신인 이름을 쓸 필요가 발생하여, 그대로 수신인 이름을 쓰면 시차 화상에 수신인 이름이 덧쓰여진 상태가 되어 버린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수신인 이름을 쓰더라도 시차 화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용지를, 렌티큘러 시트와의 위치 정렬을 행하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차 화상의 위로부터 붙이고, 그 후, 이 용지에 수신인 이름을 쓴다고 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접착 작업을 행할 때는, 시차 화상의 인쇄면을 더럽히지 않도록, 또한 인쇄된 시차 화상이 벗겨지지 않도록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성자에게는 대단히 부하가 크고 번거로운 작업이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시차 화상이 인쇄되는 면에 남겨진 렌티큘러 렌즈 부분은 시차 화상이 인쇄될 수 없기 때문에, 예컨대, 렌티큘러 시트를 엽서로서 송부하는 경우, 엽서면 전면을 입체 화상용으로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보 제 3471930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5-196153호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차 화상이 렌즈 시트 전면에 인쇄된 인쇄 매체를, 작성자가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엽서 등으로서 다른 사람에게 송부할 수 있는 인쇄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쇄 매체는, 표면이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를 갖는 인쇄 매체로서, 상기 렌즈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면에 고착되고,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를 넘어 상기 렌즈 시트의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연재부를 갖는 박판 형상의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재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의 한 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재를 구부렸을 때,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 전체와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재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 렌즈 시트의 이면 전체에 포갤 수 있다. 따라서, 기재에 대하여, 렌즈 시트측과 반대쪽에서 렌즈 시트의 이면 영역에 시차 화상을 직접 인쇄하고, 렌즈 시트측과 같은 쪽에서 연재부의 영역에 직접 수신인 이름을 쓴 후, 기재를 구부려 연재부를 렌즈 시트에 포개는 것에 의해, 렌즈 시트 표면으로부터는 시차 화상이, 렌즈 시트의 이면 방향으로부터는 수신인 이름이 보이게 되며, 인쇄 매체를 엽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으로서,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에 인쇄용의 제 1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렌즈 시트의 이면의 위치에 시차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시트와 시차 화상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차 화상의 인쇄를, 기재에 직접 인쇄하는 것이 아니고, 시차 화상의 인쇄에 적합한 인쇄면에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된 시차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의 면으로서, 상기 기재의 연재부에 인쇄용의 제 2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예컨대, 렌즈 시트를 엽서로서 송부할 때의 수신인 이름 쓰기를, 기재에 직접 쓰거나 인쇄하거나 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고, 수신인 이름 쓰기에 적합한 인쇄면에 쓰거나 인쇄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송부하는 엽서로서 바람직한 수신인 이름 쓰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으로서, 상기 기재의 연재부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기재를 구부렸을 때, 접착층에 의해 연재부가 렌즈 시트의 이면에 접착되기 때문에, 작성자는, 별도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재부를 렌즈 시트의 이면에 붙인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엽서 등으로서 다른 사람에게 송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인쇄면에는, 적어도 인쇄용의 잉크를 흡수하는 흡수층이 형 성되어 있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시차 화상이 소정의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된 경우, 잉크를 안정하게 인쇄면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에 의해 형성된 시차 화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매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렌즈 형상은, 원통 형상을 갖는 볼록 렌즈가 다수 병렬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인 것으로서도 좋다.
렌티큘러 렌즈는, 시차 화상과의 조합으로 용이하게 입체 화상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재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의 네 변 중, 상기 볼록 렌즈의 원통축에 대하여 평행에 가장 가까운 한 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예컨대, 연재부에 형성된 제 2 인쇄면으로의 수신인 이름 쓰기를 인쇄로써 행할 때,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가 렌티큘러 렌즈의 각 볼록 렌즈의 피치를 검출하도록 구성하고, 검출한 볼록 렌즈의 피치에 근거하여 시차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연재부를 상기 볼록 렌즈의 원통축에 대하여 평행에 가장 가까운 한 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도록 해 두면, 볼록 렌즈의 피치를 정밀도 좋게 검출하게 되어, 볼록 렌즈와 시차 화상의 상대적인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해당 기재를 구부리기 위한 기준이 되는 폴딩 라인(folding line)이 마련된 것으로서도 좋다.
혹은, 본 발명의 인쇄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면에, 상기 기재를 구부리기 위한 기준이 되는 폴딩 라인이 마련된 것으로서도 좋다.
혹은, 본 발명의 인쇄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면에, 상기 기재를 구부리기 위한 기준이 되는 폴딩 라인이 마련된 것으로서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기재를 구부려 연재부를 렌즈 시트의 이면에 포갤 때, 마련된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구부림 작업에 따른 부하가 가벼워져, 작성자가 행하는 작업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매체에서는, 상기 연재부는, (1)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에 대하여, 인쇄용의 제 1 인쇄면이 형성되고, (2)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같은 쪽의 면에 대하여, 인쇄용의 제 2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재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 연재부를 렌즈 시트의 이면 전체에 포갤 수 있다. 그래서, 연재부에 대하여, 렌즈 시트측과 반대쪽의 이면 영역에 형성된 제 1 인쇄면에 시차 화상을 인쇄하고, 렌즈 시트측과 같은 쪽의 표면 영역에 형성된 제 2 인쇄면에 수신인 이름을 쓴 후, 기재를 구부려 연재부를 렌즈 시트에 포개면, 렌즈 시트 표면 방향으로부터는 전면에 시차 화상이, 렌즈 시트의 이면 방향으로부터는 수신인 이름이 보이는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시차 화상을 관상할 수 있는 엽서로서 인쇄 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매체는,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에 대하여,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 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기재를 구부렸을 때, 접착층에 의해 연재부가 렌즈 시트의 이면에 접착되기 때문에, 작성자는, 별도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재부를 렌즈 시트의 이면에 붙인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엽서 등으로서 다른 사람에게 송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 매체는, 표면이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를 갖는 인쇄 매체로서, 상기 렌즈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면에 고착되고,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를 넘어 상기 렌즈 시트의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연재부를 갖는 박판 형상의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에 대하여, (1)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에 인쇄용의 제 1 인쇄면이 형성되고, (2) 상기 기재의 연재부에 인쇄용의 제 2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렌즈 시트의 이면에 대응하는 기재의 위치에, 시차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렌즈 시트와 시차 화상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차 화상의 인쇄를, 기재에 직접 인쇄하는 것이 아니고, 시차 화상의 인쇄에 적합한 인쇄면에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된 시차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재부에 인쇄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예컨대, 렌즈 시트를 엽서로서 송부할 때의 수신인 이름을, 기재에 직접 쓰거나 인쇄하거나 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고, 연재부에 형성된 인쇄면에 쓰거나 인쇄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송부하는 엽서로서 바람직한 수신인 이름 쓰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시차 화상과 수신인 이름의 양쪽을, 기재의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동일한 면에 형성한 각각의 인쇄면에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시차 화상과 수신인 이름을 동시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인쇄면에는, 적어도 인쇄용의 잉크를 흡수하는 제 1 잉크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시차 화상이 소정의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된 경우, 잉크를 안정하게 인쇄면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에 의해 형성된 시차 화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인쇄면에는, 적어도 인쇄용의 잉크를 흡수하는 제 2 잉크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예컨대, 연재부에 형성된 제 2 인쇄면에 소정의 잉크를 이용하여 수신인 이름 쓰기가 행해진 경우, 잉크를 안정하게 인쇄면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에 의해 쓰여진, 수신인 이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진행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기술로부터 한층 용이하게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인쇄 매체에 대하여,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되는 인쇄 매체(10)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인쇄 매체(10)의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인쇄 매체(10)는, 복수의 원통 형상의 볼록 렌즈(20)가 표면(도면 위쪽)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 기재(30), 잉크 흡수층(40), 잉크 투과층(50), 접착층(70), 박리 시트(80) 및 인쇄 용지(60)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 1에서는, 각 볼록 렌즈(20)의 원통축 방향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긴 변과 평행한 것으로 한다. 또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렌티큘러 시트는 6개의 원통 형상의 볼록 렌즈(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이후 설명한다. 물론, 렌티큘러 시트(10a)는, 볼록 렌즈(20)의 피치가 30∼180LPI(Lens Per Inch)인 것이 통상 많이 이용되고, 실제로는 이들에 상당하는 개수의 볼록 렌즈가 존재한 것이다.
렌티큘러 시트(10a)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G(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APET, PP, PS, PVC, 아크릴, UV,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PMMA(메타크릴) 수지 등, 렌즈로서 이용할 수 있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그 이면(도면 아래쪽) 부분 전체가 기재(30)와 고착되어 있다. 고착 방법은, 기재(30)의 재료에 따라 용착이나 접착 등, 주지의 재료나 방법을 이용하여 행해지지만, 렌티큘러 시트(10a)와 기재(30)가 투명성을 유지하여 고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기재(30)는, 투명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예컨대, PETG 수지 등이 이용 된다. 물론, 통상의 PET 수지 등도 이용하더라도 좋고, 후술하는 잉크 흡수층(40)에 형성되는 시차 화상을, 렌티큘러 시트(10a) 쪽에서 관상할 수 있는 것 같은 투과성을 갖고, 후술하는 폴딩 라인에서 구부릴 수 있는 재료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기재(30)에는, 렌티큘러 시트(10a)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에서,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범위에 상당하는 부분에 잉크 흡수층(40)이 구성되어 있다. 잉크 흡수층(40)은, 각 볼록 렌즈에 대응하는 시차 화상이 잉크의 토출에 의한 인쇄에 의해 행해졌을 때, 토출된 잉크를 흡수하고, 토출된 위치에 잉크를 고착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이며, 예컨대, PVA(폴리비닐알콜) 등의 친수성 폴리머 수지, 카티온 화합물, 실리카 등의 미립자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잉크 흡수층에 의해, 각 볼록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차 화상을 형성할 수 있어, 입체 화상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잉크 흡수층(40)의 이면에 잉크 투과층(50)이 구성되어 있다. 잉크 투과층(50)은, 토출된 잉크가 최초에 부착되고, 그 후 부착된 잉크가 투과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잉크를 적절히 잉크 흡수층(40)에 이동시킴과 아울러, 잉크를 남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잉크 투과층(50)이 시차 화상에 대한 기초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잉크 투과층(50)은, 예컨대, 산화티탄, 실리카겔, PMMA(메타크릴 수지)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고, 기초로서 바람직한 백색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재(3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와의 고착부로부터, 더욱 도면 우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 트(10a)의 우측 긴 변의 우측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연재부(10b)를 형성하고 있다. 연재부(10b)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 우측 긴 변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렸을 때,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전체와 겹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렌티큘러 시트(10a)와 대략 일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 기재(30)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연재부(10b)에서는, 그 표면(도면 위쪽)에 인쇄 용지(60)가 접착 등에 의해 붙여져 있다. 인쇄 용지(60)는, 그 표면에, 수신인 이름 등을 작성자가 직접 쓰거나,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인쇄하거나 하여 기입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인쇄하는 경우는, 예컨대, 잉크젯 기록지와 같은 인쇄에 바람직한 용지를 이용하면 좋다.
또한, 연재부(10b)에 있어서의 기재(30)의 이면에는, 접착층(70)이 형성되고, 또한 접착층(70)의 이면에 박리 시트(80)가 붙여져 있다. 접착층(70)은, 연재부(10b)를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 연재부(10b)에 있어서의 기재(30)를, 잉크 투과층(50)의 이면에 접착하기 위한 것이다. 접착층(70)은, 예컨대, 에폭시계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물론, 잉크 투과층(50)과 기재(30)를 접착할 수 있는 재료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박리 시트(80)는, 접착층(70)이 더러워지는 것 등에 의해 접착성이 열화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연재부(10b)를 구부려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에 접착할 때에, 접착에 앞서 접착층(70)으로부터 박리된다. 따라서, 접착층(70)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재료라면, 수지 재료라도 종이라도 무엇이든지 좋다.
연재부(10b)를 구부려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에 접착하는 모양을,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또, 기재(30)나 상술한 각 층 등 인쇄 매체(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두께가 수십 미크론부터 수백 미크론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2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각 구성 요소를 생략하고, 한 장의 시트로서 도시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에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안쪽(도면 아래쪽) 전체에 상당하는 부분 SB에 「시차 화상 인쇄」가 행해지고, 연재부(10b)의 바깥쪽(도면 위쪽)에 상당하는 부분 SA에 「수신인 이름 쓰기」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인쇄 매체(10)의 이면에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에서, 연재부(10b) 쪽의 한 변(10k)을 기준으로 하여 「폴딩 라인(10t)」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시차 화상 인쇄」, 「수신인 이름 쓰기」와 「폴딩 라인(10t)」에 대해서는, 후에 보충 설명한다.
그리고,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딩 라인(10t)을 기준으로 하여, 연재부(10b)를 구부리고, 박리 시트(80)를 접착층(70)으로부터 박리한 후,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연재부(10b)를 구부려 넣음으로써, 접착층(70)의 면과, 잉크 투과층(50)의 면을 접합한다.
그리고, 접착층(70)의 면과, 잉크 투과층(50)의 면이 접합되면,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의 표면 방향 VA에서 봄으로써, 입체 화상을 관상할 수 있고, 연재부(10b)의 이면 방향 VB에서 봄으로써 수신인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시 말해, 인쇄 매체(10)는, 입체 화상을 관상할 수 있는 「엽서」로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는, 폴딩 라인(10t)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리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렌티큘러 시트(10a)의 부분과, 연재부(10b)의 부분을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렌티큘러 시트와의 위치 정렬을 행하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차 화상의 위로부터 수신인 이름 쓰기 용지를 붙인다고 하는 것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작성자는, 용이하게 입체 화상을 관상할 수 있는 엽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상술한 「시차 화상 인쇄」와 「수신인 이름 쓰기」 및 「폴딩 라인」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인쇄 매체(10)에 「시차 화상」과 「수신인 이름」 및 「폴딩 라인」을 프린터에 의해 인쇄함으로써 각각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우선 수신인 이름을 인쇄하는 것으로 하고, 도 3에 그 모양을 나타내었다. 도 3(a)는 인쇄 매체(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 3(b)는 그것을 윗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도시하지 않음)의 캐리지(90)에는, 반사광(91a)을 이용하여 렌티큘러 시트(10a)의 각 볼록 렌즈(20)의 피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91)가 구비되고, 캐리지 주사 SC(도면 중 화살표)에 맞추어 볼록 렌즈의 피치를 검출한다. 피치 검출 범위 RP는, 도 3(b)의 그물 무늬 부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가 존재하는 범위이며, 이 범위에 대하여, 도 3(b) 내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의 주사에 따라 피치 검출 주사 SP를 행한다. 그리고, 검출한 결과를,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프린터에 내장된 기억 수단에 기억함으로써, 렌티큘러 시트의 각 볼록 렌즈의 피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그 후, 캐리지(90)가 인쇄 용지(60)의 범위에 오면, 소정의 위치에 잉크(95)를 캐리지(90)에 구비된 인쇄 헤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토출하여, 인쇄 용지(60)의 표면에 소정의 수신인 이름을 인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시차 화상의 인쇄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인쇄 매체(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 4(b)는 그것을 윗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투과층(50)의 범위, 즉,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도 4(b) 그물 무늬 부분)에 있어서, 상술한 기억되어 있는 각 볼록 렌즈의 피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피치 정보에 근거하여, 각 볼록 렌즈(20)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 캐리지(90)에 구비된 인쇄 헤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잉크(95)를 토출하여, 잉크 투과층(50)의 표면에 잉크를 부착시켜, 소정의 시차 화상을 인쇄한다. 그 후,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착된 잉크가 잉크 흡수층(40)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시차 화상은 기재(30)의 이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폴딩 라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의 시차 화상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의 좌단, 다시 말해, 도 2에 있어서 설명한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10k)에 상당하는 위치에 폴딩 라인(10t)을 인쇄함으로써 폴딩 라인을 마련한다. 또, 도 4(b)에서는, 폴딩 라인(10t)의 인쇄를, 일례로서 상하 각각 2개의 도트로 나타냈지만, 이외에도, 파선이나 실선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10k)을 따라, 그 일부나 전체에 인쇄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에 의하면, 인쇄 매체(10)에 마련된 잉크 투과층(50)에 「시차 화상」을, 인쇄 용지(60)에 「수신인 이름」을, 또한 잉크 투과층(50)에 「폴딩 라인」을 각각 인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인 이름」의 인쇄시에 볼록 렌즈(20)의 피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검출된 피치 정보에 근거하여 「시차 화상」을 인쇄함으로써, 각 볼록 렌즈 위치에 맞춘 위치에 시차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림으로써, 수신인 이름이 쓰여진 인쇄 부분을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쪽에 용이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인쇄 매체(10)의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인쇄 매체(10)는, 복수의 원통 형상의 볼록 렌즈(20)가 표면(도면 위쪽)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 기재(30), 제 1 잉크 흡수층(40A), 제 1 잉크 투과층(50A), 제 2 잉크 흡수층(40B), 제 2 잉크 투과층(50B) 및 접착층(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잉크 흡수층(40A)과 제 1 잉크 투과층(50A)은, 청구항에 기재된 제 1 인쇄면에 상당한다.
또한, 제 2 잉크 흡수층(40B)과 제 2 잉크 투과층(50B)은, 청구항에 기재된 제 2 인쇄면에 상당한다.
또, 본 실시예 2에서는, 각 볼록 렌즈(20)의 원통축 방향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긴 변과 평행한 것으로 한다. 또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렌티큘러 시트는 6개의 원통 형상의 볼록 렌즈(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이후 설명한다. 물론, 렌티큘러 시트(10a)는, 볼록 렌즈(20)의 피치가 30∼180LPI(Lens Per Inch)인 것이 통상 많이 이용되고, 실제로는 이들에 상당하는 개수의 볼록 렌즈가 존재한 것이다.
렌티큘러 시트(10a)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G(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APET, PP, PS, PVC, 아크릴, UV,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PMMA(메타크릴) 수지 등, 렌즈로서 이용할 수 있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그 이면(도면 아래쪽) 부분 전체가 기재(30)와 고착되어 있다. 고착 방법은, 기재(30)의 재료에 따라, 용착이나 접착 등 주지의 재료나 방법을 이용하여 행해지지만, 렌티큘러 시트(10a)와 기재(30)가 투명성을 유지하여 고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기재(30)는, 투명성을 갖는 재료로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예컨대, PETG 수지 등이 이용된다. 물론, 통상의 PET 수지 등도 이용하더라도 좋고, 후술하는 제 1 잉크 흡수층(40A)에 형성되는 「시차 화상」을 렌티큘러 시트(10a)를 거쳐 관상할 수 있고, 또한, 제 2 잉크 흡수층(40B)에 형성되는 「수신인 이름」을, 렌티 큘러 시트(10a) 쪽에서 관상할 수 있는 것 같은 투명성을 갖고,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폴딩 라인」에서 구부리기가 가능한 재료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기재(30)에는, 렌티큘러 시트(10a)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에서,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범위에 상당하는 부분에 제 1 잉크 흡수층(40A)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잉크 흡수층(40A)은, 각 볼록 렌즈에 대응하는 시차 화상의 형성이 잉크의 토출에 의한 인쇄에 의해 행해졌을 때, 토출된 잉크를 흡수하여, 토출된 위치에 잉크를 고착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이며, 예컨대, PVA(폴리비닐알콜) 등의 친수성 폴리머 수지, 카티온 화합물, 실리카 등의 미립자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잉크 흡수층에 의해, 각 볼록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차 화상을 형성할 수 있어, 입체 화상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제 1 잉크 흡수층(40A)의 이면에 제 1 잉크 투과층(50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잉크 투과층(50A)은, 토출된 잉크가 최초에 부착되고, 그 후 부착된 잉크가 투과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잉크를 적절히 제 1 잉크 흡수층(40A)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잉크를 남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 1 잉크 투과층(50A)이 시차 화상에 대한 기초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제 1 잉크 투과층(50A)은, 예컨대, 산화티탄, 실리카겔, PMMA(메타크릴 수지)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고, 기초로서 바람직한 백색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재(3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와의 고착 부로부터, 더욱 도면 우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우측 긴 변의 우측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연재부(10b)를 형성하고 있다. 연재부(10b)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 우측 긴 변에 근거하여 마련된 「폴딩 라인」(후술함)을 따라 구부렸을 때,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전체와 겹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렌티큘러 시트(10a)와 대략 일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 기재(30)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연재부(10b)의 이면(도면 아래쪽)에는, 제 2 잉크 흡수층(40B)이 구성되어 있다. 제 2 잉크 흡수층(40B)은, 예컨대, 우편 번호나 수신지 등이라고 하는 수신인 이름 쓰기에 대응하는 문자의 형성이, 잉크의 토출에 의한 인쇄에 의해 행해졌을 때, 토출된 잉크를 흡수하여, 토출된 위치에 잉크를 고착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제 2 잉크 흡수층(40B)은, 예컨대, PVA(폴리비닐알콜) 등의 친수성 폴리머 수지, 카티온 화합물, 실리카 등의 미립자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잉크 흡수층에 의해, 수신인 이름 쓰기를 적절히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제 2 잉크 흡수층(40B)의 이면에 제 2 잉크 투과층(50B)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잉크 투과층(50B)은, 토출된 잉크가 최초에 부착되고, 그 후 부착된 잉크가 투과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잉크를 적절히 제 2 잉크 흡수층(40B)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잉크를 남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 2 잉크 투과층(50B)이 형성된 수신인 이름 쓰기에 대한 기초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제 2 잉크 투과층(50B)은, 상술한 제 1 잉크 투과층(50A)과 같이, 예컨대, 산화티탄, 실리카겔, PMMA(메타크릴 수지)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고, 기초로서 바람직한 백색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물론, 엽서 표면의 색은, 백색 또는 담색이라면 좋기 때문에, 잉크를 투과하여 담색을 나타내는 재료라면, 이들 이외의 재료로 구성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 2 잉크 투과층(50B)의 이면(도면 아래쪽)에는, 접착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110)은, 연재부(10b)를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 제 1 잉크 투과층(50A)의 이면과 제 2 잉크 투과층(50B)을 접착함으로써, 연재부(10b)를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에 접착하기 위한 것이다. 접착층(110)은, 예컨대, 에폭시계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물론, 제 1 잉크 투과층(50A)과 제 2 잉크 투과층(50B)을 접착할 수 있는 재료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그러면 다음으로, 연재부(10b)를 구부려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에 접착하는 모양을,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또, 기재(30)나 상술한 제 1 잉크 흡수층(40A) 등 인쇄 매체(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대략 두께가 수십 미크론에서 수백 미크론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9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각 구성 요소를 생략하고, 한 장의 시트로서 도시했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의 이면(도면 아래쪽)에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안쪽(도면 아래쪽) 전체에 상당하는 부분 SB에 「시차 화상 인쇄 」가 행해지고, 연재부(10b)의 안쪽(도면 아래쪽)에 상당하는 부분 SA에 「수신인 이름 쓰기」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인쇄 매체(10)의 이면에는, 렌티큘러 시트(10a) 한 변에서, 연재부(10b) 쪽의 한 변(10k)을 기준으로 하여 「폴딩 라인(10t)」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시차 화상 인쇄」,「수신인 이름 쓰기」와 「폴딩 라인(10t)」에 대해서는, 나중에 보충 설명한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딩 라인(10t)을 기준으로 하여, 연재부(10b)를 구부려,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연재부(10b)를 구부려 넣음으로써, 접착층(110)의 면과, 제 1 잉크 투과층(50A)의 면을 접합시킨다.
그리고, 접착층(110)의 면과, 제 1 잉크 투과층(50A)의 면이 접합되면,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의 표면 방향 VA에서 봄으로써 입체 화상을 관상할 수 있고, 연재부(10b)의 이면 방향 VB에서 봄으로써 수신인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시 말해, 인쇄 매체(10)는, 입체 화상을 관상할 수 있는 「엽서」로 되는 것이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는, 폴딩 라인(10t)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리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렌티큘러 시트(10a)의 부분과, 연재부(10b)의 부분을 접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렌티큘러 시트와의 위치 정렬을 행하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차 화상의 위로부터 수신인 이름 쓰기 용지를 붙인다고 하는 것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작성자는, 용이하게 입체 화상을 관상할 수 있는 엽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상술한 「시차 화상 인쇄」와 「수신인 이름 쓰기」 및 「폴딩 라인 」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인쇄 매체(10)에 「시차 화상」과 「수신인 이름」 및 「폴딩 라인」을 프린터에 의해 인쇄함으로써 각각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각각의 인쇄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연재부(10b)에 대하여, 그 이면에 형성되는 제 2 잉크 흡수층(40B), 제 2 잉크 투과층(50B) 및 접착층(110)에 대하여, 그 평면적인 구성 상태를 설명해 둔다.
도 10은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를 이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범위 전체에는, 도면 중 그물 무늬 부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잉크 투과층(5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재부(10b)의 이면에는 접착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잉크 투과층(50A)과 접착층(110)은,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10k)에 상당하는 위치 TL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층(110)은, 소정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편 번호를 기재하기 위한 우편 번호 영역(71), 수신지로 되는 주소를 기재하기 위한 주소 영역(72), 이름을 기재하기 위한 이름 영역(73) 및 「우편 엽서」 또는 이에 상당하는 문자를 기재하기 위한 표시 영역(74)을 소정의 영역으로 하고, 이외의 영역에 접착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소정의 영역에서는, 접착층(110)이 아니라, 제 2 잉크 투과층(50B)이 표면에 노출하고 있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세로 쓰기를 전제로 우표 KT가 붙여지는 위치를 고려하 여, 주소 영역(72)이나 이름 영역(73)을 평면적으로 바람직한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물론, 가로 쓰기를 전제로 하여, 주소 영역(72)이나 이름 영역(73) 등이라고 하는 소정의 영역을, 각각 평면적으로 바람직한 위치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것에 한하지 않고, 엽서로서 송부 가능하게 되는 기재 내용에 바람직한 영역을, 연재부(10b)의 이면 영역 내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그러면,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에 대하여, 어떻게 「시차 화상」, 「수신인 이름」, 「폴딩 라인」의 인쇄를 행할 것인지를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인쇄 매체(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 11(b)는 그것을 윗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의 도면 위쪽에는, 프린터의 인쇄 헤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캐리지(90)가 배치되고,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가 도면 좌우 방향 SC로 주사되는 것에 의해 인쇄 매체로의 인쇄가 행해진다. 물론, 인쇄 매체(10)는, 롤러 등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의 반송 수단에 의해 도면 앞에서 뒤 방향으로 반송되어, 인쇄 매체(10)의 전체 영역에 인쇄가 행해지는 것이다.
인쇄 매체(10) 중, 렌티큘러 시트(10a)의 도면 아래쪽에는 발광면(100)이 배치되어 있다. 한쪽 캐리지(90)에는 검출 수단(91)이 마련되고, 이 발광면(100)으로부터 발생되어, 각 볼록 렌즈(20) 및 기재(30), 제 1 잉크 흡수층(40A), 제 1 잉크 투과층(50A)을 투과한 투과광(92)을 검출한다. 이 투과광(92)은, 볼록 렌즈(20)의 두께의 변화에 근거하여 광량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검출 수단(91)은, 캐리지 주사(도면 중 화살표)에 맞추어 발생하는 투과광의 광량 변화를 검출하여 렌티큘러 시트(10a)에 있어서의 각 볼록 렌즈(20)의 피치를 검출한다.
검출 범위는, 도 11(b)의 그물 무늬 부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가 존재하는 범위 전체이며, 이 범위에 대하여, 도 11(b) 내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의 주사에 따라 피치 검출 주사를 행한다. 그리고, 검출한 결과를,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프린터에 내장된 기억 수단에 기억함으로써, 렌티큘러 시트의 각 볼록 렌즈의 피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지(90)가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를 주사할 때, 상술한 기억되어 있는 각 볼록 렌즈의 피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피치 정보에 근거하여, 각 볼록 렌즈(20)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 캐리지(90)에 구비된 인쇄 헤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잉크(95)를 토출하여, 제 1 잉크 투과층(50A)의 표면에 잉크를 부착시켜, 소정의 시차 화상을 인쇄한다. 그 후,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착된 잉크가 제 1 잉크 흡수층(40A)으로 이동함으로써, 시차 화상은 기재(30)를 거쳐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로부터 수신인 이름 인쇄 범위 RA로 캐리지(90)의 주사 위치가 이동하면, 상술한 소정의 영역인 우편 번호 영역(71), 주소 영역(72), 이름 영역(73) 및 표시 영역(74)의 각 영역 위치에, 우편 번호나 이름 등 소정의 문자로 구성되는 「수신인 이름」을 인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지(90)에 구비된 인쇄 헤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잉크(95a)를 토출하여 제 2 잉크 투과층(50B)의 표면에 잉크를 부착시킨다. 그 후,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착된 잉크가 제 2 잉크 흡수층(40B)으로 이동함으로써, 「수신인 이름」은 기재(30)의 이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덧붙여 말하면, 도 11(a), 도 11(b)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 캐리지(90)의 주사 위치에서는, 이름 영역(73)으로 이름이 인쇄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시차 화상은 통상 컬러 화상이기 때문에 잉크(95)는 컬러 잉크가 이용된다. 또한, 폭이 좁은 볼록 렌즈의 1피치 내에 우안용과 좌안용의 시차 화상을 인쇄하기 때문에, 토출되는 잉크 방울은 작은 사이즈인 것이 적당하다. 한편, 수신인 이름 쓰기는 일반적으로 우편 번호나 수신인 이름 등의 문자이므로, 잉크(95a)는 통상 검은 잉크가 이용된다. 또한, 문자의 굵기도 시인성의 관계 때문에 굵은 문자가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토출되는 잉크 방울은 큰 사이즈인 것이 적당하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캐리지(90)에 구비한 인쇄 헤드로부터, 이러한 시차 화상과 수신인 이름에 각각 적당한 잉크(95) 및 잉크(95a)를 토출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 1 잉크 투과층(50A)과 접착층(110)이 인접하는 위치 TL을 경계선으로 하여,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에서는 잉크(95)를, 수신인 이름 인쇄 범위 RA에서는 잉크(95a)를 각각 이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차 화상과 수신인 이름의 양쪽을, 동시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차 화상에 비해서 통상 수신인 이름은 큰 문자로 구성되기 때문에, 캐리지(90)의 주사에 있어서의 송달 피치를, 위치 TL을 경계선으로 하여 수신인 이름 인쇄 범위 RA에서는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에 대하여 크게 하더라도 좋다. 이 렇게 하면, 수신인 이름 인쇄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물론 잉크(95a)는 컬러 잉크를 이용하여도 좋고, 잉크 방울의 크기를 같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캐리지의 송달 피치를 같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인쇄되는 수신인 이름은, 도 10(또는 도 11(b))에 있어서, 도면 정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우가 반전한 거울 문자 상태로 인쇄되고 있다. 이것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를 엽서로 하기 위해, 연재부(10b)를 구부려 제 1 잉크 투과층(50A)에 포개면, 인쇄된 수신인 이름은 좌우 반전한 문자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똑바로 문자를 읽을 수 있도록, 미리 좌우 반전한 문자로 인쇄해 놓은 것이다.
다음으로, 폴딩 라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2에서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의 시차 화상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의 우단, 다시 말해,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10k)에 상당하는 위치에 폴딩 라인(10t)을 인쇄함으로써 폴딩 라인을 마련한다. 따라서, 위치 TL에 있어서, 캐리지(90)의 인쇄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제 1 잉크 투과층(50A)의 표면에 잉크를 부착시킴으로써, 폴딩 라인(10t)의 인쇄가 행해진다.
이 때, 제 1 잉크 투과층(50A)에 부착된 폴딩 라인(10t)으로서의 잉크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후 투과하여 시차 화상을 인쇄한 잉크와 같이, 제 1 잉크 흡수층(40A)에서 정착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작성자는 제 1 잉크 투과층(50A)이 개재하는 상태로 인쇄된 폴딩 라인(10t)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폴딩 라인(10t)을 인쇄하는 잉크로, 흑색 등 시인성이 높은 색의 잉크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한, 도 11(b)에서는, 폴딩 라인(10t)의 인쇄를, 일례로서 상하 각각 2개의 도트로 나타냈지만, 이외에도, 파선이나 실선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10k)을 따라, 그 일부나 전체에 인쇄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폴딩 라인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에 의하면, 기재(30)에 대하여, 어느 쪽이든 렌티큘러 시트(10a)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잉크 투과층(50A)에 「시차 화상」을, 제 2 잉크 투과층(50B)에 「수신인 이름」을 각각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매체를 뒤집는 일 없이, 한 면에 대한 인쇄, 다시 말해, 단면 인쇄에 의해 시차 화상과 수신인 이름을 동시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차 화상의 인쇄시에 볼록 렌즈(20)의 피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피치 정보에 근거하여 시차 화상을 제 1 잉크 투과층(50A)에 인쇄하기 때문에, 각 볼록 렌즈 위치에 맞춘 위치에 시차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폴딩 라인(10t)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림으로써, 수신인 이름이 쓰여진 연재부(10b)를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쪽에 접착층(110)에 의해 용이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작성자는, 별도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재부(10b)를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쪽에 붙인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엽서 등으로서 다른 사람에게 송부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인쇄 매체(10)의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인쇄 매체(10)는, 복수의 원통 형상의 볼록 렌즈(20)가 표면(도면 위쪽)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 기재(30), 잉크 흡수층(40), 인쇄 용지(60), 접착층(70) 및 박리 시트(8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잉크 흡수층(40)은 청구항에 기재된 제 1 인쇄면에 상당한다. 또한, 인쇄 용지(60)는 청구항에 기재된 제 2 인쇄면에 상당한다.
또, 본 실시예 3에서는, 각 볼록 렌즈(20)의 원통축 방향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긴 변과 평행한 것으로 한다. 또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렌티큘러 시트는 6개의 원통 형상의 볼록 렌즈(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이후 설명한다. 물론, 렌티큘러 시트(10a)는, 볼록 렌즈(20)의 피치가 30∼180LPI(Lens Per Inch)인 것이 통상 많이 이용되고, 실제로는 이에 상당하는 개수의 볼록 렌즈가 존재한 것이다.
렌티큘러 시트(10a)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G(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APET, PP, PS, PVC, 아크릴, UV, PC(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PMMA(메타크릴) 수지 등, 렌즈로서 이용할 수 있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그 이면(도면 아래쪽) 부분 전체가 기재(30)와 고착되어 있다. 고착 방법은, 기재(30)의 재료에 따라, 용착이나 접착 등 주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행해지지만, 렌티큘러 시트(10a)와 기재(30)가 투명성을 유지하여 고착할 수 있는 방법이라 면 무엇이든지 좋다.
기재(30)는, 투명성을 갖는 재료로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컨대, PETG 수지 등이 이용된다. 물론, 통상의 PET 수지 등을 이용하여도 좋고, 후술하는 잉크 흡수층(40)에 형성되는 「시차 화상」을, 렌티큘러 시트(10a)를 거쳐 관상할 수 있는 것 같은 투과성을 갖고,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폴딩 라인」에서 구부리기가 가능한 재료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그런데, 기재(3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와의 고착부에서, 또한 도면 우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우측 긴 변의 우측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연재부(10b)를 형성하고 있다. 연재부(10b)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 우측 긴 변에 근거하여 마련된 「폴딩 라인」(후술함)을 따라 구부렸을 때,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전체와 겹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렌티큘러 시트(10a)와 대략 일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 기재(30)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연재부(10b)의 이면(도면 아래쪽)에는, 잉크 흡수층(40)이 구성되어 있다. 이 잉크 흡수층(40)은, 각 볼록 렌즈에 대한 시차 화상이 형성되는 구성 요소이며, 시차 화상의 형성이 잉크의 토출에 의한 인쇄에 의해 행해졌을 때, 토출된 잉크를 흡수하여, 토출된 위치에 잉크를 고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잉크 흡수층에 의해, 각 볼록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차 화상을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 입체 화상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잉크 흡수층(40)은, 예컨대, PVA(폴리비닐알콜) 등의 친수성 폴리머 수지, 카 티온 화합물, 실리카 등의 미립자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재부(10b)에는, 그 표면(도면 위쪽)에 인쇄 용지(60)가 접착 등에 의해 붙여지고 있다. 인쇄 용지(60)는, 그 표면에, 주소 등의 수신인 이름을 작성자가 직접 쓰거나,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인쇄하거나 하여 기입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인쇄하는 경우는, 예컨대, 잉크젯 기록지와 같은 인쇄에 바람직한 용지를 이용하면 좋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용지(60)의 이면 쪽에는, 투명성을 갖는 기재(30)를 거쳐, 시차 화상이 인쇄된 잉크 흡수층(40)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인쇄 용지(60)는, 그 표면 쪽에서 시차 화상이 용이하게 시인될 수 없는 정도로 불투명한 것, 또한, 반대로, 잉크 흡수층(40)의 이면 쪽(도면 아래쪽)에서 인쇄 용지(60)에 쓰여진 수신자 이름이 용이하게 시인될 수 없는 정도로 불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재(30)에는, 렌티큘러 시트(10a)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에서,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범위에 상당하는 부분에 접착층(70)이 형성되고, 또한 접착층(70)의 이면 쪽(도면 아래쪽)에 박리 시트(80)가 붙여져 있다.
접착층(70)은, 연재부(10b)를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 연재부(10b)에서 있어서의 잉크 흡수층(40)을,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범위에 상당하는 기재(30)의 이면 영역에 접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잉크 흡수층(40)에 인쇄된 시차 화상은, 접착층(70) 및 기재(30)를 개재하여 렌티큘러 시트(10a)의 표면에서 관상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접착층(70)은 투명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한다. 예컨대, 에폭시계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접착제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물론, 잉크 흡수층(40)과 기재(30)의 접착을 할 수 있고, 투명성을 갖는 재료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또한, 박리 시트(80)는, 접착층(70)이 더러워지는 것 등에 의해 접착성이 열화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연재부(10b)를 구부려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쪽에 접착할 때에, 접착에 앞서 접착층(70)으로부터 박리된다. 따라서, 접착층(70)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재료라면, 수지 재료라도 종이라도 무엇이든지 좋다.
그러면 다음으로, 연재부(10b)를 구부려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에 접착하는 모양을,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또, 기재(30)나 상술한 잉크 흡수층(40) 등 인쇄 매체(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대략 두께가 수십 미크론에서 수백 미크론의 시트 형상(박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13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각 구성 요소를 생략하고, 한 장의 시트로서 도시했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의 이면(도면 아래쪽)에는, 연재부(10b)의 이면 쪽(도면 아래쪽) 전체에 상당하는 부분 SB에 「시차 화상 인쇄」가 행해지고, 연재부(10b)의 표면 쪽(도면 위쪽)에 상당하는 부분 SA에 「수신인 이름 쓰기」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인쇄 매체(10)의 이면에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에서, 연재부(10b) 쪽의 한 변(10k)을 기준으로 하여 「폴 딩 라인(10t)」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시차 화상 인쇄」, 「수신인 이름 쓰기」와 「폴딩 라인(10t)」에 대해서는, 나중에 보충 설명한다.
그리고,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딩 라인(10t)을 기준으로 하여, 연재부(10b)를 구부려,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연재부(10b)를 구부려 넣음으로써 접착층(70)의 면과, 잉크 흡수층(40)의 면을 접합한다.
그리고, 접착층(70)의 면과, 잉크 흡수층(40)의 면이 접합되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의 표면 방향 VA에서 봄으로써, 입체 화상을 관상할 수 있고, 연재부(10b)의 도면 아래쪽 방향 VB에서 봄으로써, 수신인 이름이 확인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시 말해, 인쇄 매체(10)는, 입체 화상이 관상될 수 있는 「엽서」로 되는 것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는, 폴딩 라인(10t)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리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렌티큘러 시트(10a)의 부분과, 연재부(10b)의 부분을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렌티큘러 시트와의 위치 정렬을 행하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차 화상의 위로부터 수신인 이름 쓰기 용지를 붙인다고 하는 것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작성자는, 용이하게 입체 화상을 관상할 수 있는 엽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상술한 「시차 화상 인쇄」와 「수신인 이름 쓰기」 및 「폴딩 라인(10t)」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본 실시예 3에서는, 인쇄 매체(10)에 「시차 화상」과 「수신인 이름」 및 「폴딩 라인」을 프린터에 의해 인쇄함으로써 각각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3에서는, 우선 「수신인 이름」을 인쇄하는 것으로 하여, 도 14에 그 모양을 나타내었다. 도 14(a)는 인쇄 매체(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 14(b)는 그것을 윗면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의 도면 위쪽에는, 프린터의 인쇄 헤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캐리지(90)가 배치되고, 도 14(a)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가 도면 좌우 방향으로 주사되는 것에 의해 인쇄 매체로의 인쇄가 행해진다. 물론, 인쇄 매체(10)는, 도 14(b)에 있어서, 종이 공급 롤러 등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의 인쇄 매체 반송 수단에 의해 도면 상하 방향으로 반송되어, 인쇄 매체(10)의 전체 영역에 인쇄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에는, 반사광(91a)을 이용하여 렌티큘러 시트(10a)의 각 볼록 렌즈(20)의 피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91)가 구비되어, 캐리지 주사 SC(도면 중 화살표)에 맞추어 볼록 렌즈(20)의 피치를 검출한다. 피치 검출 범위 RP는, 도 14(b)의 그물 무늬 부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가 존재하는 범위이며, 이 범위에 대하여, 도 14(b)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의 주사에 따라 피치 검출 주사를 행한다. 그리고, 검출한 결과를,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프린터에 내장된 기억 수단에 기억함으로써, 렌티큘러 시트의 각 볼록 렌즈의 피치 정보를 기억한다.
그 후, 캐리지(90)가 인쇄 용지(60)의 수신인 이름 인쇄 범위 RA에 오면, 소정의 위치에 잉크(95)를 캐리지(90)에 구비된 인쇄 헤드로부터 토출하여, 인쇄 용지(60)의 표면에 소정의 수신인 이름을 인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시차 화상」의 인쇄에 대하여,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a)는 인쇄 매체(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며, 도 15(b)는, 그것을 윗면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흡수층(40)의 범위, 즉,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도 15(b)의 그물 무늬 부분)에 있어서, 상술한 기억되어 있는 각 볼록 렌즈의 피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피치 정보에 근거하여, 각 볼록 렌즈(20)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 캐리지(90)에 구비된 인쇄 헤드로부터 잉크(95)를 토출하여, 잉크 흡수층(40)의 표면에 잉크를 부착시켜, 소정의 시차 화상을 인쇄한다. 그 후,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착된 잉크가 잉크 흡수층(40)에 고착하여, 시차 화상은 기재(30)의 이면에 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각 볼록 렌즈의 피치 정보에 근거하여 형성된 시차 화상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층(70)이 형성된 면에 구부려져 붙여진다. 이 때문에, 도 15(b)에 있어서, 각 볼록 렌즈의 위치와, 그 볼록 렌즈에 대응하는 시차 화상의 위치는, 좌우가 각각 반대로 되는 위치 관계가 된다. 그래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4(b)에 나타낸 상태에 대하여 좌우가 반대 방향이 되도록 인쇄 매체(10)를 뒤집어 시차 화상을 인쇄하면, 기억된 각 볼록 렌즈의 피치 정보를 좌우 반전 등의 부가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기억된 피치 정보를 그대로 판독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폴딩 라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3에서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90)의 시차 화상의 인쇄 주사에 있어서,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의 도면 우단, 다시 말해, 도 13에 있어서 설명한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10k)에 상당하는 위치에 폴딩 라인(10t)을 인쇄함으로써 폴딩 라인을 마련한다.
예컨대, 도 15(b)에 있어서, 시차 화상 인쇄 범위 RV의 우단에 위치하는 시차 화상을 인쇄할 때, 화상의 최우단부에 대응하여 토출되는 잉크(95)를 검은 잉크 등으로 하여 인쇄한다. 물론, 검은 잉크에 한하지 않고, 시차 화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인성이 좋은 색잉크를 이용하면 좋다.
또, 도 15(b)에서는, 폴딩 라인(10t)의 인쇄를, 일례로서 상하 각각 2개의 도트로 나타냈지만, 이외에도, 파선이나 실선으로서도 좋고, 또한 렌티큘러 시트(10a)의 한 변(10k)을 따라, 그 일부나 전체에 인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폴딩 라인의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10)에 의하면, 인쇄 매체(10)에 마련된 잉크 흡수층(40)에 「시차 화상」을, 인쇄 용지(60)에 「수신인 이름」을, 또한 잉크 흡수층(40)에 「폴딩 라인」을 각각 인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인 이름」의 인쇄시에 볼록 렌즈(20)의 피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검출된 피치 정보에 근거하여 「시차 화상」을 인쇄함으로써, 각 볼록 렌즈 위치에 맞춘 위치에 시차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폴딩 라인(10t)을 기준으로 하여 구부림으로써, 시차 화상이 인쇄되어 수신인 이름이 쓰여진 연재부(10b)를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쪽에 접착층(70)에 의해 용이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작성자는, 폴딩 라인을 기 준으로 하여 구부림으로써, 예컨대, 렌티큘러 시트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 시차 화상을 용이하게 붙일 수 있다. 이 결과, 각 볼록 렌즈와 시차 화상의 상대적인 위치 편차를 억제하여, 위치 정렬 정밀도 좋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별도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재부(10b)를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 쪽에 붙인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엽서 등으로서 다른 사람에게 송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변형예 1)
예컨대,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의 표면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각 볼록 렌즈(20)의 원통축 방향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긴 변과 평행한 것으로 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렌티큘러 시트(10a)의 긴 변과 평행이 아닌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변형예 1을,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인쇄 매체(10)를 나타내는 모식도로, 도 5(b) 내지 도 5(d)에 나타낸 본 변형예의 인쇄 매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와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기재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시트(10a)는 도면 상하 방향으로 되는 세로 방향에 원통축을 갖는 볼록 렌즈가 늘어선 렌티큘러 렌즈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측에 연재부(10b)가 존재한다.
이와 비교하여, 도 5(b)에 나타낸 인쇄 매체에서는, 볼록 렌즈의 원통축이 도면 왼쪽 방향으로 조금 회전한 기운 상태의 렌티큘러 시트(11a)와 연재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c)에서는, 볼록 렌즈의 원통축이 또한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렌티큘러 시트(12a)와 연재부(12b)로 구성되는 인쇄 매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d)는, 볼록 렌즈의 원통축이 또한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면 좌우 방향으로 되는 가로 방향으로 원통축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13a)와 연재부(13b)로 구성되는 인쇄 매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록 렌즈의 원통축을 기울게 함으로써, 세로 방향의 렌티큘러 시트로서의 기능과, 가로 방향의 렌티큘러 시트로서의 기능의 양쪽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세로 방향의 렌티큘러 시트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용과 우안용의 시차 화상을 각각의 눈에 관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입체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가로 방향의 렌티큘러 시트로서 기능을 갖게 한 경우는, 좌안과 우안은 동일한 시차 화상을 관상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입체 화상으로서 관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세로 방향에 대해서는 렌티큘러 시트의 각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 상이한 시차 화상, 다시 말해, 변화하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을 고려한 시차 화상을, 본 변형예의 인쇄 매체를 이용하여 형성하면, 시차 화상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변화를 즐길 수 있는 엽서를 간단히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변형예 1에서는 볼록 렌즈의 원통축의 회전 방향을 왼쪽 방향으로 했지만, 물론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회전하는 각도도, 특히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도 5(c) 혹은 도 5(d)에 나타낸 인쇄 매체의 경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캐리지 주사에 있어서 각 볼록 렌즈의 피치를 검출할 때, 검출되는 볼록 렌즈(20)의 피치 수는 적어지거나, 전혀 검출되지 않거나 하여 버린다. 이에 기인하여, 검출된 피치 정보의 정밀도가 떨어지거나, 피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게 되거나 해 버리게 되기 때문에, 적절한 위치에 시차 화상을 인쇄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변형예 1의 다른 변형예로서, 연재부를,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시트의 긴 변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짧은 변에 인접하고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변형예를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변형예에 의한 인쇄 매체(10)를 나타내는 모식도로, 도 6(a)는 도 5(c)에 대응하고, 도 6(b)는 도 5(d)에 대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 대하여, 우선, 도 6(a)에 나타낸 경우에서는, 볼록 렌즈의 원통축(22)이 렌티큘러 시트(12a)의 긴 변(12k)보다 짧은 변(12h)과 평행에 가깝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는, 연재부(12b)를 우측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렌티큘러 시트(12a)의 짧은 변(12h)에 인접한 아래쪽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인 이름 인쇄시에 있어서의 캐리지 주사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되며, 이 결과, 검출되는 볼록 렌즈의 피치 수는 많아지며, 피치 정보의 정밀도는 높아지게 된다. 물론, 연재부(12b)를 아래쪽이 아닌 위쪽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6(b)에 나타낸 경우에서는, 볼록 렌즈의 원통축(23)이 렌티큘러 시 트(13a)의 짧은 변(13h)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도, 연재부(13b)를 우측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렌티큘러 시트(13a)의 짧은 변(13h)에 인접하여 아래쪽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인 이름 인쇄시에 있어서의 캐리지 주사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되며, 이 결과, 검출되는 볼록 렌즈의 피치 수는 많아지며, 피치 정보의 정밀도는 높아지게 된다. 물론, 연재부(13b)를 아래쪽이 아닌 위쪽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변형예 2)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30)의 윗면이나 아랫면에 이름층이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변형예 2로서, 이들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인쇄 매체로서도 좋다.
하나는, 잉크 투과층(5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서도 좋다. 잉크 투과층(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차 화상의 기초로서 기능하는 것이므로, 접착층(70) 또는 인쇄 용지(60)가 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 경우는, 잉크 투과층(50)은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잉크 흡수층(4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서도 좋다. 잉크 흡수층(40)은 토출된 잉크를 흡수하여, 토출된 위치에 잉크를 고착시켜 유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므로, 기재(30)가 잉크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는, 잉크 흡수층(40)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인쇄용의 잉크에, 용제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자외선 경화형의 UV 잉크를 이용하는 경우는, 잉크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는 불필요하므로, 잉크 흡수층(40)은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하나는, 접착층(70) 및 박리 시트(80)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서도 좋다. 예컨대, 작성자가 렌티큘러 시트와 연재부를 접합시킬 때에, 접착제를 칠하도록 하면, 접착층(70) 및 박리 시트(80)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 경우, 작성자의 작업 부하는 증가하지만, 접합을 위한 위치 정렬은 용이하기 때문에, 부하는 줄어든다.
또한, 하나는, 인쇄 용지(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서도 좋다. 인쇄 용지(60)는 수신인 이름 쓰기에 이용되므로, 기재(30)가 수신인 이름을 쓸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인쇄 용지(60)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변형예 2에 의하면, 예컨대, 기재(30)가 잉크를 흡수하여 고착시키는 기능을 갖고, 수신인 이름을 쓸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인쇄 매체(10)는, 렌티큘러 시트(10a)와 기재(30)를 최소 구성 요소로 하여도 좋은 것이 된다.
(변형예 3)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인쇄 매체(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형성되는 각 구성 요소의 두께를 규정하지 않았지만, 변형예 3으로서, 렌티큘러 시트(10a)의 두께와 인쇄 용지(60)의 두께를, 같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도 3에 있어서, 렌티큘러 시트(10a)와 연재부(10b)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되며, 캐리지 주사에 있어서, 캐리지(90)와 인쇄 매체와의 틈 이, 렌티큘러 시트(10a)와 연재부(10b)의 인접부에 있어서 변화하지 않으므로, 예컨대, 캐리지(90)가 인접부의 단차에 기인하여 동작 정지하는 일 없이 안정한 틈을 유지하면서 주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투과층(50)과 잉크 흡수층(40)을 합친 두께와, 접착층(70)과 박리 시트(80)를 합친 두께가, 같은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인쇄 매체(10)의 두께는, 전체에 거의 균일한 두께가 되므로, 예컨대, 종이 공급 롤러 등,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에 마련된 인쇄 매체의 반송 수단에 있어서, 두께의 변화가 적은 것에 의해 안정한 반송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2 및 변형예 3을 적용한 인쇄 매체의 일례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대하여, 도 7에 나타낸 인쇄 매체(10N)에서는, 잉크 투과층(5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기재(30)의 연재부(10b)에는, 렌티큘러 시트(10a)와 같은 두께를 갖는 인쇄 용지(60N)가 형성되고, 아랫면에는, 박리 시트(80)가 첨부된 접착층(70)과 잉크 흡수층(40)이, 병치 상태로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매체(10N)는 거의 균일한 두께 BT로 되는 것이다.
또, 도 7에 나타낸 실시예 1에서는, 인쇄 용지(60N)의 두께를 렌티큘러 시트(10a)와 같은 두께로 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나타낸 인쇄 용지(60)의 표면에 박리 시트를 포개거나, 혹은 인쇄 용지를 더 포개거나 하여, 렌티큘러 시트(10a)와 같은 두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변형예 4)
또한,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딩 라인을 잉크 투과층(50)에 인쇄하는 것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잉크 투과층(50) 이외의 구성 요소에 폴딩 라인을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상술한 변형예 2에서는, 형성되는 구성 요소를 적게 한 인쇄 매체가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변형예 2에 대응함과 아울러, 잉크 투과층(50) 이외의 구성 요소에 폴딩 라인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잉크 투과층(5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는, 잉크 흡수층(4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도 좋다. 혹은, 인쇄 용지(6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도 좋다. 또한, 기재(3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도 좋다.
또, 기재(30)에 폴딩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는, 상술한 인쇄에 의한 폴딩 라인의 형성 이외에, 소정의 간격으로 단락(슬릿)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폴딩 라인을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기재(30)는 슬릿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꺾여 구부려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작성자는 폴딩 라인 위치를 주의 깊게 확인하는 일 없이 연재부를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5)
또한,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도 3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인 이름 쓰기를 프린터의 인쇄로써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수신인 이름 쓰기를 작성자가 손으로 써서 행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 경우, 수신인 이름 쓰기 인쇄 이외의 인 쇄, 예컨대, 우편 번호를 기재하는 우편 번호 영역을 인쇄하는 등, 엽서로서 필요한 외관에 관한 인쇄를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물론, 볼록 렌즈(20)의 피치를 검출하기 위한 캐리지 주사만을 행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변형예 6)
또한, 상기한 실시예 2에서는, 수신인 이름이 쓰여지는 제 2 인쇄면으로 되는 제 2 잉크 흡수층(40B)과 제 2 잉크 투과층(50B)을, 연재부(10b)의 전체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변형예 6으로서, 제 2 잉크 흡수층(40B)과 제 2 잉크 투과층(50B)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편 번호 영역(71), 주소 영역(72), 이름 영역(73) 및 표시 영역(74) 등의 소정의 영역에만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수신인 이름 쓰기는, 이러한 소정의 영역에 소정의 문자를 기재함으로써, 엽서로서의 요건을 만족하므로, 이 소정의 영역에만 인쇄면을 형성하여 두고, 형성된 인쇄면에 수신인 이름을 인쇄함으로써 수신인 이름 쓰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매체(10)의 연재부(10b) 전체에, 수신인 이름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2 잉크 흡수층(40B)이나 제 2 잉크 투과층(50B)의 재료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어, 인쇄 매체(10)의 비용 저하를 기대할 수 있다.
(변형예 7)
또한, 상기한 실시예 2에서는, 도 1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되는 수신인 이름은, 도면 정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우가 반전한 거울 문자 상태로 인쇄하는 것으로 했지만, 변형예 7로서 상하가 반전한 반전 문자 상태로 인쇄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예컨대, 도 6(b)에 나타낸 변형예 1의 다른 변형예와 같은 경우에는, 인쇄 매체를 엽서로 하기 위해 연재부(13b)가 도면 세로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이러한 경우, 연재부(13b)가 렌티큘러 시트(13a)에 포개지면, 연재부(13b)에 인쇄된 수신인 이름은 상하가 반전한 문자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똑바로 문자를 읽을 수 있도록, 미리 상하 반전한 문자로 인쇄해 놓은 것이다.
(변형예 8)
또한, 상기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30)의 아랫면에 시차 화상의 인쇄면으로서 잉크 흡수층(40)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변형예 8로서, 인쇄 용지를 인쇄면으로 하여도 좋다.
잉크 흡수층(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차 화상의 형성이 잉크의 토출에 의한 인쇄에 의해 행해졌을 때, 토출된 잉크를 흡수하여, 토출된 위치에 잉크를 고착시키기 위한 것이며, PVA(폴리비닐알콜) 등의 친수성 폴리머 수지, 카티온 화합물, 실리카 등의 미립자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잉크의 흡수량이나 잉크의 고착 정도는 이들 형성되는 재료에 의존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잉크 흡수층(40)의 재료에 따라서는, 형성된 시차 화상에 대하여, 해상도나 화상색 등의 화상 품질이, 작성자가 소망하는 것과 상이한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작성자가 사진과 동등한 화상 품질의 시차 화상을 소망하더라도, 잉크 흡수층(40)으로는 실현이 곤란한 경우이다.
따라서, 변형예 8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시차 화상의 인쇄면에 사진용의 잉크젯 용지(이후, 「사진 용지」라고 부름) 등의 인쇄 용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다.
사진 용지는, 통상 표면이 광택이 있는 상태와 광택이 없는 상태의 것이 인쇄 용지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어느 쪽을 사용하더라도 지장이 없다. 또, 사진 용지는, 기재(30)에 붙여져 시차 화상의 인쇄면을 형성하지만, 붙이는 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등, 기재(30)와 사진 용지를 접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변형예 8을 적용한 인쇄 매체의 일례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대하여, 도 16에 나타낸 인쇄 매체(10N)에서는, 기재(30)의 연재부(10b)의 윗면에, 렌티큘러 시트(10a)와 같은 두께를 갖는 인쇄 용지(60N)가 형성되고, 아랫면에, 접착층(70)과 박리 시트(80)를 합친 두께와 같은 두께의 인쇄 용지(40N)가, 박리 시트(80)와 병치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변형예)
또한, 그 밖의 변형예로서, 접착층(110)의 표면은 박리 시트로 덮여있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접착제(110)가 더러워지는 등에 의해 접착성이 열화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물론 박리 시트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 재부(10b)를 구부려 렌티큘러 시트(10a)의 이면에 접착할 때에, 접착에 앞서 접착층(110)으로부터 박리된다. 따라서, 박리 시트의 재료는, 접착층(110)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재료라면, 수지 재료라도 종이라도 무엇이든지 좋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제 1 잉크 흡수층(40A) 등 인쇄 매체(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대략 두께가 수십 미크론에서 수백 미크론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도 8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잉크 흡수층(40A)의 두께와 제 2 잉크 흡수층(40B)의 두께가 같은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더라도 좋고, 제 1 잉크 투과층(50A)의 두께와 제 2 잉크 투과층(50B)의 두께가 같은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이러한 구성 요소인 각 층을, 기재(30)에 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 같은 경우는, 두께가 같으므로 코팅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적어도, 제 1 잉크 흡수층(40A)의 재료와 제 2 잉크 흡수층(40B)의 재료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좋고, 제 1 잉크 투과층(50A)의 재료와 제 2 잉크 투과층(50B)의 재료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렇게 하면, 각 잉크 흡수층 혹은 각 잉크 투과층을 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 같은 경우, 각각 같은 코팅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잉크 흡수층 혹은 각 잉크 투과층이, 코팅에 의해 각각 같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 같은 경우는, 코팅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폴딩 라인을 각 구성 요소에 인쇄하거나 혹은 단락을 마련하거나 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적어도, 제 1 잉크 투 과층(50A)과 제 2 잉크 투과층(50B)의 인접부, 또는 제 1 잉크 흡수층(40A)과 제 2 잉크 흡수층(40B)의 인접부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틈을 마련하고, 이 틈을 「폴딩 라인」으로 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인쇄하거나 단락을 넣거나 하는 일 없이, 각 층을 형성할 때에 틈을 마련함으로써 폴딩 라인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폴딩 라인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 틈은 각 층의 인접부 전체에 마련하는 것으로서도 좋고, 일부에만 마련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물론, 작성자가 시인할 수 있는 틈이라면 무엇이든지 좋다.
또한, 상기한 변형예 8에 있어서, 도 16에 나타낸 예와 같이, 잉크 흡수층(40)으로 바꿔 인쇄 용지(40N)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경우, 변형예로서, 수신인 이름 쓰기를 위한 인쇄 용지(60N)로 바꿔 잉크 흡수층을 형성하고, 이 잉크 흡수층에 수신인 이름을 인쇄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인쇄 용지(40N)에 형성된 시차 화상이 기재(30) 쪽에서 용이하게 시인할 수 없는 정도로, 인쇄 용지(40N)가 불투명하면, 이 잉크 흡수층에 인쇄된 수신인 이름 쓰기를, 형성된 시차 화상 쪽에서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수신인 이름 쓰기를 위해 잉크젯 용지 등의 인쇄 용지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잉크 흡수층에 의해 수신인 이름 쓰기에 적합한 인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신인 이름 쓰기는 기재(30)의 표면에 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 수신인 이름 쓰기를 위한 잉크 흡수층은, 상술한 잉크 흡수층(40)과 같이, 예컨대, PVA(폴리비닐알콜) 등의 친수성 폴리머 수지, 카티온 화합물, 실리카 등의 미립자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 매체를 엽서로서 이용할 때, 이 잉크 흡수층은 엽서의 수신인 이름을 쓰는 면, 다시 말해, 엽서 표면으로 되기 때문에, 거의 백색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물론, 엽서 표면의 색은, 백색 또는 담색이라면 좋으므로, 잉크를 투과하여 담색을 나타내는 재료라면, 이들 이외의 재료로 구성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렌즈 시트의 렌즈로서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플라이 아이 렌즈나 벌집 형상의 렌즈 등, 본 발명의 취지인 시차 화상의 변화를 즐길 수 있는 렌즈라면, 다른 렌즈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차 화상이 렌즈 시트 전면에 인쇄된 인쇄 매체를, 작성자가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엽서 등으로서 다른 사람에게 송부할 수 있는 인쇄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표면이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를 갖는 인쇄 매체로서,
    상기 렌즈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면에 고착되고,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를 넘어 상기 렌즈 시트의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연재부를 갖는 박판 형상의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재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의 한 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재를 구부렸을 때,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와 겹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으로서,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에 인쇄용의 제 1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의 면으로서, 상기 기재의 연재부에 인쇄용의 제 2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으로서, 상기 기재의 연재부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면에는, 적어도 인쇄용 잉크를 흡수하는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렌즈 형상은, 원통 형상을 갖는 볼록 렌즈가 다수 병렬 배치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재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의 네 변 중, 상기 볼록 렌즈의 원통축에 대하여 평행으로 가장 가까운 한 변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그 기재를 구부리기 위한 기준이 되는 폴딩 라인(folding line)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면에, 상기 기재를 구부리기 위한 기준이 되는 폴딩 라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면에, 상기 기재를 구부리기 위한 기준이 되는 폴딩 라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재부는,
    (1)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에 대하여, 인쇄용의 제 1 인쇄면이 형성되고,
    (2)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같은 쪽의 면에 대하여, 인쇄용의 제 2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에 대하여,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13. 표면이 소정의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렌즈 시트를 갖는 인쇄 매체로서,
    상기 렌즈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면에 고착되고,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를 넘어 상기 렌즈 시트의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연재부를 갖는 박판 형상의 기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에는, 상기 렌즈 시트와의 고착측과 반대쪽의 면에 대하여,
    (1) 상기 렌즈 시트의 이면 범위에 인쇄용의 제 1 인쇄면이 형성되고,
    (2) 상기 기재의 연재부에 인쇄용의 제 2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면에는, 적어도 인쇄용 잉크를 흡수하는 제 1 잉크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면에는, 적어도 인쇄용 잉크를 흡수하는 제 2 잉크 흡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매체.
KR1020070022509A 2006-03-07 2007-03-07 인쇄 매체 KR100809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0570A JP4561659B2 (ja) 2006-03-07 2006-03-07 印刷媒体
JPJP-P-2006-00060570 2006-03-07
JP2006070698A JP4492566B2 (ja) 2006-03-07 2006-03-15 印刷媒体
JPJP-P-2006-00070698 2006-03-15
JPJP-P-2006-00101670 2006-04-03
JP2006101670A JP4258524B2 (ja) 2006-03-07 2006-04-03 印刷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163A KR20070092163A (ko) 2007-09-12
KR100809180B1 true KR100809180B1 (ko) 2008-02-29

Family

ID=3868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509A KR100809180B1 (ko) 2006-03-07 2007-03-07 인쇄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72053B2 (ko)
JP (3) JP4561659B2 (ko)
KR (1) KR100809180B1 (ko)
CN (1) CN10054351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625B1 (ko) 2010-04-29 2012-06-13 조득연 조각낸 문양 맞추기가 용이한 전사지와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3598B2 (en) * 2005-06-27 2010-05-11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medium with lenticular lenses
CN101734031B (zh) * 2006-04-24 2013-06-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印刷介质
CH699046B1 (de) * 2006-11-16 2010-01-15 Baumer Electric Ag Optischer Senso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ptischen Sensors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Objekts mit einem optischen Sensor.
JP2009255320A (ja) * 2008-04-14 2009-11-05 Dainippon Printing Co Ltd 身分証明書
JP2011075790A (ja) * 2009-09-30 2011-04-14 Fujifilm Corp プリンタ及びプリント方法
JP5471916B2 (ja) * 2010-07-12 2014-04-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382037B2 (ja) 2011-03-17 2014-0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及び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6269921B2 (ja) * 2013-08-02 2018-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6197710B2 (ja) * 2014-03-18 2017-09-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媒体、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印刷方法
JP5743248B1 (ja) * 2014-10-10 2015-07-01 グラパ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部分光学素子配列を備えた画像表示体、部分光学素子配列形成方法
CN107209289B (zh) * 2015-01-15 2019-05-21 富士胶片株式会社 光栅片及其制造方法以及光栅显示体
JP2017013445A (ja) * 2015-07-03 2017-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チキュラー印刷物
CN105759433A (zh) * 2016-04-14 2016-07-13 何炎权 一种3d显像材料及利用其制作立体图片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190A (ja) * 1998-10-16 2000-04-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印刷媒体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7126A (en) * 1984-04-06 1985-02-05 Rodrigue Dejean Greeting card with illuminated message and design
JPS61192873A (ja) 1985-02-20 1986-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圧縮機
JPS61192873U (ko) * 1985-05-23 1986-12-01
JPH031917U (ko) * 1989-05-31 1991-01-10
JP3001917B2 (ja) * 1989-09-29 2000-01-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デバイスの動作解析法およびそのために使用する装置
JPH04289892A (ja) * 1991-03-19 1992-10-14 Toppa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1537C (zh) * 1993-09-28 2002-03-27 美国3M公司 保密卡及其制造方法
JP3471930B2 (ja) * 1994-11-10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192696A (ja) * 1998-01-05 1999-07-21 Sekisui Chem Co Ltd 被記録材及び記録体
JP2000190668A (ja) * 1998-12-28 2000-07-11 Dainippon Printing Co Ltd 隠蔽葉書
JP3649629B2 (ja) * 1999-10-14 2005-05-18 大王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疑似圧着紙
JP2001113861A (ja) * 1999-10-20 2001-04-24 Toppan Printing Co Ltd 視覚復号型暗号を利用した記録媒体
JP2001166402A (ja) * 1999-12-10 2001-06-22 Imai Sanseido:Kk 画像付きポストカード
TW466185B (en) 1999-12-13 2001-12-01 Sony Chemicals Corp Backprint recording medium
JP2002365405A (ja) 2001-06-11 2002-12-18 Toppan Printing Co Ltd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又は可変印刷物の製造方法
JP4459515B2 (ja) * 2002-09-13 2010-04-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隠蔽ラベル
JP2004177727A (ja) 2002-11-28 2004-06-24 Fuji Photo Film Co Ltd 広告付写真プリントの製造方法及び利用者と広告依頼者双方に対するサービスの提供方法
JP4019922B2 (ja) * 2002-12-12 2007-12-12 凸版印刷株式会社 入場記念チケットの製造方法
JP2004192406A (ja) * 2002-12-12 2004-07-08 Toppan Printing Co Ltd 入場記念チケットの使用方法
JP2004205765A (ja) * 2002-12-25 2004-07-22 Toppan Forms Co Ltd 情報隠蔽シート
JP3938180B2 (ja) * 2003-12-09 2007-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媒体
JP4039422B2 (ja) 2003-12-09 2008-0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媒体
US20060013993A1 (en) * 2004-07-15 2006-01-19 Rony Havive Article releasing a fragrance and including a lenticular image
JP2007004014A (ja) * 2005-06-27 2007-01-11 Seiko Epson Corp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付き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記録媒体
JP4641878B2 (ja) * 2005-06-30 2011-03-02 株式会社第一興商 歌詞カード
US7359120B1 (en) * 2006-11-10 2008-04-15 Genie Lens Technologies, Llc Manufacture of display devices with ultrathin lens arrays for viewing interlaced ima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190A (ja) * 1998-10-16 2000-04-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印刷媒体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625B1 (ko) 2010-04-29 2012-06-13 조득연 조각낸 문양 맞추기가 용이한 전사지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2467A (zh) 2007-09-26
JP4561659B2 (ja) 2010-10-13
JP4258524B2 (ja) 2009-04-30
JP2007245465A (ja) 2007-09-27
JP2007240695A (ja) 2007-09-20
KR20070092163A (ko) 2007-09-12
US20070263296A1 (en) 2007-11-15
CN100543517C (zh) 2009-09-23
JP4492566B2 (ja) 2010-06-30
US7672053B2 (en) 2010-03-02
JP2007279109A (ja)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180B1 (ko) 인쇄 매체
KR100880070B1 (ko) 인쇄 매체
JP2007206592A (ja) レンズシートおよびプリンタ
US9927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nticular image printing and print media
JP4978102B2 (ja) 印刷媒体
JP4197011B2 (ja) 印刷媒体
JP4258526B2 (ja) 印刷媒体
JP4743253B2 (ja) 印刷媒体
EP0790528B1 (en) Index-printed photograph film bag
US7992959B2 (en) Printing system with transient and permanent imaging means
JP4360380B2 (ja) 印刷媒体
JP2009058964A (ja) 印刷装置
US7374268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JP5703743B2 (ja) レンズシート体およびレンズシート体の製造方法
JP2007098830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ならびに印刷用プログラム
JP5386812B2 (ja) 記録媒体
JP2007206593A (ja) 斜め印刷方法およびプリンタ
JP2009104154A (ja) レンズシート
JP2015030194A (ja) 記録装置
JP2015030189A (ja) 記録装置
JP2015030188A (ja) 記録装置
JP2015030195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