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121B1 -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121B1
KR100809121B1 KR1020027017150A KR20027017150A KR100809121B1 KR 100809121 B1 KR100809121 B1 KR 100809121B1 KR 1020027017150 A KR1020027017150 A KR 1020027017150A KR 20027017150 A KR20027017150 A KR 20027017150A KR 100809121 B1 KR100809121 B1 KR 10080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alt solution
alkaline
chamb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435A (ko
Inventor
아르민 올브리히
아스트리드 괴르게
프랑크 슈럼프
줄리안 미제-마르크-췌펠
빅토르 스톨러
게르하르트 길레
조제프 슈몰
미하엘 크루프트
디르크 나우만
Original Assignee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1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5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4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mprising electrodes made of particl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을 양극용해(anodic dissolution)시키고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카보네이트를 수성 매질에서 침전시킴으로써,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성분의 양극용해를 3-격실 전해전지의 양극실에서 수행한다.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에 위치하며 다공질 격막에 의해 이들과 분리되어 있는 중간실에 보조 염 수용액을 공급한다. 적어도 알칼리성은 아닌 금속염 용액을 양극실에서 계속 배출시키면서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음극실에서 계속 배출시킨다. 적어도 알칼리성은 아닌 금속염 용액과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전해전지 외부에서 합하여, 이로부터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가 침전되게 한다.
전기분해, 양극용해,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금속 카보네이트, 보조 염 용액

Description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METAL HYDROXIDES OR ALKALINE METAL CARBONATES}
본 발명은 금속을 양극용해(anodic dissolution)시키고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카보네이트를 수성 매질에서 침전시킴으로써,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금속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와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으로는 각각 알칼리 하이드록사이드 및 알칼리 하이드로젠 카보네이트와 해당 금속염의 수용액을 반응시키고 이로부터 침전물을 얻는 것이다. 이 반응에서 화학양론학적 분량의 중성염이 생성되는데, 이것은 마무리 처리하거나 폐기하여야 한다.
중성염의 생성을 피하는 방안으로서, US-A 5,391,265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양극 용해에 의해 니켈 이온을 얻고 물의 전기분해에 의해 하이드록시 이온을 얻음으로써 니켈 하이드록사이드를 제조하는데, 침전된 니켈 하이드록사이드 이외에 음극에서 수소가 형성된다. 이 방법에서는, 전해전지에 전도성 염 용액(염화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채우는데, 침전된 니켈 하이드록사이드를 분리해낸 후에는 상기 전도성 염 용액을 다시 전해전지로 되돌린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중성염이 사실상 생성되지 않는다. 이 방법의 단점은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니켈 하이드록사이드가 여과가능할 정도로 매우 미세한 형태이 지만, 결합된 물 함량이 높은 겔(gel)과 유사한 형태여서, 나중에 개질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얻은 생성물의 입경을 변화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기도 하다.
EP-A 684 324는 2개의 격실(chamber)이 음이온 교환 격막(membrane)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구조의 전해전지에서 양극액(anolyte)과 음극액(catholyte)을 따로따로 순환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 양극실(anode chamber)에서는 니켈이 양극 용해되고 양극액은 착화제로서 암모니아를 함유하며, 음극실(cathode chamber)에서는 하이드록시 이온이 생성되고 이것이 격막을 통과하여 양극실로 이동하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양극액에서 니켈 아민 착체가 가수분해되어, 니켈 하이드록사이드가 침전되고 양극액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방법으로는 가수분해 공정을 통해 니켈 하이드록사이드의 입경을 넓은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가 있다. 그러나 시판 격막의 수명이 여전히 부적절한 정도이기 때문에, 이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실패할 확률이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중성염이 사실상 생기지 않게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다음과 같은 2단계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본 발명에 와서야 알게 되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양극에서 알칼리 염 용액을 사용해 금속을 용해시킴으로써 금속염 용액을 얻고, 음극에서 수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알칼리성 알칼리 염 용액을 얻고, 두번째 단계에서는 첫번째 단계에서 얻은 용액들을 합함으로써 이로부터 금속 하이드록사이 드가 침전되도록 한다.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침전물을 분리하고 난 후 얻은 알칼리 금속염 용액을 전해전지로 되돌린다. 3개의 격실이 다공질 격막에 의해 분리된 3-격실 전해전지를 사용하고, 알칼리 염 용액을 음극실과 양극실 사이의 중간실(intermediate chamber)에 넣으면,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추가로 이산화탄소를 음극실 또는 두번째 단계의 침전조(precipitation reactor)에 넣음으로써 알칼리성 카보네이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을 양극용해시키고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카보네이트를 수성 매질에서 침전시킴으로써,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방법은 3-격실 전해전지의 양극실에서 금속 성분을 양극 용해시키고,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에 위치하며 다공질 격막에 의해 이들과 분리되어 있는 중간실로 보조(auxiliary) 염 수용액을 계속 공급하며, 적어도 알칼리성은 아닌 금속염 용액을 양극실로부터 계속 제거하고,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음극실로부터 계속 제거하며, 적어도 알칼리성은 아닌 금속염 용액과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전해전지 외부에서 합하여 이로부터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가 침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용액을 합하여 침전시키는 동안에, 여기에 임의적으로는 pH를 침전에 적합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알칼리 하이드록사이드 용액과, 구형 침전물이 얻어지도록 착화제를 함유하는 용액(예를 들면 NH3 용액)을 첨가할 수 있다.
음극실 또는 합해진 침전 용액에 이산화탄소를 첨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알 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얻는다.
적합한 금속은 수성 매질에서 가용성 염을 형성하고, 중성 또는 알칼리성 매질에서는 하이드록사이드 및/또는 알칼리성 카보네이트 형태로 침전될 수 있으며, 전해전지에 양극으로서 연결되는 경우, 비-전도성 피막(옥사이드)을 형성하지 않는 금속이다. 이러한 금속 중에서도, Fe, Co, Ni, Cu, In, Mn, Sn, Zn, Cd 및/또는 Al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니켈 또는 코발트 양극이 바람직하다.
전해전지의 중간실로 유입되기에 적합한 보조 염은 알칼리금속 및/또는 알칼리토금속의 클로라이드, 니트레이트, 설페이트, 아세테이트 및/또는 포르메이트이다. 염화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보조 염 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mol/ℓ이다.
중간실로 유입된 보조 염 용액은 다공질 격막을 통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흐르는데, 이 때 전기장의 영향으로 보조 염 용액의 부분적 이온 분리가 일어나며, 그 중 과량의 음이온을 함유하는 성분은 양극으로 흐르고, 과량의 양이온을 함유하는 성분은 음극으로 흐르게 된다. 양극에서 생성되는 금속 이온과 음극에서 생성되는 OH- 이온이 중간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다공질 격막을 통한 보조 염 용액의 유동속도가 각각 용액 중의 양극에서 생성되는 금속 이온의 이동속도와 음극에서 생성되는 OH- 이온의 이동속도보다 빠르도록 하는 압력 조건하에서 보조 염 용액을 중간실로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보조 염 용액이 과량의 음이온을 함유하는 성분과 과량의 양이온을 함유하는 성분으로 분리되는 속도가 더 빠를수록, 즉 중성 보조 염이 양극실과 음극실로 흐르는 속도가 느릴수록, 보조 염 용액이 격막을 통해 흐르는 속도는 느리다. 분리 매체의 구조적 성질 또는 그의 투과성 또는 유동저항(flow resistance)에 따라 간단한 예비실험을 해 봄으로써 최적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분리효과 및 전기에너지와 관련해서, 전해질의 본질과 농도에 의해서 최적인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전해질 유입속도는, 보다 이동성이 큰 이온이 그 어떤 경우에도 중간실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선택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격막을 통해 양극측으로 흘러들어가는 보조 염 용액중 음이온 대 양이온의 비는 약 1.5:3이며, 이와는 반대로, 격막을 통해 음극실로 흘러들어가는 보조 염 용액중 양이온 대 음이온의 비는 약 1.2 대 3이다.
바람직하게는, 중간실로 유입되는 보조 염 용액 전체가 다공질 격막을 통과한다.
적합한 격막은 보조 염 용액, 양극액 및 음극액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는 다공질의, 바람직하게는 직물, 천 또는 망이다. 예를 들면 스카파 필트레이션 게엠베하(SCAPA FILTRATION GmbH)에서 프로펙스(Propex)라는 상표명으로 시판하는 것 같은 폴리프로필렌 소재 천을 사용할 수 있다. 기공반경(pore radius)이 10 내지 30㎛인 천이 적합하다. 기공률은 20 내지 50%일 수 있다.
중간실에서 양극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량의 음이온을 함유하는 보조 염 용액은, 금속양극의 양극용해에 의해 실질적으로 중화되어 양극액으로서 계속 배출된다. 양극실 용액 (양극액)에서 침전물이 생성되는 것을 피하려면, 바람직하게는 보조 염 용액의 음이온을 함유하는 산을 소량으로 양극실에 첨가한다. 양극실에서 배출되는 양극액의 금속염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mol/ℓ이다. 음극에서는, 보조 염 용액중의 과량의 양이온이 격막을 통해 음극 공간로 이동함에 따라 수소와 OH- 이온이 생성된다. 따라서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음극액)은 음극실을 빠져 나간다.
양극액과 음극액은 침전조에서 침전반응을 하게 된다. 임의적으로는 침전 pH를 맞추기 위한 하이드록사이드 용액, 및 구형 침전물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암모니아와 같은 착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알칼리성 카보네이트를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를 음극액에 첨가하거나 아니면 침전조에 직접 첨가한다. 침전물을 분리한 후에는, 임의적으로는 남아있는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중화시킨 후, 바람직하게는 전해전지의 중간실로 되돌려보낸다. 양극액과 음극액을 중간 용기에 저장하고 침전을 불연속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핑된(doped) 금속 하이드록사이드를 제조하기 위해, 도핑금속의 염을 함유하는 해당 금속염 용액을 침전조에 첨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침전 pH를 맞추기 위해 침전조에 첨가되는 알칼리 하이드록사이드의 양은 도핑염의 양에 따라 몰 단위로 증가한다. 따라서 그에 상응하게 과잉의 중성염이 생성되며, 이것은 전해전지의 중간실로 되돌려보낼 수가 없다.
따라서, 혼합 금속 하이드록사이드를 제조하려면, 혼합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조성에 맞게 합금된 양극을 사용하거나 합금 양극 여러개를 양극실에 첨가하여, 이러한 양극에 혼합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조성물의 금속(당량)비에 상응하는 비율 의 전류세기를 적용하거나, 아니면 개별적인 3-격실 전해전지에서 각 금속염 성분을 따로따로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침전조에 착화제, 예를 들면 암모니아를 첨가함으로써 침전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켈 하이드록사이드를 제조하는 경우, 침전조에 암모니아를 첨가함으로써 구형 니켈 하이드록사이드를 얻는다.
양쪽성 도핑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알루미늄염 또는 알루미네이트 같은 형태로 음극액에 첨가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침전물을 합해진 보조 염 용액(모액)으로부터 분리해낸다. 이를 침강법, 사이클론(cyclone)분리법, 원심분리법 또는 여과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분리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침전물을 입경에 따른 분획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일단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큰 입자들이 분리되고 나면, 핵 결정으로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작은 입자들을 함유하는 모액 부분을 침전조로 돌려보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침전물이 제거된 후 남아있는 모액을 임의적으로는 마무리 처리한 후 3-격실 전해전지의 중간실로 되돌려보낸다.
모액을 마무리 처리하는 것은, 잔류 금속 이온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농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 염 용액의 농도와 조성을 재조절하는(예를 들면 임의적으로 침전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 임의의 착화제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모액의 마무리 처리를 별도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보조 염 용액의 마무리 처리 공정을 생략한다. 따라서 착 화제를 모액이 들어있는 중간실에 되돌려보낸다 해도 별 해로움은 없다. 마찬가지로, 소량의 금속 이온을 중간실에 유입시킨다 해도 공정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금속 이온은 중간실 또는 음극액에서 침강할 수 있는 하이드록사이드 슬러리로서 침전되거나, 매우 미세한 하이드록사이드로서 음극액이 채워진 침전조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양극 재료인 금속, 물 및 pH를 조절하기 위한 소량의 산 및/또는 염기를 제외하고 다른 어떤 물질들을 사실상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산물이 전혀 생기지 않아서, 매우 융통성있는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전기분해식 제조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융통성은, 재순환가능한 중성 보조 염 용액이 단단하고 다공질이고 전기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격막을 통과하는 동안에 산 성분과 알칼리성 성분으로 전기분해되기 때문에 얻어진 것이다. 따라서 금속 이온과 하이드록사이드 이온을 개별적인 용액 형태로서 전해전지로부터 배출시키고 이들을 단지 침전을 위해서만 다시 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침전 그 자체를 전기분해 과정과 전혀 상관없이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매우 융통성있는 방법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본 발명의 방법을 특정 생성물의 제조에 필요한 요구 사항에 맞추어 용이하게 추가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양극액 또는 음극액으로 이동하는 전도성 염 음이온/양이온 비를 보다 유리하게 하기 위해 다층(multi-layer) 여과천을 이용하여 중간실 압력을 약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음극 공간과 양극 공간의 유동조건(속도)을 달리 하기 위해서, 중간실을 각각 음극측 및 양극측과 분리하는데 있어서 상이한 분리막(여과천, 칸막이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극 공간과 양극 공간이 중간실에 의해 분리된 3격실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기하학적으로 완전히 상이하게 전극과 분리 매체를 배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극을 관형응축기(tubular condenser)에서와 같이 동심으로(concentrically) 배열할 수 있다. 원통형 전지의 중간에 원통형 전극을 넣고, 상대 전극을 마치 관(tube)처럼 중심전극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한다. 이 두 전극 사이의 관형 공간이 중간실이 되는데, 이 중간실 또한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관형 여과천, 칸막이 또는 기타 유사한 분리 매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3-격실 전해전지, 침전조 및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생성물로부터 고체를 분리해내기 위한 수단을 함유하는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전해전지는 다공질 격막에 의해 양극실과 중간실과 음극실로 분할되어 있고 중간실로 들어가는 입구와 양극실로부터 나오는 출구와 음극실로부터 나오는 출구를 갖고, 침전조의 입구는 양극실의 출구와 연결되어 있고, 침전조의 또다른 입구는 음극실의 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음극실은 또한 음극에서 생성된 수소가 나오는 출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산과 같은 보조제를 소량으로 양극실에 주입하기 위한 수단, 침전조에 염기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 침전조에 pH를 조절하기 위한 산과 염기 뿐만 아니라 착화제 및 도핑제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첨부된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3-격실 전해전지(1), 침전조(2) 및 침전물 분리장치(3)를 도시한다. 전해전지(1)는 다공질 격막(13 및 14)에 의해 양극실(A)과 중간실(I)과 음극실(K)로 분할되어 있다. 양극실에는 양극용해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양극(11)이 있고, 음극실에는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에 저항하는 음극(K)이 있다. 중성 보조 염 용액을 질량유량조절펌프(mass-flow-regulated pump)(46)를 사용하여 파이프(40)를 통해 중간실(I)로 유입시킨다. 전류밀도가 300 내지 1200A/㎡인 정전류가 양극(A)과 음극(K) 사이에 흐른다. 양극 금속염 및 보조 염을 함유하는 거의 중성 또는 약산성 용액이 파이프(41)를 통해 양극실(A)으로부터 빠져 나간다.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은 파이프(42)를 통해 음극실(K)로부터 빠져 나간다. 수소가 음극실 상단부(head)에서 나와 파이프(15)를 통해 배출된다.
특정 pH를 맞추기 위해서, 산을 파이프(16)를 통해 양극실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이산화탄소를 파이프(17)를 통해 유입시킬 수 있다.
전해전지(1)에서 배출된 생성물(41 및 42)은 침전조(2)로 들어간다. 침전조는 예를 들면 고속교반기(21)를 갖고 있다. 침전조는 루프(loop)형 또는 추진제트(propulsive-jet) 반응기 형태이거나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침전된 현탁액은 파이프(43)를 타고 침전조를 빠져 나온다. 보조 개질제, 예를 들면 pH 조절제를 첨가하기 위한 수단, 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침전물을 도핑 및/또는 변형시 키기 위한 수단, 또는 알칼리성 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해 CO2를 첨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주입장치들(22, 23 및 24)을 가질 수 있다. 원하는 침전 조건에 따라, 침전조(2)는 전해전지에서 배출된 생성물 일부 스트림(41 또는 42)이 개별적인 반응기로 들어가는 다단식 반응기(reactor cascade)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침전된 현탁액은 파이프(43)를 통해 분리장치(3)(이 경우 하이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로 들어가며, 다량의 고형 침전물이 분리장치(3)의 저부 출구(31)에서 배출되고 고형물을 함유하지 않는 침전 모액은 파이프(44)를 통해 마무리 처리장치(45)로 들어간다. 화살표(48)는 마무리 처리제가 유입되고 존재할 수 있는 방해 물질이 제거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것이다. 마무리 처리된 모액은 파이프(47) 및 펌프(46)를 통해 중간실(I)로 되돌아갈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해전지를 사용하였다. 음극의 면적과 양극의 면적은 각각 7.5dm2였다. 전극들 간의 거리는 4cm였다. 다공질 격막으로는, 스카파 필트레이션 게엠베하에서 시판되는 프로펙스 E14K와 같이, 평균기공직경이 26㎛이고 기공률(천의 밀도로부터 계산)이 28%인 폴리프로필렌 소재 천을 사용하였다. 양극은 고순도 니켈이었다. 음극으로서 니켈 전극을 사용하였다. 염화나트륨 80g/ℓ를 함유하는 염화나트륨 용액을 8.18ℓ/h로 전해전지의 중간실에 공급하였다. 1노르말 염산 용액을 25㎖/h로 양극 공간에 공급하였다.
양극의 전류세기는 1000A/㎡였다.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압은 7.3V였다. 정류상태에 도달하면, 양극실에서는 양극액이 3.67ℓ/h로 배출되고 음극실에서는 음극액이 4.53ℓ/h로 배출되었다.
이 양극액과 음극액을 침전조에 계속 흘러보내면서 교반시킴과 동시에, 침전조에는 NH3 220g/ℓ를 함유하는 암모니아 용액을 184㎖/h, NaOH 200g/ℓ를 함유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107㎖/h, 및 클로라이드염 형태의 코발트 20g/ℓ와 아연 100g/ℓ를 함유하는 도핑용액을 71.4㎖/h로 유입시켰다.
1% 코발트와 5% 아연으로 도핑된 니켈 하이드록사이드를 142.9g/h로 침전 용기의 오버플로우로부터 제거하였다.
알칼리성 모액을 스트리핑(stripping) 칼럼에 넣어 이로부터 암모니아를 제거한 후, 중화하고, 저장용기에 되돌려 보내어, 이로부터 보조 염 용액이 만들어지게 하였다.
재충전형 축전지의 양극 재료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평균입경이 12㎛인 구형 니켈 하이드록사이드를 얻었다. 표준 반쪽전지 시험에서 전기화학적 질량 이용률(electrochemical mass utilisation)은 100% 이상이었다.
실시예 2
NH3 4.5g/ℓ와 NaCl 80g/ℓ를 함유하는 보조 염 용액을 사용한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였다. 암모니아 용액을 침전조에 넣는 과정을 생략하였다.
실시예 3
양극실에 추가로 코발트 및 아연 전극을 넣고 이들에 니켈 하이드록사이드중 Co와 Zn의 몰비에 상응하는 전류세기를 적용한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였다. 침전조에서 나온 모액의 마무리 처리는 소모된 물을 첨가하는 것으로만 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Ni 57.47중량%
Zn 1중량%
Co 5중량%
H2O 1.2중량%(건조 손실 2시간 150℃)
Na 200ppm
Cl 400ppm
NH3 120ppm
X-선 반사 피크(101)의 1/2 폭: 0.98°2Θ
평균입경(D50 마스터사이저(Mastersizer)): 8.9㎛
비표면적(퀀타조브(Quantasorb)를 사용해 BET법으로 측정): 10.8㎡/g
실시예 4
8% 염화나트륨 용액 5.66ℓ/h를 실시예 1에 따르는 전해전지의 중간실에 첨가하였다. 이와 동시에 CO2 기체 119.5g/h를 유리 프릿(glass frit)을 통해 음극 공간에 첨가하였다. 양극의 전류세기는 72.8A였다. 정류상태에 도달하면, 양극 공간에서는 코발트 농도가 30.1g/ℓ인 양극액이 2.66ℓ/h로 배출되고 음극 공간에서는 탄산수소나트륨 농도가 75.4g/ℓ인 음극액이 3.03ℓ/h로 배출되었다. 이 두 배출물을 침전조에서 80℃에서 격렬하게 교반시킴으로써 합하였다. 고체 함량이 26.3g/ℓ인 현탁액 5.55ℓ/h가 침전조로부터 계속 배출되었다. 이 현탁액을 5시간 넘게 수거한 후, 흡입여과기로 여과하였다. 물 2.2ℓ로 세척하고 80℃ 건조함에서 건조시켜 코발트 함량이 54.8중량%이고 CO3 함량이 23.5중량%인 알칼리성 코발트 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이 물질은 형태가 구형이었고, 이것을 그 형태를 유지한 채로 탁월한 열압 거동(hot-press behaviour)을 갖는 구형 코발트 금속 분말로 전환시킬 수 있었다.

Claims (17)

  1. 금속을 양극용해(anodic dissolution)시키고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카보네이트를 수성 매질에서 침전시킴으로써,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3-격실 전해전지의 양극실에서 금속 성분을 양극용해시키고, 양극실과 음극실 사이에 위치하며 다공질 격막에 의해 이들과 분리되어 있는 중간실로 보조(auxiliary) 염 수용액을 계속 공급하며, 적어도 알칼리성은 아닌 금속염 용액을 양극실로부터 계속 제거하고,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음극실로부터 계속 제거하며, 적어도 알칼리성은 아닌 금속염 용액과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전해전지 외부에서 합하여 이로부터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가 침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알칼리성은 아닌 금속염 용액과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합하는 동안에, 여기에 pH를 침전에 적합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알칼리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추가로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침전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분리한 후에는 침전 용액을 전해전지의 중간실로 되돌려 보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침전 용액을 전해전지로 되돌려 보내기 전에 알칼리성 보조 염 용액을 중화시켜 마무리 처리(work up)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화제가 있는 상태에서 침전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모니아가 있는 상태에서 침전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분리한 후에, 암모니아를 침전 용액으로부터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격막으로서 다공질 여과천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다공성 여과천을 통한 보조 염 용액의 유동 속도가, 전기장으로 인해 생긴 보조 염 용액 내 이온들의 평균 이동 속도보다 빠르도록 하는 압력 조건하에서 보조 염 용액을 중간실에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으로서는 Fe, Co, Ni, Cu, In, Mn, Sn, Cd 및 A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염으로서는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의 클로라이드, 니트레이트, 설페이트, 아세테이트 및 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금속으로서 니켈 또는 코발트 또는 이 둘 다를 사용하고, 보조 염으로서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염 용액을 1.5 내지 5몰%의 농도로 중간실에 유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극실에서 배출되는 산성 금속염 용액의 금속염 농도가 0.3 내지 2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염 용액 형태의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를 도핑(doping)시키기 위한 물질을 침전 용액에 유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성 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음극액에 이산화탄소를 유입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17. 다공질 격막에 의해 양극실과 중간실과 음극실로 분할되어 있고, 중간실로 들어가는 입구, 양극실에서 나오는 출구 및 음극실에서 나오는 출구를 갖는 3-격실 전해전지, 각각 양극실의 출구 및 음극실의 출구와 연결된 입구를 하나씩 갖고 출구를 하나 갖는 침전조, 및 침전조에서 배출된 생성물로부터 고체를 분리하는 수단을 갖는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의 제조장치.
KR1020027017150A 2000-06-19 2001-06-06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의제조방법 KR100809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0093.6 2000-06-19
DE10030093A DE10030093C1 (de) 2000-06-19 2000-06-1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etallhydroxiden oder basischen Metallcarbonaten
PCT/EP2001/006420 WO2001098559A1 (de) 2000-06-19 2001-06-06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hydroxiden oder basischen metallcarbon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435A KR20030019435A (ko) 2003-03-06
KR100809121B1 true KR100809121B1 (ko) 2008-02-29

Family

ID=764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150A KR100809121B1 (ko) 2000-06-19 2001-06-06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048843B2 (ko)
EP (1) EP1297199B1 (ko)
JP (1) JP4801312B2 (ko)
KR (1) KR100809121B1 (ko)
CN (1) CN1220793C (ko)
AU (1) AU2001266051A1 (ko)
CA (1) CA2412927C (ko)
CZ (1) CZ300272B6 (ko)
DE (1) DE10030093C1 (ko)
ES (1) ES2612928T3 (ko)
MY (1) MY140696A (ko)
PT (1) PT1297199T (ko)
TW (1) TW572844B (ko)
WO (1) WO2001098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2030B2 (en) 2006-08-11 2014-09-02 Aqua Resources Corporation Nanoplatelet metal hydroxides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US20080171203A1 (en) * 2006-08-11 2008-07-17 Aqua Resources Corporation Nanoplatelet nickel hydroxides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WO2010074686A1 (en) * 2008-12-23 2010-07-01 Calera Corporation Low-energy electrochemical hydroxide system and method
US20100239467A1 (en) 2008-06-17 2010-09-23 Brent Constantz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waste sources of metal oxides
CA2700768C (en) 2008-07-16 2014-09-09 Calera Corporation Co2 utilization in electrochemical systems
US8869477B2 (en) 2008-09-30 2014-10-28 Calera Corporation Formed building materials
WO2010093716A1 (en) 2009-02-10 2010-08-19 Calera Corporation Low-voltage alkaline production using hydrogen and electrocatlytic electrodes
CN101977842A (zh) 2009-03-02 2011-02-16 卡勒拉公司 气流多污染物控制系统和方法
CN102249349B (zh) * 2011-04-26 2013-06-05 北京化工大学 一种化学和电化学联用法合成多元掺杂球形纳米氢氧化镍
JP6335316B2 (ja) * 2013-10-23 2018-05-30 ネマスカ リチウ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炭酸リチウムの調製のためのプロセス
JP6119622B2 (ja) * 2014-01-29 2017-04-2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水酸化インジウム粉の製造方法及び陰極
KR101903004B1 (ko) 2014-08-22 2018-10-01 한국과학기술원 탄산염의 제조 방법
CN107177858B (zh) * 2017-05-10 2019-02-05 东北大学 一种氯化铝电转化为氧化铝的方法
CN107512811B (zh) * 2017-07-31 2020-06-23 四川思达能环保科技有限公司 球形氢氧化镍生产工艺过程废水的处理方法
DE102018000672A1 (de) * 2018-01-29 2019-08-14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Rwth) Aachen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s Zielstoffs zwischen zwei flüssigen Phasen
CN108217856B (zh) * 2018-01-30 2024-02-20 武汉工程大学 一种电化学水处理系统及其水处理方法
WO2022036006A1 (en) * 2020-08-11 2022-02-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hemical calcium hydroxide manufacturing for cement production using electrochemical separation devices
WO2023137553A1 (en) * 2022-01-20 2023-07-27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metal carbonate salts to metal hydroxi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74452A (fr) 1963-08-19 1964-10-09 Perfectionnements à la fabrication par voie électrolytique de composés chimiques, notamment d'alumine
US5660709A (en) 1994-05-26 1997-08-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lectrochemical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metallic hydroxides and/or metallic-oxide hydroxid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205953A1 (es) * 1975-01-22 1976-06-15 Diamond Shamrock Corp Produccion de carbonatos de metales a calinos en una celula de membrana
FR2446258A1 (fr) * 1979-01-09 1980-08-08 Nickel Le Nouveau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es oxhydryles de nickel
SU834253A1 (ru) 1979-05-28 1981-05-30 Ивановский Хими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основного угле-КиСлОгО НиКЕл
JPS63195288A (ja) * 1987-02-10 1988-08-12 Tosoh Corp 金属水酸化物の製造法
JPS63247385A (ja) * 1987-04-03 1988-10-14 Tosoh Corp 金属水酸化物の製造法
DE4239295C2 (de) * 1992-11-23 1995-05-11 Starck H C Gmbh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inem Nickelhydroxid sowie dessen Verwendung
US5319126A (en) * 1993-01-29 1994-06-07 Akzo N.V. α-aminonitriles derived from fatty alkyl alkylene diamines
US5389211A (en) * 1993-11-08 1995-02-14 Sachem, Inc. Method for producing high purity hydroxides and alkoxides
DE4418067C1 (de) 1994-05-24 1996-01-25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hydroxiden und/oder Metalloxidhydroxiden
US5716512A (en) * 1995-05-10 1998-02-10 Vaughan; Daniel J. Method for manufacturing salts of met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74452A (fr) 1963-08-19 1964-10-09 Perfectionnements à la fabrication par voie électrolytique de composés chimiques, notamment d'alumine
US5660709A (en) 1994-05-26 1997-08-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lectrochemical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metallic hydroxides and/or metallic-oxide hydrox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01281A (ja) 2004-01-15
KR20030019435A (ko) 2003-03-06
DE10030093C1 (de) 2002-02-21
WO2001098559A1 (de) 2001-12-27
US20030141199A1 (en) 2003-07-31
AU2001266051A1 (en) 2002-01-02
TW572844B (en) 2004-01-21
MY140696A (en) 2010-01-15
CZ300272B6 (cs) 2009-04-08
CN1220793C (zh) 2005-09-28
CA2412927C (en) 2009-11-17
PT1297199T (pt) 2017-01-04
CA2412927A1 (en) 2002-12-16
EP1297199A1 (de) 2003-04-02
US7048843B2 (en) 2006-05-23
CZ20024119A3 (cs) 2003-04-16
ES2612928T3 (es) 2017-05-19
EP1297199B1 (de) 2016-11-16
CN1437660A (zh) 2003-08-20
JP4801312B2 (ja)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121B1 (ko)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칼리성 금속 카보네이트의제조방법
US4312722A (en) Process for preparing nitrites
CA2167674A1 (en) Electrochemical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metal hydroxides and/or metal oxide hydroxides
JPH0673581A (ja) 金属水酸化物の製造方法
KR100323180B1 (ko) 순수한수산화니켈의제조방법및그의용도
RU215353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идроксидов и/или гидроксооксидов металлов путем диафрагменного анализа
ES2218161T3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hidroxidos de niquel.
US5141610A (en) Electrodialytic process for restoring sodium hydroxide etchants for aluminum
RU214399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руднорастворимых гидроокислов металлов
KR100425662B1 (ko) 염기성 탄산코발트(ii),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N111492094B (zh) 硫酸溶液的制造方法及在该制造方法中使用的电解槽
RU2020192C1 (ru) Способ рафинирования золота
CA1168617A (en) Electrolytic production of hydroxylated nickel compound under acid condition
KR20200036625A (ko) 활물질 제조 공정 중 폐액의 재활용 방법
CN116654964A (zh) 一种去除氯化铝溶液中铁杂质的方法
CA2041864A1 (en) Preparation of chrome yellow and molybdate orange pig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