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769B1 -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769B1
KR100807769B1 KR1020050128512A KR20050128512A KR100807769B1 KR 100807769 B1 KR100807769 B1 KR 100807769B1 KR 1020050128512 A KR1020050128512 A KR 1020050128512A KR 20050128512 A KR20050128512 A KR 20050128512A KR 100807769 B1 KR100807769 B1 KR 10080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slave
master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326A (ko
Inventor
김광익
최현균
서재관
Original Assignee
(주)유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윈 filed Critical (주)유윈
Priority to KR102005012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7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hierarchical management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복수의 발신자가 호접속할 경우 착신자 측의 마스터단말이 통화가능한 슬레이브단말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대기상태의 슬레이브단말과 접속 중계함으로써, 접속지연없이 원활한 호접속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사업자의 마스터단말은 외부로부터 호출정보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상기 호출정보에 따라 마스터단말은 호접속리스트 중 통화대기단말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기 중인 특정 슬레이브단말을 통화자로 지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화자 지정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단말이 상기 호출정보에 포함된 고객단말과 호접속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통화에 따라 마스터단말은 대기단말리스트에서 해당 슬레이브단말의 통화중 또는 대기 상태를 변경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통화가 종료될 경우 마스터단말은 대기단말리스트에 해당 슬레이브단말을 추가하여 변경하는 제 5 단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AUTOMATIC CALL DISTRIBUTION OF INTERNET COMMUNICATION AND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전화 통화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절차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호분배대상 지정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원클릭호출수단이 포함된 웹페이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호분배대상 삭제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데이터베이스서버 15: 호제어서버
30,30-1,30-2: 고객단말 40: 전자메일서버
50: 웹서버 51: 웹페이지
52: 원클릭호출수단(아이콘) 60: 마스터단말
60-1,60-2: 슬레이브단말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전화의 호분배 통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전화를 이용하여 호접속할 경우 착신자 측에서 다수의 인터넷전화를 상호 충돌없이 자동으로 호분배하여 원활하게 전화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콜센터는 자동응답서비스(ARS), 상담원과의 전화통화 등을 통해 상담, 안내,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전화 장비 및 이와 통합된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장비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그러나 이들 콜센터는 음성통신에만 의존하고 있어 서비스 품질이나 활용분야가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홈페이지 상에서 상담원과 직접 통화하거나 문자 채팅, 화상통화, 문서 교환 등을 조합하여 지원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로서 인터넷 콜센터가 등장하였다.
인터넷 콜센터는 고객상담실, 민원 서비스,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판촉, 인터넷 주식거래, 인터넷 영상채팅, 가상교육, 설문조사, 안내원-지원 전자상거래(human-assisted E-commerce) 등에서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음성, 채팅, 파일 전송, 영상 및 동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상담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일대일 서비스가 가능하여 기업은 이를 통해 대고객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 또 이 기술은 기업에게 판매 및 마케팅 기회를 늘여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인터넷 콜센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 화상 서비스 기술, 데이터 서비스 기술, 동기화된 브라우징 기술(Escorted Browsing Technology)이 필요하다. 동기화된 브라우징 기술이란 상담원과 사용자가 같은 화면을 보면서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저 동기화 기술로 이미지 전송 방식과 URL 푸시(push) 방식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상담이 가능하게 된다.
통상, 인터넷 고객용의 개인용 컴퓨터에는 대개 VoIP 음성 통신이 지원될 수 있도록 헤드셋과 사운드 카드 등이 장착되며, 화상 통신이 가능하도록 카메라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인터넷 고객은 먼저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웹 서버로 접속한다. 이때 콜센터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웹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개인용 컴퓨터에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설치된다.
인터넷 음성 통신을 위하여 고객 컴퓨터는 VoIP 서버로부터 다수의 상담원 컴퓨터 중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는 인터넷주소(IP address)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획득한 인터넷주소로 호출하여 상담원과 통화를 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 불특정 다수와 통화할 수 있는 클릭형(one-click) 인터넷 전화 제어 기술로서 현재 여러가지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식은 특정사업자(예를들어 인터넷 쇼핑몰 사업자)가 인터넷상에서 자사의 영업활동을 위해 자사 웹페이지에 상품광고 등을 게재할 때 발신용 아이콘(icon) 등 특정표시를 동시에 게재하여 불특정 다수인 일반고객이 상품광고를 보고 쇼핑몰 사업자와 직접 통화를 하고 싶을 때 특정표시를 클릭하면 바로 인터넷 전화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메일에 상기 특정표시를 같이 보내서 불특정 다수인 이메일 수신자가 수신된 이메일을 개봉한 후 화면에 표시된 특정표시를 클릭하여 사업자와 바로 인터넷 전화를 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VoIP 서버로부터 획득한 인터넷주소나, 발신자가 클릭하는 특정표시는 하나의 수신자(사업자)에 대한 정보만을 갖고 있어 발신자가 복수일 경우에는 착신자 측에서는 나머지 발신자와의 호접속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불가능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복수의 발신자가 호접속할 경우 착신자 측에서 자동으로 호분배하여 호지연없이 원활하게 전화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발신자가 호접속할 경우 착신자 측의 마스터 단말이 통화가능한 슬레이브단말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대기상태의 슬레이브단말과 접속 중계함으로써, 접속의 지연이 없는 원활한 호접속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착신자 측의 마스터단말이 복수의 슬레이브단말의 호분배를 프로그램상으로 직접 관리함으로써, 호분배 대상의 감시와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한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인터넷전화 통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 단말과 사업자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단말의 각 위치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서버; 사업자의 웹페이지나 이메일 상에 표시된 원클릭호출수단을 선택함에 따라 호출수단에 포함된 착신자의 고유정보와 고객 ID를 함께 호출신호로 전송하는 고객단말; 복수의 슬레이브단말들에 대해 호분배 대상을 지정하되,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호접속 요청이 있을 경우 통화대기 중인 슬레이브단말을 검색하여 고객단말과 대기 중인 슬레이브단말을 호접속시키도록 중계하는 마스터단말; 및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사업자의 마스터단말의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마스터단말을 호출하도록 중계하는 호제어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는 IP주소이며, 상기 웹페이지나 이메일 상에 표시된 원클릭호출수단은 아이콘이나 버튼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방법은, 고객과 사업자간의 인터넷전화 통화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업자의 마스터단말은 외부로부터 호출정보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상기 호출정보에 따라 마스터단말은 호접속리스트 중 통화대기단말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기 중인 특정 슬레이브단말을 통화자로 지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화자 지정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단말이 상기 호출정보에 포함된 고객단말과 호접속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통화에 따라 마스터단말은 대기단말리스트에서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대기 상태를 변경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통화가 종료될 경우 마스터단말은 대기단말리스트에 특정 슬레이브단말을 대기 상태로 추가하여 변경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계는, 온라인상에서 고객은 사업자의 마스터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에 따라 호제어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마스터단말의 위치를 확인한 후 마스터단말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고객과 마스터 및 슬레이브 단말은 호제어서버에 자신의 아이디와 위치를 각각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는 복수의 슬레이브단말을 호분배 대상으로 각각 지정하여 호분배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단계는, 제 1 실시예로 마스터단말로부터 지정된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정보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은 전송된 대기단말의 정보 를 이용하여 특정 슬레이브단말을 자동 재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호출에 따라 호제어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대기단말인 슬레이브단말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슬레이브단말을 호출하여 고객단말과 호접속시켜 통화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단계는 제 2 실시예로, 마스터단말로부터 지정된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정보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은 전송된 대기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슬레이브단말을 자동 재호출하는 단계; 상기 재호출에 따라 호제어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대기단말인 슬레이브단말의 위치를 검색한 후 고객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단말은 호제어서버로부터 전달된 슬레이브단말의 위치로 호접속을 요청하여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마스터단말은 자신이 통화가능 상태일 경우에는, 슬레이브단말로 호분배하지 않고 고객과 직접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단말은 고객단말과 호접속시에 상기 마스터단말로 통화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자동 통보하여 대기단말리스트를 갱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단계에서 특정 슬레이브단말이 고객과의 통화가 종료되면 마스터단말로 통화종료 상태를 자동 통보하여 대기단말리스트를 갱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전반 적인 구성도로서, 데이터베이스서버(11), 고객단말(30), 마스터단말(60), 슬레이브단말(60-1, 60-2) 및 호제어서버(1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11)는 고객단말(30; 30-1, 30-2)과 사업자의 마스터(60) 및 슬레이브 단말(60-1, 60-2)의 각 위치정보와 회원정보(ID, 상호, 이름, 전화번호, 주소, URL, 비밀번호 등)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고객단말(30-1, 30-2, ...)은 사업자의 웹페이지나 이메일 상에 표시된 원클릭호출수단을 선택함에 따라 인터넷전화프로그램에 의해 호출수단에 포함된 착신자의 고유정보와 고객 아이디(ID)를 함께 호출신호로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원클릭호출수단(사업자 ID, 전화번호, URL 등)은 암호화되어 있어 소정의 복호화프로그램에 의해 암호 해제되어 호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단말(60)은 복수의 슬레이브단말(60-1, 60-2, ...)들에 대해 호분배 대상을 지정하되, 상기 고객단말(30)로부터 호접속 요청이 있을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대기 중인 단말리스트를 검색하여 고객단말(30)과 대기 중인 슬레이브단말을 호접속 및 중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호제어서버(15)는 상기 고객단말(30)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11)에 저장된 사업자의 마스터단말(60)의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마스터단말(60)을 호출함과 아울러 마스터단말(60)로부터 통화자지정 정보에 따라 특정 슬레이브단말을 재호출하여 고객단말과 슬레이브단말을 호접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부호 10은 데이터베이스서버(11)에 저장된 사업자의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각각 암호화하고 특정표시(이하 '아이콘'이라 함)가 클릭되면 연계된 암호화정보를 해제하여 저장하는 원클릭 호출프로그램을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아이콘생성부(10-1)를 갖는 회원관리서버(10)이고, 부호 50은 상기 원클릭 호출프로그램을 사업자의 웹페이지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하여 고객단말(30)에 제공하는 사업자의 웹서버(50)이며, 부호 40은 사업자로부터 원클릭 호출프로그램이 포함된 E-메일을 제공받는 고객의 전자메일서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터(60)와 슬레이브단말(60-1, 60-2)의 위치정보는 IP주소이며, 상기 웹페이지나 이메일 상에 표시된 원클릭호출수단은 아이콘이나 버튼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단말(60-1, 60-2)은 통화 중과 통화대기 중인 상태를 각각 마스터단말(60)로 통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의 주요구성과 더불어 고객단말(30) 및 사업자의 단말(60, 60-1, 60-2)은 각각 일반적인 PC가 갖는 이메일브라우저 및 웹브라우저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인터넷통화를 할 수 있는 헤드셋, 마이크,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마스터단말(60)의 경우 복수의 슬레이브단말(60-1, 60-2)에 대한 호분배대상리스트 및 대기단말리스트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반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구성이나 기능을 변경하여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전화 통화 및 호분배제어 방법을 나타낸 전반적인 절차도로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객과 사업자는 각 단말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회원관리서버(10)를 통해 사용자정보(문자형 ID, 숫자형 ID)를 입력하고, 회원관리서버는 사용자정보를 접수하여 중복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ID를 데이터베이스서버(11)로 전달한다. 회원관리서버(10)는 착신정보를 게시하고자 하는 가입자의 ID를 포함한 원클릭호출수단(52)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웹서버(50)에 게시하거나 전자메일 본문에 XML Tag로 삽입하여 특정 사용자가 전자메일서버(40)로 보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객과 사업자는 각각 고객단말(30-1, 30-2)과 사업자의 마스터단말(60) 및 슬레이브단말(60-1, 60-2)을 호제어서버(15)에 자신의 단말위치를 등록하면(ⓐ), 호제어서버(15)는 고객단말(30-1, 30-2)과 사업자의 마스터단말(60) 및 슬레이브단말들(60-1, 60-2)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서버(11)로 전송하여 저장 등록한다(ⓑ).
이어, 상기 마스터단말(60)은 복수의 슬레이브단말(60-1, 60-2)을 호분배 대상으로 각각 지정하고(ⓒ, ⓓ), 상기 마스터단말(60)의 호분배대상 지정에 따른 각 슬레이브단말(60-1, 60-2)들의 지정확인(ⓒ-1, ⓓ-1)에 따라 마스터단말(60)의 호 분배 대상 등록 및 호분배 리스트의 작성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스터단말(60)에 슬레이브단말들(60-1, 60-2)을 호분배 대상으로 지정 등록할 때 도 3a와 같이, 먼저 마스터단말(60)의 등록프로그램상에서 특정 슬레이브단말(60-1, 60-2)의 ID를 입력하면(S1), 마스터단말(60)은 미리 설정된 허용된 등록가능 개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S2)한 후 허용개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마스터단말(60)은 ID를 조회(S3)하여 회원인지를 판단하여 회원일 경우(S4)에는 로그인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로그인 상태이면(S5), 해당 슬레이브단말(60-1, 60-2)로 등록통보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S6).
상기에서 호분배 대상으로 허용된 개수를 초과하거나 회원이 아니거나 해당 슬레이브단말(60-1, 60-2)이 로그인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슬레이브의 추가가 불가능하며 이러할 경우에는 마스터단말(60)에서는 이에 대한 표시를 하여 운영자에게 알린다(S2-1).
한편, 해당 슬레이브단말은 도 3b와 같이, 마스터단말(60)로부터 등록통보 메시지를 수신(S7-1)할 경우 메시지수신을 알려 표시(S7-2)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S7-3). 이어, 슬레이브단말의 운영자가 등록을 허용(S7-4)할 경우 슬레이브단말은 수신확인(허용) 메시지를 마스터단말(60)로 송신하고(S7-5), 마스터단말 정보를 등록한다(S7-6). 물론, 상기에서 슬레이브단말이 수신확인을 하지 않을 경우 호분배 대상으로 지정되지 않는다(S7-7).
이에 따라 마스터단말(60)은 도 3a와 같이 해당 슬레이브단말로부터 수신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등록을 허용하게 된다(S8, S9).
상기 등록을 허용하게 됨에 따라 마스터단말(60)은 호분배 개수를 하나 더 증가(S10)시킨 후 호분배 대상에 속하는 슬레이브단말의 리스트를 갱신(S11)함과 아울러 현재 대기상태에 있는 슬레이브단말의 리스트도 갱신하게 된다(S12).
이와 같이 호분배 대상을 지정한 상태에서, 고객(30-1; 편의상 제 1 고객이라 칭함)은 도 4와 같은 사업자의 웹페이지(51)나 사업자로부터 전송된 이메일 본문에 삽입된 원클릭호출수단(52)을 클릭함에 따라 마스터단말(60)을 자동 호출하게 된다(ⓔ). 상기 원클릭호출수단(52)은 무료 콜투미(call to me)를 알리는 일반적인 표시정보일 수도 있지만 아이콘이나 버튼 형태로 제공되어 원클릭(click to call)으로 자동 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터단말(60)의 호출에 따라 이에 대한 호출정보가 호제어서버(15)로 전송되고, 호제어서버(15)는 데이터베이스서버(11)에 착신단말, 즉 마스터단말의 ID에 따른 위치(IP 주소)를 조회(ⓕ)하여 착신단말의 위치(IP 주소)를 확인(ⓕ-1)한 후 해당 위치로 마스터단말(60)을 호출하게 된다(ⓖ). 물론, 여기에서 호제어서버(15)는 마스터단말(60)의 위치를 조회하여 마스터단말(60)을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착신단말의 위치를 고객단말(30-1)로 전달하여 고객단말(30-1)에서 마스터단말(60)을 직접 호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마스터단말(60)은 호출에 따라 대기단말 리스트를 검색하여 통화가능한 슬레이브단말(60-1)을 확인한 후 통화자(예컨대, 제 1 슬레이브)를 지정하여 다시 제 1 고객단말(30-1)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대기단말리스트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의해 통화자를 지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통화가능한 대기 슬레이브단말이 복수개 있을 경우에 특정 슬레이브단말을 헌팅(hunting)하는 방법은 미리 할당된 일련번호나 우선순위에 의해 FIFO 또는 LIFO 방식으로 지정할 수 있으나, 헌팅 방법은 변경설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마스터단말(60)은 개별 슬레이브의 상태를, 예컨대 IDLE, BUSY, BLOCK, LOGOFF 부재중 등으로 표시하고 각 상태별 슬레이브단말의 ID나 개수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 고객단말(30-1)은 자동으로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을 자동으로 호출하게 되고(ⓘ), 호제어서버(15)는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서버(11)를 통해 조회(ⓙ, ⓙ-1)한 후 해당 착신위치로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을 호출하게 된다(ⓚ).
이어, 제 1 슬레이브단말(60-1, 60-2)은 호제어서버(15)의 호출에 응답하게 되고(ⓛ-1), 이를 마스터단말(60)로 통보(ⓛ-2)하여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이 통화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 후 고객과 통화를 하게 된다(ⓜ). 물론, 여기에서도 호제어서버(15)는 슬레이브단말(60-1)의 위치(IP주소)를 조회하여 슬레이브단말을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슬레이브단말(60-1)의 위치(IP주소)를 고객단말(30-1)로 전달하여 고객단말(30-1)에서 직접 해당 슬레이브단말(60-1)을 호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마스터단말(60)은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을 대기 리스트에서 통화중 리스트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다른 고객(편의상 제 2 고객이라 칭함)이 사업자의 웹페이지(51) 상에 포함된 원클릭호출수단(52)을 클릭함에 따라 마스터단말(60)을 자동 호출하게 된다(ⓝ).
상기 마스터단말(60)의 호출에 따라 이에 대한 호출정보가 호제어서버(15)로 전송되고, 호제어서버(15)는 데이터베이스서버(11)에 착신단말의 위치를 조회(ⓞ)하여 착신단말의 위치를 확인(ⓞ-1)한 후 해당 착신위치로 마스터단말(60)을 호출하게 된다(ⓟ).
이어, 마스터단말(60)은 호제어서버(15)의 호출에 따라 대기단말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에서 통화 중인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을 제외한 통화가능한 나머지 슬레이브단말(60-2)을 검색한 후 통화자(예컨대, 제 2 슬레이브)를 지정하여 제 2 고객단말(30-2)로 다시 통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고객단말(30-2)은 자동으로 제 2 슬레이브단말(60-2)을 자동으로 호출하게 되고(ⓡ), 호제어서버(15)는 제 2 슬레이브단말(60-2)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서버(11)를 통해 조회하여 확인(ⓢ, ⓢ-1)한 후 해당 착신위치로 제 2 슬레이브단말(60-2)을 호출하게 된다(ⓣ).
이어, 제 2 슬레이브단말(60-2)은 호제어서버(15)의 호출에 응답하게 되고(ⓤ-1), 이를 마스터단말(60)로 통보(ⓤ-2)하여 통화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 후 제 2 고객과 통화를 하게 된다(ⓥ).
상기 통화 상태에서, 제 1 고객(30-1)이 통화를 종료하면 호제어서버(15)는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의 통화를 종료하고(ⓦ, ⓦ-1),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은 마스터단말(60)로 통화종료 상황을 즉시 알리게 된다(ⓧ). 이에 따라 마스터단말(60)은 제 1 슬레이브단말(60-1)을 통화중 리스트에서 호분배 대기리스트로 변경하게 된다.
물론, 제 2 고객(30-2)도 통화를 종료하면 호제어서버(15)는 제 2 슬레이브단말(60-2)의 통화를 종료시키게 되고(ⓨ, ⓨ-1), 제 2 슬레이브단말(60-2)은 마스터단말(60)로 통화종료 상황을 즉시 알리게 된다(ⓩ).
이에 따라 마스터단말(60)은 제 2 슬레이브단말(60-2)을 통화중 리스트에서 대기리스트로 변경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마스터단말(60)은 복수의 슬레이브단말(60-1, 60-2)로 자동 호분배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한 개의 고객단말(30)과 복수의 슬레이브단말(60-1, 60-2)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제로는 한 개의 마스터단말(60)에 다수의 슬레이브단말이 연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에서 슬레이브의 호분배대상 삭제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즉, 마스터단말(60)의 등록프로그램상에서 삭제할 특정 슬레이브단말(60-1, 60-2)을 선택(S21)하면, 마스터단말(60)은 해당 슬레이브단말(60-1, 60-2)이 로그인 상태인지를 판단(S22)하고 로그인 상태이면, 해당 슬레이브단말(60-1, 60-2)로 삭제통보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S23).
상기에서 해당 슬레이브단말(60-1, 60-2)이 로그인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슬레이브의 삭제가 불가능하며 이러할 경우에는 마스터단말(60)에서는 이에 대한 표시를 하여 운영자에게 알린다(S22-1).
해당 슬레이브단말(60-1, 60-2)은 마스터단말(60)로부터 삭제통보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S24)에 내부 메모리의 마스터정보를 삭제(S25)하고, 슬레이브단말(60-1, 60-2)은 마스터삭제 알림 메시지를 마스터단말(60)로 송신한다(S26).
이에 따라 마스터단말(60)은 호분배 개수를 하나 감소(S27)시킨 후 호분배 대상에 속하는 슬레이브단말(60-1, 60-2)의 리스트를 갱신(S28)함과 아울러 현재 대기상태에 있는 슬레이브단말(60-1, 60-2)의 리스트도 갱신하게 된다(S29).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최근 불특정 다수와 통화할 수 있는 클릭형(one-click) 인터넷 전화제어 기술로서 현재 여러가지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는 바, 어떤 방식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착신자 측에서 마스터단말과 슬레이브단말을 이용하여 호분배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복수의 발신자가 호접속할 경우 착신자 측에서 자동으로 호분배하여 호지연없이 원활하게 전화 상담을 수행할 수 있고, 복수의 발신자가 호접속할 경우 착신자 측의 마스터단말이 통화가능한 슬레 이브단말을 체크하여 자동으로 대기상태의 슬레이브단말과 접속 중계함으로써, 접속지연없이 원활한 호접속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신자 측의 마스터단말이 복수의 슬레이브단말의 호분배를 프로그램상으로 직접 관리함으로써, 호분배 대상의 감시와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상당히 우수한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고객과 사업자간의 인터넷전화 통화 제어방법에 있어서:
    온라인상에서 고객은 사업자의 마스터단말을 호출함에 따라 호제어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마스터단말의 위치를 확인한 후 마스터단말을 호출하고, 사업자의 마스터단말은 상기 호제어서버로부터 호출정보를 제공받는 제 1 과정;
    상기 호출정보에 따라 마스터단말은 호접속리스트 중 통화대기단말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기 중인 특정 슬레이브단말을 통화자로 지정하는 제 2 과정;
    상기 통화자 지정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단말이 상기 호출정보에 포함된 고객단말과 호접속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제 3 과정;
    상기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통화에 따라 마스터단말은 대기단말리스트에서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통화중 또는 대기 상태를 변경하는 제 4 과정; 및
    상기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통화가 종료될 경우 마스터단말은 대기단말리스트에 해당 슬레이브단말을 추가하여 변경하는 제 5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과정은, 마스터단말로부터 지정된 특정 슬레이브단말의 정보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전송된 단말의 정보를 제공받아 고객단말은 해당 슬레이브단말을 자동 재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호출에 따라 호제어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대기단말인 슬레이브단말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슬레이브단말을 호출하여 고객단말과 호접속시켜 통화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고객과 마스터 및 슬레이브 단말은 호제어서버에 자신의 아이디와 위치를 각각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는 복수의 슬레이브단말을 호분배 대상으로 각각 지정하여 호분배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업자의 웹페이지나 이메일 상에 포함된 원클릭호출수단을 클릭함에 따라 마스터단말을 자동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마스터단말은 자신이 통화가능 상태일 경우에는, 슬레이브단말로 호분배하지 않고 고객과 직접 호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에서, 상기 슬레이브단말은 고객단말과 호접속시에 상기 마스터단말로 통화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자동 통보하여 대기단말 리스트를 갱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에서 특정 슬레이브단말이 고객과의 통화가 종료되면 마스터단말로 통화종료 상태를 자동 통보하여 대기단말리스트를 갱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단말은 슬레이브단말에 접속하여 호분배대상 지정 또는 삭제를 요청하고 슬레이브단말에서 지정 또는 삭제를 수락할 경우 호분배대상 리스트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방법.
  11. 인터넷전화 통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 단말과 사업자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단말의 각 위치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서버;
    사업자의 웹페이지나 이메일 상에 표시된 원클릭호출수단을 선택함에 따라 호출수단에 포함된 착신자의 고유정보와 고객 ID를 함께 호출신호로 전송하는 고객단말;
    복수의 슬레이브단말들에 대해 호분배 대상을 지정하되,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호접속 요청이 있을 경우 통화대기 중인 슬레이브단말을 검색하여 고객단말과 대기 중인 슬레이브단말을 호접속시키도록 중계하는 마스터단말; 및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사업자의 마스터단말의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마스터단말을 호출하도록 중계하는 호제어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의 위치정보는 IP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나 이메일 상에 표시된 원클릭호출수단은, 아이콘이나 버튼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KR1020050128512A 2005-12-23 2005-12-23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7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12A KR100807769B1 (ko) 2005-12-23 2005-12-23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12A KR100807769B1 (ko) 2005-12-23 2005-12-23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326A KR20070067326A (ko) 2007-06-28
KR100807769B1 true KR100807769B1 (ko) 2008-03-03

Family

ID=3836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512A KR100807769B1 (ko) 2005-12-23 2005-12-23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7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475A (ko) * 1999-11-05 2001-06-05 이원택 지능화된 상담원 연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8942A (ko) * 2001-05-08 2001-08-22 정병희 인터넷을 통한 상담시스템 및 상담방법
KR20020015908A (ko) * 2000-08-23 2002-03-02 전영 화상과 음성을 이용한 실시간 인터넷 콜시스템
KR20020062442A (ko) * 2001-01-20 2002-07-26 큰사람컴퓨터 주식회사 통합형 인터넷 콜센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0075326A (ko) * 2002-08-08 2002-10-04 (주)아프로비즈 일반 공중 전화망과 인터넷을 연동한 실시간 고객 상담방법 및 시스템
KR20020084353A (ko) * 2001-04-30 2002-11-07 주식회사 텔레프리 콜센터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콜센터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475A (ko) * 1999-11-05 2001-06-05 이원택 지능화된 상담원 연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5908A (ko) * 2000-08-23 2002-03-02 전영 화상과 음성을 이용한 실시간 인터넷 콜시스템
KR20020062442A (ko) * 2001-01-20 2002-07-26 큰사람컴퓨터 주식회사 통합형 인터넷 콜센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0084353A (ko) * 2001-04-30 2002-11-07 주식회사 텔레프리 콜센터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콜센터 서비스 방법
KR20010078942A (ko) * 2001-05-08 2001-08-22 정병희 인터넷을 통한 상담시스템 및 상담방법
KR20020075326A (ko) * 2002-08-08 2002-10-04 (주)아프로비즈 일반 공중 전화망과 인터넷을 연동한 실시간 고객 상담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45475
1020010078942
1020020015908
1020020062442
1020020075326
102002008435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326A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6324B2 (en) Interactive display response system
EP2695368B1 (en) Visual telephon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EP1564976A1 (en) Provision of telephony caller ID service via common instant communications clients
US20060050686A1 (en) Software platform for developing, delivering and managing data-voice applications operating on an internet protocol (IP) phone
AU2011266741B2 (en) System and procedure for commercial communications
JP2006324791A (ja) 電話発信の通知方法、サーバ、及び、電話端末
JP2007251763A (ja) 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および通信要求処理方法
KR100807769B1 (ko)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5262B1 (ko) 콜미 요청시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고객호출 제어시스템 및그 방법
WO2017159924A1 (ko) 전화번호 연동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JP2002268970A (ja) アクセス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提供装置
KR20030068893A (ko) 사설 교환 망에서 통화 상대방 정보 표시 방법
KR20170024174A (ko) 모바일 페이지 시청관리 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JP2006121470A (ja) 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情報処理端末、電話通信制御方法、電話通信制御用プログラム
JP2020088461A (ja) 発信者情報提供サーバ、発信者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発信者情報の提供方法
JP7366330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通信制御システム
KR100977122B1 (ko) 설문을 이용한 발신자 정보 전달 기능을 가지는 설문형인터넷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52261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電話通信方法
JP4313782B2 (ja) コールセンタ運用方法及び装置
KR20030042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5295592A (ja) コールセンタ運用方法及び装置
JP2004363847A (ja) サービス仲介システム
JP4141087B2 (ja) アウトバウンドコーリングシステム
TW201617998A (zh) 為進線銷售提供動態資料採擷方法
NO313029B1 (no) Anordning ved et eller flere kommunikasjonsnett der kommunikasjonskanaler blir etablert mellom to eller flere pa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