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838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838A
KR20030042838A KR1020010073630A KR20010073630A KR20030042838A KR 20030042838 A KR20030042838 A KR 20030042838A KR 1020010073630 A KR1020010073630 A KR 1020010073630A KR 20010073630 A KR20010073630 A KR 20010073630A KR 20030042838 A KR20030042838 A KR 2003004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communication
call
vo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7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2838A/ko
Publication of KR2003004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838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대 단말기와의 음성과 동시에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자료 검색을 위해 특정 서버나 단말기로의 신규 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자료제공업체 및 개인의 홈페이지 또는 자료파일을 이동통신 프로토콜 및 언어로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이동단말기로의 검색 및 자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를 상대 단말기와의 호설정에 의해 할당된 망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매개하여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가능하게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되어 구성됨으로써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음성통신의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호를 통해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음성통신의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로의 억세스를 위한 신규 호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상대 단말기와의 음성과 동시에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급작스럽게 음성통화가 불가능할 경우 가입자가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자료 검색을 위해 특정 서버나 단말기로의 다른 호를 설정하여 특정 자료를 검색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고, 다운로드한 자료를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이동통신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자료 검색을 위해 양자가 동시에 특정 서버나 단말기로의 다른 호를 설정하면서 음성통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자료제공업체 및 개인의 홈페이지 또는 자료파일을 이동통신 프로토콜 및 언어로 지원하므로 영세한 업체의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각종 자료 및 홈페이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ON-LINE DATA EXCHANGE AND MULTI-CALLING CONNECTIG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TING OF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음성 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문자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료 검색을 위해 특정 서버나 단말기로의 다른 호를 설정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기인하여, 최근에는 휴대폰이나 PCS,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져 1인 1 휴대폰의 시대가 도래되었다. 따라서, 특정 인물과의 통화를 위함에 있어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되지 않고 실시간으로 소망하는 제 3 자와의 통화를 실행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이동통신 소지자는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다고 하여도 중요한 회의나 중요 인물과의 대담 등의 자리에서는 음성통화를 행하기 매우 어려우므로 그러한 자리의 참석전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유자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되는 바, 이런 경우 제 3 자로부터의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고, 매우 중요한 전화를 놓칠 수 있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성통화 도중 급작히 음성통화를 중단해야될 상황에는 일방적으로 한쪽에서 호접속을 해제시키게 되어 통신 두절상태가 될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대방은 심정적으로 매우 불쾌하게 되며, 호접속을 해제한 자는 통신을 지속해야할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여건이 허락치 않아 통신하지 못하게 되므로 중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난감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입자 3 명이 동시에 통화하는 다중 통화가 현재의 이동통신망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바, 현재의 다중통화방식은 통화 당사자인 2명의 가입자가 통화도중 대기상태로 설정한 다음, 제 3 자를 해당 통화로에 접근시키는 새로운 호접속을 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의 다중 통화는 음성통화에만 지원되는 기술로써, 상대방과 음성통화도중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특정 서버에 접속해서 자료를 다운받은 다음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이 설정된 호 접속을 해제한 다음 상기한 자료 검색 및 다운로드를 행하고, 다시 그 상대방과 재접속해서 다운받은 자료를 전송해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시에 특정 서버에 접속해서 음성통화와 더불어 자료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식은 현재 전혀 전무한 상태이므로 이런 경우 상당한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온라인상에서 자료를 제공하는 중소의 업체 및 개인의 경우에는 다수의 가입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홈페이지 및 그 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를 제공하려고 하여도 이동통신 프로토콜로의 변환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한 언어 등의 지원을 행하는 이동통신 전용서버(WAP 서버: wireless applicating protocol server)를 구축할 수 없으므로 그러한 업체는 물론이고 다수의 업체를 검색하려는 가입자 쌍방에게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대 단말기와의 음성과 동시에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자료 검색을 위해 특정 서버나 단말기로의 다른 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자료 검색을 위해 양자가 동시에 특정 서버나 단말기로의 다른 호를 설정하면서 음성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자료제공업체 및 개인의 홈페이지 또는 자료파일을 이동통신 프로토콜 및 언어로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이동단말기로의 검색 및 자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자료 다운로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동시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다중 호접속 시스템의 신호호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동시 호접속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의 데이터 변환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An:이동통신단말기, MCEX:이동통신 교환기,
DPS1∼DPSn:자료제공서버, DEX/MCS:데이터변환/다중 호접속서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를 상대 단말기와의 호설정에 의해 할당된 망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매개하여 음성 및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가능하게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되어 구성됨으로써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음성통신의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호를 통해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음성통신의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로의 억세스를 위한 신규 호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에는 이동통신 데이터로 홈페이지 자료 및 정보를 변환하여 등록시키기 위해 HTTP 문서를 제공하는 자료제공서버가 더 연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WAP 문서의 전송 및 그 단말기로부터 각종 모드설정 신호를 인가받아 후속 회로에서 처리 가능하게 변환하고, 이동통신 교환기 및 자료제공서버에 대해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각 서비스의 이용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가 가입자 정보와 함께 연동되어 즉시 검색가능하게 테이블 메모리로 미리 저장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부와; 가입자가 음성 및 문자에 대한 데이터의 동시 송수신을 소망하는 경우에는 연계된 이동통신 교환기에 이를 통보하여 송수신되는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단일의 패킷 데이터에 동시 실장하여 데이터 중계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문자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측으로 가입자가 소망하는 호접속 경로 및 호접속 개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경로 관리를 행하는 다중 호접속 경로 관리부와; 다수의 자료제공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자료제공서버 관리부와; 다수의 자료제공서버의 자료에 대해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억세스 가능하게 미리 WAP 문서로 저장 또는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DB와; 음성 데이터가 실장된 패킷내에 문자 데이터를 실장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음성/문자 데이터 변환알고리즘과; 특정 가입자에 대한 호접속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다중 호접속 경로 DB와; 자료제공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제공 서버정보 DB와; HTTP에 해당되는 문서를 WAP으로 미리 제작하여 저장하며, 실시간 WAP 데이터의 조합을 행하는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과;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음성통화중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호를 이용해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음성 통화중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료 검색 및 다운로를 위한 다른 호의 설정 및 특정 서버와 단말기에 대한 동시 접속을 위한 호접속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서버에는 상기 자료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된 HTTP 문서 파일을 WAP 문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DB를 더 포함하여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억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음성통화를 위해 설정된 호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문자 데이터를 실장할 경우, 패킷 데이터는 음성데이터와 동시에 문자 데이터를 실장할 수 있는 영역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및,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통해 문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그 이동통신 교환기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변환 및 호 접속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데이터 변환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기간 음성통화를 위한 호설정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음성 통화를 위한 호접속 상태에서 실시간 문자 통신 요구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서비스 불가한 가입자의 경우,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불가창을 출력시키는 과정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가입자의 경우, 동일 호를 통해 실시간 음성 및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음성통화 복귀요구 신호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과정과;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음성 통화를 위한 호가 설정되고, 각 가입자간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 접속되는 과정과; 특정 가입자로부터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패킷의 빈영역에 문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과정과; 반송된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음성 통화및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및,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대기한 상태에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로의 신규 호를 설정하기 위해 그 이동통신 교환기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변환 및 호 접속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다중 호접속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음성통화를 행하는 과정과; 통화중 대기 요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통화중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에 대한 신규 호 설정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특정 서버에 대해 호설정된 상태에서, 그 서버의 저장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특정 자료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자료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로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대기중인 상대 가입자의 단말기로 자료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및,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대기한 상태에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로의 신규 호를 통화중인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동시에 설정하기 위해 그 이동통신 교환기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변환 및 호 접속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다중 호접속 방법에 있어서,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음성통화를 행하는 과정과; 통화중 대기 요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통화중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에 대한 통화중인 복수 단말기의 동시 신규 호 설정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특정 서버에 대해 호설정된 상태에서, 그 서버의 저장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특정 자료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자료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로 다운로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에 대한 동시 호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성 통화를 행하면서 그 서버내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에 대해 게임파일을 다운로드한 경우에는 해당 게임파일을 설치하는 과정과; 음성통화를 위한 호를 이용해 패킷 데이터의 빈영역에 게임 조작키신호를 실장하는 과정과; 게임 조작키신호 및 음성 데이터가 실장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음성 통화 및 무선 온라인 게임을 호접속된 그룹별로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및, 자료 제공을 위한 자료제공서버와, 그 자료제공서버로부터 HTTP 문서를 제공받아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데이터 변환 및 호 접속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데이터 변환 방법에 있어서, 자료 제공서버가 문서 및 홈페이지 정보의 등록을 요구하는 과정과; 해당 업체에 대한 서버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해당 업체별 자료 및 파일 데이터를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이동통신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열람 가능하게 등록시키는 과정과; 가입자가 해당 업체에 대한 자료 검색 요구신호가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검색 요구신호가 인가된 경우, 해당 업체의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과;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인가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선택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은 특정 가입자(12, 14)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통화도중 그 음성통화를 위해 미리 설정된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성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가입자(12)와 제 2 가입자(14)간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설정으로 인해 음성통화를 행하고 있는 도중, 제 1 가입자(12)의 상황이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은 가능하여도 음성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이면, 그 제 1 가입자(12)의 모드 선택에따라 음성 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모드로 변환할 수 있고, 이를 제 2 가입자(14)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제 1 가입자(12)와 제 2 가입자(14)간의 문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은 특정 가입자(12, 14)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통화도중 그 음성통화를 위해 미리 설정된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를 위해 특정 단말기 또는 서버에 대한 신규 호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가입자(12)와 제 2 가입자(14)간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설정으로 인해 음성통화를 행하고 있는 도중, 제 1 가입자(12)가 제 2 가입자(14)측으로 특정 자료를 다운받아 전송하기를 소망하는 경우에는, 그 제 1 가입자(12)의 모드 선택에 따라 음성 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에 대한 신규 호를 설정한다.
따라서, 설정된 신규 호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고, 특정 자료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한 다음, 해당 자료를 미리 설정된 호를 통해 제 2 가입자(14)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은 특정 가입자(12, 14)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통화도중 그 음성통화를 위해 미리 설정된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성통화의 상대와 함께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를 위해 특정 단말기 또는 서버에 대해 동시에 신규 호설정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가입자(12)와 제 2 가입자(14)간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설정으로 인해 음성통화를 행하고 있는 도중, 제 1 가입자(12)가 제 2 가입자(14)와 함께 특정 자료를 검색하기를 소망하는 경우에 이를 제 2 가입자(14)에게 인식시키고, 제 2 가입자(14)가 동의한 경우에는, 그 제 1 가입자(12)의 모드 선택에 따라 음성 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에 대한 신규 호를 제 1 가입자(12)와 제 2 가입자(14)에 대해 함께 설정한다.
따라서, 설정된 신규 호를 통해 자료를 검색할 수 있으며, 자료의 검색시 음성통화와 병행할 수 있으며, 특정 자료를 선택하여 각자의 이동단말기에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은 인터넷에서 다수의 가입자에게 HTTP의 형태로 자료를 제공하는 다수의 개인을 포함한 자료제공업체(18)에 대해 인터넷은 물론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출력 가능한 언어 및 프로토콜(예컨대,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의 지원을 행한다.
따라서, 다수의 개인을 포함한 자료제공업체(18)들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을 통해 각종 홈페이지 및 자료를 등록시키고,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에서는 다수의 가입자(12, 14)가 컴퓨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접근하여 특정 자료의 열람이 가능하게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방식은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대별된다.
그 첫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의 내부 DB에 각 자료제공업체(18)별로 HTTP로 지원되는 자료와는 별도로 WAP으로 지원되는 자료를 구축하여 가입자(12, 14)가 이동단말기를 매개로 해당 업체의 자료로 억세스하게 되면 WAP으로 미리 구축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둘째로는, 가맹점 등의 홈페이지와 같이 미리 표준 형태가 정해진 상태에서 그 업체명과 내용, 약도들만이 변경되는 홈페이지의 경우에는 기본 형태에 대한 WAP 문서를 미리 저장하고, 이와는 별도로 각 업체명, 내용, 약도 들은 추출가능한 WAP 문서로 저장한 상태에서, 가입자(12, 14)가 이동단말기를 매개로 해당 업체의 자료로 억세스하게 되면 WAP으로 미리 저장된 기본 형태 문서와 해당 업체의 업체명, 내용, 약도 등과 같은 변경 사항의 문서를 각각 추출해서 결합한 다음, 해당 가입자의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에, 본 발명은 그 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수 가입자(12, 14)의 이동단말기로 중소업체의 자료를 화면 출력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은 음성 및 문자설정 및 데이터변환을 위한 음성/문자 데이터변환 영역(4)이 제공되는 바, 가입자(12)가 음성 및 문자에 대한 데이터의 동시 송수신을 소망하는 경우에는 이를 연계된 이동통신업체(16)에 통보하여 송수신되는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단일의 패킷 데이터에 동시 실장하여 데이터 중계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12, 14)의 단말기내에는 전송된 패킷 데이터중에서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음성 출력 및 화면 출력될 수 있도록 미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은 그 내부에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영역(6)이 제공되는 바, 그 가입자 정보 관리영역(6)은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각 서비스의 이용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가 가입자 정보와 함께 연동되어 즉시 검색가능하게 테이블 메모리로 미리 저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은 그 내부에 다중 호접속에 대한 경로를 관리하는 다중 호접속 경로 관리영역(8)이 제공되는 바, 이는 상기 이동통신업체(16)측으로 가입자(12, 14)가 소망하는 호접속 경로 및 호접속 개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보함으로써 이동통신업체(16)측에서 별도의 장치 부가없이 신규 호설정 또는 특정 서버에 대한 동시적인 호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2)은 그 내부에 이동통신 데이터 변환영역(10)이 제공되는 바, 그 이동통신 데이터 변환영역(10)은 이동통신 데이터관리서버인 WAP 서버(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rver)가 구비되지 않은 다수의 자료제공서버(18)의 자료에 대해 가입자(12, 14)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억세스 가능하게 미리 WAP 문서로 저장 또는 변환 가능하게 하는 영역이다.
이를 통해, 다수의 개인 홈페이지 또는 자료제공업체(18)는 별도의 이동통신전용 서버를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등록한 자료를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에는 각 가입자간의 음성 통화 및 음성통화 호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제 1∼제 N 이동통신 단말기(A1∼An)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 1∼제 N 이동통신 단말기(A1∼An)에 대해 음성 통화 및 음성통화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단일의 패킷 데이터에 대한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동시 실장 및 그 출력을 위해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MCEX)가 구비되는 바, 그 이동통신 교환기(MCEX)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A1∼An)간의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가 특정 서버 및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 다중 호설정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는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복수의 가입자간 음성통화를 위한 호설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각 가입자들이 특정 서버 및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다중 호설정을 지원토록 그 이동통신교환기(MCEX)로 제어신호 및 제어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에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 각종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제 1∼제 N 자료제공서버(DPS1∼DPSn)가 제공되는 바, 이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 각종 자료를 제공하는 모든 단말기 및 서버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에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와 이동통신 교환기(MCEX)의 사이에 매개하여 음성 통화중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대방과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음성 통화중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는 다른 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음성 통화중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를 행하기 위해 상대 통화자와 동시에 특정 단말기 및 서버로 호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웹망을 매개로 상기 제 1∼제 N 자료제공서버(DPS1∼DPSn)로부터 HTTP로 이루어진 문서 파일을 제공받아 이동통신 데이터로 해당 문서 파일을 저장한 다음,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부터 억세스 가능하게 등록시킴으로, 다수의 제 1∼제 N 자료제공서버(DPS1∼DPSn)에 별도의 WAP 서버의 구축 없이 이동통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통신모듈, 가입자 정보 관리부, 음성/문자 데이터 변환부, 다중 호접속 경로 관리부, 자료제공서버 관리부, 데이터 변환부, 가입자 정보 DB, 음성/문자 데이터 변환알고리즘, 다중 호접속 경로 DB, 자료제공 서버정보 DB,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20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에 대해 WAP 문서의 전송 및 그 단말기로부터 각종 모드설정 신호를 인가받아 후속 회로에서 처리 가능하게 변환하고, 이동통신 교환기(MCEX) 및 자료제공서버(DPS1∼DPSn)에 대해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22는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각 서비스의 이용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가 가입자 정보와 함께 연동되어 즉시 검색가능하게 테이블 메모리로 미리 저장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4는 가입자가 음성 및 문자에 대한 데이터의 동시 송수신을 소망하는 경우에는 연계된 이동통신 교환기에 이를 통보하여 송수신되는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단일의 패킷 데이터에 동시 실장하여 데이터 중계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문자 데이터 변환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6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측으로 가입자가 소망하는 호접속 경로 및 호접속 개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경로 관리를 행하는 다중 호접속 경로 관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8은 다수의 자료제공서버(DPS1∼DPSn)를 관리하기 위한 자료제공서버 관리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0은 다수의 자료제공서버(DPS1∼DPSn)의 자료에 대해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 억세스 가능하게 미리 WAP 문서로 저장 또는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2a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2b는 음성 데이터가 실장된 패킷내에 문자 데이터를 실장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음성/문자 데이터 변환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32c는 특정 가입자에 대한 호접속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다중 호접속 경로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2d는 자료제공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제공 서버정보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2e는 HTTP에 해당되는 문서를 WAP으로 미리 제작하여 저장하며, 실시간 WAP 데이터의 조합을 행하는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한편, 참조부호 34는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음성통화중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호를 이용해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음성 통화중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료 검색 및 다운로를 위한 다른 호의 설정 및 특정 서버와 단말기에 대한 동시 접속을 위한 호접속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34)는 다수의 자료제공서버(DPS1∼DPSn)로부터 제공된 HTTP 문서에 대한 WAP 문서로의 제작 및 DB 구축을 행한 후,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의 억세스가 인지되면 해당 등록업체의 WAP 문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스위칭 제어 및 자료 검색, 자료 전송 제어를 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서버(DEX/MCS)에는 상기 자료제공서버(DPS1∼DPSn)로부터 제공된 HTTP 문서 파일을 WAP 문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DB를 더 포함하여,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A1∼An)를 통해 억세스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특정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 예컨대, A1이라 함)와 통신 상대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 예컨대, A2이라 함)의 사이에서 이동통신 데이터의 중계를 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기(MCEX)에 대한 데이터의 구성은 헤더(36a, H)와, 음성 데이터(C1(V), 36b)와, 제어 데이터(CON, 36d), 패킷의 종료부를 나타내는 테일부(T, 36e)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입자간의 음성 통화를 위한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호를 통해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패킷 데이터의 구성에 문자 데이터 영역(C2(C), 36c)이 더 할당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각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터의 내에는 음성 데이터 영역과 문자 데이터 영역이 동시에 존재하므로 단일의 호를 통해 동시에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실장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및 문자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가 송출될 때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는 이를 각각 음성 및 문자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면 단일 호를 통한 문자 및 음성 데이터의 동시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도 4b는 상기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로 다수의 자료제공서버(DPS1∼DPSn)로부터 HTTP로 기제작된 문서 파일이 전송되면, 그 문서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한 WAP 문서로 변환하거나 신규로 제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의 억세스 시도가 검출되면 해당 업체의 WAP 문서를 추출해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하는 가입자의 단말기 화면에 대해 기술하면, 먼저 특정 가입자가 그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A1)를 통해 음성 통화를 위한 호설정이 이루어진 상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A2)와의 음성 통화도중, 음성+문자 송신에 대한 모드 조작을 행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A1)의 화면(40)상에는 음성+문자 송신에 대해 동의할 것인지의 여부를 버튼(42a, 42b)으로 선택 가능하게 출력된다.
이때, 음성+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에 대한 서비스를 신청한 가입자가 서비스 선택에 대해 동의신호를 발생하면, 그 상대 단말기(A2)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52)이 출력되는 바, 그 화면(52)에는 "015-000-000 님이 음성+ 문자 송신 서비스를 요청했습니다. 응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이에 대한 선택을 위한 버튼(42a, 42b)이 출력된다.
상기한 선택신호는 이동통신 교환기(MCEX)가 전송받지만, 그 이동통신 교환기(MCEX)와 연계된 상기 데이터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에서 그 이동통신 교환기(MCEX)의 호설정 및 데이터 구성에 대한 제어를 행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업체의 내부에 상기 데이터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와 같은 기능을 행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자료 다운로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은 특정 가입자(12, 14)간 이동통신 단말기(A1∼An)를 이용한 음성통화도중 그 음성통화를 위해 미리 설정된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성통화의 상대와 함께 자료의 검색 및 다운로드를 위해 특정 단말기 또는 서버에 대해 동시에 신규 호설정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가입자(12)와 제 2 가입자(14)간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설정으로 인해 음성통화를 행하고 있는 도중, 제 1 가입자(12)가 제 2 가입자(14)와 함께 특정 자료를 검색하기를 소망하는 경우에 제 1 가입자(12)측에는 통화중 대기상태가 설정되게 하고, 이를 제 2 가입자(14)에게 인식시킨다. 이때에는 도 6a와 같이 "015-000-000님은 현재 자료검색중 입니다."라는 화면(54)이 제 2 가입자의 단말기(A2) 화면에 출력된다.
또한, 제 1 가입자(12)가 특정 서버로부터 자료를 다운받은 상태에서, 제 2 가입자(14)에게 이를 전송할 수 있는 바, 자료의 다운로드 여부에 대해서 제 2 가입자(14)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 2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A2)에 도 6b와 같이" 015-000-000님이 자료 전송을 요구하십니다. 다운로드 하시겠습니까?"라는 화면(56)이 출력되게 하고, 이를 승낙할 경우 도 6c와 같이 자료 전송상태를 나타내는 화면(58)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 1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A1)와 제 2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A2)는 음성 통화를 위한 호설정이 유지된 상태에서, 특정 자료의 다운로드 및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화면이 출력되지 않고 다운로드 및 전송 여부에 대한 확인은 각 가입자간의 음성통화를 통해 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동시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은 복수의 가입자가 음성 통화도중 그 음성 통화를 위한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로의 동시 접속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용이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서버 및 단말기는 URL과 연동 가능하게 IP가 구성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제 1 가입자가 특정 IP(예컨대, 13578907)를 갖는 서버에 먼저 접속한 상태에서, 제 2 가입자와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서버에 동시 접속을 소망할 경우, 제 2 가입자의 단말기(A2) 화면(62)에는 도 7과 같이 발신자 전화번호(64)와, 서버주소(66)가 출력된다.
더불어, 도 7과 같은 별도의 화면출력 없이도 음성 통화의 호접속이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음성통화를 통해 특정서버의 IP주소를 통보해주고, 이를 기록하여 제 2 가입자도 다중 호접속 모드에서 해당 서버에 동시 접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가입자와 제 2 가입자는 음성 통화를 행하면서 동시에 특정 서버 및 단말기에 접속해서 소망하는 자료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a는 가입자와 상기 데이터 변환 및 호 접속서버(DEX/MCS)간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것인 바, 먼저 이동단말기(예컨대, A1과 A2)간 음성통화 도중(제 1 단계: ST-1) 특정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A1)를 매개로 호접속 상태에서 실시간 문자 통신 요구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에서 판단한다(제 2 단계: ST-2).
호접속 상태에서 실시간 문자 통신 요구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해당 가입자가 서비스 사용 가능한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3 단계: ST-3).
만약, 해당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가입자의 경우에는 호접속 상태의 실시간 문자 통신 서비스의 불가창을 출력시킨다(제 4 단계: ST-4).
서비스 등록자인 경우에는 음성 통신을 위한 호가 접속된 상태에서 실시간문자 통신을 지원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기(A1, A2)간 문자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제 5 단계: ST-5).
음성 및 문자 통신 도중 특정 가입자(A1)로부터 음성통화 복귀요구 신호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통화 복귀요구가 발생된 경우 문자 통신서비스를 해제하고 음성통화 상태로 복귀시킨다(제 6 단계: ST-6).
도 8b는 도 8a의 신호흐름을 대해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에서의 데이터 구성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 먼저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요구하면(제 10 단계: ST-10),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는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각 가입자간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가 접속되도록 한다(제 11 단계: ST-11).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A1∼An)간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에 반송하여(제 12 단계: ST-12) 송수신함으로써 음성통화가 이루어진다(제 13 단계: ST-13).
이때,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특정 가입자로부터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14 단계: ST-14).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패킷의 빈영역에 문자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에 제어신호를 발생한다(제 15 단계: ST-15).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로부터 이동통신 교환기(MCEX)에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반송이 설정된 상태에서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음성 통화 및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제 16 단계: ST-16).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다중 호접속 시스템의 신호호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이동단말기(예컨대, A1과 A2)간 음성통화 도중(제 20 단계: ST-20) 특정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A1)를 매개로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화중 대기모드를 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에서 판단한다(제 21 단계: ST-21).
호접속 상태에서 통화중 대기모드 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로 해당 가입자의 통화중 대기모드가 설정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제 22 단계: ST-22).
그리고,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로부터 특정 단말기 및 서버에 대해 신규 호 설정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3 단계: ST-2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로부터 신규 호설정 요구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제 24 단계: ST-24), 검색중 특정 자료를 선택하여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제 25 단계: ST-25).
반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로부터 신규 호설정 요구가 인가된 경우에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로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A1)와 그 단말기(A1)로부터 선택된 특정 서버에 대해 신규 호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신규 호를 설정한다(제 26 단계: ST-26).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에서 특정 서버에 대한 신규 호설정이 이루어지면, 그 가입자는 해당 호를 통해 접속된 서버에서 데이터를 검색한다(제 27 단계: ST-27).
자료 검색도중 가입자가 특정 자료를 선택하고(제 28 단계: ST-28), 선택된 자료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A1)로 다운로드 한다(제 29 단계: ST-29).
그리고, 상기 가입자는 대기중인 특정 가입자의 단말기(A2)로 다운로드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제 30 단계: ST-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동시 호접속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이동단말기(예컨대, A1과 A2)간 음성통화 도중(제 31 단계: ST-31) 특정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A1)를 매개로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서버로의 동시 접속 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에서 판단한다(제 32 단계: ST-32).
호접속 상태에서 통화중인 복수의 가입자의 특정 서버에 대한 동시접속 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로 해당 가입자의 통화중 대기모드가 설정되도록 제어신호를발생한다(제 33 단계: ST-33).
그리고,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 A2)로부터 특정 단말기 및 서버에 대해 신규 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신규 호를 설정한다(제 34 단계: ST-34).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에서 특정 서버에 대한 신규 호설정이 이루어지면, 통화중인 가입자들은 해당 호를 통해 접속된 서버에서 데이터를 검색한다(제 35 단계: ST-35).
이때, 통화중인 상태에서 그 서버에 등록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자료 검색도중 가입자가 특정 자료를 선택하고(제 36 단계: ST-36), 선택된 자료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A1, A2)로 각각 다운로드 한다(제 37 단계: ST-37).
그리고, 상기 가입자들은 호접속중인 특정 서버에 대해 호설정을 해제할 수 있으며, 그 서버에 대해 호설정이 해제되면 다시 음성통화중인 호 접속상태만으로 복귀하게 된다(제 38 단계: ST-38).
상기한 과정의 동시 호접속의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을 통해 특정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파일이 게임파일인 경우에는 해당 게임파일을 각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A1, A2)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다음,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이용하여 게임행위시의 키신호를 반송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패킷 데이터의 빈영역에 게임 키신호 데이터를 실장하여 음성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MCEX)를 매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 A2)간 통신함으로써 온라인 게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의 데이터 변환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인터넷 망(웹)상에서 자료를 HTTP 문서로 제공하는 다수의 자료 제공업체들이 이동통신 데이터로의 지원을 위해, 그 자료 제공서버에 게시된 문서 및 페이지의 등록을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에 요구한다(제 40 단계: ST-40).
그러면,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해당 자료 제공서버를 등록시키고(제 41 단계: ST-41), 그 자료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된 자료 및 파일 데이터를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를 통해 억세스 가능하게 각 업체별로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등록시킨다(제 42 단계: ST-42).
그리고,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특정 가입자가 기등록된 업체에 대한 자료 검색 요구신호가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43 단계: ST-43).
기등록된 업체에 대한 자료 검색 요구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가 해당 업체의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 등록된 해당 자료를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 열람 가능하게 제공한다(제 44 단계: ST-44).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부터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인가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45 단계: ST-45).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부터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DEX/MCS)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A1∼An)로 선택한 데이터를 전송한다(제 46 단계: ST-46).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은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대 단말기와의 음성과 동시에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급작스럽게 음성통화가 불가능할 경우 가입자가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자료 검색을 위해 특정 서버나 단말기로의 다른 호를 설정하여 특정 자료를 검색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고, 다운로드한 자료를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이동통신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단말기간의 음성통화중 호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자료 검색을 위해 양자가 동시에 특정 서버나 단말기로의 다른 호를 설정하면서 음성통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자료제공업체 및 개인의 홈페이지 또는 자료파일을 이동통신 프로토콜 및 언어로 지원하므로 영세한 업체의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각종 자료 및 홈페이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음성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를 상대 단말기와의 호설정에 의해 할당된 망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매개하여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가능하게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계되어 구성됨으로써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음성통신의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호를 통해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음성통신의 호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로의 억세스를 위한 신규 호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에는 이동통신 데이터로 홈페이지 자료 및 정보를 변환하여 등록시키기 위해 HTTP 문서를 제공하는 자료제공서버가 더 연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다중 호접속 서버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WAP 문서의 전송 및 그 단말기로부터 각종 모드설정 신호를 인가받아 후속 회로에서 처리 가능하게 변환하고, 이동통신 교환기 및 자료제공서버에 대해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각 서비스의 이용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가 가입자 정보와 함께 연동되어 즉시 검색가능하게 테이블 메모리로 미리 저장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부와; 가입자가 음성 및 문자에 대한 데이터의 동시 송수신을 소망하는 경우에는 연계된 이동통신 교환기에 이를 통보하여 송수신되는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단일의 패킷 데이터에 동시 실장하여 데이터 중계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문자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측으로 가입자가 소망하는 호접속 경로 및 호접속 개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경로 관리를 행하는 다중 호접속 경로 관리부와; 다수의 자료제공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자료제공서버 관리부와; 다수의 자료제공서버의 자료에 대해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억세스 가능하게 미리 WAP 문서로 저장 또는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DB와; 음성 데이터가 실장된 패킷내에 문자 데이터를 실장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음성/문자 데이터 변환알고리즘과; 특정 가입자에 대한 호접속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다중 호접속 경로 DB와; 자료제공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제공 서버정보 DB와; HTTP에 해당되는 문서를 WAP으로 미리 제작하여 저장하며, 실시간 WAP 데이터의 조합을 행하는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과;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음성통화중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호를 이용해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음성 통화중 호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료 검색 및 다운로를 위한 다른 호의 설정 및 특정 서버와 단말기에 대한 동시 접속을 위한 호접속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서버에는 상기 자료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된 HTTP 문서 파일을 WAP 문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DB를 더 포함하여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억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통화를 위해 설정된 호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문자 데이터를 실장할 경우, 패킷 데이터는 음성데이터와 동시에 문자 데이터를 실장할 수 있는 영역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시스템.
  6.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및,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통해 문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그 이동통신 교환기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변환 및 호 접속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데이터 변환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기간 음성통화를 위한 호설정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음성 통화를 위한 호접속 상태에서 실시간 문자 통신 요구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서비스 불가한 가입자의 경우,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불가창을 출력시키는 과정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가입자의 경우, 동일 호를 통해 실시간 음성 및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음성통화 복귀요구 신호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요구하는 과정과;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음성 통화를 위한 호가 설정되고, 각 가입자간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 접속되는 과정과;
    특정 가입자로부터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서비스 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패킷의 빈영역에 문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과정과;
    반송된 음성 및 문자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음성 통화 및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
  8.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및,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대기한 상태에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로의 신규 호를 설정하기 위해 그 이동통신 교환기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변환 및 호 접속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다중 호접속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음성통화를 행하는 과정과;
    통화중 대기 요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통화중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에 대한 신규 호 설정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특정 서버에 대해 호설정된 상태에서, 그 서버의 저장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특정 자료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자료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로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대기중인 상대 가입자의 단말기로 자료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
  9.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및,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대기한 상태에서 특정 서버 및 단말기로의 신규 호를 통화중인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동시에 설정하기 위해 그 이동통신 교환기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변환 및호 접속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다중 호접속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음성통화를 행하는 과정과;
    통화중 대기 요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통화중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에 대한 통화중인 복수 단말기의 동시 신규 호 설정요구신호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특정 서버에 대해 호설정된 상태에서, 그 서버의 저장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특정 자료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자료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로 다운로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에 대한 동시 호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성 통화를 행하면서 그 서버내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특정 서버 또는 단말기에 대해 게임파일을 다운로드한 경우에는 해당 게임파일을 설치하는 과정과;
    음성통화를 위한 호를 이용해 패킷 데이터의 빈영역에 게임 조작키신호를 실장하는 과정과;
    게임 조작키신호 및 음성 데이터가 실장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음성 통화 및 무선 온라인 게임을 호접속된 그룹별로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
  12.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및, 자료 제공을 위한 자료제공서버와, 그 자료제공서버로부터 HTTP 문서를 제공받아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데이터 변환 및 호 접속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데이터 변환 방법에 있어서,
    자료 제공서버가 문서 및 홈페이지 정보의 등록을 요구하는 과정과;
    해당 업체에 대한 서버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해당 업체별 자료 및 파일 데이터를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이동통신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열람 가능하게 등록시키는 과정과;
    가입자가 해당 업체에 대한 자료 검색 요구신호가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검색 요구신호가 인가된 경우, 해당 업체의 이동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과;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인가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선택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 호접속 방법.
KR1020010073630A 2001-11-24 2001-11-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30042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630A KR20030042838A (ko) 2001-11-24 2001-11-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630A KR20030042838A (ko) 2001-11-24 2001-11-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838A true KR20030042838A (ko) 2003-06-02

Family

ID=2957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630A KR20030042838A (ko) 2001-11-24 2001-11-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28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42B1 (ko) * 2003-06-24 201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브이디오 통화 중 음성 호 처리에 관한 동작 제어 방법
KR101288097B1 (ko) * 2011-11-21 2013-07-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14017873A2 (ko) * 2012-07-26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2이상의 무선접속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4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이동전화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메모방법
KR20000024291A (ko) * 2000-02-03 2000-05-06 이성철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KR200206756Y1 (ko) * 2000-06-15 2000-12-15 오두진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KR100282955B1 (ko) * 1998-12-30 2001-03-02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4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이동전화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메모방법
KR100282955B1 (ko) * 1998-12-30 2001-03-02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00024291A (ko) * 2000-02-03 2000-05-06 이성철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KR200206756Y1 (ko) * 2000-06-15 2000-12-15 오두진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42B1 (ko) * 2003-06-24 201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브이디오 통화 중 음성 호 처리에 관한 동작 제어 방법
KR101288097B1 (ko) * 2011-11-21 2013-07-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호 접속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14017873A2 (ko) * 2012-07-26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2이상의 무선접속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17873A3 (ko) * 2012-07-26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2이상의 무선접속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50043B2 (en) 2012-07-26 2017-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using two or more radio access technologies and apparatus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174B1 (e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multaneous voice and multimedia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KR100701852B1 (ko) 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84220B1 (ko) 데이터 서버를 갖는 동시발생 음성/데이터 메시지를 위한 클라이언트 제어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RU241923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общей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связи
EP21160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synchronization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KR20020076276A (ko)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
KR100424625B1 (ko)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단말을 이용한 웹 콘텐츠 제공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757757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WO20100844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content and services to wireless terminal devices in response to a received voice call
KR20030001053A (ko) 문자아이디를 이용한 통화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97456A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WO2002076122A1 (en)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directory service accompnying sms notification
JP2007013616A (ja) プレゼンス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20030042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006484B1 (ko)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JP3968279B2 (ja) 代理応答通信システム、代理応答通信方法、代理応答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US7085262B2 (en) Telecommunication system
JP501655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pc上のブラウザ表示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KR100424508B1 (ko) 음성인식을 통한 무선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JP396178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0422190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情報提供方法
JP2002033843A (ja) 情報案内システム及び情報案内方法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100411136B1 (ko) 발신자 id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4617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