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276A -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276A
KR20020076276A KR1020027009880A KR20027009880A KR20020076276A KR 20020076276 A KR20020076276 A KR 20020076276A KR 1020027009880 A KR1020027009880 A KR 1020027009880A KR 20027009880 A KR20027009880 A KR 20027009880A KR 20020076276 A KR20020076276 A KR 20020076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reception confi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erver
mobil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6761B1 (ko
Inventor
야베도시야스
다케다유키
소가마코토
나가노고유키
Original Assignee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76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메일 서버(25)는 통상의 전자메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일 기억부(254a)와, 메일수신확인만을 저장하기 위한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를 구비한다. 메일 서버(25)는 이동국(10)으로의 통상의 전자메일을 수신하면, 이 전자메일을 메일 기억부(254a)에 저장하고 이동국(10)에 송신한다. 한편, 메일 서버(25)가 이동국(10)으로의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면, 이 메일수신확인을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에 저장하고, 이동국(10)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르는 이동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취득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메일수신확인을 송신한다.

Description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MAIL SYSTEM, SERVER AND MAI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전자메일의 수신확인 기술이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일 송신측에서 송신된 전자메일이 메일 수신측에 의해 수신 ·개봉되면, 그 전자메일이 수신측에 의해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메일 수신확인의 통지가 메일 수신측에서 메일 송신측으로 송신된다. 메일 수신확인의 통지에 의해, 전자메일을 송신한 사용자는 그 전자메일의 내용이 상대에게 전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메일 시스템에서는 메일 수신확인의 통지(이하, '메일수신확인'이라 한다)가 전자메일 형식으로 송신되지만, 통상의 전자메일 등, 메일수신확인을 즉시 송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즉, 메일 시스템 사용자는 통상의 전자메일은 지체 없이 수신하고 싶어하지만, 자신이 송신한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에 관해서는 즉시 취득할 필요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메일 시스템 사용자는 메일수신확인을 반드시 실시간으로 취득할 필요는 없고, 자신이 원하는 시각에 다수의 메일수신확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보다 간편한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메일 시스템에서는, 메일수신확인을 그 이외의 통상의 전자메일과 구별하지 않고 처리하기 때문에, 종래의 메일 시스템은 다양하게 송신되는 전자메일의 수신확인에 대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자메일이 메일 수신측에 의해 수신된 것을 메일 송신측에 통지하기 위한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메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메일 서버의 전자메일 기억부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포맷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메일 서버의 메일수신확인 기억부의 기억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포맷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국이 전자메일을 송신하여, 메일 서버가 그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을 축적하기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국이 메일 서버에 축적된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국이 전자메일을 송신하여,메일수신확인 서버가 그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을 축적하기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국이 메일수신확인 서버에 축적된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제안된 것으로, 메일 시스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자메일 수신확인의 기능을 구비한 메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은,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다수의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전자메일을 기억하는 제1 기억수단;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수단;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제1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자메일을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메일 송신수단;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 앞으로의 전자메일을 신속히 취득할 수 있는 한편, 메일수신확인에 관해서는 원하는 타이밍에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이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1 형태이다.
이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2 형태에 있어서,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전자메일 형식으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해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4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수단 및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제1 기억수단 및 상기 메일 송신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망 내에서 전자메일의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5 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고;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상기 전자메일을 송신하며;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6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수단 및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를 수용하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메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기억수단 및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제1 통신망과는 다른 제2 통신망상의 메일수신확인 서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6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7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며;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메일을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6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8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은 인터넷이고;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6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9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인터넷이고;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메일을 송신하며;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6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메일 시스템의 제10 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각각 자신이 송신하는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의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상기 제2 통신망에서의 상기 메일수신확인 서버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는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전자메일의 통신을 중계하며,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한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 각각의 식별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수단;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이 본 발명의 서버의 제1 형태이다.
또한, 이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서버의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전자메일 형식으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서버의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의해 해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서버의 제4 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고;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상기 전자메일을 송신하며;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서버는,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한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 각각의 식별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수단;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및 상기 수단에 의해 추출된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메일의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 및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를 수용하는 제1 통신망과는 다른 제2 통신망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이 본 발명의 다른 서버의 제1 형태이다.
또한, 이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서버의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서버의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은 인터넷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제1 형태의 특성에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서버의 제4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인터넷이며,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일 송수신장치는 메일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메일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며, 자신이 송신하는 상기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의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상기 메일 서버와는 다른 서버의 통신망상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지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시스템 전체를 이동통신망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은 그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고, 다음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A: 제1 실시형태
A-1: 구성
먼저, 제1 실시형태의 특정한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1) 메일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시스템은 이동국(10A, 10B), 이동통신망(20), 메일 서버(25), 인터넷(30), 퍼스널 컴퓨터(이하, 'PC(40)'라 함)(40)로 구성된다.
이동국(10A, 10B)은 휴대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와 같은 무선통신단말이고, 이동통신망(2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통화를 한다. 각 이동국(10A, 10B)은 전자메일의 송수신을 위해 자신에게 할당된 메일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메일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한다. 이들이동국(10A, 10B)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기 때문에, 이동국(10A, 10B)을 어느 한쪽으로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이동국(10)'이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동통신망(20)은 이동국(10)에 데이터 통신 서비스 또는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이고, 기지국(도시 생략), 교환국(도시 생략) 및 이들을 상호 접속하는 통신선(도시 생략)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이동통신망(20)은 게이트웨이 장치(도시 생략)를 통해 인터넷(30)에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은 이동통신망(20)의 통신 서비스 지역 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각 기지국에 할당된 무선 셀에 위치하는 이동국(10)과 무선통신을 한다. 각 교환국은 복수의 기지국과 통신하며, 이들 기지국의 무선 셀에 위치하는 이동국(10)의 통신회선을 교환하게 되어 있다.
PC(40)는 인터넷(30)에 접속되어 있고, 이 인터넷(30)을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메일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PC(40)는 자신에게 할당된 메일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있다. 이 PC(40)는 전자메일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도시 생략), PC(40) 사용자가 전자메일의 작성조작 등을 하기 위한 키보드(도시 생략), 인터넷(3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도시 생략), PC(40)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일 서버(25)는 이동통신망(20)에 접속되어 있고, 각 메일 클라이언트 사이,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0A)과 이동국(10B) 사이, 또는 이동국(10A, 10B) 중 어느 하나와 PC(40) 사이의 전자메일 통신을 중계한다.
(2) 이동국(10)의 구성
다음에, 이동국(10)의 구성에 관해서, 도 2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국(10)은 무선통신부(11), 제어부(1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 및 이들을 상호 접속하는 버스(14)로 구성된다.
무선통신부(11)는 안테나(도시 생략)와 통신제어회로(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망(20)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는 예컨대 전자메일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부(도시 생략), 이동국(10) 사용자가 발신조작이나 전자메일 작성조작 등을 하기 위한 키패드(도시 생략), 이동국(10) 사용자가 통화하기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2)는 이동국(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121), ROM(Read Only Memory)(122), RAM(Random Access Memory)(123)으로 구성된다. ROM(122)에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고, CPU(121)는 ROM(122)으로부터 이 제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각종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CPU(121)의 제어동작 시에, RAM(123)은 프로그램의 작업영역 등으로서 사용된다. ROM(122)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는, 예컨대, 이동국(10)의 통화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외에도, 전자메일의 작성이나 송수신을 위한 메일러(mailer) 프로그램이 있다. CPU(121)가 이 메일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에 관해서는, 뒤의 동작설명에서 상술한다.
(3) 메일 서버(25)의 구성
다음에, 도 3에 나타낸 블록도를 참조하여 메일 서버(25)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일 서버(25)는 통신부(251), 제어부(252), 가입자 정보 기억부(253), 전자메일 기억부(254) 및 이들을 상호 접속하는 버스(255)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251)는 이동통신망(20)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도시 생략)나 통신제어회로(도시 생략)로 구성되며, 이동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한다.
제어부(252)는 CPU(도시 생략), ROM(도시 생략) 및 RAM(도시 생략)으로 구성되어, 메일 서버(25)의 각 부를 제어한다. ROM에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고, CPU는 ROM으로부터 이 제어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각종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는, 예컨대, 메일 클라이언트 사이의 전자메일 교환을 중계하기 위한 메일 중계 프로그램이 있다. CPU가 이 메일 중계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처리에 관해서는, 뒤의 동작설명에서 상술한다.
가입자 정보 기억부(253)는 예컨대 하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기억장치이고, 이동통신망(20)에 의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에게 관련되는 정보, 예컨대, 이동국(10)의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등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252)는 이 가입자 정보 기억부(25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및 메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이동국(10)을 발호하여 전자메일을 송신하게 되어 있다.
전자메일 기억부(254)는 예컨대 하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기억장치이고, 이동국(10)으로의 전자메일을 저장한다. 이 전자메일 기억부(254)는 이동국(10)으로의 전자메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일 기억부(254a)와, 이동국(10)에 대한 메일수신확인을 저장하기 위한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라는 2개의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메일 기억부(254a) 내에는 각 이동국(10)에 할당된 메일 어드레스마다 메일박스라 불리는 기억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제어부(252)는 이동국(10)으로의 전자메일을 수신하면, 그 수신한 전자메일의 데이터를 그 전자메일의 수신인의 메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일 기억부(254a) 내의 메일박스에 일단 저장한다. 여기서 전자메일 데이터는 전자메일의 수신인의 메일 어드레스, 전자메일의 발신인의 메일 어드레스, 전자메일의 송신일시, 전자메일의 제목 및 전자메일의 본문을 포함한다. 도 4는 메일 기억부(254a)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포맷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한 전자메일의 데이터를 해당 메일박스에 저장한 뒤, 제어부(252)는 전자메일의 수신인이 되는 이동국(10) 중 하나를 발호하여, 이 저장한 전자메일을 이 이동국(10)으로 송신한다.
상기 메일 기억부(254a)에 저장되는 전자메일은 이동국(10)으로의 메일수신확인 이외의 전자메일(이하, '통상의 전자메일'이라 함)이다. 한편, 메일수신확인도 전자메일 형식으로 송수신되지만, 이들은 통상의 전자메일과 구별되어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에 저장되게 되어 있다.
도 5는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포맷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에는 각 이동국(10)에 할당된 메일 어드레스마다, 각 이동국(10)으로의 메일수신확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 메일수신확인의 데이터는 메일수신확인의 수신인의 메일 어드레스, 수신한 메일의 수신인의 메일 어드레스, 메일이 수신된 수신일시, 수신된 전자메일의 제목을 포함한다. 제어부(252)는 이동국(10)으로의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면, 이 메일수신확인을 그 메일수신확인의 수신인을 나타내는 메일 어드레스에 따라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a)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52)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이동국(10)으로부터의 메일수신확인 취득요구에 응하여, 이동국(10)에 대응하는 메일수신확인을 추출하고, 이것을 이동국(10)에 송신하게 되어 있다. 즉, 이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에 저장된 메일수신확인은 상술한 통상의 전자메일과 같이 메일 서버(25)에 의해 수신 ·기억되는 즉시 이동국(10)에 송신(소위 푸시형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국(10) 사용자로부터의 요구가 있을 때까지 기억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요구가 있을 경우에 이동국(10)에 송신(소위 풀형 전송)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상의 전자메일과 메일수신확인은 어느 것이나 메일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자메일 형식으로 송수신되지만, 메일 서버(25)에 의한 전송처리가 다르다. 이 실시형태에서, 메일 서버(25)가 통상의 전자메일과 메일수신확인을 식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메일 클라이언트가 전자메일을 송신할 때, 그 전자메일의 데이터에 통상의 전자메일과 메일수신확인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부가하도록 하고 있다.
A-2: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의 전자메일을 메일서버(25)로부터 이동국(10)으로 송신하는 동작과, 메일수신확인을 메일 서버(25)로부터 이동국(10)으로 송신하는 동작이 다르다. 메일 서버(25)에서 통상의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동작은 종래의 시스템의 동작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메일수신확인을 송신하는 동작에 관해서, 이동국(10)이 PC(40)에 전자메일을 송신하고, 이것에 대한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동작설명을 한다.
(1) 이동국(10)에 의한 전자메일의 송신동작 및 메일 서버(25)에 의한 메일수신확인의 축적동작
우선, 도 6에 나타낸 시퀀스를 참조하여, 이동국(10)으로부터 전자메일이 송신되어, 이 전자메일에 대해 PC(40)로부터 송신된 메일수신확인이 메일 서버(25)에 축적되기까지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동국(10) 사용자는 키패드를 조작하여 메일러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PC(40)의 메일 어드레스를 목적지로 한 전자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키 조작을 한다. 이동국(10)은 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전자메일을 작성한다(단계 S1).
이어서, 이동국(10)은 사용자에 의한 전자메일의 송신요구에 따라 메일 서버(25)를 발호하여, 작성한 전자메일을 PC(40)를 목적지로 하여 메일 서버(25)에 송신한다(단계 S2).
한편, 메일 서버(25)는 이동국(10)으로부터 송신된 전자메일을 수신하면(단계 S3), 이 전자메일을 이동통신망(20) 및 인터넷(30)을 통해 PC(40)에 송신한다(단계 S4).
PC(40)는 메일 서버(25)로부터 송신된 전자메일을 수신하여(단계 S5), 전자메일이 도착한 것을 나타내는 메일도착통지를 표시부(도시 생략)에 표시한다(단계 S6).
이어서, PC(40)의 사용자가 그 전자메일을 개봉하는 조작을 하면, 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PC(40)는 수신한 전자메일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시에, 이동국(10)의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의 메일수신확인을 인터넷(30)에 송출한다(단계 S7). 이 메일수신확인이 송신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일수신확인의 데이터에 메일수신확인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부가되어 있다.
한편, 메일 서버(25)는 인터넷(30) 및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상기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여, 상기 부가된 식별자를 확인한 후 통상의 전자메일이 아니라 메일수신확인인 것을 확인하면, 그 메일수신확인의 수신인이 되는 이동국(10)의 메일 어드레스에 따라 메모리(254b) 내의 소정의 기억영역에 상기 메일수신확인을 저장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8).
(2) 이동국(10)이 메일 서버(25)에 축적된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동작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시퀀스를 참조하여, 이동국(10)이 메일 서버(25)에 축적된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10)의 사용자는 자신이 편한 타이밍에 이동국(10)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메일러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기 위한 키 조작을 한다. 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이동국(10)은 메일 서버(25)를 발호하여, 이동국(10)의 메일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메일수신확인의 취득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11).
한편, 메일 서버(25)는 이동국(10)으로부터 송신된 메일수신확인의 취득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12).
이어서, 메일 서버(25)는 수신한 메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모리(254b) 내의 기억영역에서 메일수신확인을 추출하여(단계 S13), 그 메일수신확인을 이동국(10)에 송신한다(단계 S14).
이동국(10)은 메일 서버(25)로부터 송신된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여(단계 S15), 그 메일수신확인을 액정표시부에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6).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통상의 전자메일과는 별도로, 자신이 편한 타이밍에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메일수신확인을 동시에 함께 취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보다 유연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B: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가 메일 서버(25)내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이 제2 실시형태는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를 인터넷(30)상의 소정의 서버 내에 마련한 것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메일 서버(25)의 구성내용과, 인터넷(30)상의 메일수신확인의 축적 ·전송 서비스 제공을 전문으로 하는 메일수신확인 서버(41)이다. 즉, 메일 서버(25)는 상술한 메일 기억부(254a)를 구비하고 있지만,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를 구비하지 않고, 제1 실시형태와 달리 메일수신확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는 메일수신확인 서버(41)가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를 구비하고 있고, 메일 서버(25) 대신 메일수신확인 전송 서비스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일수신확인 서버(41)는 인터넷(3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부(도시 생략), 메일수신확인 서버(41)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 메일수신확인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 및 이들을 상호 접속하는 버스(도시 생략)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국(10)의 사용자는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 의한 메일수신확인의 전송 서비스를 받는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이동국(10)의 ROM(122)에는 상기 전송 서비스를 받기 위해 메일수신확인 서버(41)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가 기억되어 있다.
이하, 제2 실시형태의 동작에 관해, 이동국(10)이 PC(40)에 전자메일을 송신하여, 이것에 대한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시퀀스에 있어서, 우선, 이동국(10)의 사용자는 이동국(10)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메일러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PC(40)의 메일 어드레스로의 전자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키 조작을 한다. 이동국(10)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전자메일을 작성한다(단계 S21).
이어서, 이동국(10)은 사용자에 의한 전자메일의 송신조작에 따라 메일서버(25)를 발호하여, 작성한 전자메일을 PC(40)를 목적지로 하여 메일 서버(25)에 송신한다(단계 S22). 이동국(10)이 전자메일을 송신할 때, 이동국(10)은 작성한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이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 도달할 수 있도록, 메일수신확인 서버(41)의 IP 어드레스를 ROM(122)으로부터 독출하여, 이 IP 어드레스를 상기 작성된 전자메일에 부가하게 되어 있다.
한편, 메일 서버(25)는 이동국(10)으로부터 송신된 전자메일을 수신하면(단계 S23), 이 전자메일을 이동통신망(20) 및 인터넷(30)을 통해 PC(40)에 송출한다(단계 S24).
PC(40)는 메일 서버(25)로부터 송신된 전자메일을 수신하여(단계 S25), 전자메일의 도착을 나타내는 메일도착통지를 표시부(도시 생략)에 표시한다(단계 S26).
이어서, PC(40)의 사용자가 그 전자메일의 수신요구를 하면, 그 요구에 따라 PC(40)는 전자메일을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PC(40)는 상기 전자메일에 부가되어 있는 메일수신확인 서버(41)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이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 메일수신확인을 송신한다(단계 S27). 이 때, PC(40)는 이동국(10)의 메일 어드레스를 부가하여 상기 메일수신확인을 송신하게 되어 있다.
메일수신확인 서버(41)는 메일수신확인 및 이동국(10)의 메일 어드레스를 수신하면, 이동국(10)의 메일 어드레스에 따라 메모리(254b) 내의 소정의 기억영역에 메일수신확인을 저장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28).
다음에, 도 10에 나타낸 시퀀스를 참조하여, 이동국(10)이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 축적된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이동국(10)의 사용자는 이동국(10)을 조작하여 메일러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기 위한 키 조작을 한다.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응하여, 이동국(10)은 이동통신망(20) 및 인터넷(30)을 통해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 통신 접속하여, 메일수신확인의 취득요구를 이동국(10)의 메일 어드레스와 함께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 송신한다(단계 S31).
한편, 메일수신확인 서버(41)는 이 메일수신확인의 취득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32).
이어서, 메일수신확인 서버(41)는 수신한 메일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모리(254b) 내의 기억영역에서 메일수신확인을 추출하여(단계 S33), 이것을 인터넷(30) 및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이동국(10)에 송신한다(단계 S34).
송신된 메일수신확인은 메일 서버(25)에 의해 중계되어, 이동국(10)에 의해 수신된다(단계 S35).
이동국(10)은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면, 이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36).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사용자는 통상의 전자메일과는 별도로, 자신이 편한 타이밍에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 의해 제공되는 메일수신확인의 전송 서비스를 받는 메일 클라이언트는 이동국(10)에 한하지 않고, PC(40) 등의 인터넷(30)에 접속된 메일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다. 즉, 인터넷(30)에 접속 가능한 어떠한메일 클라이언트도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 의한 전송 서비스의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메일 클라이언트의 통상의 전자메일의 전송 서비스를 하는 메일 서버의 종류에 관계없이, 메일수신확인 서버(41)의 전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편한 타이밍에 메일수신확인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메일수신확인 서버(41)는 메일수신확인의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기능하고, 메일수신확인 서버(41)의 관리자는 메일수신확인의 전송 서비스를 전문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예컨대 하기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변경이 가능하다.
(1) 메일 클라이언트의 형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이동통신망(20) 내부의 메일 클라이언트로서 휴대전화나 PHS 등의 이동국(10)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메일 클라이언트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이동국(10)에 접속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퍼스널 컴퓨터 등이 본 발명의 메일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이동국(10)에서 PC(40)로 송신되는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메일수신확인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통신망(20)내의 이동국(10)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메일에대한 것일 수도 있고, PC(40)와 다른 도시하지 않은 PC 사이에 교환되는 전자메일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2)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 클라이언트로의 통상의 전자메일의 송신 타이밍의 변형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메일 서버(25)는 이동국(10)으로의 통상의 전자메일을 수신하면, 이것을 일단 기억하는 동시에 즉시 통상의 전자메일을 송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송신형태에 의하지 않는 전자메일 송신의 형태로서, 사용자의 조작을 기다리지 않고 메일 클라이언트가 정기적인 문의를 자동적으로 메일 서버(25)에 하고, 이 문의에 응답하여 메일 서버(25)가 메일 클라이언트에 전자메일을 전송하는 것이 있다. 예컨대 메일 클라이언트가 PC(40)인 경우에는 이 송신방법이 종종 쓰이지만,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메일 클라이언트인 이동국의 사용자는 전자메일의 송신요구 조작을 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전자메일의 송신방법은 상술한 형태, 요컨대 메일 서버(25)가 메일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정기적인 문의에 응답하여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3)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 클라이언트로의 메일수신확인 송신방법의 변형
제1 실시형태에서는, 메일 서버(25)에서 이동국(10)으로 송신되는 메일수신확인은 전자메일 형식이지만, 본 발명의 메일수신확인 형식은 반드시 전자메일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동국(10)에 소위 WWW(World Wide Web)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이동국(10)이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일 서버(25)에 기억된 메일수신확인을 독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국(10)으로부터의 전자메일을 수신한 PC(40)가 메일수신확인을 전자메일 형식으로 메일 서버(25)에 송신하는 점은 제1 실시형태와 같다. 그러나, 메일수신확인을 전자메일 형식으로 수신한 메일 서버(25)는 이 메일수신확인에 포함되는 메일 어드레스, 해당 전자메일의 수신인의 메일 어드레스, 해당 전자메일의 수신확인일시 및 해당 전자메일의 제목(즉, 메일수신확인 기억부(254b)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을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메모리에 기억한다.
메일 서버(25)가 이동국(10)에 메일수신확인을 제공하는 동작은 아래와 같다.
우선, 이동국(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메일 서버(25)에 미리 할당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따라 메일 서버(25)에 접속한다. 한편, 메일 서버(25)는 이동국(10)으로의 메일수신확인의 데이터를 기술한 HTML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이동국(10)에 회신한다. 이동국(10)은 수신한 HTML 데이터를 해석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 제2 실시형태의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도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이용한 메일수신확인 제공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4) 메일 서버 사이의 메일수신확인의 송신방법의 변형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이동국(10)에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25)의 동작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지만, PC(40)에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이하, '메일 서버(100)'라 부른다)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렇지만, 이동국(10)의 사용자는 메일수신확인을 반드시 실시간으로 취득할 필요는 없다는 관점에서, 상기 메일 서버(25) 및 메일 서버(100) 사이의 메일수신확인을 송신하는 방법에 하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메일 서버(100)가 PC(40)로부터 수신한 메일수신확인을 메일 서버(25)에 송신하는 경우, PC(40)로부터 수신한 후 즉시 메일 서버(25)에 송신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PC(40)에서 송신되는 메일수신확인을 소정의 송신 타이밍이 도래할 때까지 축적하여, 메일수신확인 송신 타이밍이 도래하면, 축적하고 있는 메일수신확인을 정리하여 메일 서버(25)에 송신한다. 특히,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통신 접속을 검출하는 제어신호를 메일 서버간에 정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이 제어신호에 서버에 축적되어 있는 메일수신확인의 데이터를 부가하여, 제어신호와 함께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시스템에서, 메일 서버(25) 및 메일 서버(100) 사이의 네트웍 통신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메일수신확인의 송신방법은 제2 실시형태의 메일수신확인 서버(41)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19)

  1. 메일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다수의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전자메일을 기억하는 제1 기억수단;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수단;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제1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자메일을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메일 송신수단;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전자메일 형식으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해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수단 및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제1 기억수단 및 상기 메일 송신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망 내에서 전자메일의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고;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상기 전자메일을 송신하며;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수단 및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를 수용하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메일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에설치되고;
    상기 제2 기억수단 및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제1 통신망과는 다른 제2 통신망상의 메일수신확인 서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며;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은 인터넷이고;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인터넷이고;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국에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메일을 송신하며;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각각 자신이 송신하는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의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상기 제2 통신망에서의 상기 메일수신확인 서버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시스템.
  11.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전자메일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한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 각각의 식별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수단;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및
    상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전자메일 형식으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의해 해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이고;
    상기 메일 송신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상기 전자메일을 송신하며;
    상기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은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서버에 있어서,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메일수신확인을 수신하는수신수단;
    상기 수신한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 각각의 식별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수단;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및
    상기 수단에 의해 추출된 메일수신확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메일수신확인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메일의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 및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를 수용하는 제1 통신망과는 다른 제2 통신망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망은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제2 통신망은 인터넷이며,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수용되는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메일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메일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메일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자신이 송신하는 상기 전자메일에 대한 수신확인의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상기 메일 서버와는 다른 서버의 통신망상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지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송수신장치.
KR10-2002-7009880A 2000-12-01 2001-12-03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 KR100466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67660A JP3730858B2 (ja) 2000-12-01 2000-12-01 メールシステム、サーバ及びメール送受信装置
JPJP-P-2000-00367660 2000-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276A true KR20020076276A (ko) 2002-10-09
KR100466761B1 KR100466761B1 (ko) 2005-01-17

Family

ID=1883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880A KR100466761B1 (ko) 2000-12-01 2001-12-03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30182380A1 (ko)
EP (1) EP1244259B1 (ko)
JP (1) JP3730858B2 (ko)
KR (1) KR100466761B1 (ko)
CN (1) CN1199406C (ko)
AT (1) ATE526757T1 (ko)
AU (2) AU2002223131B2 (ko)
BR (1) BR0107855A (ko)
CA (1) CA2399144C (ko)
ES (1) ES2371236T3 (ko)
HK (1) HK1047661B (ko)
NO (1) NO334033B1 (ko)
NZ (1) NZ520030A (ko)
PL (1) PL360950A1 (ko)
TW (1) TW535058B (ko)
WO (1) WO2002045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52B1 (ko) * 2005-02-17 2012-03-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메일 서버, 메일 수신 장치, 메일 서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메일 수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메일 중개 방법, 및 메일 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2513B1 (en) * 2002-03-27 2007-01-09 Dang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lectronic messages to a wireless data processing device using a multi-tiered queuing architecture
JP3954932B2 (ja) * 2002-08-28 2007-08-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電子メール配信システム、中継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437405B1 (en) 2002-10-01 2008-10-14 Danger,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objects in a wireless device
US20050010645A1 (en) * 2003-06-26 2005-01-13 Taymoor Arshi Additive and substractive messaging
US7213022B2 (en) * 2004-04-29 2007-05-01 Filenet Corporation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network-attached system
US20060085374A1 (en) * 2004-10-15 2006-04-20 Filenet Corporation Automatic records management based on business process management
US20060085245A1 (en) * 2004-10-19 2006-04-20 Filenet Corporation Team collaboration system with business process management and records management
US20090144167A1 (en) * 2005-02-10 2009-06-04 Pablo Calamer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and voice connectivity for wireless devices
JP2006229579A (ja) * 2005-02-17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
US7710912B1 (en) 2005-07-11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content synchronization between a data service and a data processing device
US10402756B2 (en) * 2005-10-19 2019-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pturing the result of an approval process/workflow and declaring it a record
US20070088736A1 (en) * 2005-10-19 2007-04-19 Filenet Corporation Recor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transcript
US7856436B2 (en) * 2005-12-23 2010-1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holds of record dispositions during record management
US20070239715A1 (en) * 2006-04-11 2007-10-11 Filenet Corporation Managing content objects having multiple applicable retention periods
US8037029B2 (en) * 2006-10-10 2011-10-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records management with hold notification and automatic receipts
JP2008171339A (ja) * 2007-01-15 2008-07-24 Ntt Docomo Inc 移動体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8566239B2 (en) * 2007-02-22 2013-10-22 First Data Corporation Mobile commerce systems and methods
US20090037537A1 (en) * 2007-08-01 2009-0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king Electronic Mail History
US20090313101A1 (en) * 2008-06-13 2009-12-17 Microsoft Corporation Processing receipt received in set of communications
US8788350B2 (en) * 2008-06-13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Handling payment receipts with a receipt store
CN102111498B (zh) 2011-01-13 2013-11-06 华为终端有限公司 电子邮件回执方法和移动终端
JP6395375B2 (ja) * 2013-12-11 2018-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7504B (de) * 1987-07-31 1994-04-25 Espanola Prod Quimicos Diosminderiva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879547B2 (ja) * 1996-08-26 1999-04-05 尚五 中村 電子メー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メールの処理方法
US5790790A (en) 1996-10-24 1998-08-04 Tumbleweed Software Corporation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ystem in which notification of said electronic document is sent to a recipient thereof
US5940740A (en) * 1996-10-25 1999-08-17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transmission verification
US6178442B1 (en) * 1997-02-20 2001-01-23 Justsystem Corp. Electronic mail system and electronic mail access acknowledging method
JP3527090B2 (ja) * 1998-02-24 2004-05-17 富士通エフ・アイ・ピー株式会社 分散型メールシステム並びにメール到着確認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メールサーバ装置
US7194757B1 (en) * 1998-03-06 2007-03-20 Starguide Digital Networ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and pull distribution of multimedia
JP3681277B2 (ja) * 1998-04-24 2005-08-10 富士通株式会社 メッセージ処理装置、メッセージ管理方法及びメッセージ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I105743B (fi) * 1998-05-27 2000-09-29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multimediaviestien välittämiseksi ja multimediaviestien välitysjärjestelmä
US6314454B1 (en) * 1998-07-01 2001-11-0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ertified electronic mail messages
US6751670B1 (en) * 1998-11-24 2004-06-15 Drm Technologies, L.L.C. Tracking electronic component
US6618747B1 (en) * 1998-11-25 2003-09-09 Francis H. Flynn Electronic communication delivery confirmation and verification system
US6477647B1 (en) * 1999-02-08 2002-11-05 Post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de confirmations
US7966372B1 (en) * 1999-07-28 2011-06-21 Rpost International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delivery and integrity of electronic messages
WO2001044953A1 (en) * 1999-12-15 2001-06-21 Reuben Bahar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receipt of electronic mail transmitted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US6718369B1 (en) * 2000-04-03 2004-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efficiently distributing serial electronic publications
US6947922B1 (en) * 2000-06-16 2005-09-20 Xerox Corporation Recommender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mplicit ratings based on user interactions with handheld devices
US7035902B1 (en) * 2000-08-11 2006-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rticle of manufacture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electronic mail document
US6898625B2 (en) * 2001-12-18 2005-05-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cument tracking methods and system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52B1 (ko) * 2005-02-17 2012-03-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메일 서버, 메일 수신 장치, 메일 서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메일 수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메일 중개 방법, 및 메일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82380A1 (en) 2003-09-25
HK1047661B (zh) 2011-12-16
CN1199406C (zh) 2005-04-27
NO334033B1 (no) 2013-11-18
PL360950A1 (en) 2004-09-20
AU2002223131B2 (en) 2004-09-02
HK1047661A1 (en) 2003-02-28
EP1244259B1 (en) 2011-09-28
BR0107855A (pt) 2002-10-29
CA2399144A1 (en) 2002-06-06
CA2399144C (en) 2009-06-02
NO20023648L (no) 2002-09-30
CN1397129A (zh) 2003-02-12
NO20023648D0 (no) 2002-07-31
KR100466761B1 (ko) 2005-01-17
TW535058B (en) 2003-06-01
JP3730858B2 (ja) 2006-01-05
AU2313102A (en) 2002-06-11
ATE526757T1 (de) 2011-10-15
EP1244259A4 (en) 2010-04-28
ES2371236T3 (es) 2011-12-28
NZ520030A (en) 2004-10-29
EP1244259A1 (en) 2002-09-25
WO2002045365A1 (fr) 2002-06-06
JP2002169755A (ja) 200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761B1 (ko)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
US966163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582011A (zh) 无线电话网上对基于文本的消息的备选路由方法和设备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US6944271B2 (en) Information delivery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0201240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ommunication parameter in information terminal
EP1481526B1 (en) Mobile terminal and providers for filling in electronic forms
KR100484222B1 (ko) 전화접속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방법
JP3962071B2 (ja) サーバ及びメール送受信装置
KR100477151B1 (ko) 단문 전환 서비스 방법
KR100396027B1 (ko)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595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20040064854A (ko) 특정 코드를 이용한 착신 확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0368978Y1 (ko) 인터넷망, 전화망,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국제전화 서비스장치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JP3655842B2 (ja) 無線通信装置
KR20030042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40051924A (ko) 단말기간 정보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JP2005057585A (ja) メール照会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照会サーバ
KR20010094643A (ko) 전화번호 형태의 메일 계정을 이용한 인터넷 메시지 전송방법
KR20060020983A (ko) 인터넷망, 전화망,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국제전화 서비스장치와 방법
KR20050082092A (ko) 데이터망을 이용한 통화중개시스템 및 통화중개방법
KR20050049143A (ko) 웹사이트를 통해 발송한 문자메시지 관리방법 및 시스템
JP2007013614A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