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756Y1 -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 Google Patents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756Y1
KR200206756Y1 KR2020000016997U KR20000016997U KR200206756Y1 KR 200206756 Y1 KR200206756 Y1 KR 200206756Y1 KR 2020000016997 U KR2020000016997 U KR 2020000016997U KR 20000016997 U KR20000016997 U KR 20000016997U KR 200206756 Y1 KR200206756 Y1 KR 200206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nput
signal
voice
nu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두진
Original Assignee
오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두진 filed Critical 오두진
Priority to KR2020000016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75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 통화중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화기는, 송화기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공중전화망 또는 수화기로 전달하는 음성신호처리수단과; 사용자가 영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영자입력수단; 사용자가 상대방 전화번호나 숫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입력수단; 통화중 사용자가 상기 영자입력수단이나 숫자입력수단을 통해 의도적으로 입력하는 영자메시지나 숫자메시지를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영자입력수단이나 숫자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영자메시지나 숫자메시지를 아날로그 문자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상기 음성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문자신호를 결합하여 공중전화통신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문자 결합신호를 음성신호와 문자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처리수단으로 전달하는 음성/문자 결합 및 분리수단; 및 상기 음성/문자 결합 및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문자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문자 데이터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수단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 A Telephone }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화 통화중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다보면 음성이 잘 분간이 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특히 상대방에게 홈페이지 주소나 이메일 주소(E-mail address), 또는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때, 알파벳이나 숫자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전달받아야 하는데, 여러 번 확인하여도 정확하게 듣지 못할 때가 많다. 이럴 경우 상대방은 부정확한 정보를 가지게 된다.
기존의 전화기의 경우, 음성데이터 이외에 문자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이 없고, 문자 정보 전달기능이 있다고 하더라도 통화중에는 이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통화중 숫자나 영자와 같은 문자를 전달하고자 할 때에는 음성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고, 음성을 통할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중에도 숫자나 영문자 등의 문자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의 외형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내부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통화중 문자메시지 수신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내부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화기 11 : 표시부
12 : 송수화기 13 : 숫자/영자 입력키
14 : 문자입력 선택키 15 : 숫자/영자 선택키
21 : 문자 입력부 22 : 문자 감지부
23 : 키입력/문자 데이터베이스 24 : 문자 표시 제어부
26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7 : 송화기
28 : 음성신호 처리부 29 : 음성/문자 결합부
30 : 공중전화망(PSTN) 31 : 음성/문자 분리부
32 : 음성신호 처리부 33 : 수화기
34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35 : 문자 감지부
36 : 문자 표시 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는, 송화기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공중전화망 또는 수화기로 전달하는 음성신호처리수단과;
사용자가 영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영자입력수단;
사용자가 상대방 전화번호나 숫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입력수단;
통화중 사용자가 상기 영자입력수단이나 숫자입력수단을 통해 의도적으로 입력하는 영자메시지나 숫자메시지를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영자입력수단이나 숫자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영자메시지나 숫자메시지를 아날로그 문자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상기 음성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문자신호를 결합하여 공중전화통신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문자 결합신호를 음성신호와 문자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처리수단으로 전달하는 음성/문자 결합 및 분리수단; 및
상기 음성/문자 결합 및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문자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문자 데이터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수단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 감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의 외형도이다.
이 전화기(10)는 통화중 전송할 문자메시지나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1)와, 통상적인 송수화기(12), 통화할 전화번호나 통화중 전송할 문자메시지(숫자 또는 영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영자 입력키(13), 통화중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선택하는 문자입력 선택키(14), 및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숫자/영자 선택키(15)를 포함한다.
이 숫자/영자 입력키(13)는 통상적인 숫자키에 영자 입력 기능을 부가하여 형성한다. 즉, 숫자키 1에는 abc, 숫자키 2에는 def, 숫자키 3에는 ghi, 숫자키 4에는 jkl, 숫자키 5에는 mno, 숫자키 6에는 pqr, 숫자키 7에는 stu, 숫자키 8에는 vwx, 숫자키 9에는 .yz, 숫자키 0에는 이메일 주소 입력을 위한 @ 입력 기능을 각각 부여한다. 또한, 특수키 *에는 화살표 ◀ 기능을, 특수키 #에는 화살표 ▶ 기능을 부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키배열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자 입력의 편의에 따라 다르게 배치하여도 무관하다.
숫자/영자 입력에 대한 선택은 숫자/영자 선택키(15)에 의한다. 즉, 숫자/영자 선택키(15)를 누르면 번갈아 가면서 숫자 입력상태와 영자 입력상태가 되는데, 영자 입력상태에서 해당 숫자키를 누르면 누르는 횟수에 따라 영자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영자 입력상태에서 숫자키 1을 한 번 누르면 a, 두 번 누르면 b, 세 번 누르면 c가 각각 선택된다. 하나의 영자를 입력하고 화살표 ▶를 누르면 다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미 입력한 문자를 지우려면 화살표 ◀를 누른다. 전달하고자 하는 모든 문자메시지를 입력한 다음 문자입력 선택키(14)를 누르면 입력한 문자메시지가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내부 블록도이다.
이는 도 1의 숫자/영자 입력키(13)와 문자입력 선택키(14)와 숫자/영자 선택키(15)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부(21)와, 키입력에 해당하는 문자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23), 문자 입력부(21)를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3)에 액세스하여 해당 문자를 감지하는 문자 감지부(22), 문자 감지부(22)에서 감지된 문자를 표시부(11)에 표시하는 문자 표시 제어부(24), 문자 감지부(22)에서 감지된 문자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6), 송화기(27)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28),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28)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문자/아날로그 변환부(29)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문자신호를 결합하여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30)을 통해 출력하는 음성/문자 결합부(29)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통화중 문자메시지 수신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내부 블록도이다.
이는 공중전화망(PSTN)(3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문자가 결합된 아날로그신호를 음성신호와 아날로그 문자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음성/문자 분리부(31)와, 분리된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화기(33)를 통해 통화자에게 전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32), 분리된 아날로그 문자신호를 디지털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4), 디지털 문자데이터의 문자를 감지하는 문자 감지부(35), 문자 감지부에서 감지된 문자를 표시부(11)에 표시하는 문자 표시 제어부(36)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전화기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통상적인 송수화기(12)를 후크오프(hookoff)하고 숫자/영자 입력키(13)를 조작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대방으로 링신호가 전달되고 상대방이 이에 응답하면 해당 전화번호와 호가 성립되어 통화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송화기(27)를 통해 전달하는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28)에서 통상적인 신호 처리된 후 음성/문자 결합부(29)를 통해 공중전화망(30)으로 전달된다. 이때, 전송할 문자신호가 없기 때문에 공중전화망(30)으로는 음성신호만이 전송된다.
통화중 문자메시지를 전달할 필요성이 있을 때, 문자 입력부(21)를 조작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한다. 먼저, 문자입력 선택키(14)를 누르면 문자 입력상태가 되며, 숫자/영자 선택키(15)를 조작하면 숫자 입력상태 또는 영자 입력상태가 된다. 이러한 숫자 입력상태와 영자 입력상태는 표시부(11)에 표시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문자입력 선택키(14)와 숫자/영자 선택키(15)를 누른 후, 사용자는 숫자/영자 입력키(13)를 조작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한다.
사용자의 키입력은 문자 감지부(22)로 전달되고 문자 감지부(22)는 키입력/문자 데이터베이스(23)를 참조하여 해당 키입력에 해당하는 문자를 감지한다. 해당 감지된 문자는 문자 표시 제어부(24)를 통해 표시부(11)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표시부(11)를 통해 자기가 전달하고자 하는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가를 인지하고, 정확하게 입력되었고 더 이상 입력할 메시지가 없으면 문자입력 선택키(14)를 누른다.
그러면, 사용자가 입력하였던 문자들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6)를 통해 아날로그 문자신호로 변환되고, 음성/문자 결합부(29)로 전달된다. 한편, 송화기(27)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28)에서 통상적인 신호 처리과정을 거친 후 음성/문자 결합부(29)로 전달된다. 이 음성/문자 결합부(29)는 아날로그 문자신호와 음성신호를 결합하여 공중전화망(PSTN)(30)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문자 입력 선택키(14)를 누른 후 조작하는 키입력에 대한 신호음은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송신측에서의 동작을 살펴보면, 공중전화망(PSTN)(30)을 통해 전달되는 음성신호와 문자신호가 결합된 신호는 음성/문자 분리부(31)에서 음성신호와 문자신호로 분리된다. 분리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32)에서 신호 처리된 후 수화기(33)로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들려진다. 분리된 문자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4)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문자 감지부(35)는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문자를 감지한다. 이 감지된 문자는 문자 표시 제어부(36)의 제어를 통해 표시부(11)에 표시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통화중에도 숫자나 영자 등과 같은 문자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등과 같은 숫자나 영자로 이루어진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송화기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공중전화망 또는 수화기로 전달하는 음성신호처리수단과;
    사용자가 영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영자입력수단;
    사용자가 상대방 전화번호나 숫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입력수단;
    통화중 사용자가 상기 영자입력수단이나 숫자입력수단을 통해 의도적으로 입력하는 영자메시지나 숫자메시지를 감지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영자입력수단이나 숫자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영자메시지나 숫자메시지를 아날로그 문자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
    상기 음성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문자신호를 결합하여 공중전화통신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상기 공중전화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문자 결합신호를 음성신호와 문자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처리수단으로 전달하는 음성/문자 결합 및 분리수단; 및
    상기 음성/문자 결합 및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문자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문자 데이터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수단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 감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KR2020000016997U 2000-06-15 2000-06-15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KR200206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997U KR200206756Y1 (ko) 2000-06-15 2000-06-15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997U KR200206756Y1 (ko) 2000-06-15 2000-06-15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02A Division KR100379916B1 (ko) 2000-06-15 2000-06-15 통화중 음성신호와 문자메시지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756Y1 true KR200206756Y1 (ko) 2000-12-15

Family

ID=7305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997U KR200206756Y1 (ko) 2000-06-15 2000-06-15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7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838A (ko) * 2001-11-24 2003-06-02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40012284A (ko) * 2002-08-02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838A (ko) * 2001-11-24 2003-06-02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변환 및 다중호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40012284A (ko) * 2002-08-02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6500B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O1996021315A1 (en) Combination telephone and alphanumeric entry device
GB2147769A (e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pushphone and information reception apparatus
US7274779B2 (en) Telephone to telephone data passing system
US6868145B1 (en) Alphanumeric keyboard with telephone dialing capability
KR200206756Y1 (ko) 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KR100379916B1 (ko) 통화중 음성신호와 문자메시지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전화기
US5638437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n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 dialling mode
KR20000034454A (ko)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501251B1 (ko)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방법
KR100480505B1 (ko) 유/무선정보단말기용원터치다이얼링방법과그에따른원터치다이얼링장치
KR0165050B1 (ko) 디티엠에프 신호 표시장치
US20020196931A1 (en) Method of processing an outgoing call and transmitting digit code in a telephone
KR100229726B1 (ko) 부재중 통화가능 키폰전화기
KR930012085B1 (ko) Dtmf전화기의 신호전송방법 및 장치
JPH09205664A (ja) トーンダイヤラ及び電話機及び選択呼出受信機
JPS60124155A (ja) 着信者氏名表示方式
JPS61184952A (ja) 電話装置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100548385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4780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KR19990015054U (ko) 컴퓨터 음성 통신장치
JP2001313687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