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617A -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617A
KR20000054617A KR1020000032707A KR20000032707A KR20000054617A KR 20000054617 A KR20000054617 A KR 20000054617A KR 1020000032707 A KR1020000032707 A KR 1020000032707A KR 20000032707 A KR20000032707 A KR 20000032707A KR 20000054617 A KR20000054617 A KR 2000005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act
user
network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647B1 (ko
Inventor
이장혁
강호일
Original Assignee
김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중 filed Critical 김재중
Priority to KR10-2000-003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64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인터넷 또는 공중교환 전화망에 접속된 사용자에게 찾고자 하는 연락처의 변경 사항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공중교환 전화망 또는 인터넷 망 등의 일정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조회신호를 입력하고, 입력한 연락처 조회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일정의 연락처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연락처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정보 공개 승인 과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존재 여부에 따라 예약 등록을 수행한 후 검색된 정보를 음성신호 또는 문자신호로 변환하여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연락처 조회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모임에 대한 공지 정보, 공지 대상 및 공지 일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시간을 카운팅하여 공지 일시에 도달하면 저장된 특정 모임에 대한 공지 대상에게 공지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연락처 조회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 공개 여부에 따라 공개 승인을 수행한 후 선택적으로 정보를 공개하므로 무분별적인 정보 공개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중교환 전화망 및 인터넷을 통하여 연락처 조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이름뿐만 아니라 이전 또는 현재 연락처 등에 의해 원하는 연락처를 알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연락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UTS FOR SUPPLYING CORRESPONDENCE INFORMATION IN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또는 공중교환 전화망 등의 일정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 찾고자 하는 연락처의 변경 사항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가 간편한 휴대 전화기를 보유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일반 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를 통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상대방과의 연락이 가능해졌다. 여기서, 일반전화기 및 휴대 전화기는 각각의 일정 고유 번호 즉 전화번호를 가지는데, 전화번호는 전화기간의 연결을 위한 주소지 역할을 한다.
즉,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 요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그에 따라 기지국은 입력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로 통화 요구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일반 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는 이사 또는 전화기 교체 등에 의해 전화번호가 변경되면, 그 변경된 전화번호를 알지 못하여 연락이 단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의 통신 사업자에게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를 신청함에 의해 변경전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를 건 일정의 사용자들에게 변경 전화번호 등에 대한 통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호명 또는 이름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를 안내 받게 된다. 이때, 제공되는 안내 전화번호는 휴대 전화기를 제외한 유선 전화망에 접속된 일반 전화기에 한정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를 신청한 경우에만 한정적인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만이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의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는 동일한 통신 사업자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만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그 외의 경우에는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경전의 전화번호에 의해서만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이름, 주소 등의 다른 신상 정보에 의해서는 변경된 전화번호를 조회할 수 없어 연락이 단절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터넷을 통해 주소 및 일반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등의 개인 신상정보를 입력시킨 후 입력시킨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시킨 개인 신상정보를 요구한 사용자의 확인에 따라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서비스 사용자에게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자동 응답에 따른 음성신호 형태로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모임 등에 대한 공지 정보를 원하는 공지 일정에 의해 특정 모임의 구성원에게 전송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연락처 정보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연락처 조회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특정 모임 알림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초기 화면의 출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회원 가입을 위한 화면의 출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연락처 검색을 위한 화면의 출력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중교환 전화망 102 : 인터넷
110-1,...,110-n :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
120 : 음성응답 서버 130 : 웹 서버
140 : 데이터베이스 150 :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있어서, 공중교환 전화망 또는 인터넷 망 등의 일정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이름, 연락처, 사용자가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모임 이름, 공개여부를 포함하는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검색 요건과 연락처 조회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연락처 검색 요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 결과를 통지하는 단계-여기서, 검색된 연락처의 공개 여부를 통지함-, 제1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제2 사용자의 연락처가 조건부 공개인 경우, 제1 사용자로부터 정보 공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정보 공개 요구 메시지를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공개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가 공개를 승인하는 경우 제2 사용자의 연락처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조회 요구된 연락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조회 요구된 제2 사용자의 연락처 입력시 조회 요구된 연락처의 입력 메시지를 제1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로부터 모임에 관한 공지 사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모임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공지 사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에게 연락처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연락처 조회 신호에 따른 검색된 연락처 정보의 공개 형태에 따라 공개 승인을 통해 음성 신호 또는 문자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 서버, 정보 출력 서버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의 연락처 조회 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입력되는 일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검색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는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100) 또는 인터넷(102)에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 음성응답 서버(120), 웹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는 공중 교환 전화망(100)에 접속되거나 또는 인터넷(102)을 통해 접속되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 공중 교환 전화망(100)을 통해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로부터 일정의 음성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응답 서버(120), 인터넷(102)을 통해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로부터 일정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웹 서버(130), 음성응답 서버(120) 및 웹 서버(13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저장하였다가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베이스(140) 및 음성응답 서버(120) 및 웹 서버(13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였다가 음성응답 서버(120) 및 웹 서버(130)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중 교환 전화망(100)을 통해 연락처 조회 서비스 장치에 접속되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는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이고, 인터넷(102)을 통해 접속되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는 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및 휴대 전화기(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를 사용하는 사용자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연락처 조회 서비스 장치에 회원 등록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의 개인 신상정보 즉, 이름, 휴대전화기 또는 일반전화기 등의 연락처 및 주소 등의 정보 및 그에 따른 변경 사항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락처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는 공중 교환 전화망(100) 또는 인터넷(102)을 통해 연락처 조회 장치에 접속하여 원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공중 교환 전화망(100)을 통해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는 연락처 조회 서비스 장치의 데이터베이스(140)에 개인 신상정보를 저장, 수정 또는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한다.
음성응답 서버(120)는 공중 교환 전화망(100)을 통해 접속되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그 형태 변환된 음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형태 변환된 음성정보는 공개 또는 비공개 형태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또한, 공중 교환 전화망(100)을 통해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일정의 정보 검색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음성응답 서버(120)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의 요구신호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그 요구신호에 해당하는 정보의 공개 또는 조건부 공개 형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어, 음성응답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선택적 출력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15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공중 교환 전화망(100)을 통해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인터넷(102)을 통해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연락처 조회 장치에 접속하고, 일정의 정보 입력, 수정 또는 검색을 요구하는 신호를 웹 서버(130)에 전송하면, 웹 서버(130)는 그 요구신호에 따른 정보 입력신호 또는 요구신호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에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웹 서버(13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입력신호 또는 요구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0)에 일정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정보는 공개 또는 비공개 형태로 저장되는데, 공개 정보는 정보 검색이 요구되면 즉시 정보가 제공되는 반면에 비공개 정보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의 공개 승인 후 정보의 공개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의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는 접속되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의 네트워크 형태를 분석한다(S200). 즉 접속되는 네트워크가 공중 교환 전화망인지 또는 인터넷 망인지를 판별한다.
위의 단계(S200)에서 접속되는 네트워크가 공중 교환 전화망인 경우(S202)에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연락처 조회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음성응답 서버(120)는 접속되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회원 확인을 위한 일정의 ID 또는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입력에 따라 회원확인을 수행한다. 이때, ID 및 패스워드 입력 요구는 일정의 음성신호를 통해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요구된다.
회원 확인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중 일정의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키워드를 입력하는데, 예를 들면, 이름 또는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요구 정보를 검색한다(S204).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된 정보가 공개 정보인지 비공개 정보인지를 확인하고, 공개 정보인 경우에는 음성응답 서버(120)에서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선택적으로 출력된다(S206).
여기서, 검색된 정보가 비공개 정보인 경우에는 검색을 요구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요구한 정보가 비공개 정보이므로, 정보 공개 승인을 얻은 후에 전송 받기 위한 연락처 정보 및 정보 검색을 요구하는 이유에 대한 입력을 요구한다.
이어, 정보 검색을 요구하는 이유 등에 의해 정보 공개 승인 후에 입력된 연락처 정보로 요구한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공중 교환 전화망이 아닌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경우에는 로그인을 통한 회원 확인을 수행한다(S208). 이때, 회원 등록이 안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는 신상 정보 즉, 이름, 전화번호, 주소 및 등록 모임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후 로그인을 행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검색 모드 선택 여부를 판별한다(S210).
위의 단계(S210)에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정보 검색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웹 서버(130)는 정보 입력을 위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의 접속으로 판별하고,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전송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일정 형태로 전송되는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S212).
또한, 위의 단계(S210)에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정보 검색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웹 서버(130)는 입력되는 정보 검색 키워드에 따른 정보 요구 신호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한다(S214).
이어,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검색된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웹 서버(130)를 통해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선택적으로 출력한다(S216).
즉, 검색된 정보가 공개정보인 경우에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출력하고, 검색된 정보가 비공개 정보인 경우에는 정보의 공개 승인을 확인한 후에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는 접속되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의 네트워크 접속 형태를 분석한다(S300).
즉,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공중 교환 전화망(100)을 통해 접속하였는지 또는 인터넷(102)을 통해 접속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공중 교환 전화망(100)을 통해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접속하는 경우에(S302), 음성응답 서버(120)는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연락처 조회 서비스 장치에 회원 등록을 이미 수행한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의 회원 확인은 음성응답 서버(120)에서 자동 음성안내를 통해 회원ID 및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의 ID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회원 확인을 수행한다. 또한, 회원 확인은 주민등록번호 및 일정 자동응답 비밀 번호 등에 의해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어, 회원 확인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는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음성응답 서버(120)에 연락처를 조회하고자 하는 사람의 이름을 입력시킨 후 그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요구하면, 음성응답 서버(120)는 정보 요구신호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한다(S304).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로부터 요구되어 검색된 정보의 공개 여부상태를 확인한다. 즉,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공개 정보인지 비공개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요구된 정보가 공개 정보인 경우에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음성응답 서버(120)로 전송하고, 음성응답 서버(120)는 전송된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의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전화기를 통하여 출력한다(S306).
또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경우에는 회원 확인을 위해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로그인을 수행한다(S308).
여기서, 인터넷을 통하여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도 5와 같은 초기화면이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출력되고, 회원 ID 및 패스워드 입력 창에 ID 및 패스워드 입력에 의한 로그인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원등록을 수행하지 않은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가입' 이라는 아이콘을 클릭함에 의해 도 6과 같은 회원가입을 위한 화면이 출력된다. 이와 같은 화면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한 정보의 공개 여부를 즉 공개, 비공개 또는 부분 공개 등을 설정함에 의해 가입이 이루어진다.
이어,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일정의 연락처 조회를 위한 연락처 조회모드의 선택여부를 판별한다(S310).
위의 단계(S310)에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연락처 조회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정보의 입력 또는 회원 가입시 입력한 정보의 변경 또는 삭제를 위한 접속으로 판단하고,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로부터 입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전송되는 정보를 일정형태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S312).
한편, 위의 단계(S310)에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연락처 조회 모드를 선택하고, 연락처 조회를 위한 일정 키워드 예를 들면, 이름, 현재 연락처 또는 이전의 연락처를 입력함에 의해 웹 서버(130)는 정보 검색 요구신호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한다(S314).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처 조회를 위해 이름, 현재 연락처, 이전 연락처의 전화번호 또는 전자우편(E-mail) 주소 등의 어느 하나의 사항에 대한 정보만을 입력하더라도, 원하는 정보 즉 현재의 연락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어,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검색된 정보가 공개, 비공개 또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인지를 판별한다(S316).
위의 단계(S316)에서 검색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연락처 조회를 위한 특정인(이하, 피검색인 이라 칭함)이 연락처 조회 서비스 장치에 회원 등록을 하지 않은 비회원인 경우로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요구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연락처 정보를 요구한 후 요구된 연락처 정보가 등록됨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예약 등록을 수행한다(S318).
이후, 피검색인이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에 회원 등록시 피검색인의 회원 등록 내용을 예약 등록을 수행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전자우편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통보한다(S320).
한편, 검색된 정보가 비공개 정보인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그에 대한 내용을 웹 서버(130)로 전송하고, 웹 서버(130)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연락처 조회를 요구한 정보가 비공개 정보이므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내용의 메시시를 출력하고,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연락처 정보 및 정보 검색 요구 이유에 대한 내용의 입력을 요구한다(S322).
이어, 웹 서버(130)는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로부터 요구된 정보를 제공하는 피검색인에게 검색인의 정보 요구 이유에 대한 내용과 그에 따른 정보의 공개 승인요구를 포함하는 내용의 전자우편을 전송하고, 그에 따라 피검색인이 정보 공개를 승인하면, 정보 검색을 요구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가 입력한 연락처로 요구한 정보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S324).
한편, 검색된 정보가 공개 정보인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요구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웹 서버(130)를 통해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에게 출력한다(S326).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의 모임에게 일정 정보를 알리기 위한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의 특정 모임 알림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제1 내지 제N 서비스 사용자(110-1,...,110-n)로부터 일정 모임에 대한 공지 정보 등을 입력받고(S400), 입력되는 정보를 모임 또는 주소록 기능을 이용하여 분류한 후 저장한다(S402).
이때, 입력되는 정보는 공지 내용, 공지일시 및 공지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웹 서버(130)는 입력되는 정보의 공지를 위한 일시를 카운팅하여(S404), 공지 일시에 도달하면(S406), 공지를 위한 대상에게 저장된 공지 내용의 정보를 전자 우편 등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공한다(S408). 이때, 공지 내용의 정보는 전자 우편뿐만 아니라 자동응답 또는 휴대 전화기의 문자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는 회원 등록에 따른 개인 신상 정보 예를 들면, 이름, 일반전화기 또는 휴대전화기의 이전 또는 현재의 연락 전화 번호 등을 공개 또는 비공개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하여 저장하고, 인터넷 또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요구신호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검색한 후 공개 또는 비공개 정보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 공개 여부에 따라 정보 공개 승인 등의 과정을 거쳐 선택적으로 정보를 공개하므로 무분별적인 정보 공개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기 및 인터넷을 통하여 연락처 조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이름뿐만 아니라 이전 또는 현재 연락처 등에 의해 원하는 연락처를 알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연락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모임에 대한 공지 내용과 공지 일시를 미리 저장하였다가 원하는 공지 일시에 특정 모임의 구성원에게 전자우편 등을 통해 전송하므로 종래의 게시판을 통해 제공되는 모임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네트워크를 통해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이름, 연락처, 공개여부를 포함하는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검색 요건과 연락처 조회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검색 요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통지하는 단계-여기서, 검색된 연락처의 공개 여부를 통지함-;
    제1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제2 사용자의 연락처가 조건부 공개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정보 공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공개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공개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가 공개를 승인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연락처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공중교환 전화망 또는 인터넷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 사용자이고,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사용자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 또는 왑(WAP) 단말기 사용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는 접속된 네트워크 형태에 따라 회원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개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 검색 요건은 연락처 검색을 위한 제2 사용자의 이름, 일반 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의 전화번호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요구된 연락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조회 요구된 제2 사용자의 연락처 입력시 상기 조회 요구된 연락처의 입력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 정보는 당해 사용자가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모임 이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모임에 관한 공지 사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임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공지 사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 정보에는 통신 수단 데이터-여기서, 상기 통신 수단 데이터는 적어도 전자 메일 주소, 전화 번호, 팩스, 휴대 전화기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가 더 포함되고,
    상기 공지 사항 정보는 상기 모임에 소속된 사용자들이 미리 정한 통신 수단들로 전송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11. 일정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 서비스 사용자의 접속 네트워크 형태에 따라 음성신호 또는 로그인을 통한 회원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회원 확인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입력, 변경 또는 조회 중 어느 하나를 위한 일정의 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에 따라 연락처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연락처 정보의 공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연락처 정보의 공개 여부에 따라 상기 연락처 조회 요구 신호를 입력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일정 연락처 정보 및 연락처 조회 요구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조회 요구 및 정보 공개 승인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정보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공개 승인에 따라 상기 요구된 검색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1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에게 연락처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연락처 조회 신호에 따른 검색된 연락처 정보의 공개 형태에 따라 공개 승인을 통해 음성 신호 또는 문자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 서버;
    상기 정보 출력 서버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로부터의 연락처 조회 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입력되는 일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검색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공중교환 전화망 또는 인터넷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 또는 휴대 전화기 사용자이고,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사용자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 또는 왑(WAP) 단말기 사용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서버는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에게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응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서버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에게 문자신호로 출력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서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공개 또는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서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가 비공개 정보인 경우 상기 복수 사용자의 연락처 및 연락처 조회 요구 메시지를 요구하고,
    상기 입력된 조회 요구 및 공개 승인을 요구 메시지를 연락처 정보 제공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정보 제공자의 공개 승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 사용자의 연락처 요구 후 요구된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요구된 정보의 입력 상태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예약 등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모임에 관한 공지 사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임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공지 사항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서버는 상기 모임에 대한 공지 사항 정보를 전자 메일, 일반 전화기, 휴대 전화기 또는 팩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22. 네트워크를 통해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이름, 연락처, 사용자가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모임 이름 및 공개여부를 포함하는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검색 요건과 연락처 조회 요구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연락처 검색 요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수단;
    상기 검색 결과를 통지하는 수단-여기서, 검색된 연락처의 공개 여부를 통지함-;
    제1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제2 사용자의 연락처가 조건부 공개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정보 공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정보 공개 요구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공개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2 사용자가 공개를 승인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연락처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모임에 관한 공지 사항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모임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공지 사항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장치.
KR10-2000-0032707A 1999-10-11 2000-06-14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3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07A KR100434647B1 (ko) 1999-10-11 2000-06-14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3851 1999-10-11
KR1019990043851 1999-10-11
KR10-2000-0032707A KR100434647B1 (ko) 1999-10-11 2000-06-14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617A true KR20000054617A (ko) 2000-09-05
KR100434647B1 KR100434647B1 (ko) 2004-06-04

Family

ID=2663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707A KR100434647B1 (ko) 1999-10-11 2000-06-14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6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11A (ko) * 2001-10-15 2001-12-07 김시율 전화번호를 이용한 주소검색 및 우편물발송대행 시스템
KR20020088336A (ko) * 2001-05-21 2002-11-27 서석배 공개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비스이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491958B1 (ko) * 2001-03-17 2005-05-31 정성원 통신망을 이용한 연락정보 검색서비스 방법 및 그서버시스템
KR101369086B1 (ko) * 2005-09-28 2014-03-04 원 스마트 스타 리미티드 통신 방법 및 간략 연락 항목 조정 유닛을 포함한 통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320A (ko) * 1999-02-11 1999-09-06 박홍조 사용자간간략정보및상세정보교환시스템
KR100329464B1 (ko) * 2000-03-09 2002-03-20 최영헌 개인 정보 변경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958B1 (ko) * 2001-03-17 2005-05-31 정성원 통신망을 이용한 연락정보 검색서비스 방법 및 그서버시스템
KR20020088336A (ko) * 2001-05-21 2002-11-27 서석배 공개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비스이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7811A (ko) * 2001-10-15 2001-12-07 김시율 전화번호를 이용한 주소검색 및 우편물발송대행 시스템
KR101369086B1 (ko) * 2005-09-28 2014-03-04 원 스마트 스타 리미티드 통신 방법 및 간략 연락 항목 조정 유닛을 포함한 통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647B1 (ko) 200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1941A (ko)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060086705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US20060099997A1 (en) Portable cellular phone,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message format controlling method, and message format controlling program
KR100314175B1 (ko)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KR20020019852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주소록 입력 방법
US7974612B2 (en) Transmission of database record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55653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20060129136A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JPH10257090A (ja) 電子メール用サーバ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30061505A (ko) 발신자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49859A (ko) 복합통신망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KR100860227B1 (ko) 무선 일정 관리 방법
KR200100440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운용방법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19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JP4379157B2 (ja) 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案内方法及び情報案内サーバ
KR101016309B1 (ko) 폰북 정보가 공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20006267A (ko) 번호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93104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전화기
KR20030000108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록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59048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KR20010074611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푸시가 가능한전화통신장치
KR20020027101A (ko) 이동 단말기를 통한 도서관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그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