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685B1 -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685B1
KR100802685B1 KR1020060028682A KR20060028682A KR100802685B1 KR 100802685 B1 KR100802685 B1 KR 100802685B1 KR 1020060028682 A KR1020060028682 A KR 1020060028682A KR 20060028682 A KR20060028682 A KR 20060028682A KR 100802685 B1 KR100802685 B1 KR 100802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edia
movement
movabl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185A (ko
Inventor
쯔까사 미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케이블 반송에 관한 것으로,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에 대한 케이블의 추종성과 함께 방호 기능의 향상에 있다.
케이블 반송 기구 또는 라이브러리 장치이며,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매체 파지 기구부(24)]를 지지하는 지지부[프레임(68)]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34)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여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부[케이블 베어(36)]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부(38)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케이블 반송 기구, 라이브러리 장치, 가동부, 케이블 베어, 캠판

Description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 {CABLE CARRYING MECHANISM AND LIBRARY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브러리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매체 운반 기구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매체 운반 기구부, 매체 선반 및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X축 반송 기구부, 스위블 기구부 및 매체 파지 기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X축 반송 기구부, 스위블 기구부 및 매체 파지 기구부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이동 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6은 X축 반송 기구부, 스위블 기구부 및 매체 파지 기구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7은 도6에 계속되는 스위블 기구부 및 매체 파지 기구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8은 매체 파지 기구부의 우측의 매체 선반측으로의 선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매체 파지 기구부를 우측 선회시킨 경우의 케이블 베어 및 케이블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매체 파지 기구부를 우측 선회시킨 경우의 케이블 베어 및 케이블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매체 파지 기구부의 기록 및 재생 장치측으로의 선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매체 파지 기구부를 기록 및 재생 장치측으로 선회시킨 경우의 케이블 베어 및 케이블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매체 파지 기구부를 기록 및 재생 장치측으로 선회시킨 경우의 케이블 베어 및 케이블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매체 파지 기구부를 기록 및 재생 장치측으로 선회시킨 경우의 케이블 베어 및 케이블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매체 파지 기구부의 좌측의 매체 선반측으로의 선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매체 파지 기구부를 좌측 선회시킨 경우의 케이블 베어 및 케이블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매체 파지 기구부를 좌측 선회시킨 경우의 케이블 베어 및 케이블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라이브러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9는 도18의 라이브러리 장치의 매체 운반 기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0은 매체 운반 기구부의 동작과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21은 매체 운반 기구부의 동작과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22는 매체 운반 기구부의 동작과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라이브러리 장치
6, 8 : 매체 운반 기구부
13 : 기록 매체
14 : 기록 및 재생 장치
24 : 매체 파지 기구부(가동부)
34 : 스위블 케이블
36 : 케이블 베어(케이블 반송부)
38 : 가이드 기구부
64 : 캠판(가이드 레일부)
68 : 프레임(지지부)
130 : 슬라이드 샤프트(미끄럼 이동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04-156217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05-228553호 공보
본 발명은 카트리지식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 등 기계적인 변위를 수반하는 기구부에 적합한 케이블 반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등의 위치적 변위에 추종시키는 케이블을 방호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 등을 격납하는 카트리지식 기록 매체(이하 단순히「기록 매체」라 칭함)를 보관하는 동시에, 그 기록 매체의 읽고 쓰기를 행하는 라이브러리 장치는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 기록 매체의 기록이나 재생에 이용되는 기록 재생 장치, 수납 선반과 기록 재생 장치 사이에서 기록 매체의 교환이나 운반에 이용되는 매체 운반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매체 운반 기구는 기록 매체의 파지나 그 해제를 행하는 파지 기구부나, 기록 매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기구부 등을 구비하고 있고, 각 기구부에는 급전에 의해 기계력이 생기는 모터 등 다수의 구동원이 설치되어 있다. 급전해야 할 구동원에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하거나,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이 필요하고,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기구부에 탑재된 구동원에 접속된 케이블에 있어서는 기구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길이가 필요하고, 기구부의 위치적 변위로부터 받는 응력을 완화하기 위한 여유 길이도 확보해야만 해, 그 배치 위치에 대해서도 기구부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공간부가 선택된다. 복수의 기구부가 밀집되어 있는 경우나, 그 기구부가 장치 벽면에 인접되어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배치 공간은 좁고, 케이블 설치의 자유도가 저하되게 된다. 기구부의 이동에 의해 케이블의 추종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케이블이 굴곡이나 비틀림 등의 응력 부하를 받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케이블 장비에 관한 것으로,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이 접속되는 회전 이동 부재와 본체부 사이에 2절의 링크를 개재시키고, 이 링크에 회전 이동 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특허문헌 1), 선회와 승강을 수반하는 금형 자동 교환 장치에 있어서, 선회 부분 사이의 케이블과 승강 부분 사이에 걸치는 상하 이동용 케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선회와 상하 이동에 추종하는 케이블의 가이드의 용이화를 가능하게 한 케이블 장치(특허문헌 2)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04-15621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05-228553호 공보
그런데,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기록 재생 장치 사이에서 기록 매체의 교환에 2대의 매체 운반 기구부가 장비된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는 장치 하우징 내의 기계 밀도(실장 효율)가 높고, 게다가 매체 운반 기구부에는 복수의 정지 위치가 필요하고, 기록 매체를 파지하는 매체 파지 기구부는 모터로 구동하는 회전 구조이므로, 그 각 구동원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그 회전에 의해 과대한 응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응력을 회피하기 위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200)에는 기록 매체를 운반하기 위한 매체 운반 기구부(202)가 구비되어 있다. 이 매체 운반 기구부(202)에는 기록 매체를 파지하기 위한 매체 파지 기구부(204)가 설치되고, 이 매체 파지 기구부(204)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부(206)에 탑재되어 있는 동시에, 이 레일부(206) 상에서 선회하기 위한 스위블(swivel) 기구부(20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매체 파지 기구부(204)에는 모터(210, 212, 214) 등에 급전하기 위해, 가요성 평면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 FFC)(216, 218) 및 중계 프린트 기판(220, 222)이 설치되어 있다. 각 FFC(216, 218)는 각각 3매 정도를 끼워 넣은 형태이고, FFC(216)는 U자형으로 굴곡되고, 또한 FFC(218)는 구성 부분의 간극을 봉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중계 프린트 기판(220)은 수평 운동(화살표 X)과 상하 운동(화살표 Y) 사이의 중계에 이용되어 FFC(216, 218)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급전용 FFC(22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계 프린트 기판(222)은 매체 파지 기구부(204)의 직선 운동과 스위블 기구부(208)의 선회 운동(화살표 S)과의 사이를 중계하고, FFC(216)의 일단부 및 FFC(218)의 타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매체 파지 기구부(204)에는 FFC(218) 등을 방호하기 위한 방호 커버(2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매체 운반 기구부(202)는 기록 매체의 파지 및 그 운반을 위해, 예를 들어 도19의 (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19의 (b)에 도시하는 위치로 선회한다.
이와 같이, 가동 부분의 운동 형태나 운동 방향에 대응하기 위해, FFC(216, 218, 224)의 접속에는 중계 프린트 기판(220, 222)이 이용되고, FFC(216, 218)의 방호에는 끼워 넣기 등의 고안이나 방호 커버(226)에 의한 직접적인 방호가 도모되어 왔다.
그런데, 이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매체 운반 기구부(202)에 대해 그 동작 과 FFC(216, 218)의 거동을 도20, 도21 및 도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0 내지 도22에 있어서, (a)는 라이브러리 장치(200)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그 측면도이다.
매체 운반 기구부(202)가 도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전방측으로부터 기록 및 재생 장치(232)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FFC(216, 218)의 동작은 도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다.
라이브러리 장치(200)에는 그 중앙에 매체 운반 기구부(202)가 설치되고, 이 매체 운반 기구부(202)를 협지하여 우측에 매체 선반(228), 좌측에 매체 선반(230)이 설치되어 있다. 매체 운반 기구부(202)는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전방측으로부터 기록 및 재생 장치(232)측을 향해 FFC(216)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매체 파지 기구부(204)에 FFC(218)가 설치되어 있다. FFC(218)는 이미 서술한 스위블 기구부(208)에 병설되어 있다.
도20의 (a) 및 (b)에 있어서, 화살표 a는 매체 파지 기구부(204)의 이동 및 그 방향, 화살표 b는 매체 파지 기구부(204) 및 FFC(216)의 단부(216E)의 동작 방향, 화살표 c는 FFC(216)의 이동 방향, 화살표 d는 매체 파지 기구부(204)의 우측 선회 화살표 e는 매체 파지 기구부(204)의 좌측 선회이고, 화살표 f는 FFC(218)의 선회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매체 파지 기구부(204)가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전방측에 있으므로, FFC(216)의 중첩 부분이 가장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매체 운반 기구부(202)가 도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전방측으로부터 기록 및 재생 장치(232)측으로 이동하고, 매체 파지 기구부(204)가 매체 선반(228)측을 향한 경우에는, FFC(216, 218)의 거동은 도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화살표 g는 FFC(218)의 선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매체 운반 기구부(202)가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200)의 전방측으로부터 기록 및 재생 장치(232)측으로 이동한 후, 매체 파지 기구부(204)가 매체 선반(230)측을 향한 경우에는, FFC(216, 218)의 거동은 도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 경우, 화살표 h, i는 FFC(218)의 동작을 나타내고, FFC(218)는 2중으로 되접혀 상당한 휨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FFC를 이용한 경우에는 설치 공간의 점유를 경감시킬 수 있지만, 가동에 의해 상당한 응력이 집중하게 된다. 또한, FFC에서는 가동 부분의 가동 형태에 대응하므로, 중계 프린트 기판의 설치가 불가결하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해 특허문헌 1, 2에는 그 개시가 없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시사나 개시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반송에 관한 것으로,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에 대한 케이블의 추종성과 함께 방호 기능의 향상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의 이동에 수반하는 케이블의 이동 범위를 억제하여 케이블의 점유 범위의 저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케이블 반송 기구이며,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여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부와, 상 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은 케이블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다. 즉, 케이블 반송부의 일단부(고정 단부)로부터 케이블이 케이블 반송부로 유도된다.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이동 단부)로부터 도출된 케이블이 가동부로 유도된다. 케이블 반송부의 이동 단부는 가동부에 설치된 가이드 기구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가동부의 선회나 이동에 추종하여 이동한다. 이 이동은 가이드 기구부에 의해 소정 범위로 규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도달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반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부는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이동 단부에 고정된 미끄럼 이동부와, 이 미끄럼 이동부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동시에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 레일부에 부착된 미끄럼 이동부는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반송부의 이동 단부를 가동부의 선회나 이동에 추종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 반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반송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가동부의 회전 또는 이동에 필요한 여유 길이 부분을 유지하는 길이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블 반송부를 가동부의 선회나 이동에 추종하여 이동시켜도 케이블에 대한 응력을 집중시키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라이브러리 장치이며, 위 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여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부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가동부의 선회나 이동에 의해 케이블을 추종시키고 이동시킬 수 있어 기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기록 매체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에 대해 도1,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라이브러리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매체 운반 기구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매체 운반 기구부, 매체 선반,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브러리 장치(2)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형의 하우징(4)을 구비하고 있고, 이 하우징(4)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매체 운반 기구부(6, 8)가 설치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체 운반 기구부(6)를 협지하여 우측에 매체 선반(10), 좌측에 매체 선반(12)이 설치되는 동시에, 매체 운반 기구부(6)의 배면측에 기록 및 재생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매체 선반(10, 12)에는 카트리지식 기록 매체 등의 기록 매체(13)가 보존된다. 하우징(4)의 전방면부에 설치된 전방 패널부(16)에는 기록, 재생 또는 보관의 대상인 기록 매체(13)의 출입에 이용하는 개구부(18, 20)와 함께 창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매체 운반 기구부(6)에는 기록 매체(13)를 파지하여 선회하는 등 매체 선반(10, 12)의 간격 내에 설정된 이동 공간에서 이동하는 가동부로서 매체 파지 기구부(24), 이 매체 파지 기구부(24)를 선회시키는 스위블 기구부(26), 매체 파지 기구부(24)를 X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X축 반송 기구부(28), 매체 파지 기구부(24)를 Y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Y축 반송 기구부(30), 매체 파지 기구부(24)를 Z축 방향으로 반송하는 Z축 반송 기구부(3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축 방향은 전방 패널부(16)에 대해 평행 방향, Y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은 전후 방향이다.
그리고, 매체 파지 기구부(24) 및 스위블 기구부(26)에는 매체 파지 기구부(24)로 유도되는 둥근 케이블 등으로 구성된 스위블 케이블(이하, 단순히「케이블」이라 함)(34)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의 케이블 반송부로서 케이블 베어(36)가 설치되고, 이 케이블 베어(36)는 일단부측을 고정 단부, 타단부측을 이동 단부로서 구성되고, 이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가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선회에 추종하여 이동할 때에 그것을 가이드하여 반송하는 가이드 기구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 베어(36)는 굴곡 가능하게 케이블(34)을 피복하는 방호 커버인 동시에, 케이블(34)을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굴곡 가능한 반송 부재이고, 예를 들어 주름 상자로 구성되어 있다.
매체 운반 기구부(6)에 있어서, 매체 파지 기구부(24), X축 반송 기구부(28) 및 Z축 반송 기구부(32)가 구비되고, 매체 파지 기구부(24) 및 X축 반송 기구부(28)가 탑재된 Z축 반송 기구부(32)는 가이드 레일부(4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타이밍 벨트(42, 44)로 판형의 밸런서(46)에 연결되어 있다. 밸런서(46)의 중량은 매체 파지 기구부(24) 및 X축 반송 기구부(28)가 탑재된 Z축 반송 기구부(32)와 동일 중량이다. 타이밍 벨트(42)는 도르래(48, 50)에 현가되고, 또한 타이밍 벨트(44)는 도르래(52, 54)에 현가됨으로써, 매체 파지 기구부(24) 및 X축 반송 기구부(28)가 탑재된 Z축 반송 기구부(32)와, 밸런서(46)가 현수되어 균형잡혀 있다. 따라서, Y축 반송 기구부(30)에 의해 타이밍 벨트(42)가 이동하면, Z축 반송 기구부(32)를 타이밍 벨트(42)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승강시킬 수 있고, 즉 Y축 방향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매체 운반 기구부(6)의 구성은 매체 운반 기구부(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체 파지 기구부(24)는 스위블 기구부(26)에 의해 화살표 S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동시에, X축 반송 기구부(28)에 의해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Z축 반송 기구부(32)에 의해 화살표 Z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블(34)은 케이블 베어(36)에 의해 방호되는 동시에,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회전 또는 직선 이동에 추종하여 반송되고, 게다가 그 이동 범위는 케이블 베어(36) 및 가이드 기구부(38)에 의해 규제되므로,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이동에 의한 과대한 응력으로부터 방호된다.
다음에, 매체 운반 기구부에 있어서의 케이블 베어(36) 및 가이드 기구부(38)에 대해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매체 운반 기구부를 도시하 는 사시도, 도5는 매체 운반 기구부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이동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 및 도5에 있어서, 도2 및 도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반송 기구부(28)의 레일부(55)에는 스위블 기구부(26)가 탑재되고, 이 스위블 기구부(26)는 레일부(55)를 따라서 이동 공간 내를 이동 가능하고, 이 스위블 기구부(26)에는 선회 가능한 가동부인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탑재되어 있다. 이 매체 파지 기구부(24)에는 기록 매체(13)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 기구부로서 피커(picker) 아암부(56, 58)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이 피커 아암부(56, 58)의 개폐 간격을 조작하는 조작 기구(60)를 구동하는 모터(62) 등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피커 아암부(58)의 하측에는 케이블 베어(36)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단부가 가이드 기구부(38)의 가이드 레일부로서의 캠판(64)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케이블 베어(36)에는 그 일단부로부터 도입된 복수개의 케이블(34)이 그 타단부로부터 인출되고,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급전부측으로 유도되어 있다. 이 도4에 있어서, 화살표 S는 이미 서술한 선회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X는 이미 서술한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매체 파지 기구부(24)는 스위블 기구부(26)에 의해 선회하는 동시에, 레일부(55) 상을 X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므로, 이들 선회와 수평 이동으로부터 케이블(34)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KS로 나타내는 범위의 이동 범위를 갖게 된다. 도5에 있어서, 파선 화살표인 K는 스위블 축 중심(O)으로부터의 캠판(64)의 최대 회전 반경, R은 케이블(34)의 최대 회전 반경이고, 이 반경(R)은 X축 방향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변화되어 있다. 그래서, 이동 범위(KS)는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선회 및 X축 방향의 이동과 함께 케이블 베어(36)의 변형이 가해진 것이 된다. 모터(66)는 스위블 기구부(26)에 선회력을 부여하는 구동원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34)의 곡률 반경은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선회 운동에 추종하여 변화되고, 또한 케이블(34), 케이블 베어(36) 및 가이드 기구부(38)의 선회 범위는 화살표 R, KS로 나타내는 범위로 규제되어 있고, 케이블 베어(36)는 프레임(68)으로부터 대폭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케이블 베어(36) 및 가이드 기구부(38)에 의해 반송되는 케이블(34)은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이동이나 선회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방호된다.
다음에, 케이블 반송 기구에 대해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 및 도7은 X축 반송 기구부, 스위블 기구부 및 매체 파지 기구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에 있어서, 도2 내지 도5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매체 파지 기구부(24)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반송 기구부(28)에는 정사각형의 프레임(68)에 X축 방향에 가이드 레일부(70, 72)가 배치되고, 이 가이드 레일부(70, 72)에는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74)를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68)의 측부에는 타이밍 풀리(76)가 설치되고, 이 타이밍 풀리(76)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이 타이밍 벨트(78)에 의해 전달되어 있다. 타이밍 풀리(76)의 회전력은 슬라이더(74)의 X축 방 향의 이동력으로 변환하는 볼 나사(80)에 부여되고, 이 볼 나사(80)의 회전이 전달되어 슬라이더(74)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슬라이더(74)에는 매체 파지 기구부(24)를 선회시키는 스위블 기구부(26)의 스위블축(82)이 회전 가능하게 세워 설치되고, 이 스위블축(82)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타이밍 풀리(84)와 슬라이더(74) 상의 타이밍 풀리(86) 사이에 타이밍 벨트(88)가 걸려 회전되고 있다. 스위블축(82)에는 스위블 베이스(90)가 설치되고, 스위블 베이스(90)의 복수의 부착 구멍(92)으로부터 고정 나사(94)가 스위블축(82)측의 대응하는 나사 구멍(96)으로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스위블축(82)에 스위블 베이스(90)가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이 스위블 베이스(90)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탑재되는 동시에, 스위블 베이스(90)의 고정 창부(98)에 스위블 모터(66)의 모터 고정 프레임(100)이 탑재된다. 이 모터 고정 프레임(100)의 하면측에 부착된 구동 타이밍 풀리(102)가 고정 창부(98)를 관통하여 스위블 베이스(90)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이 구동 타이밍 풀리(102)에는 이미 서술한 타이밍 벨트(88)가 소정의 장력으로 걸려 회전되고 있다. 따라서, 스위블 모터(66)의 회전력이 구동 타이밍 풀리(102)에 부여되어 이 회전력이 타이밍 벨트(88)에 의해 스위블축(82)으로 전달되고, 스위블 베이스(90)와 함께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소정 각도 범위에서 선회를 행한다. 스위블 베이스(90)의 선회 정지 위치에는 스톱퍼(104)가 부착되어 있다.
X축 반송 기구부(28)의 프레임(68)에는 케이블 베어(36)의 고정 단부(106)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108)이 부착되고, 이 브래킷(108)에는 케이블 베어(36)의 고 정 단부(106)가 복수의 고정 나사(11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인 매체 파지 기구부(2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프레임(68)에는 브래킷(108)을 거쳐서 케이블 베어(36)의 고정 단부(106)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74)의 이동, 스위블축(82)의 회전에 관계없이 케이블 베어(36)의 고정 단부(106)가 소정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환언하면, 케이블(34)의 도입 위치가 케이블 베어(36)의 고정 단부(106)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스위블 베이스(90)에는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112)측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부의 일예로서의 캠 기구부(114)의 캠판(64)이 설치되어 있다. 캠 기구부(114)는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11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스위블 기구부(26)의 선회 운동에 추종시키는 동시에,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 그래서, 이 캠 기구부(114)의 캠판(64)에는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112)에 이동 경로 및 이동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캠 홈(118)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고정 다리부(120, 122)가 형성되어 있다. 캠 홈(118)은 원호형이며, 스위블축(82)과 동심 원형이고, 이 캠 홈(118)의 단부에 있어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한쪽을 시단부(118F), 다른 쪽을 종단부(118E)로 한다. 스위블 베이스(90)의 하면부에는 캠판(64)의 고정 다리부(120, 122)가 접촉되고, 스위블 베이스(90)의 부착 구멍(124)에 삽입 관통시킨 복수의 고정 나사(126)를 고정 다리부(120, 122)의 나사 구멍(128)에 고정함으로써 스위블 베이스(90)의 하면부에 캠판(64)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다리부(120, 122)는 높이(h)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높이(h)에 의해 스위블 베이스(90)와 캠판(64) 사이에 간격이 유지된다.
그리고,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112)에는 미끄럼 이동부로서의 슬라이드 샤프트(130)를 세워 설치한 L자형의 고정부(132)가 고정 나사(134)에 의해 고정되고, 이 슬라이드 샤프트(130)가 캠판(64)의 캠 홈(118)에 삽입된다. 또한, 이 슬라이드 샤프트(130)에는 캠판(64)의 상하면측에 나사(136, 138)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정 수단으로서 E 링크(140)가 고정되어 있다. 즉,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112)는 캠판(64)의 캠 홈(118)에 슬라이드 샤프트(13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112)로부터 도출된 케이블(34)에는 스위블 운동을 허용하는 소정의 여유 길이를 갖게 하고 있고, 그 선단부에 설치된 접속 고정부(142)는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상면부의 케이블 도입부에 접속되어 있고, 매체 파지 기구부(24)에는 케이블(34)을 통해 급전이 행해진다. 즉,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피급전부 또는 구동부로의 급전이 행해진다.
다음에, 케이블 반송 기구를 구비한 라이브러리 장치의 매체 운반 기구부의 동작 및 케이블의 거동에 대해 도8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 도9 및 도10은 매체 파지 기구부가 우측의 매체 선반측으로 선회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11, 도12, 도13 및 도14는 매체 파지 기구부가 기록 및 재생 장치측으로 선회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15, 도16 및 도17은 매체 파지 기구부가 좌측의 매체 선반측으로 선회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 내지 도17에 있어서, 도1 내지 도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1)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매체 선반(10)의 방향(도면 중 우측)으로 선회 한 경우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매체 선반(10)의 방향으로 선회한 경우라 함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커 아암부(56, 58)가 매체 선반(10)측으로 선회하고, 매체 선반(10)에 대해 기록 매체(13)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이다. 이 경우,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64)의 캠 홈(118)의 시단부(118F)측으로 슬라이드 샤프트(130)가 이동하고, 케이블 베어(36)는 이동 단부(112)측에 곡률 반경이 작은 만곡부가 생기고, 케이블(34)은 가장 큰 곡률 반경에서의 만곡이 된다.
이 경우, 매체 파지 기구부(24)는 프레임(68) 상을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매체 선반(10)으로부터 기록 매체(13)를 취출하거나, 또는 피커 아암부(56, 58)측에 있는 기록 매체(13)를 매체 선반(10)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2)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기록 및 재생 장치(14)의 방향(도면 중 후방)으로 선회한 경우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기록 및 재생 장치(14)의 방향으로 선회한 경우라 함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커 아암부(56, 58)가 기록 및 재생 장치(14)측으로 선회하고, 기록 및 재생 장치(14)에 대해 기록 매체(13)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이다. 이 동작은, 도8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천이하는 경우와, 도15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천이하는 경우의 양쪽이 존재한다.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기록 및 재생 장치(14)의 방향으로 선회하면, 매체 파지 기구부(24)와 함께 캠판(64)이,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90도만큼 천이한다. 즉, 도12,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68)과 매체 파 지 기구부(24)의 피커 아암부(56, 58)와의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된다. 이 경우, 도14는 기록 및 재생 장치(14)측으로부터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피커 아암부(56, 58)에 면하는 위치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이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선회에 대해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112)에 부착된 슬라이드 샤프트(130)가 캠판(64)의 캠 홈(118)을 따라서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선회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즉, 케이블 베어(36)가 갖는 강성에 의해, 매체 파지 기구부(24)의 선회 방향과는 반대 방향(화살표 N)의 선회 운동이 생긴다. 이 결과, 케이블 베어(36)가 허용하는 곡률 반경을 넘는 만곡이 방지되어 케이블 베어(36) 내의 케이블(34)은 과잉의 만곡이 저지된다.
이 경우, 매체 파지 기구부(24)는,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Z축 반송 기구부(32)에 의해 X축 반송 기구부(28)와 함께 화살표 Z 방향으로 이동(왕복 운동)시킴으로써 기록 및 재생 장치(14)로부터 기록 매체(13)를 취출하거나, 또는 피커 아암부(56, 58)측에 있는 기록 매체(13)를 기록 및 재생 장치(14)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커 아암부(56, 58)의 진퇴만으로 기록 매체(13)의 취출, 또는 장착을 하도록 해도 좋다.
(3)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매체 선반(12)의 방향(도면 중 좌측)으로 선회한 경우
매체 파지 기구부(24)가 매체 선반(12)의 방향으로 선회한 경우라 함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커 아암부(56, 58)가 매체 선반(12)측으로 선회하고, 매체 선반(12)에 대해 기록 매체(13)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이다. 이 경우,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64)의 캠 홈(118)의 종단부(118E)측으로 슬라이드 샤프트(130)가 이동하고, 케이블 베어(36)는 이동 단부(112)측에 곡률 반경이 가장 큰 만곡부가 생기고, 케이블(34)은 가장 작은 곡률 반경에서의 만곡이 된다.
이 경우, 매체 파지 기구부(24)는 프레임(68) 상을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매체 선반(12)으로부터 기록 매체(13)를 취출하거나, 또는 피커 아암부(56, 58)측에 있는 기록 매체(13)를 매체 선반(12)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 서술한 실시 형태의 효과를 열거하여 설명한다.
(1) 매체 파지 기구부(24)는 180도의 선회 왕복 운동에 추종하여 케이블(34)을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반송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케이블(34)을 방호할 수 있다. 즉, 케이블(34)은 케이블 베어(36)와 가이드 기구부(38)에 의해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고, 단선이나 접속부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 계통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중계 프린트판이 불필요하고, 게다가 케이블 폭을 억제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2) 케이블(34)의 끼워 넣기나 중계 프린트판이 불필요하므로, 조립 공정 수나 부품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조립 시의 절단이나, 기구부의 회전 운동에 의한 케이블끼리의 마찰에 의한 피복 손상이나, 굴곡에 의한 단선 장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라이브러리 장치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3) 케이블 베어(36)의 이동 단부(112)가 캠판(64)의 캠 홈(118)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케이블(34)의 굴곡은 안전성의 유지에 필요한 최소 굴곡 반경 이하가 되지 않으므로, 응력 집중으로부터 케이블(34)이 방호되어, 단선이나 굴곡 피로를 방지할 수 있다.
(4)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조립 작업 미스에 의한 케이블 파손이나 기구부의 동작에 의한 케이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케이블 반송의 신뢰성의 유지,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부품 비용의 억제에 의해 저렴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에 대해 다른 실시 형태를 열거한다.
(1) 케이블 반송 기구의 실시 형태로서 라이브러리 장치(2)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케이블 반송 기구는 고정부와 선회 가능한 가동부 사이에 걸치는 스위블 케이블(34)을 방호하므로, 고정부와 선회 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하는 로봇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라이브러리 장치(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상기 실시 형태의 스위블 케이블(34)에는 FFC를 이용해도 좋고, 본 발명은 케이블의 종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반송하는 기록 매체로서 카트리지식 기록 매체를 예시하였지만, 카트리지식 이외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카트리지식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라이브러리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기구부(38)에 캠판(64)을 이용하였지만, 가이드 레일부에 회전자를 마련하고 이동 범위를 규제하여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베어(36)로서 주름 상자형의 하우징을 예시하였지만, 케이블(34)을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면 좋고, 케이블 베어(36)로서는 띠형 또는 사다리형의 것이라도 좋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전달에 타이밍 벨트 및 타이밍 풀리를 예시하였지만, 다른 회전 전달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다음에, 이상 서술한 본 발명의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각 실시 형태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다양한 레벨이나 다양성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고, 이하의 부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여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부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부기 2) 부기 1의 케이블 반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반송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켜 유지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부기 3) 부기 1의 케이블 반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부는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이동 단부에 고정된 미끄럼 이동부와, 이 미끄럼 이동부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동시에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부기 4) 부기 1의 케이블 반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반송부는 상기 가동부의 회전 또는 이동에 의해 상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 기구부에 의해 이동하여 곡률 반경이 변화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부기 5) 부기 1의 케이블 반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반송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가동부의 회전 또는 이동에 필요한 여유 길이 부분을 유지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부기 6) 부기 1의 케이블 반송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어 급전되는 피급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부기 7)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여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부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8) 부기 7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기록 매체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9) 부기 7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장치 본체측의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10) 부기 7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의 전방면측에 마련된 이동 공간 내에 설치된 레일부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11) 부기 7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반송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켜 유지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12) 부기 7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반송부는 상기 가동부의 회전 또는 이동에 의해 상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 기구부에 의해 이동하여 곡률 반경이 변화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13) 부기 7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반송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가동부의 회전 또는 이동에 필요한 여유 길이 부분을 유지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14) 부기 7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 선반과,
상기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와,
상기 가동부를 탑재하여 이동하는 이동 기구부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선반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장치 사이에서 상기 기록 매체의 교환을 하는 교환 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부기 15) 부기 7의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어 급전되는 피급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를 기초로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여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부의 일단부를 가이드 기구부에 의해 가동부의 이동에 추종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절약으로 케이블의 방호를 도모할 수 있다.
(2) 이러한 케이블 반송 기구에 따르면, 조립 작업 시의 케이블 파손이나 가동부의 이동에 의한 케이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3) 이러한 케이블 반송 기구를 이용한 라이브러리 장치에 따르면, 공간 절약으로 케이블의 방호를 도모하는 동시에, 안정성이 높은 라이브러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식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 등 기계적인 변위를 수반하는 기구부에 병설되는 케이블 반송 기구나 라이브러리 장치에 적합하다.

Claims (5)

  1.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여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부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의 위치적 변화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기구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부는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이동 단부에 고정된 미끄럼 이동부와, 이 미끄럼 이동부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동시에 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반송부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가동부의 회전 또는 이동에 필요한 여유 길이 부분을 유지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반송 기구.
  4. 위치적 변위가 생기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가동부로 유도되는 케이블을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여 반송하는 케이블 반송부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의 위치적 변화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기구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 반송부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기록 매체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KR1020060028682A 2005-12-19 2006-03-30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 KR100802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65064A JP4391984B2 (ja) 2005-12-19 2005-12-19 ケーブル搬送機構及びライブラリ装置
JPJP-P-2005-00365064 2005-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185A KR20070065185A (ko) 2007-06-22
KR100802685B1 true KR100802685B1 (ko) 2008-02-12

Family

ID=3817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682A KR100802685B1 (ko) 2005-12-19 2006-03-30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64461B2 (ko)
JP (1) JP4391984B2 (ko)
KR (1) KR100802685B1 (ko)
CN (1) CN19883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9565A (ja) * 2007-11-15 2009-06-04 Denso Wave Inc ロボット
WO2009078082A1 (ja) * 2007-12-14 2009-06-25 Fujitsu Limited 階層記憶システム、ライブラリ装置及びマガジン、並びに、階層記憶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7141951A1 (ja) 2016-02-18 2017-08-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article transport apparatus)
US11657849B1 (en) * 2022-06-13 2023-05-23 Quantum Corporation Reduced form factor, high-density, front-access only automated tape librar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109A (en) * 1986-04-11 1989-04-11 Ampex Corporation Bidirectional transfer mechanism
JPH0636432A (ja) * 1992-07-16 1994-02-10 Hitachi Ltd デイスク記録装置
KR200169922Y1 (ko) * 1999-09-16 2000-02-15 주식회사협신메디칼 정제자동분포기용 케이블꼬임방지장치
KR20020056791A (ko) * 2000-12-29 2002-07-10 김징완 케이블 송급장치
US6457928B1 (en) * 1999-08-04 2002-10-01 Ampex Corporation Inter-row transfer unit for moving tape cartridges between rows of library systems
KR20030071315A (ko) * 2002-02-28 2003-09-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로봇암
KR20050079506A (ko) * 2004-02-06 2005-08-10 윤재흥 케이블 견인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053A (en) * 1986-04-11 1990-05-08 Ampex Corporation Flexible member mounting assembly
JPH03253216A (ja) 1990-03-02 1991-11-12 Toshiba Corp 産業用ctスキャナにおけるケーブル処理機構
JPH04156217A (ja) 1990-10-18 1992-05-28 Fujitsu Ltd ケーブルガイド装置
US5237468A (en) * 1991-10-15 1993-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mera and gripper assembly for an automated storage library
JP3195022B2 (ja) 1992-02-19 2001-08-06 株式会社アマダ 金型自動交換装置のケーブル装置
JP3253216B2 (ja) 1994-04-13 2002-02-04 マルコン電子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
US6073261A (en) * 1998-05-22 2000-06-06 Hewlett Packard Company Circuit for evaluating signal timing
US6754037B1 (en) * 1999-07-28 2004-06-22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mall library horseshoe architecture
US6606218B2 (en) * 2000-11-10 2003-08-12 Quantum Corporation Single tape cartridge interface having a cartridge reinsertion preventing mechanism in an automated autoloader/library system
JP4156217B2 (ja) 2001-06-22 2008-09-2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
EP1426964A4 (en) * 2001-08-16 2006-06-28 Citizen Watch Co Ltd DRIVE DEVICE
US6781789B2 (en) * 2001-09-28 2004-08-24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Dual cartridges storage array cell for data storage
US6839202B2 (en) * 2002-04-26 2005-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wave shielded write and read wires on a support for a magnetic media drive
JP2004142704A (ja) 2002-10-28 2004-05-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ライドドアのケーブル配索支持部構造
JP3830481B2 (ja) * 2003-10-03 2006-10-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ット
KR101158482B1 (ko) * 2004-03-31 2012-06-20 소니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베이스 유닛
US7561382B2 (en) * 2004-11-10 2009-07-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usable ESD shorting member and cable
JP4111231B2 (ja) 2006-07-14 2008-07-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立体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109A (en) * 1986-04-11 1989-04-11 Ampex Corporation Bidirectional transfer mechanism
JPH0636432A (ja) * 1992-07-16 1994-02-10 Hitachi Ltd デイスク記録装置
US6457928B1 (en) * 1999-08-04 2002-10-01 Ampex Corporation Inter-row transfer unit for moving tape cartridges between rows of library systems
KR200169922Y1 (ko) * 1999-09-16 2000-02-15 주식회사협신메디칼 정제자동분포기용 케이블꼬임방지장치
KR20020056791A (ko) * 2000-12-29 2002-07-10 김징완 케이블 송급장치
KR20030071315A (ko) * 2002-02-28 2003-09-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로봇암
KR20050079506A (ko) * 2004-02-06 2005-08-10 윤재흥 케이블 견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185A (ko) 2007-06-22
JP2007174739A (ja) 2007-07-05
US7764461B2 (en) 2010-07-27
JP4391984B2 (ja) 2009-12-24
CN1988300B (zh) 2011-12-07
US20070139812A1 (en) 2007-06-21
CN1988300A (zh)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023B1 (ko)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용 로봇 핸드
KR100802685B1 (ko) 케이블 반송 기구 및 라이브러리 장치
KR101350252B1 (ko) 물품 수납 설비
US11084505B2 (en) Overhead conveyance vehicle
CA2052747A1 (en) Disk cartridge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KR20090096314A (ko) 리니어 축의 케이블 처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반송 장치
US9896277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KR20060045706A (ko) 수납 선반용 반송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JP5125987B2 (ja) ライブラリ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の搬送方法
JP2008192248A (ja) ライブラリ装置およびライブラリ装置用搬送機構
US5752668A (en) Tape library cartridge manipulation gripper with z-axis translation
JP2002185191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EP1961005A1 (en) A tape library storage system including an accessor transport system
JP7123145B2 (ja) テープフィーダ
US9340356B2 (en) C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hanger
JP2014022635A (ja) テープフィーダ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4096837B2 (ja)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の直動機構
JP2008210477A (ja) ディスク装置
KR100371754B1 (ko) 헤드이송장치
JPH10199207A (ja) 情報処理装置
CN218503601U (zh) 加工设备
CN114684614A (zh) 工业用机器人
JPWO2008152698A1 (ja) テープライブラリ装置
JP5600402B2 (ja) 媒体リーダ
JP2003174298A (ja) 電子部品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