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282B1 -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282B1
KR100794282B1 KR1020077015862A KR20077015862A KR100794282B1 KR 100794282 B1 KR100794282 B1 KR 100794282B1 KR 1020077015862 A KR1020077015862 A KR 1020077015862A KR 20077015862 A KR20077015862 A KR 20077015862A KR 100794282 B1 KR100794282 B1 KR 100794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ryl
chloride
reaction
triflu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029A (ko
Inventor
가즈타케 하기야
야스히로 사토
기요토 고구로
스나오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도요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7/0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 C07C257/02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halogen atoms, e.g. imino-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7/0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5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7/04Five-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기되는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이미드와, 옥시염화인 및 디페닐인산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과, 제삼급 아민을,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화학식 2로 표기되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2로 표기되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와 아지드화물을, 아민염의 존재하에서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화학식 4로 표기되는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1
(1)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2
(2)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3
(4)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Description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TION OF 1-ARYL-5-(TRIFLUOROMETHYL)-1H-TETRAZOLES}
본 발명은,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및 그 제조 중간체인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은, 각종 의약의 중간체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테트라졸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미도일 클로라이드 화합물에 200℃ 이상의 고온에서 아지드화 수소 가스를 흡입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저널·오브·더·아메리칸·케미칼·소사이어티(J. Am. Chem. Soc.), 제80판, 1958년, p.4647). 또한 아지드화 나트륨(sodium azide)을 이용한 물을 혼합한 용매중에서의 반응(저널·오브·오가닉·케미스트리(J. Org. Chem.), 제23판, 1958년, p.1909), DMF, 아세토니트릴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를 사용한 반응(신쎄틱·커뮤니케이션즈(Synth. Commun.), 제1판, 1971년, p.3281; 저널·오브·오가닉 ·케미스트리(J. Org. Chem.), 제19판, 1979년, p.3281; 저널·오브·플루오린·케미스트리(J. Fluorine Chem.), 제99판, 1999년, p.83)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200℃ 이상의 고온에서 아지드화수소 가스를 흡입시키는 방법은, 유독한 아지드화수소가 계 외로 방출될 가능성이 있어, 안전하게 공업적으로 생산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다. 또한 DMF나 아세토니트릴 등의 용매 중에서의 반응은, 가열이 필요할 경우에 아지드화 나트륨과 용매가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 더구나, 이들의 용매는 수용성 용매이므로, 후처리에 있어서 생성물이 물층으로 많이 빠져나가게 된다. 더우기, DMF 등의 고비점의 용매를 사용하면, 생성물이 액상물질인 경우에, 용매 제거가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제조 방법은 공업적으로 불리하다.
한편, 이미도일 클로라이드 화합물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서는, 아미드 화합물을 옥시염화인이나 5염화인이나 염티오닐 등의 클로로화 시약에 의해 이미도일 클로라이드 화합물로 변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에 있어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강한 전자흡인성 기를 갖는 아미드 화합물의 경우에는, 반응이 대단히 늦어, 높은 효율의 이미도일 클로라이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없다.
저널·오브·오가닉·케미스트리(J. Org. Chem.), 제58판 ,1993년, p.32 에는, 클로로화 시약으로서 사염화탄소를 대량으로 사용하여, 강한 전자흡인성기인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함유한 이미도일 클로라이드 화합물을 높은 효율로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사염화탄소는, 독성이 강하고, 오존층 파괴 특 정 물질이므로, 이 방법에는 환경 상의 문제가 있다.
사염화탄소를 사용하지 않는 제조 방법으로서는, 트리클로로 초산 에틸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예를 들면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를 제조할 경우에는, 수율은 76%이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321431호). 그렇지만, 이 방법에서는, 고체인 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가, 목적생성물의 2중량배 이상 부생하여 제거가 곤란하고, 더구나, 수율이 76%이므로,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및 그 제조 중간체인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를, 안전하고 또한 높은 효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와 아지드화물를, 아민 염의 존재하에서 방향족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을 안전하고 또한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해 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더우기, 본 발명자들은,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와, 옥시염화인 및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제삼급 아민을, 유기용매 중에 있어서 반응시킴으로써,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를 안전하고 또한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해 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및 그 제조 중간체인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하기 화학식(1);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4
(식 중, R는 치환기를 1개 갖고 있어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낸다.)로 표기되는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와, 옥시염화인 및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제삼급 아민을,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2);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5
(식 중, R는 상기와 같다.)로 표기되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
2. R이 페닐기, 메틸 페닐기, 메톡시 페닐기, 플루오로 페닐기, 클로로페닐 기, 브로모 페닐기, 아이오도 페닐기 또는 나프틸 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항 1에 기재된 방법.
3. 제삼급 아민이 트리에틸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
4. 하기 화학식(2);
(화학식 2)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6
(식 중, R은 치환기를 1개 갖고 있어도 되는 아릴 기를 나타낸다.)로 표기되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와 하기 화학식(3);
M(N3)n
(식 중, M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을 나타낸다. n은 1 또는 2이다.)로 표기되는 아지드화물을, 아민 염의 존재 하에서 방향족탄화수소 용매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4);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7
(식 중, R는 상기와 같다.)로 표기되는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5. R이 페닐기, 메틸 페닐기, 메톡시 페닐기, 플루오로 페닐기, 클로로페닐 기, 브로모 페닐기, 아이오도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항 4에 기재된 방법.
6. 아지드화물이 아지드화 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항 4 는 5에 기 재된 방법.
7. 아민염이 트리에틸아민 염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항 4∼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8. 방향족탄화수소용매가 톨루엔 및 자일렌으로부터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항 4∼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및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을, 안전하고 또한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 및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아릴-2,2,2- 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화학식(2)로 나타내지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는, 상기 화학식(1)로 나타내지는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와, 옥시염화인 및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제삼급 아민을,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1) 및 (2)에 있어서의 R는, 치환 기를 1개 갖고 있어도 되는 아릴 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치환 기를 1개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나프틸 기다. 나프틸 기는, 1-나프틸 기, 2-나프틸 기 중 어느쪽이라도 좋다. 치환기의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치환기로서는, 알킬기, 알콕실기, 할로겐을 들 수 있다.
알킬기는, 직쇄상도 분지쇄상도 좋다. 분지쇄상의 경우, 분지의 위치나 분지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응이 진행되기 쉼다는 점으로부터, 탄소수 1∼10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 기, s-부틸기, 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실기의 알킬 부분은, 직쇄상으로도 분지쇄상으로도 좋다. 분지쇄상의 경우, 분지의 위치나 분지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응이 진행하기 쉽다는 점에서, 탄소수 1∼10의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 1∼4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콕실기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부토-2-옥시기, 2-메틸프로포-1-옥시기, 2-메틸프로포-2-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으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상기 화학식(1) 및 (2)에 있어서의 R로서는, 페닐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플루오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아이오도페닐기 또는 나프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로 나타내지는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는, 어떤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2,2,2-트리플루오로-N-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2-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3-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4-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3-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4-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2-플루오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3-플루오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4-플루오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2-클로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3-클로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4-클로로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2-브로모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3-브로모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4-브로모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2-아이오도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3-아이오도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4-아이오도페닐)-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나프탈렌-1-일)-아세트아미드, 2,2,2-트리플루오로-N-(나프탈렌-2-일)-아세트아미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옥시염화인(phosphorous oxychloride)의 사용량은,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 1몰에 대하여 0.6∼3.0몰이 바람직하며, 0.7∼2.0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의 사용량은,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 1몰에 대하여 1.0∼3.0몰이 바람직하며, 1.5∼ 2.5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옥시염화인과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삼급 아민에 특히 제한은 없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펜틸아민, 트리아밀아민, 트리헥실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알릴아민, 피리딘, 2-메틸피리딘, 3-메틸피리딘, 4-메틸피리딘, N-메틸모르폴린, N,N-디메틸 시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 아닐린,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메틸이미다졸,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세-7-엔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특히 트리에틸아민이 바람직하다. 제삼급아민의 사용량은,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 1몰에 대하여 1.0∼3.0몰이 바람직하고, 1.1∼2.0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사용하는 원료와 반응하지 않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헵탄, 옥탄 등의 탄화수소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mesitylene), 에틸벤젠, 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쿠멘, 클로로톨루엔, 아니솔 등의 방향족용매;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t-부틸메틸 에테르, 시클로펜틸 메틸 에테르,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프로판 등의 할로겐화 용매; 초산 메틸, 초산 에틸, 초산 프로필, 초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등의 극성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극성용매가 바람직하며, 아세토니트릴이 특히 바람직 하다. 반응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1)로 나타내지는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 1g에 대하여 1∼15ml이 바람직하고, 3∼10ml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응은, 유기용매 중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와, 옥시염화인 및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과, 제삼급 아민을 가하여, 가열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반응 온도는, 지나치게 낮으면 반응속도가 작아지고, 지나치게 높으면 부생성물이 많아지기 때문에, 0∼150℃가 바람직하고, 20∼8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시간은, 1∼100시간이 바람직하고, 5∼50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비정제 생성물을 얻은 후에, 정제, 재결정, 증류,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정제에 의해, 상기 화학식(2)로 나타내지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를, 안전하고 또한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1-아릴-5-( 트리플루오로메틸 )-1H- 테트라졸의 제조]
상기 화학식(4)로 나타내지는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은, 상기 화학식(2)로 나타내지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와 상기 화학식(3)으로 나타내지는 아지드화물을, 아민 염의 존재 하에서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2) 및 (4)에 있어서의 R는, 치환기를 1개 갖고 있어도 되는 아릴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치환기를 1개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나프틸기는, 1-나프틸기, 2-나프틸기 중 어느쪽이라도 좋다. 치환기의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치환기로서는, 알킬기, 알콕실기, 할로겐을 들 수 있다.
알킬기는, 직쇄상이라도 분지쇄상이라도 좋다. 분지쇄상의 경우, 분지 위치나 분지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응이 진행하기 쉽다는 점에서, 탄소수 1∼10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실기의 알킬 부분은, 직쇄상이라도 분지쇄상이라도 좋다. 분지쇄상인 경우, 분지 위치나 분지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응이 진행하기 쉽다는 점에서, 탄소수 1∼10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콕실기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부토-2-옥시기, 2-메틸프로포-1-옥시기, 2-메틸프로포-2-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으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상기 화학식(2) 및 (4)에 있어서의 R로서는, 페닐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플루오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아이오도페닐기 또는 나프틸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2)로 나타내지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N-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2-메틸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 (3-메틸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4-메틸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2-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3-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2-플루오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3-플루오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4-플루오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2-클로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3-클로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4-클로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2-브로모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3-브로모 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4-브로모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2-아이오도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3-아이오도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4-아이오도 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나프탈렌-1-일)-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N-(나프탈렌-2-일)-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3)로 나타내지는 아지드화물로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의 아지드화물, 또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류금속의 아지드화물을 들 수 있지만, 알칼리 금속의 아지드화물이 바람직하게, 아지드화 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지드화물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2)로 나타내지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1몰에 대하여 1.0∼3.0몰이 바람직하고, 1.1∼2.0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민 염은, 아민과 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아민으로서는, 제1급, 제2급, 제3급 아민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특히 지방족아민이 바람직하다. 아민 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틸아민 염, 에틸아민 염, 프로필아민 염, 부틸아민 염, 아밀아민 염, 헥실아민 염, 시클로헥실아민 염, 헵틸아민 염, 옥틸아민 염, 알릴아민 염, 벤질아민 염, α-페닐에틸아민 염, β-페닐에틸아민 염 등의 제1급 아민 염; 디메틸아민 염, 디에틸아민 염, 디프로필아민 염, 디부틸아민 염, 디아밀아민 염, 디헥실아민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염, 디알릴아민 염, 모르폴린 염, 피페리딘염, 헥사메틸렌이민염등의 제2급 아민 염; 트리메틸아민 염, 트리에틸아민 염, 트리프로필아민 염, 트리부틸아민 염, 트리아밀아민 염, 트리헥실아민 염, 트리알릴아민 염, 피리딘 염, 트리에탄올아민 염, N-메틸모르폴린 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염, N,N-디메틸아닐린 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염 등의 제삼급 아민 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의 아민 염의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염을 형성하는 산으로서는, 기본적으로 아민과 염을 생성하는 산이면 된다. 구체적인 예 로서는, 염산, 브롬화수소, 황산, 질산, 인산, 붕산, 아지드화수소, 염소산, 탄산, 황화수소 등의 무기산; 개미산, 초산, 트리플루오로초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메탄 술폰산, 벤젠 술폰산, 톨루엔 술폰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산은, 염산, 브롬화수소, 황산, 아지드화수소, 초산, 트리플루오로초산이다. 상기에 나타낸 아민과 산에 의한 아민 염 중에서, 특히 트리에틸아민 염산염이 바람직하다. 아민 염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2)의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1몰에 대하여 0.1∼1.5몰이 바람직하고, 0.3∼1.0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족탄화수소 용매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에틸벤젠, 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쿠멘, 클로로 톨루엔 등을 들 수 있고, 톨루엔, 자일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를 2종 이상 혼합해서 쓰는 것도 가능하다. 해당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2)의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1g에 대하여 1∼15ml이 바람직하며, 3∼10ml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응은,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상기 화학식(2)의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와, 상기 화학식(3)의 아지드화물과, 아민 염을 가하고, 가열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반응 온도는, 지나치게 낮으면 반응속도가 작아지고, 지나치게 높으면 부생성물이 많아지기 때문에, 0∼150℃가 바람직하고, 50∼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시간은, 5∼50시간이 바람직하며, 12∼30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반응액을 물로 세정하고, 이어서, 유기층을 제습, 용매 증류 제거하여 비정제 생성물을 얻은 후에, 결정, 재결정,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정제에 의해, 상기 화학식(4)로 표기되는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을, 안전하고 또한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8
100ml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N-페닐-아세트아미드 7g (37.0mmol),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 19.84g (74.0mmol), 트리에틸아민 7.44g (74.0mmol) 및 아세토니트릴 28ml을 가하고, 환류 하(82℃)에서 15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초산 에틸 28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여 과하였다. 여과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N-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6.24g을 황색 액체물질로서 얻었다 (수율81.2%).
IR(neat, cm-1): 1697, 1489, 1286, 1223, 1196, 1161, 947, 766, 725, 691
1H-NMR(CDCl3): δ=7.41-7.24(m, 3H), 7.08-7.05(m, 2H)
13C-NMR(CDCl3): δ=143.47, 131.94(q, J=42.8Hz), 129.12, 127.40, 120.63, 116.86(q, J=275.8Hz)
실시예 2
1-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Figure 112007050582731-pat00009
100ml 플라스크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N-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5g(24.1mmol), 아지드화 나트륨 2.83g (43.4mmol), 트리에틸아민 염산염 1.66g (12.1mmol) 및 톨루엔 40ml을 가하여, 80℃에서 16.5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 세척(30ml×3 회)을 행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1시간 제습하고, 여과, 용매 증류제거를 행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 헥산 = 3:7)로 정제하여, 1-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4.81g을 연황색 유상(油狀)물질로서 얻었다 (수율93.2%).
IR(neat, cm-1): 3071, 1531, 1499, 1312, 1207, 1167, 1013, 766, 691
1H-NMR(CDCl3): δ=7.60-7.54(m, 3H), 7.38(d, J=8.7Hz, 2H), 7.06(d, J=8.7Hz, 2H), 3.89(s, 3H)
13C-NMR(CDCl3): δ=145.90(q, J=42.0Hz), 132.41, 131.59, 131.58, 129.79, 129.76, 125.05, 117.73(q, J=270.0Hz)
원소분석
계산값(C8H5F3N4): C, 44.87%; H, 2.35%; N, 26.16%
실측값: C, 44.27%; H, 2.24%; N, 25.95%
분해온도(DSC): 290℃ (1.17kJ/g), 367℃ (1.55kJ/g)
실시예 3
N-(4-메틸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0
100ml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N-(4-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7g 34.5mmol),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 18.49g (68.9mmol), 트리에틸아민 6.97g (68.9mmol) 및 아세토니트릴 35ml을 가하여, 환류 하(82℃)에서 18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초산 에틸 25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N-(4-메틸 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6.77g을 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 (수율88.6%).
IR(neat, cm-1): 1684, 1506, 1286, 1223, 1196, 1159, 949, 934, 820
1H-NMR(CDCl3): δ=7.26-7.22(m,2H), 7.10-7.04(m,2H), 2.39(s,3H)
13C-NMR(CDCl3): δ=140.61, 137.85, 130.55(q, J=42.8 Hz), 129.69, 121.23, 116.92(q, J=275.0 Hz), 21.02
실시예 4
1-(4-메틸 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1
100ml 플라스크에, 실시예 3에서 얻어진 N-(4-메틸 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5g (22.6mmol), 아지드화 나트륨 2.68g (40.7mmol), 트리에틸아민 염산염 1.57g (11.3mmol) 및 톨루엔 40ml을 가하고, 80℃에서 23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세척(30ml×3회)를 행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1시간 제습하고, 여과, 용매증류 제거를 행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1-(4-메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5.01g을 연황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수율97.3%).
IR(neat,cm-1): 3045, 2930, 1531, 1514, 1312, 1205, 1167, 1034, 1011, 822, 756
1H-NMR(CDCl3): δ=7.37-7.31(m,4H), 2.42(s,3H)
13C-NMR(CDCl3): δ=145.96(q, J=41.2Hz), 142.28, 130.33, 129.95, 124.83, 117.81(q, J=270.9Hz), 21.10
원소분석
계산값(C9H7F3N4): C 47.37%, H 3.09%, N 24.98%
실측값: C, 46.89%; H, 2.63%; N, 24.64%
분해온도(DSC): 290℃ (1.09kJ/g), 360℃ (1.29kJ/g)
실시예 5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2
100ml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N-(4-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5g (22.8mmol),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 12.26g (45.6mmol), 트리에틸아민 4.62g (45.6mmol) 및 아세토니트릴 25ml을 가하고, 환류 하(82℃)에서 22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초산 에틸 20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4.53g을 황색 액체물질로서 얻었다 (수율 83.6%).
IR(neat, cm-1): 1676, 1599, 1506, 1285, 1252, 1194, 1159, 1032, 943, 924, 833, 766
1H-NMR(CDCl3): δ=7.26-7.21(m, 2H), 7.00-6.91(m, 2H), 3.81(s, 3H)
13C-NMR(CDCl3): δ=159.37, 135.25, 127.93(q, J=42.4 Hz), 124.20, 116.90(q, J=274.0 Hz), 114.12, 55.45
실시예 6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3
100ml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N-(4-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5g (22.8mmol), 옥시염화인 7.02g(45.6mmol), 트리에틸아민 4.62g(45.6mmol) 및 아세토니트릴 25ml을 가하고, 환류 하(82℃)에서 22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초산 에틸 20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4.52g을 황색 액체물질로서 얻었다 (수율83.4%).
1H-NMR(CDCl3): δ=7.26-7.21(m,2H), 7.00-6.91(m,2H), 3.81(s,3H)
13C-NMR(CDCl3): δ=159.37, 135.25, 127.93(q, J=42.4 Hz), 124.20, 116.90(q, J=274.0 Hz), 114.12, 55.45
실시예 7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4
200ml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N-(4-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10g (45.6mmol), 옥시염화인 4.92g(32.0mmol), 트리에틸아민 9.23g(91.2mmol) 및 아세토니트릴 50ml을 가하고, 환류 하(82℃)에서 19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초산 에틸 30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8.94g을 황색 액체물질로서 얻었다 (수율82.5%).
1H-NMR(CDCl3): δ=7.26-7.21(m,2H), 7.00-6.91(m,2H), 3.81(s,3H)
13C-NMR(CDCl3): δ=159.37, 135.25, 127.93(q, J=42.4 Hz), 124.20, 116.90(q, J=274.0 Hz), 114.12, 55.45
실시예 8
1-(4-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5
100ml 플라스크에, 실시예 7에서 얻어진 N-(4-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5g (21.0mmol), 아지드화 나트륨 2.46g (37.8mmol), 트리에틸아민 염산염 1.45g (10.5mmol) 및 톨루엔 40ml을 가하고, 80℃에서 15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세척(30ml×2회)을 행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제습하고, 여과, 용매 증류제거를 행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1-(4-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5.05g을 연황색 유상물질로서 얻었다 (수율98.3%).
IR(neat,cm-1): 1609, 1533, 1514, 1466, 1319, 1310, 1259, 1205, 1167, 1111, 1026, 837, 756, 542
1H-NMR(CDCl3): δ=7.38(d, J=8.7Hz, 2H), 7.06(d, J=8.7Hz, 2H), 3.89(s, 3H)
13C-NMR(CDCl3): δ=161.72, 146.03(q, J=42.1Hz), 126.51, 124.95, 117.81(q, J=270.6 Hz), 114.87, 55.72
원소분석
계산값(C9H7F3N4O): C, 44.27%; H, 2.89%; N, 22.95%
실측값: C, 43.81%; H, 2.81%; N, 22.15%
분해온도(DSC): 286℃ (1.58kJ/g), 342℃ (0.64kJ/g)
실시예 9
N-(2-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6
100ml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N-(2-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5g (22.8mmol),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 12.24g (45.6mmol), 트리에틸아민 4.64g (45.6mmol) 및 아세토니트릴 25ml을 가하고, 환류 하(82℃)에서 22.5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초산 에틸 20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해서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N-(2-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4.55g을 황색 액체물질로서 얻었다 (수율84.3%).
IR(neat,cm-1): 1699, 1595, 1495, 1292, 1252, 1196, 1161, 949, 750
1H-NMR(CDCl3): δ=7.26-7.22(m,1H), 7.02-6.91(m,3H), 3.85(s,3H)
13C-NMR(CDCl3): δ=149.18, 133.95(q, J=42.8Hz), 133.09, 127.94, 120.54, 120.23, 116.81(q, J=275.0 Hz), 111.78, 55.58
실시예 10
1-(2-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7
100ml 플라스크에, 실시예 9에서 얻어진 N-(2-메톡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4g (16.8mmol), 아지드화 나트륨 1.98g (30.2mmol), 트리에틸아민 염산염 1.16g (8.42mmol) 및 톨루엔 40ml을 가하고, 80℃에서 14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세척(30ml×회)을 행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제습하고, 여과, 용매증류 제거를 행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고, 1-(2-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4.01g을 연활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수율 97.6%).
IR(neat, cm-1): 1601, 1563, 1506, 1470, 1441, 1315, 1288, 1258, 1169, 1124, 1107, 1013, 760, 683
1H-NMR(CDCl3): δ=7.59(ddd, J=7.8, 7.5, 1.7 Hz, 1H), 7.36(dd, J=7.8, 1.7 Hz, 1H), 7.14-7.08(m, 2H), 3.79(s, 3H)
13C-NMR(CDCl3): δ=153.55, 147.00(q, J=41.5Hz), 133.19, 127.22, 121.00, 120.59, 117.60(q, J=270.4Hz), 112.07, 55.76
원소분석
계산값(C9H7F3N4O): C, 44.27%; H, 2.89%; N, 22.95%
실측값: C,44.35%; H, 3.18; N, 23.05%
분해온도(DSC): 283℃ (1.08kJ/g) ,353℃ (0.60kJ/g)
실시예 11
N-(4-클로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8
50ml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N-(4-클로로페닐)-아세트아미드 4g (17.9mmol),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 9.61g (35.8mmol), 트리에틸아민 3.62g (35.8mmol) 및 아세토니트릴 20ml을 가하고, 환류 하(82℃)에서 16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초산 에틸 16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N-(4-클로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3.40g을 황색 액체물질로서 얻었다 (수율78.6%).
IR(neat,cm-1): 1701, 1487, 1286, 1225, 1196, 1163, 1097, 1015, 951, 833, 735
1H-NMR(CDCl3): δ=7.42-7.38(m,2H), 7.07-6.94(m,2H)
13C-NMR(CDCl3): δ=141.66, 133.28, 132.52(q, J=42.8Hz), 129.30, 122.26, 116.75(q, J=275.0 Hz)
실시예 12
1-(4-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Figure 112007050582731-pat00019
100ml 플라스크에,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N-(4-클로로페닐)-2,2,2-트리플루 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3g (12.4mmol), 아지드화 나트륨 1.46g (22.3mmol), 트리에틸아민 염산염 0.85g (6.20mmol) 및 톨루엔 30ml을 가하고, 80℃에서 24.5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세척(20ml×2회)을 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1시간 제습하고, 여과, 용매증류 제거를 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여, 1-(4-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2.84g을 연황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수율92.2%).
IR(neat,cm-1): 3101, 1531, 1497, 1313, 1207, 1167, 1096, 1009, 835
1H-NMR(CDCl3): δ=7.60-7.56(m,2H), 7.47-7.43(m,2H)
13C-NMR(CDCl3): δ=146.02(q, J=42.0Hz), 138.13, 130.94, 130.25, 126.48, 117.75(q, J=270.9 Hz)
원소분석
계산값(C8H4ClF3N4): C, 38.65%; H, 1.62%; N, 22.93%
실측값: C, 38.51%; H, 1.74%; N, 22.40%
분해온도(DSC): 280℃ (0.97kJ/g), 368℃ (0.42kJ/g)
실시예 13
N- (나프탈렌-1-일)-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Figure 112007050582731-pat00020
50ml 플라스크에, 2,2,2-트리플루오로-N-(나프탈렌-1-일)-아세트아미드 5g (20.9mmol),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 11.23g (41.8mmol), 트리에틸아민 4.22g (41.8mmol) 및 아세토니트릴 20ml을 가하고, 환류 하(82℃)에서 15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초산 에틸 15ml을 가하고,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헥산 = 3:7)로 정제하고, N-(나프탈렌-1-일)-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4.65g을 황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수율86.2%).
IR(neat,cm-1): 1686, 1593, 1393, 1286, 1211, 1161, 943, 799, 772, 754, 702
1H-NMR(CDCl3): δ=7.89-7.86(m,1H), 7.82-7.79(m,2H), 7.56-7.48(m,3H), 7.18(d, J=7.4Hz, 1H)
13C-NMR(CDCl3): δ=139.67, 133.94, 132.90(q, J=42.8Hz), 128.07, 127.65, 126.85, 126.73, 126.23, 125.11, 122.69, 116.9(q, J=275.0 Hz), 115.07
실시예 14
1-(나프탈렌-1-일)-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Figure 112007050582731-pat00021
100ml 플라스크에,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N-(나프탈렌-1-일)-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 4g (15.5mmol), 아지드화 나트륨 1.84g (27.9mmol), 트리에틸아민 염산염 1.08g (7.76mmol) 및 톨루엔 40ml을 가하고, 80℃에서 14시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세척(30ml×2회)를 했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1시간 제습하고, 여과, 용매 증류제거를 하여 얻어진 비정제 생성물을, n-헥산 18ml로 아이스 배쓰에서 냉각하면서 1시간 침전시키고, 이어서 여과, 건조 함으로써, 1-(나프탈렌-1-일)-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3.86g을 백색 분말상 물질로서 얻었다 (수율94.1%).
융점: 107.7-108.4℃
IR(KBr, cm-1): 3067, 1599, 1531, 1510, 1470, 1448, 1393, 1306, 1215, 1204, 1167, 1153, 1117, 1040, 802, 770, 754, 743, 665
1H-NMR(CDCl3): δ=8.11(d, J=8.3Hz, 1H), 7.96(d, J=8.3Hz, 1H), 7.62-7.50(m, 4H), 7.02(d, J=8.3Hz, 1H)
13C-NMR(CDCl3): δ=147.68(q, J=42.0Hz), 133.91, 132.55, 128.81, 128.73, 128.46, 128.40, 127.64, 125.10, 124.63, 120.74, 117.74(q, J=270.9Hz)
원소분석
계산값(C12H7F3N4): C, 54.55%; H, 2.67%; N, 21.21%
실측값: C, 54.27%; H, 2.66%; N, 21.21%
분해온도(DSC): 272℃(0.67kJ/g), 311℃(0.20kJ/g)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7082507913-pat00022
    - 식 중, R는 비치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1개 갖는 아릴기를 나타냄 - 으로 표기되는 2,2,2-트리플루오로-N-아릴-아세트아미드와, 옥시염화인 및 디페닐 인산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제삼급 아민을,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7082507913-pat00023
    - 식 중, R는 상기한 바와 같음 - 로 표기되는 N-아릴-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이미도일 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R이 페닐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플루오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아이오도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삼급 아민이 트리에틸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77015862A 2003-10-10 2004-09-30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KR100794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85936 2003-10-10
JPJP-P-2003-00385936 2003-10-10
JPJP-P-2004-00136859 2004-04-03
JP2004136859 2004-04-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822A Division KR100780906B1 (ko) 2003-10-10 2004-09-30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029A KR20070087029A (ko) 2007-08-27
KR100794282B1 true KR100794282B1 (ko) 2008-01-11

Family

ID=344369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862A KR100794282B1 (ko) 2003-10-10 2004-09-30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KR1020067006822A KR100780906B1 (ko) 2003-10-10 2004-09-30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822A KR100780906B1 (ko) 2003-10-10 2004-09-30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82609B2 (ko)
EP (1) EP1671945A4 (ko)
JP (2) JP4887782B2 (ko)
KR (2) KR100794282B1 (ko)
CA (1) CA2539338C (ko)
WO (1) WO2005035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5040B1 (en) * 2010-03-12 2013-12-11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5-substituted 1-alkyltetrazoles
WO2013049013A2 (en) * 2011-09-26 2013-04-04 Board Of Regents, University Of Texas System Preparation of bromomethylated derivatives via protection with trihaloacetic anhydride
JP5900292B2 (ja) * 2012-11-06 2016-04-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イミノクロライド誘導体の製造方法及びフェニルイミダ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972A (ja) * 1992-01-28 1993-11-02 Zeneca Ltd 化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3467A1 (fr) 1978-12-08 1980-07-04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cide 3-quinoleine carbox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
DE3634717A1 (de) * 1986-10-11 1988-04-14 Dynamit Nobe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5-methyltetrazol
JPH04243855A (ja) 1991-01-24 1992-08-31 Nissan Chem Ind Ltd フッ素含有化合物
JP3671266B2 (ja) * 1996-03-21 2005-07-13 東洋化成工業株式会社 5−置換テトラゾール類の製造方法
JP4464505B2 (ja) * 1999-12-14 2010-05-19 日本精化株式会社 イミドイルクロライド類の製造方法
JP2002284770A (ja) * 2001-03-23 2002-10-03 Council Scient Ind Res 5−(2−フルオロフェニル)−1h−テトラゾールの合成方法
JP2003321431A (ja) * 2002-05-08 2003-11-11 Fuji Photo Film Co Ltd イミドイルハライド類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972A (ja) * 1992-01-28 1993-11-02 Zeneca Ltd 化学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73907A (ja) 2011-09-08
JPWO2005035484A1 (ja) 2006-12-21
CA2539338C (en) 2008-11-25
JP4887782B2 (ja) 2012-02-29
EP1671945A1 (en) 2006-06-21
KR20060102551A (ko) 2006-09-27
KR20070087029A (ko) 2007-08-27
US20070106080A1 (en) 2007-05-10
WO2005035484A1 (ja) 2005-04-21
CA2539338A1 (en) 2005-04-21
US7282609B2 (en) 2007-10-16
EP1671945A4 (en) 2007-08-22
KR100780906B1 (ko) 200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282B1 (ko) 1-아릴-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의 제조 방법
US7947816B2 (en) Azodicarboxylic acid bis(2-alkoxyethyl) ester compound, and production intermediate thereof
BRPI0911170B1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derivados do ácido ciclo-hexanocarboxílico via o correpondente derivado de ciclo-hexanocarboxamida
JP4736474B2 (ja) 含フッ素アルキルスルホニルアミノエチルα−置換アクリレート類の製造方法
JP2002241361A (ja) ジフェニルジスルフィド誘導体の製造法
JP6637880B2 (ja) 5−(トリフルオロメチル)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521304B2 (ja) 1−(テトラゾリルビフェニルメチル)イミダ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JP4712320B2 (ja) 2−オキソ−1−フェニル−3−オキサビシクロ[3.1.0]ヘキサンの製造方法
JP5674823B2 (ja) 芳香族アミド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
JP2005154420A (ja) アルコキシ−5−(5−トリフルオロメチル−テトラゾール−1−イル)ベンズ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
JPH0853399A (ja) 芳香族フツ素化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新規なジアミド
CN104163777A (zh) 一种合成甲腈化合物的方法及其在伊伐布雷定合成中的应用
RU280736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хлорангидрида стирилфосфоновой кислоты
JP4323032B2 (ja) 3−ニトロ−2−(N−t−ブトキシカルボニル)アミノ安息香酸エステル類の製造法およびその製造中間体
JP3309202B2 (ja) ニトロベンゼンスルホニルハライド類の製造方法
JP2003064051A (ja) スルホニ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3261454B2 (ja) ケテンイミ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4315444A (ja) α,α−ジフルオロ酢酸エステル類の製造方法
JP4000758B2 (ja) 2−(5−ハロゲノ−2−ニトロフェニル)−2−置換酢酸エステル誘導体の製造法
JP3717355B2 (ja) 桂皮酸誘導体の製造方法
JP2003238500A (ja) 含フッ素3級アミン化合物及び含フッ素4級アンモニウム塩の製造方法
JP3107405B2 (ja) ビス(2−クロロ−4−フルオロ−5−ニトロフェニル)カーボネ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08127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fluorobenzonitrile from saccharin
JP2002528530A (ja) α−クロロニトリルの改良された製造方法
WO1996034861A1 (fr) Nouveau procede de n2-tritylation de cycles tetraz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