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954B1 -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954B1
KR100793954B1 KR1020050105952A KR20050105952A KR100793954B1 KR 100793954 B1 KR100793954 B1 KR 100793954B1 KR 1020050105952 A KR1020050105952 A KR 1020050105952A KR 20050105952 A KR20050105952 A KR 20050105952A KR 100793954 B1 KR100793954 B1 KR 100793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edium
light
removing cover
jam re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897A (ko
Inventor
권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954B1/ko
Priority to US11/509,593 priority patent/US7558493B2/en
Priority to CNA2006101439971A priority patent/CN1962383A/zh
Publication of KR2007004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2Removing a copy sheet form a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지의 만재감지장치는 배지의 적재 작동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버; 및 레버의 각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만재감지장치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장치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만재감지 뿐만 아니라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 기능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배지, 만재, 감지, 광센서, 레버, 잼, 커버

Description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OUTBIN-FUL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에서 잼 제거용 커버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에서 배지 적재부의 배지가 만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에서 잼 제거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에서 잼 제거용 커버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에서 배지 적재부의 배지가 만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에서 잼 제거용 커버가 개 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는 배지 적재부의 배지가 만재 상태일 때의 전압신호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잼 제거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일 때의 전압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0 : 배지 적재부 120 : 제1레버
130 : 제2레버 140 : 광센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지의 적재상태를 감지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 레이저 빔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용지와 같은 기록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시켜 출력시키는 장치로서, 그 화상형성방식에 따라 감광체와 같은 간접매체를 이용한 간접화상형성방식과 기록매체 측에 잉크를 분사 또는 전사하여 직접 화상을 형성하는 직접화상형성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로부터 공급받은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 및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매체(즉, 배지)가 배출되어 적재되는 배지 적재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지 적재부는 일정 높이를 가진 수용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배지 적재부 측에 다수의 배지가 소정높이로 적층된다. 이 배지 적재부에 적재되는 통상적인 배지의 양은 대략 50~150매 내외인 경우가 많으며, 이보다 많은 배지가 적재될 경우에는 그 적재된 배지로 인해 새로이 출력되는 배지가 간섭을 일으켜 각종 인쇄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재된 배지의 양이 한계치보다 많아지면(즉, 배지가 배지 적재부 상에서 만재된 상태) 이를 감지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그 만재상태임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통보할 수 있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종래의 만재감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 적재부에 적재되는 배지와 접촉하는 레버, 및 레버에 의해 배지의 적재량이 만재상태임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었다.
또한, 만재감지장치에 근접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정렬유닛 또는 배지유닛 측에서 잼된 기록매체를 제거하기 위한 잼 제거용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러한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접속된다.
이 센서가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을 감지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전원이 오프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만재감지장치와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장치를 개별적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센서, 센서브라켓 등과 같은 조립품 및 조립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만재감지장치와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장치를 단일의 감지구조로 통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만재감지장치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장치 각각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상호 중첩될 경우 그 해석이 난해하여 작동 상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도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그 단일화가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은 만재감지장치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장치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만재감지 뿐만 아니라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 기능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배지 적재부 측에 보다 단순한 감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동 오류를 최소화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배지의 적재 작동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기준 위치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버; 및
레버의 각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광센서;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의 광센서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광투과부가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투과부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레버는 일측단부가 배지 적재부 상에 적재되는 배지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된 제1레버 및 제1레버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레버를 포함하고;
제1레버 및 제2레버는 연동가능하게 회동되며,
제2레버는 광센서와 인접하는 부분에 제2레버와 다른 광투과율을 가진 광투과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레버의 타측단부는 잼 제거용 커버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대안적으로, 잼 제거용 커버의 하부에는 가압구가 탄성적으로 설치되고, 이 가압구의 일측에는 가압리브가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배지의 적재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레버;
상기 제1레버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레버;
상기 제2레버의 양방향 회전에 대해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제2레버의 광센서와 근접하는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와 다른 광투과율을 가진 광투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투과부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레버는 그 일측단부가 배지 적재부에 적재되는 배지에 접 촉가능하고, 그 타측단부는 본체 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잼 제거용 커버와 접촉함으로써, 배지의 적재 작동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 작동에 의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안적으로,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은 개별적인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제3양태는, 배지의 적재작동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레버;
제1레버의 회동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하고,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레버;
제2레버의 양방향 회동작동에 의해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제2레버의 광센서와 인접하는 단부에 구비되고, 제2레버와 다른 광투과율을 가진 광투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투과부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잼 제거용 커버의 하부에는 가압구가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가압구의 일측에는 가압리브가 돌출되며, 가압리브에 의해 제2레버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은 개별적인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배지 적재부와 상기 배지 적재부에 설치되는 이상에서 설명한 배지의 만재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지의 용지 만재 감지 방법은 제1레버가 배지의 적재동작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제2레버가 상기 제1레버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움직이는 단계; 광센서가 상기 제2레버의 양방향 회전에 대해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단계; 및 풀 로딩 상태와 잼 제거를 위해 커버를 오픈한 상태에서 일반 상태와 다른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풀 로딩 또는 젬 제거 커버가 오픈될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만재감지장치는 배지 적재부(110) 상에 적재되는 배지와 접촉하는 제1레버(120), 제1레버(120)와 접촉하는 제2레버(130), 및 제2레버(130)와 근접하게 설치된 광센서(14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는 그 본체(100) 내에 구비된 화상형성유닛(미도시)에 의해 용지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상을 형성시킨 후에 정착유닛(170)을 통해 기록매체 상에 그 화상을 정착시킨다. 이하에서, 화상이 정착된 기록매체를 '배지(exit paper)'라 하고, 이 배지(P)는 배지유닛(180)을 통해 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된 배지 적재부(110) 상에 적재된다.
제1레버(120)는 본체(100) 내의 배지유닛(180)에 인접한 부분에서 샤프트(120c)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단부(120a)는 배지 적재부(110) 위에 적재되는 배지(P)의 최상층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며, 즉 제1레버(120)의 일측단부(12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적재부(110)에 적재되는 배지(P)와 접촉되는 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지만, 배지(P)가 만재상태가 될 경우에만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레버(120)의 타측단부(120b)는 제2레버(130)의 일측단부(130a)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타측단부(120b)는 그 상부면이 폐쇄된 상태의 잼 제거용 커버(210)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있으며, 이 잼 제거용 커버(210)는 본체(100)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레버(120)는 그 일측단부(120a)의 중량이 그 타측단부(120b)의 중량 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잼 제거용 커버(210)가 개방될 경우, 제1레버(120)의 타측단부(120b)를 누르는 외력이 제거되면 그 일측단부(120a)의 자중에 의해 제1레버(120)는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2레버(130)는 그 일측단부(130a)가 제1레버(120)의 타측단부(120b)에 연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본체(100) 내에 샤프트(130c)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제2레버(130)의 타측단부(130b)에는 광센서(140)가 인접하여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레버(130)는 타측단부(130d)의 중량은 일측단부(130a)의 중량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잼 제거용 커버(210)가 개방되어, 제1레버(120)가 그 일측단부(120a)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제2레버(130)도 하방으로 회동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 및 제2 레버(120, 130)의 연동구조는 제1레버(120)의 타측단부(120b)가 제2레버(130)의 일측단부(130a)에 접촉되어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레버(120)의 타측단부(120b)와 제2레버(130)의 일측단부(130a)가 링크결합된 링크연결구조도 무방할 것이며, 그외에 제1 및 제2 레버(120, 130)가 상호 연동하는 구조이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2레버(130)의 타측단부(130b)에는 광투과부(130d)가 구비되고, 이 광투과부(130d)는 제2레버(130)와는 다른 광투과율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제2레 버(130)가 광센서(140)의 광로상에서 회동함에 따라 소정의 광량변화율이 검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투과부(130d)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광센서(140)의 광량변화율 감지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광센서(140)는 발광부(140a) 및 수광부(140b)를 구비하고, 이 발광부(140a) 및 수광부(140b) 사이의 광로 상에서 상기 제2레버(130)의 타측단부(130b)가 회동함에 따라 광량 변화율을 감지함으로써 배지 적재부(11)의 만재여부 및 잼 제거용 커버(210)의 개방감지를 동시에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광센서(140)는 동일 광축 상에 발광부(140a) 및 수광부(140b)가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 발광형 포토센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지만, 본 발명의 광센서는 발광형 포토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그외 미러 반사형 포토센서,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광센서가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잼 제거용 커버(210)가 본체(100) 측에 폐쇄된 상태에서 정착유닛(170) 및 배지유닛(18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배지(P)는 배지 적재부(110) 상에 적재되고, 이렇게 배지 적재부(110) 상에 적재된 배지(P)는 제1레버(120)의 일측단부(120a)에 접촉 또는 비접촉한다. 이와 같이, 배지(P)가 아직 만재상태가 아니고 잼 제거용 커버(2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레버(120, 130)는 그 설정된 기준위치를 유지한다.
이런 상태에서 그 배출되는 배지(P)의 적재량이 증가하여 만재상태가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120)의 일측단부(120a)가 배지(P)의 적재작동에 의해 상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레버(120)는 샤프트(120c)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레버(120)의 타측단부(120b)는 제2레버(130)의 일측단부(130a)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레버(130)의 일측단부(130a)는 하향 이동하고, 제2레버(130)는 그 샤프트(130c)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레버(130)의 타측단부(130b)는 광센서(140)의 발광부(140a) 및 수광부(140b) 사이의 광로 상에서 상향으로 회동하고, 광센서(140)는 제2레버(130)의 타측단부(130b)의 광투과부(130d)를 투과하는 광량을 통해 그 변화율을 감지한다. 이때 감지된 광량 변화율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펄스파형의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도 7는 배지 적재부(110)의 배지(P)가 만재 상태일 때의 전압신호를 나타낸 도면으로, 배지(P)가 만재상태가 되면 ON신호가 검출되고, 배지(P)의 만재상태가 해제되면 OFF신호가 검출된다.
다음,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 내의 정착유닛(170) 또는 배지롤러(180) 측에 배출되는 배지의 잼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잼 제거용 커버(210)를 개방하여 그 잼된 배지를 제거한다.
이렇게 잼 제거용 커버(210)를 개방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잼 제거용 커버(210)에 의해 눌려져 있던 제1레버(120)의 타측단부(120b)는 상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레버(120)는 그 샤프트(120c)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레버(120)의 일측단부(120a)는 하향 이동한다. 그리고, 제1레버(120)의 타측단부(120b)에 의 해 눌려져 있던 제2레버(130)의 일측단부(130a)는 상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레버(130)는 그 샤프트(130c)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레버(130)의 타측단부(130b)가 하향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레버(130)의 타측단부(130b)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광센서(140)의 발광부(140a) 및 수광부(140b) 사이의 광로를 벗어나면 광센서(140)는 빈 공간으로 광을 투과하여 그 광량의 변화율을 감지한다. 이때 감지된 광량 변화율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펄스파형의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도 8은 잼 제거용 커버(210)가 개방된 상태일 때의 전압신호를 나타낸 도면으로, 잼 제거용 커버(210)가 개방되면 ON신호가 검출되고, 잼 제거용 커버(210)가 폐쇄되면 OFF신호가 검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배지(P)의 만재상태일 경우에 감지된 광량변화율(도 7 참조)이 잼 제거용 커버(210)의 개방상태일 경우에 감지된 광량변화율(도 8 참조) 보다 작게 검출된다.
즉, 본 실시예는 단일의 광센서(140)에 의해 배지(P)의 만재상태일 경우와 잼 제거용 커버(210)의 개방상태일 경우 각각에 그 광량변화율이 서로 다른 값으로 검출됨에 따라 종래기술과 달리 해석이 중첩될 염려가 없이 개별적인 판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배지의 만재감지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 기능을 개별적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만재감지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만재감지장치는 배지 적재부(510) 상에 적재되는 배지와 접촉하는 제1레버(520), 제1레버(520)와 접촉하는 제2레버(530), 및 제2레버(530)와 근접하게 설치된 광센서(540)를 포함한다.
제1레버(520)는 본체(500) 내의 배지유닛(580)에 인접한 부분에서 샤프트(520c)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단부(520a)는 배지 적재부(510) 위에 적재되는 배지(P)의 최상층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며, 즉 제1레버(520)의 일측단부(52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적재부(510)에 적재되는 배지(P)와 접촉되는 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지만, 배지(P)가 만재상태가 될 경우에만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레버(520)의 타측단부(520b)는 제2레버(530)의 일측단부(530a)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레버(520) 및 제2레버(530)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는 가압부재(660)가 탄성부재(665)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고, 이 가압부재(660)의 상부면은 폐쇄된 상태의 잼 제거용 커버(610)와 접촉하며, 잼 제거용 커버(610)는 본체(500) 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부재(660)의 일측에는 가압리브(680)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이 가압리브(680)는 제2레버(530)의 일측단부(530a) 하부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가압부재(660) 및 가압리브(680)은 잼 제거용 커버(610)가 개방될 경우, 제1 및 제2 레버(520, 530) 각각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레버(530)는 그 일측단부(530a)가 제1레버(520)의 타측단부(520b)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본체(500) 내에 샤프트(530c)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제2레버(530)의 타측단부(530b)에는 광센서(540)가 인접하여 배치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 제1 및 제2 레버(520, 530)의 연동구조는 제1레버(520)의 타측단부(520b)가 제2레버(530)의 일측단부(530a)에 접촉되어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레버(520)의 타측단부(520b)와 제2레버(530)의 일측단부(530a)가 링크결합된 링크연결구조도 무방할 것이며, 그외에 제1 및 제2 레버(520, 530)가 상호 연동하는 구조이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2레버(530)의 타측단부(530b)에는 광투과부(530d)가 구비되고, 이 광투과부(530d)는 제2레버(530)와는 다른 광투과율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제2레버(530)가 광센서(540)의 광로상에서 회동함에 따라 소정의 광량변화율이 검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투과부(530d)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광센서(540)의 광량변화율 감지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광센서(540)는 발광부(540a) 및 수광부(540b)를 구비하고, 이 발광부(540a) 및 수광부(540b) 사이의 광로 상에서 상기 제2레버(530)의 타측단부(530b)가 회동함에 따라 광량 변화율을 감지함으로써 배지 적재부(510)의 만재여부 및 잼 제거용 커버(610)의 개방감지를 동시에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광센서(540)는 동일 광축 상에 발광부(540a) 및 수광부(540b)가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 발광형 포토센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 되어지만, 본 발명의 광센서는 발광형 포토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그외 미러 반사형 포토센서,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광센서가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잼 제거용 커버(610)가 본체(500) 측에 폐쇄된 상태에서 정착유닛(570) 및 배지유닛(58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배지(P)는 배지 적재부(510) 상에 적재되고, 이렇게 배지 적재부(510) 상에 적재된 배지(P)는 제1레버(520)의 일측단부(520a)에 접촉 또는 비접촉한다. 이와 같이, 배지(P)가 아직 만재상태가 아니고 잼 제거용 커버(6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레버(520, 530)는 그 설정된 기준위치를 유지한다.
이런 상태에서 그 배출되는 배지(P)의 적재량이 증가하여 만재상태가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520)의 일측단부(520a)가 배지(P)의 적재작동에 의해 상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레버(520)는 샤프트(520c)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레버(520)의 타측단부(520b)는 제2레버(530)의 일측단부(530a)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레버(530)의 일측단부(530a)는 하향 이동하고, 제2레버(530)는 그 샤프트(530c)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레버(530)의 타측단부(530b)는 광센서(540)의 발광부(540a) 및 수광부(540b) 사이의 광로 상에서 상향으로 회동하여 타측단부(530b)의 광투과부(530d)가 이 광로 상에 위치하게 되고, 광센서(540)는 이 광투과부(530d)를 투과하는 광량의 변화율을 감지한다. 이때 감지된 광량 변화율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펄스파형의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도 7는 배지 적재부(510)의 배지(P)가 만재 상태일 때의 전압신호를 나타낸 도면으로, 배지(P)가 만재상태가 되면 ON신호가 검출되고, 배지(P)의 만재상태가 해제되면 OFF신호가 검출된다.
다음, 화상형성장치의 본체(500) 내의 정착유닛(570) 또는 배지롤러(580) 측에 배출되는 배지의 잼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잼 제거용 커버(610)를 개방하여 그 잼된 배지를 제거한다.
이렇게 잼 제거용 커버(610)를 개방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잼 제거용 커버(610)에 의해 눌려져 있던 가압부재(660)는 탄성부재(665)에 의해 상향으로 편향력을 받아 상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압리브(680)는 제2레버(530)의 일측단부(530a) 하부면을 상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레버(530)는 그 샤프트(530c)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레버(530)의 타측단부(530b)가 하향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레버(530)의 타측단부(530b)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광센서(540)의 발광부(540a) 및 수광부(540b) 사이의 광로를 벗어나면 광센서(540)는 빈 공간으로 광을 투과하여 그 광량 변화율을 감지한다. 이때 감지된 광량 변화율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펄스파형의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도 8은 잼 제거용 커버(610)가 개방된 상태일 때의 전압신호를 나타낸 도면으로, 잼 제거용 커버(610)가 개방되면 ON신호가 검출되고, 잼 제거용 커버(610)가 폐쇄되면 OFF신호가 검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배지(P)의 만재상태일 경우에 감지된 광량변화율(도 7 참조)이 잼 제거용 커버(610)의 개방상태일 경우에 감지된 광량변화율(도 8 참조) 보다 작게 검출된다.
즉, 본 실시예는 단일의 광센서(540)에 의해 배지(P)의 만재상태일 경우와 잼 제거용 커버(610)의 개방상태일 경우 각각에 그 광량변화율이 서로 다른 값으로 검출됨에 따라 종래기술과 달리 해석이 중첩될 염려가 없이 개별적인 판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배지의 만재감지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 기능을 개별적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지(P)가 만재된 상태의 ON신호와 잼 제거용 커버(210, 610)가 개방된 상태의 ON신호가 서로 다른 값으로 검출됨으로써, 배지(P)의 만재상태 및 잼 제거용 커버(210, 610)의 개방 상태를 독립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단일의 센서(140, 540)를 이용하여 만재감지 뿐만 아니라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 기능을 모두 수용함으로써, 그 감지구조를 단순화시킴과 더불어 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단순한 만재감지 및 잼 제거용 커머의 개방감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각종 작동 오류를 최소화하여 제품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만재감지장치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장치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만재감지 뿐만 아니라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감지 기능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배지 적재부 측에 보다 단순한 감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동 오류를 최소화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배지의 적재 작동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기준 위치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버; 및
    상기 레버의 각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광센서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광투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일측단부가 배지 적재부 상에 적재되는 배지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된 제1레버, 및
    제1레버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레버를 포함하고;
    제1레버 및 제2레버는 연동가능하게 회동되며,
    제2레버는 광센서와 인접하는 부분에 제2레버와 다른 광투과율을 가진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의 타측단부는 잼 제거용 커버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잼 제거용 커버의 하부에는 가압구가 탄성적으로 설치되고, 이 가압구의 일측에는 가압리브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7. 배지의 적재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레버;
    상기 제1레버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레버;
    상기 제2레버의 양방향 회전에 대해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제2레버의 광센서와 근접하는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와 다른 광투과율을 가진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는 그 일측단부가 배지 적재부에 적재되는 배지에 접촉가능하고, 그 타측단부는 본체 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잼 제거용 커버와 접촉함으로써, 배지의 적재 작동 및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 작동에 의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은 개별적인 전압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11. 배지의 적재작동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레버;
    상기 제1레버의 회동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하고,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레버;
    상기 제2레버의 양방향 회동작동에 의해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제2레버의 광센서와 인접하는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레버와 다른 광투과율을 가진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반투명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잼 제거용 커버의 하부에는 가압구가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구의 일측에는 가압리브가 돌출되며, 상기 가압리브에 의해 상기 제2레버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은 개별적인 전압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15. 제1레버가 배지의 적재동작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잼 제거용 커버의 개방작동에 의해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제2레버가 상기 제1레버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움직이는 단계;
    광센서가 상기 제2레버의 양방향 회전에 대해 서로 다른 광량 변화율을 감지하는 단계; 및
    풀 로딩 상태와 잼 제거를 위해 커버를 오픈한 상태에서 일반 상태와 다른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만재 감지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풀 로딩 또는 젬 제거 커버가 오픈될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만재 감지방법.
  17. 인쇄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 적재부; 및
    상기 배지 적재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지의 만재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105952A 2005-11-07 2005-11-07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793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52A KR100793954B1 (ko) 2005-11-07 2005-11-07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509,593 US7558493B2 (en) 2005-11-07 2006-08-25 Full-loading sens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A2006101439971A CN1962383A (zh) 2005-11-07 2006-11-07 用于成像装置的满载检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52A KR100793954B1 (ko) 2005-11-07 2005-11-07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897A KR20070048897A (ko) 2007-05-10
KR100793954B1 true KR100793954B1 (ko) 2008-01-16

Family

ID=3800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952A KR100793954B1 (ko) 2005-11-07 2005-11-07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58493B2 (ko)
KR (1) KR100793954B1 (ko)
CN (1) CN19623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8395B2 (ja) * 2006-03-31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44771A (ja) * 2006-08-21 2008-02-28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986420B2 (en) * 2006-11-29 2011-07-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nsing paper jam, out-of-paper, and cover open in a printer
KR101059822B1 (ko) * 2007-03-27 201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400654B2 (ja) * 2007-06-29 2010-0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90105044A (ko) * 2008-04-01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기기
JP5590739B2 (ja) * 2010-11-04 2014-09-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記録媒体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42752B2 (ja) * 2012-09-28 2016-06-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シート積載検出方法、シート積載検出プログラム、及び該シート排出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855141B2 (ja) * 2013-01-31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16500B2 (ja) * 2014-02-28 2017-04-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画像形成装置
CN108136797B (zh) * 2015-10-30 2020-03-1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传感器装置
JP6685746B2 (ja) * 2016-02-09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6494923B (zh) * 2016-12-19 2017-12-01 江阴新基电子设备有限公司 料盘储存装置
JP6690594B2 (ja) * 2017-04-20 2020-04-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後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36A (ja) * 1995-07-07 1997-01-21 Canon Inc シート集積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177911A (ja) * 1998-12-11 2000-06-27 Ricoh Co Ltd シート積載装置
JP2002167119A (ja) * 2000-12-05 2002-06-11 Sharp Corp 用紙排出検出装置
KR20040021159A (ko) * 2002-09-02 200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배지커버 열림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9334A (ja) * 1996-03-14 1997-09-22 Canon Inc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ファクシミリ装置
JP3737196B2 (ja) 1996-06-17 2006-01-1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住宅の水平ブレース配置方法
JPH1059230A (ja) 1996-08-13 1998-03-03 Fukuyama Gomme Kogyo Kk ゴムクローラ
JPH1135226A (ja) * 1997-07-18 1999-02-09 Fujitsu Ltd 排出媒体検出装置及びこの装置を有する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3716810B2 (ja) * 2002-04-09 2005-11-16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05004122A (ja) * 2003-06-16 2005-0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811950B2 (ja) 2003-07-17 2006-08-23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36A (ja) * 1995-07-07 1997-01-21 Canon Inc シート集積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177911A (ja) * 1998-12-11 2000-06-27 Ricoh Co Ltd シート積載装置
JP2002167119A (ja) * 2000-12-05 2002-06-11 Sharp Corp 用紙排出検出装置
KR20040021159A (ko) * 2002-09-02 200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배지커버 열림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897A (ko) 2007-05-10
US20070104497A1 (en) 2007-05-10
US7558493B2 (en) 2009-07-07
CN1962383A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954B1 (ko)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80428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055619B2 (ja)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シートサイズ検知方法
KR101185559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79170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ensor blocking device
US7568851B2 (en) Sheet package with identification mark and printer using the same
JP2007153541A (ja) パッケージ材
US7391981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18604B2 (en) Multifunction senso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2002149009A (ja) 透明被記録体、画像形成装置、及び、被記録体の種類を識別する装置
JP4750684B2 (ja) 媒体検出レバー及び画像形成装置
JP6658647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403722B2 (en) Integrated media and media tray sensing in an image forming device
JPH03223628A (ja) 蓄積容器の検出装置
JP6937991B2 (ja)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825397A (en) Color thermal printer and optical fixing device therefor
JP200430994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13357A (ja) 給紙装置
JP7469895B2 (ja) プリンタおよび媒体搬送装置
JPH11116097A (ja) 画像形成装置
JP3891970B2 (ja) 画像形成装置
JP5861422B2 (ja) 記録装置
JP5195579B2 (ja) インク供給装置
JP20240782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09774A (ja) 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