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822B1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822B1
KR101059822B1 KR1020070029515A KR20070029515A KR101059822B1 KR 101059822 B1 KR101059822 B1 KR 101059822B1 KR 1020070029515 A KR1020070029515 A KR 1020070029515A KR 20070029515 A KR20070029515 A KR 20070029515A KR 101059822 B1 KR101059822 B1 KR 10105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per
hole
outpu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384A (ko
Inventor
심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822B1/ko
Priority to EP08152432A priority patent/EP1974937A3/en
Priority to US12/045,800 priority patent/US20080240744A1/en
Priority to JP2008073926A priority patent/JP4966235B2/ja
Priority to CN2008101277815A priority patent/CN101303547B/zh
Publication of KR2008008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복수 인쇄 프로세스를 총괄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광 센서의 출력을 가변하기 위한 출력 조절부를 구비한다. 출력 조절부는 용지 카세트에 수용하는 용지의 유무를 인식하기 위한 제 1액츄에이터와 용지 이송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용지 유무 및 용지 이송 여부를 인식할 수 있어서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광 센서의 설치에 따른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용지 카세트, 광센서, 용지 이송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유무에 따라 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이송 여부에 따라 광을 차단하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 있고 용지 이송을 하지 않은 경우 광로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발광부
20 : 수광부
30 : 제 1액츄에이터
40 : 제 2액츄에이터
50 : 광 안내부
본 발명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 프로세스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개선함으로서 구성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용지 카세트를 본체에 장착하고, 용지 카세트의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며,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픽업한 용지를 이송하는 등과 같이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 인쇄 프로세서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정해진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인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인쇄 작업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각 인쇄 프로세스의 활성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한 전형적인 예로서 제어부는 용지 카세트에 용지가 있는지를 인식하여 용지가 없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용지 이송 여부를 인식하여 잼 발생 여부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용지의 유무, 용지의 이송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인쇄 프로세스 등을 인식하기 위하여 광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2004-0060364호에는 폐 토너통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폐 토너통을 통과한 광의 수광량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수광부를 이용하여 폐 토너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기존 방법에 따르면 각 인쇄 프로세스에 대하여 광 센서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도록 하고 있어서, 인식하고자 하는 인쇄 프로세스가 많아질 수록 요구되는 광 센서의 개수가 증가할 수 밖에 없으므로 그로 인하여 경제적 부담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광 센서의 설치 작업이 늘어나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작업을 위한 복수 인쇄 프로세스에 대하여 광 센서의 출력에 따라 총괄적으로 인식하도록 개선함으로서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인쇄 프로세스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복수 인쇄 프로세스의 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광센서의 출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출력 조절부; 및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따라 인쇄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조절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받는 광의 양이 다르도록 상기 발광부의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출력 조절부는, 제 1 쉴딩 플레이트와 제 1 관통 홀을 갖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쉴딩 플레이트와 제 2 관통 홀을 갖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하거나 또는 모두 통과하지 않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마련된다.
삭제
상기 발광부의 광을 상기 수광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광로에 마련하는 광 안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 안내부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공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는 용지의 유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광을 차단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용지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광을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의 출력 크기에 따라 용지의 유무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의 출력 크기에 따라 용지 이송 여부를 인식한다.
상기 복수 인쇄프로세스는 용지의 유무를 검사하고 용지의 이송 여부를 검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 상기 발광부의 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광로에 마련하는 광 안내부; 용지의 유무 및 용지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광로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광 센서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출력 조절부; 및 상기 광센서의 출력 크기에 따라 상기 용지의 유무를 표시하고 상기 용지의 이송 여부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조절부는, 제 1 쉴딩 플레이트와 제 1 관통 홀을 갖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쉴딩 플레이트와 제 2 관통 홀을 갖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하거나 또는 모두 통과하지 않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용지의 유무에 따라 상기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용지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제1 및 제2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광로의 모양이 실질적으로 바뀐다.
상기 광 안내부는 상기 발광부의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공과, 상기 제1 및 제2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광로에 위치하기 위 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을 가진다.
삭제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차단판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차단판에 형성된 제2관통공은 광로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어긋나 있다.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 2관통공의 크기는 다르고,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 2관통공이 광로에 모두 위치할 경우 서로 겹치는 공통공간을 갖는다.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공통공간을 통과하는 광의 양은 서로 다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인쇄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의 일측과 타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사하는 단계; 상기 복수 인쇄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수광부의 출력을 가변하는 단계; 및 상기 수광부의 출력에 따라 인쇄 프로세스를 인식하여 인쇄 작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쉴딩 플레이트와 제 1 관통 홀을 갖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쉴딩 플레이트와 제 2 관통 홀을 갖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하거나 또는 모두 통과하지 않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광부의 출력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의 광을 상기 수광부로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프로세스의 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광로를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 작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광부의 출력 크기와 복수 인쇄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기준값들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로의 일측과 타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광부에 방사하는 광을 상기 수광부로 안내하는 단계; 용지 카세트에 수용하는 용지의 유무에 따라 상기 수광부로 안내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용지 카세트에 수용하는 용지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수광부로 안내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수광부에서 받는 광의 양에 따라 출력 전압을 가변하는 단계; 및 상기 수광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용지의 유무를 표시하고 상기 용지의 이송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쉴딩 플레이트와 제 1 관통 홀을 갖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쉴딩 플레이트와 제 2 관통 홀을 갖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하거나 또는 모두 통과하지 않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작업을 위한 복수 인쇄 프로세스를 총괄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광 센서를 이용한다. 여기서 인쇄 프로세스라고 함은 특정 인쇄 결과물을 얻기 위해 하나로 결합된 일련의 인쇄 작업들의 묶음이고, 복수의 인쇄 프로세스는 서로 다른 인쇄 결과물을 얻기 위한 서로 다른 인쇄 프로세스들이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용지 카세트에 수용하는 용지의 유무, 용지 이송 여부 등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광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 프로세스를 인식하는 임의의 동작에 적용이 가능함은 충분히 예견되는 사항으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치 내부의 작업 공간에 마련하는 하나의 광 센서(10)(20)를 구비한다.
광 센서는 발광부(10)와 수광부(20)를 포함한다.
발광부(10) 및 수광부(20)는 서로 마주보게 광로의 일단과 타단에 설치되게 한다. 발광부(10)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하고, 수광부(20)는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현할 수 있다.
발광부(10)에서 방사하는 광은 수광부(20)에 전달된다. 수광부(20)는 발광부(10)의 광을 받아서 출력하는데, 수광량에 따라 출력 전압을 가변한다.
발광부(10)와 수광부(20) 사이에 발광부의 광을 수광부로 안내하기 위한 광 안내부(50)를 위치한다. 광 안내부(50)를 구비하지 않아도 발광부(10)의 광을 수광부(20)에 전달할 수 있지만 광의 전달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이 점을 고려한다면 발광부(10)와 수광부(20)의 사이를 매우 가까이 설치해야 광센서의 출력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광 안내부(50)는 발광부의 광을 안내하기 위한 3개의 안내공(53)이 몸체(51)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내공(53)들을 사이에는 2개의 안내홈(52a)(52b)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공(53)들은 발광부(10)에서 수광부(20)까지의 광로가 그 안내공의 중심축을 지나가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복수 인쇄 프로세스를 총괄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광 센서의 출력을 가변하기 위한 출력 조절부(30)(40)를 구비한다.
출력 조절부는 용지 카세트에 수용하는 용지의 유무를 인식하기 위한 제 1액츄에이터(30)와 용지 이송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40)를 포함한다.
도 2a를 참고하여, 제 1액츄에이터(30)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축(31)와 힌지축(31)에 연동하고 용지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32), 그 받침대(32)에서 연장되는 일단과 힌지축(31)의 회전에 따라 제1안내홈(52a)을 출입하는 제1차단판(33a)이 형성되는 연결부재(33)로 구성된다.
제1차단판(33a)에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의 제1관통공(34)이 형 성되어 있다.
용지가 있으면 제1차단판(33a)은 제1안내홈(52a) 안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안내공(53)을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광의 일부는 제1차단판(33a)에 의해 차단됨과 아울러 제1관통공(34)를 통해 통과시키도록 한다.
인쇄 작업을 지속함에 따라 용지 카세트(1)에 수용되는 용지(2)가 없어지는 경우 받침판32)이 하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차단판(33a)은 화살표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차단판(33a)은 제1안내홈(52a) 밖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광은 차단되지 않고 안내공(53)을 통과하게 된다.
도 2b를 참고하여, 제 2액츄에이터(40)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축(41)와 힌지축(41)에 고정되어 용지 이송 에 따라 연동하는 걸림대(32), 그 걸림대(42)의 회전에 따라 제2안내홈(52b)을 출입하는 제2차단판(43a)이 형성되는 연결부재(43)로 구성된다.
제2차단판(43a)에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의 제2관통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용지 이송을 하지 않으면 제2차단판(43a)은 제2안내홈(52b) 안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안내공(53)을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광의 일부는 제2차단판(43a)에 의해 차단됨과 아울러 제2관통공(44)를 통해 통과시키도록 한다.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용지 이송하는 경우 이송되는 용지가 걸림대(42)를 치고 나감에 따라 힌지축(41)은 화살표 방향(B)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차단판(43a)은 제2안내홈(52b) 밖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광은 차단되지 않고 안내공(53)을 통과하게 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2)가 있으며 용지 이송이 없는 경우 제1차단판(33a)은 제1안내홈(52a) 안에 위치하고 제2차단판(43a)은 제2안내홈(52b) 안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제1차단판(33a)에 형성된 제1관통공(34)과 제2차단판(43a)에 형성된 제2관통공(44)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면서 광로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어긋나 있어서 서로 겹치는 부분(54)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액츄에이터(30)의 동작과 제2액츄에이터(40)의 동작에 따라 제1차단판(33a)과 제2차단판(43a)의 위치가 결정됨에 따라 안내공(53)을 통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동작이 차별된다. 즉 제1 및 제2차단판(33a)(43a)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광을 차단하는 경우, 제1 및 제2차단판(33a)(43a) 모두가 광을 차단하거나 차단하지 않는 경우 등 모두 4가지의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 대응하여 광로의 모양이 다르고 그 광로의 모양에 따라 수광부(20)에 전달되는 광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수광부(20)의 출력 전압이 변화하게 된다.
도 3b를 참고하면, 제1액츄에이터(30)의 동작과 제2액츄에이터(40)의 동작에 따른 광로의 모양은 용지가 있고 용지 이송하지 않아 제1 및 제2차단판(33a)(43a)이 모두 광을 차단함에 따라 공통 부분(54)을 통해서 광을 통과하는 경우(61), 용지가 있고 용지 이송하여 제1차단판(33a)만이 광을 차단함에 따라 제1관통공(34)을 통해서 광을 통과하는 경우(62), 용지가 없고 용지 이송하지 않아 제2차단판(43a)만이 광을 차단함에 따라 제2관통공(44)을 통해서 광을 통과하는 경우(63), 용지가 없고 용지 이송하여 제1 및 제2차단판(33a)(43a)이 모두 광을 차단하지 않음에 따 라 안내공(53)을 통해서 광을 통과하는 경우(64)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관계를 다음의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용지 유무 용지 이송 여부 수광부 광로의 모양
수광량 출력전압
용지 없음 용지 이송함 L1 V4
Figure 112007023832728-pat00001
용지 없음 용지 이송하지 않음 L2 V3
Figure 112007023832728-pat00002
용지 있음 용지 이송함 L3 V2
Figure 112007023832728-pat00003
용지 있음 용지 이송하지 않음 L4 V1
Figure 112007023832728-pat00004
여기서 수광량은 L1>L2>L3>L4, 출력 전압은 V1>V2>V3>V4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수광부(20)의 출력 전압을 제어부(80)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70), 변환부(70)에 의해 변환된 출력 전압을 제공받아 저장부(110)에 저장된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용지의 유무 및 용지 이송 여부를 인식하는 제어부(80),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용지의 유무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90),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용지 이송을 위한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이송 롤러들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100)를 포함한다.
수광부(20)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용지의 없음을 인식하는 제어부(80)는 사용자가 확인하여 용지 카세트에 용지를 보급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표시부(90)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수광부(20)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용지의 없음을 인식하는 제어부(80)는 미리 설정한 타이밍에 따라 용지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100)를 제어하여 모터를 구동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광부(10)는 광을 방사한다(200). 용지의 유무 및 용지 이송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 2액츄에이터(30)(40)에 의한 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수광부(20)에 전달되는 수광량에 출력 전압이 가변된다(202).
변환부(70)는 수광부(20)의 출력 전압(Vp)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제공한다(204).
제어부(80)는 출력 전압(Vp)이 제1기준값(V1)보다 작은지 판단하고(206), 그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1기준값(V1)보다 작으면 다시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1기준값(V1)보다 작지 않으면 제어부(80)는 출력 전압(Vp)이 제1기준값(V1)보다 작지 않고 제2기준값(V2)보다 작은지 판단한다(208).
동작 208의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1기준값(V1)보다 작지 않고 제2기준값(V2)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80)는 용지 있음을 표시부(90)를 통하여 표시하고, 용지 이송되지 않음을 인식한다(210).
동작 208의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1기준값(V1)보다 작지 않고 제2기준값(V2)보다 작은 경우가 아니면, 제어부(80)는 출력 전압(Vp)이 제2기준값(V2)보다 작지 않고 제3기준값(V3)보다 작은지 판단한다(212).
동작 212의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2기준값(V2)보다 작지 않고 제3기준값(V3)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80)는 용지 있음을 표시부(90)를 통하여 표시하고, 용지 이송됨을 인식한다(214).
동작 212의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2기준값(V2)보다 작지 않고 제3기준값(V3)보다 작은 경우가 아니면, 제어부(80)는 출력 전압(Vp)이 제3기준값(V3)보다 작지 않고 제4기준값(V4)보다 작은지 판단한다(216).
동작 216의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3기준값(V3)보다 작지 않고 제4기준값(V4)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80)는 용지 없음을 표시부(90)를 통하여 표시하고, 용지 이송되지 않음을 인식한다(218).
동작 216의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3기준값(V3)보다 작지 않고 제4기준값(V4)보다 작은 경우가 아니면 제어부(80)는 출력 전압(Vp)이 제4기준값(V3)보다 큰지 판단한다(220). 그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4기준값(V3)보다 크지 않으면 동작 206로 진행하고 그 판단 결과 출력 전압(Vp)이 제4기준값(V3)보다 크면 제어부(80)는 용지 없음을 표시부(90)를 통하여 표시하고, 용지 이송됨을 인식한다(22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광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복수 인쇄 프로세스를 총 괄적으로 인식하므로 구성하는 광 센서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광 센서의 설치에 따른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복수 인쇄 프로세스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
    상기 복수 인쇄 프로세스의 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광센서의 출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출력 조절부; 및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따라 인쇄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조절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받는 광의 양이 다르도록 상기 발광부의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출력 조절부는, 제 1 쉴딩 플레이트와 제 1 관통 홀을 갖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쉴딩 플레이트와 제 2 관통 홀을 갖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하거나 또는 모두 통과하지 않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광을 상기 수광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광로에 마련하는 광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부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공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용지의 유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광을 차단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용지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광을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의 출력 크기에 따라 용지의 유무를 표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센서의 출력 크기에 따라 용지 이송 여부를 인식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인쇄프로세스는 용지의 유무를 검사하고 용지의 이송 여부를 검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광로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
    상기 발광부의 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광로에 마련하는 광 안내부;
    용지의 유무 및 용지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광로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광 센서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출력 조절부; 및
    상기 광센서의 출력 크기에 따라 상기 용지의 유무를 표시하고 상기 용지의 이송 여부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조절부는, 제 1 쉴딩 플레이트와 제 1 관통 홀을 갖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쉴딩 플레이트와 제 2 관통 홀을 갖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하거나 또는 모두 통과하지 않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용지의 유무에 따라 상기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용지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광로의 모양이 실질적으로 바뀌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부는 상기 발광부의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공과, 상기 제1 및 제2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광로에 위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을 가지는 화상 형성장치.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차단판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차단판에 형성된 제2관통공은 광로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어긋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 2관통공의 크기는 다르고,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 2관통공이 광로에 모두 위치할 경우 서로 겹치는 공통공간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공통공간을 통과하는 광의 양은 서로 다른 화상 형성 장치.
  17. 복수 인쇄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의 일측과 타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사하는 단계;
    상기 복수 인쇄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수광부의 출력을 가변하는 단계; 및
    상기 수광부의 출력에 따라 인쇄 프로세스를 인식하여 인쇄 작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쉴딩 플레이트와 제 1 관통 홀을 갖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쉴딩 플레이트와 제 2 관통 홀을 갖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하거나 또는 모두 통과하지 않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의 출력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의 광을 상기 수광부로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프로세스의 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광로를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작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광부의 출력 크기와 복수 인쇄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기준값들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20. 광로의 일측과 타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발광부에 방사하는 광을 상기 수광부로 안내하는 단계;
    용지 카세트에 수용하는 용지의 유무에 따라 상기 수광부로 안내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용지 카세트에 수용하는 용지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수광부로 안내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수광부에서 받는 광의 양에 따라 출력 전압을 가변하는 단계; 및
    상기 수광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용지의 유무를 표시하고 상기 용지의 이송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쉴딩 플레이트와 제 1 관통 홀을 갖는 제 1 액추에이터와, 제 2 쉴딩 플레이트와 제 2 관통 홀을 갖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모두 통과하거나 또는 모두 통과하지 않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70029515A 2007-03-27 2007-03-27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5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515A KR101059822B1 (ko) 2007-03-27 2007-03-27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08152432A EP1974937A3 (en) 2007-03-27 2008-03-07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US12/045,800 US20080240744A1 (en) 2007-03-27 2008-03-1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JP2008073926A JP4966235B2 (ja) 2007-03-27 2008-03-21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08101277815A CN101303547B (zh) 2007-03-27 2008-03-21 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515A KR101059822B1 (ko) 2007-03-27 2007-03-27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384A KR20080087384A (ko) 2008-10-01
KR101059822B1 true KR101059822B1 (ko) 2011-08-26

Family

ID=3962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515A KR101059822B1 (ko) 2007-03-27 2007-03-27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40744A1 (ko)
EP (1) EP1974937A3 (ko)
JP (1) JP4966235B2 (ko)
KR (1) KR101059822B1 (ko)
CN (1) CN1013035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9489A (ja) 2009-07-17 2011-02-24 Nitto Denko Corp 光導波路装置の製造方法
JP5671918B2 (ja) * 2010-09-30 2015-02-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1283A1 (en) * 2002-09-18 2004-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detecting apparatus for duplex image form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245U (ko) * 1984-12-19 1986-07-09
DE3510704A1 (de) * 1985-03-23 1986-09-25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Optisches messgeraet
JPH01172146A (ja) * 1987-12-28 1989-07-07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原稿検出装置
JPH0859071A (ja) * 1994-08-24 1996-03-05 Canon Inc シート状媒体搬送装置
JPH08217326A (ja) * 1995-02-08 1996-08-27 Funai Electric Co Ltd 印字装置における用紙検知装置
JPH09202491A (ja) * 1996-01-29 1997-08-05 Fujitsu Ltd 用紙送出機構
JP3434144B2 (ja) * 1996-10-09 2003-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
JP4686843B2 (ja) * 1999-12-06 2011-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用の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記録装置
US6292636B1 (en) * 2000-05-18 2001-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detect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US6804474B2 (en) * 2001-07-24 2004-10-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977720B2 (ja) * 2002-10-18 2007-09-1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
JP4093850B2 (ja) * 2002-12-03 2008-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式物体識別装置、それを用いた印刷装置および物体種類分類装置
KR100457540B1 (ko) 2002-12-30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918526B2 (en) * 2005-10-06 2011-04-05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and method preventing false detection of a detected object
KR100717042B1 (ko) * 2005-10-1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지부의 공간 확장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0793954B1 (ko) * 2005-11-07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지의 만재감지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1283A1 (en) * 2002-09-18 2004-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detecting apparatus for duplex image form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40744A1 (en) 2008-10-02
CN101303547B (zh) 2011-05-04
KR20080087384A (ko) 2008-10-01
EP1974937A2 (en) 2008-10-01
EP1974937A3 (en) 2011-01-05
JP4966235B2 (ja) 2012-07-04
JP2008239346A (ja) 2008-10-09
CN101303547A (zh)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654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20140084531A1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571020B2 (en) Motor drive control device, motor driv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8236128A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0600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9818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hanges over paper feeding stages
JP2014108584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10118555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59822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001422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18255B2 (ja) シート集積装置並びにシート供給装置
JP2011006236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10797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774834B2 (ja) 用紙整合装置
JP2019105710A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158679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6739948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43775B2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6018513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09798B1 (ko) 복합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32876A1 (en) Duplex automatic sheet feeder
JP2022095006A (ja) シート検知機能を備えたシート後処理装置としての穿孔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195516A (ja) シート状部材送給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KR100971703B1 (ko) 문서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처리방법
US20090020942A1 (en) Document ejecting mechanism and document feede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