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722B1 - 차량용 범퍼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722B1
KR100792722B1 KR1020067012646A KR20067012646A KR100792722B1 KR 100792722 B1 KR100792722 B1 KR 100792722B1 KR 1020067012646 A KR1020067012646 A KR 1020067012646A KR 20067012646 A KR20067012646 A KR 20067012646A KR 100792722 B1 KR100792722 B1 KR 10079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umper
vehicle
vehicle body
detection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729A (ko
Inventor
히로유키 다카하시
모토미 이요다
료타로 가츄
유지로 미야타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는, 범퍼 접촉 센서와 함께 배치된 하중 전달판(36, 50)과 범퍼 보강물의 전방 벽부(20C) 사이에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들로 배치된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 52)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 전달판(36, 50)은 상기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에 대하여 차체의 후방측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구조체{VEHICULAR BUMPER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서 충돌체를 검출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서 충돌체를 검출하는 차량용 범퍼 구조체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범퍼 보강물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고, 충돌 검출 센서가 상기 홈 안쪽에 하우징되어 있으며,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홈들이 충격 업소버(impact absorber)의 후방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돌 검출 센서에 대한 푸시-인(push-in)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충격 업소버의 후방면에서의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홈들의 상부 및 하부의 전체 영역들은 상기 범퍼 보강물의 전방 벽부에 맞닿아 있다. 상기 충격 업소버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는 충격 업소버로부터 상기 맞댐부들을 거쳐 범퍼 보강물로 직접 전달된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충돌 검출 센서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된다.
상기 사실을 고려할 때, 범퍼의 충돌 검출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여지가 있다. 상기 충돌 검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 구조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범퍼 구조체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범퍼 보강물; 상기 범퍼 보강물의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 및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의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하중 전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돌체가 범퍼와 충돌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하중은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의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하중 전달판을 거쳐, 상기 범퍼 보강물의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로 전달된다. 전체 충돌 하중은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하중들 각각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을 토대로 충돌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충돌 검출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에서 충돌체가 범퍼의 상부면과 접촉할 때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가 적용된 차체에서 충돌체가 범퍼의 상부면과 접촉할 때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에서 충돌체가 범퍼의 하부면과 접촉할 때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가 적용된 차체에서 충돌체가 범퍼의 하부면과 접촉할 때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의 관련 부분들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의 관련 부분들을 도시한 차체의 후방측에서 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수정된 예시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의 관련 부분들을 도시한 평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다른 수정된 예시에 따른 차량용 범퍼 구조체의 관련 부분들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범퍼 구조체의 제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서 UP 화살표는 차체의 상방향을 나타내고, 도면에서 FR 화살표는 차체의 전방방향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한다.
전방 범퍼(12)의 범퍼 커버(14)는 차량의 폭(수평) 방향을 따라 본 실시예의 차체(10)의 전단 하부에 배치된다(도 3). 그릴(18)은 범퍼 커버(14)의 차량의 폭 방향 중간부와 후드(16)의 전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전방 범퍼(12)의 범퍼 보강물(20)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좌우전방측 부재(22)의 전단부(22A)들을 가로질러 배치된다(도 1). 상기 범퍼 보강 물(20)의 측단면은 폐쇄된 단면부(24)를 포함한다. 상기 폐쇄된 단면부(24)는 리브(20A, 20B)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셋으로 분할된다. 상기 리브(20A, 20B)들은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들로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하중(압력)검출 센서(28, 30, 32, 34)들은,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의 상부 벽부(20D), 상부 리브(20A), 하부 리브(20B) 및 하부 벽부(20E)의 차체의 외측면(전방면)들이 있는 장소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하중 전달판(36)은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의 차체의 전방 측면(차체의 외측면)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하중 전달판(36)은 예컨대 수지성 재료로 구성된다. 하중 전달판(36)은 소정의 견고성(rigidity)으로 구성된다. 하중 전달판(36)은,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차체의 후방측 상에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하중 전달판(36)이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들 사이의 장소에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물림폴(engagement pawls; 36A, 36B)은 하중 전달판(35)의 상단부와 하단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림폴(36A, 36B)들로 인하여, 상기 하중 전달판(36)이,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의 상단 에지부(20F) 및 하단 에지부(20G)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림폴(36A, 36B)은, 하중 전달판(36)이 범퍼 보강물(20)에 대해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하중이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차체의 후방측을 향해 하중 전달판(36) 상에 작용하면, 상기 하중 전달판(36)이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에 대해 차체의 후방측을 향해 변위되어, 각각의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 에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충돌 검출 센서로서의 역할을 하는 범퍼 접촉 센서(26)는, 하중 전달판(36)의 차체의 전방 측면(차체의 외측면)(36C)에서 하중 검출 센서(30)의 차체의 전방측(차체의 외측)에 있는 장소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범퍼 접촉 센서(26)는, 밴드형 브래킷(27)을 통해 하중 전달판(36)의 차체의 전방 측면(36C)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고정된다.
충돌 업소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범퍼 업소버폼(bumper absorber foam; 40)은, 범퍼 접촉 센서(26) 및 하중 전달판(36)의 차체의 외측(차체의 전방측)에 있는 장소에, 즉 하중 전달판(36) 또는 범퍼 접촉 센서(26)와 범퍼 커버(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범퍼 업소버폼(40)의 후방 벽부에서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들로 차체의 내측(차체의 후방측)을 향하고 있는 볼록부(40A, 40B, 40C, 40D)들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방향의 중간 볼록부(40B, 40C)는 상기 범퍼 접촉 센서(26)의 상하 부근에서 상기 하중 전달판(36)의 차체의 전방 측면(36C)과 접촉한다.
범퍼 업소버폼(40)의 후방 벽부의 볼록부(40B)와 볼록부(40C) 사이의 장소(40E)와 범퍼 접촉 센서(26) 간의 갭(42)은 좁다.
볼록부(40A, 40B, 40C, 40D) 중 상부 볼록부(40A)와 하부 볼록부(40D)는 각각 하중 전달판(36)의 차체의 전방 측면(36C)의 상부 에지부(36D) 및 그 부근 그리고 하부 에지부(36E) 및 그 부근과 접촉한다.
범퍼 업소버폼(40)의 상단부에는 차체의 내측(차체의 후방측)을 향하고 있는 물림폴부(40F)가 형성되어 있다. 범퍼 업소버폼(40)의 하단부에서 차체의 내측(차체의 후방측)을 향하고 있는 물림폴부(40G)가 형성되어 있다. 하중 전달판(36)은 범퍼 업소버폼(40)의 물림폴부(40F, 40G)에 의해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죄어져(nipped), 상기 범퍼 업소버폼(40)이 하중 전달판(36) 및 범퍼 보강물(20)에 대해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범퍼 업소버폼(40)의 전방 벽부(40H)는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거의 평탄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충돌체 K1이 전방 범퍼(12)와 충돌하는 경우(도 3), 전방 범퍼(12)의 범퍼 커버(14)와 함께 범퍼 업소버폼(40)이 상기 충돌체 K1에 의해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차체의 후방측을 향해 밀리게 된다(도 2). 그 결과, 범퍼 업소버폼(40)의 후방 벽부의 볼록부(40B)와 볼록부(40C) 사이의 장소(40E)는 범퍼 접촉 센서(26)와 접촉하게 되고, 외부로부터의 하중 F가 상기 범퍼 접촉 센서(26)에 전달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들이, 범퍼 접촉 센서(26)가 배치되어 있는 하중 전달판(36)과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 사이에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들로 배치된다. 상기 하중 전달판(36)은,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에 대하여 차체의 후방측을 향해 변위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충돌체 K1으로 인한 전방 범퍼(12)의 하중 전달 판(36) 상에 작용하고 있는 전체 충돌 하중이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들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들 각각을 토대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을 토대로 충돌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이 비교적 큰 충돌체 K1이 전방 범퍼(12)와 충돌하는 경우(도 3), 및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이 비교적 작은 충돌체 K2가 전방 범퍼(12)와 충돌하는 경우(도 4 및 도 5), 상기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들에 의해 검출된 하중들 각각을 토대로 충돌체 K1 및 충돌체 K2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충돌 검출이 필요한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이 비교적 큰 충돌체 K1의 검출 성능이 개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중 전달판(36)의 상단부 및 하단부 양자 모두에 형성된 물림폴(36A, 36B)로 인하여, 상기 하중 전달판(36)이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의 상단 에지부(20F) 및 하단 에지부(20G)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들을 하중 전달판(36)에 미리 부착시켜, 상기 하중 전달판(36)과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들이 상기 범퍼 보강물(20)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범퍼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주어지고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IN 화살표는 차량의 내측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하중 전달판(50)의 측단면 모양이 폐쇄된 단면부(51)를 포함한다(도 6). 폐쇄된 단면부(24)는 리브(50A, 50B)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셋으로 분할된다. 상기 리브(50A, 50B)들은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들로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하중 전달판(50)의 차체의 후방 측면(차체의 내측면)(50C)과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 사이에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들로 하중 검출 센서(52)가 배치되어 있다(도 7).
상기 하중 전달판(50)은 소정의 견고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중 전달판(50)은,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차체의 후방측 상에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하중 전달판(50)이 하중 검출 센서(52)들 사이의 장소에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중 검출 센서(52)들은 브래킷(54, 56)들을 통해 범퍼 보강물(20)에 고정된다(도 8).
상기 범퍼 보강물(20)은, 좌우전방측 부재(22)들 중 전단부(22A)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60)들로 고정된다(차체의 우측에 있는 전방측 부재(22)만이 도 7에 도시되어 있음). 상기 하중 전달판(50)은 숄더 볼트(64)들에 의해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범퍼 보강물(20) 또는 좌우전방측 부재(22)들의 전단부(22A)들에 고정된 너트(62)들에 부착된다.
따라서, 너트(62) 및 어깨 볼트(64)들로 인하여, 하중 전달판(50)이 범퍼 보 강물(20)에 대해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하중이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차체의 후방측을 향해 하중 전달판(50) 상에 작용하면, 상기 하중 전달판(50)이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에 대해 차체의 후방측을 향해 변위되어, 각각의 하중 검출 센서(52)들에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충돌 검출 센서로서의 역할을 하는 범퍼 접촉 센서(26)는, 하중 전달판(50)의 차체의 전방 측면(차체의 외측면)(50D)에서 리브(50A)의 차체의 전방측(차체의 외측)에 있는 장소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도 6). 상기 범퍼 접촉 센서(26)는, 밴드형 브래킷(27)을 통해 하중 전달판(50)의 차체의 전방 측면(50D)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고정된다.
충돌 업소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범퍼 업소버폼(40)은, 범퍼 접촉 센서(26) 및 하중 전달판(50)의 차체의 외측(차체의 전방측)에 있는 장소에, 즉 하중 전달판(50) 또는 범퍼 접촉 센서(26)와 범퍼 커버(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범퍼 업소버폼(40)의 후방 벽부에서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들로 차체의 내측(차체의 후방측)을 향하고 있는 볼록부(40A, 40B, 40C, 40D)들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방향의 중간 볼록부(40B, 40C)는 상기 범퍼 접촉 센서(26)의 상하 부근에서 상기 하중 전달판(50)의 차체의 전방 측면(50D)과 접촉한다.
범퍼 업소버폼(40)의 후방 벽부의 볼록부(40B)와 볼록부(40C) 사이의 장소(40E)와 범퍼 접촉 센서(26) 간의 갭(42)은 좁다.
볼록부(40A, 40B, 40C, 40D) 중 상부 볼록부(40A)와 하부 볼록부(40D)는 각각 하중 전달판(50)의 차체의 전방 측면(50D)의 상부 에지부(50E) 및 그 부근 그리 고 하부 에지부(50F) 및 그 부근과 접촉한다.
범퍼 업소버폼(40)의 상단부에는 차체의 내측(차체의 후방측)을 향하고 있는 물림폴부(40F)가 형성되어 있다. 범퍼 업소버폼(40)의 하단부에서 차체의 내측(차체의 후방측)을 향하고 있는 물림폴부(40G)가 형성되어 있다. 범퍼 업소버폼(40)의 물림폴부(40F, 40G)는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하중 전달판(50)을 죄어, 상기 범퍼 업소버폼(40)이 하중 전달판(50) 및 범퍼 보강물(20)에 대해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범퍼 업소버폼(40)의 전방 벽부(40H)는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거의 평탄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충돌체 K1이 전방 범퍼(12)와 충돌하는 경우(도 3), 전방 범퍼(12)의 범퍼 커버(14)와 함께 범퍼 업소버폼(40)이 상기 충돌체 K1에 의해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차체의 후방측을 향해 밀리게 된다. 그 결과, 범퍼 업소버폼(40)의 후방 벽부의 볼록부(40B)와 볼록부(40C) 사이의 장소(40E)가 범퍼 접촉 센서(26)와 접촉하게 되고, 외부로부터의 하중이 상기 범퍼 접촉 센서(26)로 전달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52)들이, 범퍼 접촉 센서(26)가 배치되어 있는 하중 전달판(50)과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 사이에 차체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들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하중 전달판(50)은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에 대하여 차체의 후방측 을 향해 변위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충돌체로 인한 전방 범퍼(12)의 하중 전달판(50) 상에 작용하고 있는 전체 충돌 하중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들로 배치된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52)들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들 각각을 토대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을 토대로 충돌체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이 비교적 큰 충돌체 K1이 전방 범퍼(12)와 충돌하는 경우(도 3), 및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이 비교적 작은 충돌체 K2가 전방 범퍼(12)와 충돌하는 경우(도 5), 상기 하중 검출 센서(52)들에 의해 검출된 하중들 각각을 토대로 충돌체 K1 및 충돌체 K2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충돌 검출이 필요한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이 비교적 큰 충돌체 K1의 검출 성능이 개선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또한 하중 전달판(50)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여럿으로(예컨대, 넷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소정 개수의 하중 검출 센서(52)가 하중 전달판(50)의 차체의 후방 측면(차체의 내측면)(50C)과 범퍼 보강물(20)의 전방 벽부(20C) 사이에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들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 충돌 검출이 필요한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이 비교적 큰 충돌체의 검출 성능이 향상되고, 차량의 폭 방향으로 분할된 하중 전달 판(50)들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흩어진 하중 검출 센서(52)들의 충돌 하중들의 전체 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충돌체가 접촉한 전방 범퍼(12)의 차량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충돌체 보호 장치의 동작 모드는, 충돌체들이 접촉한 전방 범퍼(12)의 차량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들을 토대로 스위칭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동작이 가능해진다. A 필라부들을 커버하고 있는 에어백들이 좌우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차체(10)의 경우, 하중 검출 센서(52)들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들을 토대로, 충돌체가 전방 범퍼(12)의 우측과 접촉하였다고 제어장치가 결정할 때에는 우측 A 필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에어백만이 배치된다. 충돌체가 전방 범퍼(12)의 좌측과 접촉하였다고 제어장치가 결정하는 경우에는, 단지 좌측 A 필라부를 커버하고 있는 에어백만이 배치된다. 충돌체가 전방 범퍼(12)의 차량의 폭 방향 중간부와 접촉하였다고 제어장치가 결정하는 경우에는, 좌우측 A 필라부 모두를 커버하고 있는 에어백들이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검출 센서(52)들의 개수는, 인접한 하중 전달판(50)의 단부(50G)들을 하나의 하중 검출 센서와 접촉시키는 하중 검출 센서(52)들을 구성하여 감소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여타의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자명하다. 예를 들어, 범퍼 접촉 센서(26)는 제거될 수도 있고, 하중(압력)검출 센서(28, 30, 32, 34)들이 충돌 검출 센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범퍼 보강물(20) 및 하중 전달판(50)의 측단면 모양들은 2개의 리브들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셋으로 분할된 폐쇄된 단면부를 갖는 모양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하나의 리브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둘로 분할되는 모양들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범퍼 보강물(20) 및 하중 전달판(50)의 측단면 모양들은 3개 이상의 리브들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된 래더와 같은 모양들을 가질 수도 있다.
하중 전달판(36, 50)의 재료는 수지 및 금속으로 국한되지 아니하며, 여타의 재료들도 가능하다.
하중 전달판(50)을 차량의 폭 방향으로 분할하는 개수는 4개로 국한되지 아니하고, 3개와 같은 또다른 개수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범퍼 구조체는 또한 전방 범퍼(12)가 아닌 범퍼에 적용 가능하고, 후방범퍼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들 또한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흩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가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흩어져 배치되는 경우에는, 차체의 상부측에서 하중 검출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전체 충돌 하중들을, 차체의 하부측에서 하중 검출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전체 충돌 하중들과 비교함으로써, 충돌체가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들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흩어져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중 전달판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들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흩어져 배치되고, 하중 전달판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 분할되는 경우, 범퍼의 차량의 폭 방향으로의 충돌 위치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분할된 하중 전달판들을 향하고 있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하중 검출 센서들의 전체 충돌 하중들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범퍼 구조체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범퍼 보강물, 상기 범퍼 보강물의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 및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의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하중 전달판을 포함하여, 충돌 검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용 범퍼 구조체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범퍼 보강물(20);
    상기 범퍼 보강물의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 ; 52); 및
    수지성 재료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소정의 견고성(rigidity)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의 차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하중 전달판(36; 50)을 포함하되,
    상기 하중 전달판(36; 50)은 상기 범퍼 보강물(20)에 걸어 맞춰지고, 차량용 범퍼 구조체와 충돌체(K1; K2)의 충돌이 있는 경우, 충돌 하중에 의해 상기 범퍼 보강물(20) 측으로 변위하여 상기 하중이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 52)들의 각각에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는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흩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52)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흩어져 배치되고, 상기 하중 전달판(36; 50)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물림부(40F, 40G)를 가지는 범퍼 업소버부(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림부(40F, 40G)는 차량 몸체의 수평 방향에서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중 전달판(36; 50)에 핏팅(fitting)되고,
    상기 범퍼 업소버부(40)는 상기 하중 전달판(36; 50)과 상기 범퍼 보강물(20)에 대한 차량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두 개의 물림부(40F, 40G)가 제공되되,
    하나의 물림부(40F) 상기 범퍼 업소버부(40)의 상측 끝단부에 제공되며,
    다른 하나의 물림부(40G)는 상기 범퍼 업소버부(40)의 하측 끝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구조체.
  6. 제2항의 차량용 범퍼 구조체에 적용 가능한 충돌 검출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이며,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 각각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28, 30, 32, 34)에 의해 검출된 하중들에 근거하여, 상기 충돌 하중에 의해 변위되고 상기 범퍼 보강물(20)에 맞물린 상기 하중 전달판(36)에 작용한 충돌 하중 전체를 측정하는 단계; 및
    각각의 전체 충돌 하중의 레벨에 근거하여 충돌체(K1; K2)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검출 방법.
  7. 제3항의 차량용 범퍼 구조체에 설치되는 차량용 충돌체 보호 장치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이며,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52) 각각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52)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중 검출 센서(52)에 의해 검출된 하중들에 근거하여, 상기 충돌 하중에 의해 변위되고 상기 범퍼 보강물(20)에 맞물린 상기 하중 전달판(50)에 작용한 충돌 하중 전체를 측정하는 단계; 및
    각각의 전체 충돌 하중을 상호 비교하여 충돌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67012646A 2003-12-24 2004-12-16 차량용 범퍼 구조체 KR100792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7724 2003-12-24
JP2003427724A JP4052244B2 (ja) 2003-12-24 2003-12-24 車両用バン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729A KR20060108729A (ko) 2006-10-18
KR100792722B1 true KR100792722B1 (ko) 2008-01-11

Family

ID=3470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646A KR100792722B1 (ko) 2003-12-24 2004-12-16 차량용 범퍼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86358B2 (ko)
EP (1) EP1697178B1 (ko)
JP (1) JP4052244B2 (ko)
KR (1) KR100792722B1 (ko)
CN (2) CN2790849Y (ko)
AU (1) AU2004305375B2 (ko)
WO (1) WO2005061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4812B2 (ja) 2004-03-10 2008-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荷重検知装置
JP2006111053A (ja) * 2004-10-12 2006-04-27 Denso Corp 車両用ワイヤ式衝突検出装置
JP4661299B2 (ja) * 2005-03-28 2011-03-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歩行者保護装置
JP4519704B2 (ja) * 2005-04-25 2010-08-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衝突検知装置
JP4055789B2 (ja) * 2005-05-20 2008-03-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構造
JP4325600B2 (ja) 2005-09-06 2009-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ロントバンパ構造
JP5013157B2 (ja) * 2005-10-28 2012-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2007126089A (ja) * 2005-11-07 2007-05-24 Denso Corp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2007204017A (ja) * 2006-02-06 2007-08-16 Fuji Heavy Ind Ltd 衝撃吸収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4324172B2 (ja) * 2006-02-15 2009-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構造
JP4440896B2 (ja) * 2006-02-15 2010-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構造
DE102006039121A1 (de) 2006-04-03 2007-10-04 Robert Bosch Gmbh Deaktivierung einer Sicherheitsfunktion durch Bremsen
EP1854677A1 (en) * 2006-05-08 2007-11-14 TRW Automotive GmbH Pedestrian impact detection device for a vehicle
JP2007314055A (ja) * 2006-05-26 2007-12-06 Denso Corp 車両用衝突物体判別装置
JP4092712B1 (ja) * 2006-11-27 2008-05-2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FR2910865B1 (fr) * 2006-12-28 2009-04-03 Plastic Omnium Cie Piece d'appui pour systeme d'absorption de chocs destinee a etre montee en bout d'un longeron d'un vehicule automobile
EP1972488B1 (en) * 2007-03-23 2010-12-2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slide device
JP4688849B2 (ja) * 2007-07-17 2011-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衝突検出装置
JP4513833B2 (ja) * 2007-07-17 2010-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4466690B2 (ja) 2007-07-17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衝突検出装置
EP2023108B1 (en) 2007-08-08 2011-08-31 Honda Motor Co., Ltd. Piezoelectric load sensor assembly
JP4997017B2 (ja) * 2007-08-08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センサ組立体
JP5248852B2 (ja) * 2007-12-27 2013-07-3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体用振動減衰装置
JP4692565B2 (ja) * 2008-03-21 2011-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後突センサ搭載構造
US20090315346A1 (en) * 2008-06-20 2009-12-24 David William Schelberg Bumper reinforcement extension
JP5302643B2 (ja) * 2008-12-02 2013-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衝突検出装置及び衝突検出方法
JP5254828B2 (ja) * 2009-02-02 2013-08-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及び車両用バンパ構造
CN102695631A (zh) * 2010-02-12 2012-09-2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保险杠构造
JP5471773B2 (ja) * 2010-04-26 2014-04-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構造
CN103347743B (zh) * 2011-04-25 2015-07-15 铃木株式会社 车辆的保险杠结构
JP5727883B2 (ja) * 2011-07-05 2015-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構造
US10005408B2 (en) * 2011-11-03 2018-06-2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ergy absorbing system for conflicting regulatory requirements for vehicle bumpers
KR20130064306A (ko) * 2011-12-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너지 업소버
JP5499056B2 (ja) * 2012-01-06 2014-05-2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構造
DE102012004766A1 (de) * 2012-03-08 2012-11-29 Daimler Ag Fahrzeug mit einem Biegequerträger und einer Stoßfängereinheit
CN102774363B (zh) * 2012-04-22 2015-02-11 沈同文 泊车御碰制动复形体
JP5880320B2 (ja) * 2012-07-06 2016-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9016737B2 (en) * 2013-03-14 2015-04-28 Autoliv Asp, Inc. Compressive sensor packaging techniques
DE102013018323A1 (de) * 2013-10-31 2015-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ormteil für ein Kraftfahrzeug zur Weiterleitung einer Anprallkraft an einen Haubensensor
US9067553B1 (en) * 2014-06-06 2015-06-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ascia integrated pushers
JP6146383B2 (ja) 2014-08-08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力チューブ式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107784B2 (ja) * 2014-10-10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565182B2 (ja) * 2014-12-10 2019-08-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DE102015004420A1 (de) * 2015-04-02 2016-10-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rontpartie für ein Kraftfahrzeug
JP6256427B2 (ja) 2015-08-10 2018-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KR101729505B1 (ko) * 2015-12-18 2017-04-2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에어백 센서 조립체
JP6467355B2 (ja) * 2016-01-11 2019-02-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US9834164B1 (en) * 2016-07-27 2017-12-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mpact sensor arrangements for active hood systems of motor vehicles
JP6624032B2 (ja) * 2016-12-09 2019-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US9932004B1 (en) * 2017-03-02 2018-04-03 Honda Motor Co., Ltd. Vehicle energy absorption system
JP6766776B2 (ja) * 2017-08-21 2020-10-1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ー
US10369947B2 (en) * 2017-08-24 2019-08-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 Llc Bumper collision sensor for an automotive vehicle
CN111332237B (zh) * 2020-03-26 2022-10-18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车用保险杠及车辆
FR3110518A1 (fr) * 2020-05-25 2021-11-26 Psa Automobiles Sa Absorbeur de choc pour parechoc avant de véhicule automobile
JP7236425B2 (ja) * 2020-12-16 2023-03-09 株式会社カネカ バンパアブソーバ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456B1 (en) 1998-04-24 2001-04-03 Jaguar Cars Limited Pedestrian impact sens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8253A (ja) 1985-02-18 1986-08-21 Bridgestone Corp 安全バンパ−
JPS6288929A (ja) 1985-10-16 1987-04-23 Hitachi Ltd 半導体ウエハ用非接触温度計
JP2515261B2 (ja) * 1987-11-12 1996-07-10 鐘紡株式会社 メチル−4,6−0−アルキリデン−d−グリコシド
DE19718803C1 (de) 1997-05-03 1998-10-22 Ford Global Tech Inc Bestimmen eines Fußgängeraufpralls auf ein Fahrzeug
JP3873382B2 (ja) 1997-07-14 2007-0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保護用センサシステム
DE19835561B4 (de) 1998-08-06 2010-01-07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lösung mindestens eines Airbags
JP2000225907A (ja) 1999-02-04 2000-08-1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バンパ
DE19918202A1 (de) * 1999-04-22 2000-10-26 Bayer Ag Sicherheitsstoßfänger
DE10113720B4 (de) * 2001-03-21 2010-04-08 Volkswagen Ag Kollisions-Sensor für Kraftfahrzeuge und Verwendung desselben zur Erfassung der auf ein Bauteil eines Kraftfahrzeuges im Crashfall einwirkenden Kräfte
JP4124812B2 (ja) * 2004-03-10 2008-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荷重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456B1 (en) 1998-04-24 2001-04-03 Jaguar Cars Limited Pedestrian impact sens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86677A (ja) 2005-07-14
AU2004305375B2 (en) 2008-04-17
US20070114803A1 (en) 2007-05-24
JP4052244B2 (ja) 2008-02-27
AU2004305375A1 (en) 2005-07-07
US7686358B2 (en) 2010-03-30
CN1321024C (zh) 2007-06-13
EP1697178A1 (en) 2006-09-06
CN2790849Y (zh) 2006-06-28
WO2005061284A1 (en) 2005-07-07
KR20060108729A (ko) 2006-10-18
CN1636803A (zh) 2005-07-13
EP1697178B1 (en)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722B1 (ko) 차량용 범퍼 구조체
US9718423B2 (en) Vehicle bumper structure including a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sensor
JP4458001B2 (ja) 車両用衝突物体判別装置
EP1923274B1 (en) Front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JP4924629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US7782180B2 (en) Collision-detect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US7854453B2 (en) System for detecting objects colliding with automotive vehicle
EP2895357B1 (en) Vehicle bumper including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apparatus
KR100256617B1 (ko) 충돌 감지 장치
JP5962435B2 (ja) 歩行者衝突検出装置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
JP2017007368A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4963450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20090064840A (ko) 범퍼 시스템
JP4890114B2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4293023B2 (ja) 車体前部構造
KR100820425B1 (ko) 범퍼용 에너지 업소버
JP6965841B2 (ja) 車両の衝突検知構造
CN212766077U (zh) 用于前保险杠的防撞装置和具有其的前保险杠、车辆
JPH09290705A (ja) 側面衝突センサの取付構造
JP2023050749A (ja) 衝突検知装置
KR100565122B1 (ko) 차량용 범퍼의 스테이 구조
JP6657672B2 (ja) 車体後部構造
KR100233500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WO2009120023A2 (ko) 자동차용 에너지 업소버
KR20110054700A (ko) 충격흡수부를 갖는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