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665B1 -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한 미싱 - Google Patents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한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665B1
KR100790665B1 KR1020070018423A KR20070018423A KR100790665B1 KR 100790665 B1 KR100790665 B1 KR 100790665B1 KR 1020070018423 A KR1020070018423 A KR 1020070018423A KR 20070018423 A KR20070018423 A KR 20070018423A KR 100790665 B1 KR100790665 B1 KR 10079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in
embroidery
needle bar
sewing
sea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065A (ko
Inventor
겐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9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2Machine needles
    • D05C11/06Needle-driving or control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4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12Rigid objects
    • D05D2303/18Sequ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제1 전환 동작일 때,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제2 전환 동작일 때, 미싱 운전을 유지한 채로, 침봉(20)을 점프시키는 것으로 침봉의 하강을 금지한다. 그것을 위한 점프 코드를 자수 데이터에 있어서, 시퀸 바느질로부터 통상 바느질로 전환되는 부분에,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되는 부분에 삽입한다. 다른 예로서 미싱 운전을 유지한 채로, 미싱 주축의 회전을 감속하는 것에 의해 침봉의 하강을 지연시키도록 해도 된다.

Description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한 미싱{A SEWING MACHINE HAVING A SEQUIN SEW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다두(多頭) 자수 미싱의 외관도.
도 2는 동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1개의 미싱 헤드에 장착된 시퀸 봉착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로서, 이 시퀸 봉착 장치가 작동 위치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동일 실시예에 관한 시퀸 봉착 장치가 퇴피 위치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일 실시예에 관한 시퀸 봉착 장치에 있어서의 시퀸 전송 기구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우측면도.
도 5는 동일 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의 제어 계통의 일례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침봉 점프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작성하고, 상기 자수 데이터중에 삽입하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자수 무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자수 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대략의 도면이며,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 코드 삽입전의 자수 데이터,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 코드 삽입 후의 자수 데이터.
<부호의 설명>
1 시퀸 봉착 장치
2 침봉 케이스
3 시퀸 연결체
4 장착 베이스
6 시퀸 전송 기구
9 에어 실린더
17 가동 날
20 침봉
21 침포
31 자수틀
41 CPU(중앙 처리 유닛)
42 ROM(read only memory)
43 RAM(random access memory)
50 침봉 점프 드라이버
51 시퀸 드라이버
본 발명은 시퀸(sequin) 봉착(縫着) 장치를 구비하고, 시퀸을 피봉제체(被縫製體)에 봉착하는 미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퀸 봉착 장치를 시퀸의 봉착이 가능한 작동 위치와 시퀸의 봉착을 실시하지 않는 퇴피(退避) 위치로 이동 가능한 미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하고, 시퀸(스팽글)을 피봉제체에 꿰매어 달 수 있는 미싱이 알려져 있고, 아래와 같이 특허 문헌 1에는 다침(多針) 자수(刺繡) 미싱에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하고, 시퀸의 봉착과 자수를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미싱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의하면, 시퀸 봉착 장치는 복수의 침봉(針棒)을 지지한 침봉 케이스의 좌측면에 설치하고 있고, 침봉 케이스내의 최좌측의 침봉을 시퀸 바느질용의 침봉(시퀸 침봉)로서 사용한다. 시퀸 봉착 장치는 침봉 케이스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고, 시퀸의 봉착을 실시할 때는 하강 위치로 내려져서 시퀸의 봉착을 실시하지 않을 때에는 통상의 자수 바느질의 방해가 되지 않게 위쪽 위치에 퇴피시키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4-167097
시퀸 봉착 장치는 시퀸 연결체를 소정 피치로 송출하는 시퀸 전송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다수의 시퀸(스팽글)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시퀸 연결체를 감아 돌려(卷回) 수납한 릴(reel)로부터 이 시퀸 연결체를 계속 내보내 지승판(支承板)의 상면에 재치하고, 시퀸 전송 기구의 전송 동작에 의하여 시퀸 연결체를 1개의 시퀸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소정 피치로 송출하게 되어 있다. 이 시퀸 전송 기구에 의하 여 송출된 시퀸 연결체의 선두에 위치하는 시퀸을 지승판에 고정된 고정 메스와, 지승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날과의 협동에 의하여 절단하면서, 이것을 피봉제체에 봉착하게 되어 있다. 가동 날은 시퀸 침봉이 하강했을 때 침봉의 하단에 설치된 침포(針抱)와 맞닿음(當接)하여 회동(回動)되고, 이것에 의하여 시퀸이 절단된다.
상기 특허 문헌 1의 다침 자수 미싱에 있어서, 시퀸의 봉착을 실시할 때는 시퀸 침봉을 선택하는 동시에 시퀸 봉착 장치를 하강 위치로 하강시키게 되어 있고, 자수를 실시할 때는 시퀸 침봉 이외의 침봉을 선택하는 동시에 시퀸 봉착 장치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시퀸의 봉착과 자수를 조합한 봉제체(縫製體)에는 시퀸의 봉착과 자수를 동일한 색실로 실시하는 것이 적지 않다. 이 경우에는 시퀸의 봉착과, 그동일한 색실로의 자수를 계속하여 실시하도록 하고, 침봉을 바꾸지 않고 시퀸 침봉에 의하여 자수를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인 면에서 좋다. 그 경우, 종래는 시퀸 봉착 장치를 하강 위치로 내린 채의 상태로 하고 있었다. 이것은 미싱을 정지하는 일 없이 시퀸의 봉착과 자수를 연속으로 행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바느질 동작에 사용하는 침봉을 바꿀 때(소위 「색 바꿈」)에는 미싱을 정지하는 동시에, 그것까지 바느질에 사용하고 있던 침봉의 실을 절단하게 되어 있다. 한편, 시퀸 봉착 장치를 승강시킬 때도, 시퀸 봉착 장치와 함께 승강하는 가동 날이 시퀸 침봉의 침포와 맞닿음 하면 파손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미싱을 정지하여 실시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퀸의 봉착과 동일한 색실로의 자수를 시퀸 침 봉에서 실시하는 동시에, 시퀸 봉착 장치를 하강 위치로 내린 채로 함으로써, 미싱을 정지하는 일 없이, 또한 다른 침봉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여기에 걸리는 시간이 발생하지 않아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당연한 일로서 시퀸 침봉에서 통상의 자수 바느질을 행할 때는 시퀸 전송 기구에 의한 시퀸의 송출은 실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퀸의 봉착과 동일한 색실로의 통상 자수를, 시퀸 봉착 장치를 하강 위치로 내린 상태로 시퀸 침봉에서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 시간은 단축할 수 있으나, 시퀸 침봉에 의한 자수를 시퀸 봉착 장치를 하강 위치로 내린 상태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시퀸 침봉이 하강하면 침포가 가동 날과 맞닿음 하게 된다. 즉, 가동 날이 침포에 의해 쓸데 없이 두들겨지기 때문에, 가동 날이 파손되기 쉬워진다. 또, 이 불필요한 침포와 가동 날의 맞닿음에 의하여 미싱 소음이 커진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퀸 침봉에 의한 통상의 바느질 할 때에 시퀸 봉착 장치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침포와 가동 날의 맞닿음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동시에, 미싱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시퀸 봉착 장치를 작동 위치와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 시간의 단축화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미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은 시퀸 바느질과 통상 바느질의 어느 하나로도 사용 가 능한 침봉 기구를 포함하는 미싱 헤드와, 상기 침봉 기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시퀸 바느질 가능한 작동 위치와 시퀸 바느질 불가능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시퀸 봉착 장치와, 상기 시퀸 봉착 장치를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제1 전환 동작일 때,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제2 전환 동작일 때, 미싱 운전을 유지한 채로, 이 침봉 기구의 침봉의 하강을 금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침봉 제어부와, 상기 침봉 제어부가 상기 침봉의 하강을 금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동안에, 상기 시퀸 봉착 장치를, 상기 제1 전환 동작에서는 상기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전환 동작에서는 상기 작동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퀸 봉착 장치를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제1 전환 동작일 때,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제2 전환 동작일 때, 미싱 운전(예를 들면 주축 회전)을 유지한 채로, 이 침봉 기구의 침봉의 하강을 금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미싱을 정지하는 일 없이, 침봉이 위쪽에 멈추거나 또는 위쪽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침봉이 위쪽 위치에 있는 동안에서, 안전하게 시퀸 봉착 장치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상 바느질할 때에 시퀸 봉착 장치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침포와 가동 날의 맞닿음이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싱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시퀸 봉착 장치의 이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의 단축화도 확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침봉 제어부는 침봉 점프 기구이며, 상기 침봉을 점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침봉의 하강을 금지한다.
일례로서, 상기 침봉 제어부는 미싱 주축 속도 제어 장치이며, 미싱 주축 속도를 감소함으로써 상기 침봉의 하강을 지연시킨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미싱이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자수 무늬(柄)의 바느질 동작을 실시할 때, 상기 제1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침봉 제어부에 침봉의 하강 금지(점프) 또는 하강 지연(주축 감속)을 실시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수단에 시퀸 봉착 장치의 이동을 실시하게 한다.
예를 들면, 시퀸의 바느질을 실시한 후에, 시퀸 바느질에 사용한 동일한 침봉에서 시퀸 바느질과 동일한 색실로 통상 자수를 행할 때는 이 시퀸 바느질에 사용한 침봉을 일시적으로 점프 상태로 하거나, 또는 미싱 주축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시퀸 봉착 장치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에 이 침봉의 점프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미싱 주축 속도를 통상 운전 속도로 되돌리는 것으로, 통상 자수를 행한다. 그렇다면, 퇴피 위치에 있는 시퀸 봉착 장치에 부속되어 있는 가동 날은 상하로 움직이는 침봉의 침포에 이미 맞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시퀸 바느질과 동일한 침봉에 의한 통상 자수시에, 시퀸 봉착 장치의 가동 날이 침봉의 침포에 의해 쓸데 없게 두들겨지는 일이 없어지고, 가동 날이 파손되기 쉬워지는 것을 막는 동시에,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아서 시퀸 침봉에 의한 통상 자수시의 미싱 소음이 커지는 일이 없다. 그 반대로, 통상 자수를 행한 후에 동일한 침봉을 사용하여 시퀸의 바느질을 실시할 때는 침봉의 하강 금지(점프) 또는 하 강 지연(주축 감속)을 실시하게 동시에 시퀸 봉착 장치를 퇴피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에 이 침봉의 하강 금지(점프 상태)를 해제하고 나서 또는 미싱 주축 속도를 통상 운전 속도로 되돌리고 나서 시퀸의 바느질을 실시한다. 제1 및 제2 전환 동작 중 어느 한 경우에도, 침봉 점프 상태로 하여 시퀸 봉착 장치의 이동을 실시하기 위해, 미싱 운전(주축 회전)을 멈추는 일 없이 그 위치 변경을 실시할 수 있고, 미싱을 정지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 시간의 손실을 근소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자수 무늬의 자수 데이터를 공급하는 자수 데이터 공급부와, 공급된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를 판정하고, 이 판정한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자수 바느질 데이터중에 침봉 점프를 지시하는 점프 코드(또는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를 삽입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침봉 제어부 및 상기 이동 기구에서는 상기 자수 데이터중의 상기 점프 코드(또는 감속 지령)에 따라서, 침봉의 점프(또는 미싱 주축의 감속) 및 시퀸 봉착 장치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의 이동을 실시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자수 데이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침봉 점프를 지시하는 점프 코드(또는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가 미리 삽입되어 있고, 상기 침봉 제어부 및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자수 데이터중의 상기 점프 코드(또는 감속 지령)에 따라서, 침봉의 점프(또는 미싱 주축의 감속) 및 시퀸 봉착 장치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의 이동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4개의 미싱 헤드를 가지며 4개를 세운 자수 미싱의 외관도이다. 각 미싱 헤드에는 침봉 케이스(2)가 설치하고 있고, 각 침봉 케이스(2)의 아래쪽에는 침판(針板)(30)이 배치되어 있다. 시퀸 봉착 장치(1)는 각 침봉 케이스(2)의 왼쪽 사이드 및/또는 오른쪽 사이드에 각각 장착되게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 사이드에만 장착되어 있다. 각 침봉 케이스(2)는 다침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와 같이 시퀸 봉착 장치(1)를 침봉 케이스(2)의 왼쪽 사이드에 장착하는 경우는 침봉 케이스(2)내의 최좌측의 침봉을 시퀸 바느질용의 침봉(시퀸 침봉)으로서 사용한다. 통상 알려져 있도록, 자수틀(31)은 자수 바느질 데이터에 따라 가로 방향(X 방향) 및 세로 방향(Y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2는 시퀸 봉착 장치(1)의 좌측면도이다. 시퀸 봉착 장치(1)는 장착 베이스(4)에, 시퀸 연결체(3)를 감아 돌린 릴(5)을 지지하는 동시에, 시퀸 전송 기구(6)를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장착 베이스(4)는 침봉 케이스(2)의 좌측면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7)에 2개의 연결 아암(8)을 통하여 장착하고 있다. 양 연결 아암(8)의 양 단부는 각각 장착 베이스(4)와 고정 베이스(7)에 추지(樞支)되어 있고, 장착 베이스(4)는 고정 베이스(7)(침봉 케이스(2))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장착 베이스(4)에는 에어 실린더(9)가 설치하고 있고, 에어 실린더(9)는 장착 베이스(4)에 추지된 브래켓(bracket)(10)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9)의 로드(rod)의 선단은 고정 베이스(7)에 추지된 브래켓(1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에 어 실린더(9)의 작동에 의해서, 장착 베이스(4)가 고정 베이스(7)에 대해서 상하로 움직이고, 이것에 의해 시퀸 봉착 장치(1)의 전체가, 도 2에 나타내는 시퀸의 바느질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하강 위치(작동 위치)와, 이 하강 위치(작동 위치)에서 위쪽으로 상승한 소정의 퇴피 위치(도 3에 나타냄)와의 사이에 승강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시퀸 봉착 장치(1)에 있어서의 시퀸 전송 기구(6)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시퀸 전송 기구(6)는 장착 베이스(4)의 아래쪽에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12)에 조립해 있다. 지지 플레이트(12)의 하단에는 시퀸을 지승(支承)하기 위한 지승판(13)이 수평으로 설치하고 있고, 릴(5)로부터 계속 내보낸 시퀸 연결체(3)를 지승판(13)상으로 이끌게 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2)에는 장착 베이스(4)에 고정된 모터(14)의 구동에 의하여 요동(搖動)되는 요동 아암(15)이 지지되어 있다. 요동 아암(15)의 자유단에는 전송 레버(16)가 설치해 있다. 이 전송 레버(16)를 모터(14)의 구동에 의하여 전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지승판(13)상의 시퀸 연결체(3)를 소정 피치로 차례로 송출하게 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2)의 하부에는 가동 날(17)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지승판(13)의 가동 날(17)측의 단부에는 고정날(18)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날(17)은 토션 스프링(19)에 의하여 항상 고정날(18)에서 위쪽으로 이간한 퇴피 자세로 홀딩되어 있다. 가동 날(17)은 침봉(20)이 하강했을 때 그 하단의 침포(21)에 의해 눌리게 되어 있고, 침포(21)에 의해 눌리면, 토션 스프링(19)의 탄력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고정날(18)과 협동하여 송출된 시퀸 연결체(3)의 선두에 위치하는 시퀸을 절단한다.
침봉(20)과 함께 침포(21)가 상승하면, 가동 날(17)은 토션 스프링(19)의 복원력에 의해 퇴피 자세로 돌아온다. 또한, 시퀸 전송 기구(6)에 대해서는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 특허 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의 제어 계통의 일례를 대략 시 하는 블럭도이다. CPU(중앙 처리 유닛)(41), ROM(read only memory)(42), RAM(random access memory)(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이 자수 미싱의 각종 동작이 제어된다. 조작 패널부(44)는 이 자수 미싱에 있어서 각종의 설정ㆍ선택ㆍ지시 등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 및 표시기 등으로 구성된다. 기억부(45)는 하드 디스크 및 착탈식 기억 매체 등으로 구성되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 각종의 동작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의 자수 무늬에 대응하는 자수 바느질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컴퓨터 버스(46)에는 인터페이스(I/F)를 통하여 이 미싱의 각 기구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모터, 솔레노이드, 실린더 등)(47 ~ 51)이 접속된다. 도 5에 있어서는 편의상, 일부의 드라이버(47 ~ 51)만 나타나 있고, 그 외는 도시를 생략한다.
미싱 주축 드라이버(47)는 미싱 주축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미싱 운전 명령에 따라 미싱 주축이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 각 미싱 헤드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침봉이 상하 구동된다. 또, 미싱 정지 명령에 따라 미싱 주축의 회전이 정지된다. 자수틀 드라이버(48)는 자수틀(31)을 X-Y 구동하는 X 축 및 Y 축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수 무늬의 바느질 패턴 데이터에 따른 1침마다의 바느질 패턴(바느질 폭 및 방향)에 따라 자수틀(31) 이 X-Y 구동된다. 색바꿈 드라이버(49)는 각 미싱 헤드 마다의 침봉 케이스(2)를 슬라이드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색실을 변경할 경우에 각 미싱 헤드의 침봉 케이스(2)를 슬라이드시켜서 원하는 색실이 세트된 침봉이 선택된다. 시퀸 바느질을 실시할 때는 시퀸 봉착 장치(1)가 세트된 침봉(20)이 선택된다. 침봉 점프 드라이버(50)는 각 미싱 헤드마다의 침봉(20)을 점프시키는 솔레노이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침봉(20)을 점프시키면, 미싱 주축이 회전하고 있어도 침봉(20)은 상하 구동되지 않고, 위쪽의 점프 위치에 멈춘다. 시퀸 드라이버(51)는 시퀸 봉착 장치(1)에 있어서의 시퀸 전송 기구(6)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모터(14))와 승강용의 드라이버(에어 실린더(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PU(41)의 제어에 의해, 시퀸 전송 기구(6)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모터(14))는 시퀸 바느질 동작을 실시하고 있는 한가운데에 1침마다의 시퀸 바느질 대응하여 구동 제어되고, 한편 승강용의 드라이버(에어 실린더(9))는 시퀸 바느질 동작의 개시에 앞서 시퀸 봉착 장치(1)를 하강 위치(작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 제어되고, 시퀸 바느질 동작의 종료에 따라 시퀸 봉착 장치(1)를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 제어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동작을 「제1 전환 동작」이라고 하고, 반대로 퇴피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전환하는 동작을 「제2 전환 동작」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러한 동작을 언제 실시해야할 것인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수 바느질 동작의 진행에 수반하여 CPU(41)의 처리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판정하도록 해도 되고, 또는 자수 데이터중에 필요한 지시 데이터가 미리 조성되어 있어서 자수 진행에 수반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지시 데이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지시되도록 해도 되고, 또는 조작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필요한 지시가 주어지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CPU(41)의 제어에 의해, 시퀸 드라이버(51)를 통하여 시퀸 봉착 장치(1)를 승강 이동시키는 과정의 한가운데에 있어서, 즉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일 때, 미싱 운전을 유지한 채로, 침봉의 하강을 금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침봉 제어를 실시한다. 그러한 침봉 제어의 제1의 실시 형태는 침봉의 하강을 금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 침봉 하강 금지를 침봉 점프 기구에 의하여 실현되어 있다. 우선, 그러한 침봉 제어의 제1의 실시 형태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CPU(41)와 침봉 점프 드라이버(50)가 침봉 제어부로서 기능하고, CPU(41)의 제어에 의해 침봉 점프 드라이버(50)를 구동하여 침봉(20)을 점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미싱 주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시퀸 봉착 장치(1)를 승강 이동시켰다고 해도, 침봉(20)이 점프되는 것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는 시퀸 봉착 장치(1)와 침봉 기구가 간섭할 우려가 없어진다(특히 가동 날(17)에 침포(21)가 닿는 일이 없어짐). 승강 이동이 완료하여 시퀸 봉착 장치(1)가 소정의 작동 위치 또는 퇴피 위치로 위치 결정되면, 침봉(20)의 점프 제어가 중지되고, 이후는 미싱 주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침봉(20)가 상하로 운직이게 된다. 또한, 시퀸 봉착 장치(1)가 배치된 침봉 위치에 대응하는 침봉(20)을 사용하여 통상의 자수 바느질을 실시할 때는 시퀸 봉착 장치(1)를 위쪽 의 퇴피 위치로 이동한 채로 하여, 자수 바느질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상하로 움직하는 침봉(20)의 침포(21)가 시퀸 봉착 장치(1)의 가동 날(17)에 닿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일 때 침봉(20)을 점프시키는 제어는 1개의 자수 무늬의 바느질 동작중에 시퀸 바느질용의 동일한 침봉(20)을 사용하고(동일한 색실을 사용하고), 시퀸 바느질을 실시하거나 통상 자수 바느질을 실시하는 것을, 미싱 운전을 유지한 채로(미싱 주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수시로 바꾸도록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즉, 1개의 자수 무늬에 있어서 동일한 색실을 사용하는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부분이 있는 경우, 침봉(20)을 점프시키면서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으로 시퀸 봉착 장치(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미싱 운전을 유지한 채로(미싱 주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 또는 퇴피 위치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동일한 침봉(20)을 사용하여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봉실을 교대로 전환하여 실시하는 것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통상 자수 바느질의 한가운데는 시퀸 봉착 장치(1)가 위쪽의 퇴피 위치에 놓여지므로, 상하로 움직하는 침봉(20)의 침포(21)가 시퀸 봉착 장치(1)의 가동 날(17)에 닿는 일이 없다.
다음에,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침봉 점프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작성하고, 이 자수 데이터중에 삽입하도록 한 실시예에 대해,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느질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수 무늬에 있어서, 동일한 색실로 시퀸 바느질로부터 통상의 자수 바느질(또는 그 반대로)에 부분적으로 무늬 가 전환하는 형태로,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하고 있으나, 자수 무늬 데이터 메모리(기억부(45))로부터 공급되는 자수 데이터는 종래대로의 데이터 형태로 되어 있고, 이 부분적인 무늬 전환 부분에 대응하여 침봉 점프 코드가 설정되지 않은 것을 상정하고 있다. 여기서, 도 6의 처리에 의하여 필요한 변경 부분에서 점프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작성하여 자수 데이터중에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원하는 자수 무늬를 선택하여 운전 개시 스위치를 조작하면, 미싱이 기동되어서 자수 바느질을 개시하는 상태가 되고, 도 6의 처리가 개시된다. 또한, 자수 개시시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시퀸 봉착 장치(1)는 위쪽의 퇴피 위치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있어서, 단계 S1에서는 자수 무늬 데이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자수 데이터 중 차례로 n 스티치분(n은 소정의 복수)의 자수 데이터를 선독(先讀)한다. 처음은 1 스티치에서부터 n 스티치까지의 데이터를 선독하고, 다음은 n+1 스티치에서부터 2n 스티치까지의 데이터를 선독하고, 이와 같이 n 스티치마다 모아서 차례로 선독한다. 또한, 이 선독 스티치수 n은 항상 일정할 필요는 없고, 적절히 변동해도 지장이 없다. 선독한 n 스티치분의 자수 데이터는 RAM(43)의 워킹 에리어에 보존되고, 이하의 단계에서의 판정 처리에 임하여 이용되고, 한편 이하의 단계에서 생성한 논데이터 점프 코드 등이 이 워킹 에리어내의 자수 데이터에 대해서 삽입된다.
단계 S2에서는 상기 선독한 n 스티치분의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퀸 봉착 장치(1)를 퇴피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전환하는 상기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할 것인지의 여부(「시퀸 하강해야할 것인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퀸 봉착 장치(1)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로, 상기 선독한 n 스티치분의 자수 데이터중에 시퀸 코드(시퀸 송출 지령)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시퀸 코드는 1 스티치마다 시퀸의 송출을 지시하는 명령 코드이다.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 S3에서 이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가 어디 있는지를 판정하고, 판정한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이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지시하는 「시퀸 하강 명령」을 생성하는 동시에, 논데이터 점프 코드(스티치 데이터는 0으로, 침봉 점프만을 지시하는 코드)를 생성하고, 이 자수 데이터중에 적절히 스티치수분만 삽입한다. 이 논데이터 점프 코드를 삽입하는 스티치수는 시퀸 봉착 장치(1)를 퇴피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하강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에 맞는 수로 하고, 미싱 주축 회전수에 상관하여 변동되는 것으로 한다. 또, 조작자가 이 스티치수를 적절히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논데이터 점프 코드를 3 스티치분 삽입하면, 그러한 스티치의 바느질 타이밍에서 자수틀(31)은 움직이지 않고(스티치 데이터 0이기 때문에), 3침 계속하여 점프 상태를 유지하고, 그 사이에 시퀸 봉착 장치(1)가 퇴피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하강된다. 예를 들면, 단계 S3에서는 시퀸 코드가 없는 i 번째의 스티치와 시퀸 코드가 있는 i+1 번째의 스티치를 특정하고, 이 i 번째의 스티치와 i+1 번째의 스티치의 경계의 자수 무늬 위치가 상기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라고 판정하고, i 번째의 스티치의 자수 데이터의 다음에 적절히 스티치수분의 논데이터 점프 코드를 삽입하고, 한편 그 중의 최초의 삽입 스티치에 대응하여 시퀸 하강 명령을 포함하게 한다.
다음의 단계 S4에서는 상기 선독한 n 스티치분의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상기 제1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퀸 봉착 장치(1)가 빈번히 승강 이동되는 것으로 오히려 작업 시간 손실이 생겨 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시퀸 코드가 없어져도, 즉시 시퀸 봉착 장치(1)를 상승시키는 일 없이, 시퀸 코드가 없는 스티치가 소정수 이상 계속된 것을 확인하고 나서,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상승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단계 S4에서는 시퀸 코드가 끊어지고 나서 소정의 스티치수(예를 들면 100 스티치)의 사이 연속하여 상기 시퀸 코드가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제1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한다(「시퀸 상승해야 할 것인가?」예)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소정의 스티치수는 미싱의 조작자가 임의로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한, 이 단계 S4의 판정에서는 이번 선독한 n 스티치분의 자수 데이터에만 한정하지 않고, 그 이전에 선독한 n 스티치분의 자수 데이터로부터의 통산으로, 시퀸 코드가 소정의 스티치수(예를 들면 100 스티치)의 사이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소정의 스티치수의 사이는 통상 자수를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퀸 봉착 장치(1)가 하강 위치에 유지되어서 종래와 동일하게, 침포(21)에 의하여 가동 날(17)이 두들겨지지만, 상기와 같이 작업 시간 손실을 줄이는 것을 우선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소정의 스티치수의 사이에 시퀸 봉착 장치(1)가 하강 위치에 유지되어도, 시퀸 코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시퀸 송출은 행해지지 않고, 통상의 자수 바느질로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시퀸 봉착 장치(1)의 상승 이동시킬 때의 여유를 설정하지 않고, 시퀸 코드가 없어졌을 때 즉시 시퀸 봉착 장치(1)를 상승시키도록 해도 되고, 그 경우는 침포(21)에 의하여 가동 날(17)이 두들겨지는 일이 완전히 없어진다.
단계 S4가 예인 경우는 단계 S5에서, 상기 제1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일이 판정된 자수 무늬 위치(시퀸 코드가 끊어지고 나서 소정 스티치수 경과한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이 제1 전환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지시하는 「시퀸 상승 명령」을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와 동일한 논데이터 점프 코드를 생성하고, 이 자수 데이터중에 적절히 스티치수분만 삽입한다. 상기와 같게, 이 논데이터 점프 코드를 삽입하는 스티치수도,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상승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에 맞는 수로 한다.
다음에, 단계 S6에서는 미싱의 운전 루틴이 이미 스타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아직 스타트하고 있지 않으면, 「운전 루틴」S7을 실행시킨다. 「운전 루틴」S7에서는 미싱 주축을 회전시키고, RAM(43)의 워킹 에리어내의 자수 데이터를 바느질 순서에 따라서 차례로 1 스티치씩 읽어내고, 이 읽어낸 자수 데이터에 따르는 자수 바느질(시퀸 바느질 또는 통상 자수)를 실행한다. 미싱의 운전 루틴이 이미 스타트하고 있는 경우는 단계 S8로 이행하여, 다음의 n 스티치 데이터를 선독해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운전 루틴」S7에서의 자수 바느질의 진행 상황에 따라, 워킹 에리어내의 자수 데이터의 미처리량이 소정 스티치수로 되었을 때에, 이 「운전 루틴」S7로부터 선독 지시가 발생된다. 단계 S8에서는 이 선독 지시가 주어진 것을 검출하면, 단계 S1로 돌아와서, 다음의 n 스티치분의 자수 데이터의 선독을 실시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단계 S2 ~ S5의 처리가 반복되고, 「시퀸 하강 명령」 또는 「시퀸 상승 명령」및 「논데이터 점프 코드」의 생성과 워킹 에리어내의 해당 다음의 n 스티치분의 자수 데이터내에의 이것들 생성한 명령 및 점프 코드의 삽입이 실행된다. 또한, 자수 스타트시에 미싱 주축이 일단 회전되면, 미싱 정지 명령이 주어지지 않는 한 운전은 정지되지 않고, 「운전 루틴」S7이 계속하여 실행된다. 예를 들면, 색실 바꿈을 실시할 때는 자수 무늬의 바느질 도중에 있어서도, 미싱을 일단 정지시키고, 지금까지의 바느질 실의 절단과 새로운 색실에 대응하는 침봉의 선택/바꿈이 행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퀸 바느질에서부터 통상 자수로 전환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있어서, 색실을 변경하지 않는 것이면, 미싱 정지 명령이 발생되지 않고, 미싱 운전이 계속된다. 따라서, 자수 무늬 데이터 메모리(기억부(45))로부터 공급되는 자수 데이터는 종래대로의 데이터 형태이며, 만약 색실을 변경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시퀸 바느질에서부터 통상 자수로 전환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미싱 정지 명령이 자수 데이터중에 삽입되어 있다면, 단계 S3 또는 S5의 처리에서 점프 코드를 삽입할 때에, 그러한 미싱 정지 명령을 삭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자수 무늬의 바느질을 종료할 때 「운전 루틴」S7에서는 선독 지시에 대신하여, 종료 지시가 발생되고 이것에 따라 도 6의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구체적인 바느질 동작예로서 도 7에 나타내는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자수 무늬의 봉제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A1 ~ A3는 통상 자수, B1, B2는 시퀸 봉착에서, 통상 자수 A1 ~ A3과 시퀸 봉착 B1, B2를 동일한 색실로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자수 A1, 시퀸 봉착 B1, 자수 A2, 시퀸 봉착 B2, 자수 A3의 순서로 봉제하는 것이다. 또, 자수 A1, A3는 100 스티치 이상, 자수 A2는 100 스티치 미만으로 한다.
우선, 도 7에 나타내는 자수 무늬의 자수 데이터가 외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면, 이것을 외부 메모리로부터 미싱에 읽어들이고, 하드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수 무늬 데이터 메모리(기억부(45))에 보존한다. 다음에, 시퀸 바느질 유닛(1)을 승강시킬 때 생성하는 논데이터 점프 코드를 어떤 스티치분으로 하는지를 설정하는 동시에, 시퀸 바느질 후에 통상 자수 바느질이 어떤 스티치로 계속 될 때 시퀸 봉착 장치(1)를 위쪽으로 퇴피시키는지(도 6의 단계 S4에서 판정하는 소정 스티치수)를 설정한다. 본 예에서는 논데이터 점프 코드는 3 스티치분으로 하고, 시퀸 봉착 장치(1)를 퇴피시키는 것은 시퀸 바느질 후에 통상 자수 바느질이 100 스티치 이상 계속 될 때로 설정한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티치수는 미리 설정된 것이어도 되고, 조작자가 가변 설정한 것이어도 된다. 또, 논데이터 점프 코드의 스티치수는 그 때의 미싱 회전수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해도 되고, 시퀸 봉착 장치(1)를 퇴피시킬 때와 하강시킬 때로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미싱을 기동하여 봉제를 개시하면, 우선 색실 데이터에 따라서 시퀸 침봉이 선택된다. 시작은 선독한 데이터중에 시퀸 코드는 아직 없기 때문에, 시퀸 봉착 장치(1)는 위쪽의 퇴피 위치로 퇴피시킨 채로 있다. 따라서, 운전 루틴(도 6의 단계 S7)의 실행에 의해, 시퀸 침봉을 사용하여 통상 자수 A1가 실행되게 된다. 이윽고, 통상 자수 A1의 진행에 수반하여 시퀸 봉착 B1의 데이터가 선독되게 되면, 상술한 도 6의 단계 S3의 처리에 의해, 시퀸 코드 없는 스티치에서부터 시퀸 코드 있는 스티치로 전환되는 부분에 있어서, 이 시퀸 코드 있는 스티치의 직전에 논데이터 점프 코드를 3 스티치분 생성하여 삽입하고, 한편 「시퀸 하강 명령」을 삽입한다. 또한, 참고를 위해서, 도 8에 있어서, (a)에 원래의 자수 데이터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고, (b)에 「시퀸 하강 명령」또는 「시퀸 상승 명령」과「논데이터 점프 코드」가 삽입된 자수 데이터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운전 루틴(도 6의 단계 S7)의 실행에 의해, 통상 자수 A1의 바느질이 종료했을 때, 그 다음의 스티치의 데이터로서 삽입된 「시퀸 하강 명령」과「논데이터 점프 코드」에 의하여 시퀸 침봉이 3 스티치분 점프 상태가 되고, 그 사이에 시퀸 봉착 장치(1)가 작동 위치까지 하강 이동된다. 그 사이, 미싱 주축의 회전은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운전 루틴(도 6의 단계 S7)에서, 「논데이터 점프 코드」의 스티치의 실행을 종료하고, 「시퀸 코드」가 있는 스티치의 실행으로 옮기면, 시퀸 침봉의 점프 상태가 해제되어서 침봉 상하 움직임에 따른 바느질이 가능하게 되고, 「시퀸 코드」에 따라 시퀸 전송 기구(6)가 작동되고, 시퀸 연결체(3)이 송출되어서 시퀸 봉착 B1리 행해지게 된다. 이윽고, 시퀸 봉착 B1의 진행에 수반하여 통상 자수 A2의 데이터가 선독되게 되면, 상술한 도 6의 단계 S4의 처리에 의해, 통상 자수로 전환하는 부분에 있어서,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 환하는 상기 제1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도 6의 단계 S4에서, 시퀸 봉착 B1 후의 통상 자수 A2가 100 스티치 이상 계속 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이 통상 자수 A2는 100 스티치 미만이기 때문에 아니오로 판정된다. 따라서, 도 6의 단계 S5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고, 시퀸 봉착 장치(1)를 퇴피시키는 일 없이, 또 논데이터 점프 코드도 생성하지 않는다. 이 경우, 운전 루틴에 의해 시퀸 봉착 B1의 후에 자수 A2의 바느질을 실행할 때, 시퀸 봉착 장치(1)는 하강된 채로 있으나, 「시퀸 코드」가 없기 때문에 시퀸 연결체(3)는 송출되어서, 따라서 통상 자수 A2의 바느질이 행해진다.
이윽고, 자수 A2의 진행에 수반하여 시퀸 봉착 B2의 데이터가 선독되게 되면, 상술한 도 6의 단계 S2에서는 시퀸 코드를 인식하는 것에 근거하여, 시퀸 봉착 장치(1)를 퇴피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전환하는 상기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지만, 이 경우에는 시퀸 봉착 장치(1)는 작동 위치로 하강된 채로 있기 때문에, 그 필요가 없고, 아니오로 판정된다. 따라서, 도 6의 단계 S3에 의한 「시퀸 하강 명령」 및 「논데이터 점프 코드」의 생성과 삽입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 운전 루틴의 실행에 의해, 자수 A2가 종료하면, 곧바로 시퀸 봉착 B2의 바느질로 이행한다. 그 때, 시퀸 봉착 장치(1)는 하강된 채로 있고, 또 「시퀸 코드」가 스티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 시퀸 전송 기구(6)가 작동되고, 시퀸 연결체(3)이 송출되어서 시퀸 봉착 B2가 행해지게 된다.
이윽고, 시퀸 봉착 B2의 진행에 수반하여 통상 자수 A3의 데이터가 선독되게 되면, 상술한 도 6의 단계 S4의 처리에 의해, 통상 자수로 전환되는 부분에 있어 서,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상기 제1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통상 자수 A3는 100 스티치 이상 계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의 단계 S4에서는 예로 판정하고, 도 6의 단계 S5의 처리를 실행하고, 시퀸 봉착 B2의 마지막 스티치와 통상 자수 A3의 최초의 스티치 사이에, 3 스티치분의 「논데이터 점프 코드」를 생성하여 삽입하는 동시에, 「시퀸 상승 명령」을 삽입한다. 이 경우, 운전 루틴의 실행에 의해 시퀸 봉착 B2가 종료하면, 시퀸 연결체(3)의 송출이 정지되고, 시퀸 침봉이 3 스티치분 점프 상태가 되고, 그 사이에이전에 시퀸 봉착 장치(1)가 퇴피 위치까지 상승 이동된다. 그 사이, 미싱 주축의 회전은 유지되어 있다. 그 직후에, 시퀸 침봉의 점프 상태가 해제되고, 자수 A3의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상 자수 A3이 행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시퀸 봉착 장치(1)가 퇴피 위치에 놓여진 채로 있으므로, 상하로 움직하는 침봉(20)의 침포(21)에 의하여 시퀸 봉착 장치(1)의 가동 날(17)이 두들겨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통상 자수 A3이 종료하면 미싱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퀸의 봉착을 실시하기 전 또는 후에 시퀸 침봉에 의하여 자수를 실시할 때는 시퀸 침봉을 점프 상태로서 시퀸 봉착 장치(1)의 승강을 미싱을 정지하는 일 없이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시퀸 침봉에 의한 자수시에 가동 날(17)이 침포(21)에 쓸데 없이 두들겨지는 일이 없고, 가동 날(17)이 파손되기 쉬워지는 것을 막는 동시에,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고 시퀸 침봉에 의한 자수시의 미싱 소음이 커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시퀸 봉착 장치(1)의 승강을 시퀸 침봉을 점프 상태로서 실시하기 때문에, 미싱을 정지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 시간의 손실을 근소하게 할 수 있다. 또, 자수의 침수가 적고 시퀸 바느질 유닛(1)을 승강시키면 오히려 효율이 나빠질 때에는 시퀸 바느질 유닛(1)의 승강을 실시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침봉 제어의 제2의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전환 동작일 때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제2 전환 동작일 때, 미싱 운전을 유지한 채로, 침봉의 하강을 지연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CPU(41)가 침봉 제어부로서 기능하고, 침봉(20)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여 이 침봉(20)이 하강하는 것을 지연시킨다. 통상은 침봉(20)의 상하 구동은 미싱 주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행해지므로, 이와 같은 침봉(20)의 이동 속도의 감속은 미싱 주축 속도를 감속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봉(20)의 하강이 지연되고 있는 동안에서 상기와 같은 시퀸 봉착 장치(1)의 승강 동작(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한다.
이 제2의 실시 형태를 실시할 때에는 상기 제 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퀸 봉착 장치(1)의 승강 동작(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지시하기 때문에, 자수 데이터중에 삽입되는 상기 「논데이터 점프 코드」에 대신하여,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을 삽입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자수 바느질 동작의 과정에서,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이 주어지면, 이것에 따라 미싱 주축 모터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고, 침봉(20)의 1 스트로크의 소정 행정에 있어서 상하 구동 속도가 지연되고, 위에 오른 침봉(20)의 하강이 지연되게 된다. 따라서, 침봉(20)이 위쪽에 있어서 하강하기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는 동안에, 상기와 동일하게, 시퀸 봉 착 장치(1)를 승강 이동(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싱 주축의 감속시의 회전수는 미리 설정된 값이어도 되고, 조작자가 조작 패널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이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시퀸의 봉착을 실시하기 전 또는 후에 시퀸 침봉에 의하여 자수를 실시할 때는 시퀸 봉착 장치(1)의 승강을 미싱 운전을 정지하는 일 없이 실시할 수 있고, 한편 침봉의 하강이 지연되고 있으므로, 시퀸 침봉에 의한 자수시에 가동 날(17)이 침포(21)에 쓸데 없게 두들겨지는 일이 없고, 가동 날(17)이 파손되기 쉬워지는 것을 막는 동시에,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고 시퀸 침봉에 의한 자수시의 미싱 소음이 커지는 일이 없다. 또, 미싱을 정지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 시간의 손실을 근소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수 바느질할 때에, 소정수의 스티치마다 자수 데이터를 선독하고, 시퀸 봉착 장치(1)의 위치를 승강 변경하기 위한 「논데이터 점프 코드」(또는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을, 바느질 동작과 거의 동시 진행으로(바느질 동작에 약간 선행하여) 생성하여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미싱 운전을 개시하기 전에, 미싱에 외부 메모리로부터 원하는 자수 무늬의 자수 데이터를 읽어들였을 때에, 이 자수 무늬중의 모든 자수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 자수 무늬중에 삽입되어야 하는 모든 「시퀸 하강 명령」및 「시퀸 상승 명령」과「논데이터 점프 코드」(또는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을 생성하여 이것들을 모두 자수 데이터에 삽입하고, 그 후 이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싱 운전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원하는 무늬의 자수 데이터에 있어서 「시퀸 하강 명령」및 「시퀸 상승 명령」과「논데이터 점프 코드」(또는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을 미리 삽입하고, 이와 같은 점프 코드(또는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 등 삽입제의 자수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 등으로부터 미싱에 읽어들이도록 해도 된다.
또,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와 퇴피 위치(이것을 최상쪽의 퇴피 위치라고 함)와의 사이의 중간 위치(이것을 중간의 퇴피 위치라고 함)에서도 홀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시퀸 바느질과 시퀸 침봉에 의한 통상 자수로의 전환시에는 시퀸 봉착 장치(1)를 작동 위치와 중간 위치(중간의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 승강시키도록 하면, 그 승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싱을 정지했을 때는 시퀸 봉착 장치(1)를 최상쪽의 퇴피 위치까지 퇴피시키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퇴피 위치는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퇴피 위치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되고, 요컨데 시퀸 바느질이 불가능한 위치(가동 날(17)이 침포(21)에 두들겨지지 않는 위치)이면 좋다.
시퀸 봉착 장치(1)를 승강하기 위한 장치는 에어 실린더(9)에 한정하지 않고, 전기 모터 등, 다른 액츄에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퀸 봉착 장치(1)를 구비한 다두 다침식의 자수 미싱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한 다른 형식의 미싱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퀸 봉착 장치를 시퀸의 봉착이 가능한 작동 위치와 시퀸의 봉착을 실시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한 미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시퀸(sequin) 바느질과 통상 바느질의 어느 하나로도 사용 가능한 침봉(針棒) 기구를 포함하는 미싱 헤드와,
    상기 침봉 기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시퀸 바느질 가능한 작동 위치와 시퀸 바느질 불가능한 퇴피(退避)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시퀸 봉착(縫着) 장치와,
    상기 시퀸 봉착 장치를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전환하는 제1 전환 동작일 때,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제2 전환 동작일 때, 미싱 운전을 유지한 채로, 상기 침봉 기구의 침봉의 하강을 금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침봉 제어부와,
    상기 침봉 제어부가 상기 침봉의 하강을 금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동안에, 상기 시퀸 봉착 장치를, 상기 제1 전환 동작에서는 상기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전환 동작에서는 상기 작동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이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刺繡)가 혼재한 자수 무늬(柄)의 바느질 동작을 실시할 때, 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침봉 제어부에 의한 침봉의 하강 금지 또는 지연을 실시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기구에 시퀸 봉착 장치의 이동을 실시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봉 제어부는 상기 침봉을 점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침봉의 하강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4. 제3항에 있어서,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자수 무늬의 자수 데이터를 공급하는 자수 데이터 공급부와,
    공급된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한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자수 데이터중에 침봉 점프를 지시하는 점프 코드를 삽입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침봉 제어부 및 상기 이동 기구에서는 상기 자수 데이터중의 상기 점프 코드에 따라서, 침봉의 점프 및 시퀸 봉착 장치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의 이동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은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자수 무늬의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수 바느질을 실시하는 것이고,
    상기 자수 데이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침봉 점프를 지시하는 점프 코드가 미리 삽입되어 있고,
    상기 침봉 제어부 및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자수 데이터중의 상기 점프 코드에 따라서, 침봉의 점프 및 시퀸 봉착 장치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의 이동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봉 제어부는 미싱 주축 속도를 감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침봉의 하강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7. 제6항에 있어서,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자수 무늬의 자수 데이터를 공급하는 자수 데이터 공급부와,
    공급된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한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자수 데이터중에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을 삽입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침봉 제어부 및 상기 이동 기구에서는 상기 자수 데이터중의 상기 감속 지령에 따라서, 미싱 주축의 감속 및 시퀸 봉착 장치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의 이동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은 시퀸 바느질과 통상 자수가 혼재한 자수 무늬의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수 바느질을 실시하는 것이고,
    상기 자수 데이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전환 동작 또는 제2 전환 동작을 실시해야 할 자수 무늬 위치에 대응하여, 미싱 주축의 감속 지령이 미리 삽입되어 있고,
    상기 침봉 제어부 및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자수 데이터중의 상기 감속 지령에 따라서, 미싱 주축의 감속 및 시퀸 봉착 장치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의 이동 또는 그 반대의 이동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KR1020070018423A 2006-02-27 2007-02-23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한 미싱 KR100790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1157A JP2007229013A (ja) 2006-02-27 2006-02-27 シークイン縫着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JP-P-2006-00051157 2006-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065A KR20070089065A (ko) 2007-08-30
KR100790665B1 true KR100790665B1 (ko) 2008-01-02

Family

ID=3844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23A KR100790665B1 (ko) 2006-02-27 2007-02-23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한 미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99490A1 (ko)
JP (1) JP2007229013A (ko)
KR (1) KR100790665B1 (ko)
CN (2) CN1010294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070A (ja) * 2007-06-08 2008-12-1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12593A (ja) * 2007-11-07 2009-05-28 Barudan Co Ltd 多頭ミシン及び刺繍方法
JP5384956B2 (ja) * 2009-01-21 2014-01-08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5416608B2 (ja) * 2010-02-10 2014-02-12 株式会社バルダン シークイン供給装置を備える多針ミシン
JP5374406B2 (ja) * 2010-02-17 2013-12-25 株式会社バルダン シークイン供給装置を備える多針ミシン
CN102535023A (zh) * 2010-12-20 2012-07-04 吴江赴东纺织集团有限公司 缝纫机绣片缝合装置
JP2014083061A (ja) * 2012-10-19 2014-05-12 Brother Ind Ltd ミシン、刺繍データ処理装置、及び刺繍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9074309B1 (en) 2014-02-18 2015-07-07 Abm International,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equin attachment
CN104358035B (zh) * 2014-10-29 2017-03-15 际华三五三四制衣有限公司 一种警服袖口翻折边夹扎热熔条的缝制装置
US10619296B2 (en) 2017-01-06 2020-04-14 Under Armour, Inc. Articles with embroidered sequins and methods of making
CN110468524A (zh) * 2018-05-10 2019-11-19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一种马头式桌上型多功能单头绣花机
WO2022065083A1 (ja) * 2020-09-24 2022-03-31 株式会社Tism ミシンの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ミシン
CN114687081B (zh) * 2020-12-30 2023-06-20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缝纫机组件的定位方法和缝纫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097A (ja) * 2002-11-21 2004-06-17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シークイン送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305A (en) * 1901-11-07 1902-05-20 Robert Cornely Machine for fixing spangled material to textile fabrics.
US3390650A (en) * 1965-10-27 1968-07-02 Arnold G. Ochsner Decorating attachment for embroidery machine
EP0219971B1 (en) * 1985-09-13 1989-12-20 Jakob Schlaepfer &amp; Co A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lique machines
US4848253A (en) * 1987-08-21 1989-07-18 Tokai Industrial Sewing Machine Co., Ltd. Embroidery machine for sewing spangles on fabrics
US4807546A (en) * 1987-12-04 1989-02-28 Sequins Of Distinction, Inc. Sequin application apparatus for shuttle embroidery machine
US5562057A (en) * 1992-05-11 1996-10-08 Lenson; Harry Dish-shaped sequin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huttle embroidery machine
DE19538084A1 (de) * 1995-10-13 1997-04-17 Zsk Stickmasch Gmbh Paillettenzuführeinrichtung für Stick- und/oder Nähmaschinen
CH690442A5 (de) * 1996-03-07 2000-09-15 Schlaepfer & Co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korationselements auf Textilien, sowi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Dekorationselement
JP4469293B2 (ja) * 2004-07-26 2010-05-26 株式会社バルダン 刺繍柄の補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097A (ja) * 2002-11-21 2004-06-17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シークイン送り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167097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9490A1 (en) 2007-08-30
CN201021467Y (zh) 2008-02-13
CN101029434A (zh) 2007-09-05
KR20070089065A (ko) 2007-08-30
JP2007229013A (ja)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665B1 (ko) 시퀸 봉착 장치를 구비한 미싱
US7460925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2008079998A (ja) ミシン
JP2007244721A (ja) ミシン
KR100228933B1 (ko) 재봉틀의 노루발 구동장치
KR20060052080A (ko) 재봉기
US7085617B2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mbroidery sewing machine
CN1962994A (zh) 缝纫机
JP2006239301A (ja) ミシン
JP4860178B2 (ja) ミシン
JPH06316855A (ja) 刺繍ミシンの制御装置
US6298799B1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tracing embroidery area
JP4492247B2 (ja) 刺繍可能なミシン
JPH0596071A (ja) マークカツター装置を有する刺しゆう機能付きミシン
JP2006020757A (ja) 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
JP2006263177A (ja) ミシン
KR100944296B1 (ko) 재봉틀
US20240026584A1 (en)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JP2009095473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プログラム
CN1221699C (zh) 绣花机
JP2008295734A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2000024353A (ja) ミシン
JP2002085870A (ja) 刺繍ミシン用刺繍範囲トレース方法
JP3992785B2 (ja) 多頭ミシンにおける手動糸切り指示方法
JP2010220929A (ja) 穴かがり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