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959B1 - 롤의 교환작업이 간단한 분쇄 롤 장치 - Google Patents

롤의 교환작업이 간단한 분쇄 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959B1
KR100777959B1 KR1020020039963A KR20020039963A KR100777959B1 KR 100777959 B1 KR100777959 B1 KR 100777959B1 KR 1020020039963 A KR1020020039963 A KR 1020020039963A KR 20020039963 A KR20020039963 A KR 20020039963A KR 100777959 B1 KR100777959 B1 KR 10077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ll
bearing housing
tension
ai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097A (ko
Inventor
도꾸이요시히로
히사미쯔야스시
미야지마꼬또
우에바야시시게끼
가와노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030007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1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 B02C4/1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in the form of a plate
    • B02C4/1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in the form of a plate specially adapted for mill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2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2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 B02C4/38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in gra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차동 전달 기구(12)의 타이밍 벨트(15)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롤 팩 모듈(8)을 제거하는 것과 새로운 미리조립된 롤 팩 모듈(8)의 설치를 단시간에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분쇄 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나의 텐션 암(17)이 텐션 암의 상부 부분의 선회점(2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쌍의 텐션 암(17, 17)들 중 하나의 텐션 암에는 컷아웃 부분(25)이 제공되어 있다. 아이들러 풀리(16)의 회전축(45)이 컷아웃 부분(25)을 통해 텐션 암(17)으로부터 해제되므로, 타이밍 벨트(15)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공기 실린더(31)는 제 1 및 제 2 링크 부재(35, 36)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작업자는 단지 공기 실린더를 원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공기 실린더 뒤에 위치된 볼트(43)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의 교환작업이 간단한 분쇄 롤 장치{BREAK ROLL MACHINE OPERABLE WITH EASE IN REPLACEMENT OF THE ROL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롤 장치의 차동 전달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전달 기구의 텐션 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 롤 장치의 롤 간극 조절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 로부터 도시된 롤 간극 조절 수단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종래 분쇄 롤 장치의 차동 전달 기구 및 롤 간극 조절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종래 분쇄 롤 장치의 롤 간극 조절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분쇄 롤 장치 2,3: 분쇄 롤 4,5: 회전축
6: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 7: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 8: 롤 팩
9: 피벗 10: 연결 로드 11: 롤 간극 조절 기구
12: 차동 전달 기구 13,14: 타이밍 벨트용 풀리 15: 타이밍 벨트
16: 아이들러 풀리 17: 텐션 암 18: 작동 레버 19: 선회 회전축
20: 텐션 조절 기구 21: 고정판 22: 나사 로드
23: 코일 수납 실린더 24: 코일 스프링 25: 컷아웃 부분
26: 개구부 27: 나사 28: 와셔 29: 일단부 30: 레버
31: 공기 실린더 32: 피스톤 33: R-핀 34: 부시
35: 제 1 링크 부재 36: 제 2 링크 부재 37: 부시 38: 레버
39: 핀 40: 고정판 41: 조절 로드 42: 회전 저항 부재
43: 잠금 볼트 44: 핸들 45: 회전축 46: 선회 회전축
47: 나사
본 발명은, 밀과 같은 곡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 롤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자세히는 롤의 교환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는 분쇄 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분 공장에서 사용되는 분쇄 롤 장치로서는, 장치 프레임(101)내에 1쌍의 롤(102, 103)을 2세트 설치한 복식 롤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복식 분쇄 롤 장치(100)는, 1쌍의 롤(102, 103) 각각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중심 분할 보드(104)에 의해 2부분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장치는 2부분으로 분할되는데, 하나의 부분은 원료인 스톡(stock)의 분쇄 및 전개에 이용되는 거친 롤측(107)이고, 다른 부분은 스톡의 마찰 분쇄에 이용되는 매끄러운 롤측(108)이다. 또한, 분쇄 롤 장치(100)에는 한쌍의 롤(102, 103)을 각각 안쪽방향으로 상이한 원주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차동 전달 기구(109)(거친 롤측(107) 참조)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롤 장치(100)에는 한쌍의 롤(102, 103) 사이에 형성된 닙(nip) 또는 간극(gap)을 조절하기 위한 롤 간극 조절 기구(110)가 제공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쇄 롤 장치(100)에 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친 롤의 마모가 발생하고, 매끄러운 롤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롤은 원형을 잃고, 롤의 이지면(pear surface)이 마모로 인해 너무 매끄러워진다. 그러므로, 롤(102, 103)의 표면은 거칠어지거나 연삭 또는 연마될 필요가 있다. 유지보수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된 롤을 예정된 스케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분의 롤로 교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롤 교체의 적절한 타이밍은 롤의 위치, 롤의 재질, 원료의 종류, 롤의 조임 정도, 부하의 정도와 같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교체 주기는 거친 롤에 대해서는 4개월에서 1년 사이일 수 있고, 매끄러운 롤에 대해서는 6개월에서 2년 사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롤의 교체를 위한 실제적인 작업을 설명한다. 한쌍의 롤(102, 103)을 장치 프레임(101)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먼저, 벨트와 같은 구동 전달 수단을 주 구동 수단으로부터 제거 또는 해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구동 전달 수단은, 구동원으로서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롤(102 및/또는 103) 사이를 연결하는 V-벨트(도시하지 않음) 및 V-벨트용 풀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V-벨트용 풀리는 일반적으로 모터 구동축의 단부 부분과 롤 종동축의 단부 부분에 장착되고 V-벨트의 너비는 작기 때문에, 이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의 돌출 부분과 간섭할 가능성은 적다. 결과적으로 이들 구성 요소는, 당해 구성 요소에 적용된 텐션을 간단히 느슨하게 함으로써 쉽게 제거 또는 해 체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차동 전달 기구(109)의 타이밍 벨트(111)는 넓은 너비의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그 제거 또는 해체가 매우 어렵다. 차동 전달 기구(109)는, 롤(102, 103)에 각각 장착된 타이밍 벨트용 풀리(112, 113); 아이들러 풀리(idler pulley)(114); 타이밍 벨트용 풀리(112, 113)와 아이들러 풀리(114)에 감겨진 넓은 너비 형상의 타이밍 벨트(111); 아이들러 풀리(114)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텐션 암(115); 및 텐션 암의 회전에 기초하여 타이밍 벨트(111)에 적절한 텐션을 가하는 텐션 기구(116)로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 벨트용 풀리(112, 113)와 아이들러 풀리(114)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111)를 제거하는 경우, 텐션 기구(116)를 조작하여 로드(116a)를 수축시켜, 텐션 암(115)을 도면의 왼쪽 방향, 즉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타이밍 벨트(111)를 느슨하게 한다. 다음으로, 텐션 암(115)의 회전운동 지점(115a)이 볼트에 의해 중심 분할 보드(104)의 하부 부분(104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들 볼트를 제거하고 나서, 텐션 암(115) 자체를 장치 프레임(101)으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에, 넓은 너비 형상의 타이밍 벨트(111)를 타이밍 벨트용 풀리(112, 113)와 아이들러 풀리(114)로부터 제거한다.
이상과 같이, V-벨트 및 타이밍 벨트와 같은 구동 전달 수단을 주 구동 수단으로부터 제거한 후에, 한쌍의 롤(102, 103)을 장치 프레임(101)으로부터 제거한다. 그러나, 롤(102, 103)과 장치 프레임(101) 사이에는 롤 간극 조절 기구(110)가 추가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8-206,522 호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리조립된 모듈 구조의 롤 팩이 개시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롤(102, 103) 각각을 가동 베어링 하우징(117)과 고정 베어링 하우징(118)에 미리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롤 간극 조절 기구(110)의 암 로드(120)와 공기 실린더(121) 사이의 환상 결합을 분리하고, 그 후 잠금 볼트(122, 123, 124)를 제거하면, 미리조립된 롤 팩 모듈(119)을 주 프레임(101)으로부터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고 새로운 모듈을 단시간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롤 팩 모듈(119)을 장치 프레임(10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중에는, 예를 들어, 공기 실린더(121) 뒤에 위치되는 볼트(124)(도 6 참조)가 있는데, 스패너 및 박스 렌치와 같은 공구가 공기 실린더(121)와 간섭하기 때문에 볼트의 헤드 부분으로 접근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잠금 볼트(124)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공기 실린더(121)를 좌우로 경사시키거나(도 6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냄), 또는 공기 실린더 자체를 장치 프레임(101)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필요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넓은 너비의 타이밍 벨트(111)를 풀리(112, 113)와 아이들러 풀리(114)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텐션 암(115) 자체를 장치 프레임(101)으로부터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제거할 볼트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작동이 까다롭고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동 전달 기구의 타이밍 벨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미리조립된 롤 팩 모듈을 단시간에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여 새로운 롤 팩 모듈을 단시간에 쉽게 재설치할 수 있는 분쇄 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장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 이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에 대해 원근 이동이 가능한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 상기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과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보유된 한쌍의 분쇄 롤; 이 한쌍의 분쇄 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과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제공된 롤 간극 조절 기구; 및 상기 한쌍의 분쇄 롤을 서로 안쪽으로 상이한 원주속도로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차동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분쇄 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동 전달 기구는:
상기 한쌍의 분쇄 롤의 회전축에 각각 장착된 타이밍-벨트용 풀리;
이 타이밍-벨트용 풀리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
이 타이밍 벨트에 소정의 텐션을 가하기 위한 아이들러 풀리;
이 아이들러 풀리를 사이에 끼워넣고 제 1 단부 부분에서 아이들러 풀리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제 2 단부 부분에서 중심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텐션 암으로서, 상기 분쇄 롤의 대향면에 위치되는 한쌍의 텐션 암중 한쪽의 텐션 암이 아이들러 풀리의 회전축을 해제시킬 수 있는 컷아웃 부분을 상기 제 1 단부 부분에 구비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한쌍의 텐션 암;
한쌍의 텐션 암의 제 1 단부 부분과 아이들러 풀리를 텐션 암의 제 2 단부 부분에서 선회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작동 레버; 및
아이들러 풀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작동 레버를 이동시키는 텐션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롤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쇄 롤 장치에 있어서, 텐션 암을 장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볼트를 제거하면, 아이들러 풀리의 회전축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고, 텐션 암의 일단부의 선회점을 중심으로 텐션 암만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즉,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텐션 암 전체를 제거할 필요 없이, 최소 개수의 볼트만을 제거함으로써, 넓은 너비 형상의 타이밍 벨트를 어려움 없이 제거할 수 있다.
롤 간극 조절 기구는, 한쌍의 분쇄 롤 위에서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과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로드, 이 연결 로드의 일단부에 선회가능하게 편심되어 장착된 레버, 제 1 결합 수단을 통해 레버의 외부 단부에 연결된 공기 실린더, 및 공기 실린더의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과 레버 사이의 제 1 결합 수단은 R-핀과 부시(bush)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R-핀을 작업자의 손으로 뽑으면 부시 부재가 쉽게 뽑힐 수 있기 때문에, 레버 및 피스톤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실린더의 하부 단부 부분과 장치 프레임 사이의 제 2 결합 수단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가능한 제 1 링크 부재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가능한 제 2 링크 부재로 구성되는 분쇄 롤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실린더는 전후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실린더를 전후 방향으로 경사시키면, 공기 실린더 뒤에 위치된 볼트가 노출되어서, 작업자가 정면으로부터 쉽게 접근하게 된다. 이러 한 경우에 있어서, 스패너 또는 박스 렌치와 같은 공구가 공기 실린더의 방해 없이 정면으로부터 볼트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공구는 어려움 없이 볼트의 헤드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볼트를 제거할 때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공기 실린더를 제거하는 것과 같은 까다로운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리조립된 롤 팩 모듈을 단시간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새로운 롤 팩 모듈을 단시간에 쉽게 재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유리한 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인 분쇄 롤 장치의 차동 전달 기구 및 롤 간극 조절 기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종래 장치(도 5 및 도 6에 도시함)와 공통적인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분쇄 롤 장치(1)의 차동 전달 기구가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에서 분쇄 롤(2, 3)의 회전축(4, 5)은 각각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6) 및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7)에 장착되어서, 이에 따라 미리조립된 롤 팩(8)을 구성한다.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6)은 피벗(9)에 의해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7)의 바닥 부분(7a)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7)과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6) 사이에는 롤 간극 조절 기구(11)가 제공되어 있고, 롤 간극 조절 기구는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7)에 결합된 편심 장치와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6)에 편심 장치를 통해 연결된 연결 로드(10)를 포함한다. 분쇄 롤(2, 3) 사이의 간극은 롤 간극 조절 기구(11)에 의해 소정의 값으로 조절된다.
분쇄 롤(2, 3)을 서로 안쪽으로 각각 상이한 원주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차동 전달 기구는 이하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분쇄 롤(2)의 회전축(4)에는 더 작은 직경의 기어를 갖는 타이밍 벨트용 풀리(13)가 장착되어 있다. 분쇄 롤(3)의 회전축(5)에는 더 큰 직경의 기어를 갖는 타이밍 벨트용 풀리(14)가 장착되어 있다. 타이밍 벨트용 풀리(13, 14)에는 넓은 너비를 갖고 양면에 요철을 일정한 간격으로 갖는 타이밍 벨트(15)가 감겨 있다. 타이밍 벨트용 풀리(13, 14)의 바로 밑에는, 타이밍 벨트를 당김으로써 타이밍 벨트(15)에 적절한 텐션을 가하는 아이들러 풀리(16)가 제공되어 있다. 아이들러 풀리(16)에는, 회전축(45)의 양쪽 단부에서 아이들러 풀리(16)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한 쌍의 텐션 암(17)(도 1에는 하나의 텐션 암만이 도시되어 있다)이 장착되어 있다. 텐션 암(17)의 상부 단부의 개구부(26)속으로 삽입된 선회 회전축(46)에는, 작동 레버(18)가 부착되어 있다. 작동 레버(18)에는 작동 레버(18)의 하부 단부에 배치된 선회 회전축(19)을 통해 텐션 조절 기구(20)가 제공되어 있다. 텐션 조절 기구(20)는 작동 레버(18)를 도 1에 있어서 좌우로 이동시켜 아이들러 풀리(16)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텐션 조절 기구(20)는, 선회 회전축(19)으로부터 시작하여, 고정판(21)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나사 로드(22), 이 나사 로드(22)에 체결된 코일 수납 실린더(23), 및 이 코일 수납 실린더(23)의 일단부와 고정판(21) 사이에서 나사 로드(22)에 장착되어 압축된 코일 스프링(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4)의 팽창력으로 인해, 작동 레버(18)는 선회 회전축(19)에서 눌러져서 도 1의 화살표 방향(F1)으로 가압된다. 텐션 조절 기구(20)는, 나사 로드(22)에 체결된 코일 수납 실린더(23)를 회전시킴으로써, 로드(22)를 따라 작동 레버(18)가 도 1의 화살표 방향(F2)으로 이동하면 가압력이 증가하는 반면에, 레버(18)가 방향(F1)으로 이동하면 가압력이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텐션 암(17)중 하나의 텐션 암(즉, 도 1에 도시된 텐션 암)에는, 선회 회전축(46)이 삽입될 수 있는 상기 개구부(26), 및 작동 레버 상부 부분(18b)과 텐션 암(17)의 상부 부분을 고정적으로 연결시키는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 구멍(27a)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텐션 암(17)에는, 선회 회전축(46)을 중심으로 텐션 암(17)만이 회전할 수 있도록, 텐션 암(17)으로부터 회전축(45)을 해제시킬 수 있는 컷아웃 부분(25)이 제공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로부터 타이밍 벨트(15)를 제거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코일 수납 실린더(23)를 회전시켜 나사 로드(22)를 따라 작동 레버(18)를 도 1의 화살표 방향(F1)으로 이동시켜 압축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면, 작동 레버 하부 단부(18a)와 텐션 암(17)의 하부 단부는, 함께 선회 회전축(46)을 중심으로 왼쪽 방향(F2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타이밍 벨트(15)가 느슨해진다. 다음으로, 아이들러 풀리(16)의 회전축(45)과 텐션 암(17)을 고정하고 있는 나사(47)를 제거함과 동시에, 작동 레버 상부 부분(18b)을 텐션 암(17)의 상부 부분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27, 27)를 제거하고, 추가로 와셔(28)를 제거하면, 아이들러 풀리(16)의 회전축은 컷아웃 부분(25)을 통해 텐션 암(17)으로부터 해제되고, 텐션 암(17)은 선회 회전축(4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텐션 암(17)은 도 1의 가상선(일점쇄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텐션 암(17) 전체를 제거할 필요 없이, 단지 최소 개수의 나사(나사(47) 및 나사(27, 27)의 총 3개)를 제거함으로써 넓은 너비의 타이밍 벨트(15)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롤 간극 조절 기구의 특징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에는 분쇄 롤 장치의 롤 간극 조절 기구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방향(A)으로부터 도시된 측면도이다. 편심장치는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6)에 연결된 연결 로드(10)의 일단부(29)에서 수용되는 샤프트를 가진 편심부(29')를 포함한다. 레버(30)는 상기 편심부(29')의 샤프트에 일단부에서 고정된다. 레버(30)의 외부 단부 부분에는, R-핀과 부시(34)의 결합에 의해 공기 실린더(31)의 피스톤(32)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공기 실린더(31)의 하부 단부에는, 공기 실린더(31)의 피스톤(32)과 레버(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될 때 공기 실린더(31)를 전후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제 1 링크 부재(35)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 부재(35)의 하부 단부에는, 피스톤(32)과 레버(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될 때 공기 실린더(31)를 좌우 방향(도 4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제 2 링크 부재(36)가 제공되어 있다. 제 1 링크 부재(35)와 제 2 링크 부재(36) 사이의 연결은 부시(37)를 통해 달성된다. 제 2 링크 부재(36)의 하부 단부는 핀(39)을 통해 레버(3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레버(38) 자체는, 장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판(4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레버(38)의 하부 단부에는 회전 저항 부재(42)를 통해 조절 로드(41)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조절 로드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핸들(44)(도 4 참조)의 1회전당 0.04 mm 정도로 롤 간극을 조절한다.
이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쇄 롤 장치의 롤 팩을 제거하기 위한 순서를 설명한다. 작업자가 손으로 R-핀(33)을 뽑으면, 부시(34)가 피스톤(32)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레버(30)와 피스톤(32)이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공기 실린더(31)가 제 1 링크 부재(35) 및 제 2 링크 부재(36)에 의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4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실린더(31)를 전후 방향으로 경사시키면, 공기 실린더(31)의 뒤에 위치된 잠금 볼트(43)가 노출되어서 작업자는 정면으로부터 볼트(43)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스패너 및 박스 렌치와 같은 공구를 공기 실린더(31)의 방해 없이,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볼트(43)의 헤드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볼트(43)를 장치 프레임(101)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공기 실린더(31)를 장치 프레임(101)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 팩 모듈을 단시간에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여, 새로운 미리조립된 롤 팩 모듈을 쉽게 재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동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텐션 암은, 텐션 암이 그 일단부의 선회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다른 단부에는 아이 들러 풀리의 회전축을 해제시키기 위한 컷아웃 부분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 암을 고정하는 나사를 제거하는 경우, 아이들러 풀리의 회전축은 해제되고 오직 텐션 암만이 그 일단부의 선회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즉, 텐션 암 전체를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는 까다로운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결과적으로, 단지 관련된 최소 개수의 나사만을 제거함으로써, 넓은 너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를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롤 간극 조절 기구의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레버와 피스톤 사이의 연결이 R-핀과 부시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으로 R-핀을 뽑으면, 부시를 피스톤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레버와 피스톤 사이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기 실린더의 하부 단부와 장치 프레임 사이의 연결이 제 1 링크 부재와 제 2 링크 부재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공기 실린더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실린더를 전후 방향으로 경사시키면, 공기 실린더 뒤에 위치된 볼트가 정면에 노출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스패너 및 박스 렌치와 같은 공구를 공기 실린더의 방해 없이,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노출된 볼트의 헤드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관련된 잠금 볼트의 제거시에 공기 실린더를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된 롤 팩 모듈을 단시간에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하여, 새로운 미리조립된 롤 팩 모듈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했지만, 사용된 용어는 제한 하기 보다는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고, 청구항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

  1. 장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7); 상기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에 대해 원근 이동이 가능한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6); 상기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보유된 한쌍의 분쇄 롤(2, 3); 상기 한쌍의 분쇄 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제공된 롤 간극 조절 기구(11); 및 상기 한쌍의 분쇄 롤을 서로 안쪽으로 상이한 원주속도로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차동 전달 기구(12)를 구비하는 분쇄 롤 장치로서, 상기 차동 전달 기구는:
    상기 한쌍의 분쇄 롤의 회전축에 각각 장착된 타이밍 벨트용 풀리(13, 14);
    상기 타이밍 벨트용 풀리에 감겨진 타이밍 벨트(15);
    상기 타이밍 벨트에 소정의 텐션을 가하기 위한 아이들러 풀리(16);
    상기 아이들러 풀리를 사이에 끼워넣고 제 1 단부 부분에서 아이들러 풀리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제 2 단부 부분에서 중심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텐션 암(17, 17)으로서, 상기 분쇄 롤의 대향면에 위치되는 한쌍의 텐션 암중 한쪽의 텐션 암이 아이들러 풀리의 회전축을 해제시킬 수 있는 컷아웃 부분(25)을 상기 제 1 단부 부분에 구비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한쌍의 텐션 암;
    상기 한쌍의 텐션 암의 제 1 단부 부분과 아이들러 풀리를 상기 텐션 암의 제 2 단부 부분에서 선회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작동 레버(18); 및
    상기 아이들러 풀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작동 레버를 이동시키는 텐션 조절 기구(20)를 포함하는 분쇄 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간극 조절 기구(11)는, 상기 한쌍의 분쇄 롤 위에서 상기 고정 롤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가동 롤 베어링 하우징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로드(10),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부(29)에 선회가능하게 편심적으로 장착된 레버(30), 제 1 결합 수단을 통해 상기 레버의 외부 단부에 연결된 공기 실린더(31), 및 상기 공기 실린더의 피스톤(32)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레버 사이의 상기 제 1 결합 수단은 R-핀(33) 및 부시(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실린더의 하부 단부 부분과 상기 장치 프레임은 제 2 결합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결합 수단은, 상기 제 1 결합 수단이 해제될 때, 상기 실린더를 전후 방향으로 경사시키기 위한 제 1 링크 부재(35), 및 상기 실린더를 좌우 방향으로 경사시키기 위한 제 2 링크 부재(3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롤 장치.
KR1020020039963A 2001-07-12 2002-07-10 롤의 교환작업이 간단한 분쇄 롤 장치 KR100777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2245A JP4797290B2 (ja) 2001-07-12 2001-07-12 粉砕ロール装置
JPJP-P-2001-00212245 2001-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097A KR20030007097A (ko) 2003-01-23
KR100777959B1 true KR100777959B1 (ko) 2007-11-27

Family

ID=1904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963A KR100777959B1 (ko) 2001-07-12 2002-07-10 롤의 교환작업이 간단한 분쇄 롤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72969B2 (ko)
EP (1) EP1275439B1 (ko)
JP (1) JP4797290B2 (ko)
KR (1) KR100777959B1 (ko)
CN (1) CN1275696C (ko)
AU (1) AU2002300048B2 (ko)
CA (1) CA2392865C (ko)
TW (1) TW5395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97B1 (ko) * 2012-07-18 2014-02-27 (주)유진씨앤에스 승강 로봇의 낙하 방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승강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304B1 (en) * 2002-12-19 2003-12-23 Tan-Cheng Huang Lining adjustable device for disk brake system
DE202004006309U1 (de) * 2004-04-22 2005-09-01 Reinhard Rüter Maschinenbau e. Kfm. Walzenstuhl
DE102005045273A1 (de) * 2005-09-22 2007-03-29 Khd Humboldt Wedag Gmbh Zweiwalzenmaschine insbesondere zur Gutbettzerkleinerung
KR100970199B1 (ko) * 2008-06-10 2010-07-14 김상섭 태양전지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2000619A (zh) * 2010-06-03 2011-04-06 王华业 一种立式辊磨机的调节装置
US8628455B2 (en) * 2011-01-05 2014-01-14 Gee Hoo Fitec Corp. Idler adjusting apparatus of exercise machine
CN102441460B (zh) * 2011-12-23 2013-11-06 中国矿业大学 一种井下煤矸破碎分离机
EP2777815B1 (en) * 2013-03-15 2017-07-1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rusher belt tensioning apparatus
CN104148139B (zh) * 2014-08-26 2016-08-31 华南农业大学 一种棱辊式破碎机
CN105057027A (zh) * 2015-07-20 2015-11-18 陕西理工学院 一种电控磨粉机轧距的微调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US10940483B2 (en) * 2016-05-12 2021-03-09 Oronoko Ironworks, Inc. Modular roller grinding mill
CN108645680A (zh) * 2018-07-13 2018-10-12 长安大学 一种土工试验用干土碾碎及筛分装置
CN109675675A (zh) * 2018-12-07 2019-04-26 四川隆源机械有限公司 一种可调破碎辊间隙的破碎机
CN110394209A (zh) * 2019-08-19 2019-11-01 赣州天目领航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磨面机磨头组件
CN110524858A (zh) * 2019-08-30 2019-12-03 重庆和泰润佳股份有限公司 吹膜工艺透气膜在线深压纹生产线中的成型装置
CN112058379A (zh) * 2020-08-25 2020-12-11 扬州市皇宙塑粉有限公司 一种便于下料的粉碎设备
CN112844559A (zh) * 2020-12-29 2021-05-28 安徽江南化工股份有限公司 粉状乳化炸药块状料粉碎装置
CN113289755A (zh) * 2021-05-30 2021-08-24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清漂船船艏区初步破碎装置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990U (ko) * 1989-12-29 1991-07-2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래들(Ladle)의 노즐교체용 로봇핸드
JPH09248472A (ja) * 1996-03-12 1997-09-22 Babcock Hitachi Kk ローラミル
US5944268A (en) * 1996-05-10 1999-08-31 Andela Tool & Machine, Inc. Multi-flail glass pulverizer
JP2001058136A (ja) * 1999-08-20 2001-03-06 Babcock Hitachi Kk 竪型ローラミル
KR100407756B1 (ko) * 2000-02-16 2003-12-01 모건 컨스트럭션 캄파니 하우징 없는 롤 받침대
JP2013058136A (ja) * 2011-09-09 2013-03-28 Kddi Corp 画面内の対象が押圧によって操作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対象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86667A (en) * 1983-04-26 1985-05-07 Louis Jensen Multiple roll roller mill
JPS6164541U (ko) * 1984-10-01 1986-05-01
DE4208488A1 (de) * 1992-03-17 1993-09-30 Wirth Muehlenbau Dresden Gmbh Lgerung der Mahlwalzen in Walzenstühlen
GB2293990A (en) * 1994-10-11 1996-04-17 Satake Uk Ltd A cereal milling machine
FR2727638A1 (fr) * 1994-12-02 1996-06-07 Occidental Ind Realisations Broyeur-finisseur de precision
DE19651836A1 (de) * 1996-12-13 1998-06-18 Buehler Ag Speisemodul für einen Walzenstuhl
JP3565244B2 (ja) * 1997-03-18 2004-09-15 株式会社サタケ 多段型ロール製粉装置
JP4502094B2 (ja) * 2000-05-11 2010-07-14 株式会社サタケ 粉砕ロ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990U (ko) * 1989-12-29 1991-07-2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래들(Ladle)의 노즐교체용 로봇핸드
JPH09248472A (ja) * 1996-03-12 1997-09-22 Babcock Hitachi Kk ローラミル
US5944268A (en) * 1996-05-10 1999-08-31 Andela Tool & Machine, Inc. Multi-flail glass pulverizer
JP2001058136A (ja) * 1999-08-20 2001-03-06 Babcock Hitachi Kk 竪型ローラミル
KR100407756B1 (ko) * 2000-02-16 2003-12-01 모건 컨스트럭션 캄파니 하우징 없는 롤 받침대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JP2013058136A (ja) * 2011-09-09 2013-03-28 Kddi Corp 画面内の対象が押圧によって操作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対象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97B1 (ko) * 2012-07-18 2014-02-27 (주)유진씨앤에스 승강 로봇의 낙하 방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승강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97290B2 (ja) 2011-10-19
TW539582B (en) 2003-07-01
AU2002300048B2 (en) 2007-06-14
CN1397378A (zh) 2003-02-19
CA2392865C (en) 2007-07-03
CA2392865A1 (en) 2003-01-12
EP1275439A2 (en) 2003-01-15
US20030019965A1 (en) 2003-01-30
US6772969B2 (en) 2004-08-10
EP1275439B1 (en) 2004-09-22
JP2003024810A (ja) 2003-01-28
KR20030007097A (ko) 2003-01-23
EP1275439A3 (en) 2003-01-22
CN1275696C (zh)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959B1 (ko) 롤의 교환작업이 간단한 분쇄 롤 장치
JP3562541B2 (ja) 穀物製粉機
JP3805290B2 (ja) 動力伝達装置及びそれが用いられた携帯型作業機
CA2091917C (en) Dual mode floor sander
CA2180388C (en) Flour milling machine
JPS5843208B2 (ja) 被加工品の締付装置
US6698460B2 (en) Strapping unit having replaceable wearing parts
CA1221344A (en) Roller mill construction
EP1359093B1 (en) Strap tensioning tool
US7276003B2 (en) Vertical band saw machine with a speed ratio varying device
JP3379672B2 (ja) ロール機
EP0742049B1 (en) Roll arrangement for a milling machine, and an inter-roll drive therefor
JPH10273248A (ja) 印刷機用伝動装置
JP4210483B2 (ja) 切断刃交換装置とその駆動装置と交換方法
CA2111622C (en) Roller mill
JP4502094B2 (ja) 粉砕ロール装置
RU2139762C1 (ru) Механизм настройки вальцов на параллельность
JPH01118302A (ja) 高速トリミングライン用マッシャーロールの保持装置
KR100824525B1 (ko) 스크랩 쵸퍼 나이프의 랩 조정 및 고정장치
KR200242250Y1 (ko) 벨트샌드그라인더의 장력조정장치
JP3146843B2 (ja) ドライブシャフトコンベア
JPH0911191A (ja) スリ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