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540B1 -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 Google Patents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540B1
KR100777540B1 KR1020070077092A KR20070077092A KR100777540B1 KR 100777540 B1 KR100777540 B1 KR 100777540B1 KR 1020070077092 A KR1020070077092 A KR 1020070077092A KR 20070077092 A KR20070077092 A KR 20070077092A KR 100777540 B1 KR100777540 B1 KR 100777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jack
terminal
voic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860A (ko
Inventor
히로무 우에시마
구니히로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신세다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다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세다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이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A/D 변환기에 의해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링 버퍼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와 믹싱하여, 링 버퍼에 기입한다. 이 때, 에코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그 에코 모드에 따른 지연 시간 소정수(CD)를 결정하고, 그것에 의하여 링 버퍼의 크기를 설정한다. 링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운드 채널에 입력한다. 이 때, 보이스 이펙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그 보이스 이펙트 모드에 따른 재생주파수 소정수(CF)를 결정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링 버퍼의 리드 포인터의 인크리먼트치를 구한다. 그리고, 그 리드 포인터가 나타내는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시작한다. 단, 리드 포인터가 지연 시간 소정수에 도달하면, 리드 포인터의 값으로부터 해당 소정수를 감산한다. 그리고, 가라오케 장치의 마이크잭에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를 본체 마이크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를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잭에 삽입함으로써, 2개의 추가 마이크와 본체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링 버퍼, 에코 모드, 보이스 이펙트 모드

Description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 마이크{KARAOKE DEVICE WITH BUILT-IN MICROPHONE AND MICROPHONE THEREFOR}
본 발명은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마이크 케이스의 내부에 사운드 프로세서 내장형 고속 프로세서를 수납하고 그 고속 프로세서에 의해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가공하도록 하는 신규한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의 마이크잭에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를 삽입하거나 필요에 따라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잭에 다른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를 삽입하여 모든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의 가라오케용 추가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는 이미 실용되고 있다. 종래의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는, 마이크 케이스에 가라오케 재생 장치를 부착하고, 그 가라오케 재생 장치에서 가라오케(음악)을 재생함과 동시에, 마이크로부터 그 가라오케에 맞는 노래 소리를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에 서는, 마이크에 입력한 음성을 가공하는 것은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예를 들면 듀엣곡을 노래하는 경우에는, 본체의 2개의 마이크잭에 2개의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 각각을 삽입함으로써, 2개의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가라오케 장치에서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의 수가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잭의 수로 제한된다. 따라서, 보다 많은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도, 그 요구에 대처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신규한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에 입력한 음성을 가공할 수 있는 신규한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를 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가라오케용 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는 마이크를 부착한 케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마이크로부터의 입력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 수단;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A/D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것을 가공하여 가공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 가공 수단; 및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가공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은, A/D 변환 수단에 의해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음성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가공 수단에 의해 가공된다. 그리고, 가공된 가공 데이터는 음성 신호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다. 따라서, 마이크로부터의 입력 음성이 가공된 음성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서는, 음성 데이터 가공 수단은, A/D 변환 수단으로 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링 버퍼; 음성 데이터를 링 버퍼에 기입하기 위한 기입 수단; 및 링 버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태양에서는,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A/D 변환 수단에 의해 음성 데이터(DIN)로 변환된다. 그 음성 데이터(DIN)가 이전 음성 데이터(DN -1)와 소정의 믹싱 비율(CM)로 믹싱되어 음성 데이터(DN)로서 링 버퍼에 기입된다. 즉, 링 버퍼의 라이트 포인터가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데이터(DN)를 기입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는, 케이스에 설치되고 에코 모드를 설정하는 에코 모드 설정 키를 더 포함하고, 기입 수단은 상기 에코 모드에 따라 상기 링 버퍼의 크기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에코 모드 설정 키에 의해 에코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기입 수단은,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수(CD), 즉, 링 버퍼의 크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라이트 포인터가 소정수(CD)에 도달하는 때에, 라이트 포인터를 초기화한다. 따라서, 마이크로부터의 입력 음성에 에코가 부여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는, 케이스에 설치되고 보이스 이펙트 모드를 설정하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 설정 키를 더 포함하고, 판독 수단은 상기 보이스 이펙트 모드에 따라 링 버퍼 리드 포인터를 설 정하는 제2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보이스 이펙트 설정 키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음성 이펙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판독 수단은 재생주파수를 제어하는 소정수(CF)를 결정하고, 그 소정수(CF)에 따라 링 버퍼의 리드 포인터의 인크리먼트치를 구하여, 리드 포인터를 인크리먼트한다. 그리고, 리드 포인터가 이전의 소정수(CD)에 도달하면, 리드 포인터로부터 그 소정수(CD)를 감산한다.
따라서, 마이크로부터의 입력 음성에 보이스 이펙트가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용 마이크는 마이크, 마이크잭 및 마이크 플러그를 구비하는 가라오케용 마이크이고, 마이크잭은 제1 잭 단자, 제2 잭 단자 및 제3 잭 단자를 포함하고, 마이크 플러그는 제1 플러그 단자, 제2 플러그 단자 및 제3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제2 잭 단자 및 제2 플러그 단자가 함께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또한 제3 잭 단자 및 제3 플러그 단자가 함께 접지 라인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잭에 제2 가라오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잭의 제1 잭 단자, 제2 잭 단자 및 제3 잭 단자에 제2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제1 플러그 단자, 제2 플러그 단자 및 제3 플러그 단자가 접속된다.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에 설치된 제1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제2 잭 단자를 통하여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에 입력되는 제2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로부터의 음 성 신호가, 음성 라인에 설치된 믹서에 의해 혼합되고, 그 혼합 음성 신호가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제2 플러그 단자로부터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가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잭에 삽입되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제2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에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제1 잭 단자 및 제2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제1 플러그 단자를 통하여, 마이크 전원이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가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잭에 삽입되면,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제2 잭 단자에 접속되어 있던 종단 저항이 개방되어,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 및 제2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가 함께, 제2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종단 저항에 의해 종단된다.
또한, 제1 가라오케용 마이크가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인 경우에, 그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에는 음성 처리 수단이 내장되어 있고, 그에 의해 혼합 음성 신호가 처리된다. 따라서,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에는 마이크 플러그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의 마이크잭에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2개의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를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잭에 삽입함으로써, 합계 3개의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추가 마이크를 종속 접속함으로써, 동시 사용 가능 마이크 수를 임의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발명에 따르는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에 의하면, 마이크에 입력한 음성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에 이른다.
또한, 본발명에 따르는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에 이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어 도시되었지만, 그것은 단순한 도해 및 일례로서 이용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문언에 의해만 한정되어야 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는, 상부가 난형(卵形)이고 하부가 원통형인 케이스(12)을 포함하고, 이 케이스(12)의 난형부 상단에 마이크(1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는, 가라오케(BGM)나 마이크 음성 또는 비디오 영상을 처리하는 가라오케 장치 본체로서 기능할 뿐만아니라, 가라오케 마이크로서도 기능한다는 것을 먼저 지적해 둔다.
케이스(12)의 상부, 즉, 난형부에는, 전원 스위치(16) 및 리세트 스위치(18)가 설치된다. 전원 스위치(16)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리세트 스위치(18)는 선택한 곡 번호를 포함하는 전부를 리세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12)의 난형부에는, 2자릿수의 7세그먼트 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디스플레이(20)를 사이에 두고 좌측에 템포 제어 키(22 및 24)이 종방향으로 정렬하여 설치되고, 우측에는 BGM 볼륨 제어 키(26 및 28)이 종방향으로 정렬하여 설치된다. 디스플레이(20)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 번호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템포 제어 키(22 및 24)는, 가라오케, 즉, BGM의 재생 속도(템포)를 빠르게 하거나 늦게 하기 위한 키이다. BGM 볼륨 제어 키(26 및 28)는, 가라오케, 즉, BGM의 재생 음량(볼륨)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기 위한 키이다.
케이스(12)의 난형부의 중앙에의 약간 하부에는 곡 선택/피치 제어 키(30 및 32)가 설치된다. 이 곡 선택/피치 제어 키(30 및 32)는, 곡 번호를 인크리먼트하거나 디크리먼트하기 위해 이용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정에 맞추어 가라오케의 피치 주파수, 즉, 음정을 예를 들면 1도씩 상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곡 선택/피치 제어 키(30 및 32)의 좌측에의 템포 제어 키(22 및 24)의 하측의 케이스(12)의 난형부에는, 에코 모드 선택 키(34)가 설치된다. 이 에코 모드 선택 키(34)는, 에코 모드에 있어서 에코 시간(지연 시간)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에코 모드 1, 에코 모드 2 및 에코 모드 3을 설정할 수 있고, 각각, 에코 시간이「소」, 「중」 및「대」로서 설정된다.
곡 선택/피치 제어 키(30 및 32)의 우측에의 BGM 볼륨 제어 키(26 및 28)의 하측의 케이스(12)의 난형부에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 선택 키(36)가 설치된다. 이 보이스 이펙트 모드 선택 키(36)는, 이 실시예에서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 1, 보이스 이펙트 모드 2 및 보이스 이펙트 모드 3을 설정할 수 있다. 보이스 이펙트 모드 1은 입력 음성의 주파수에 대하여 출력 음성이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음성을 가공하는 모드이고, 보이스 이펙트 모드 2는 입력 음성의 주파수에 대하여 출력 음성의 주파수가 낮게 되도록 음성을 가공하는 모드이다. 또한, 보이스 이펙트 모드 3은 상하로 연속적으로 또한 반복하여 출력 음성의 주파수가 변화(스위프)하도록 음성을 가공하는 모드이다.
디스플레이(20)와 곡 선택/피치 제어 키(30 및 32) 사이에는, 취소 키(38)가 설치된다. 이 취소 키(38)는, 템포 제어 키(22 및 24)로 설정한 템포, 볼륨 제어 키(26 및 28)로 설정한 BGM 볼륨, 곡 선택/피치 제어 키(30 및 32)로 설정한 곡 번호 및 피치, 에코 모드 선택 키(34)로 설정한 에코 모드, 또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 선택 키(36)로 설정한 보이스 이펙트 모드를 취소하기 위한 키이다. 이 취소 키(38)는, 연주 중의 곡을 중단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곡 선택/피치 제어 키(30 및 32)의 아래쪽으로는, 결정 키(40)가 설치된다. 이 결정 키(40)는, 템포 제어 키(22 및 24)로 설정한 템포, 볼륨 제어 키(26 및 28)로 설정한 BGM 볼륨, 곡 선택/피치 제어 키(30 및 32)로 설정한 곡 번호 및 피치, 에코 모드 선택 키(34)로 설정한 에코 모드, 또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 선택 키(36)로 설정한 보이스 이펙트 모드를 결정하고 유효화하기 위한 키이다.
케이스(12)의 하부, 즉, 원통부하단으로부터 AV 코드(42)가 도출되어 있고, 그 AV 코드(42)에는 2개의 음성 출력 단자(44R 및 44L)와, 하나의 영상 출력 단자(46)가 포함된다. 음성 출력 단자(44R 및 44L) 및 영상 출력 단자(46)는, 가정 용 텔레비전(도시하지 않음)의 AV 단자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의 영상 및 음성은, 가정용 텔레비전에서 출력된다. 단, 가정용 텔레비전의 음성 회로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 출력 단자(44R 및 44L)는, 예를 들면 스테레오 증폭기 등의 다른 오디오 기기에 접속된다.
케이스(12)의 이면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커넥터(48)가 설치되고, 그 카트리지 커넥터(48)에는, 메모리 카트리지(5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메모리 카트리지(50)를 교환함으로써, 가라오케곡이나 그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실시예의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는 전지 구동형이고, 그 때문에, 도 1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의 하부 원통부에 전지 박스(5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와 동시에, 하나 이상(도 2의 예로서는 2개)의 추가 마이크(54)가 접속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추가 마이크(54)는, 어느것이나 동일하며,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의 케이스(12)와 마찬가지로 상부난형부와 하부원통형부를 포함한다. 난형부의 상단에는, 마이크(56)가 설치되고, 원통부하단에서는 접속 코드(58)가 도출된다. 접속 코드(58)의 선단에는, 마이크 플러그(60)가 설치된다. 이 마이크 플러그(60)는,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의 원통 상부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잭(62) 또는 추가 마이크(54)의 원통형부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잭(64)에 삽입 가능하다. 즉, 하나의 추가 마이크(54)를 플러그(60)와 잭(62)에 따라 본체, 즉, 가라오케 장치(10)에 접속함으로써 2개의 마이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추가 마이크(54)를 플러그(60)와 잭(64)에 따라 추가 마이크(54)에 접속함으로써 3개의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추가 마이크(54)를 마찬가지로 하여 플러그(60)와 잭(64)을 이용하여 추가 마이크(54)에 접속하면, 동시 사용 가능 마이크 수를 무한히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가라오케 장치와 달리, 동시 사용 가능 마이크 수의 제한이 없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는, 케이스(12)의 내부에 수납된 프로세서(66)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66)로서는, 임의의 종류의 프로세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본건 출원인이 개발하고 또한 이미 특허 출원되어 있는 고속 프로세서(상품명: XaviX)를 이용한다. 이 고속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특개평10-307790호 공보[G06F 13/36, 15/78] 및 이것에 대응하는 미국 특허 제09/019,277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66)는, 도시하지 않지만, CPU, 그래픽 프로세서, 사운드 프로세서 및 DMA 프로세서 등의 각종 프로세서를 포함함과 동시에,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할 때에 이용되는 A/D 변환기나 키 조작 신호나 적외선 신호와 같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출력 신호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는 입출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CPU는, 입력 신호에 따라 필요한 연산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그래픽 프로세서나 사운드 프로세서 등에 제공한다. 따라서, 그래픽 프로세서나 사운드 프로세서는 그 연산 결과에 따른 화상 처리나 음성 처리를 실행한다.
이 프로세서(66)에는 시스템 버스(68)가 접속되어 있고, 이 시스템 버스(68) 에는, 프로세서(66)와 동시에 케이스(1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는 내장 ROM(70) 및 메모리 카트리지(50)에 포함되는 외부 ROM(70)가 결합된다. 따라서, 프로세서(66)는, 시스템 버스(68)를 통하여 이들의 ROM(70 및 72)을 액세스할 수 있고, 이로부터 영상 데이터나 음악 데이터(악기 연주용의 스코어 데이터)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14)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믹서(74) 및 증폭기(76)를 통하여 프로세서(66)의 아날로그 입력에 인가된다. 프로세서(66)의 사운드 프로세서부(도 4)로 처리된 결과인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믹서(78) 및 증폭기(80)를 통하여, 도 1에 도시된 음성 출력 단자(44; 44L, 44R)에 출력된다. 또한, 프로세서(66)의 그래픽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로 처리된 결과인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출력 단자(46)에 출력된다.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에는, 또한, 케이스 내에, 외부 마이크용 입력 단자인 마이크잭(62)(도 2에 도시된 것)이 설치되고, 이 마이크 잭(62)은,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 플러그(60; 도 2)로부터 출력되는 추가 마이크(54)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마이크잭(62)에 입력된 추가 마이크(54)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본체 마이크(14)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상술한 믹서(74)에 의해 혼합되어, 증폭기(76)로부터 프로세서(66)에 입력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0)에는, 프로세서(66)의 출력 포트로부터 표시 데이터가 주어짐과 동시에, 도 1에 도시된 모든 스위치 또는 키(여기서는 참조 번호 21 로 포괄적으로 나타냄)는 프로세서(66)의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추가 마이크(54)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잭(64)이 설치되어 있고, 이 마이크잭(64)에는, 다른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60; 도 2)를 통하여 그 다른 추가 마이크(54)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주어지고, 그 다른 추가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믹서(86)에 의해, 추가 마이크(54)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56)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합성된다. 따라서, 본체(10)의 마이크잭(62)에는, 2개의 추가 마이크의 음성 신호가 혼합된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그 때문에, 믹서(74)의 출력은, 3개의 마이크의 음성 신호를 혼합한 음성 신호로 된다.
또한, 본체(10)에는, 정전압 회로(82)가 설치되고, 이 정전압 회로(82)는, 전지 박스(52; 도 1)에 수용되어 있는 전지(84)로부터의 전지 출력을 수신한다. 정전압 회로(82)는, 전지(84)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한 정전압 전원을 본체(10)의 마이크(14) 등의 회로 컴포넌트에 제공함과 동시에, 마이크잭(62)에 제공한다. 이 마이크잭(6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 플러그(60)가 삽입되기 때문에, 정전압 회로(82)로부터의 정전압 전원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에도 인가된다. 추가 마이크(54)에 인가된 전원은, 또한 마이크잭(64) 및 마이크 플러그(60)를 경유하고, 필요에 따라 접속된 다른 추가 마이크의 마이크에도 인가된다.
여기서, 도 3의 주요부를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믹서(74)로부터의 음성 신호(혼합 음성 신호)는 증폭기(76)를 통하여 프로세서(66; 도 2)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프로세서(66)는 A/D 변환기(66a)를 내장하고 있고, 이 A/D 변환기(66a)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 터로 변환한다. 이 음성 데이터는 프로세서(66)의 내부 메모리로 구성되는 링 버퍼(66b)에 기입된다. 프로세서(66)의 CPU의 일 기능인 보이스 이펙트/링 버퍼 제어 수단(66c)이 음성 데이터의 링 버퍼(66b)에의 기입을 제어함과 동시에, 링 버퍼(66b)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한다.
프로세서(66)의 사운드 프로세서부(66d)에는 복수의 사운드 채널(88)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사운드 채널(88)은, 음성 파형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90)를 포함하여, 이 D/A 변환기(9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승산기(92)에 입력되고, 그 승산기(92)는 프로세서(66)의 CPU의 일 기능인 채널 볼륨 제어 수단(94)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그 음성 신호의 볼륨(진폭)을 제어한다.
승산기(92)에 의해 볼륨 조정된 음성 신호는, 승산기(96 및 100)에 각각 입력된다. 승산기(96 및 100)도 승산기(92)와 마찬가지로 음성 신호의 음량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승산기(96)는 프로세서(66)의 CPU의 일 기능인 엔빌로프(R) 제어 수단(98)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R)의 엔빌로프를 제어한다. 또한, 승산기(100)는 프로세서(66)의 CPU의 일 기능인 엔빌로프(1) 제어 수단(102)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L)의 엔빌로프를 제어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14)로부터의 입력 음성을 처리하기 위해서 N 조의 사운드 채널(88)이 이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내부 ROM(70)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BGM(가라오케)용의 악기 파형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M조의 사운드 채널(88)이 이용된다. 즉, 프로세서(66)의 CPU(도시하지 않음)는, 동일한 ROM(70) 및/또는 외부 ROM(70)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BGM(가라오케) 연주용의 각 악기마다의 악보(스코어)에 따라, ROM(70)로부터 각 악기의 파형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CPU가 판독한 각 악기의 파형 데이터가 사운드 채널(88)에 입력되고, 상술한 처리를 통하여, 음성 신호(R) 및 음성 신호(L)로서 M조의 사운드 채널(88)로부터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증폭기(76)로부터의 단일 음성 신호 또는 혼합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N조의 사운드 채널(88)로부터도 음성 신호(R) 및 음성 신호(L)가 출력된다.
사운드 채널(88)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R)는 모두 가산기(104)에 의해 가산되고, 음성 신호(L)는 모두 가산기(106)에 의해 가산된다. 따라서, 이 가산기(104 및 1O6)의 각각의 출력은, BGM(가라오케)와 사용자의 음성(보이스)의 중첩음성신호이다. 중첩 음성 신호(R)는 승산기(108)에 입력되고, 중첩 음성 신호(L)는 승산기(110)에 입력된다. 그리고, 승산기(108 및 110)에는, 프로세서(66)의 CPU의 일 기능인 메인 볼륨 제어 수단(112)으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볼륨 조정된 중첩 음성 신호(R)(L)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음성 출력 단자(44)에 출력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본체, 즉,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의 마이크잭(62)은, 각각이 부재 지지 판 스프링인 2개의 스프링 단자(62a 및 62b)와, 하나의 링 단자(62c)를 포함한다. 스프링 단자(62a 및 62b)가 각각 제1 잭 단자 및 제2 잭 단자이고, 링 단자(62c)가 제3 잭 단자로 된다. 제1 잭 단자, 즉, 스프 링 단자(62a)에는, 도 3에 도시된 정전압 회로(82)로부터의 정전압 전원(Vcc)이 인가된다. 그리고, 제2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62b)는, 믹서(74)를 통하여 증폭기(76)의 입력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믹서(74)가 접속점이다. 또한, 마이크(14)는, 실시예에서는, 컨덴서 마이크이고, 그 마이크(14)에는, 전원(Vcc)에서 저항(114)을 통하여,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마이크(14)로부터의 출력 음성 신호는, 직류컷트 컨덴서(116)를 통하여 접속점, 즉, 믹서(74)에 인가된다. 믹서, 즉, 접속점(74)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잭 단자(62b)를 통하여 입력되는 추가 마이크(54)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본체 마이크(14)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아날로그적으로 혼합된다. 따라서, 추가 마이크(54)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증폭기(76)는, 상술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마이크로부터의 혼합 음성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증폭기(76)에는 비용 저감의 목적으로 NOT 게이트를 이용한 반전 증폭 회로를 이용하여 있지만, 이 증폭기(76)는 통상의 연산 증폭기로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마이크잭(62)에는, 정상 상태, 즉, 마이크잭(62)에 마이크 플러그(60)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 단자(62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또한 마이크 플러그(60)를 삽입하면 스프링 단자(62b)에서 분리되는 접점(62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62d)와 접지 사이에는, 마이크(14)를 위한 종단 저항(118)이 접속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추가 마이크(54; 도 2)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추가 마이크(54)는, 본체(10)의 마이크잭(62) 또는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잭(64)에 삽입되는 마이크 플러그(60)를 갖는다. 이 마이크 플러그(60)는, 제1, 제2 및 제3 플러그 단자(60a, 60b 및 60c)을 갖는다. 제1 플러그 단자(60a)는, 본체(10)의 마이크잭(62)의 링 단자(62c)를 통하여 잭(62) 내부에 삽입되고, 제1 잭 단자(62a)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플러그 단자(60b)는 제1 플러그 단자(60a)의 후방에 배치되고, 링 단자(60c)를 통하여 잭(62) 내부에 삽입되고, 제2 잭 단자(62b)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제2 플러그 단자(60b)는 제2 잭 단자(62b)를 끌어 올려, 제2 잭 단자(62b)와 접점(62d)와의 전기적 접속을 개방한다. 따라서, 마이크 플러그(60)가 마이크잭(62)에 삽입되었을 때, 종단 저항(118) (도 5)은 개방된다.
추가 마이크(54)도, 본체(10)의 마이크잭(62)과 마찬가지의 마이크잭(64)을 갖는다. 마이크잭(64)은, 2개의 스프링 단자(64a 및 64b)와 하나의 링 단자(64c)를 포함한다. 스프링 단자(64a 및 64b)가 각각 제1 잭 단자 및 제2 잭 단자이고, 링 단자(64c)가 제3 잭 단자로 된다. 제1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64a)는, 실드도체(120a)에 의해 실드된 실드선(120)의 1개의 선(120b)에 의해, 마이크 플러그(60)의 제1 플러그 단자(60a)에 접속된다. 즉, 제1 잭 단자(64a)에는, 마이크 플러그(60), 즉, 제1 플러그 단자(60a)를 통하여, 본체(10)의 정전압 회로(82; 도 3)로부터의 정전압 전원(Vcc)이 인가된다. 그리고, 제2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64a)는, 믹서(86)를 통하여, 실드선(120)의 다른 1개의 선(120c)에 의해, 제2 플러그 단자(60b)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믹서(86)가 접속점이다.
또한, 마이크(56)는, 실시예에서는, 컨덴서 마이크이고, 그 마이크(56)에는 제1 플러그 단자(60a)에서의 전원(Vcc)이 저항(122)을 통하여, 구동 전압으로서 인가된다. 그리고, 마이크(56)로부터의 출력 음성 신호는, 직류컷트 컨덴서(124)을 통하여, 접속점, 즉, 믹서(86)에 인가된다. 믹서, 즉, 접속점(86)에서는 필요에 따라 접속되는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 플러그(60)와 제2 잭 단자(64b)를 통하여 입력되는 다른 추가 마이크(54)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이 추가 마이크(56)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아날로그적으로 혼합된다.
또한, 마이크잭(64)에는, 정상 상태, 즉, 마이크잭(64)에 마이크 플러그(60)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 단자(64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마이크 플러그(60)를 삽입하면 스프링 단자(64b)에서 분리되는 접점(64d)가 설치된다. 이 접점(64d)와 접지 사이에는, 마이크(56)를 위한 종단 저항(126)이 접속된다.
또, 링 단자, 즉, 제3 잭 단자(64c)는, 실드선(120)의 실드도체(120a)에 접속되어, 이 실드도체(120a)에는 제3 플러그 단자(60c)도 또 접속된다. 그리고, 실드도체(120a)는, 접지에 접속된다. 즉, 추가 마이크(54) 내에서는, 제3 플러그 단자(60c), 실드도체(120a) 및 제3 잭 단자(64c)가 함께 접지에 접속된다.
본체(10)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 마이크(54)를 접속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마이크 플러그(60)가 도 5에 도시된 마이크잭(62)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플러그 단자(60a, 60b 및 60c)가 각각 제1, 제2 및 제3 잭 단자(62a, 62b 및 62c)에 접속된다. 그와 동시에, 제2 플러그 단자(60b)에 의해 제2 잭 단자(62b)가 끌어 올려지고, 그것에 접속되어 있던 제2 잭 단자(62b)와 접 점(62d)이 분리된다. 따라서, 마이크(14)의 종단 저항(118)이 개방된다.
제1 플러그 단자(60a)와 제1 잭 단자(62a)가 접속됨으로써, 정전압 회로(82) (도 3)로부터 이 제1 잭 단자(62a)에 인가되고 있는 정전압 전원(Vcc)이 단자(62a)를 통하여 단자(60a)에 인가되고,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60a)에서 실드선(120) 내의 1개의 선(120b)에 의해, 저항(122)을 통하여, 마이크(56)에 구동 전원으로서 인가된다.
한편, 본체 마이크(14)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컨덴서(116)를 통하여 믹서(74)에 인가되어,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컨덴서(124)로부터 믹서(86)를 통하여, 제2 플러그 단자(60b)에 입력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플러그 단자(60b)는 실드선(120)의 선(120c)에 의해 제2 잭 단자(60b)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크(56)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결국, 본체(10)의 믹서(74)에 도달한다. 따라서, 마이크(14)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마이크(56)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혼합되어, 혼합 음성 신호가 증폭기(76)로 증폭되어, 프로세서(66)의 A/D 변환기(66a)에 인가되고, 앞서 도 4로 설명한 사운드 채널(88)로부터 출력된다.
추가 마이크(54)에 있어서는, 마이크잭(64)에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 플러그(60)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마이크잭(64)의 제2 잭 단자(64b)는 접점(64d)에 접속된 대로 있게 된다. 따라서, 2개의 마이크(14 및 56)가 종단 저항(126; 도 6)으로 종단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 마이크(54)에 다른 추가 마이크(54)가 또한 접속되는 경우,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 플러그(60)가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잭(64)에 삽입된다. 따라서,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제1, 제2 및 제3 플러그 단자(60a, 60b 및 60c)가, 각각, 추가 마이크(54)의 제1, 제2 및 제3 잭 단자(64a, 64b 및 64c)에 접속된다. 그와 동시에, 제2 플러그 단자(60b)에 의해 제2 잭 단자(64b)가 끌어 올려지고, 그것에 접속되어 있던 제2 잭 단자(64b)와 접점(64d)가 분리된다. 따라서,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의 종단 저항(126)이 개방된다.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제1 플러그 단자(60a)와 추가 마이크(54) 제1 잭 단자(64a)가 접속됨으로써, 추가 마이크(54)의 제1 플러그 단자(60a)에 인가되어 있는 정전압 전원(Vcc)이 실드선(120)의 선(120b)에서 저항(122)을 통하여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에 구동 전원으로서 인가된다.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컨덴서(124)를 통하여 믹서(86)에 인가되어,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다른 추가 마이크(54) 내에서 컨덴서(124)로부터 믹서(86)를 통하여, 제2 플러그 단자(60b)에 출력된다.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제2 플러그 단자(60b)는 추가 마이크(54)의 제2 잭 단자(64b)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결국, 추가 마이크(54)의 믹서(86)에 도달한다. 따라서, 2개의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로부터의 혼합 음성 신호가, 본체(10)의 믹서(74)에 입력되고, 그에 의해 본체 마이크(14)의 음성신호에 또한 혼합된다. 3개의 마이크(14, 56 및 56)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혼합한 음성 신호가 증폭기(76)로 증폭되어, 프로세서(66)의 A/D 변환기(66a)에 인가되고, 앞서 도 4로 설명한 사 운드 채널(88)로부터 출력된다.
다른 추가 마이크(54)에 있어서는, 마이크잭(64)에 또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 플러그(60)가 삽입되고 있지 않으면, 마이크잭(64)의 제2 잭 단자(64b)는 접점(64d)에 접속된 대로 있게 된다. 따라서, 3개의 마이크(14, 56 및 56)이 종단 저항(126; 도 6)으로 종단된다.
이와 같이, 추가 마이크(54)에 마이크잭(64)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 플러그(60)를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잭(64)에 접속할 뿐이고, 임의의 수의 마이크를 동시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마이크(56)의 구동 전원은 마이크잭(62) (또는 64)과 마이크 플러그(60)와의 접속에 의해 본체(10)의 정전압 회로(82)로부터 인가되기 때문에, 추가 마이크(54)에 전원(전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다른 추가 마이크를 연결하지 않은 추가 마이크(54)의 종단 저항(126)으로 모든 마이크를 종단될 수 있다.
또, 본체(10)의 마이크(14)에 전원을 제공하는 저항(114) 및 추가 마이크(54)의 마이크(56)에 전원을 제공하는 저항(122)의 각각의 저항치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14 및 56)의 구동 전압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종단 저항(118 및 126)의 저항치도 동일한 저항치이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도 4의 링 버퍼(66b) 에의 음성 데이터 기입 동작을 설명한다. 또, 후술하는 도 8도 포함하는 이들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프로세 서(66)의 CPU(도시하지 않음)가 실행하는 것임을 미리 지적해 둔다.
최초의 단계 S1에서는, CPU가 A/D 변환기(66a)에서의 음성 데이터(DIN)를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S2에 있어서, 링 버퍼(66b)의 라이트 포인트가 지시하는 어드레스에서 그 링 버퍼(66b)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이전 데이터(DIN)를 판독한다.
단계 S3에서는, CPU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에코 모드 및/또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믹싱 비율을 제어하는 소정수 CM (O < CM ≤ 1)을 결정한다. 「믹싱 비율」이란, 현재 음성 데이터(금회의 A/D 변환기에 의한 샘플링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금회의 샘플링에 링버퍼(66b)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와의 혼합비율을 의미하고, 그의 대소에 의해 두 음성의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코 모드에서는, 믹싱 소정수(CM)을 일률적으로 0.5 로 하고, 보이스 이펙트 모드에서는 일률적으로 0.75 로 하고 있다. 단, 이 소정수(CM)은 적절하게 다른 값으로 설정되더라도 좋다.
또, 에코 모드 1, 에코 모드 2 또는 에코 모드 3은, 도 1에 도시된 에코 모드 선택 키(34)의 조작 또는 누름 횟수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에코 모드 선택 키(34)를 1회만 조작하면 에코 모드 1이, 2회 조작하면 에코 모드 2가, 그리고 3회 조작하면 에코 모드 3이 각각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보이스 이펙트 모드 1, 보이스 이펙트 모드 2 또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 3은, 도 1에 도시된 보이스 이펙트 모 드 선택 키(36)의 조작 또는 누름 횟수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보이스 이펙트 모드 선택 키(36)를 1회만 조작하면 보이스 이펙트 모드 1이, 2회 조작하면 보이스 이펙트 모드 2가, 그리고 3회 조작하면 보이스 이펙트 모드 3이 각각 설정된다.
도 7의 단계 S4에서는, 다음식을 이용하여, 단계 S3로 결정한 소정수(CM)에 따라 2개의 데이터(DIN 과 DN -1)를 가중치부 가산(믹싱)한다.
DN= CM ㆍDIN + (1 - CM)ㆍDN -1
그리고, 단계 S5에 있어서, CPU는, 링 버퍼(66b)의 라이트 포인트가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단계 S4로 연산한 결과, 즉, 현 데이터(DN)를 기입한다. 그 후, 단계 S6에서는, 라이트 포인터를 인크리먼트한다.
단계 S7에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에코 모드 및/또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에 따라,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수(CD)를 결정한다. 이 지연 시간은 잔향(殘響)시간에 상관하는 것이고, 그것은 이 실시예의 경우에 링 버퍼(66b)의 크기이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에코 모드로서는 그 소정수(CD)는 크게 설정되고, 보이스 이펙트 모드에서는 작게 설정된다. 그리고, 에코 모드 1, 2, 및 3 에 대하여, 소정수 (CD)는, 소, 중, 대로서 설정된다(도 9 참조).
단계 S8에서는, CPU는, 단계 S6로 인크리먼트한 라이트 포인트가 소정수(CD)에 도달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 단계 S8로 "YES"가 판단되면, CPU는 다음의 단계 S9로 라이트 포인터를 초기화한다. 만약, "NO"이면, 금회의 샘플링에 대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즉, 단계 S8로 "YES"가 얻어질 때까지, A/D 변환기(66a)의 샘플링마다 이 도 7에 도시된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링 버퍼(66b) 에의 음성 데이터의 기입 시에 소정수(CD)에 의해 링 버퍼(66b)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에코 모드 1, 2, 및 3 에 따른 지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도 4의 링 버퍼(66b)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판독 동작을 설명한다. 최초의 단계 S11에서는, CPU는 링 버퍼(66b)의 리드 포인터가 지시하는 어드레스에서, 그 링 버퍼(66b)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S12에 있어서, CPU는, 그 판독한 데이터를 사운드 채널(70)의 D/A 변환기(90)에 입력한다.
단계 S13에서는, CPU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에코 모드 및/또는 보이스 이펙트 모드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음성 재생주파수를 제어하는 소정수(CF)를 결정한다. 「음성 재생주파수」는 사용자의 음성(보이스)을 주파수변조하는 주파수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수(CF)는, 에코 모드로서는 일률적으로 1.0 로 설정되고, 보이스 이펙트 모드 1로서는 2.0 이, 보이스 이펙트 모드 2 로서는 0.5가, 보이스 이펙트 모드 3로서는 0.75 로부터 1.25 의 범위(0.75 ≤ CF ≤ 1.25)를 규칙적으로 상승하강하는 소정수가 설정된다. 단, 이 소정수(CF)는 적절하게 다른 값으로 설정되더라도 좋다.
단계 S14에서는 미리 결정한 소정수(CF)에 기초하여, 링 버퍼(66b)의 리드 포인터의 인크리먼트치를 구하고, 단계 S15에서는 그 인크리먼트치에 따라 리드 포인터를 인크리먼트한다.
단계 S16에서는 도 7의 단계 S7로 결정한 지연 시간 상관 소정수(CD)를 취득하고, 단계 S17에서 CPU는 리드 포인터가 그 소정수(CD)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 단계 S17로 "YES"가 판단되면, CPU는 다음의 단계 S18로 리드 포인터의 값으로부터 소정수(CD)를 감산한다. 만약, "NO"이면, 금회의 샘플링에 대해서만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다시 말하면, 스텝 S17로 "YES"가 얻어질 때까지, A/D 변환기(66a)의 샘플링마다 이 도 7에 도시된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링 버퍼(66b)에서의 음성 데이터의 판독 시에 소정수(CF)에 의해 음성 재생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보이스 이펙트 모드 1, 2, 및 3 에 따른 주파수로 입력 음성을 변조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입력 음성의 가공의 예로서, 에코 및 보이스 이펙트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가공」은 다른 적절한 파라미터의 제어 내지 조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영상 신호에 대한 그래픽 프로세서의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카트리지(50)의 ROM(70)에 사전에 영상 데이터를 축적해 놓고, 그것을 그래픽 프로세서로 처리함으로써, 비디오 출력 단자(44)로부터 예를 들면 가정용 텔레비전에 영상 신호가 인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10)는 영상부 가라오케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해도이고, 도 1(A)가 정면을 나타내고, 도 1(B)가 이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은 도 2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5는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의 마이크 관련 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추가 마이크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링 버퍼의 기입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에 있어서의 링 버퍼의 판독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음성 가공용의 소정수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12: 케이스
14, 56: 마이크
16: 전원 스위치
18: 리세트 스위치
20: 디스플레이
22, 24: 템포 제어 키
26, 28: 볼륨 제어 키
30, 32: 곡 선택/피치 제어 키
34: 에코 모드 선택 키
36: 보이스 이펙트 모드 선택 키
38: 취소 키
40: 결정 키
42: AV 코드
44: 음성 출력 단자
46: 영상 출력 단자
48: 카트리지 커넥터
50: 메모리 카트리지
52: 전지 박스
54: 추가 마이크
58: 접속 코드
60: 마이크 플러그
60a: 제1 플러그 단자
60b: 제2 플러그 단자
60c: 제3 플러그 단자
62, 64: 마이크잭
66: 프로세서
66a: A/D 변환기
64a: 제1 잭 단자
64b: 제2 잭 단자
64c: 제3 잭 단자
66b: 링버퍼
82: 정전압 회로
74, 86: 믹서
76: 증폭기
118, 126: 종단 저항
120: 실드선

Claims (5)

  1. 마이크, 마이크잭 및 마이크 플러그를 구비하는 가라오케용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잭은,
    제1 잭 단자,
    제2 잭 단자, 및
    제3 잭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플러그는,
    제1 플러그 단자,
    제2 플러그 단자, 및
    제3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잭 단자 및 제2 플러그 단자가 함께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제3 잭 단자 및 제3 플러그 단자가 함께 접지 라인에 접속되는 가라오케용 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라인은 2개의 음성 신호를 혼합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가라오케용 마이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잭 단자 및 제1 플러그 단자를 접속하여 마이크 전원을 부여하는 전원 라인을 더 포함하는 가라오케용 마이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른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가 마이크잭에 삽입되었을 때 개방되도록 제2 잭 단자에 관련하여 설치되는 종단 저항을 더 포함하는 가라오케용 마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다른 가라오케용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가 마이크잭에 삽입되었을 때 개방되도록 제2 잭 단자에 관련하여 설치되는 종단 저항을 더 포함하는 가라오케용 마이크.
KR1020070077092A 2000-08-23 2007-07-31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KR100777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6047U JP3075809U (ja) 2000-08-23 2000-08-23 カラオケ用マイク
JPJP-U-2000-00006047 2000-08-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914A Division KR100778201B1 (ko) 2000-08-23 2001-08-23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860A KR20070080860A (ko) 2007-08-13
KR100777540B1 true KR100777540B1 (ko) 2007-11-20

Family

ID=185346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914A KR100778201B1 (ko) 2000-08-23 2001-08-23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KR1020070077092A KR100777540B1 (ko) 2000-08-23 2007-07-31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914A KR100778201B1 (ko) 2000-08-23 2001-08-23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702584B2 (ko)
EP (1) EP1197948B1 (ko)
JP (1) JP3075809U (ko)
KR (2) KR100778201B1 (ko)
AT (1) ATE329344T1 (ko)
DE (1) DE60120319T2 (ko)
HK (1) HK1045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5137B2 (en) 2000-03-16 2014-02-04 Apple Inc. Fast, language-independent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y voice
US6934812B1 (en) * 2001-10-22 2005-08-23 Apple Computer, Inc. Media player with instant play capability
NO314558B1 (no) * 2001-12-06 2003-04-07 Meditron Asa Sangmikrofon
US7433546B2 (en) * 2004-10-25 2008-10-07 Apple Inc. Image scaling arrangement
US8151259B2 (en) 2006-01-03 2012-04-03 Apple Inc. Remote content updates for portable media devices
US7724716B2 (en) 2006-06-20 2010-05-25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31199B2 (en) 2006-01-03 2010-11-09 Apple Inc. Media data exchange, transfer or delive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499063B1 (ko) * 2003-06-12 2005-07-01 주식회사 비에스이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US7551894B2 (en) * 2003-10-07 2009-06-23 Phonak Communications Ag Wireless microphone
TWM263693U (en) * 2004-08-04 2005-05-01 Blueexpert Technology Corp Stereophonic wireless microphone
US7706637B2 (en) 2004-10-25 2010-04-27 Apple Inc. Host configured for interoperation with coupled portable media player device
US7593782B2 (en) * 2005-01-07 2009-09-22 Apple Inc. Highly portable media device
US8300841B2 (en) 2005-06-03 2012-10-30 Apple Inc. Techniques for presenting sound effects on a portable media player
US20060292538A1 (en) * 2005-06-24 2006-12-28 K Group Industries (Far East) Ltd. Portable music machine
US8139803B2 (en) * 2005-08-15 2012-03-20 Immerz,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sound
US20130072834A1 (en) * 2005-08-15 2013-03-21 Immerz,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sound with motion tracking
US7590772B2 (en) 2005-08-22 2009-09-15 Apple Inc. Audio status informa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7563975B2 (en) * 2005-09-14 2009-07-21 Mattel, Inc. Music production system
US7930369B2 (en) 2005-10-19 2011-04-19 Apple Inc. Remotely configured media device
US8654993B2 (en) 2005-12-07 2014-02-18 Apple Inc. Portable audio device providing automated control of audio volume parameters for hearing protection
US8255640B2 (en) 2006-01-03 2012-08-28 Apple Inc. Media device with intelligent cache utilization
US7673238B2 (en) * 2006-01-05 2010-03-02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video acceleration capabilities
US20070175313A1 (en) * 2006-01-31 2007-08-02 Kevin Vandervliet MP3 player holder assembly
US7848527B2 (en) * 2006-02-27 2010-12-07 Apple Inc. Dynamic power management in a portable media delivery system
US8073984B2 (en) 2006-05-22 2011-12-06 Apple Inc. Communication protocol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137309B2 (en) 2006-05-22 2015-09-15 Apple Inc. Calibration techniques for activity sensing devices
US7643895B2 (en) 2006-05-22 2010-01-05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workout support
US20070271116A1 (en) 2006-05-22 2007-11-22 Apple Computer, Inc. Integrated media jukebox and physiologic data handling application
US8358273B2 (en) 2006-05-23 2013-01-22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power-managed display
US20070299694A1 (en) * 2006-06-26 2007-12-27 Merck David E Patient education management database system
US7813715B2 (en) * 2006-08-30 2010-10-12 Apple Inc. Automated pairing of wireless accessories with host devices
US7913297B2 (en) 2006-08-30 2011-03-22 Apple Inc. Pairing of wireless devices using a wired medium
US7414200B2 (en) * 2006-09-01 2008-08-19 J. S. Karaoke, Llc Three-way cable arrangement for karaoke devices and the like
US20080070213A1 (en) * 2006-09-01 2008-03-20 Jack Strauser Karaoke device with integrated mixing, echo and volume control
US8160489B2 (en) * 2006-09-01 2012-04-17 Jack Strauser Karaoke device with integrated mixing, echo and volume control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7729791B2 (en) * 2006-09-11 2010-06-01 Apple Inc. Portable media playback device including user interface event passthrough to non-media-playback processing
US8036766B2 (en) * 2006-09-11 2011-10-11 Apple Inc. Intelligent audio mixing among media playback and at least one other non-playback application
US8341524B2 (en) * 2006-09-11 2012-12-25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ocal search capabilities
US8090130B2 (en) 2006-09-11 2012-01-03 Apple Inc. Highly portable media devices
US8001400B2 (en) * 2006-12-01 2011-08-16 Apple Inc.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for functional preservation in a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US7589629B2 (en) 2007-02-28 2009-09-15 Apple Inc. Event recorder for portable media device
US7698101B2 (en) * 2007-03-07 2010-04-13 Apple Inc. Smart garme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CN201048042Y (zh) * 2007-04-11 2008-04-16 广州矽金塔电子有限公司 便携式影像歌曲伴奏装置
US8158872B2 (en) * 2007-12-21 2012-04-17 Csr Technology Inc. Portable multimedia or entertainment storage and playback device which stores and plays back content with content-specific user preferences
US9330720B2 (en) 2008-01-03 2016-05-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US8996376B2 (en) 2008-04-05 2015-03-31 Apple Inc.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US10496753B2 (en) 2010-01-18 2019-12-03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20100030549A1 (en) 2008-07-31 2010-02-04 Lee Michael M Mobile device having human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y with positional feedback
US20100111332A1 (en) * 2008-10-31 2010-05-06 Wai Chi Ting Microphone set for AV system
US9959870B2 (en) 2008-12-11 2018-05-01 Apple Inc. Speech recognition involving a mobile device
KR101013571B1 (ko) * 2009-02-27 2011-02-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원형저장공간을 이용한 음조변환방법
US9858925B2 (en) 2009-06-05 2018-01-02 Apple Inc.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US10241644B2 (en) 2011-06-03 2019-03-26 Apple Inc. Actionable reminder entries
US10241752B2 (en) 2011-09-30 2019-03-26 Apple Inc. Interface for a virtual digital assistant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9431006B2 (en) 2009-07-02 2016-08-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JP2011103505A (ja) * 2009-11-10 2011-05-26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0553209B2 (en) 2010-01-18 2020-02-0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s-free notification summaries
US10276170B2 (en) 2010-01-18 2019-04-3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705794B2 (en) 2010-01-18 2020-07-07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10679605B2 (en) 2010-01-18 2020-06-09 Apple Inc. Hands-free list-reading b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WO2011089450A2 (en) 2010-01-25 2011-07-28 Andrew Peter Nelson Jerra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digital conversation management platform
US8682667B2 (en) 2010-02-25 2014-03-25 Apple Inc.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JP5497616B2 (ja) * 2010-11-09 2014-05-21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およびマイクロホン装置
US10762293B2 (en) 2010-12-22 2020-09-01 Apple Inc. Using parts-of-speech tagging and named entity recognition for spelling correction
US9262612B2 (en) 2011-03-21 2016-02-16 Apple Inc.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US20120250881A1 (en) * 2011-03-29 2012-10-04 Mulligan Daniel P Microphone biasing
US10057736B2 (en) 2011-06-03 2018-08-21 Apple Inc.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JP2012252240A (ja) * 2011-06-06 2012-12-20 Sony Corp 再生装置、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
US8994660B2 (en) 2011-08-29 2015-03-31 Apple Inc. Text correction processing
US10134385B2 (en) 2012-03-02 2018-11-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pronunciation
US9483461B2 (en) 2012-03-06 2016-11-01 Apple Inc. Handling speech synthesis of content for multiple languages
US9280610B2 (en) 2012-05-14 2016-03-08 Apple Inc. Crowd sourcing information to fulfill user requests
US9721563B2 (en) 2012-06-08 2017-08-01 Apple Inc. Name recognition system
US9495129B2 (en) 2012-06-29 2016-11-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voice-activated navigation and browsing of a document
US9576574B2 (en) 2012-09-10 2017-02-21 Apple Inc.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by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CN102883255B (zh) * 2012-09-13 2014-12-03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装置、电子签名工具、检测装置和接口检测系统
US9547647B2 (en) 2012-09-19 2017-01-17 Apple Inc. Voice-based media searching
CN103813239B (zh) 2012-11-12 2017-07-11 雅马哈株式会社 信号处理系统和信号处理方法
US10199051B2 (en) 2013-02-07 2019-02-05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9368114B2 (en) 2013-03-14 2016-06-14 Apple Inc.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WO2014144579A1 (en) 2013-03-15 2014-09-1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 adaptive speech recognition model
KR101759009B1 (ko) 2013-03-15 2017-07-17 애플 인크. 적어도 부분적인 보이스 커맨드 시스템을 트레이닝시키는 것
WO2014197334A2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specified pronunciation of words for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US9582608B2 (en) 2013-06-07 2017-02-28 Apple Inc. Unified ranking with entropy-weighted information for phrase-based semantic auto-completion
WO2014197336A1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interactions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WO2014197335A1 (en) 2013-06-08 2014-12-11 Apple Inc.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commands that involve sharing information with remote devices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KR101922663B1 (ko) 2013-06-09 2018-11-28 애플 인크.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걸친 대화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4200731A1 (en) 2013-06-13 2014-12-1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calls initiated by voice command
KR101749009B1 (ko) 2013-08-06 2017-06-19 애플 인크. 원격 디바이스로부터의 활동에 기초한 스마트 응답의 자동 활성화
TWM472368U (zh) * 2013-09-18 2014-02-11 Ozaki Int Co Ltd 手持歌唱裝置
KR101535238B1 (ko) * 2014-01-27 2015-07-09 이성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USD747357S1 (en) * 2014-04-10 2016-01-12 The Singing Machine Company Inc. Karaoke machine
US9620105B2 (en) 2014-05-15 2017-04-11 Apple Inc. Analyzing audio input for efficient speech and music recognition
US10592095B2 (en) 2014-05-23 2020-03-17 Apple Inc. Instantaneous speaking of content on touch devices
US9502031B2 (en) 2014-05-27 2016-11-22 Apple Inc. Method for supporting dynamic grammars in WFST-based ASR
US9785630B2 (en) 2014-05-30 2017-10-10 Apple Inc.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N-gram and unigram language models
US10078631B2 (en) 2014-05-30 2018-09-18 Apple Inc. Entropy-guided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and character n-gram language models
US9430463B2 (en) 2014-05-30 2016-08-30 Apple Inc.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9633004B2 (en) 2014-05-30 2017-04-25 Apple Inc. Better resolution when referencing to concepts
US9842101B2 (en) 2014-05-30 2017-12-12 Apple Inc. Predictive conversion of language input
US9760559B2 (en) 2014-05-30 2017-09-12 Apple Inc. Predictive text input
CN110797019B (zh) 2014-05-30 2023-08-29 苹果公司 多命令单一话语输入方法
US10289433B2 (en) 2014-05-30 2019-05-14 Apple Inc. Domain specific language for encoding assistant dialog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34193B2 (en) 2014-05-30 2017-08-15 Apple Inc. Determining domain salience ranking from ambiguous words in natural speech
US10659851B2 (en) 2014-06-30 2020-05-19 Apple Inc. Real-time digital assistant knowledge updates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10446141B2 (en) 2014-08-28 2019-10-15 Apple Inc.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based on user feedback
US9818400B2 (en) 2014-09-11 2017-11-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rending terms in speech requests
US10789041B2 (en) 2014-09-12 2020-09-29 Apple Inc. Dynamic thresholds for always listening speech trigger
US10127911B2 (en) 2014-09-30 2018-11-13 Apple Inc.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US9668121B2 (en) 2014-09-30 2017-05-30 Apple Inc. Social reminders
US9886432B2 (en) 2014-09-30 2018-02-06 Apple Inc. Parsimonious handling of word inflection via categorical stem + suffix N-gram language models
US9646609B2 (en) 2014-09-30 2017-05-09 Apple Inc. Caching apparatus for serving phonetic pronunciations
US10074360B2 (en) 2014-09-30 2018-09-11 Apple Inc.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US10552013B2 (en) 2014-12-02 2020-02-04 Apple Inc. Data detection
US9711141B2 (en) 2014-12-09 2017-07-18 Apple Inc. Disambiguating heteronyms in speech synthesis
US9865280B2 (en) 2015-03-06 2018-01-09 Apple Inc. Structured dictation using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10567477B2 (en) 2015-03-08 2020-02-18 Apple Inc.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US9899019B2 (en) 2015-03-18 2018-02-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uctured stem and suffix language models
US9842105B2 (en) 2015-04-16 2017-12-12 Apple Inc. Parsimonious continuous-space phrase representation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0083688B2 (en) 2015-05-27 2018-09-25 Apple Inc.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US10127220B2 (en) 2015-06-04 2018-11-13 Apple Inc. Language identification from short strings
US9578173B2 (en) 2015-06-05 2017-02-21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101822B2 (en) 2015-06-05 2018-10-16 Apple Inc. Language input correction
US11025565B2 (en) 2015-06-07 2021-06-01 Apple Inc. Personalized prediction of responses for instant messaging
US10255907B2 (en) 2015-06-07 2019-04-09 Apple Inc. Automatic accent detection using acoustic models
US10186254B2 (en) 2015-06-07 2019-01-22 Apple Inc. Context-based endpoint detection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9697820B2 (en) 2015-09-24 2017-07-04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using concatenation-sensitive neural networks
US11010550B2 (en) 2015-09-29 2021-05-18 Apple Inc. Unified language modeling framework for word prediction, auto-completion and auto-correction
US10366158B2 (en) 2015-09-29 2019-07-30 Apple Inc. Efficient word encoding for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US11587559B2 (en) 2015-09-30 2023-02-21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identification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049668B2 (en) 2015-12-02 2018-08-14 Apple Inc. Applying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to weight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446143B2 (en) 2016-03-14 2019-10-15 Apple Inc. Identification of voice inputs providing credentials
US9934775B2 (en) 2016-05-26 2018-04-03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based on predicted concatenation parameters
US9972304B2 (en) 2016-06-03 2018-05-15 Apple Inc. Privacy preserving distributed evaluation framework for embedded personalized systems
US10249300B2 (en) 2016-06-06 2019-04-02 Apple Inc. Intelligent list reading
US10049663B2 (en) 2016-06-08 2018-08-14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DK179588B1 (en) 2016-06-09 2019-02-2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HOME ENVIRONMENT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US10509862B2 (en) 2016-06-10 2019-12-17 Apple Inc. Dynamic phrase expansion of language input
US10490187B2 (en) 2016-06-10 2019-11-26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automated status report
US10067938B2 (en) 2016-06-10 2018-09-04 Apple Inc. Multilingual word prediction
US10192552B2 (en) 2016-06-10 2019-01-29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whispered speech
DK179343B1 (en) 2016-06-11 2018-05-14 Apple Inc Intelligent task discovery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DK179049B1 (en) 2016-06-11 2017-09-18 Apple Inc Data driven natural language ev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US10043516B2 (en) 2016-09-23 2018-08-07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593346B2 (en) 2016-12-22 2020-03-17 Apple Inc. Rank-reduced token represent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K201770439A1 (en) 2017-05-11 2018-12-13 Apple Inc. Offline personal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201770432A1 (en) 2017-05-15 2018-12-21 Apple Inc. Hierarchical belief states for digital assistants
DK201770431A1 (en) 2017-05-15 2018-12-20 Apple Inc. Optimizing dialogue policy decisions for digital assistants using implicit feedback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US11265636B1 (en) * 2020-09-28 2022-03-01 Doors Korea Co., Ltd. Multifunctional Bluetooth microphone
USD978119S1 (en) * 2020-10-16 2023-02-14 Beijing Kuzhi Technology Co., Ltd. Microphone
USD980828S1 (en) * 2021-03-25 2023-03-14 Kuo Su Microphone spea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900A (ko) * 1983-08-17 1985-04-10 원본미기재 α-알레닉-α-아미노산의 제조방법
JPH1075482A (ja) * 1996-08-30 1998-03-17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機およ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3784A (en) * 1971-11-19 1973-07-03 Olympus Optical Co Electrical attachment device
JPS6019431Y2 (ja) * 1980-04-25 1985-06-11 ソニー株式会社 ステレオ・モノラル自動切換装置
JPS5736790A (ko) * 1980-08-13 1982-02-27 Olympus Optical Co
US5428708A (en) * 1991-06-21 1995-06-27 Ivl Technologies Ltd. Musical entertainment system
JP3435168B2 (ja) * 1991-11-18 2003-08-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程制御装置及び方法
US6025553A (en) * 1993-05-18 2000-02-15 Capital Bridge Co. Ltd. Portable music performance device
US5412734A (en) * 1993-09-13 1995-05-02 Thomasson; Samuel L.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coustic feedback
GB2288054B (en) * 1994-03-31 1998-04-08 James Young A microphone
JPH0816180A (ja) * 1994-07-04 1996-01-19 Sony Corp 音声制御装置
JPH08140157A (ja) * 1994-11-14 1996-05-31 Sega Enterp Ltd カラオケ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0176510B1 (ko) * 1995-03-28 1999-04-15 윤종용 선택적 신호처리기능을 가진 캠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
KR970012536A (ko) * 1995-08-21 1997-03-29 구자홍 에코(Echo)/반주음 보정장치 및 그 방법
US5648628A (en) * 1995-09-29 1997-07-15 Ng; Tao Fei S. Cartridge supported karaoke device
JP3707122B2 (ja) * 1996-01-29 2005-10-19 ヤマハ株式会社 スタイル変更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KR100206467B1 (ko) * 1996-05-22 1999-07-01 윤종용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GB2317042B (en) * 1996-08-28 1998-11-18 Sycom International Corp Karaoke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signals to a television set
GB9618410D0 (en) * 1996-09-04 1996-10-16 Holdsworth Michael Conference microphone/audio mixing system
US6212208B1 (en) * 1996-11-11 2001-04-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coding and multiplexing multimedia data, apparatus for coding and multiplexing multimedia data, record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coding and multiplexing multimedia data
KR100270988B1 (ko) * 1998-03-12 2000-11-01 최길호 반주곡조 송출용 마이크의 녹음/재생 장치
JP4106765B2 (ja) * 1998-09-22 2008-06-25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のマイク信号処理装置
WO2000028522A1 (fr) * 1998-11-11 2000-05-18 Video System Co., Ltd. Ensemble microphone portable pour karaoke, et machine a chanter associee
JP3855015B2 (ja) * 1999-02-25 2006-12-06 株式会社ノボル電機製作所 ハンドセット押えを有する電話機
KR100320016B1 (ko) * 1999-10-22 2002-01-10 이경호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KR100336465B1 (ko) * 2000-05-27 2002-05-15 이경호 휴대용 노래방기기
US6954536B2 (en) * 2001-01-26 2005-10-11 Ssd Company Limited RF transmitter for being attached to microphone
US7120260B2 (en) * 2001-06-08 2006-10-10 Rohm Co., Ltd. Jack circuit and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and telephone set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900A (ko) * 1983-08-17 1985-04-10 원본미기재 α-알레닉-α-아미노산의 제조방법
JPH1075482A (ja) * 1996-08-30 1998-03-17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機および通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특1998-075482호
실용신안공보 실1985-000190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29344T1 (de) 2006-06-15
DE60120319T2 (de) 2007-05-24
US6702584B2 (en) 2004-03-09
KR100778201B1 (ko) 2007-11-22
JP3075809U (ja) 2001-03-06
US20040094018A1 (en) 2004-05-20
HK1045395B (zh) 2007-03-30
HK1045395A1 (en) 2002-11-22
DE60120319D1 (de) 2006-07-20
EP1197948B1 (en) 2006-06-07
US6851952B2 (en) 2005-02-08
KR20020015970A (ko) 2002-03-02
US20020031233A1 (en) 2002-03-14
EP1197948A2 (en) 2002-04-17
EP1197948A3 (en) 2004-08-04
KR20070080860A (ko) 200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540B1 (ko)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US5753845A (en) Karaoke apparatus creating vocal effect matching music piece
JP2003316357A (ja) 電子楽器の音響制御装置
WO20081092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equalization
JPH01502873A (ja) 真空管増幅器相当の半導体装置
JP2000512400A (ja) 弦楽器用サウンドピックアップスイッチング装置及び弦楽器
US457754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a pan-pot function
US20030028385A1 (en) Audio reproduction and personal audio profile gathe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9046414A1 (en) ELECTRONIC MUSIC INSTRUMENT INTERFACE
US20110146480A1 (en) Digital audio connections for portable handheld computing devices
US5963907A (en) Voice converter
US5684261A (en) Karaoke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signals to a television set
US5684262A (en) Pitch-modified microphone and audio reproducing apparatus
US8772620B2 (en) Processing audio signals with portable handheld computing devices
JP4305084B2 (ja) 音楽再生装置
JPH0981136A (ja) 効果付与アダプタ
US49550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qualizing a soundfield
JP2937070B2 (ja) カラオケ装置
EP0795860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 signals
US5886278A (en) Apparatus for reducing change in timbre at each point where tone ranges are switched
WO2005067273A1 (en) Accessory functions
KR100936227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7854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qualizing a soundfield
US50220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component audio signals
JP3073157U (ja) マイク一体型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