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238B1 -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238B1
KR101535238B1 KR1020140009651A KR20140009651A KR101535238B1 KR 101535238 B1 KR101535238 B1 KR 101535238B1 KR 1020140009651 A KR1020140009651 A KR 1020140009651A KR 20140009651 A KR20140009651 A KR 20140009651A KR 101535238 B1 KR101535238 B1 KR 10153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de
accompaniment
song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
Original Assignee
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 filed Critical 이성
Priority to KR102014000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41Remote key fingering indicator, i.e. fingering shown on a display separate from the instrument itself or substantially disjoint from the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5Mode selector switch, e.g. shift, or ind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에코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음향모드가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해 목소리 전달에 최적화되도록 리버브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스피치음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목소리가 심도있는 울림으로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은, 조작버튼 또는 리모컨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노래연습을 위한 반주음이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된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반주기와,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마이크와, 음향이 최종 출력되는 스피커와, 상기 노래반주기,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입력된 반주음과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기초로 상기 스피커로 출력될 음향을 제어하며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가 설정 및 저장되는 앰프와, 상기 앰프에 연결되며 상기 앰프의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KARAOKE SYSTEM WITH SPEECH ACOUSTIC MODE}
본 발명은 노래연습장 또는 노래주점 등에서 반주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에코(echo)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음향모드가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해 목소리 전달에 최적화되도록 리버브(reverb)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스피치음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목소리가 심도있는 울림으로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연습장 또는 노래주점 등에는 반주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노래반주기, 앰프 및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노래반주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노래반주시스템의 음향모드는 단순히 노래반주에 노래음성이 어우러질 수 있도록 에코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음향모드로 설정되어 있어, 반주에 따라 노래를 부르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과도한 에코음향효과로 인해 목소리가 중첩되고 발음이 또렷하게 들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송,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등을 주로 하는 방송국, 교회, 강당, 대회의실 등의 장소에서는 목소리가 잔잔히 울리는 느낌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고가의 스피치 전용 음향장비를 통해 낮은 정도의 에코 음향효과와 높은 정도의 리버브 음향효과를 배합함과 동시에 특정 대역의 주파수로 제한되어 목소리 전달에 최적의 음향효과를 나타내는 스피치음향모드로 설정된다.
종래의 노래반주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11673호(2007.01.25. 공개)에는 에코 온/오프를 위한 버튼과, 에코 온/오프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리모콘 칩과, 넓은 반경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수신기와, 상기 에코 온/오프 코드를 해석하기 위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해석된 에코레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에코를 온/오프시킬 수 있는 에코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앰프와 반주기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폰의 버튼을 사용하여 에코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및 앰프의 에코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58357호(2009.06.09. 공개)에는 사용자가 에코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 손잡이가 형성된 사용자 컨트롤패널이 설치된 앰프와, 상기 앰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의 작용상태를 표시해주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LED)가 구비된 풋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에코의 양을 가감하거나 에코음향 효과를 온/오프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에코 음향 효과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랩(Rap)이나 나레이션(narration) 할 때 에코를 완전히 차단하여 가사나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반주기용 앰프의 에코 컨트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코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노래반주기는,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사용자는 단순히 에코음향효과를 오프시켜 제거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회전손잡이를 잡고서 에코음향의 정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에코음향효과를 오프시킬 경우에는 목소리가 너무 무미건조하게 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음향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직접 회전손잡이로 에코음향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에코음향 조절이 불가능하여 오히려 목소리 전달력이 더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코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노래반주기는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단순히 에코음향효과만 없애거나 줄이는 정도로만 조절됨에 따라 목소리 전달에 최적화된 음향효과가 제공될 수 없는 한계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에코(echo)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음향모드가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해 목소리 전달에 최적화되도록 리버브(reverb)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스피치음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목소리가 심도있는 울림으로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버튼 또는 리모컨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노래연습을 위한 반주음이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된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반주기와,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음향이 최종 출력되는 스피커와, 상기 노래반주기, 상기 마이크로폰 및 상기 스피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입력된 반주음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기초로 상기 스피커로 출력될 음향을 제어하며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가 설정 및 저장되는 앰프와, 상기 앰프에 연결되며 상기 앰프의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해 스피치음향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입력된 반주음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보다 더 작은 음량으로 자동으로 조절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는 상기 노래반주기, 상기 리모콘,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앰프 및 노래방의 내벽면 중 하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앰프는 상기 노래반주기와 상기 마이크로폰이 연결되는 프리앰프부와, 상기 프리앰프부에 연결되고 상기 노래음향모드와 상기 스피치음향모드가 기 설정되며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퀄라이저와, 일단은 상기 프리앰프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에 연결되는 파워앰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에 의하면,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에코(echo)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음향모드가 노래반주기, 상기 리모콘,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앰프 및 노래방의 내벽면 중 하나에 설치되는 모드선택스위치의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해 목소리 전달에 최적화되도록 리버브(reverb)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스피치음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목소리가 심도있는 울림으로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에 의하면, 특히 반주 도중에 모드선택스위치의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해 스피치음향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노래반주기로부터 입력된 반주음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보다 더 작은 음량으로 자동으로 조절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노래음향모드보다는 스피치음향모드가 우선됨에 따라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을 위한 목소리가 언제든지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의 블럭구성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1)은,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목소리가 심도있는 울림으로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버튼(11) 또는 리모컨(13)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노래연습을 위한 반주음이 저장되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된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반주기(10)와,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마이크로폰(20)과, 음향이 최종 출력되는 스피커(30)와, 노래반주기(10), 마이크로폰(20) 및 스피커(30)에 각각 연결되고 노래반주기(10)로부터 입력된 반주음과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기초로 스피커로 출력될 음향을 제어하며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가 설정 및 저장되는 앰프(40)와, 앰프(4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앰프(40)의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래반주기(10)는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된 반주음을 앰프(40)로 출력하는 것으로, 전면측에는 노래반주기(10)의 작동 및 반주음의 선택을 위한 조작버튼(11)이 구비되며, 노래연습을 위한 반주음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함과 동시에 조작버튼(11) 또는 리모컨(13)의 조작에 대응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노래반주기(10)에는 노래연습을 위한 반주음 뿐만 아니라 특정 반주음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도 함께 저장된다.
마이크로폰(20)은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진동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앰프(40)로 출력하는 것으로, 탄소입자의 집합체가 압력에 의하여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는 카본형(탄소립형) 마이크로폰, 로셸염(rochelle salt) 등의 압전효과를 이용한 크리스털형(결정형) 마이크로폰, 진동판을 자기장 속에서 진동시켜 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가동코일형(전자기유도형) 마이크로폰, 자기장 내에 장치된 금속박(金屬箔) 리본이 음파를 받아서 진동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리본형(진동박형) 마이크로폰, 지름 10~20mm의 얇은 진동막에 같은 모양의 고정전극을 근소한 간격으로 마주 보게 하고 콘덴서를 형성하여 음파에 의한 막의 진동이 정전용량의 변화로 전환되도록 하는 콘덴서형(축전기형) 마이크로폰, 기계적인 힘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화하는 응력 반도체를 사용하는 반도체형 마이크로폰 등과 같이 공지된 모든 종류의 마이크로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0)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앰프(40)에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스피커(30)는 기본적으로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 중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노래반주기(10)로부터 입력된 반주음과 마이크(20)로부터 입력된 음성이 앰프(40)의 이퀄라이저에 의한 음향효과를 통해 조합된 음향을 사용자가 직접 귀로 들을 수 있도록 최종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콘스피커, 혼스피커를 비롯하여 공지된 모든 종류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스피커(30)는 스테레오 사운드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래연습장 내에 예를 들어 4개가 다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노래반주기(10), 마이크(20) 및 스피커(30)는 앰프(40)에 각각 연결되는데, 이 앰프(40)는 노래반주기(10)로부터 입력된 반주음과 마이크(20)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기초로 음향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증폭시켜 스피커(30)로 출력될 음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노래반주기(10) 및 마이크로폰(20)과 연결되는 프리앰프부(41)와, 이 프리앰프부(41)에 연결되어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이퀄라이저(43)와, 일단은 프리앰프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피커(30)에 연결되는 파워앰프부(45)를 포함한다.
전술한 노래반주기(10), 마이크로폰(20), 스피커(30) 및 앰프(40)의 구성은 종래의 노래반주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차별화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앰프(40)의 이퀄라이저(43)에는 노래반주에 노래음성이 어우러질 수 있도록 에코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음향모드와 목소리 전달에 최적화되도록 리버브(reverb)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스피치음향모드가 설정된다.
특히 스피치음향모드는 잔향효과를 통해 음향에 마치 잔잔한 메아리와 같이 공간감이 풍부한 울림효과를 제공하는 리버브 음향효과가 비교적 높은 정도로 설정되는 반면에, 에코 음향효과는 아예 제거되거나 또는 낮은 정도로만 배합됨에 따라, 목소리가 심도있는 울림으로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피치음향모드는 음향효과 중 룸 리버브(room reverb) 또는 홀 리버브(hall reverb)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앰프(40)에는 모드선택스위치(5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데, 이 모드선택스위치(50)는 앰프(40)의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통상은 노래음향모드로 선택되지만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가 신속용이하게 목소리 전달에 최적화된 스피치음향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2단스위치 또는 푸쉬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드선택스위치(50)는 노래반주기(10), 리모콘(13), 마이크로폰(20), 앰프(40) 및 노래방의 내벽면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마이크로폰(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앰프(40)의 이퀄라이저(43)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에 모드선택스위치(50)에 의해 스피치음향모드가 선택될 경우에는 스피치음향모드에 따른 음성만 스피커(30)로 출력되므로 별 문제가 없지만 반주 도중에 모드선택스위치(50)에 의해 스피치음향모드가 선택될 경우에는 음성이 반주음에 묻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노래반주기(10)로부터 입력된 반주음이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보다 더 작은 음량으로 자동으로 조절되어 스피커(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에 노래반주기(10)로부터 입력된 반주음은 음성 전달을 위한 배경음악으로 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1)은, 반주음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에코(echo)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노래음향모드가 노래반주기(10), 리모콘(13), 마이크(20), 앰프(40) 및 노래방의 내벽면 중 하나에 설치되는 모드선택스위치(50)의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해 목소리 전달에 최적화되도록 리버브(reverb) 음향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스피치음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목소리가 심도있는 울림으로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1)은, 특히 반주 도중에 모드선택스위치(50)의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해 스피치음향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노래반주기(10)로부터 입력된 반주음이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보다 더 작은 음량으로 자동으로 조절되어 마치 잔잔한 배경음악처럼 스피커를 통해 음성과 함께 출력됨으로써 노래음향모드보다는 스피치음향모드가 우선됨에 따라 사회진행, 연설, 발표, 회의, 낭독, 낭송, 해설 등을 위한 목소리가 언제든지 또렷하면서도 명확하게 잘 전달될 수 있다.
1 :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10 : 노래반주기
11 : 조작버튼
13 : 리모컨
20 : 마이크
30 : 스피커
40 : 앰프
41 : 프리앰프부
43 : 이퀄라이저
45 : 파워앰프부
50 : 모드선택스위치

Claims (4)

  1. 조작버튼 또는 리모컨에 의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노래연습을 위한 반주음이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된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반주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이 최종 출력되는 스피커;
    상기 노래반주기,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입력된 반주음과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기초로 상기 스피커로 출력될 음향을 제어하며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가 설정 및 저장되는 앰프; 및
    상기 앰프에 연결되며 상기 앰프의 노래음향모드와 스피치음향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의해 스피치음향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노래반주기로부터 입력된 반주음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보다 더 작은 음량으로 자동으로 조절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는 상기 노래반주기, 상기 리모콘, 상기 마이크, 상기 앰프 및 노래방의 내벽면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앰프는 상기 노래반주기와 상기 마이크가 연결되는 프리앰프부와, 상기 프리앰프부에 연결되고 상기 노래음향모드와 상기 스피치음향모드가 기 설정되며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퀄라이저와, 일단은 상기 프리앰프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에 연결되는 파워앰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4. 삭제
KR1020140009651A 2014-01-27 2014-01-27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KR10153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651A KR101535238B1 (ko) 2014-01-27 2014-01-27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651A KR101535238B1 (ko) 2014-01-27 2014-01-27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238B1 true KR101535238B1 (ko) 2015-07-09

Family

ID=5379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651A KR101535238B1 (ko) 2014-01-27 2014-01-27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587A (ko) 2018-05-17 2019-11-28 허덕무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886A (ja) * 1994-01-21 1995-08-11 Takemori Toyonaga リモコンマイク
KR0160644B1 (ko) * 1993-12-30 1999-01-15 김광호 다기능 노래방 텔레비젼
KR20070080860A (ko) * 2000-08-23 2007-08-13 신세다이 가부시끼가이샤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44B1 (ko) * 1993-12-30 1999-01-15 김광호 다기능 노래방 텔레비젼
JPH07212886A (ja) * 1994-01-21 1995-08-11 Takemori Toyonaga リモコンマイク
KR20070080860A (ko) * 2000-08-23 2007-08-13 신세다이 가부시끼가이샤 마이크일체형 가라오케 장치 및 그것을 위한 가라오케용마이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587A (ko) 2018-05-17 2019-11-28 허덕무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2154B1 (en) Method for capturing and rendering an audio scene
TW200951938A (en) Systems for combining inputs from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and devices
JP5380804B2 (ja) オーディオ信号出力装置
US20220277759A1 (en) Playback enhancement in audio systems
KR2003005952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신호 출력장치 및 방법
WO2019225463A1 (ja) 再生システムおよび再生方法
EP3776169A1 (en) Voice-control soundbar loudspeaker system with dedicated dsp settings for voice assistant output sig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JP2005535217A (ja) オーディオ処理システム
KR101535238B1 (ko)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JP4942182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2014063593A (ja) 発光制御システム、発光制御装置、及び発光装置
Stark Live sound reinforcement: A comprehensive guide to PA and music reinforcement systems and technology
US20150146898A1 (en) Sound field supporting device and sound field supporting system
JP2010278791A (ja) オーディオ機能を有する機器
KR101657110B1 (ko)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US6399868B1 (en) Sound effect generator and audio system
JP2008076710A (ja) 空間感生成方法と装置及びマスキング装置
JP5262017B2 (ja) オーディオ信号出力装置
KR20100104418A (ko) 에코기능을 갖는 마이크 음향 효과장치
JP2010273305A (ja) 録音装置
KR100703923B1 (ko) 멀티미디어기기를 위한 입체음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JP3128487U (ja) 音源(歌伴奏及びマイク音声)の出力を個別調整可能にしたカラオケ用汎用型ワイヤレス送受信システム
JPH05153700A (ja) 左右スピーカ音バランス調整装置
JP6170738B2 (ja) 通信デュエット時の通信方式に特徴を有す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5215068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