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110B1 -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110B1
KR101657110B1 KR1020150049512A KR20150049512A KR101657110B1 KR 101657110 B1 KR101657110 B1 KR 101657110B1 KR 1020150049512 A KR1020150049512 A KR 1020150049512A KR 20150049512 A KR20150049512 A KR 20150049512A KR 101657110 B1 KR101657110 B1 KR 10165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song
accompaniment
effec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110B9 (ko
Inventor
하동희
Original Assignee
하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희 filed Critical 하동희
Priority to KR102015004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110B1/ko
Publication of KR10165711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11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마이크 입력단자들 및 헤드셋 출력단자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반주음원을 활용하여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절손잡이의 조작을 통해 음성신호의 이펙터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제1, 제2 버튼들을 구비하여 제1, 제1 버튼들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즉각적으로 이펙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빛을 점등시키는 발광부들을 포함하여 발광부들의 점등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portable set-top box of music accompaniment}
본 발명은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스마트폰에 연동되어 다양한 반주음원의 활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소형화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 및 음향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시간 및 장소와 상관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이펙터(effector)의 활성화여부 및 크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에 관한 것이다.
노래반주 시스템은 메모리에 저장된 반주음원 및 마이크(Microphone)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장치이며, 사용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현장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 및 자막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반주음원 및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의 박자, 음량, 음정 등을 컨트롤하기 위한 각종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음악콘텐츠 시장이 확대되고, 노래방 및 노래반주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래반주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데이터를 스테레오 반주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노래반주기(101)와, 외부의 마이크(Mic, Micro-phone)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울림현상(에코, echo)(이하, 이펙터라고 함)을 발생시키는 에코기(102)와, 반주신호 및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일정레벨 이상이 되도록 증폭시켜 주는 4채널 앰프(103)와,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05)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100)은 반주음원의 음정, 박자, 음량 등의 밸런스를 튜닝하기 위한 기능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음정의 밸런스를 튜닝하기 위한 기능과,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들은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100)은 4채널 앰프(103)가 노래반주기(101)로부터 출력되는 반주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산하여 이를 스피커(105)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반주음원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100)은 1)사용자가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노래반주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장소 및 시간에 구애를 받아 사용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100)은 2)에코기(102)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이펙터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이펙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개인 취향 및 출력되는 반주음원의 장르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나,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100)은 이러한 이펙터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 전혀 구비되지 않아 오히려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거나 또는 노래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특히 최근 들어 랩(rap)이라는 장르가 가미되어 주류를 이룸과 동시에 다양한 내레이션(narration)이 추가된 음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음원반주 수요도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랩 및 내레이션은 이펙터 발생 시 음을 반복시키는 이펙터의 기능 때문에 발음이 뭉그러져 랩을 하는 사람이나 청취하는 사람이나 정확한 소리를 청취하지 못하게 된다.
즉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에 이펙터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끝 음이 반복적으로 끌리면서 끝 음이 반복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앞의 가사 뒷부분과, 뒷부분의 가사의 앞부분이 혼합되어 소리의 구분이 어렵게 된다.
도 2는 국내등록특허 제10-0570633호(발명의 명칭 : 셋탑박스를 이용한 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된 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의 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200)은 케이블망 혹은 인터넷을 통해 객체 기반 오디오/비디오 노래반주(노래방)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시청자들을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서버(222)와, 케이블망 혹은 인터넷을 통해 인증된 시청자에게 객체 기반 오디오/비디오 노래반주(노래방) 컨텐츠 목록(장르별, 가수별, 앨범별 등)을 제공하고, 시청자가 원하는 해당 노래반주(노래방) 컨텐츠를 셋탑박스(211)로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서버(221)를 포함한다.
도 2의 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200)은 케이블망 혹은 인터넷을 통해 객체 기반 오디오/비디오 노래반주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서버(222)와, 인증된 사용자에게 객체 기반 오디오/비디오 노래반주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노래반주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서버(221)와, 노래반주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컨텐츠 서비스 서버(221)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AV 컨텐츠 재생기(212)를 포함한 셋탑박스(21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200)은 휴대가 용이한 셋탑박스로 구성됨에 따라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며, 인터넷/케이블 망을 통해 노래반주 서비스 서버로부터 음원반주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200)은 이펙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전술하였던 2)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도 3은 종래의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리모콘을 나타내는 실사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에 적용되는 리모콘(900)에는 이펙터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901), (903)들이 구비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랩과 노래가 혼합된 반주음원을 활용하여 노래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랩이 나올 때는 즉각적으로 이펙터를 차단함과 동시에 노래가 나올 때는 즉각적으로 이펙터를 활성화시켜야 하나, 종래의 리모콘(900)에서와 같은 조절버튼(901), (903)을 통한 제어방식은 버튼 하나가 입력되어 노래반주 시스템에 적용된 이후에야 다음 버튼이 입력되기 때문에 이펙터를 제어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없으며, 조작이 번거로운 한계를 가진다.
즉 1)휴대가 용이하며, 2)스마트폰에 연동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다양한 반주음원을 다운로드 받아 활용할 수 있고, 3)이펙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 및 제어할 수 있는 노래반주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마이크 입력단자들 및 헤드셋 출력단자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노래반주 셋탑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스마트폰에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반주음원을 활용하여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하우징의 상면에 마이크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들 각각에 대한 이펙터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손잡이들을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펙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마이크들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들 각각에 대한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제1, 제2 버튼들을 구비하여 제1, 제1 버튼들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빛을 점등시키는 발광부들을 포함하여 발광부들의 점등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노래방 셋탑 박스에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는 원격조절부들을 포함하여 원거리에서도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노래방 셋탑 박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리모콘들을 포함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기 저장된 반주음원과,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합산한 노래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노래음향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 입력단자; 헤드셋 및 이어폰을 포함하는 청취수단의 접속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노래음향신호를 연결된 청취수단으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헤드셋 출력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를 기 설정된 이펙터 가공방식으로 가공하여 효과를 주는 음성신호 가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래반주 셋탑 박스는 상기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음원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반주음원들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기 설정된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입력된 음성신호가 노래인지 또는 랩(rap)이나 내레이션(narration)인지를 판단하는 분석 및 판단부와, 상기 분석 및 판단부에 의해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가 랩 또는 내레이션일 때 상기 음성신호 가공부의 동작을 차단하여 이펙터를 비활성화 시키는 이펙터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주기(T) 동안에 기 설정된 한계치(데시벨) 이상의 음성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랩이나 내레이션을 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회전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이펙터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신호 가공부는 상기 조절손잡이의 회전방향 및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이펙터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 입력단자가 복수개일 때 상기 버튼 및 상기 조절손잡이는 마이크 입력단자들 각각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마이크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이펙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광원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버튼의 'ON/OFF'에 따라 상기 광원소자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원격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버튼의 가압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신호 가공부는 상기 원격조절부를 통해 전송받은 구동신호에 따라 이펙터를 'ON/OFF'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은 버튼의 가압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리모콘의 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구동신호를 수신 받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마이크 입력단자들 및 헤드셋 출력단자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반주음원을 활용하여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상면에 마이크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들 각각에 대한 이펙터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손잡이들을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펙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들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들 각각에 대한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제1, 제2 버튼들을 구비하여 제1, 제1 버튼들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빛을 점등시키는 발광부들을 포함하여 발광부들의 점등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노래방 셋탑 박스에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는 원격조절부들 또는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노래방 셋탑 박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리모콘들을 포함하여 원거리에서도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국내등록특허 제10-0570633호(발명의 명칭 : 셋탑박스를 이용한 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된 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리모콘을 나타내는 실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래반주 셋탑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리모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노래방에 설치되어 기존 노래방 앰프에 연결될 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4의 노래방 셋탑 박스에 적용되는 구동제어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래반주 셋탑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후면도이다.
도 4 내지 6의 노래반주 셋탑박스(1)는 내부에 후술되는 구성수단(3), (4), (5), (5'), (6), (6'), (11), (13), (15)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회로 및 전기소자들이 설치되는 하우징(2)과, 하우징(2)의 전면에 설치되며 헤드셋 및 이어폰 등과 같은 음성출력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성출력수단으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헤드셋 출력단자(3)들과, 하우징(2)의 후면에 설치되며 외부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입출력 커넥터부(4)와, 하우징(2)의 상면에 설치되며 연결되는 마이크들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이하, 일측 마이크로 함)의 이펙터(effector)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절손잡이(5)와, 상기 일측 마이크의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제1 버튼(6)과, 하우징(2)의 상면에 설치되며 연결되는 마이크들 중 타측 마이크의 이펙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절손잡이(5')와, 상기 일측 마이크의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제2 버튼(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펙터는 에코(echo), 리버브(reverberation), 코러스(chorus), 플랜저(flanger), 페이저(phaser), 피치 시프터(pitch shifter) 등과 같이 원음을 가공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효과음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래반주 셋탑박스(1)는 하우징(2)의 상면에 마이크(Mic)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정, 음량, 박자 등을 컨트롤하기 위한 입력음성 조절손잡이(11)들과, 입력되는 반주음원의 음정, 음량, 박자 등을 컨트롤하기 위한 입력음원 조절손잡이(13)들과,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크기를 컨트롤하기 위한 출력음향 조절손잡이(15)들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조절손잡이(11), (13), (15)들 및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회로 및 소자는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헤드셋 출력단자(3)가 3개인 것으로, 입출력 커넥터부(4)의 마이크 입력단자가 2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노래반주 셋탑박스(1)는 소형화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고, 하우징(2)의 전면에 헤드셋 출력단자(3)가 형성되어 헤드셋을 통한 반주음원 및 음성 청취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타인에게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3개의 헤드셋 출력단자(3)를 구비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2)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체로 형성되며, 내부 수용공간에는 전원부,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인터페이스 모듈, 구성수단(3), (4), (5), (5'), (6), (6'), (11), (13), (15)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회로 및 소자 등이 설치되고, 이러한 전원부, 통신인터페이스 모듈, 전기회로 및 소자 등은 디지털 디바이스 및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하우징(2)의 전면에는 3개의 헤드셋 출력단자(3)들이 설치되고, 헤드셋 출력단자(3)에는 헤드셋의 케이블의 핀이 연결되어 헤드셋 출력단자(3)를 통해 입력된 반주음원 및 음성신호가 복수개의 헤드셋으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헤드셋을 통해 청취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2)은 상면에 반주음원, 음성신호, 반주음원 및 음성신호가 합성된 음성신호(이하 노래음향신호라고 함)를 컨트롤하기 위한 조절손잡이(11), (13), (15)들이 설치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다.
또한 하우징(2)의 후면에는 입출력 커넥터부(4)가 설치된다.
입출력 커넥터부(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마이크(MIC, Microphone)들의 접속핀에 연결되어 연결된 마이크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단자(45)들과, 스마트폰, CD 플레이어, MP3/MP4 플레이어, 디지털 건반 등과 같이 반주음원이 저장된 음원디바이스의 데이터 케이블의 접속핀에 연결되어 음원디바이스로부터 반주음원을 입력받는 음원입력단자(43)들과, 외부 스피커의 케이블 접속핀에 연결되어 노래음향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단자(41)들로 이루어진다.
마이크 입력단자(45)들은 외부 마이크의 연결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 커넥터이며, 연결된 마이크들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마이크 입력단자(45)들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하나의 반주음원을 활용하여 다수의 사람이 파트를 분할하여 노래를 부르거나 또는 합창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이크 입력단자(45)가 2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마이크 입력단자(45)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입력단자(45)들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제1 조절손잡이(5) 및 제1 버튼(6)과, 제2 조절손잡이(5') 및 제2 버튼(6')에 대응됨으로써 마이크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들 각각의 이펙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음원입력단자(43)들은 스마트폰, CD 플레이어, MP3/MP4 플레이어, 디지털 건반 등과 같은 음원디바이스의 데이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 커넥터이며, 연결된 음원디바이스로부터 반주음원을 입력받는다.
음향출력단자(41)들은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장치의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 커넥터이며, 연결된 음향출력장치로 노래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노래음향신호는 마이크 입력단자(45)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와, 음원입력단자(43)를 통해 입력된 반주음원이 합쳐진 음향데이터로 정의된다.
제1 조절손잡이(5)는 마이크 입력단자(45)들 중 기 설정된 일측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발생되는 이펙터의 크기를 컨트롤하기 위한 수단이며,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이펙터의 크기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일측 마이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때 이펙터가 많이 또는 적게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제1 조절손잡이(5)의 조절을 통해 이펙터를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제2 조절손잡이(5')는 제1 조절 손잡이(5)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고, 마이크 입력단자(45)들 중 기 설정된 타측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이펙터의 크기를 컨트롤한다.
제1 버튼(6)은 일측 마이크 입력단자(45)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이펙터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차단한다.
즉 본 발명의 노래반주 셋탑박스(1)는 음성신호의 이펙터가 단순히 제1 버튼(6)의 가압에 따라 'ON/OFF'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이펙터의 조절이 전술하였던 도 3의 제어 버튼에 의해서만 이루어져 순간적인 이펙터의 차단이 어려워 노래나 랩(rap)의 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랩과 노래가 혼합된 반주음원을 활용하여 노래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랩이 나올 때는 즉각적으로 이펙터를 차단함과 동시에 노래가 나올 때는 즉각적으로 이펙터를 활성화시켜야 하나, 종래에는 이펙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전혀 구성되지 않아 노래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단순히 버튼을 감압하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이펙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욱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2 버튼(6')은 제1 버튼(6)과 동일한 형상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기 설정된 마이크 입력단자에 대응되어 해당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이펙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셋탑박스(1)는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마이크 입력단자들 및 헤드폰 출력단자들을 구비하여 소음 발생 없이도 다수의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각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이펙터가 버튼의 가압여부에 따라 결정되어 다양한 반주음원에 따라 이펙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 내부에는 구동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되고, 구동제어부는 음원입력단자(43)들로부터 입력되는 반주음원들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출력되는 반주음원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튜닝하는 반주음원 가공부와, 마이크 입력단자(45)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된 가공방식으로 가공하여 효과를 주는 음성신호 가공부와, 반주음원 가공부 및 음성신호 가공부에 의한 반주음원 및 음성신호를 합산하여 노래음향신호를 생성하는 노래음향신호 생성부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동제어부의 구성은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노래반주 셋탑박스(400)이고, 노래반주 셋탑박스(400)는 는 전술하였던 도 4의 노래반주 셋탑박스(1)와 동일한 구성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하우징(2), 헤드셋 출력단자(3)들, 입출력 커넥터부(4), 제1, 제2 조절손잡이(5), (5')들 및 제1, 제2 버튼(6), (6')들로 이루어지되 제1 버튼(6) 및 제2 버튼(6')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발광부(410) 및 제2 발광부(420)를 더 포함한다.
제1, 제2 발광부(410), (420)는 제1, 2버튼(6), (6')들 내부에 설치되며, 광원소자를 포함하여 버튼(6), (6')들의 가압에 따라, 상세하게로는 이펙터가 활성화 여부에 따라 광원소자로부터 빛이 출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광원소자는 LED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셋탑박스(400)는 제1 버튼(6) 및 제2 버튼(6')의 가압에 따라 이펙터가 활성화 될 때 제1 발광부(410) 및 제2 발광부(420)가 점등되되 이펙터가 비활성화 될 때 소등됨으로써 사용자는 제1, 제2 발광부(410), (420)의 점등 및 소등에 따라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제2 발광부(410), (420)들이 제1, 제2 버튼(6), (6')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제2 발광부(410), (420)들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제2 버튼(6), (6')들의 가압 여부에 따라 빛을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버튼(6), (6')에 인접한 하우징(2)의 상면에 제1, 2 발광부에서 출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통과공을 형성함으로써 통과공을 통해 노출되는 빛을 통해 사용자가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노래반주 셋탑박스(500)이고, 노래반주 셋탑박스(500)는 전술하였던 도 4의 노래반주 셋탑박스(1)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입출력 커넥터부(4) 및 제1, 제2 조절손잡이(5), (5')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노래반주 셋탑박스(500)는 이펙터를 활성화/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버튼(511)이 구비되는 제1, 제2 원격조절부(510), (520)들을 더 포함한다.
제1, 제2 원격 조절부(510), (520)들은 대응되는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이펙터를 'ON/OFF'시키기 위한 버튼(511)을 포함하여 버튼(511)의 가압 여부에 따라 구동신호를 노래반주 셋탑박스(500)로 전송하고, 노래반주 셋탑박스(500)는 제1, 제2 원격 조절부(510), (520)들로부터 전송받은 구동신호에 따라 이펙터의 구동(활성화/비활성화)을 제어한다.
또한 노래반주 셋탑박스(500)는 하우징(501)의 상면에 제1, 제2 원격조절부(510), (520)들의 케이블(513)의 접속핀(5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커넥터(503), (505)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노래반주 셋탑박스(500)는 제1, 2 원격조절부(510), (520)들이 케이블(51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제1, 제2 원격조절부(510), (520)를 통해 이펙터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리모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노래반주 셋탑박스(600)이고, 노래반주 셋탑박스(600)는 전술하였던 도 7의 노래반주 셋탑박스(40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입출력 커넥터부(4), 제1, 2 조절손잡이(5), (5')들 및 제1, 2 발광부(410), (420)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노래반주 셋탑박스(600)는 이펙터를 활성화/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버튼(613)이 구비되는 제1, 제2 리모콘(610), (620)들을 더 포함한다.
제1, 제2 리모콘(610), (620)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 하우징(611)과, 리모콘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되는 버튼(613)과, 버튼(613)의 가압여부에 따라 생성되는 구동신호를 노래반주 셋탑박스(600)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615)로 이루어진다.
또한 노래반주 셋탑박스(6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1, 제2 리모콘(610), (620)들로부터 송신된 구동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603), (605)들이 하우징(601)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무선통신은 공지된 IR 통신, 블루투스, NFC,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이 노래방에 설치되어 기존 노래방 앰프에 연결될 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노래반주 셋탑박스(1)의 음향출력단자(41)와, 노래방 앰프(800)의 마이크 입력단자(801)를 케이블(810)을 통해 연결하면, 노래방 앰프(800)에 저장된 반주음원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된다.
이때 노래반주 셋탑박스(1)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제1, 제2 조절손잡이를 통해 마이크(7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이펙터의 크기를 컨트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제2 버튼부를 통해 이펙터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제1, 제2 버튼부에 의해 이펙터의 'ON/OFF'가 결정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이펙터의 'ON/OFF'는 원격조절부 및 리모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2는 도 4의 노래방 셋탑 박스에 적용되는 구동제어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의 구동제어부(50)는 음원입력단자(43)들로부터 입력되는 반주음원들이 저장되는 메모리(51)와, 출력되는 반주음원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튜닝하는 반주음원 가공부(53)와, 마이크 입력단자(45)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된 이펙터 가공방식으로 가공하여 효과를 주는 음성신호 가공부(55)와, 마이크 입력단자(45)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랩(rap) 또는 내레이션(narration)인지를 판단하는 분석 및 판단부(56)와, 분석 및 판단부(56)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랩 또는 내레이션이라고 판단될 때 음성신호 가공부(55)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이펙터 차단부(57)와, 반주음원 가공부 및 음성신호 가공부에 의한 반주음원 및 음성신호를 합산하여 노래음향신호를 생성하는 노래음향신호 생성부(59)로 이루어진다.
분석 및 판단부(56)는 기 설정된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마이크 입력단자(45)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지 또는 랩이나 내레이션을 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주기(T) 동안에 기 설정된 한계치(데시벨) 이상의 음성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랩이나 내레이션을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및 판단부(56)가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지 또는 랩이나 내레이션을 하는지에 대한 판단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제어부(5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지 랩이나 내레이션을 하는지를 판단한 후 사용자가 랩이나 내레이션을 한다고 판단할 때 이펙터를 자동으로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더욱 품질 좋은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노래반주 셋탑 박스 2:하우징 3:헤드셋 출력단자
4:입출력 커넥터부 5:제1 조절손잡이 5':제2 조절손잡이
6:제1 버튼 6':제2 버튼 41:음향출력단자
43:음원입력단자 45:마이크 입력단자 410:제1 발광부
420:제2 발광부 503:핀커넥터 510:제1 원격조절부
520:제2 원격조절부 610:제1 리모콘 620:제2 리모콘

Claims (9)

  1. 기 저장된 반주음원과,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합산한 노래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노래음향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 입력단자;
    헤드셋 및 이어폰을 포함하는 청취수단의 접속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노래음향신호를 연결된 청취수단으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헤드셋 출력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를 기 설정된 이펙터 가공방식으로 가공하여 효과를 주는 음성신호 가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래반주 셋탑 박스는 상기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음원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반주음원들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마이크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기 설정된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입력된 음성신호가 노래인지 또는 랩(rap)이나 내레이션(narration)인지를 판단하는 분석 및 판단부와, 상기 분석 및 판단부에 의해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가 랩 또는 내레이션일 때 상기 음성신호 가공부의 동작을 차단하여 이펙터를 비활성화 시키는 이펙터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알고리즘은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주기(T) 동안에 기 설정된 한계치(데시벨) 이상의 음성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랩이나 내레이션을 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회전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이펙터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신호 가공부는 상기 조절손잡이의 회전방향 및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이펙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입력단자가 복수개일 때 상기 버튼 및 상기 조절손잡이는 마이크 입력단자들 각각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마이크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이펙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광원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버튼의 'ON/OFF'에 따라 상기 광원소자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원격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버튼의 가압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신호 가공부는 상기 원격조절부를 통해 전송받은 구동신호에 따라 이펙터를 'ON/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
  7.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를 'ON/OFF' 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은 버튼의 가압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리모콘의 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구동신호를 수신 받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셋탑 박스.
  8. 삭제
  9. 삭제
KR1020150049512A 2015-04-08 2015-04-08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KR101657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512A KR101657110B1 (ko) 2015-04-08 2015-04-08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512A KR101657110B1 (ko) 2015-04-08 2015-04-08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110B1 true KR101657110B1 (ko) 2016-09-13
KR101657110B9 KR101657110B9 (ko) 2023-07-13

Family

ID=5694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512A KR101657110B1 (ko) 2015-04-08 2015-04-08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1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988A (ja) * 1993-04-19 1994-11-04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JPH1069281A (ja) * 1996-08-26 1998-03-10 Yamaha Corp ハーモニー効果付与装置およびカラオケ用アンプ
JPH11150785A (ja) * 1997-11-14 1999-06-02 Yamaha Corp マイクレベル調整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2000099041A (ja) * 1998-06-10 2000-04-07 Kai Kong Ng ポ―タブルカラオケ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988A (ja) * 1993-04-19 1994-11-04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JPH1069281A (ja) * 1996-08-26 1998-03-10 Yamaha Corp ハーモニー効果付与装置およびカラオケ用アンプ
JPH11150785A (ja) * 1997-11-14 1999-06-02 Yamaha Corp マイクレベル調整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2000099041A (ja) * 1998-06-10 2000-04-07 Kai Kong Ng ポ―タブルカラオケ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110B9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9081B2 (ja) 三次元拡張オーディオ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767778B2 (en) Systems for combining inputs from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and devices
JP5258796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等化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1774827A1 (en) First person acoustic environment system and method
US9681212B2 (en) Headphones with multiple equalization presets for different genres of music
KR20080100312A (ko) 키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EP3323250A1 (en) Synchronising an audio signal
US10484776B2 (en) Headphones with multiple equalization presets for different genres of music
US20120008801A1 (en) "POSSE" -- an acronym for "Personal OnStage Sound Enhancer"
KR20050047085A (ko) 오디오 처리 시스템
KR101657110B1 (ko)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WO2007054285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sound reproduction, and a program product
JP2014063593A (ja) 発光制御システム、発光制御装置、及び発光装置
CN108369493A (zh) 音频系统
US20090185698A1 (en) Structure of an andio device
JP2004088608A (ja) ミキシング装置
KR100703923B1 (ko) 멀티미디어기기를 위한 입체음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Conejo Wireless hearing aids for a theater show in costa rica: System design for 96 spectators
JP2008076710A (ja) 空間感生成方法と装置及びマスキング装置
JP2001292488A (ja) スピーカ装置
Polunas From Script to Stage: Exploring A Sound Designer's System Design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