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587A -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587A
KR20190132587A KR1020180056305A KR20180056305A KR20190132587A KR 20190132587 A KR20190132587 A KR 20190132587A KR 1020180056305 A KR1020180056305 A KR 1020180056305A KR 20180056305 A KR20180056305 A KR 20180056305A KR 20190132587 A KR20190132587 A KR 20190132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ighting module
accompaniment
club
mod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덕무
Original Assignee
허덕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덕무 filed Critical 허덕무
Priority to KR102018005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2587A/ko
Publication of KR2019013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05B37/0227
    • H05B37/02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선택 및 반주용 음향 비트에 따라 클럽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사 및 동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장치, 미리 설정된 복수의 반주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반주기기, 반주 음향의 재생 여부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제1 조명모듈, 및 모드 전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제1 조명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 전환장치를 포함하는바, 이용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KARAOKE SYSTEM CAPABLE OF CHANGING CLUB MODE}
본 발명은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 선택 및 반주용 음향 비트에 따라 클럽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은 일정 사용료를 지불하고, 반주용 음향 데이터들을 저장한 반주기기와 음향 기기 등으로 이루어진 노래방 반주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영업 장소이다.
노래방에 구축된 노래방 반주 시스템은 다수의 반주용 음향 데이터를 반주기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음향 데이터를 음향 기기로 재생해준다. 그리고 음향 데이터 재생과 더불어 가사와 뮤직 비디오 등과 같은 동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해준다.
종래의 노래방 반주 시스템은 단순하게 노래 모드와 스피치 모드를 지원하고 있다.
노래 모드는 단순히 노래 반주에 음성이 어우러질 수 있도록 에코 음향 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모드로서, 반주 음향에 따라 노래를 부르는 경우에 해당하는 모드이다. 기본적으로는 노래방 반주 시스템은 대부분 노래 모드로 상시 설정 및 유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스피치 모드는 반주 음향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 또는 반주 도중에 사회진행, 발표, 낭독, 낭송, 해설 등과 같이 노래가 아닌 말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 과도한 에코가 음향이 섞이지 않도록 마이크 음향을 기반으로 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단순하게 노래 모드로 상시 설정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만 스피치 모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노래방 반주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근래에는 더욱 다양한 음향 비트들로 이루어진 콘텐츠 음원들이 발표되고 있고, 이용자들 또한 노래방에서도 다양하고 현란한 음향을 제공받고 싶어하기 때문에 노래방 반주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기존의 노래 모드나 스피치 모드 외에도, 다양한 음향 비트들로 이루어진 음향들을 이용자들이 만족스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지원이 추가로 요구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535238호(등록일 : 2015.07.02,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래방 이용자들의 선택 및 이용자들의 모션 검출 결과에 따라 클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이용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용자가 선택한 반주용 음향의 비트 특성이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Electronic Dance Music) 등과 같이 클럽 음악으로 미리 설정된 음원 특성 등에 따라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은 가사 및 동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장치, 미리 설정된 복수의 반주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반주기기, 반주 음향의 재생 여부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제1 조명모듈, 및 모드 전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제1 조명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 전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래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과 숫자 버튼 및 시작/취소 버튼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반주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반주 제어 리모컨, 및 적어도 하나의 모드 전환 버튼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노래 모드 또는 상기의 클럽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드 제어 리모컨을 더 포함한다.
이에, 상기 상기 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모드 제어 리모컨 또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노래 모드 전환신호 또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클럽 모드에서는 상기 반주기기(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반주 제어부와, 클럽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개별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 모드 전환신호 또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따라 노래 모드 또는 클럽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반주 제어부와 상기 조명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정하는 모드 전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모드 전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클럽 모드에서는 상기 화면에 미리 설정된 클럽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표시장치에 클럽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제어부와, 상기 모드 전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클럽 모드에서는 별도의 우퍼 스피커에서 비트 음향이 출력되도록 우퍼 스피커를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은 노래방 이용자들의 선택 및 이용자들의 모션 검출 결과에 따라 클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선택한 반주용 음향의 비트 특성이나, 클럽 음악 등으로 미리 설정된 음원 특성에 따라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본 발명의 노래방 시스템으로는 이용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노래방 시스템은 영상 표시장치(100), 반주기기(200), 제1 조명모듈(300), 모드 전환장치(400),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반주 제어 리모컨(500), 및 모드 제어 리모컨(600)을 포함한다.
영상 표시장치(100)는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장치(100)는 반주 제어 리모컨(500)이나 반주기기(200)를 통해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에 대응되는 가사와 동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반주기기(200)는 다수의 반주 음향 데이터들을 자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구체적으로, 반주기기(200)는 반주 제어 리모컨(500)이나 자체 구성된 선택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원 선택 번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음원 선택 번호에 대응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영상 표시장치(100)로는 재생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와 대응되는 가사 및 동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반주기기(200)는 반주 음향 데이터의 재생 여부에 따라 제1 조명모듈(300)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즉, 반주기기(200)는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에는 턴-오프 신호를 제1 조명모듈(300)로 전송하여, 제1 조명모듈(300)이 오프되도록 한다. 반면,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대기 기간이나 종료 이후에는 제1 조명모듈(300)에 턴-온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조명모듈(300)이 턴-온되도록 한다. 제1 조명모듈(300)은 형광등 등의 메인 조명으로써,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기간동안 턴-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주기기(200)는 제1 조명모듈(300)의 오프 기간, 즉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로 턴-온 신호를 전송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턴-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만 턴-온되어 기본적인 노래방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한다. 이어, 반주기기(200)는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대기 기간이나 종료 기간에 각각의 제2 조명모듈(320)로 오프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기간에는 제2 조명모듈(320)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은 미러볼 조명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주기기(200)는 노래 모드로 동작하는 기간 동안, 반주 음향 데이터의 재생 여부에 따라 각각의 제1 조명모듈(300)과 각각의 제2 조명모듈(320)을 교번시키서, 각각 온/오프시킬 수 있다.
반주 제어 리모컨(5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과 숫자 버튼, 및 시작/취소 버튼 등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반주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반주 제어 리모컨(500)은 사용자가 선택한 반주 음원에 대한 선택 신호를 반주기기(200)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모드 전환장치(400)는 자체 구성된 모드 전환 스위치부, 및 모드 제어 리모컨(600)을 통해 클럽 모드 전환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모드 전환장치(400)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제1 조명모듈(300)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모드 전환 스위치부는 모드 전환장치(400)의 버튼 구성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노래 모드 또는 클럽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모드 제어 리모컨(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전환 버튼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노래 모드 또는 클럽 모드를 선택/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드 전환장치(400)는 모드 제어 리모컨(600)이나 모드 전환 스위치부를 통해 노래 모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에 대한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노래 모드로 설정 및 동작되는 경우에는 반주기기(200)의 제어에 따라 각 제2 조명모듈(320)에 온/오프 동작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래 모드로 설정 및 동작되는 경우에 반주기기(200)는 반주 음향 데이터의 재생 여부에 따라 제1 조명모듈(300)과 각각의 제2 조명모듈(320)을 교번시키서 온/오프 동작시키게 된다.
반면, 모드 전환장치(400)는 모드 제어 리모컨(600)이나 모드 전환 스위치부를 통해 클럽 모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클럽 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모드 전환장치(400)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응답해서 제1 조명모듈(300)을 오프시키되,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은 개별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전환장치(400)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의해 클럽 모드로 전환되면, 반주기기(200)를 통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모드 전환장치(400)는 제1 조명모듈(300)이 오프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이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은 미러볼 조명이 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은 LED 싸이키 조명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클럽 모드 동작시에 모드 전환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이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조합되어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클럽 분위기의 조명이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전환장치(400)는 무선 통신부(410), 반주 제어부(420), 조명 제어부(430), 모드 전환 제어부(460), 영상 제어부(440), 및 음향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410)는 모드 제어 리모컨(600)이나 전환 스위치부(470)와 적외선 또는 RF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드 제어 리모컨(600)이나 모드 전환 스위치부(470)로부터 노래 모드 전환신호나 클럽 모드 전환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모드 전환 제어부(460)로 전송한다.
반주 제어부(420)는 반주기기(2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반주기기(200)에 저장된 반주 음향 데이터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클럽 모드에서도 반주기기(200)를 통해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
조명 제어부(430)는 모드 전환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클럽 모드로 설정되며, 클럽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개별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클럽 모드 동작시 조명 제어부(430)는 제1 조명모듈(300)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이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조합되어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클럽 분위기의 조명이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무선 통신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 모드 전환신호 또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따라, 노래 모드 또는 클럽 모드로 전환하여, 반주 제어부(420)와 조명 제어부(430)의 제어 동작을 설정한다. 그리고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노래 모드 또는 클럽 모드의 전환에 따라 영상 제어부(440), 및 음향 제어부(450) 또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럽 모드에서 영상 제어부(440)는 모드 전환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영상 표시장치(100)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클럽 분위기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영상 제어부(440)는 영상 표시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클럽 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클럽 영상 데이터는 클럽 모드에서 표시되도록 미리 설정된 영상 데이터로써, 노래 모드에서의 반주 음향 데이터와 대응되는 영상과는 다른 영상 데이터이다.
음향 제어부(450)는 모드 전환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클럽 모드에서는 별도의 우퍼 스피커를 제어한다. 즉, 음향 제어부(450)는 클럽 모드 동작시, 미리 설정된 비트 음향이 출력되도록 우퍼 스피커를 제어한다.
이후, 모드 제어 리모컨(600)이나 전환 스위치부(470)를 통해 노래 모드 신호가 출력되면,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노래 모드로 전환되어 반주 제어부(420), 조명 제어부(430), 영상 제어부(440), 및 음향 제어부(45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에, 노래 모드에서는 반주기기(200)에 의해서만 제1 조명모듈(300)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제어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주기기(200)와 모드 전환장치(400)는 초기 시작시 노래 모드로 시작될 수 있다. 이때는 반주기기(200)에 의해서만 영상 표시장치(100)와 제1 조명모듈(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제어될 수 있다(St1).
노래 모드시, 반주기기(2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시키고, 영상 표시장치(100)로는 반주 음향 데이터와 대응되는 가사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조명모듈(300)은 오프시키며,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턴-온되도록 한다(St2).
이후, 모드 제어 리모컨(600) 또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를 통해 클럽 모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모드 전환장치(400)의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클럽 모드로 전환된다(St3).
이때, 반주 제어부(420)는 모드 전환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클럽 모드로 설정되며, 반주기기(200)를 통해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St4).
조명 제어부(430)는 모드 전환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클럽 모드로 설정되며, 클럽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이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조합되어 온/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 제어부(440)는 영상 표시장치(100)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클럽 분위기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음향 제어부(450)는 별도의 우퍼 스피커에서 미리 설정된 비트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t5).
이후, 다시 모드 제어 리모컨(600)이나 전환 스위치부(470)를 통해 노래 모드 신호가 출력되면,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노래 모드로 전환되어 반주 제어부(420), 조명 제어부(430), 영상 제어부(440), 및 음향 제어부(45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에, 노래 모드에서는 반주기기(200)에 의해서만 제1 조명모듈(300)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제어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노래방 시스템은 영상 표시장치(100), 반주기기(200), 제1 조명모듈(300), 모드 전환장치(400), 제2 조명모듈(320), 제3 조명모듈(310), 반주 제어 리모컨(500), 및 모드 제어 리모컨(600) 외에, 음향 지원 스피커(150)와 모션 감지 세서부(700)를 더 포함한다.
모드 전환장치(400)를 제외한 영상 표시장치(100), 반주기기(200), 제1 조명모듈(300), 제2 조명모듈(320), 제3 조명모듈(310), 반주 제어 리모컨(500), 및 모드 제어 리모컨(600)의 동작 및 제어 기술 특징은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에, 동일 부호 및 동일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모션 감지 센서부(700)는 노래방 룸의 중심 영역 등,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에서의 모션을 감지한다. 모션 감지 센서부(700)는 적어도 하나의 인체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특정 영역에서의 모션을 감지한다. 그리고 모션이 감지되면, 모션이 감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모션 감지 신호를 모드 전환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모션 감지 센서부(700)는 영상 표시장치(100)의 전면부나, 무대, 룸의 중심 영역들을 특정해서 향하도록 배치되며, 특정 영역에서 감지되는 모션에 따라 모션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모드 전환장치(400)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 및 모드 제어 리모컨(600)을 통해 클럽 모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클럽 모드로 전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모드 전환장치(400)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모션 감지 센서부(700)를 통해 감지된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클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전환장치(400)는 모션 감지 센서부(7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모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기준 횟수 이상으로 모션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즉, 모드 전환장치(4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기준 횟수 이상 연속해서 모션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무대나 룸의 중심 영역에 다수의 인원이 대기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이때, 모드 전환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은 개별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모드 전환장치(400)는 클럽 모드로 전환되면, 별도의 우퍼 스피커와 음향 지원 스피커(150)를 제어한다. 즉, 모드 전환장치(400)는 클럽 모드 동작시, 미리 설정된 비트 음향이 출력되도록 우퍼 스피커를 제어하면서도 일렉트로닉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지원 스피커(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드 전환장치(400)에는 일렉트로닉 댄스 음원, 및 클럽 음악으로 미리 설정된 음원이 포함된 모드 전환 선정곡 목록이 미리 저장된다. 이에, 모드 전환장치(400)는 반주기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한다. 그리고 모니터된 반주 음향 데이터의 곡목이 모드 전환 선정곡 목록에 포함된 경우에는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클럽 모드로 전환되면, 모드 전환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별도의 우퍼 스피커와 음향 지원 스피커(150)를 제어한다.
또한, 모드 전환장치(400)는 반주기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의 비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비트가 미리 설정된 일렉트로닉 댄스 비트와 대응되면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즉, 모드 전환장치(400)는 반주 음향 데이터의 비트 특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분석된 비트 특성이 댄스 비트로 판단되면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럽 모드로 전환되면, 모드 전환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별도의 우퍼 스피커와 음향 지원 스피커(150)를 제어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전환장치(400)는 무선 통신부(410), 반주 제어부(420), 조명 제어부(430), 모드 전환 제어부(460), 영상 제어부(440), 음향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또한, 모드 전환장치(400)는 비트 검출부(480)와 모드 전환곡 설정부(490)를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410), 반주 제어부(420), 조명 제어부(430), 영상 제어부(440), 및 음향 제어부(450)의 동작 및 제어 기술 특징은 도 2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동일하다. 이에, 동일 부호 및 동일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모드 전환곡 설정부(490)에는 일렉트로닉 댄스 음원, 및 클럽 음악으로 미리 설정된 음원이 포함된 모드 전환 선정곡 목록이 미리 저장된다.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반주기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한다. 그리고 모니터된 반주 음향 데이터의 곡목이 모드 전환 선정곡 목록에 포함된 경우에는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반주 제어부(420)와 조명 제어부(430)의 제어 동작을 설정한다. 그리고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노래 모드 또는 클럽 모드의 전환에 따라 영상 제어부(440), 및 음향 제어부(450) 또한 제어하게 된다.
비트 검출부(480)는 반주기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의 비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비트가 미리 설정된 일렉트로닉 댄스 비트와 대응되면 클럽 모드 전환신호를 모드 전환 제어부(460)로 전송한다. 비트 검출부(480)는 반주 음향 데이터의 비트 특성이 댄스 비트로 판단되면 클럽 모드 전환신호를 모드 전환 제어부(460)로 전송하여, 모드 전환 제어부(460)가 클럽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럽 모드로 전환되면,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반주 제어부(420)와 조명 제어부(430)의 제어 동작을 설정하고, 별도의 우퍼 스피커와 음향 지원 스피커(150)를 제어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주기기(200)와 모드 전환장치(400)는 초기 시작시 노래 모드로 시작될 수 있다. 이때는 반주기기(200)에 의해서만 영상 표시장치(100)와 제1 조명모듈(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제어될 수 있다(ST1).
노래 모드시, 반주기기(2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시키고, 영상 표시장치(100)로는 반주 음향 데이터와 대응되는 가사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조명모듈(300)은 오프시키며,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턴-온되도록 한다(ST2).
이후, 모드 제어 리모컨(600) 또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를 통해 클럽 모드 전환신호가 입력되면, 모드 전환장치(400)의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클럽 모드로 전환된다(ST3).
또한, 모션 감지 센서부(700)를 통해 감지된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클럽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ST4). 이때는 모드 전환장치(400)에서 모션 감지 센서부(700)로부터 모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내에 기준 횟수 이상모션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반주 제어부(420)는 모드 전환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클럽 모드로 설정되며, 반주기기(200)를 통해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ST7). 그리고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반주 제어부(420)와 조명 제어부(430)의 제어 동작을 설정하고, 별도의 우퍼 스피커와 음향 지원 스피커(150)를 제어한다.
이에, 조명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이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조합되어 온/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 제어부(440)는 영상 표시장치(100)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클럽 분위기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음향 제어부(450)는 별도의 우퍼 스피커에서 미리 설정된 비트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T8).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반주기기(200)와 모드 전환장치(400)는 초기 시작시 노래 모드로 시작될 수 있다. 이때는 반주기기(200)에 의해서만 영상 표시장치(100)와 제1 조명모듈(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제어될 수 있다(ST1).
노래 모드시, 반주기기(2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시키고, 영상 표시장치(100)로는 반주 음향 데이터와 대응되는 가사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조명모듈(300)은 오프시키며,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이 턴-온되도록 한다(ST2).
이후,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반주기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여, 모니터된 반주 음향 데이터의 곡목이 모드 전환 선정곡 목록에 포함된 경우에는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한다(ST5).
또한, 모드 전환장치(400)는 반주기기(200)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 음향 데이터의 비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비트가 미리 설정된 일렉트로닉 댄스 비트와 대응되면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ST6).
반주 제어부(420)는 모드 전환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클럽 모드로 설정되며, 반주기기(200)를 통해 반주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ST7). 그리고 모드 전환 제어부(460)는 반주 제어부(420)와 조명 제어부(430)의 제어 동작을 설정하고, 별도의 우퍼 스피커와 음향 지원 스피커(150)를 제어한다.
이에, 조명 제어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310) 각각이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조합되어 온/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 제어부(440)는 영상 표시장치(100)의 화면에 미리 설정된 클럽 분위기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음향 제어부(450)는 별도의 우퍼 스피커에서 미리 설정된 비트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T8).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래방 시스템으로는 노래방 이용자들의 선택 및 이용자들의 모션 검출 결과에 따라 클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선택한 반주용 음향의 비트 특성이나, 클럽 음악 등으로 미리 설정된 음원 특성에 따라 클럽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본 발명의 노래방 시스템으로는 이용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영상 표시장치
200: 반주기기
300: 제1 조명모듈
310: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
320: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
400: 모드 전환장치
500: 반주 제어 리모컨
600: 모드 제어 리모컨

Claims (4)

  1. 가사 및 동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장치;
    미리 설정된 복수의 반주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반주 음향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반주기기;
    반주 음향의 재생 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제어되는 제1 조명모듈; 및
    모드 전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조명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노래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과 숫자 버튼 및 시작/취소 버튼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반주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반주 제어 리모컨; 및
    적어도 하나의 모드 전환 버튼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노래 모드 또는 상기의 클럽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드 제어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노래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모드 제어 리모컨 또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 모드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에 대한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노래방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모드 제어 리모컨 또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클럽 모드 전환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조명모듈은 오프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명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조명모듈 각각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개별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제어하는 노래방 시스템.
KR1020180056305A 2018-05-17 2018-05-17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KR20190132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05A KR20190132587A (ko) 2018-05-17 2018-05-17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305A KR20190132587A (ko) 2018-05-17 2018-05-17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587A true KR20190132587A (ko) 2019-11-28

Family

ID=6873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305A KR20190132587A (ko) 2018-05-17 2018-05-17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25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38B1 (ko) 2014-01-27 2015-07-09 이성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38B1 (ko) 2014-01-27 2015-07-09 이성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23088A (ja) 電子娯楽システムにおけるジェスチャーに関連するフィードバック
US9907145B2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CN204929340U (zh) 一种智能情景互动灯光控制系统
JP6148958B2 (ja) 携帯端末による照明の遠隔操作が可能な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CN105451413A (zh) 灯光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0880309B (zh) 使用性良好的卡拉ok设备切换装置
WO2012053371A1 (ja) 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EP3518552B1 (en)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system
KR20190132587A (ko) 클럽 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방 시스템
JP5120206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用リモコン
JP3868552B2 (ja) 楽音再生システム
KR20200017771A (ko) 다른 발광 장치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CN110632898B (zh) 一种演绎系统
KR20200017768A (ko) 행사장의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JPH10240276A (ja) カラオケ装置
JP7567378B2 (ja) 演出方法および演出システム
KR20200017772A (ko)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JP6440434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US20160286314A1 (en) Themed ornaments with internet radio receiver
KR100311733B1 (ko)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
JP7236685B2 (ja) 音楽照明システム
KR100681516B1 (ko) 축하분위기 고조기능을 갖춘 노래반주기
KR200403864Y1 (ko) 축하분위기 고조기능을 갖춘 노래반주기
JPH10149885A (ja) 電飾装置
JP2006325161A (ja) 映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