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772A -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 Google Patents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772A
KR20200017772A KR1020180093093A KR20180093093A KR20200017772A KR 20200017772 A KR20200017772 A KR 20200017772A KR 1020180093093 A KR1020180093093 A KR 1020180093093A KR 20180093093 A KR20180093093 A KR 20180093093A KR 20200017772 A KR20200017772 A KR 20200017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user
emission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선
Original Assignee
박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선 filed Critical 박덕선
Priority to KR102018009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772A/ko
Publication of KR2020001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발광 제어 시스템은, 제 1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 1 발광 장치(100-1), 센서(160)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16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사용자의 제 2 발광 장치(100-2), 상기 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공연 제어 장치(1030), 및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발광 제어를 수행하는 제 3 사용자의 제 3 발광 장치(10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Light emitting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diffuse emiss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광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른 발광 장치와 연동하여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의 콘서트에서는 응원문화가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가지 응원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진행되는 콘서트의 특성상, 빛을 발할 수 있는, 야광봉, 야광팔찌, LED(Light Emitting Diodes) 조명이 구비된 응원봉과 머리띠 등 다양한 응원도구가 콘서트를 즐기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특히, 야광봉의 경우, 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별도로 전지를 구비하여 조명 효과를 얻는 막대 모양의 물건이 사용되고 있다.
물론, 야광봉은 응원도구뿐만 아니라, 야간 활동, 등산, 각종 이벤트 등에 사용되고 있고, 특히 다양한 색깔을 표시하도록 제작할 수 있어, 콘서트장을 비롯한 다양한 공연장의 어두운 실내에서 관객들의 응원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수의 이름을 만들거나 특정한 형상을 만드는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야광봉은 관객들의 응원도구로서뿐만 아니라 특정 형상을 만들어 공연연출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으며, 관객들이 가진 야광봉을 공연을 연출하는 제작자 측에서 제어하여 다양한 글씨 내지 형상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공연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야광봉을 통해 공연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기는 하나, 야광봉은 불빛을 내는 기능만을 갖고 있어 관객의 흥미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각각의 야광봉을 조절하게 되므로, 순간적으로 동질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른 사용자의 몰입도를 연쇄적으로 확산하는 경우, 사용자들 전체가 다른 사용자의 몰입도를 확인한 후 야광봉을 직접 조작하여 야광봉의 발광색을 변경하거나 야광봉 전체를 교체해야 된다.
또한, 공연장에서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한 공연 몰입도를 순간적으로 파도처럼 전파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710307호(등록일: 2017.02.20) 2.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822968호(등록일: 2018.01.23) 3.일본공개특허번호 제2012-207009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른 사용자의 몰입도를 연쇄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사용자에 대한 공연 몰입도를 순간적으로 파도처럼 전파할 수 있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조절,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연 정보와 야광봉의 연동이 이루어져 양광봉의 발광색과 공연 내용이 서로 조화될 수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의 몰입도를 연쇄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발광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발광 제어 시스템은,
제 1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 1 발광 장치;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사용자의 제 2 발광 장치;
상기 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공연 제어 장치; 및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발광 제어를 수행하는 제 3 사용자의 제 3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공연 몰입 상태를 나타내는 모션 및 신체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는 상기 감지 정보에 연동하여 다수의 컬러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블럭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제어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 중 하나의 발광등을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 중 하나의 발광등을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발광 블럭을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발광 블럭 중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 및 상기 공연 제어 장치 및 발광 장치에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면에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에 대한 선택은 다수의 버튼의 누름 횟수 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하우징 바디내 설치되는 제 2 특정 로그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박스는, 상기 제 2 특정 로그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은 볼팅 방식에 의해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는 투광을 위한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는 볼링 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제 1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 1 발광 장치;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 정보에 기반한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사용자의 제 2 발광 장치; 및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발광 제어를 수행하는 제 3 사용자의 제 3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a) 제 2 사용자의 제 2 발광 장치가 자체에 설치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 1 발광 장치를 파지하는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공연 제어 장치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제 3 사용자의 제 3 발광 장치가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발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위에서 기술된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의 몰입도를 감지하여 이를 다른 발광장치에 순식간에 전달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몰입도를 연쇄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한 사용자에 대한 공연 몰입도를 순간적으로 전파함으로써 전체 참석자들에게 동질감을 빠른 시간내에 느끼게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조절,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공연에 따른 공연 정보(예를 들면, 가사, 악보 등을 들 수 있음)를 관람자가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공연 정보와 야광봉의 연동이 이루어져 양광봉의 발광색과 공연 내용이 서로 조화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발광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광 장치를 갖는 라이트 스틱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이트 스틱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비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치 라이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드를 구현하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 모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른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연 제어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100)는, 다수의 컬러를 발광하는 발광 블럭(140), 상기 발광 블럭(140)을 특정 설정 모드로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10), 상기 발광 블럭(140)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10)는 주위 환경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블럭(140)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IC(Integrated Circuit), 마이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회로(120)는 제어기(110)의 동작 제어에 따라 발광 블럭(140)에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을 개별 및/또는 전체로 온 또는 오프한다. 또한,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받아 이를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120)에는 스위칭 회로, 분배 회로, IC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각각 다른 색으로 발광된다. 물론,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컬러별로 병렬연결될 수 있다. 부연하면, 레드(red) 컬러에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되고, 블루(blue) 컬러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되며, 그린(green) 컬러에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드 컬러, 블루 컬러, 및 그린 컬러가 서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기술한 컬러는 예시에 불과하여 다른 컬러도 가능하다.
배터리(130)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구성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13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 건전지, 버튼셀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지시등(150)이 구동 회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시등(150)은 발광 블럭(140)과 별도로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파워 온 상태,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160)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주위 환경을 센싱하여 주위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센서(160)는 스피커의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음파 센서, 조명의 세기(조도 세기)를 감지하는 광센서, 조도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주위 환경 정보는 센서(160)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미리 제어기(110)에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통신 회로(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은 IrDA(Infrared Data) 통신, 블루투쓰, LiFi(Light 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ntrol) 등이 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사용자의 명령을 통해 휴대용 발광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조작부(180)에는 버튼, 마이크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진동기(10)는 진동 모터, 멀티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장치(100)의 본체에 진동을 준다. 부연하면, 진동 모터의 경우, 회전축상에 밸런스 웨이터(무게추)를 되게 결합한 방식이 이용된다. 멀티 액츄에이터는 주파수 입력 신호의 세기에 따라 진동자 또는 떨림판이 유동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는 방식이다.
한편, 서치등(190)이 구동 회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서치등(190)은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설치된 특정 로고의 이미지를 밖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치등(190)은 LED 이미지 라이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다수의 설정 모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140-1 내지 140-n)를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140-1 내지 140-n)를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190)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발광 장치(100)와 이동 통신 단말기(210) 간의 무선 통신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210)와 휴대용 발광 장치(100)가 무선 통신 라인(230)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21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앱(220)을 통해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대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이미 있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이동 통신 단말기(210)는 휴대폰(mobile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노트 패드, MP3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광 장치(100)를 갖는 라이트 스틱(300)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라이트 스틱(3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320), 상기 하우징 바디(320)로부터 연통되는 손잡이(310), 상기 하우징 바디(320)와 상기 손잡이(310)에 위치하는 목부(350)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목부(350)에는 하우징 바디(320)와 목부(350)를 구분하는 띠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띠는 형광색이 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320)의 맨 상단에는 투명 커버(321)가 결합된다.
하우징 바디(32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이 사용된다. 실리콘, 우레탄, PVC(Polyvinyl chloride)등이 될 수 있다.
손잡이(310)에는 조작부(도 1의 180)에 구성되는 상버튼(330) 및 하버튼(340) 등이 배치된다. 상버튼(330)은 약 2초간 눌려지면 일반 모드와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된다. 부연하면, 상버튼(330)이 약 2초동안 눌려지면 일반 모드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약 2초 동안 상버튼(330)이 눌려지면 리듬 비트 모드에서 서치라이트 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상버튼(330)이 약 5초동안 눌려지면 파워 온/오프(Power ON/OFF)가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부연하면, 상버튼(330)이 처음으로 약 5초동안 눌려지면 파워 온이 되고, 다시 약 5초 동안 눌려지면 파워 오프가 된다.
하버튼(340)은 일반모드에서 컬러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연하면, 일반모드에서 하버튼(340)이 눌려질때마다, 컬러가 Red -> Blue -> Green -> Orange … 등과 같이 변화하게 된다. 물론, 리듬 비트 모드에서도 하버튼(340)이 이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리듬 비트 모드에서 하버튼(340)이 눌려지면 센서(도 1의 160)의 감도가 고/중/저 레벨로 전환된다. 즉, 눌려지는 연속적인 순서에 따라 전환될 수 있고, 연속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전환될 수도 있다.
또한,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눌려지면 서치등(도 1의 190)이 온/오프된다. 부연하면,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1회 눌려지면 서치등(190)이 온된다. 또한, 서치등(190)이 온된 상태에서 다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1회 눌려지면 서치등(190)이 오프된다.
부연하면, 상버튼 및 하버튼(330,340)은 누름 횟수 및/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라이트 스틱(300)은 사용자가 쉽게 잡고 사용하도록 볼링핀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이트 스틱(300)의 저면도이다. 즉, 도 4는 손잡이(310)의 밑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잭(410), 밴드홀(420), 센서홀(430), 지시등(150)이 배치된다.
충전잭(410)은 배터리(도 1의 1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충전기(미도시)를 이 충전잭(410)에 연결함으로써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기의 전원은 약 5V가 될 수 있다. 밴드홀(420)은 제품에 따라 나온 띠를 매는 홀의 역할을 한다.
센서홀(430)은 리듬 비트 모드를 작동시키는 센서(도 1의 160)가 삽입 고정되는 홀이다. 지시등(150)은 파워온시 블루 LED 온이고, 충전시 레드 LED 온이고, 충전완료시 레드 LED 오프이다.
한편, 일반 모드는 단일한 컬러(예를 들면, Red, Yellow, White, Blue, Green 등)로 라이팅한다. 일반 모드에서 하버튼(340)을 짧게 누르면, 컬러 모드가 전환된다. 또한, 앱(220)과의 연동을 통해, 앱(220)에서 256 컬러 변환이 가능하며, 밝기 조정도 가능하다. 또한, 연속적으로 컬러가 변경되는 3가지 라이팅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정 시간 동안, Red + Yellow + Blue의 라이팅이 가능하다. 또는, 예를 들면, 일정시간동안, Red -> Yellow -> Blue 순으로 라이팅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비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300)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듬 비트 모드는 주위에서 들리는 음악 소리의 신호를 센서(16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음악 소리에 따라 빛이 깜빡 거리는 모드이다. 상버튼(도 3의 330)이 약 2초간 눌려지면 일반 모드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부연하면, 센서(160)를 통해 주변의 상황으로부터 획득되는 스피커의 음파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파 신호에서 음파 신호의 크기(강도)가 임계값 이상의 레벨로 산출된다. 이 산출되는 음파 신호의 크기에 대응해서 발광 블럭(14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된다.
부연하면, 음파 신호의 도달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등이 온된다. 즉, 공연 참석자들이 스피커를 정면으로 보며 위치하는 경우, 스피커로부터 거리가 다양하다. 따라서, 스피커의 소리도 시간차를 두고 도달하므로 이러한 도달 시간에 따라 해당 위치에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된다. 물론, 전부 온될 수 있지만 일부의 컬러에 해당하는 발광등만이 온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를 기준으로 좌우 채널의 음량 조정에 의해 좌우 방향 정보 및/또는 상기 스피커를 기준으로 깊이 방향 정보에 따라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될 수 있다.
또한, 리듬 비트 모드에서 하버튼(도 3의 340)이 짧게 한 번씩 눌려지면 센서(160)의 감도가 고/중/저 레벨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용환경의 소리 크기에 따라 적당한 감도 레벨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210)에 설치되는 앱(220)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센서(160)의 감도를 업/다운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앱 연동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치 라이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30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좋아하는 특정 로고(610)를 영화 필름처럼 불빛에 비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서치등(도 1의 190)을 통해 특정 로고(610)를 광방출(620)에 의해 공중, 벽면등에 비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로고는 변경될 수 있다. 부연하면, 서치등(190)에 로고 필름을 바꾸어 삽입함으로써 로고를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서치 라이트 모드도 앱과 연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드를 구현하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320)내 특정 로그(740)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700)가 구성될 수 있다. 모터 박스(700)는, 특정 로그(7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730), 상기 베어링(730)과 연결되는 모터(7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베어링(730)은 볼팅 방식(720)에 의해 상기 모터(7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 모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에 특정 로그(740)가 설치되며, 저속으로 회전된다. 회전 모드는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상버튼(330)을 짧게 누르면 모터(710)가 온된다. 물론, 누르고 있는 시간, 누름 횟수의 조합을 통해 온 또는 오프할 수도 있다. 이 회전 모드도 앱과 연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른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기(도 1의 110)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일반 모드, 리듬 비트 모드, 및 서치 라이트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910,S920).
단계 S920에서,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컬러 변환이 이루어진다(단계 S930,S931).
이와 달리, 단계 S920에서, 리듬 비트 모드가 선택되면, 센서(도 1의 160)를 통해 주위 환경에 대한 센싱이 수행되어 주위 환경 정보가 생성된다(단계 S940,S941).
제어기(110)는 주위 환경 정보중 스피커의 음파 신호에 대한 크기(또는 강도)를 산출하여 발광 블럭(140)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에 대한 빛 출력의 깜빡 거림을 조절한다(단계 S943,S945).
한편, 단계 S920에서, 서치 라이트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기(110)는 서치등(190)을 통해 로고에 대한 빛 출력을 수행한다(단계 S950,S951).
도 9에서는 센싱 단계(940)가 리듬 비트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센싱 단계가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음파 신호만을 센싱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주변의 조도 등을 센싱하여 이에 대응하게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광 제어 시스템(1000)은, 관리 서버(1010), 공연 제어 장치(1030), 제 1 내지 제 n 통신 단말기(210-1 내지 210-n), 제 1 내지 제 n 발광 장치(100-1 내지 100-n)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10)는 공연 정보 및 상기 공연 정보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011)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공연 티켓 발행, 공연 참가자의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티켓 발행기(미도시), 스캐너(미도시) 등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11)에는 공연 정보뿐만 아니라, 회원 정보, 공연 제어 장치(1030)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망(1020)은 공중교환 전화망(PSTN), 공중교환 데이터망(PSDN),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s),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Broadband ISDN),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대도시 지역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LAN: Wide LAN)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통신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망 , 블루투쓰(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이들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의 조합일 수 있다.
공연 제어 장치(1030)는 공연장의 특정 위치(예를 들면, 무대 뒷편 등을 들 수 있음)에 설치되며, 공연 정보, 상기 공연 정보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정보를 제 1 내지 n 통신 단말기(210-1 내지 210-n) 및 제 1 내지 n 발광 장치(100-1 내지 100-n)에 각각 전송한다.
공연 정보는 가사, 악보, 공연자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 공연 정보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정보는 미리 가사, 악보의 내용에 따라 발광색, 발광 패턴, 모드 등이 정해진다. 따라서, 공연자가 공연을 시작하면 가사의 내용도 시간에 따라 변경되므로, 이에 맞게 발광색, 발광 패턴, 모드 등도 변동되어 진행된다. 즉, 공연 정보와 발광 제어 정보는 동기화된다. 이러한 동기화는 실시간으로 제 1 내지 n 통신 단말기(210-1 내지 210-n) 및 제 1 내지 n 발광 장치(100-1 내지 100-n)에 전송한다. 즉,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공연 제어 장치(1030)가 계속 공연 정보와 발광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물론, 한 번에 공연 정보와 발광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연하면, 1곡의 노래라고 가정하면, 시작과 동시에 1곡의 노래 전체에 대한 공연 정보 및 발광 제어 정보를 동시에 전송한다.
제 1 내지 n 통신 단말기(210-1 내지 210-n)는 도 2에 기술된 통신 단말기(21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내지 n 발광 장치(100-1 내지 100-n)는 도 1에 기술된 발광 장치(100)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내지 n 통신 단말기(210-1 내지 210-n)와 제 1 내지 n 발광 장치(100-1 내지 100-n)는 제 1 통신 연결(1001)을 통해 무선 연결된다.
또한, 제 1 내지 n 통신 단말기(210-1 내지 210-n)와 공연 제어 장치(1030)간 및 제 1 내지 n 발광 장치(100-1 내지 100-n)와 공연 제어 장치(1030)간 무선 연결은 제 2 통신 연결(1002)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통신 연결(1001)과 제 2 통신 연결(1002)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도 10에서는 공연 정보 및 발광 제어 정보가 관리 서버(1010)에서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공연 제어 장치(1030)에서 공연 정보 및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연 제어 장치(1030)는 제 2 발광 장치(100-2)로부터 제 1 발광 장치(100-1)를 파지한 제 1 사용자에 대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다른 제 3 내지 제 n 발광 장치(100-3 내지 100-n)에 전송한다. 부연하면, 제 2 발광 장치(100-2)에 설치된 센서(도 1의 160)를 통해, 제 1 발광 장치(100-1)를 파지하고 있는 제 1 사용자에 대한 공연 몰입도를 측정하고, 이를 감지 정보로 생성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센서(160)가 적외선 센서, 모션 감지 센서(Passive Infrared motion sensor), 온도 감지 센서, 열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연 제어 장치(103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연 제어 장치(1030)는 입력부(1110), 중앙 제어기(1120), 통신 회로(1130), 저장부(1140), 표시부(1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중앙 제어기(112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 터치 스크린 등이 될 수 있다. 중앙 제어기(1120)는 사용자의 명령을 처리하여 이를 저장부(1140)에 저장하거나 제 1 내지 n 통신 단말기(210-1 내지 210-n)와 제 1 내지 n 발광 장치(100-1 내지 100-n)에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중앙 제어기(1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콤, 전자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회로(1130)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발광 장치(100-2)의 센서(160)에 의해 감지 정보가 생성되면, 이 감지 정보는 공연 제어 장치(1030)로 전송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미리 해당 발광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 정보 등이 저장부(114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1011)에 등록 저장될 수 있다.
공연 제어 장치(1030)는 제 2 발광 장치(100-2)로부터 전송된 감지 정보를 반영하여 나머지 발광 장치의 발광 상태를 확산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공연 제어 장치(1030)는 이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제 1 및 제 2 발광 장치(100-1,100-2)를 제외한 다른 발광 장치(100-3 내지 100-n)에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무대를 기준으로 거리별로 제한하여 시간차를 두고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표시부(1150)는 사용자의 명령을 표시하거나 공연 정보, 감지 정보, 확산 발광 제어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1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CRT(Cathode Ray Tub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의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발광 장치(100-2)에 설치된 센서(160)를 통해 제 1 발광 장치(100-1)를 파지하는 제 1 사용자(1210)의 현재 상태를 감지(1211)하여 감지 정보가 생성되면, 이 감지 정보를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제 3 발광 장치(100-3)에 전송한다. 제 3 발광 장치(100-3)는 이러한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 제어를 수행한다.
물론, 제 2 발광 장치(100-2)는 설치된 센서(160)를 통해 감지된 감지 정보에 따라 자체적으로 발광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 장치(100-2)는 감지 정보를 반영하여 일반 모드, 리듬 비트 모드, 서치라이트 모드 중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공연 정보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센서(160)가 설치되는 제 2 발광 장치(100-2)가 상기 센서(160)를 이용하여 제 1 발광 장치(100-1)를 파지한 제 1 사용자(121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310,S1311).
이후, 제 2 발광 장치(100-2)가 이 감지 정보에 연동하여 발광 제어를 수행하고, 이 감지 정보를 제 3 발광 장치(100-3)에 전송한다(단계 S1313,S1315).
이후, 제 3 발광 장치(100-3)는 이 감지 정보를 판독하고, 제 2 발광 장치(100-2)와 연동하여 발광 제어(또는 모드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1320,S1321).
물론, 제 2 발광 장치(100-2)는 감지 정보에 따라 발광 제어를 변경하고, 이러한 변경된 정보를 감지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4 발광 장치, 제 5 발광 장치....로 연이어 발광 제어가 실행됨에 따라 파도 형상과 같은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휴대용 발광 장치
110: 제어기
120: 구동회로
130: 배터리
140: 발광 블럭
140-1 내지 140-n: 제 1 내지 제 n LED(Light Emitting Diode)
150: 지시등
160: 센서
170: 통신 회로
180: 조작부
190: 서치등
1000: 발광 제어 시스템
1001: 제 1 통신 연결
1002: 제 2 통신 연결
1010: 관리 서버
1011: 데이터베이스
1020: 통신망
1030: 공연 제어 장치
1110: 입력부
1120: 중앙 제어기
1130: 통신 회로
1140: 저장부
1150: 표시부
210-1 내지 210-n: 제 1 내지 제 n 통신 단말기
100-1 내지 100-n: 제 1 내지 제 n 발광 장치

Claims (15)

  1. 제 1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 1 발광 장치(100-1);
    센서(160)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16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사용자의 제 2 발광 장치(100-2);
    상기 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공연 제어 장치(1030); 및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발광 제어를 수행하는 제 3 사용자의 제 3 발광 장치(10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정보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공연 몰입 상태를 나타내는 모션 및 신체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는 상기 감지 정보에 연동하여 다수의 컬러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발광 블럭(140)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제어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을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을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190)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100-1, 100-2, 100-3)는,
    상기 발광 블럭(140)을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10);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120); 및
    상기 공연 제어 장치(1030) 및 발광 장치(100-1 내지 100-n)에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 회로(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100-1 내지 100-n)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의 일측면에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330,340)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에 대한 선택은 다수의 버튼(330,340)의 누름 횟수 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100-1 내지 100-n)는, 상기 하우징 바디(320)내 설치되는 제 2 특정 로그(740)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박스(700)는, 상기 제 2 특정 로그(7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730); 및 상기 베어링(730)과 연결되는 모터(710);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730)은 볼팅 방식에 의해 상기 모터(7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는 투광을 위한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는 볼링 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13. 제 1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 1 발광 장치(100-1);
    센서(160)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16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 정보에 기반한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사용자의 제 2 발광 장치(100-2); 및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발광 제어를 수행하는 제 3 사용자의 제 3 발광 장치(10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14. (a) 제 2 사용자의 제 2 발광 장치(100-2)가 자체에 설치되는 센서(160)를 이용하여 제 1 발광 장치(100-1)를 파지하는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공연 제어 장치(1030)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른 상기 제 1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제 3 사용자의 제 3 발광 장치(100-3)가 상기 확산 발광 제어 정보를 수신받아 발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따른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80093093A 2018-08-09 2018-08-09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00017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93A KR20200017772A (ko) 2018-08-09 2018-08-09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93A KR20200017772A (ko) 2018-08-09 2018-08-09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72A true KR20200017772A (ko) 2020-02-19

Family

ID=6967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93A KR20200017772A (ko) 2018-08-09 2018-08-09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81A1 (ko) * 2020-07-16 2022-01-20 김은석 다기능 조명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009A (ja) 2011-03-29 2012-10-25 Chukei Nomura 桑小枝粉砕微粉末の製法
KR101710307B1 (ko) 2016-07-18 2017-02-24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야광봉을 이용한 공연연출 제어시스템
KR101822968B1 (ko)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009A (ja) 2011-03-29 2012-10-25 Chukei Nomura 桑小枝粉砕微粉末の製法
KR101710307B1 (ko) 2016-07-18 2017-02-24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야광봉을 이용한 공연연출 제어시스템
KR101822968B1 (ko)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81A1 (ko) * 2020-07-16 2022-01-20 김은석 다기능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581B1 (ko) 공연 정보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JP6933862B2 (ja) ライト調整システムおよびライト
KR101710307B1 (ko) 야광봉을 이용한 공연연출 제어시스템
US8955979B2 (en) Display projector for textual signage
US201901645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P2713681A1 (en) Lighting system
CN109348568B (zh) 一种多用途景观亮化led照明设备及其定制系统和方法
KR102229017B1 (ko) 공연 영상 정보 제공을 발광 스틱으로 확인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17772A (ko)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00017771A (ko) 다른 발광 장치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00017768A (ko) 행사장의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US20050280550A1 (en) Modal light-emitting device for mobile signal outpu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JP2007005094A (ja) 発光装置
JP2015038820A (ja) 携帯発光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演出方法
KR20200017773A (ko) 음원 방향에 연동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56702B1 (ko) 응원조명모듈을 이용한 비대면 공연 연출 제어시스템
KR102263493B1 (ko) 좌석 위치 안내를 위한 발광 제어를 구현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71416B1 (ko)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17769A (ko)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3122781U (ja) 演出用発光装置
KR102263491B1 (ko) 지정 참가자와 공연자를 연결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63490B1 (ko) 참가자의 구호에 연동되어 휴대용 발광 스틱에 공연 정보를 표시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1232640A (ja) 歌声ピッチの正確さにより変化する旋律連動式カラオケ電飾システム
KR102447873B1 (ko) 디지털 응원봉을 이용한 응원 운영시스템
JP7141955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