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733B1 -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733B1
KR100311733B1 KR1019990003704A KR19990003704A KR100311733B1 KR 100311733 B1 KR100311733 B1 KR 100311733B1 KR 1019990003704 A KR1019990003704 A KR 1019990003704A KR 19990003704 A KR19990003704 A KR 19990003704A KR 100311733 B1 KR100311733 B1 KR 10031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ong
accompaniment
sound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196A (ko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윤재환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환,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재환
Priority to KR101999000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73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와 결합되어 노래반주장치의 화면상에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게임표적을 별도의 게임용 원격조정기를 조작하여 맞추는 일종의 슈팅(Shooting)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은 하나 이상의 게임용 키버튼부, 변조부 및 송신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키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조작신호를 변조시켜 송신부를 통해 송출하는 게임용 원격조정기와,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게임표적의 궤적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를 화면상에 표출하며,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을 출력시키는 노래반주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노래반주장치는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에러 효과음 및 에러 효과화면을 출력시킬 뿐만 아니라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각 키버튼에 소정의 반주 효과음을 대응되에 설정하여 게임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게임용 원격 조정기의 각 키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반주 효과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선곡된 노래를 반주음에 맞추어 부름과 동시에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악적 흥미와 더불어 리듬감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음악적 리듬과 함께 순발력을 동원한 흥미 유발 게임으로서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노래방을 찾는 손님들에게 또 하나의 건전한 놀이문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게임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게임용 원격조정기가 반주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음으로 흥겨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Karaoke having a electronic game apparatus and enforc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와 결합되어 노래반주장치의 화면상에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게임표적을 별도의 게임용 원격조정기를 조작하여 맞추는 일종의 슈팅(Shooting)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이러한 게임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장치라 하면 미디(MIDI)규격에 따른 반주 제어명령에 따라 조음된 여러 가지 악기음에 맞춰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며, 최근에는 사람의 육성에 의해 녹음된 코러스음을 혼성한 조음을 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고 흥겨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노래반주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이 반주음에 맞추어서 사용자가 노래를 하게 되면 이를 입력받아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점수로 환산하며, 환산된 점수와 그에 해당되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시킨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노래반주장치는 약간의 게임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는데, 이때 게임기능이란,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을 2팀으로 나누고, 화면상에 출력된 여러 개의 번호를 갖는 게임 화면중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면 그 번호에 설정된 노래의 반주가 팀별로 자동으로 선곡되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노래대결을 하도록 하거나, 간단한 퀴즈를 풀도록 하여 보너스를 주는 기능 등과 같은 것이다.
결국, 종래의 노래반주장치에는 일반 오락실 등에서와 같은 아케이드 게임기능이나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와 어울리는 게임기능 등은 갖추고 있지 않았다.
또 한편, 노래방 등에는 템버린과 같은 소품이 준비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노래반주장치의 반주음에 맞춰 흥을 돋울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 경우 템버린 등의 반주 효과음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지 않게 되면 어색한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곡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와 결합되어 노래반주장치의 화면상에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게임표적을 별도의 원격조정기를 조작하여 맞추는 일종의 슈팅게임기능을 노래반주장치에 구비시키는 한편, 게임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게임용 원격조정기가 종래의 템버린 소리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반주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 시스템의 게임기능 구현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도 4는 도 1에 적용된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게임표적 및 기준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게임용 원격조정기
200 : 노래반주장치
210 : 시스템 메모리
220 : 키입력부
230 : 메모리
240 : 제어부
250 : 오디오신호 처리부
260 : 비디오신호 처리부
270 : 수신부
300 : 스피커
400 : 디스플레이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의 특징은 하나 이상의 게임용 키버튼부, 변조부 및 송신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키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조작신호를 변조시켜 송신부를 통해 송출하는 게임용 원격조정기와,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게임표적의 궤적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를 화면상에 표출하며,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을 출력시키는 노래반주장치로 구성된 것에 있으며, 노래반주장치는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에러 효과음 및 에러 효과화면을 출력시킬 뿐만 아니라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각 키버튼에 소정의 반주 효과음을 대응되게 설정하여 게임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게임용 원격 조정기의 각 키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반주 효과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로서, 그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게임용 원격조정기(100)는 하나 이상의 게임용 키버튼부(110), 변조부(120) 및 송신부(1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키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조작신호를 변조시켜 송신부(130)를 통해 노래반주장치(200)의 수신부(270)로 송출한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키버튼부(110)는 모두 6개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데, 사각형의 5개 버튼은 게임표적을 맞추기 위한 조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버튼이며, 나머지 원형의 버튼은 스크렛치 턴테이블 기능이나 페달로 밟는 저음(BASS)의 반주 효과음 출력 전용버튼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키버튼부(110)에는 게임기능이 부가된 노래반주모드에서 게임을 시작하도록 하는 버튼, 게임을 종료하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노래반주장치(200)가 가지고 있는 게임용 노래의 리스트를 화면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버튼 및 리스트의 내용을 화면상에서 스크롤 업다운시키는 버튼 등 게임용 노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또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키버튼부(110)에 구비되는 버튼들은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와는 별도로 노래반주장치(200)의 키입력부(220)에 구비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게임용 원격조정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형태가 일반적일 것이나,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사용자의 버튼조작을 압력센서 등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발로 조작할 수 있는 원격조정기(100)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노래반주장치(200)로의 신호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실시 모두가 가능할 것이다.
노래반주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게임표적의 궤적 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를 화면상에 표출하며,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즉, 사용자가 화면상 소정 지점에 이른 표적을 맞추게 되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을 스피커(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출력시킨다.
여기서,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가 일치하는 시점은 현재 반주되는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잘 어울리는 시점으로 미리 정해진다.
반면,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즉, 사용자가 화면상 소정 지점에 이르른 표적을 맞추지 못하면 소정 에러 효과음 및 에러 효과화면을 스피커(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출력시킨다.
또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에 따라 노래반주장치(200)는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스피커(300)를 통해 게임 효과음 또는 에러 효과음을 출력하며, 게임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각 키버튼에 대응되어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반주 효과음을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반주 효과음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템버린 등과 같은 타악기음이 될 수 있으며, 그 외 노래의 흥을 돋우는 소리이면 북소리나 호각소리 등 어느 것이나 메모리(230)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노래반주장치(200)는 스피커(300)를 통해 게임 효과음만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게임 효과음과 함께 볼륨 레벨이 정상 레벨 보다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춰져 게임 효과음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반주 효과음을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는데, 이는 게임기능의 수행여부에 따라 각각 독립된 효과음을 출력해야 하는 스위칭 부하를 줄여주기 위함이다.
상술한 노래반주장치(200)의 세부적인 구성요소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 메모리(210)는 노래반주장치의 초기화 및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가진다.
키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되어 선곡신호와 게임 시작신호또는 게임 종료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술한 신호 이외에 노래반주장치(200)를 제어하거나 게임기능에 관련된 또 다른 즉, 노래반주장치(200)가 가지고 있는 게임용 노래의 리스트를 화면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 및 리스트의 내용을 화면상에서 스크롤 업다운시키기 위한 신호들을 출력시킬 수 있는 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한편, 키입력부(220)에 구비되는 상술한 키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조정기(10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모리(230)는 게임표적 및 게임표적에 대응되며 게임 수행에 필요한 효과음 및 효과화면 즉,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 에러 효과음 및 에러 효과화면, 그리고 반주 효과음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미디규격에 따른 반주 제어명령과 곡에 대한 부가정보 등을 포함하는 곡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40)는 키입력부(220)의 게임 시작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게임표적의 궤적 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가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이 스피커(300)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각각 출력되도록 제어한다.여기서,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출력되는 게임표적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게임표적 및 기준위치의 일 예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게임표적 및 기준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술한 게임표적(410)의 모양은 화살표이고,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상에서 궤적을 따라 아래로 움직이는 경우이며, 기준위치(420)의 소정 범위(430) 내에 게임표적(410)이 들어온 상태에서 원격조정기(100)의 해당 조작신호(즉, 게임표적이 아래 방향의 화살표이면 원격조정기의 아래 화살표에 대응되는 키버튼 조작신호이며, 우측방향의 화살표이면 우측 방향에 대응되는 키버튼 조작신호가 될 것이다)가 입력되면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이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240)는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에러 효과음 및 에러 효과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게임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게임용 원격 조정기(100)의 각 키버튼에 대응되어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반주 효과음이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기도 한다.
오디오신호 처리부(250)는 메모리(230)로부터 게임 수행에 필요한 게임 효과음, 에러 효과음 또는 반주 효과음 정보를 입력받은 후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오디오신호 처리부(250)는, 도 1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모리(230)로부터 읽어들이는 오디오신호의 종류에 따라 디코딩블록, 미디음원모듈 및 가창자가 부르는 노래에 따른 마이크 출력신호를 합하는 신호합성블록 등을 구비한다.
비디오신호 처리부(260)는 메모리(230)로부터 게임표적, 게임 수행에 필요한 게임 효과화면이나 에러 효과화면 정보를 입력받은 후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수신부(270)는 게임용 원격조정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각 버튼의 조작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 시스템의 게임기능 구현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 1의 제어부(240)에 의해 그 전체 동작이 제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입력부(220) 조작에 따라 선곡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210)하고, 판단 결과 선곡신호가 입력된 경우 선곡된 노래가 게임용노래인지를 판단(S220)한다.
판단 결과, 선곡된 노래가 게임용 노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상에 게임용 노래임을 표시함과 동시에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을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S230)시킨다.
이후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S240)하고, 판단 결과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키입력부(220) 조작에 따라 게임시작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S250)한다.
판단 결과, 게임시작신호가 입력되었다면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게임표적의 궤적 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를 화면상에 표출하며, 노래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 입력되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을 각각 스피커(300)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출력시키는 게임기능이 부가된 노래반주모드(S260)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게임표적의 궤적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를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상에 표시한다(S261).
이후 노래반주가 종료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고(S262), 노래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263)한 후,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S264)한다.
상술한 단계(S264)의 판단 결과,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서 입력된 경우 오디오신호 처리부(250)와 비디오신호 처리부(260)는 각각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에 대한 정보 및 게임 효과화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30)로부터 읽어들여 신호 처리한다.
이처럼 신호 처리된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은 각각 스피커(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출력(S265)된다.
반면, 상술한 단계(S264)의 판단 결과,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 입력된 경우에는 메모리(230)로부터 오디오신호 처리부(250) 및 비디오신호 처리부(260)를 거치면서 신호처리된 에러 효과음 및 에러 효과화면 정보는 각각 스피커(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에러 효과음과 에러 효과화면으로서 출력(S266)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S263)의 판단 결과,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게임 종료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270)하고, 판단 결과 게임 종료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게임모드를 해제(S280)하고, 게임용 노래임을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상에 표시함과 함께 노래반주를 수행하는 단계(S230) 이후 부터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선곡된 노래가 게임용 노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의 판단 결과, 게임용 노래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S290)을 수행한다.
먼저,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을 출력(S291)시키면서 노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S292)하고, 판단 결과 노래 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293)한다.
여기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반주 효과음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30)로부터 읽어 오디오신호 처리부(250)에서 신호처리하게 한 후, 반주 효과음을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S294)시킨다.
즉,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각 버튼이 전술한 바와 같이 타악기(예를 들면, 템버린) 등과 같은 반주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노래반주장치(200)가 게임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노래의 흥을 돋울 수 있도록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노래반주장치(200)가 게임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위한 제어명령 및 게임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등이 필요하게 되는데, 도 3에 의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이란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노래반주장치(200)가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이를 지원하는 효과음 및 효과화면을 지원하는 2차원 테이블로서, 가로와 세로영역은 게임표적 및 게임표적을 지원하기 위한 각기 다른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가로와 세로영역의 좌표값에따라 각기 다른 게임 효과음이 설정된다.
이때, 전술한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세로 영역은 게임표적의 색상명령과 게임표적에 따른 효과음 표출여부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가로 영역은 게임표적이 각기 다른 움직임을 갖도록 하는 표출정보와 게임진행에 따른 가산점수 정보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세로 영역(A∼G)은 음도에 대응되고 가로 영역(0∼9)은 음역에 대응되게 나타낼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처럼 음도 및 음역을 사용한 이유는 통상 가요반주장치가 미디규격에 의한 반주 제어명령에 따라 반주음을 출력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노래반주와 함께 수행되는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역시 미디규격을 따르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며, 그 구현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가로 및 세로 영역은 게임표적이나 게임 효과음 또는 게임 효과화면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충분히 확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지원을 받아 게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미디규격에 따른 게임 제어명령은 다음 [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표]
MESA NOTE KEY# ST GT VEL
1 48E5 48 3 111961922 96961923 Ctr1 192 011924
상술한 [표]에서 제어명령의 예는 2번째와 8번째 라인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세로 좌표값으로 음도에 대응되는 A에서 G까지는 게임표적의 색상명령과 효과음 표출여부에 관한 정보를 아래와 같이 일 예로서 가진다.
A는 남청색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무관하게 항상 효과음을 표출한다.
B는 진홍색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무관하게 항상 효과음을 표출한다.
C는 마젠타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무관하게 항상 효과음을 표출한다.
D는 흙색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동기되어야 효과음을 표출한다.
E는 녹색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동기되어야 효과음을 표출한다.
F는 노랑색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동기되어야 효과음을 표출한다.
G는 사이안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동기되어야 효과음을 표출한다.
미디는 백색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무관하게 항상 효과음을 표출한다.
코러스는 곤색이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버튼입력에 무관하게 항상 효과음을 표출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명령이 'B1'이라 함은 게임표적의 색상은 `진홍색'이며, 사용자에 의해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기차'소리(도 3의 세로B와 가로1에 대응)의 효과음이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됨을 의미한다.
또한,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가로 좌표값으로 음역에 대응되는 0에서 9까지는 서로 다른 게임표적의 표출동작 정보와 가산정보를 아래와 같이 일 예로서 가진다.
0은 무변환이면서 가산점 +10점이고, 2와 4는 색상이 점멸하면서 가산점 +20점이고, 1과 3은 좌회전하면서 가산점 +30점이고, 5와 7은 우회전하면서 가산점 +40점이고, 6과 8은 모양이 계속적으로 변환되면서 가산점은 +50점이며, 9는 고스트(숨은 표적)로서 +100 점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명령에 9번이 포함되어 있다면 숨어 있는 게임표적에 대해사용자의 음악적 감각으로 나타날 위치를 예측하여 맞추었을 때 +100점의 보너스 점수가 가산된다.
이러한 예에 의거하여 상술한 [표]의 제어명령의 의미를 2번째 라인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트(NOTE)에 도시된 'E5' 중 'E'라는 문자로 게임표적의 색깔이 녹색이면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버튼입력에 동기되어야 게임 효과음이 출력되게 설정되어 있음을 판단한다.
또한 게임 지원정보 테이블로부터 'E5'가 '총성'이라는 게임 효과음을 가지고 있음을 판단하며, 'E5'에서 '5'라는 숫자로 게임표적이 우회전하고,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40점이라는 점수가 가산되어야 함을 판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상에 녹색의 우회전하며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게임용 원격조정기(100)의 조작신호가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범위에 위치하는 순간에 입력되면 음의 출력크기(VEL)가 '111'이면서 '3(GT)/48(ST)'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총성'음이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상술한 제어명령이 노래반주음 출력을 위한 명령으로 이용될 경우의 의미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제어부(240)는 노트(NOTE)에 도시된 'E5'로 5번째 옥타브의 '솔'임을 판단하고, 스텝 타임(ST)에 도시된 '48'이라는 숫자로 1박자임을 판단하며, 게이트타임(GT)에 도시된 '3'이라는 숫자로 음의 출력시간을 판단한다.
또한, 크기(VEL)에 도시된 '111'이라는 숫자로 '솔'이라는 음의 출력크기를 판단하여, 음의 출력크기가 111이며 한박자로 설정된 48 중 3이라는 시간 동안 5번째 옥타브 '솔'을 스피커(300)로 출력해주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곡된 노래를 반주음에 맞추어 부름과 동시에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악적 흥미와 더불어 리듬감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음악적 리듬과 함께 순발력을 동원한 흥미 유발 게임으로서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노래방을 찾는 손님들에게 또 하나의 건전한 놀이문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게임을 하고 있는 사용자는 게임을 통해 반주 중인 노래의 리듬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음악의 수준을 자연스럽게 전이받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임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에 따른 반주 효과음 출력으로 인하여 노래를 부르고 듣는 외에 또다른 흥겨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게임용 키버튼부, 변조부 및 송신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키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조작신호를 변조시켜 송신부를 통해 송출하는 게임용 원격조정기; 및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상기 게임표적의 궤적 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를 화면상에 표출하며, 상기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 상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을 출력시키는 노래반주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곡신호 또는 게임 시작신호 또는 게임 종료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노래반주장치의 초기화 및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가지는 시스템 메모리;
    상기 게임표적 및 게임표적에 대응되며 게임 수행에 필요한 효과음 및 효과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키입력부의 게임 시작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게임표적의 궤적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가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 상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메모리로부터 게임 수행에 필요한 효과화면 정보를 입력받은 후, 효과화면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비디오신호 처리부;
    상기 메모리로부터 게임 수행에 필요한 효과음 정보를 입력받은 후, 효과음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 및
    상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를 수신받아 복조한 후 제어부로 전송하는 수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노래반주장치의 게임용 리스트를 화면상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리스트의 내용을 스크롤 업다운 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장치는,
    상기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 상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에러 효과음 및 에러 효과화면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표적 및 게임표적에 대응되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은, 게임지원정보 전용 테이블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게임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세로영역은 음도의 개수에 대응하는 값들을 가지며,
    상기 게임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가로영역은 음역의 개수에 대응하는 값을 가지고서 2차원테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세로영역과 가로영역이 이루는 좌표값에 대응되는 좌표에는 효과음 또는 게임 효과화면 또는 보너스 점수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상기 세로 영역은 게임표적의 색상명령, 게임표적에 따른 게임 효과음 표출여부에 관한 정보를 별도로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로 영역은 게임표적이 각기 다른 움직임을 갖도록 하는 표출정보 및 가산점수 정보를 별도로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효과음은;
    상기 게임 지원정보 전용 테이블의 가로, 세로영역의 좌표값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에 따라 노래반주장치는,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게임 효과음 또는 에러 효과음을 출력하며,
    게임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게임용 원격 조정기의 각 키버튼에 대응되어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반주 효과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효과음 출력시,
    볼륨 레벨이 정상 레벨 보다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춰진 반주 효과음이 함께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10. 사용자에 의해 선곡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선곡신호가 입력된 경우 선곡된 노래가 게임용 노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선곡된 노래가 게임용 노래인 경우 게임용 노래임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표시함과 함께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을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노래의 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게임 시작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게임 시작신호가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게임표적과, 상기 게임표적의 궤적상에 존재하며 소정 범위를 갖는 기준 위치를 화면상에 표출하며, 노래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시점에 상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선곡된 노래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는 게임 효과음 및 게임 효과화면을 출력시키는 게임기능이 부가된 노래반주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시스템의 게임기능 구현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능이 부가된 노래반주모드는,
    상기 게임표적이 기준위치의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점에 상기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에러 효과음 및 에러 효과화면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시스템의 게임기능 구현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 시스템의 게임기능 구현방법은,
    상기 선곡된 노래가 게임용 노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 게임용 노래가 아닌 경우,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을 출력시키고, 노래 반주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반주 효과음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시스템의 게임기능 구현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 시스템의 게임기능 구현방법은,
    상기 게임기능이 부가된 노래반주모드에서 게임용 원격조정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게임 종료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게임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게임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 시스템의 게임기능 구현방법.
KR1019990003704A 1999-02-04 1999-02-04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 KR10031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04A KR100311733B1 (ko) 1999-02-04 1999-02-04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04A KR100311733B1 (ko) 1999-02-04 1999-02-04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196A KR20000055196A (ko) 2000-09-05
KR100311733B1 true KR100311733B1 (ko) 2001-11-02

Family

ID=1957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704A KR100311733B1 (ko) 1999-02-04 1999-02-04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65B1 (ko) * 2009-10-07 2011-07-19 이경호 마이크를 이용한 다트게임장치 및 다트게임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06B1 (ko) * 2007-12-28 2014-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Ucc를 이용하는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방법 및 그 게임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65B1 (ko) * 2009-10-07 2011-07-19 이경호 마이크를 이용한 다트게임장치 및 다트게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196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2153B1 (en) Song accompaniment system
US8147337B2 (en) Game system
JP703548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電子楽器
JP2003509729A (ja) ディジタル音楽ファイルに基づいて楽器を演奏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1999027519A1 (fr) Generateur de son et machine de jeu video l'utilisant
JP2000350861A (ja) 音楽演出ゲ―ム機、音楽演出ゲ―ム用の演出操作指示システムおよびゲ―ム用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2215151A (ja) 音響信号出力方法及びbgm生成方法
KR100320036B1 (ko)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US7405354B2 (en) Music ensemble system, controller used therefor, and program
JPH11313979A (ja) 音楽演出ゲ―ム機、音楽演出ゲ―ム用の演出操作指示システムおよびゲ―ム用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311733B1 (ko) 게임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게임기능 구현방법
JP2006513757A (ja) マルチユーザ環境の制御
JP4182781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6162916A (ja) 音楽再生装置
JP4585473B2 (ja) 電子早見本装置
JP2004205819A (ja) カラオケ装置
JP4373354B2 (ja) 音楽再生装置
JP3885250B2 (ja) カラオケ装置
JP4160446B2 (ja) 音楽再生装置及びその映像表示方法
JP2009080372A (ja) カラオケ装置
JP3614049B2 (ja)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装置の外部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3290899B2 (ja) カラオケ装置
KR19990022582U (ko) 댄스교습기능을갖는컴퓨터가요반주기
JPH096373A (ja) カラオケ装置
JP5477597B2 (ja) 楽曲演奏装置及び楽曲演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