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036B1 -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036B1
KR100320036B1 KR1020000054501A KR20000054501A KR100320036B1 KR 100320036 B1 KR100320036 B1 KR 100320036B1 KR 1020000054501 A KR1020000054501 A KR 1020000054501A KR 20000054501 A KR20000054501 A KR 20000054501A KR 100320036 B1 KR100320036 B1 KR 10032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playing
file
instru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009A (ko
Inventor
김윤종
Original Assignee
서정렬
(주)한슬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렬, (주)한슬소프트 filed Critical 서정렬
Priority to KR102000005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0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3/00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 G10G3/04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e.g. record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a musical instrument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8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transcription of raw audio or music data to a displayed or printed staff representation or to displayable MIDI-like note-oriented data, e.g. in pianoroll forma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에서 디지털 음악인 미디(MIDI) 파일을 악기(트랙)별로 음표를 분할하여 가상 오케스트라 시스템(VOS) 파일로 변환하고, 이러한 VOS 파일을 바탕으로 혼자 또는 여러 명이 악기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전자악보를 보면서 음악을 연주하기 변환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을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기 위해,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델타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는 상기 미디 메시지들의 시간 정보를 절대시간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사용자가 연주할 노트 메시지들을 구성하여 VOS 파일을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네트워크를 이용해 용이하게 가상 오케스트라 연주(합주)가 가능케 하는 서비스에 이용됨.

Description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A DIGITAL MUSIC FILE}
본 발명은 컴퓨팅 시스템 등에서 디지털 음악용 파일(예컨대,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파일과 같이 연주된 악기별로 트랙이 구분되어 있는 음악 파일을 의미함)을 악기별로 연주지시 및 연주음 재생이 가능하게 음표 분할하여 VOS(Virtual Orchestra System)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과, 이러한 VOS 파일을 바탕으로 혼자 또는 여러 명이 각각 원하는 악기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전자악보를 보면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는 전자기기를 통해 연주음을 자동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음악 파일 형식의 한 유형으로서, 전자악기들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호환성을 위해 국제적인 규격으로 제정되어 있다. 대부분의 전자악기는 이러한 MIDI 규격을 기초로 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예컨대, 전자악기 중에서 가정용은 크게 전자오르간, 전자피아노, 전자키보드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악기들은 공지의 아날로그 회로 또는 디지털 회로를 이용해 연주음 파형을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역시 MIDI 규격을 따르고 있다.
다시 말해서, MIDI는 악기의 연주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국제적인 규격이라 할 수 있으며, 5핀의 전용케이블을 사용해 채널메시지와 시스템 메시지를 송수신 하도록 권고하고, 이때의 채널메시지로서는 주로 연주데이터인 음계, 음장, 강약, 및 음색 프로그램의 변환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권고하는 점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퍼스널 컴퓨터(PC)와 데이터를 공유해 PC로 전자악기를 컨트롤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PC로 MIDI 단자를 구비한 전자악기를 컨트롤하는 데는 PC 내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호를 전자악기를 위한 MIDI 신호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MIDI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MIDI 인터페이스에는 내부에 중앙제어장치(CPU)를 내장하고 있는 인텔리전트형과 내장하고 있지 않는 넌 인텔리전트형이 있다. 그리고 현재, 채널정보는 16가지의 각기 다른 채널정보들을 한 가닥의 케이블로 송신할 수가 있게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16가지의 악기 연주음을 포함하는 MIDI 파일 전송이 용이하다.(참고로 이러한 채널정보의 확장 또한 필요에 따라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제반 환경 및 자원을 이용하는 기술로서 제안된 것이다.
종래의 경우로서, 음악 연주 게임 시스템으로 널리 알려진 일본 KONAMI사의 비트매니아(BeatMania)(상표명임)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비트매니아 시스템의 음악 연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KONAMI'사의 비트매니아(BeatMania) 시스템은, 사전 설정된 연주조작 시점에서 게임자가 연주조작 하도록 지시하고 그에 따라 게임자가 연주조작을 행하면, 게임자가 선택한 악기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연주음 웨이브(사용자 입력 웨이브)와, 디스크쟈키(DJ)가 음악에 맞춰서 내는 효과음 웨이브(상기 사용자 입력 웨이브 이외의 나머지 배경음 웨이브를 의미함)를 중첩(Mixing)시키는 등의 연출조작을 하는 음악 연주 시뮬레이션 게임기로서, 인디게이터라는 특정 형태의 전자악보를 이용하여 게임자에게 연주조작 시기를 지시해 주고, 게임자는 다섯 개의 버튼과 하나의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연주를 행하며, 게임자의 조작 결과에 따라 연주음 웨이브와 효과음 웨이브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트매니아(BeatMania) 시스템은, 게임자에게 연출 조작 시기를 지시하여 게임자가 용이하게 음악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지 모르나, 실제로 비트매니아 게임용의 곡을 디자인할 때마다, 게임자에 의해 선택될 악기별 연주 웨이브(사용자 입력 웨이브) 전체와 해당 악기를 제외한 나머지 악기들에 의해 연주되는 웨이브(배경음 웨이브) 전체를 일일이 만들어서 미리 저장해 놓아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하나의 곡에 대한 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뮤지션들에 의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는 다수의 악기별 음표를 구분 지으면서 한꺼번에 작성할 수 없기 때문에, 게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악기 수만큼 위와 같은 방식으로 악기별 연주 웨이브(사용자 입력 웨이브) 전체와 배경음 웨이브 전체에 대해 일일이 디자인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연주 게임용 음악 파일이 결과적으로 웨이브 파일 형태이기 때문에, 일단 한번 만들어진 비트매니아(BeatMania) 게임용 곡에 변경을 가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새로이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연주 게임용 음악 파일이 웨이브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설령 압축을 한다 하더라도 한 곡 당 수 메가 내지 수십 메가의 파일 사이즈가 되어, 이러한 방대한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때문에 현재 PC 버전에서는 그러한 데이터 량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서 어쩔 수 없이 음질을 다운시켜야만 하는 기술적인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컴퓨팅 시스템 등에서 디지털 음악용 파일(예컨대, MIDI 파일 등)을 악기별로 연주지시 및 연주음 재생이 가능하게 악기 연주용 파일(이하, 간단히 VOS(Virtual Orchestra System) 파일이라 한다.)로 변환하는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VOS 파일을 바탕으로 혼자 또는 여러 명이 각각 원하는 악기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전자악보를 보면서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음악 연주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비트매니아 시스템의 음악 연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음악 파일의 델타시간 정보와 연주용 VOS 파일에서의 절대시간 정보를 비교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음악 파일의 델타시간 정보를 절대시간 정보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서의 VOS 전자악보 생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서 VOS 전자악보 생성시 난이도를 수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VOS 파일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VOS 연주 환경 개념도이고;
도 10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S 연주 환경 구성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 방법 중 전자악보의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 방법 중 지정 연주음 출력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 방법 중 달성도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S 노래방(Karaoke) 연주 환경 구성도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은,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델타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는 상기 미디 메시지들의 시간 정보를 절대시간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사용자가 연주할 노트 메시지들을 구성하여 VOS 파일을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 음악용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지시 및 연주음 재생이 가능하게 음표 분할하여 VOS 파일로 변환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곡 메시지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오기 위해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델타 시간(Time)으로 기재되어 있는 상기 미디 파일로부터 절대시간으로 수정하는 시변환 작업과 악기와 연관된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분할 작업하는 제 2 단계; 상기 악기를 쉽게 연주하도록, 해당 음악의 연주 방식을 단순화시켜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전자악보에서 음표의 배치 변경, 연주 대상이 되는 음표를 삭제하고 난이도를 조정하여, 각 해당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난이도가 조정된 상기 전자악보에 곡에 대한 관련 부가 정보(즉, 특정 기업, 상품, 곡 등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목적의 광고 문장, 이미지, 사운드 클립)를 삽입하고 각 부가 정보를 언제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시간을 지정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장치에,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기능; 델타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는 상기 미디 메시지들의 시간 정보를 절대시간으로 변환하는 제 2 기능; 및 사용자가 연주할 노트 메시지들을 구성하여 VOS 파일을 생성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장치에,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곡 메시지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오기 위해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기능; 델타 시간(Time)으로 기재되어 있는 상기 미디 파일로부터 절대시간으로 수정하는 시변환 작업과 악기와 연관된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분할 작업하는 제 2 기능; 상기 악기를 쉽게 연주하도록, 해당 음악의 연주 방식을 단순화시켜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에서 생성된 상기 전자악보에서 음표의 배치 변경, 연주 대상이 되는 음표를 삭제하고 난이도를 조정하여, 각 해당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난이도가 조정된 상기 전자악보에 관련 부가 정보(즉, 특정 기업, 상품, 곡 등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목적의 광고 문장, 이미지, 사운드 클립)를 삽입하고 각 부가 정보를 언제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시간을 지정하는 제5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악 연주시스템은, 상기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가상 오케스트라 시스템(VOS) 음악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VOS 음악파일 제공수단; 상기 음악파일 중 연주할 악기에 대한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표시하기 위한 악보 표시수단; 상기 악보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전자악보의 각 음표에 대한 연주순서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연주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주조작 입력수단; 상기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음악파일 중 상기 해당 음악의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상기 전자악보로 변환하여 상기 악보표시수단으로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주조작 입력수단에 의해 연주조작된 지정 연주음과 상기 지정 연주음 이외의 배경 연주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악처리수단; 상기 음악처리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지정 연주음과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음악연주수단; 및 상기 음악연주수단에 의해 연주되는 상기 해당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음악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악 연주 방법은, 상기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악을 연주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해당 음악과 연주할 악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음악파일 중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할 악기에 대한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전자악보에 따라, 사용자가 연주조작 한 지정 연주음과 상기 지정 연주음 이외의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음악을 연주하는 장치에, 상기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상기 음악을 연주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해당 음악과 연주할 악기를 입력받는 기능; 상기 음악파일 중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할 악기에 대한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 및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전자악보에 따라, 사용자가 연주조작한 지정 연주음과 상기 해당 음악 중 지정 연주음 이외의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제 악기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일반 대중들이 VOS 포맷의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원하는 곡을 원하는 악기로 쉽고 재미있게 연주하도록 한다. 또한, 값비싼 악기나 특정 시설을 갖춘 스튜디오와 같은 별도의 공간 없이도 단순하게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접속한 다수의 이용자들이 자신의 컴퓨터에서 상기 VOS 포맷의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각자가 원하는 악기를 선정하여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VOS 전자악보를 보면서 해당 악기를 연주함으로써 가상의 오케스트라 연주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원하는 곡에 대한 VOS 포맷의 음악 파일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툴(tool)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디지털 음악용 파일(예컨대, MIDI 파일 등)을 악기별로 연주지시 및 연주음 재생이 가능하게 음표 분할하여 VOS(Virtual Orchestra System)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음악용으로 이미 제작되어 배포된 MIDI 파일이 있는 곡에 대해서는 그것을 소스로 하고, MIDI 파일이 제작되어 있지 않은 곡에 대해서는 공지의 방법으로 직접 MIDI 파일을 제작하고 나서, VOS 포맷(각 사용자들에게 연주악기별로 제공될 전자악보를 소정의 파일 형태로 정리한 것을 의미함)으로 변환해 놓음으로써, 해당 곡을 연주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하나 또는 다수의 악기에 해당되는 VOS 전자악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연주조작 하는 사용자의 연주조작 결과에 따라 미리 지정된 해당 악기의 음이 재생되도록 한다. 참고로, MIDI 파일은 타 음악 파일들에 비해 그 제작이 편리하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가수의 음성이 배제되어 있어(저작권 로열티도 저렴함) 기존의 노래방 등에서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MIDI 파일을 VOS 포맷으로 변환하여 VOS 파일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VOS 파일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3은 델타시간과 절대시간의 의미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MIDI 파일의 델타시간 정보를 절대시간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OS 파일 제작 과정은, 먼저 MIDI 포맷으로 만들어진 음악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곡 메시지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오기 위해 MIDI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상에 적재한다(110). 참고로, 이때의 메시지 타입은 크게 콘트롤 메시지(예컨대, 볼륨 메시지, 이팩트, 등), 연주 메시지, 악기 설정 메시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MIDI 파일에서는 이러한 모든 메시지들에 대한 타임 도메인이 델타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서 델타시간이라 함은 모든 메시지들에 대한 시간정보가 직전 시간정보와의 차(간격) 값으로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VOS 파일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가상 오케스트라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이와 같이 델타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는 MIDI 포맷 메시지 정보들이 절대시간으로 정의되도록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120).
앞에서 언급한 델타시간과 절대시간의 의미는 도 3에 예시된 연주 메시지의 시간정보 표시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각 연주 메시지의 좌측에 표기된 시간정보가 델타시간이고, 그 우측에 표기된 시간정보가 절대시간이다.
또한, 위와 같이 델타시간을 절대시간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4의 흐름도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최초 델타시간 값(통상적으로 '0'임)을 절대시간초기값으로 설정하는 등의 초기화 과정 수행(121) 후, 미변환된 델타시간 정보를 갖는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123), 존재하면 직전의 절대시간 값에 현재의 변환대상 메시지 델타시간 값을 더한 값이 현재의 변환대상 메시지 절대시간 값이 되도록 정하고 나서(125), 미변환된 델타시간 정보를 갖는 메시지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 판단하는 단계(123)부터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MIDI 포맷 메시지들의 델타시간 정보를 절대시간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연주할 노트 메시지들을 구성하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악기 하나만을 연주하도록 구성하거나 아니면 시간대에 따라 악기를 바꿔가면서 연주하도록 할 수도 있고, 다수의 사용자가 한꺼번에 다수의 악기를 연주하도록 구성한 VOS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마치 미디 악기와 같이 전 옥타브를 연주할 수 있는 연주조작 입력장치를 구비하여 특별히 단순화 등의 변경을 가하지 않고 연주하도록 할 필요도 있겠지만, 전문 음악가가 아니면 그러한 연주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비전문가들이 특정한 악기를 오랜 기간의 연습 없이도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잡한 연주절차를 단순화시킬 필요도 있을 수 있고, 또는 역으로 숙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정상적인 연주절차보다 더욱 복잡한 조작에 의해 연주가 이루어지도록 악보를 복잡화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130).
예로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악보를 단순화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음표에서 옥타브를 없앰으로써 모든 음표들이 한 옥타브로 귀속되게 할 수도 있다(11a 및 11b의 'g' 참조). 또한, 음표에서 반음을 온음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11a 및 11b의 'e' 참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 곡의 악보(11a)를 새로운 형태의 전자악보(11b)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140). 그렇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전자악보(11b)가 사용자의 연주조작시 정확한 연주음을 재생하기 위한 원 곡 정보와, 단순화된 연주지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함께 지니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새로이 생성된 전자악보(11b)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음표의 배치 변경이나, 연주 대상이 되는 음표 삭제 등의 수정을 가할 수도 있다(150). 예컨대, 도 12에서와 같이, 편집기를 이용하여 음표를 삭제하여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원 곡 자체가 연주조작이 필요 없는 유휴 시간을 가지고 있는 경우나, 또는 위와 같은 배치변경이나 음표 삭제 등의 수정이 가해진 전자악보(11b) 등에서는, 필요에 따라 부가적으로 광고정보(즉, 특정 기업, 상품, 곡 등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목적의 문장, 이미지, 사운드 클립)를 삽입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광고정보와 함께 해당 광고정보의 표출시간에 대한 정보를 지정함으로써(160), 연주의 소스가 되는 VOS 파일에 포함시켜 놓아 그 유용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VOS 파일이 생성되는 것이다(17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21'은 입력장치, '22'는 화면표시장치, '23'은 가상 오케스트라 시스템(VOS)처리장치, '24'는 가상 오케스트라 시스템(VOS) 파일 공급장치, '25'는 미디 출력장치, 그리고 '26'은 스피커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시스템은,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VOS 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VOS 파일 공급장치(24)와, VOS 파일 중 해당 음악의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장치(22)와, 화면표시장치(22)에 표시된 전자악보의 각 음표에 대한 연주순서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연주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21)와, VOS 파일을 저장하고, VOS 파일 중 해당 음악을 연주할 악기에 대한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변환하여 화면표시장치(22)로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21)에 의해 연주조작된 지정 연주음과 해당 음악중 지정 연주음 이외의 배경 연주음을 출력하기 위한 VOS 처리 장치(23)와, VOS 처리장치(23)로부터 제공된 지정 연주음과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해당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미디 출력장치(25)와, 미디 출력장치(25)에 의해 연주되는 해당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6)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21)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키보드(Keyborad), 마우스(Mouse), 미디 악기(Midi Instrument), 조이패드(Joypad), 및 모의 악기(즉, 건반악기, 현악기, 타악기, 및 관악기 등) 등이 사용되며, 화면표시장치(22)에 표시된 전자악보의 각 음표에 대한 연주순서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연주조작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키보드는 PC상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장치이며, 마우스는 메인으로 입력하기에는 입력의 수가 다양하지 못하지만 키보드나 조이패드와 같이 보조 연주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다.
화면표시장치(22)는 VOS 파일을 사용자에게 전자악보 형태로 보여줄 수 있는 화면으로서, 모니터, 액정(LCD) 화면, 스크린(Screen), 텔레비젼(TV)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전자악보는 VOS 파일중 해당 음악의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악보이다.
VOS 처리장치(23)는 네트워크 운용체제(예컨대, 윈도우즈(Windows) NT 95/98 등), 셋탑 박스, 게임기, 노래방 기기 등을 이용하여 VOS 파일 공급장치(24)에서 공급되는 VOS 파일을 로드해서 저장하고, VOS 파일중 해당 음악의 연주할 악기에 대한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변환하여 화면표시장치(22)로 제공하며, 사용자 입력을 받아 처리하고, 미디 출력 메시지(즉,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21)에 의해 연주조작된 지정 연주음과 해당 음악중 지정 연주음이외의 배경 연주음)를 미디 출력장치(25)로 출력한다.
VOS 파일 공급장치(24)는 전산망(Network Line), 하드디스크(Hard Disk), 시디롬(CD-ROM) 등을 이용하여 연주에 필요한 VOS 파일을 공급해 주는 장치이다. 여기서, VOS 파일은 도 2 내지 도 6의 설명란에서 상세히 언급한 바와 같이, MIDI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별로 음표 분할 및 VOS 포맷으로의 변환과정 등을 통해 생성된 것이다. 한편, 이러한 VOS 파일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터미널에서 보유하고 있지 못한 경우에는, 외부의 다른 소스로부터 네트워크를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유무선 인터넷 환경과 같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로부터 공급받거나, 또는 셋탑박스를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수신 받아 이용할 수도 있다.
미디 출력장치(25)는 미디 모듈(Midi Module), 소프트웨어 미디(Software Midi), 주파수변조 신디사이저(FM Synthesizer) 등을 이용하여 VOS 처리장치(23)로부터 제공된 미디 출력 메시지(즉, 지정 연주음과 배경 연주음)를 합성하여 해당 음악을 연주한다.
이제, MIDI 파일 혹은 그에 상응하는 소스로부터 악기별로 편리하게 연주가능하게 변환된 VOS 파일을 이용하여, 인트라넷이나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각자 자기가 담당한 악기를 연주함으로써, 가상 오캐스트라 연주(합주)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VOS 파일은 해당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별로 음표를 분할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악기별로 피아노, 바이올린, 드럼, 트럼펫, 및 꽹과리 트랙 미디 메시지 등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분할 기능(VOS 파일 제작 기능)은 기존의 곡 혹은 창작곡을 연주하는데 사용된 악기별로 분할해서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MIDI 파일로부터 트랙(악기)별로 분리 및 변환처리 하면서 저장 편집하는 것이다.
한편, 연주 기능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S 파일이 일반적인 음악을 트랙별로 분할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서 전자악보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되므로, 이러한 전자악보의 순서에 따라 입력장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이들어왔을 때 VOS를 탑재한 단말기에서 그 입력에 해당되는 음표를 실시간으로 판단해서 미디 출력장치(25)로 미디 출력 메시지를 내보낸다.
여기서, 합주 기능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혼자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가 연주하는 음(즉, 지정 연주음)을, 그 외의 악기의 음(즉, 배경 연주음)은 시스템에서 연주하여 합주가 가능하게 한다. 만약, 여러 명이 합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사용자들은 전송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etrnet Protocol), 연동 패킷 교환(IPX : Interworking Packet Exchange)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각각 VOS 환경을 탑재한 단말기간에 상호 통신하고, VOS 환경을 구비한 단말기에는 각 악기를 연주하는 사용자가 있어서 서로 연주하는 음을 들을 수 있어, 이를 통해 가상 오케스트라 연주(합주)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9의 추상적인 연주환경을 실제 구현하여 보면 도 10과같다.
VOS를 탑재한 단말기로는 윈도우즈(Windows)나 리눅스 등의 운용환경을 갖춘 PC나, 노트북(Notebook)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로는 대부분 장착되어 있는 키보드나 키패드(즉, 옵션으로 7버튼 이상의 조이패드), 공지의 MIDI 악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미디 출력장치로는 다이렉트 뮤직(미디 모듈이 없는 일반 사용자를 위한 소프트 미디 시스템) 또는 고품질의 악기 사운드 폰트를 탑재하고 있어서 고품질의 음악을 내는 하드웨어인 미디 모듈(즉, 사운드 캔버스, FM 신디사이저 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제 VOS 연주 환경에서 단말기간의 통신은 네트워크 프로토콜(IPX, TCP/IP)을 이용하여 시스템간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시스템에서의 VOS 연주 방법 수행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주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로서, VOS 파일을 이용한 VOS 연주 절차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OS 연주 방법은, 먼저 현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악곡의 목록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장치(21)를 통해 연주할 곡을 선택받는다(601).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된 VOS 파일을 상기 VOS 파일 공급장치(24)로부터 제공받아 VOS 파일로부터 악기 연주 정보와 광고 정보를 읽어 들이고(602), 읽어들인 악기 연주 정보와 광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액세스가 충분히 빠른 메모리 등의 메인 기억 장치에 적재한다(603).
다음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곡을 구성하는 악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그중 하나의 악기를 선택받는다(604).
이어서, 사용자가 연주할 악기에 대한 전자악보를 화면표시장치(22)의 화면상에 표시한다(605). 이때, 곡의 길이는 한 화면에 보여주기에는 비교적 긴 경우가 많으므로 시간 진행에 따라 현재 연주해야 할 곳의 전자악보를 스크롤 해 보여준다. 이러한 전자악보의 표시 과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A 부분의 음표를 전자악보로 표현하면 B와 같이 변환되는 것이다.
이후에, 화면표시장치(22)에 표시된 전자악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장치(21)를 통해 연주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연주를 VOS 처리장치(23)에서 인식한다(606).
이후, VOS 처리장치(23)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키에 해당하는 음표(즉, 지정 연주음 미디 출력 메시지)를 미디 출력장치(25)로 출력하고(607), 사용자가 연주하지 않는 악기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음표(즉, 배경 연주음 미디 출력 메시지)를 미디 출력장치(25)로 출력한다(608). 이때, 단순화되지 않은 전자악보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제 미디 악기로 연주를 진행하고 있는 경우에 그 입력을 단순화 알고리즘을 거치지 않고 내보낸다. 한편, 단순화된 전자악보의 경우에는 현재 가장 근접한 음표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를 시작한지 100초(C)에 '도'키를 눌렀을 때 원 곡의 90초의 위치에 '5옥타브의 도'음(b)이 있고 원 곡의 105초의 위치에 '6옥타브의 도'음(a)이 있을 때, 사용자의 입력에 보다 가까운 105초의 위치에 있는 노트(a 음)를 연주할 음표로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미디 출력장치(25)에서 사용자가 연주한 악기의 음표(미디 출력 메시지)에 해당하는 음과, 사용자가 연주하지 않은 VOS 처리장치(23)에 의해 자동으로 연주된 악기의 음표에 해당하는 음을 실시간으로 믹싱하여 스피커(26)를 통해 출력한다(609). 이때, 사용자가 원 곡 표준에 비해 어느 정도의 정확도로 연주를 진행했는가에 대한 원 곡(9a)대비 연주된 곡(9b)의 달성도를 도 14와 같이 보여줄 수도 있다(610).
이상에서와 같이, 혼자 음악을 연주하는 경우에, 상기의 전자악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605), 사용자로부터의 연주입력 수신 단계(606), 선택한 악기의 지정 연주음 출력 단계(607), 연주하지 않은 악기의 지정 연주음 자동 출력 단계(608), 그리고 합주 처리 단계(609)는 연주가 끝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한편, 2명이 음악을 연주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의 지정 연주음과 제2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의 지정 연주음에 연주하지 않은 악기의 지정 연주음을 실시간으로 믹싱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에게 전산망을 통해 서로 연주하는 음을 들려줌으로써 오케스트라 합주가 가능하다. 또한, 여러 명이 음악을 연주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오케스트라 합주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미디 파일 혹은 그에 상응하는 소스로부터 실제 연주와 같이 악기별로 음표를 분할한 VOS 파일을 제작하고, 이러한 VOS 파일을 바탕으로 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른 다수의 사용자들과 함께 각자 자기가 담당한 악기를 연주해서 전체 음악을 합주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시하는 지정 연주음과 지정 연주음 이외의 음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배경 연주음의 연주조작에 대응한 연주효과를 중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악에 맞춘 적당한 연주조작 시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지시하므로, 음악연주가 뛰어난 사용자에 한정하지 않고 실제 악기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일반인도 쉽게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며, 연주시 연주 타이밍뿐만 아니라 입력키의 추가/삭제를 통해 난이도를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더욱이 스크래치 효과음 발생 등과 같은 높은 연주효과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지시된 연주조작과 사용자에 조작에 따른 연주조작에 의거하여 연주조작이 평가되어 그 결과가 사용자에게 피드백 되므로, 단순히 연주를 즐기는 차원을 떠나, 보다 높은 평가를 요청하여 게임을 진행한다는 경기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뿐만 아니라, 노래방, 게임방, 오락실, 및 디지털 위성 방송망 등에서 혼자 또는 여러 명이 음악을 연주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노래방 적용예를 살펴보면, 단말기로는 VOS가 탑재된 노래방(Karaoke) 시스템을 이용하고, 입력기로는 10개 내외의 버튼이 장착된 노래방용 VOS 제어기(바람직하게는 모의 악기(건반악기, 현악기, 타악기, 및 관악기 등))를 사용할 수도 있고, 편의에 따라 달리 정할 수도 있다. 출력기로는 큰 변경 없이도 현재 노래방에 있는 출력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은 하나의 노래방 내에서 기기들 간의 네트워킹이 이루어져 있으면 된다.
한편, 게임방에서는 게임방의 각 단말기에 VOS를 설치하여 각 단말기에서 음악을 선택하여 혼자 또는 여러 명이 연주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오락실에서는 코인을 주입하면 선택된 음악을 주어진 악기로 손 또는 발로 연주하며, 결과에 따라 지속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디지털 위성 방송기기를 이용한 VOS를 살펴보면, 셋탑박스에 VOS 재생기를 내장하고, 곡은 디지털 위성으로 서비스하여 텔레비젼의 브라운관에 표시되는 전자악보를 연주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혼자 또는 여러 명이 각각의 악기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현되는 전자악보를 보면서 음악을 연주함에 있어서 특정한 악기를 오랜 기간의 연습 없이 쉽게 연주하도록 음악의 연주 방식을 단순화시킴을 가정하였으나, 연주시 2 내지 5 옥타브까지 포함해서 연주할 수 있도록 키보드 입력방식을 복잡하게 하여 난이도의 광범위한 변형이 가능한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동일한 구현 방법으로 보아야 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미디 악기는 연주했을 때 소리를 직접 내지 않고 미디 신호를 내보내므로 이를 이용하면 미디 악기를 직접 활용해서 연주하고 곡의 실제 악보와 그 정확성, 음악성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미디 악기를 입력 기구로 활용하는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방식을 손으로 뿐만 아니라 발로도 구현할 수도 있으며, 또한, 노래방, 게임방, 오락실 등에서 사용되는 악기를 악기별로 그 악기의 모양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우선적으로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는 MIDI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VOS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어떠한 종류의 악기든 편리하게 연주할 수 있고, 또한 혼자뿐만이 아니고 다수가 채팅 등의 방법을 통하여 동호인끼리 용이하게 합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제 악기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일반인도 쉽게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며, 값비싼 악기, 스튜디오 등과 같은 설비를 갖춘 별도의 공간 없이도인트라넷이나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각자 자기가 담당한 악기를 연주하여 마치 여러 사람이 밴드를 조직해서 합주하듯한 가상 오케스트라 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7)

  1. 컴퓨팅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음악파일 제공수단;
    상기 음악파일 중 해당 음악을 연주할 악기에 대한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표시하기 위한 악보표시수단;
    상기 악보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전자악보의 각 음표에 대한 연주순서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연주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주조작 입력수단;
    상기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음악파일 중 상기 해당 음악의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상기 전자악보로 변환하여 상기 악보표시수단으로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주조작 입력수단에 의해 연주조작된 지정 연주음과 지정 연주음 이외의 배경 연주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악처리수단;
    상기 음악처리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지정 연주음과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음악연주수단; 및
    상기 음악연주수단에 의해 연주되는 상기 해당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음악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처리수단은,
    상기 해당 음악을 악기(트랙)별로 분할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전자악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악보표시수단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한명이 경우에는 상기 전자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지정하는 지정 연주음과 그외의 배경 연주음을 미디 출력 메시지 형태로 상기 음악연주수단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악보를 보고 다수의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 연주음과 그외의 배경 연주음을 미디 출력 메시지 형태로 상기 음악연주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연주수단은,
    사용자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음악처리수단으로부터 제공된 하나의 지정 연주음과 하나의 지정 연주음을 제외한 나머지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하고,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상기 음악처리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다수의 지정 연주음과 다수의 지정 연주음을 제외한 나머지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오케스트라 합주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악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해당 음악에 대해 사용자의 연주순서를 시간진행에 따라 현재 연주해야 할 곳의 상기 전자악보를 스크롤 해 시각적으로 지시하고, 악기별로 키 입력의 난이도를 조정한 디지털 전자악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악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해당 음악에 대해 사용자의 연주순서를 시간진행에 따라 현재 연주해야 할 곳의 상기 전자악보를 스크롤 해 시각적으로 지시하고, 악기별로 키 입력의 난이도를 쉽게 하기 위해 음표에서 옥타브를 없애 모든 음표들을 한 옥타브로 귀속시키고 음표에서 반음을 온음으로 전이시킨 7개의 음표로 분할된 디지털 전자악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악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해당 음악에 대해 사용자의 연주순서를 시간진행에 따라 현재 연주해야 할 곳의 상기 전자악보를 스크롤 해 시각적으로 지시하고, 악기별로 키 입력의 난이도를 어렵게 하기 위해 입력키를 다수개로 하여 연주시 2 내지 5 옥타브로 연주할 수 있는 디지털 전자악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주조작 입력수단은,
    상기 악보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전자악보의 각 음표에 대한 연주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손이나 발로 입력한 연주조작을 상기 음악처리수단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상용화된 공지의 통신망, 노래방, 게임방, 오락실, 및 디지털 위성 방송망에 구비된 컴퓨팅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음악은,
    기존곡이나 새로운 창작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10. 컴퓨팅 시스템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음악을 연주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해당 음악과 연주할 악기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음악파일 중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할 악기에 대한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전자악보에 따라, 사용자가 연주조작한 지정 연주음과 상기 해당 음악중 지정 연주음 이외의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악 연주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사용자가 한명이 경우에는 상기 전자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지정하는 지정 연주음과 그외의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하고,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상기 전자악보를 보고 다수의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 연주음과 그외의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하여 오케스트라 합주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곡 메시지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오기 위해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델타 시간(Time)으로 기재되어 있는 상기 미디 파일로부터 절대시간으로 수정하는 시변환 작업과 악기와 연관된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분할 작업하는 제 6 단계;
    상기 악기를 쉽게 연주하도록, 상기 해당 음악의 연주 방식을 단순화시켜 상기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전자악보에서 음표의 배치 변경, 연주 대상이 되는 음표를 삭제하여 난이도를 조정하여 상기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악 연주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 수행 후에, 상기 난이도가 조정된 상기 전자악보에 부가 광고 정보(즉, 특정 기업, 상품, 곡 등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목적의 광고 문장, 이미지, 사운드 클립)를 삽입하고 각 부가 정보를 언제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시간을 지정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악 연주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의 상기 해당 음악의 연주 방식을 단순화시키는 과정은,
    음표에서 옥타브를 없애 모든 음표들이 한 옥타브로 귀속되게 하고, 음표에서 반음을 온음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악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해당 음악에 대해 사용자의 연주순서를 시간진행에 따라 현재 연주해야 할 곳의 상기 전자악보를 스크롤해 시각적으로 지시하고, 악기별로 키 입력의 난이도를 조정한 디지털 전자악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악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해당 음악에 대해 사용자의 연주순서를 시간진행에 따라 현재 연주해야 할 곳의 상기 전자악보를 스크롤해 시각적으로 지시하고, 악기별로 키 입력의 난이도를 쉽게 하기 위해 음표에서 옥타브를 없애 모든 음표들을 한 옥타브로 귀속시키고 음표에서 반음을 온음으로 전이시킨 7개의 음표로 분할된 디지털 전자악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악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해당 음악에 대해 사용자의 연주순서를 시간진행에 따라 현재 연주해야 할 곳의 상기 전자악보를 스크롤해 시각적으로 지시하고, 악기별로 키 입력의 난이도를 어렵게 하기 위해 입력키를 다수개로 하여 연주시 2~3 옥타브까지 포함해서 연주할 수 있는 디지털 전자악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상용되는 통신망, 노래방, 게임방, 오락실, 디지털 위성 방송망에 구비되는 컴퓨팅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음악은,
    실질적으로, 기존의 곡이나 새로운 창작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시스템.
  20.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델타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는 상기 미디 메시지들의 시간 정보를 절대시간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사용자가 연주할 노트 메시지들을 구성하여 VOS 파일을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 메시지들은,
    콘트롤 메시지, 연주 메시지, 및 악기 설정 메시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악기를 쉽게 연주하도록, 해당 음악의 연주 방식을 단순화시켜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제 1 과정; 및
    상기 제 1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전자악보에서 음표의 배치 변경, 연주 대상이 되는 음표를 삭제하고 난이도를 조정하여, 각 해당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제 2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난이도가 조정된 상기 전자악보에 곡에 대한 관련 부가 정보(즉, 특정기업, 상품, 곡 등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목적의 광고 문장, 이미지, 사운드 클립)를 삽입하고 각 부가 정보를 언제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시간을 지정하는 제 3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24.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 파일로 변환하는 장치에,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기능;
    델타시간으로 정의되어 있는 상기 미디 메시지들의 시간 정보를 절대시간으로 변환하는 제 2 기능; 및
    사용자가 연주할 노트 메시지들을 구성하여 VOS 파일을 생성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5. 프로세서를 구비한 악기별로 음표를 분할 및 저장하는 장치에,
    미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곡 메시지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오기 위해 미디 메시지들을 타입별로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 기능;
    델타 시간(Time)으로 기재되어 있는 상기 미디 파일로부터 절대시간으로 수정하는 시변환 작업과 악기와 연관된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분할 작업하는 제 2 기능;
    상기 악기를 쉽게 연주하도록, 해당 음악의 연주 방식을 단순화시켜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에서 생성된 상기 전자악보에서 음표의 배치 변경, 연주 대상이 되는 음표를 삭제하고 난이도를 조정하여, 각 해당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 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난이도가 조정된 상기 전자악보에 관련 부가 정보(즉, 특정 기업, 상품, 곡 등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목적의 광고 문장, 이미지, 사운드 클립)를 삽입하고 각 부가 정보를 언제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시간을 지정하는 제 5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7. 프로세서를 구비한 음악 연주 장치에,
    상기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의 연주순서와 악기(트랙)별로 음표가 분할되어,악기별로 타이밍에 따라 연주할 음을 나타내는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상기 음악을 연주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해당 음악과 연주할 악기를 입력받는 기능;
    상기 음악파일중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할 악기에 대한 각 음표를 연주순서를 나타낸 전자악보로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 및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전자악보에 따라, 사용자가 연주조작한 지정 연주음과 상기 해당 음악중 지정 연주음 이외의 배경 연주음을 합성하여 상기 해당 음악을 연주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54501A 1999-09-16 2000-09-16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KR100320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501A KR100320036B1 (ko) 1999-09-16 2000-09-16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39854 1999-09-16
KR1019990039854 1999-09-16
KR1020000054501A KR100320036B1 (ko) 1999-09-16 2000-09-16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009A KR20010016009A (ko) 2001-03-05
KR100320036B1 true KR100320036B1 (ko) 2002-01-09

Family

ID=2663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501A KR100320036B1 (ko) 1999-09-16 2000-09-16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0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456B1 (ko) * 2012-12-17 2014-08-12 조성일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KR20150024667A (ko) * 2013-08-2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악기 연주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75B1 (ko) * 1999-12-20 2008-04-07 (주)피앤아이비 네트워크 기반의 음악연주/노래반주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기록매체
AU2002221181A1 (en) * 2000-12-05 2002-06-18 Amusetec Co. Ltd. Method for analyzing music using sounds of instruments
KR100757399B1 (ko) * 2001-03-27 2007-09-11 (주)한슬소프트 네트워크 기반의 음악연주/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을이용한 스타 육성 서비스 방법
KR20020089665A (ko) * 2001-05-24 2002-11-30 홍승천 네트워크를 이용한 합주연주 연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24277A (ko) * 2002-02-20 2002-03-29 김정민 분할단위별 이동이 자유로운 디지털 음악파일 제작 방법
KR20020051896A (ko) * 2002-03-05 2002-06-29 황명옥 이조악보 표시용 반주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92774A (ko) * 2002-05-31 2003-12-06 주식회사 훈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기반의 합주 및 편집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100659767B1 (ko) * 2004-08-17 2006-12-20 (주)케이피비오상사 어쿠스틱/일렉트릭 기타의 자동연주 및 녹음 장치
IL165817A0 (en) 2004-12-16 2006-01-15 Samsung Electronics U K Ltd Electronic music on hand portable and communication enabled devices
WO2006083066A1 (en) * 2005-02-07 2006-08-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generating metadata for symbolic music of traditional music, and apparatus for coding/decoding multimedia data using the same
KR101672678B1 (ko) 2016-06-01 2016-11-03 서삼천 둘레길 관광 안내 시스템
KR102612572B1 (ko) * 2023-07-20 2023-12-11 주식회사 포자랩스 인공 지능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생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456B1 (ko) * 2012-12-17 2014-08-12 조성일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KR20150024667A (ko) * 2013-08-2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악기 연주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12048B1 (ko) 2013-08-27 2020-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악기 연주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009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995B2 (en) Network based music playing/song accompany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JP2003509729A (ja) ディジタル音楽ファイルに基づいて楽器を演奏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8516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reation and playback of animated, interpretive, musical notation and audio synchronized with the recorded performance of an original artist
KR100320036B1 (ko)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KR100819775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음악연주/노래반주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기록매체
JPH0744183A (ja) カラオケ演奏装置
KR100457052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반주/음악연주 서비스 장치 및그 방법
JP4211388B2 (ja) カラオケ装置
JPH06110480A (ja) カラオケ装置
KR100757399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음악연주/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을이용한 스타 육성 서비스 방법
JP2006126710A (ja) 奏法決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10171477A (ja) 楽音再生装置
JP5969421B2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CN113096622A (zh) 显示方法、电子设备、演奏数据显示系统及存储介质
JPH0728462A (ja) 自動演奏装置
JP2002108375A (ja) カラオケ曲データ変換装置及びカラオケ曲データ変換方法
KR200277666Y1 (ko) 이조악보 표시용 반주 시스템
JP2001100771A (ja) カラオケ装置
JP3418168B2 (ja) カラオケ装置
Tomczak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rface framework in chipmusic: theoretical context, case studies and creative outcomes
JP2002041070A (ja) イントロ当てゲーム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3565065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0029482A (ja) カラオケ装置
JP2000122672A (ja) カラオケ装置
JP2004354803A (ja) 音楽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