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456B1 -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456B1
KR101428456B1 KR1020120147265A KR20120147265A KR101428456B1 KR 101428456 B1 KR101428456 B1 KR 101428456B1 KR 1020120147265 A KR1020120147265 A KR 1020120147265A KR 20120147265 A KR20120147265 A KR 20120147265A KR 101428456 B1 KR101428456 B1 KR 10142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al
score
level
musical instrume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195A (ko
Inventor
조성일
Original Assignee
조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일 filed Critical 조성일
Priority to KR102012014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4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3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합주곡 악보 중 특정 악기파트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연주자의 수준에 따라 악기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는, 수신된 레벨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대응하는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이용하여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며, 상기 합주곡 악보에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악보제공모듈, 상기 합주곡 악보와 관련된 미디형태의 합주곡 중 상기 악기파트의 미디를 제거하고, 상기 악기파트의 미디가 제거된 합주곡을 스피커로 전달하는 사운드제공모듈 및 상기 악기로부터 연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주정보와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비교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연주체크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Apparatus for user customized instrument educ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주곡 악보 중 특정 악기파트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제공하고 연주시점이 빠른지 느린지를 알려주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보라는 것은 음악의 곡조를 일정한 기호를 써서 기록한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은 각자 자신의 악기파트에 대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를 하게 된다.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악기들 동시에 연주하는 합주곡의 경우 다른 악기들의 악보와 자신의 악기의 악보를 함께 보면서 서로 연주 타이밍을 일치시켜 연주하여야 한다.
연주를 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악기의 기본부터 배우면서 이를 응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악기를 배우기 위하여는 강사에게 레슨을 받거나 독학으로 연주를 배우기도 한다. 그러나, 강사에게 레슨을 받기 위하여는 규칙적으로 교습시간을 내야하고 비용이 비싸며 기초적인 패턴을 익히는데 오랜 시간을 걸리므로 쉽게 지겨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독학을 하는 경우에는 무엇부터 연습을 해야 할지 모르고 자신의 현재 실력을 알 수 없어 실력보다 어려운 연습을 하거나 실력보다 쉬운 연습을 반복해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슨을 받거나 독학을 하여 기본적인 연주능력을 갖춘 경우에도, 다른 사람들과 합주를 하기 위하여는 오랜 적응기간이 필요한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0036호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이, 기존의 음악파일에서 특정 악기연주를 제외하고 나머지 악기들의 연주소리만 들을 수 있는 방법은 현재 공개되어 있다. 즉, 합주곡에서 자신이 연습하고자 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소리를 들으면서 연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나와있으나, 이 경우 나머지 악기들의 연주소리를 들으면서 원곡의 악보를 보고 연주를 하여야 하므로 프로연주자 정도의 수준에 오르기 전까지는 합주곡 중 특정 악기가 제외된 소리를 들으면서 연습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연주자의 연주시점과 실제 연주시점의 일치와 불일치 여부만을 알려주었으므로, 정확한 시점에 연주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주시점이 빨랐는지 느렸는지를 알 수 없어 연주자가 빠르게 연주했는지 느리게 연주했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합주곡 악보 중 특정 악기파트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실력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하면서 악기연주방법을 배우고 합주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으며, 연주시점이 빨랐는지 느렸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주곡 악보 중 특정 악기파트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연주자의 수준에 따라 악기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는, 수신된 레벨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대응하는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이용하여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며, 상기 합주곡 악보에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악보제공모듈, 상기 합주곡 악보와 관련된 미디형태의 합주곡 중 상기 악기파트의 미디를 제거하고, 상기 악기파트의 미디가 제거된 합주곡을 스피커로 전달하는 사운드제공모듈 및 상기 악기로부터 연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주정보와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비교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연주체크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악보제공모듈은,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기 레벨 또는 상기 패턴을 지정하는 상기 레벨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레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대응하는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고, 상기 합주곡 악보에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악보변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악보변환부는, 상기 선택된 패턴이 상기 합주곡의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되는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선택된 복수의 패턴들을 혼합하여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합주곡 악보가 복수 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합주곡을 지정하는 악보선택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수신된 악보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합주곡 악보들 중 하나의 합주곡 악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합주곡들의 정보,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들의 정보 및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별 패턴들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합주곡 악보들 각각에 매칭되는 상기 악기파트의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악보선택신호를 상기 레벨신호보다 먼저 수신한 경우, 상기 악보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합주곡 악보와 매칭되어 있는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별 패턴들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레벨신호를 상기 악보선택신호보다 먼저 수신한 경우, 상기 레벨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과 매칭되어 있는 상기 합주곡들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벨신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직접적으로 지정하는 신호이거나 상기 레벨만을 지정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악기파트는 패턴형태의 연주기법으로 연주 가능한 악기파트일 수 있다.
상기 연주체크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현재 시점에 연주해야할 부분을 상기 레벨조절악보에 표시하는 연주안내부, 상기 악기로부터 수신된 연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과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동일한 시점에 연주되어야 할 음표를 비교하는 타이밍비교부 및 상기 비교결과,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전인지 이후인지 일치하였는지를 구별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결과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주체크모듈은, 상기 합주곡의 연주시작시점부터 연주종료시점까지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전인 경우,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후인 경우 및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과 일치하는 경우 각각에 대한 통계를 내어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통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는 합주곡 악보 중 특정 악기파트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악기 연주자가 자신의 현재 수준에 맞는 연주를 하면서 연주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는 특정 악기파트가 제외된 합주곡의 연주를 들으면서 특정 악기파트의 난이도가 조절된 악보를 보고 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합주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면서 재미있게 연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는 연주자의 연주시점이 실제로 연주되어야 할 연주시점과 다른 경우 빠른지 느린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주자의 연주타이밍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악보제공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데이터베이스에 합주곡의 구성에 따라 상기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제 합주곡 악보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악보제공모듈에서 도 5의 악보를 변환한 사용자 맞춤형 악보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악보제공모듈에서 도 5의 악보를 변환한 사용자 맞춤형 악보의 다른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1의 연주체크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9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합주곡 악보 중 특정 악기파트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연주자의 수준에 따라 악기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100)는 악보제공모듈(110), 사운드제공모듈(120) 연주체크모듈(130)을 구비할 수 있다.
악보제공모듈(110)은 수신된 레벨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대응하는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이용하여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악보제공모듈(110)은 상기 합주곡 악보에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하여 단말기(1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악보제공모듈(110)은 상기 합주곡을 지정하는 악보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악보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합주곡 악보들 중 하나의 합주곡 악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악보제공모듈(110)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운드제공모듈(120)은 상기 합주곡 악보와 관련된 미디형태의 합주곡 중 상기 악기파트의 미디를 제거하고, 상기 악기파트의 미디가 제거된 합주곡을 스피커(15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합주곡이 기타, 피아노, 드럼으로 합주를 하는 합주곡이고 상기 악기파트가 드럼인 경우, 사운드제공모듈(120)은 미디형태의 상기 합주곡 원곡에서 드럼파트의 미디를 제거하여 기타와 피아노만 합주하는 미디형태의 합주곡을 스피커(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파트 미디가 제거된 합주곡이 스피커(150)를 통하여 나오게 되므로, 연주자는 스피커(150)를 통해 나오는 합주곡을 들으면서 자신이 드럼을 연주하여 완성된 형태의 합주곡을 연주할 수 있다.
연주체크모듈(130)은 상기 악기로부터 연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주정보와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비교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과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연주체크모듈(130)에 대하여는 도 8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악보제공모듈(1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악보제공모듈(110)은 수신부(210), 선택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악보변환부(240)를 구비할 수 있고, 정보제공부(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렉트릭기타, 키보드, 드럼 및 베이스기타로 합주를 하는 합주곡에서 드럼파트의 난이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상기 드럼파트에 관한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벨은 난이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제 1 레벨은 초급자 수준, 제 2 레벨은 중급자 수준, 제 3 레벨은 고급자 수준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악기파트는 패턴형태의 연주기법으로 연주 가능한 악기파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패턴단위로 연주하는 드럼, 베이스기타, 일렉트릭기타, 키보드 등의 파트가 상기 악기파트가 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레벨 또는 패턴을 지정하는 레벨신호(LS)를 수신할 수 있다. 레벨신호(LS)는 상기 레벨만을 지정하는 신호일 수도 있고, 데이터베이스(230)에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지정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벨신호(LS)는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을 제 1 레벨 내지 제 3 레벨 중 제 2 레벨로 할 것으로 지정하는 신호일 수도 있고, 상기 제 1 레벨의 제 1 내지 제 5 패턴 중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을 지정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수신부(210)는 단말기(140) 또는 별도의 입력수단으로부터 레벨신호(LS)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부(220)는 상기 수신된 레벨신호(LS)에 응답하여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30)에서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신호(LS)가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지정하는 경우, 선택부(220)는 레벨신호(LS)에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레벨신호(LS)가 상기 레벨만을 지정하는 경우, 선택부(220)는 레벨신호(LS)에서 지정한 레벨의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부(220)는 레벨신호(LS)에서 지정한 레벨의 패턴들 중 랜덤하게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거나 순차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악보변환부(240)는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악보파트에 관한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부(220)에서 하나의 패턴을 선택한 경우, 악보변환부(240)는 상기 선택된 패턴이 상기 합주곡의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되는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패턴에 대하여 반복적인 연습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상기 합주곡의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패턴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부(220)에서 복수의 패턴들을 선택한 경우, 악보변환부(240)는 상기 선택된 패턴들을 혼합하여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부(220)에서 제 1 패턴과 제 3 패턴이 선택된 경우, 악보변환부(240)는 제 1 패턴을 3번 반복하고 제 3 패턴을 2번 반복하는 것을 일정구간에서 반복하다가 다음 일정구간에서는 3번 반복되는 제 3 패턴 이후에 제 1 패턴이 1번씩 들어가게 하는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악보변환부(240)는 상기 선택된 패턴들 각각의 반복과 혼합을 통하여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악보변환부(240)는 상기 합주곡 악보에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할 수 있다. 즉, 악보변환부(240)는 실제 합주곡 악보에서 상기 레벨조절악보에 대응하는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예를 들어, 상기 악기파트가 베이스기타인 경우 상기 실제 합주곡 악보 중 베이스기타파트의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가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된 악보인 사용자 맞춤형 악보(REVM)를 악보변환부(240)가 연주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연주자는 자신의 실력에 맞춘 악보를 보면서 합주연습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악보(REVM)는 단말기(14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인쇄물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합주곡이 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맞춤형 악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합주곡들 중 사용자가 합주곡을 선택하는 경우의 사용자 맞춤형 악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레벨별 패턴들과 더불어 상기 합주곡 악보가 복수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230)에는 복수의 합주곡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210)는 상기 합주곡을 지정하는 악보선택신호(MS)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악보선택신호(MS)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합주곡들 중 하나의 합주곡을 지정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30)에 A, B, C, D라는 합주곡들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악보선택신호(MS)는 B 합주곡을 지정하는 신호일 수 있다. 선택부(220)는 상기 수신된 악보선택신호(MS)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합주곡 악보들 중 하나의 악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악보변환부(240)는 상기 선택된 합주곡 악보 중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250)는 이상에 설명한 것과 같이 레벨신호(LS) 또는 악보선택신호(MS)를 수신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합주곡들의 정보,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들의 정보 및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별 패턴들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40)는 컴퓨터, 전용단말기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14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합주곡을 선택하거나 상기 레벨을 선택하거나 상기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단말기(14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합주곡이 선택된 경우 수신부(210)에는 악보선택신호(MS)가 수신될 수 있고, 단말기(14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레벨 또는 상기 패턴이 선택된 경우 수신부(210)에는 레벨신호(LS)가 수신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상기 합주곡 악보들 각각에 매칭되는 상기 악기파트의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30)에 A, B라는 상기 합주곡 악보들이 저장되어 있고, 제 1 레벨과 관련하여 제 1 내지 제 3 패턴이 저장되어 있으며, 제 2 레벨과 관련하여 제 4 내지 제 6 패턴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A 합주곡과 매칭되는 패턴은 제 1 패턴, 제 3 패턴 내지 제 5 패턴이고, B 합주곡과 매칭되는 패턴은 제 2 패턴, 제 5 패턴 및 제 6 패턴이라고 하면, 이와 같은 매칭관계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합주곡과 패턴이 매칭된다는 것은 상기 합주곡 중 상기 악기파트에 쉬운 패턴을 반복하여 연주하여도 상기 합주곡의 원곡과 잘 어울리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30)에 상기 합주곡 악보들 각각에 매칭되는 상기 악기파트의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수신부(210)에 어떤 신호가 먼저 수신되는지에 따라 정보제공부(250)가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수신부(210)에서 악보선택신호(MS)를 레벨신호(LS)보다 먼저 수신한 경우, 악보선택신호(MS)에 대응하는 합주곡 악보와 매칭되어 있는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별 패턴들 정보를 단말기(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합주곡과 패턴들이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A 합주곡을 먼저 선택하면 정보제공부(250)는 상기 선택된 A 합주곡과 매칭되는 상기 제 1 패턴, 상기 제 3 패턴 내지 제 5 패턴을 단말기(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10)에서 레벨신호(LS)를 악보선택신호(MS)보다 먼저 수신한 경우, 레벨신호(LS)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과 매칭되어 있는 상기 합주곡들 정보를 단말기(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합주곡과 패턴들이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 1 패턴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A 합주곡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 5 패턴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 5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A 합주곡 및 상기 B 합주곡을 단말기(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상기 합주곡의 구성에 따라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합주곡이 인트로(intro), 버스(verse), 브릿지(bridge), 사비(sabi), 필인(fill-in), 아웃트로(outro)로 구성된 경우, 이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대한 상기 악기파트의 패턴들이 레벨별로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합주곡의 구성이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합주곡의 구성을 명확하게 나누기 어려운 경우, 크게 리듬구성과 필인구성으로 나누는 것과 같이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합주곡의 구성을 나눌 수 있다.
이 경우, 악보변환부(240)는 상기 합주곡 악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서 구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으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구성별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을 이용하여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베이스(230)에 상기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데이터베이스(230)에 합주곡의 구성에 따라 상기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제 1 레벨과 관련된 제 1 패턴(310) 및 제 2 패턴(320)이 저장되고, 제 2 레벨과 관련된 제 3 패턴(330) 및 제 4 패턴(340)이 저장되며, 제 3 레벨과 관련된 제 5 패턴(350) 및 제 6 패턴(360)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리듬구성과 필인구성으로 구분되어, 상기 리듬구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제 1 레벨의 제 1 패턴(310), 상기 제 2 레벨의 제 3 패턴(330) 및 상기 제 3 레벨의 제 5 패턴(350)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고, 상기 필인구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제 1 레벨의 제 2 패턴(320), 상기 제 2 레벨의 제 4 패턴(340) 및 상기 제 3 레벨의 제 6 패턴(360)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실제 합주곡 악보(500)이고,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악보제공모듈(110)에서 도 5의 악보를 변환한 사용자 맞춤형 악보(600)의 일 실시예이며,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악보제공모듈(110)에서 도 5의 악보를 변환한 사용자 맞춤형 악보(700)의 다른 일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악기파트가 드럼(Drumms)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악보제공모듈(110)을 이용하지 않은 상태의 도 5의 실제 합주곡 악보를 보면, 드럼파트(510)의 연주 난이도가 높아 실제 합주곡에서 드럼부분을 제외한 연주음악을 들으면서 거기에 맞춰 드럼파트(510)를 연주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도 5와 같이 난이도가 높던 드럼파트가 사용자 원하는 정도의 난이도로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합주를 하는 느낌으로 드럼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사용자 맞춤형 악보(600)의 경우는 사용자가 도 3 또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제 3 레벨의 제 5 패턴(350)만을 선택한 경우이다. 즉, 제 5 패턴(350)을 지정하고 있는 레벨신호(LV)가 수신부(210)에 수신된 경우, 선택부(220)는 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제 5 패턴(35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악보변환부(240)는 제 5 패턴(350)이 반복되는 레벨조절악보(610)를 생성하여, 실제 합주곡(510) 악보의 드럼파트(510)를 레벨조절악보(610)로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의 드럼파트(510)는 도 6의 드럼파트(610)와 같이 난이도가 조절되므로, 연주자는 제 5 패턴(350)을 연습할 수 있고 실제 합주곡에서 드럼부분을 제외한 연주음악을 들으면서 연습하는 경우 합주하는 느낌으로 드럼연습을 할 수 있다.
도 7의 사용자 맞춤형 악보(600)의 경우는 사용자가 도 3 또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제 3 레벨의 제 5 패턴(350) 및 제 6 패턴(360)을 선택한 경우이다. 즉, 제 5 패턴(350) 및 제 6 패턴(360)을 지정하고 있는 레벨신호(LV)가 수신부(210)에 수신된 경우, 선택부(220)는 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제 5 패턴(350) 및 제 6 패턴(36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악보변환부(240)는 제 5 패턴(350) 및 제 6 패턴(360)을 혼합하여 레벨조절악보(710)를 생성하며, 실제 합주곡(510) 악보의 드럼파트(510)를 레벨조절악보(710)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드럼파트(510)는 도 7의 드럼파트(710)와 같이 난이도가 조절이 되므로, 연주자는 제 5 패턴(350) 및 제 6 패턴(360)을 혼합하여 연습할 수 있고 실제 합주곡에서 드럼부분을 제외한 연주음악을 들으면서 연습하는 경우 합주하는 느낌으로 드럼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드럼파트(710)는 도 6의 드럼파트(610)에 비하여는 난이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용자가 도 6의 드럼파트(610)에 대하여 충분하게 연습한 경우 도 7과 같이 패턴이 혼합된 드럼파트(710)를 연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추어 악기연습을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연주체크모듈(13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고, 도 9는 단말기(14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단말기(14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연주체크모듈(130)은 연주안내부(810), 타이밍비교부(820) 및 결과표시부(830)를 구비할 수 있고, 통계부(8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주안내부(810)는 단말기(140)에 표시되는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현재 시점에 연주해야 할 부분(GD)을 상기 레벨조절악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연주안내부(810)는 단말기(140)에 표시되는 상기 레벨조절악보에 현재 연주해야 할 부분(GD)을 일정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바(910) 형태로 현재 시점에 연주해야 할 부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 9의 경우 바(91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연주자는 바(910)가 위치하는 음표에 대응하는 연주를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현재 시점에 연주해야 할 부분을 알려줄 수 있다.
타이밍비교부(820)는 상기 악기로부터 수신된 연주정보(PL)를 이용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과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동일한 시점에 연주되어야 할 음표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바(91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타이밍비교부(820)는 바(910)가 해당 음표에 위치하는 시점과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을 비교할 수 있다.
결과표시부(830)는 타이밍비교부(820)의 비교결과,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전인지 이후인지 일치하였는지를 구별하여 그 결과(RS)를 단말기(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경우,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전인 경우, 즉,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연주되어야 할 시점보다 빠른 경우 결과표시부(830)는 파란색 X 표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후인 경우, 즉,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연주되어야 할 시점보다 느린 경우 결과표시부(830)는 빨간색 X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과 일치하는 경우, 결과표시부(830)는 녹색 O 표시를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도 10의 실시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빠른지 느린지 일치하는지를 표현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계부(840)는 상기 합주곡의 연주시작시점부터 연주종료시점까지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전인 경우,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후인 경우 및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과 일치하는 경우 각각에 대한 통계(ST)를 내어 단말기(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합주곡의 연주를 처음부터 끝까지 마친 경우, 도 9의 좌측 하단에 표시된 Fast, Great, Slow, Miss에 각각에 해당하는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서 Fast에 표시되는 숫자는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빠르게 연주했던 횟수이고, Slow에 표시되는 숫자는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느리게 연주했던 횟수일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Great에 표시되는 숫자는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과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이 일치한 횟수이고, Miss에 표시되는 숫자는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에 상기 악기를 연주하지 못한 횟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도 9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경우에 대한 통계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를 이용하여 연주를 하거나 악기를 배우는 경우, 자신의 수준에 맞춰서 생성되는 악보를 보면서 연주를 할 수 있고 연주하려는 악기파트가 제외된 합주곡을 들으면서 자신의 수준에 맞는 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재미있게 연습하면서 연주실력과 합주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연주를 하는 동안 각 음표와 관련하여 연주가 빠른지 느린지 정확한지를 알려주고 연주가 끝난 경우 연주 타이밍의 정확도에 대한 통계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연주자의 연주와 관련된 세밀하고 정확한 피드백(feed back)을 줄 수 있고 연주자는 이런 결과를 통하여 자신의 연주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합주곡 악보 중 패턴형태의 연주기법으로 연주 가능한 특정 악기파트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연주자의 수준에 따라 악기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레벨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대응하는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이용하여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며, 상기 합주곡 악보에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악보제공모듈;
    상기 합주곡 악보와 관련된 미디형태의 합주곡 중 상기 악기파트의 미디를 제거하고, 상기 악기파트의 미디가 제거된 합주곡을 스피커로 전달하는 사운드제공모듈; 및
    상기 악기로부터 연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주정보와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비교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연주체크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악보제공모듈은,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기 레벨 또는 상기 패턴을 지정하는 상기 레벨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레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대응하는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고, 상기 합주곡 악보에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악보를 상기 레벨조절악보로 대체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악보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변환부는,
    상기 선택된 패턴이 상기 합주곡의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되는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선택된 복수의 패턴들을 혼합하여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합주곡 악보가 복수 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합주곡을 지정하는 악보선택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수신된 악보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합주곡 악보들 중 하나의 합주곡 악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합주곡들의 정보,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들의 정보 및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별 패턴들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합주곡 악보들 각각에 매칭되는 상기 악기파트의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악보선택신호를 상기 레벨신호보다 먼저 수신한 경우, 상기 악보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합주곡 악보와 매칭되어 있는 상기 악기파트의 레벨별 패턴들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레벨신호를 상기 악보선택신호보다 먼저 수신한 경우, 상기 레벨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과 매칭되어 있는 상기 합주곡들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인트로(intro), 버스(verse), 브릿지(bridge), 사비(sabi), 필인(fill-in), 아웃트로(outro)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대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이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악보변환부는,
    상기 합주곡 악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구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으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구성별로 상기 악기파트에 관한 패턴들을 이용하여 상기 레벨조절악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신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레벨별로 저장되어 있는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직접적으로 지정하는 신호이거나 상기 레벨만을 지정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체크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현재 시점에 연주해야할 부분을 상기 레벨조절악보에 표시하는 연주안내부;
    상기 악기로부터 수신된 연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과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동일한 시점에 연주되어야 할 음표를 비교하는 타이밍비교부; 및
    상기 비교결과,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전인지 이후인지 일치하였는지를 구별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결과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체크모듈은,
    상기 합주곡의 연주시작시점부터 연주종료시점까지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전인 경우,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보다 이후인 경우 및 상기 악기를 연주한 시점이 상기 레벨조절악보 중 연주되어야 할 음표의 시점과 일치하는 경우 각각에 대한 통계를 내어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통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KR1020120147265A 2012-12-17 2012-12-17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KR10142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65A KR101428456B1 (ko) 2012-12-17 2012-12-17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65A KR101428456B1 (ko) 2012-12-17 2012-12-17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195A KR20140078195A (ko) 2014-06-25
KR101428456B1 true KR101428456B1 (ko) 2014-08-12

Family

ID=5112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265A KR101428456B1 (ko) 2012-12-17 2012-12-17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929A (ko) * 2018-12-11 2020-06-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8177B (zh) 2017-01-16 2021-06-08 森兰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曲谱简化的系统和方法
KR101997858B1 (ko) * 2018-01-22 2019-07-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루디먼트 기반 드럼 연주 트레이닝 방법
KR20190107962A (ko) * 2018-03-13 2019-09-23 (주)루디벨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036B1 (ko) * 1999-09-16 2002-01-09 서정렬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JP2002092348A (ja) * 2000-09-20 2002-03-29 Senshiyukai:Kk 音楽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202776A (ja) * 2000-12-28 2002-07-19 Yamaha Corp 演奏教示装置および演奏教示方法
KR20100037955A (ko) * 2008-10-02 2010-04-12 이경의 자동음악 작곡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036B1 (ko) * 1999-09-16 2002-01-09 서정렬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JP2002092348A (ja) * 2000-09-20 2002-03-29 Senshiyukai:Kk 音楽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202776A (ja) * 2000-12-28 2002-07-19 Yamaha Corp 演奏教示装置および演奏教示方法
KR20100037955A (ko) * 2008-10-02 2010-04-12 이경의 자동음악 작곡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929A (ko) * 2018-12-11 2020-06-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8380B1 (ko) 2018-12-11 2020-09-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195A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8579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performance control program systems and methods
CN106205278B (zh) 一种电子课件的生成方法、系统、电子设备及其服务器
US20100184497A1 (en) Interactive musical instrument game
US2011028386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structing a keyboardist
US20130157761A1 (en) System amd method for a song specific keyboard
US92868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aided variation of music and other sequences, including variation by chaotic mapping
US20040244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al guitar sounds using an electric guitar
WO2017043228A1 (ja) 演奏補助装置及び方法
KR101428456B1 (ko)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US7309827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1428457B1 (ko) 사용자 맞춤형 악보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20266738A1 (en) Music game improvements
JP6638674B2 (ja) 教習装置、教習プログラムおよび教習方法
US2015033165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dio output composition and generation
KR100956029B1 (ko) 악기연주 연습장치
JP6520162B2 (ja) 伴奏教習装置および伴奏教習プログラム
JP2003288077A (ja) 曲データ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58384A (ko) 휴대용 드럼연주시스템
KR100956028B1 (ko) 악기연주 연습장치
JP4821505B2 (ja) 電子鍵盤楽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CN208014363U (zh) 一种弹奏音高可调且唱名恒定的键盘视唱琴
CN110998708A (zh) 差分提示装置、差分提示方法及差分提示程序
KR101007038B1 (ko) 전자드럼장치
KR100807821B1 (ko) 음치 교정 장치
Meixner The Basics of Reading Mu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