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962A -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962A
KR20190107962A KR1020180029339A KR20180029339A KR20190107962A KR 20190107962 A KR20190107962 A KR 20190107962A KR 1020180029339 A KR1020180029339 A KR 1020180029339A KR 20180029339 A KR20180029339 A KR 20180029339A KR 20190107962 A KR20190107962 A KR 2019010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ata
music
scor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혜
Original Assignee
(주)루디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디벨 filed Critical (주)루디벨
Priority to KR102018002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7962A/ko
Priority to PCT/KR2018/014328 priority patent/WO2019177224A1/ko
Publication of KR2019010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을 위한 스마트 음악기기는, 악보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악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악기와 학습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패널은, 턴-온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에 상기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면, 삽입된 스마트 악보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악보 정보의 출력하되, 상기 출력되는 학습 데이터는, 상기 악보 정보에 따른 청각 데이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및 시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촉각 데이터가 포함된 공감각 데이터이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패널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패널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 출력되고, 상기 악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 MUSIC EDUCATION}
본 발명은 음악 교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 청각 및 촉각의 공감각을 활용하여 유아, 어린이 등이 재미와 흥미를 가지면서 스스로 음악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 오르간과 같은 건반 악기는 통상 연주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해당 건반을 누름으로써 연주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연주자의 앞에 놓인 악보를 보고 그 음계에 따라 건반을 누른다.
다만, 초보자나 처음 연주하는 연주곡을 사용자가 연주하기 위해서는 악보를 보고 장기간 교습(학습)함으로써 숙달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악보를 보고 일일이 건반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연주곡을 효과적으로 교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피아노 자동교습장치는 악보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못한 채 연주자의 손가락이 위치할 건반 위치만을 표시하여, 상대적으로 유아, 어린이,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 등이 악보를 스스로 학습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점과 피아노 교습 과정에서 재미나 흥미를 느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유아, 어린이,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 등과 같은 음악 비숙련자도 악보를 익히면서 악기를 손쉽게 학습(교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학습 과정에서 흥미나 재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음악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특히 음악 교육을 위한 공감각(synesthesia) 내지 공감각적 방법의 활용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한 음악 교육 방법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악보와 스마트 패널을 포함한 스마트 음악기기를 통한 음악 교육 방법은, 턴-온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에 상기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면, 삽입된 스마트 악보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악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악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악기와 학습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패널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출력되는 학습 데이터는, 상기 악보 정보에 따른 청각 데이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및 시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촉각 데이터가 포함된 공감각 데이터이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패널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패널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 출력되고, 상기 악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악보는, 음표, 음(또는 음계) 색깔을 포함한 악보를 표출하고 악보의 음 색깔을 저장하고 있는 악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는 홀로그램수단 또는 프로젝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수단을 통하여 상기 악기상에 투영하거나 상기 프로젝션수단을 통하여 스마트 음악기기의 전방 일영역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각 데이터는, 식물, 동물, 업로드된 이미지, 사물, 및 캐릭터를 포함한 이미지로 대체되거나 그와 조합되고, 상기 청각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촉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상기 공감각 데이터와 관련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을 위한 스마트 음악기기는, 악보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악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악기와 학습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패널은, 턴-온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에 상기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면, 삽입된 스마트 악보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악보 정보의 출력하되, 상기 출력되는 학습 데이터는, 상기 악보 정보에 따른 청각 데이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및 시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촉각 데이터가 포함된 공감각 데이터이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패널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패널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 출력되고, 상기 악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악보는, 음표, 음(또는 음계) 색깔을 포함한 악보를 표출하고 악보의 음 색깔을 저장하고 있는 악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램수단 또는 프로젝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수단을 통하여 상기 악기상에 투영하거나 상기 프로젝션수단을 통하여 스마트 음악기기의 전방 일영역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각 데이터는, 식물, 동물, 업로드된 이미지, 사물, 및 캐릭터를 포함한 이미지로 대체되거나 그와 조합되고, 상기 청각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촉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상기 공감각 데이터와 관련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상술한 음악 교육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비숙련자도 악보를 익히면서 악기를 손쉽게 학습(교습)하고 학습 과정에서 흥미나 재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음악 교육 방법을 제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감각(synesthesia) 내지 공감각적 방법의 활용을 통한 음악 교육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음악 교육 서비스 방법에 관한 장치 내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음악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음악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음악기기의 정면도와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음악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스마트 패널상에 피아노 건반이 출력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음악기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악보수단의 악보표출부에 표출되는 악보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악기수단에 표출되는 음 색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악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는, 공감각 또는 공감각적 방법(이하, 공감각)을 이용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감각이라 함은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 감각인상의 종류(모달리티)와, 그 원인이 되는 물리적 자극(시각에서의 가시광선, 청각에서의 음파 등) 사이에는 1대 1의 대응이 통상적이나 예컨대, 색청과 같이 색상이 변하면 들리는 소리의 음정이 변하거나 후각과 함께 색상을 느끼거나, 글씨를 보고 냄새를 느끼는 것과 같이 그와 같은 감각의 모달리티의 경계를 넘어선 감각 현상을 말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악 교육과 관련하여 주로 시각, 청각 및 촉각의 공감각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학습을 위한 장치(이하, “스마트 음악기기”이라 함)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에 기반한 음악 교육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음악기기는 건반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의 학습에 이용 가능하다. 다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악기수단을 피아노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거나 도시된 피아노 건반은 당업자가 타악기나 현악기로 변경 또는 수정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음악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음악기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음악기기의 정면도와 후면도,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음악기기의 구성 블록도, 및 도 5는 스마트 패널상에 피아노 건반이 출력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을 위한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악보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악보(520)가 삽입되는 삽입부(120), 및 상기 악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악기와 학습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 패널(110)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패널(110)은, 턴-온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에 상기 스마트 악보(520)가 삽입되면, 삽입된 스마트 악보(520)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악보 정보의 출력하되, 상기 출력되는 학습 데이터는, 상기 악보 정보에 따른 청각 데이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및 시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촉각 데이터가 포함된 공감각 데이터이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패널(110)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패널(110)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 출력되고, 상기 악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악보(520)는, 음표, 음(또는 음계) 색깔을 포함한 악보를 표출하고 악보의 음 색깔을 저장하고 있는 악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램수단 또는 프로젝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수단을 통하여 상기 악기상에 투영하거나 상기 프로젝션수단을 통하여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전방 일영역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각 데이터는, 식물, 동물, 업로드된 이미지, 사물, 및 캐릭터를 포함한 이미지로 대체되거나 그와 조합되고, 상기 청각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촉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상기 공감각 데이터와 관련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상부면도이고, 도 1(b)는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하부면도이다.
도 1(a)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크게 스마트 패널(110), 스마트 악보(520)가 삽입되는 삽입부(120) 및 오디오 출력부(1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상에 일 영역에는 기능부가 존재하여 상기 삽입부(120)의 활성화를 위한 RFID 기능버튼(142), 악기수단 선택버튼(144), 음악 선택 등을 위한 뮤직버튼(146)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다른 명칭으로 명명되거나 다른 기능버튼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패널(110)은, 악기수단, 스마트 악보(520)의 악보정보, 상기 악보정보와 악기수단에 따른 학습 데이터 등을 출력한다. 상기에서, 악기수단은 예컨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등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면, 피아노 건반(510)이 출력된 스마트 패널(110)이 도시되었다. 한편, 상기 스마트 패널(110)의 상세 기능 설명은 후술하는 해당 부분에서 설명하고 여기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스마트 악보(520)가 삽입 또는 제거되는 수단이다. 상기 삽입부(120)의 형상, 크기, 위치 등은 상기 스마트 악보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3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스피커(speaker)를 예로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3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마트 음악기기(100)상에 구현되지 않거나 외부 오디오 출력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1(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하부면이 도시된 것으로 가장자리에 네개의 고정수단(151 내지 154)가 구현되었다. 상기 고정수단(151 내지 154)는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형상에 따라 그 위치, 개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51 내지 154)는 스마트 음악 기기(100)의 고정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 등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a)의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상부면도를 기준으로 좌측면도를 그리고 도 2(b)는 우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전술한 기울기없이 평평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스마트 패널(110)과 나머지 부분(120,130)이 구분되도록 구현되며 단차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는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후면도이다. 특히, 도 3(b)의 후면도를 참조하면,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후면 일 영역에는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수단(3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단(310)은 예컨대, 프로젝터수단일 수 있으며 또는 홀로그램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수단(310)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악보나 기타 데이터를 읽거나 스캔하여 디지털 정보를 획득 가능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악보(520)가 삽입되는 삽입부(120)와 스마트 패널(110)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 악보(520)가 삽입부(120)에 삽입되면, 상기 스마트 패널(110)은 상기 스마트 악보(520)를 인식하여 음악 교육을 시작한다. 이러한 음악 교육은 예컨대, 악보를 읽는 것과 악보를 통한 음정을 익히는 것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식은 인식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인식수단은 예를 들어, RFID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악보(520)가 삽입되는 삽입부(120)와 스마트 패널(11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악보(520)는, 음표, 음(또는 음계) 색깔을 포함한 악보를 표출하고 악보의 음 색깔을 저장하고 있는 악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패널(110)는, 상기 악보수단에 저장된 악보의 음 색깔을 읽고, 읽어 들인 음 색깔이 표출되는 악기수단(418)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악기수단(418)은 실시예에 따라 건반악기, 현악기 및 타악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20)는, 악보수단제어부(404)와 상기 악보수단제어부(4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악보수단제어부(4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악보정보(음표, 음 색깔 등)를 저장하는 악보정보저장부(408)와, 상기 악보수단제어부(4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악보정보저장부(408)에 저장된 악보정보를 비숙련 음악 학습자에게 표출하는 악보표출부(40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비숙련 음악 학습자라 함은 예를 들어, 유아나 어린이뿐만 아니라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이나 음악을 전공하거나 전문적으로 배운 사람과 같은 음악 숙련자가 아닌 모든 사람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패널(110)은, 악기수단제어부(414)와, 상기 악기수단제어부(4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악기수단제어부(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 패널(110)의 일측에 탈/부착되는 악보수단의 악보정보저장부(408)에 저장된 악보정보 중 음 색깔을 읽어 들이는 악보정보리드부(412)와, 상기 악기수단제어부(4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악기수단제어부(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악보정보리드부(412)로 읽어 들인 음 색깔을 악기수단(418)으로 표출하는 음색깔발광표출부(416)와, 상기 악기수단제어부(4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악기수단제어부(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악기수단(418)을 누를 때 음 색깔과 일치하는 음을 외부로 보내는 오디오 출력부(1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악기수단제어부(4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악기수단제어부(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악기수단(418)을 누를 때 상기 음 색깔에 대응되는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수단(미도시)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악기수단제어부(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 색깔에 대응되는 진동의 세기를 제어 또는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진동수단은 각 음 색깔에 따라 진동의 세기(예를 들어, 진동 레벨)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동일한 진동의 세기가 서로 다른 시간동안(예를 들어, 제1 음 색깔은 0.1초 동안, 제2 음 색깔은 0.2초 동안 등과 같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음색깔발광표출부(416)는 다양한 색깔을 표출할 수 있는 발광수단 또는 조명수단일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 또는 조명수단은 예를 들어, 엘이디(LED), RGB와 같은 발광소자일 수 있으며, 스마트 패널의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되어 음 색깔을 제공하도록 동작 제어된다. 한편, 이러한 동작 제어는 예컨대, 학습 데이터가 출력될 때, 미리 감지한 스마트 악보의 악보 정보를 참조하여 음 데이터와 동기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음 데이터에 대응되는 진동 데이터도 동기화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동작 및 그를 통한 음악 교육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악보(520)와 스마트 패널(110)을 포함한 스마트 음악기기(100)를 통한 음악 교육 방법은, 턴-온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에 상기 스마트 악보(520)가 삽입되면, 삽입된 스마트 악보(520)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악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악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악기와 학습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패널(110)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출력되는 학습 데이터는, 상기 악보 정보에 따른 청각 데이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및 시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촉각 데이터가 포함된 공감각 데이터이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패널(110)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패널(110)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 출력되고, 상기 악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턴-온(turn-on)되면(S601), 상기 기기(100) 턴-온 사실을 알린다. 이를 위해,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시각, 청각 또는/및 촉각적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명, 소리 또는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 즉, 학습자가 스마트 음악기기(100)가 턴-온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턴-온은, 전원 스위치의 수동적인 작동에 의한 경우뿐만 아니라 전용 리모컨이나 기타 이동 단말 등을 통하여 원격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경우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관련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용 리모컨이나 이동 단말을 통해 원격에서 전원 모드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기에서는 상기 동작 제어에 대한 결과를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또는 그 이전의 페어링(pairing), 로그-인 등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의 다른 동작에 관여하거나 제어에 이용될 수도 있다.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상기 턴-온이 되면, 스마트 악보(520)의 삽입을 유도하는 정보를 출력한다(S602). 여기서, 상기 출력되는 스마트 악보 삽입 유도 정보는 “악보를 넣어 주세요.”에 대응되는 이미지, 음성 등일 수 있다.
상기 S602 단계 이후에 스마트 악보(520)의 기기 삽입이 감지되면(S603),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스마트 악보(520)의 악보정보를 감지한다(S604).
또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이렇게 감지된 스마트 악보(520)의 악보 정보를 출력한다(S605). 이는 감지된 스마트 악보(520)가 정확한지 학습자의 확인을 위함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음악기기(100)가 감지된 스마트 악보(520)의 악보 정보가 ‘Mary had a little lamb’이면,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자가 확인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악보 정보로는 예컨대, 곡 제목, 작곡가, 저장된 곡의 워크북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전술한 악보 정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한다고 함은 통상 스마트 패널(110) 상에 악보 정보가 제공되나 그 외에 전용 리모컨이나 페어링된 상기 학습자의 이동 단말로 제공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스마트 음악기기(110)에서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정해진 범위 내에 학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S605 단계 이후에 출력된 악보 정보가 확인되면,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학습 모드 정보를 출력하고(S606), 학습자의 학습 모드 선택 정보를 감지하여(S607), 감지된 학습 모드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608).
여기서, 상기 출력되는 학습 모드 정보는 예를 들어, 음악(동요) 듣기, 기초 연습, 자유 연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모드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응 동작 수행이라 함은 공감각을 활용하는 것으로 상기 학습 모드로 기초 연습을 예로 하면, 첫음에 제1컬러를 발광하고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다시 다음 음에 제2컬러를 발광하고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계속하여 동작을 반복하여 학습을 돕는다. 이때, 상기 발광은 예컨대, 스마트 패널(110)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서 이루어지며 스마트 악보(520)의 학습을 위하여 상기 스마트 악보(520)상에 제공된 컬러와 동일 컬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연습 모드의 최초 수행시에는 원래 악보에 정의된 빠르기보다 느리게 동작할 수 있다. 이후 반복 수행에 따라 해당 악보에 정의된 빠르기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빠르기의 설정은 설정 또는 기학습된 내용에 기초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이전 학습 과정들에서 학습자의 학습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미리 정의된 동작 빠르기 단계를 재조정하여 단계를 세분화하여 학습 이해도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자칫 정해진 루틴에만 따를 경우 학습자의 학습 이해도에 따른 흥미나 재미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학습자의 이해도가 높다면 정해진 단계보다 생략하여 빠른 학습을 유도하여 학습자의 지루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 해당 악보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난이도가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응 동작 과정에서 제공된 컬러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미스터치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3컬러를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횟수 이상 해당 악보 연습 과정에서 미스터치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오답 멜로디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자가 제공된 컬러 부분을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무터치하는 경우에는 역시 오답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답 멜로디는 해당 조건 발생시에 즉각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해당 악보의 전체 1회 연습이 종료하였을 경우에 피드백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최초 1회 연습이 종료한 경우에는, 오답 멜로디가 있는 파트, 미스터치가 있는 파트, 무터치가 있는 파트 또는 임의의 파트 중 어느 하나를 전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학습자의 학습 이해도 판단, 실수나 잘못된 부분만에 대한 연습, 효율적인 학습 유도, 전체 반복에 따른 학습 지루함 등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에 의하면, 음정(interval)의 경우 악보의 음이 출력되면서 동시에 출력되는 해당 음의 색이 발광수단을 통해 발광되어 청각을 시각화한 교육이 가능하며, 박자(time or meter)의 경우에도 센서를 통하여 학습자가 정확한 박자를 누르는지 알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악기를 눌러보며 촉각을 사용한 토털 음악 교육이 가능해진다.
상기 대응 동작 수행과 관련하여, 상기 악보표출부(4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수단제어부(4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악보정보저장부(408)에 저장되어 있는 악보 정보(음표, 음 색깔 등)를 학습자에게 표출하고, 상기 악기수단제어부(414)는 악보정보리드부(412)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악보정보리드부(412)는 악기수단제어부(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악보정보저장부(408)에 저장된 악보정보 중 음 색깔을 읽어 들이고, 상기 악기수단제어부(414)는 음색깔발광표출부(416)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음색깔발광표출부(416)는 악기제어수단(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악보정보리드부(412)로 읽어 들인 음 색깔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수단(418)으로 표출하고, 학습자는 악보표출부(402)에 표출된 음 색깔과 악기수단(418)에 표출된 음 색깔을 확인하면서 악기수단(418)을 누르면, 오디오 출력부(120)는 악기수단제어부(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악보표출부(402)에 표출된 음 색깔과 일치하는 음을 출력한다.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학습자의 선택 또는 설정에 따라 학습을 종료한다(S609).
이렇게 학습이 종료된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상기 학습자의 선택 또는 설정에 따라 기기 전원을 턴-오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학습 종료 이후에 또는 학습 과정에서,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소정 입력이 존재하지 않거나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 학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기 전원을 임의로 턴-오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과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른 기기 전원 제어(턴-온 또는 턴-오프)는 전술한 예시를 조합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기 전원 턴-오프 이후에 상기 기기 전원이 턴-온이 되면,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상기 전원 턴-오프가 정상적이었으면 이전 학습 내용에 대한 간략 정보만 제공하고 전술한 S602 단계 이후를 수행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예컨대, 학습 과정에서 비정상적으로 기기 전원이 턴-오프된 경우에는 이전 데이터를 복원하여 이어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턴-오프 과정의 정상/비정상과 관계없이 이전 학습 내용에 대한 반복 또는 학습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상기 새로운 스마트 악보 삽입 전에 제공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상기 S601 단계 내지 S609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데이터라 함은, S601 단계의 스마트 음악기기 전원 턴-온 내지 S603 단계의 스마트 악보 감지에 따른 ‘학습 시작 상태’, S607 단계의 학습 모드 선택 정보 감지 내지 S608 단계의 학습 모드 대응 동작에 따른 ‘학습 중 상태’, 또는 S609 단계의 학습 종료에 따른 ‘학습 종료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상세하게 상태를 정의하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이라 함은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예를 들어, 부모님, 음악 교습 선생님 등)의 단말상에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100)를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해당 범위 내에 전자 장치는 브로드캐스트되는 데이터를 기기에 맞게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스피커 포함)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 데이터는 반드시 텍스트 포맷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 오디오 등의 포맷이나 그와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악기는 피아노 건반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악보(52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악보 내 각 음계에 대하여 공감각을 이용하기 위하여 해당 음에 대응되는 컬러를 설정 또는 선택에 따라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와 같이, ‘도-레-미-파-솔-라-시’ 음계는, 각각 ‘빨간색-주황색-노란색-초록색-파란색-남색-보라색’의 컬러로 대응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건반을 누르면 음과 함께 제공되는 컬러를 통하여 음으로부터 시각적인 컬러를 인지하게 되고 이러한 공감각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면서 악보를 익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비록 공감각을 위하여 음에 대응되는 컬러를 일실시예로 하여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공감각과 관련하여, 상기 음에 대응되는 컬러를 대신하여 이미지가 이용될 수도 있고 조합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라 함은 예를 들어, 학습자의 나이나 학습 레벨 등을 고려하여 과일, 식물, 동물, 기타 좋아하는 사진이나 사물,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다양한 개체가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전술한 내용과 더불어, 공감각을 위하여 해당 음에 대하여 크기 조정, 점멸(점멸 주기 조정도 포함) 등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홀로그램(hologram), 프로젝션(projection) 등도 대신하거나 조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홀로그램의 경우 피아노 건반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 특히 프로젝션수단을 활용하여 공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마트 음악기기(100)는 학습 또는 연주를 위하여 삽입된 스마트 악보와 피아노 건반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도 10과 같이 소정 위치에 상기 이미지를 투사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1의 경우, 상기 도 10과는 달리 해당 악보와 피아노 건반의 이미지를 투사하고, 학습자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보면서 스스로 직접 누른 건반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투사된 이미지를 참조하여 서로 비교 대조하면서 악보의 이해, 미스터치, 무터치, 오류, 잘못된 습관과 같은 요소뿐만 아니라 암기를 도울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을 한 이후라고 하더라도 실전처럼 투사된 이미지만 즉, 악보(건반 이미지도 투사될 수 있음)만을 보면서 직접 연주하도록 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연주가 매끄러운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직접 보고 느끼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도 있다.
도 12의 경우에는, 전술한 도 10 및 11과는 달리, 삽입된 악보에 대한 이미지를 먼저 투영하지 않고, 빈 악보(음표가 표시되지 않은, 오선지)(1210)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연주에 따라 상기 빈 악보를 채워 나가도록 서비스(1220)한다. 이후 연주가 종료되면, 삽입된 악보와 학습자의 실제 연주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1230)를 제공하여 오류가 있는 부분을 인식하고 고쳐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의 경우 어느 정도 숙련된 이후에 암기나 정확한 이해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도 10 내지 12의 경우, 자유 연주나 숙련을 위하여 학습자가 실제 건반을 보면서 치는 것이 아니라 양손을 실제 건반에 두고 투영되는 악보 이미지만을 보면서 악보를 익히도록 유도하여 그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한편, 삽입된 악보를 원문에 충실하게 연습할 뿐만 아니라 빠르기, 세기, 장조 등을 다양하게 변화 가능하도록 하거나 제공하여 곡의 이해도를 높이고 학습자의 숙련도를 더욱 높이도록 유도하여 학습 효과를 신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음악기기로 설명하는 경우, 그 의미는 문맥에 따라 스마트 패널, 악기수단 및 스마트 악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체일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 패널(110)은 외부의 악기수단과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가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의 악기수단에 의해 연주되는 음악에 해당하는 음을 음계와 함께 스마트 패널(110)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출력되는 음은 전술한 삽입부(120)를 통해 출력하거나 연결된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시나리오는 음악 숙련자가 작곡을 하거나 실제 악기로 연주 연습하는 경우에 연주곡과의 비교를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패널(110)은 스마트 악보(520) 이외에도 USB와 같은 외부저장장치와 연결되어 악보나 음악 관련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교육을 위한 스마트 건반은, 악보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악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악기와 학습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패널은, 턴-온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에 상기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면, 삽입된 스마트 악보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악보 정보의 출력하되, 상기 출력되는 학습 데이터는, 상기 악보 정보에 따른 청각 데이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및 시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촉각 데이터가 포함된 공감각 데이터이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패널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패널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 출력되고, 상기 악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상기 스마트 건반은 홀로그램수단 또는 프로젝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식물, 동물, 학습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나 사물, 캐릭터와 같은 이미지로 대체되거나 그와 조합되되, 음의 크기, 음표의 크기, 및 광 점멸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공감각과 관련하여 제어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수단을 통하여 상기 악기 내 해당 부분상에 투영하거나 상기 프로젝션수단을 통하여 스마트 음악기기의 전방 일영역에 투사하며, 소정 위치에 상기 이미지를 투사, 해당 악보와 악기의 이미지를 투사하고, 학습자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상기 투영된 이미지를 보면서 스스로 직접 누른 악기 부분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투사된 이미지를 참조하여 서로 비교 대조하면서 악보의 이해뿐만 아니라 미스터치, 무터치, 및 오류 파악, 학습자가 학습을 한 이후라고 하더라도 투사된 이미지의 악보만 보면서 직접 연주하도록 유도하여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와 참조 악보 데이터의 비교 데이터를 제공, 또는 삽입된 악보에 대한 이미지를 먼저 투영하지 않고, 음표가 표시되지 않은 빈 악보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연주에 따라 상기 빈 악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연주가 종료되면, 삽입된 악보와 학습자의 실제 연주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스마트 악보와 스마트 패널을 포함한 스마트 음악기기를 통한 음악 교육 방법에 있어서,
    턴-온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에 상기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면, 삽입된 스마트 악보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악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악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악기와 학습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패널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출력되는 학습 데이터는,
    상기 악보 정보에 따른 청각 데이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및 시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진동 데이터가 포함된 공감각 데이터이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패널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패널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 출력되고,
    상기 악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스마트 음악기기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악보는,
    음표, 음(또는 음계) 색깔을 포함한 악보를 표출하고 악보의 음 색깔을 저장하고 있는 악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악기기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는 홀로그램수단 또는 프로젝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수단을 통하여 상기 악기수단상에 투영하거나 상기 프로젝션수단을 통하여 스마트 음악기기의 전방 일영역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악기기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데이터는,
    식물, 동물, 업로드된 이미지, 사물, 및 캐릭터를 포함한 이미지로 대체되거나 그와 조합되고,
    상기 청각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촉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상기 공감각 데이터와 관련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악기기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5. 음악 교육을 위한 스마트 음악기기에 있어서,
    악보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악보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악기와 학습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마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패널은, 턴-온된 상기 스마트 음악기기에 상기 스마트 악보가 삽입되면, 삽입된 스마트 악보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한 악보 정보의 출력하되,
    상기 출력되는 학습 데이터는, 상기 악보 정보에 따른 청각 데이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및 시각 데이터에 대응되는 촉각 데이터가 포함된 공감각 데이터이고,
    상기 시각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패널 내부 또는 주변에 구비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스마트 패널상에 출력되는 악기상에 출력되고,
    상기 악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되는 스마트 음악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악보는,
    음표, 음(또는 음계) 색깔을 포함한 악보를 표출하고 악보의 음 색깔을 저장하고 있는 악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악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홀로그램수단 또는 프로젝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수단을 통하여 상기 악기수단상에 투영하거나 상기 프로젝션수단을 통하여 스마트 음악기기의 전방 일영역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악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데이터는,
    식물, 동물, 업로드된 이미지, 사물, 및 캐릭터를 포함한 이미지로 대체되거나 그와 조합되고,
    상기 청각 데이터, 시각 데이터 및 촉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상기 공감각 데이터와 관련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악기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따른 음악 교육 데이터를 포함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80029339A 2018-03-13 2018-03-13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9010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339A KR20190107962A (ko) 2018-03-13 2018-03-13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CT/KR2018/014328 WO2019177224A1 (ko) 2018-03-13 2018-11-21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339A KR20190107962A (ko) 2018-03-13 2018-03-13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62A true KR20190107962A (ko) 2019-09-23

Family

ID=6790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339A KR20190107962A (ko) 2018-03-13 2018-03-13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07962A (ko)
WO (1) WO20191772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033A (ko) * 2020-03-31 2021-10-08 가부시키가이샤 싱카아웃핏Nq 연습 장치
KR20230121408A (ko) * 2022-02-11 2023-08-18 한금채 판소리음계 표시방법 및 이러한 판소리음계가 표시된 판소리 교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073A (ja) * 1991-08-20 1993-02-26 Csk Corp 楽器演奏の練習支援装置
JP5574268B2 (ja) * 2009-03-04 2014-08-20 ヤマハ株式会社 楽譜表示装置および楽譜表示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428456B1 (ko) * 2012-12-17 2014-08-12 조성일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KR101476526B1 (ko) * 2013-02-08 2014-12-24 양지영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음악 학습방법
KR101821733B1 (ko) * 2014-10-27 2018-01-24 한송이 음악 학습을 위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033A (ko) * 2020-03-31 2021-10-08 가부시키가이샤 싱카아웃핏Nq 연습 장치
KR20230121408A (ko) * 2022-02-11 2023-08-18 한금채 판소리음계 표시방법 및 이러한 판소리음계가 표시된 판소리 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224A1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8563B1 (en) Electronic circuit driven, inter-active, plural sensory stimuli apparatus and comprehensive method to teach, with no instructor present, beginners as young as two years old to play a piano/keyboard type musical instrument and to read and correctly respond to standard music notation for said instruments
Rogers et al. Piano: Faster piano learning with interactive projection
US20110259178A1 (en) Machine and method for teaching music and piano
US20050005761A1 (en) Method for teaching music
US9652994B1 (en) Piano learning guidance system
US20130260886A1 (en) Multi-sensory Learning Game System
US20100005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keyboard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1999039316A1 (en) System for instructing the playing of a musical instrument
US20060154220A1 (en) Dance training device
TWI613627B (zh) 用於鋼琴教學的電腦輔助方法和電腦系統
US20110014595A1 (en) Partner Assist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22026B1 (ko) 아바타 기반의 언어 학습시스템
Fleta Active listening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in the early years
KR20190107962A (ko)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odward Critical matter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JP2018049126A (ja) 演奏教習装置、演奏教習プログラム、および演奏教習方法
Sims Sound approaches to elementary music listening
Menzies et al. A digital bagpipe chanter system to assist in one-to-one piping tuition
Ng et al. An interactive mobile application for learning music effectively
Wiggins The world of music in education
KR20100136203A (ko) 수준별 맞춤 대화형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07168U (ko) 다기능 유아용 학습기기
Devlin et al. Integrating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o music therapy clinical practice: A clinician’s perspective
KR100881694B1 (ko) 무선신호를 이용한 범용 유아교육기기
KR20150053659A (ko) 유아 교육용 학습 시스템, 학습교재 인식 장치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