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033A -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033A
KR20210122033A KR1020200166385A KR20200166385A KR20210122033A KR 20210122033 A KR20210122033 A KR 20210122033A KR 1020200166385 A KR1020200166385 A KR 1020200166385A KR 20200166385 A KR20200166385 A KR 20200166385A KR 20210122033 A KR20210122033 A KR 20210122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nger
key
keyboar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593B1 (ko
Inventor
히데타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싱카아웃핏Nq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싱카아웃핏Nq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싱카아웃핏Nq
Publication of KR2021012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16Means for indicating which keys, frets or strings are to be actuated, e.g. using lights or le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8Practice key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3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6Devices for exercising or strengthening fingers or arms; Devices for holding fingers or arms in a proper position for play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56Hand or finger indicator, e.g. for indicating which hand or which specific finger should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61LED, i.e. using a light-emitting diode as indicator
    • G10H2220/066Colour, i.e. indications with two or more different colou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21Garment sensors, i.e. musical control means with trigger surfaces or joint angle sensors, worn as a garment by the player, e.g. bracelet, intelligent clothing
    • G10H2220/326Control glove or other hand or palm-attached contro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건반 악기가 없어도 압건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습 장치(10)는 건반(3) 또는 건반을 모방한 타건 위치를 갖는 타건 대상물의 타건 위치 각각에 상이한 색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2)와, 연주자의 각 손가락에 첩부되고, 손가락마다 색이 상이한 형광지와, 악곡에 관한 악곡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부에 기억되는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 장치(2)에 연주자의 손가락에 첩부되는 색에 따른 광선의 색 및 광선의 점등 시각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주장치(1)를 가진다.

Description

연습 장치{A PRACTICE APPARATUS}
본 발명은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주 교습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건반 악기에 장착하여 압건(押鍵) 위치를 가이드(guide)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건반 악기에 장착하여 건반 연주를 가이드하는 연주 교습 장치로서, 건반의 각 건(鍵)에 대응하여 설치된 발광 수단과, 연주 교습의 곡 데이터의 노트 온 이벤트(note-on event)에 따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압건해야 할 건에 광을 조사시켜 압건을 가이드하는 압건 지시 수단과, 건반의 각 건에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에 의해 각 건의 연주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4670557호
건반 악기에 장착하는 것이 전제이기 때문에 건반 악기가 없는 경우는 압건 위치를 가이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하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건반 악기가 없어도 압건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연습 장치가 제공된다. 이 연습 장치는, 건반 또는 건반을 모방한 타건(打鍵) 위치를 갖는 타건 대상물의 타건 위치 각각에 상이한 색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와, 연주자의 각 손가락에 첩부(貼付)되고, 손가락마다 색이 상이한 형광지와, 악곡에 관한 악곡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부에 기억되는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 장치에 연주자의 손가락에 첩부되는 색에 따른 광선의 색 및 광선의 점등 시각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주(主)장치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태양에서는 건반 악기가 없어도 압건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건반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주(主)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나타내는 각 구성의 위치, 크기, 형상, 범위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제의 위치, 크기, 형상, 범위 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반드시 도면에 개시된 위치, 크기, 형상, 범위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수형으로 나타내는 요소는 문면에서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복수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 형태>
피아노로 곡을 연주하려고 하기 위해서는 우선 악보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악보의 음표대로 피아노 건반을 손가락으로 두드려야만 한다. 곡이 복잡하면 복잡할수록 초심자에게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이 어렵고 악보 그대로의 곡으로서 연주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세계적 피아니스트로 불리는 사람도 어릴 적부터 피아노와 악보를 마주하며 엄청난 연습을 거듭한 결과, 우수한 음악가로서의 명성을 떨치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아노에 접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유명 피아니스트라고 해도 취미로 피아노를 연주하는 사람과 그다지 사정의 차이가 없지만, 그 후에 피아노를 대하는 방식에서 준별(峻別)된다.
예로부터 피아노를 배우려면, 바이엘이나 하농과 같은 피아노 교본을 준비하고, 피아노 교사를 두고 연습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다. 장래성이 있는 우수한 아이만이 이름이 있는 피아노 교사 밑에서 영재 교육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상당양의 연습 시간을 피아노를 연주하기 위해 소요할 수 있는 것도 필요 조건이다.
그러나, 현대에는 피아노 실력을 늘리기 위해 몇 개의 간이적인 방법이 준비되어 있다. 그 하나는 전자 피아노에 내장되어 있는 곡에 따라 건반이 빛나고, 그 움직임에 따라 손가락을 움직인다고 하는 초심자용의 저렴한 피아노이다. 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하는 무료 앱도 풍부하게 있다. Youtube(등록상표)에서는 피아니스트가 연주하는 대로 건반을 타건시키는 동영상이 있지만, 이 방법은 상당히 숙달된 피아노 연주 경험자가 아니면 연습조차 되지 않아 초심자에게는 곤란하다.
또 악보가 표시되지 않는 동영상의 경우는, 연주곡이 간단하면 반복적으로 보면 외울 수 있지만, 클래식의 유명한 피아노곡 동영상 정도가 되면, 그야말로 피아노의 숙달자가 아닌 한, 동영상 대로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은 거의 무리이다.
예나 지금이나 피아노 교사의 지도하에 연습하는 것이 정통적인 습득법인 것에는 틀림없지만 거기에는 경제적 여유도 빠뜨릴 수 없는 조건이다. 그런데 완전한 초심자가 피아노를 향해 건반을 두드리는 것부터 어떤 스텝을 밟아 가면 곡을 연주할 수 있게 될지를 생각해 본다. 초심자는 어느 건반을 두드리면 어떤 소리가 나올지를 모른다. 근대 서양 음악에서 확립한 음계는 기초음(fundamental tone)에서 시작해서 기초음으로 끝나는 1옥타브, 즉 잘 알려진 이탈리아식의 도레미파솔라시도이며 음악의 음정 규칙이다. 그 규칙을 음악 기호(기호, 문자, 수)를 이용한 기보법에 기초하여, 오선보 상에 음표를 배치한 것이 악보이며,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일순간도 붙잡을 수 없는 소리의 흐름을 악보로 하여 처음으로 곡으로서 눈으로 보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피아노의 경우도, 악보의 음표와 피아노의 어느 건반의 소리가 대응하고 있는지를 눈과 귀로 습득하기 위해 초심자의 누구나가 도레미파솔라시도를 매끄럽게 연주하는 손가락의 타건 연습을 처음으로 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는 악보조차 읽을 수 없는 초심자부터 숙달된 피아노 연주자까지, 연습시에 있어서의 각 손가락의 타건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또 악보의 음표와 피아노 소리의 연속적 부합을 모니터를 보면서 손가락과 눈과 귀로 동시에 습득할 수 있으므로, 이 장치로 연습을 거듭해 가면, 이윽고 악보를 보는 것만으로 피아노 연주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피아노 교사에 의한 직접적인 지도가 불필요하게 되어, 연습 시간과 연습장소의 제약 및 고액인 지도료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10)는 주장치(컴퓨터)(1)와, 광원 장치(2)와, 건반(3)과, 모니터(4)를 가지고 있다.
주장치(1)에는 악곡을 디지털화한 악곡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주장치(1)는 광원 장치(2), 건반(3), 및 모니터(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건반을 설명하는 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건반(3)은 피아노(20)가 갖는 흰 건반 52개, 검은 건반 36개의 합계 88개의 건반이지만, 예를 들면 건반을 모방한 타건 위치를 갖는 건반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종이에 그려진 압건할 수 없는(밀어 넣을 수 없는) 건반이라도 좋다.
건반(3)은 주장치(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건반(3)은 피아노의 88 건반을 모방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1개의 건반에는, 10색의 LED(3a)가 10개 매립되어 있다. 건반(3)은 타건되었을 때에 그 장단 및 강약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건반(3)은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따른 소리의 디지털 신호를 주장치(1)에 출력한다.
광원 장치(2)는 주장치(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원 장치(2)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를 지지하는 지지부(22)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21)는 건반(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주장치(1)는 광원 장치(2)의 조사 또는 점멸을 제어한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광원 장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본체부(21)에는 건반(3)에 광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2a)이 설치되어 있다. 각 광원(2a)은 흰 건반용 52개, 및 검은 건반용 36개의 합계 88개의 건반(3)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2열로 배열되어 있다. 그 광원(2a)의 하나 하나가 건반(3)에 1대 1로 대응하고 있다.
광원(2a)으로는, 예를 들면 레이저 광선을 발생하는 광원이나, 고휘도의 광선을 발생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들 수 있다. 각 광원(2a)은 10색의 광선(이하, "색 광선"이라고 한다.)을 바꾸어 조사할 수 있다. 광선의 색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되돌아와 설명한다.
모니터(4)는 주장치(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4)에는 악곡 정보에 따른 악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모니터(4)는 현재 색 광선이 조사되고 있는 건반(3)과 동일한 지점의 악보 내의 음표에 조사되고 있는 색 광선과 동일한 색을 부가하여 표시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주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주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되고 있다. CPU(101)에는 버스(108)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102)과 복수의 주변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RAM(102)은 주장치(1)의 주기억 장치로서 사용된다. RAM(102)에는 CPU(101)에 실행시키는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이나 응용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102)에는 CPU(101)에 의한 처리에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버스(108)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103), 그래픽 처리 장치(104), 입력 인터페이스(105), 드라이브 장치(106) 및 통신 인터페이스(107)가 접속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03)는 내장한 디스크에 대해, 자기적으로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讀出)을 행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03)는 주장치(1)의 2차 기억 장치로서 사용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03)에는 OS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2차 기억 장치로는 플래시(flash) 메모리 등의 반도체 기억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4)에는, 모니터(4)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4)는 CPU(10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화상을 모니터(4)의 화면에 표시시킨다. 모니터(4)로는, CRT(Cathode Ray Tube)를 이용한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05)는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05)는 터치 패널로부터 보내져 오는 신호를 CPU(101)에 송신한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례이며,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로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태블릿(tablet), 터치 패드(touch pad), 트랙 볼(track ball) 등을 들 수 있다.
드라이브 장치(106)는, 예를 들면 광의 반사에 의해 독출 가능하도록 데이터가 기록된 광디스크나,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운반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독출을 행한다. 예를 들면, 드라이브 장치(106)가 광학 드라이브 장치인 경우, 레이저 광 등을 이용하여 광디스크(200)에 기록된 데이터의 독출을 행한다. 광디스크(200)에는, Blu-ray(등록상표), DVD(Digital Versatile Disc), DVD-RAM,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Recordable)/RW(ReWritable) 등을 들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7)는 네트워크(50)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7)는 네트워크(50)를 통해 다른 컴퓨터 또는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상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처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습 장치(10)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연습 장치(10)를 사용하는 연주자의 각 손가락의 손톱에는 각각 색이 상이한(10색의) 형광지(5)가 첩부되어 있다. 어느 손가락에 어느 색의 형광지(5)를 첩부할지는 미리 정해 둘 수 있다(예를 들면, 오른손 엄지 손가락은 적색, 집게 손가락은 황색 등). 주장치(1)에도 어느 손가락에 어느 색의 형광지(5)가 첩부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악보의 음표는 손가락 번호에 의해 좌우의 손의 어느 손가락으로 연주해야만 한다고 정해져 있으므로, 건반 상의 손가락 움직임은 일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장치(1)에는 미리 디지털화된 악곡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주장치(1)는 악곡 정보 및 어느 손가락에 어느 색의 형광지(5)가 첩부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정보에 따라 광원 장치(2)가 갖는 88개의 광원으로부터, 어느 색 광선을 어느 건반(소리의 높낮이)에 어느 정도의 시간(소리의 장단) 조사할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장치(1)는 악곡 정보의 각 음표에 할당된 손가락 번호에 일치하는 손가락에 첩부되어 있는 형광지(5)의 색과 동일한 색의 광선을 타건 위치에 조사하는 디지털 신호를 광원 장치(2)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오른손 엄지 손가락이 연주하게 하고 싶은 음표는 적색을 조사한다. 이 디지털 신호에는 색의 종류, 광을 조사하는 건반 및 광을 조사하는 시간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게 할 수 있다.
광원 장치(2)는 주장치(1)로부터 받은 디지털 신호에 따른 색 광선을 지정된 건반(소리의 높낮이)에, 지정된 시간(소리의 장단) 조사한다.
연주자는 색 광선이 조사된 건반에 손가락을 연속적으로 내리면, 주장치(1)에 인풋(input)된 연주곡을 연주할 수 있다. 즉, 곡을 연주하기 위해 움직이는 손가락의 손톱에 첩부되어 있는 10색의 형광지(5)는 악보의 손가락 번호와 동일한 손가락 번호의 손가락이 건반 상에 있으면, 색 광선의 색과 일치하므로 타건할 때에 형광지(5)의 반짝임이 증가하게 된다.
만약 악보의 손가락 번호와는 상이한 손가락 번호의 손가락이 건반(3) 상에 있으면, 조사된 광선의 색과 형광지(5)의 색이 상이하다. 따라서, 형광지(5)는 검게 비치거나 손가락의 형광지(5)의 색과 상이한 색으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연주자는 용이하게 올바른 손가락의 타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연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색의 이동(異同)은 올바르게 연주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 중 하나이며, 다른 조건에 의해 올바르게 연주하고 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주장치(1)는 형광지(5)의 색과는 상이하지만, 악보의 손가락 번호와 동일한 손가락 번호의 손가락의 형광지(5)가 건반 상에 있으면 밝은 색이 되는 색으로 변화하는 색 광선을 타건 위치에 조사하는 디지털 신호를 광원 장치(2)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광원 장치(2)가 조사하는 색 광선과 동일한 색을 LED(3a)로부터 발광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문제는 초심자가 악보대로 10개의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을지 여부이다. 이에 주장치(1)에는, 색 광선이 건반(3)에 조사되는 시간의 길이(조사되는 리듬)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실장되어 있다. 이 리듬은 연주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연주자는 처음은 길게 색 광선을 조사하도록 주장치(1)를 설정하고, 연주 실력이 향상됨에 따라 조사 시간을 짧게 해 나가도록 설정하면, 초심자여도 이윽고 악보대로의 속도로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또 주장치(1)에 접속된 모니터(4)의 화면에는 연주곡의 악보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주장치(1)로부터 보내지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음표가 색 광선과 동일한 색으로 변화하도록 프로그램해 두면, 악보에 익숙하지 않은 초심자도 건반 상의 손가락과 악보의 음표가 일치한다는 것을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타건 동작을 계속해 가면, 악보를 전혀 읽을 수 없는 사람이어도 점차 악보를 보는 것에 익숙하게 되고, 연습을 거듭함으로써 악보를 보는 것만으로 피아노 연주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장치(1)에 인스톨된 인공지능에 의한 연주 분석 프로그램이 연주자의 타건 위치, 타건 속도, 타건 강약을 분석하여, 악보의 음표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소리의 갭(gap)을, 마치 피아노 교사의 지도와 동일하게 음성으로 전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독학에서 일어나기 쉬운 잘못된 연습이나 무미건조한 연습에 빠지지 않으면서 질리지 않고 올바른 연습을 계속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10)에 의하면, 건반(3) 또는 건반을 모방한 타건 위치를 갖는 타건 대상물의 타건 위치 각각에 상이한 색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2)와, 연주자의 각 손가락에 첩부되고, 손가락마다 색이 상이한 형광지(5)와, 악곡에 관한 악곡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부에 기억되는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 장치(2)에 연주자의 손가락에 첩부되는 색에 따른 광선의 색 및 광선의 점등 시각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주장치(1)를 가진다. 따라서, 건반 악기가 없어도 압건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광원 장치(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연습 장치(10a)는 도 1에 나타낸 피아노(20) 대신에 준비된 타건이 없는 88 보드(3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연습 장치(10a)는 모니터(4)와 일체화된 주장치(1a)를 가지고 있다.
연주자는 88 보드(31)와, 주장치(1a)를 테이블(40) 상에 설치하여 연습을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10a)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의 연습 장치(10a)에 의하면, 나아가 88 보드(31)는 연습 시간과 연습 장소의 제약을 큰 폭으로 경감시키고, 또 피아노 대용 장치이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연습 장치를 도시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부의 구성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임의의 구성물이나 공정이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 중에서, 임의의 2 이상의 구성(특징)을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상기 처리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그 경우, 연습 장치(10, 10a)가 갖는 기능의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기능이 컴퓨터 상에서 실현된다.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로는 자기(磁氣) 기억 장치, 광디스크, 광자기 기록 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자기 기억 장치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시블 디스크(FD : flexible Disk)), 자기 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광디스크에는 DVD, DVD-RAM, CD-ROM/RW 등을 들 수 있다. 광자기 기록 매체에는 MO(Magneto-Optical disk) 등을 들 수 있다.
프로그램을 유통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DVD, CD-ROM 등의 포터블(portable) 기록 매체가 판매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서버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 저장해 두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에 그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예를 들면, 포터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혹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자기(自己)의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자기의 기억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컴퓨터는 포터블 기록 매체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그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서버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받은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처리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의 전자 회로로 실현할 수도 있다.
연주 교습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건반 악기에 장착하여 압건(押鍵) 위치를 가이드(guide)하는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1, 1a : 주장치
2 : 광원 장치 3 : 건반
4 : 모니터 5 : 형광지
10, 10a : 연습 장치
20 : 피아노
21 : 본체부 22 : 지지부
31 : 88 보드(board)

Claims (3)

  1. 건반 또는 건반을 모방한 타건 위치를 갖는 타건 대상물의 타건 위치 각각에 상이한 색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 장치와,
    연주자의 각 손가락에 첩부되고, 손가락마다 색이 상이한 형광지와,
    악곡에 관한 악곡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악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 장치에 연주자의 손가락에 첩부되는 색에 따른 광선의 색 및 광선의 점등 시각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주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는 악곡 정보의 음표에 할당된 손가락 번호에 일치하는 손가락에 첩부되어 있는 색과 동일한 색의 광선을 타건 위치에 조사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연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건반 상의 색 광선과 동일한 색인 악보의 음표가 곡의 흐름을 따라 표시되는 표시부를 추가로 갖는 연습 장치.
KR1020200166385A 2020-03-31 2020-12-02 연습 장치 KR102377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3547 2020-03-31
JP2020063547A JP6734611B1 (ja) 2020-03-31 2020-03-31 練習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033A true KR20210122033A (ko) 2021-10-08
KR102377593B1 KR102377593B1 (ko) 2022-03-22

Family

ID=7189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385A KR102377593B1 (ko) 2020-03-31 2020-12-02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4217B1 (ko)
EP (1) EP3889953A1 (ko)
JP (1) JP6734611B1 (ko)
KR (1) KR102377593B1 (ko)
CN (1) CN113470480A (ko)
IL (1) IL28091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2026S1 (en) 2020-01-21 2022-05-17 Paul William Wells Piano teaching a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9990A1 (en) * 2007-07-16 2009-01-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instrument learning
JP4670557B2 (ja) 2005-09-13 2011-04-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演奏教習装置および演奏教習処理のプログラム
KR20190107962A (ko) * 2018-03-13 2019-09-23 (주)루디벨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4945A (ja) * 1997-12-16 1999-07-02 Yamaha Corp 鍵盤の照明装置および照射ユニット
JPH11249652A (ja) * 1998-01-05 1999-09-17 Yamaha Corp 鍵盤楽器および鍵盤楽器の演奏支援装置
JP2000181455A (ja) * 1998-12-17 2000-06-30 Yamaha Corp 鍵盤装置および鍵盤装置の照明装置
CN1652203A (zh) * 2004-02-06 2005-08-10 李志扬 乐器演奏提示器
JP2007264024A (ja) * 2006-03-27 2007-10-11 Yamaha Corp 電子楽器
CN101388149B (zh) * 2007-09-12 2010-09-0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键盘乐器学习装置及学习方法
US8445767B2 (en) * 2009-04-11 2013-05-21 Thomas E. Brow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musical game
US8008563B1 (en) * 2010-04-12 2011-08-30 Karla Kay Hastings Electronic circuit driven, inter-active, plural sensory stimuli apparatus and comprehensive method to teach, with no instructor present, beginners as young as two years old to play a piano/keyboard type musical instrument and to read and correctly respond to standard music notation for said instruments
US20140251114A1 (en) * 2013-03-08 2014-09-11 Miselu, Inc. Keyboard system with multiple cameras
US20140260898A1 (en) * 2013-03-14 2014-09-18 Joshua Ryan Bales Musical Note Learning System
US9390630B2 (en) * 2013-05-03 2016-07-12 John James Daniels Accelerated learning, entertainment and cognitive therapy using augmented reality comprising combined haptic, auditory, and visual stimulation
US20150332601A1 (en) * 2014-05-01 2015-11-19 Walid Tamari Piano Learning System
US9685096B2 (en) * 2015-01-05 2017-06-20 Fonglui Christopher Ng Guidance system for learning to play piano
DE102016002445A1 (de) * 2016-02-29 2017-08-31 Oliver Schrank Vorrichtung zur Anzeige für die Bedienung einer Taste eines Instruments oder Gerätes
WO2018068203A1 (en) * 2016-10-11 2018-04-19 Sunland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A smart detecting and feedback system for smart piano
TWI623922B (zh) * 2017-05-05 2018-05-11 遠東科技大學 鋼琴彈奏手部教學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0557B2 (ja) 2005-09-13 2011-04-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演奏教習装置および演奏教習処理のプログラム
US20090019990A1 (en) * 2007-07-16 2009-01-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instrument learning
KR20190107962A (ko) * 2018-03-13 2019-09-23 (주)루디벨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9953A1 (en) 2021-10-06
JP2021162691A (ja) 2021-10-11
KR102377593B1 (ko) 2022-03-22
IL280914B2 (en) 2023-11-01
IL280914B1 (en) 2023-07-01
IL280914A (en) 2021-09-30
CN113470480A (zh) 2021-10-01
US11094217B1 (en) 2021-08-17
JP6734611B1 (ja)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925B2 (en) Musical notation, system, and methods
US84457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musical game
US9836992B2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US78933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music in a computer game
US3837256A (en) Sight and sound musical instrument instruction
US5557055A (en) Musical keyboard hav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display and a method of keyboard display
US9218747B2 (en) Self-teaching and entertainment guitar systems
US20130157761A1 (en) System amd method for a song specific keyboard
US20150332601A1 (en) Piano Learning System
JP2013515288A (ja) 教育用弦楽器タッチスクリーンシミュレーション
US9092994B1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US9652994B1 (en) Piano learning guidance system
WO2015027108A2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JP2004503833A (ja) 楽器を演奏することを学習する学習方法および学習装置
Pardue Violin augmentation techniques for learning assistance
KR102377593B1 (ko) 연습 장치
Menzies et al. A digital bagpipe chanter system to assist in one-to-one piping tuition
KR20060110216A (ko) 타이핑 게임 장치
Kimura et al. SonoSpace: Visual feedback of timbre with unsupervised learning
CN208706088U (zh) 一种盲人钢琴
KR200390537Y1 (ko) 운지법을 표시하는 피아노
Kanke et al. Stick track: a system generating musical score for drums indicating the hitting hand
JPH03184076A (ja) 演奏ナビゲート装置
TWM450030U (zh) 互動式音樂益智教具
Skreinig et al. guitARhero: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Guitar Tuto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