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380B1 -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380B1
KR102158380B1 KR1020180159454A KR20180159454A KR102158380B1 KR 102158380 B1 KR102158380 B1 KR 102158380B1 KR 1020180159454 A KR1020180159454 A KR 1020180159454A KR 20180159454 A KR20180159454 A KR 20180159454A KR 102158380 B1 KR102158380 B1 KR 102158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iculty
note
notes
level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929A (ko
Inventor
이용규
도유철
권희창
김강민
송양의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3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악보에 대한 난이도를 산출하고, 연주자의 수준과 악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악보의 난이도를 연주자의 수준에 대응되도록 조정해서 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연주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악보를 보고 피아노 연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MUSICAL NOTE PROVIDING APPARATUS CONSIDERING DIFFICULTY LEVEL AND LEVEL OF PERFORM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악보에 대한 난이도를 산출하고, 연주자의 수준과 악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악보의 난이도를 연주자의 수준에 대응되도록 조정해서 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피아노 연주자가 자신의 수준에 따른 악보를 구하는 방법은 악보사이트의 게시물을 찾아서 미리 쉽게 편곡된 곡을 찾거나, 요청게시판으로 자신이 원하는 곡의 편곡을 요청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연주자가 악보를 구하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게 되고, 복잡화된 곡을 단순화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연주자가 원하는 수준의 곡을 제공받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보다 연주자의 수준과 취향에 적합한 악보 편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컴퓨터 상에서 악보를 변경하는 프로그램은 많이 있으나, 대부분 음악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 악보를 편집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식이다.
기존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악보를 편곡해주는 서비스도 있으나, 이 또한 음악적 지식이 있는 작곡가 혹은 편곡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사람의 개입없이 음악적 요소를 수정하려는 시도는 지속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서는 연주자의 연주 수준에 따라 악보에 대한 연주 난이도를 적절하게 조정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연주자의 연주 수준에 따라 악보에 대한 연주 난이도를 상향 또는 하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악보에 대한 난이도를 산출하고, 연주자의 수준과 악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악보의 난이도를 연주자의 수준에 대응되도록 조정해서 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연주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악보를 보고 피아노 연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악보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악보 데이터베이스, 악보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기준 음표의 박자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로 다른 음표별 박자 난이도가 기록되어 있는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음표 난이도 테이블 유지부, 상기 복수의 악보들 중 제1 악보에 대한 연주 난이도 산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음표들을 확인하고,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확인하는 박자 난이도 확인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동시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존재하는 동시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동시음 난이도 산출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꾸밈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꾸밈음 난이도 산출부, 상기 제1 악보에서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산출하는 검은건반 비율 산출부,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동시음 난이도 및 꾸밈음 난이도를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의 총 합계를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의 개수로 나누어 마디당 평균 난이도를 연산하는 평균 난이도 연산부 및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곱하여 보정 난이도를 연산하고,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보정 난이도를 기설정된(predetermined) 기준 비율만큼 추가 합산하여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를 연산하는 최종 난이도 연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악보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악보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기준 음표의 박자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로 다른 음표별 박자 난이도가 기록되어 있는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악보들 중 제1 악보에 대한 연주 난이도 산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음표들을 확인하고,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동시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존재하는 동시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꾸밈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서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동시음 난이도 및 꾸밈음 난이도를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의 총 합계를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의 개수로 나누어 마디당 평균 난이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곱하여 보정 난이도를 연산하고,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보정 난이도를 기설정된 기준 비율만큼 추가 합산하여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악보에 대한 난이도를 산출하고, 연주자의 수준과 악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악보의 난이도를 연주자의 수준에 대응되도록 조정해서 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연주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악보를 보고 피아노 연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악보의 정의와 주요 표현 기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대의 서양 악보의 기호를 바탕으로 전자악보의 사용되는 악보 기호의 표현법이 만들어졌다. 전자음악에서는 영문으로 된 현대 악보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하기의 표 1은 마디, 오선, 음자리표, 조표, 박자, 음표, 임시표, 쉼표, 빠르기표에 대한 표기법을 나타낸 것이다.
전자악보 기호명 기호명 기호 표기
Measure 마디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1
Staff 오선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2
Trebel Clef(G clef) 높은음자리표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3
Base Clef(F clef) 낮은음자리표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4
Key Signature 조표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5
Time Signature 박자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6
Note 음표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7
Accidentals 임시표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8
Rest 쉼표
Figure 112018124355890-pat00009
M.M., Metronome 빠르기표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0
마디(Measure)는 악보에서 세로줄로 구분되어 있는 악곡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오선(Staff)은 악보에서 음의 높고 낮음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선이다. 이 오선은 말 그대로 다섯 개의 줄이며, 줄과 줄 사이는 칸이라고 한다. 음자리표는 악상 기호의 일종이다. 높은음자리표(Trebel Clef)는 G음의 자리를 정해준다. 따라서 사(G)음자리표라고도 한다. 낮은음자리표(Base Clef)는 F음의 자리를 정해준다. 따라서, 바(F)음자리표라고도 한다. 조표(Key Signature)는 음자리표와 박자표 사이에 붙은 올림표 또는 내림표를 말한다. 음표 앞에 표기하는 임시표와는 달리 보통의 음표보다 반음이 지속적으로 높거나 낮은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박자(Time Signature)는 악곡의 박자 종류를 가리킨다. 박자는 모두 분수의 형태로 쓰며, 곡의 처음과 박자가 변하는 곳에 각 오선마다 표기한다. 임시표(Accidentals)의 종류로는 올림표(sharp), 내림표(flat), 겹올림표(double sharp), 겹내림표(double flat), 제자리표(natural)가 있다. 올림표는 반음을 올리고, 내림표는 반음을 내린다. 또한, 겹올림표는 온음을 올리고, 겹내림표는 온음을 내리며, 제자리표는 올리거나 내린 것을 원상태로 되돌려준다. 쉼표(Rest)는 길이만큼 쉼을 나타내는 음악기호로, 온쉼표, 2분쉼표, 4분쉼표 등이 있다. 빠르기표(M.M., Metronome)는 곡 전체 또는 일정 부분을 얼마나 빠르게 연주해야 하는지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숫자나 문자를 말한다. 음표(Note)는 음악에서 소리를 내는 것을 표기하는 기호이며 기본음표로는 8온음표, 4온음표, 겹온음표, 2분음표, 4분음표, 8분음표, 16분음표, 32분음표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11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111), 음표 난이도 테이블 유지부(112), 데이터 추출부(113), 박자 난이도 확인부(114), 동시음 난이도 산출부(115), 꾸밈음 난이도 산출부(116), 검은건반 비율 산출부(117), 평균 난이도 연산부(118) 및 최종 난이도 연산부(119)를 포함한다.
악보 데이터베이스(111)에는 복수의 악보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악보 데이터베이스(111)에는 복수의 악보들에 대한 데이터가 MusicXML 포맷으로 구성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MusicXML은 악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표기하는 오픈 포맷이다. MusicXML은 다양한 음악적 표현과 완전한 악보의 기록 및 표현이 가능하며, 현재 Finale, Sibelius, MagicScore, Encore 같은 악보 제작 및 연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활용되고 있고, 서양 음악 악보 기록법에 사용되는 음악 응용프로그램의 표준처럼 사용되고 있다.
음표 난이도 테이블 유지부(112)는 악보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기준 음표의 박자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로 다른 음표별 박자 난이도가 기록되어 있는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는 각 기준 음표의 박자에 따라 개발자에 의해 미리 지정되는 정보이다. 보통, 같은 코드를 치더라도 코드를 구성하는 음표에 따라서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박자가 빨라질수록 어렵다. 따라서, 각 기준 음표의 음표별 박자 난이도는 해당 박자로 악보의 한 마디를 모두 구성하였을때 보다 쉬운 음표들로 구성된 마디보다 어려운 음표로 구성된 마디의 난이도가 더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분음표 2개로 만든 악보보다 빠른박자인 4분음표 4개로 만든 악보가 더 높도록 난이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각 기준 음표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는 하기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1
여기서, T는 각 기준 음표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F는 개발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되는 박자 난이도 지수, B는 각 기준 음표가 악보의 한 마디에 포함될 수 있는 개수로 예컨대, 4/4박자 악보에서는 4분음표가 한 마디에 4개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4분음표에 대한 B는 4가 될 수 있다.
이때, F를 1.2라고 하고, 상기 수학식 1의 연산에 따라 복수의 기준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산출하였다고 하였을 때,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은 하기의 표 2와 같은 예시로 구성될 수 있다.
기준 음표 각 기준 음표의 박자 한마디를 구성하기 위한 기준 음표의 수 B 음표별 박자 난이도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2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3

4박자 1 1.2000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4
3박자 4/3 0.9564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5
2박자 2 0.72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6
3/2박자 8/3 0.6098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7
1박자 4 0.5184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8
3/4박자 16/3 0.4958
Figure 112018124355890-pat00019
1/2박자 8 0.5375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0
3/8박자 32/3 0.6555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1
1/4박자 16 1.1555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2
1/8박자 32 10.6819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3
2/3박자 6 0.4977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4
1/3박자 12 0.7430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5
1/6박자 24 3.3124
데이터 추출부(113)는 상기 복수의 악보들 중 제1 악보에 대한 연주 난이도 산출 명령이 인가되면, 악보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박자 난이도 확인부(114)는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음표들을 확인하고,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이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악보에서 2분음표인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6
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7
의 음표별 박자 난이도는 0.72로 확인할 수 있다.
동시음 난이도 산출부(115)는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동시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존재하는 동시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시음 난이도 산출부(115)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동시음 난이도 지수에 각 음표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동시음의 개수에 1을 차감한 값을 거듭제곱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련해서, 동시음 난이도 산출부(115)는 하기의 수학식 2의 연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8
여기서, Q는 동시음 난이도, G는 기설정된 동시음 난이도 지수, n은 각 음표에서 존재하는 동시음의 개수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 2의 도면부호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동시음을 갖는 음표(211)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상기 동시음 난이도 지수를 1.1이라고 한다면, 음표(211)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는 상기 수학식 2의 연산에 따라 1.1이 될 수 있다.
이렇게, 각 음표에서 존재하는 동시음의 개수에 따라 연산되는 동시음 난이도는 하기의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동시음의 개수 n 동시음 난이도 Q
1개 1
2개 1.1
3개 1.21
4개 1.331
5개 1.4641
꾸밈음 난이도 산출부(116)는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꾸밈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꾸밈음 난이도 산출부(116)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음표에서의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꾸밈음 난이도 지수에 꾸밈음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각각 적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지수값을 거듭제곱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련해서, 꾸밈음 난이도 산출부(116)는 하기의 수학식 3의 연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29
여기서, R은 꾸밈음 난이도, H는 기설정된 꾸밈음 난이도 지수, t는 각 음표에서 꾸밈음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각각 적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지수값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2의 도면부호 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꾸밈음(221)을 갖는 음표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상기 꾸밈음 난이도 지수를 1.1이라고 하고, 꾸밈음이 존재할 때의 지수값 t를 1, 꾸밈음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 지수값 t를 0이라고 한다면, 상기 음표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는 상기 수학식 3의 연산에 따라 1.1이 될 수 있다.
검은건반 비율 산출부(117)는 상기 제1 악보에서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산출한다.
관련해서, 검은건반 비율 산출부(117)는 하기의 수학식 4의 연산에 따라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0
여기서, K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 w는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전체 건반이 사용되는 음의 수, x는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음의 수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 2의 도면부호 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표 1(231)과 음표 2(232)로 구성된을 악보가 있다고 하는 경우, 도면부호 230의 악보에서 피아노의 전체 건반이 사용되는 음의 수는 6개이고,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음의 수는 5개이기 때문에 검은건반 비율 산출부(117)는 상기 수학식 4의 연산에 따라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0.8333으로 산출할 수 있다.
평균 난이도 연산부(118)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동시음 난이도 및 꾸밈음 난이도의 산출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동시음 난이도 및 꾸밈음 난이도를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의 총 합계를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의 개수로 나누어 마디당 평균 난이도를 연산한다.
관련해서, 평균 난이도 연산부(118)는 하기의 수학식 5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1
여기서, P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개별 난이도, T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음표별 박자 난이도, Q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동시음 난이도, R은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꾸밈음 난이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평균 난이도 연산부(118)는 하기의 수학식 6에 기초하여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2
여기서, A는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 Pk는 상기 제1 악보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의 총 개수가 n개라고 하였을 때, 각 음표의 개별 난이도, N은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최종 난이도 연산부(119)는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곱하여 보정 난이도를 연산하고,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보정 난이도를 기설정된(predetermined) 기준 비율만큼 추가 합산하여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를 연산한다.
관련해서, 최종 난이도 연산부(119)는 하기의 수학식 7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난이도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3
여기서, T는 상기 보정 난이도, A는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 K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의미한다.
이때, 최종 난이도 연산부(119)는 하기의 수학식 8에 기초하여 상기 최종 난이도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4
여기서, D는 상기 최종 난이도, A는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 T는 상기 보정 난이도, S는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기준 비율 S는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보정 난이도를 추가로 반영하기 위해 개발자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일종의 가중치를 의미한다.
이렇게,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가 연산 완료되면,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11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상기 최종 난이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주자는 자신이 선택한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난이도를 보고 자신이 제1 악보를 연주할 수 있는 수준이 되는지 여부를 미리 가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110)는 변화 목표량 연산부(120), 대체 음표 생성부(121), 동시음 조정부(122), 꾸밈음 조정 수행부(123) 및 난이도 조정 수행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화 목표량 연산부(120)는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가 연산된 이후,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연주자의 수준에 기초한 난이도 조정 명령이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연주자의 수준을 표상하는 제1 난이도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난이도와 상기 최종 난이도 간의 차이를 변화 목표량으로 연산한다.
관련해서, 변화 목표량 연산부(120)는 하기의 수학식 9에 기초하여 상기 변화 목표량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5
여기서, DUser는 상기 연주자의 수준을 표상하는 상기 제1 난이도, DNote는 상기 제1 악보에 대해서 연산된 최종 난이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가 3.024로 연산된 상황에서 상기 제1 난이도로 4가 입력되었다고 하는 경우, 상기 변화 목표량은 0.976으로 연산될 수 있다.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별로, 각 마디에 지정되어 있는 마디별 박자에 대한 각 음표의 박자의 비율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과 상기 변화 목표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한 후 상기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한다.
관련해서,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하기의 수학식 10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6
여기서, E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 L은 각 음표의 박자, M은 각 마디의 박자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 3의 도면부호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의 마디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마디의 박자는 4박자, 음표 1(311)의 박자는 2박자, 음표 2(312)의 박자는 2박자이기 때문에,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상기 수학식 10에 기초하여 음표 1(311)의 마디별 비중을 0.5로 연산할 수 있고, 음표 2(312)의 마디별 비중을 0.5로 연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에 상기 변화 목표량을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에 각 음표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기준 음표들 중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서 산출된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매칭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갖도록 대체 음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할 수 있다.
관련해서,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하기의 수학식 11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7
여기서, U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음표별 변화량, V는 상기 변화 목표량, E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을 의미한다.
관련해서, 도 3의 도면부호 310과 같이 악보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상기 제1 난이도인 4에 대응하는 음표 1(311)과 음표 2(312)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연산하였다고 하는 경우, 음표 1(311)과 음표 2(312)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은 하기의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음표 마디별 비중 E 변화 목표량 V 음표별 변화량 U
음표 1(311) 0.5 0.976 0.488
음표 2(312) 0.5 0.976 0.488
이렇게, 각 음표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이 연산되면,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하기의 수학식 12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에 각 음표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4355890-pat00038
여기서, dgoal은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 d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U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2의 연산에 따라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음표 1(311)과 음표 2(312)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연산하면, 하기의 표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음표 음표별 박자 난이도 d 음표별 변화량 U 음표별 목표 난이도 d goal
음표 1(311) 0.72 0.488 1.208
음표 2(312) 0.72 0.488 1.208
이렇게,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가 산출되면,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기준 음표들 중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서 산출된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매칭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갖도록 대체 음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할 수 있다.
관련해서,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복수의 기준 음표들 중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서 산출된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최대로 근접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갖도록 대체 음표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박자에 2n배의 박자를 갖는 기준 음표들 중에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응하는 박자만큼 박자를 구성하였을 때의 음표별 박자 난이도가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가장 근접한 음표를 상기 대체 음표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악보의 예시에서 음표 1(311)과 음표 2(311)는 모두 2박자의 음표이기 때문에 상기 표 2에서 2n배의 박자를 갖는 기준 음표들은 4분음표, 8분음표, 16분음표, 32분음표가 있다.
이때, 4분음표의 음표별 박자 난이도는 0.5184이기 때문에 4분음표 2개로 2박자를 구성하게 되면, 2박자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는 1.0368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4분음표, 8분음표, 16분음표, 32분음표로 2박자를 구성하였을 때의 2박자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는 하기의 표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음표 2박자 구성시 음표별 박자 난이도
4분음표 1.0368
8분음표 2.1499
16분음표 9.2442
32분음표 170.9109
이때,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음표 1(311)과 음표 2(312)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가 1.208이라고 한다면, 대체 음표 생성부(121)는 음표별 목표 난이도인 1.208에 가장 근접한 2박자 구성시의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갖는 4분음표를 음표 1(311)과 음표 2(312)에 대한 대체 음표로 선택할 수 있고, 음표 1(311)과 음표 2(312)는 각각 2박자이기 때문에 음표 1(311)과 음표 2(312)에 대한 대체 음표인 4분 음표는 도면부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표 1(311)과 음표 2(312) 각각에 대해 2개씩 대체 음표로 할당될 수 있다.
동시음 조정부(122)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가 생성되면,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하고,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각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난이도의 상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추가하고,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삭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시음 조정부(122)는 상기 동시음의 추가나 삭제를 수행할 때, 기존 대체 음표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동시음을 하나씩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동시음 조정부(122)는 동시음을 추가할 때, 코드별로 사용가능한 음을 매칭시켜둔 소정의 피아노 코드 일람표를 참조하여 기존 대체 음표의 코드에 대응해서 사용가능한 음을 기존 대체 음표에 대한 동시음으로 추가할 수 있다.
관련해서, 동시음 조정부(122)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가 생성되면, 상기 수학식 9 내지 수학식 12의 연산에 따라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동시음 조정부(122)는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각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음표별 목표 난이도가 음표별 박자 난이도보다 높은 경우, 해당 대체 음표에 대해 난이도의 상향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동시음을 1개 추가할 수 있고, 음표별 목표 난이도가 음표별 박자 난이도보다 낮은 경우,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동시음을 1개 삭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도면부호 410에 도시된 악보와 같이 대체 음표 1(411), 대체 음표 2(412)가 생성되었다고 하는 경우, 대체 음표 1(411)과 대체 음표 2(412)에 대해 난이도의 상향이 필요한 경우, 동시음 조정부(122)는 도면부호 42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대체 음표 1(411)과 대체 음표 2(412)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추가할 수 있고, 대체 음표 1(411)과 대체 음표 2(412)에 대해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경우, 동시음 조정부(122)는 도면부호 43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대체 음표 1(411)과 대체 음표 2(412)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삭제할 수 있다.
꾸밈음 조정 수행부(123)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되는 대체 음표 중 꾸밈음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 중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꾸밈음 제거를 수행한다.
예컨대, 도 5의 도면부호 510에 도시된 악보와 같이 대체 음표들이 생성되었다고 하고, 대체 음표(511)에 꾸밈음(512)이 존재하며, 대체 음표(511)의 음표별 목표 난이도가 대체 음표(511)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보다 낮게 연산됨에 따라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경우라면, 꾸밈음 조정 수행부(123)는 도면부호 52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대체 음표(511)에 존재하는 꾸밈음(512)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한 대체 음표의 생성과 동시음 조정 및 꾸밈음 조정이 완료되면, 난이도 조정 수행부(124)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한 대체 음표의 생성 결과와 동시음 조정 및 꾸밈음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악보를 재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난이도 조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난이도 조정이 수행되면, 악보 제공 장치(11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상기 제1 악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때, 연주자는 자신의 연주 수준에 맞게 난이도 조정이 완료된 악보를 보고 피아노 연주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난이도 조정 수행부(124)는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대체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이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련해서, 도 6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난이도 조정 수행부(124)는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대체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을 확인해서, 해당 패턴이 난이도 조정이 수행되기 전의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110)는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의 난이도가 연주자의 수준을 표상하는 난이도에 미치지 못하여 난이도의 상향 또는 하향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한 경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에서 음의 높낮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음표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난이도 조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연주자가 입력한 제1 난이도가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의 최종 난이도보다 아직 많이 높은 경우, 상기 제1 악보의 난이도에 대한 추가 상향이 필요하기 때문에 악보 제공 장치(110)는 상기 제1 악보의 음의 높낮이를 0.5키씩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하면서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증가시켜 볼 수 있고, 상기 제1 난이도에 상기 제1 악보의 최종 난이도가 근접하게 되면, 음의 높낮이 조정을 중단함으로써, 상기 제1 악보의 난이도 조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710)에서는 복수의 악보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단계(S720)에서는 악보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기준 음표의 박자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로 다른 음표별 박자 난이도가 기록되어 있는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단계(S730)에서는 상기 복수의 악보들 중 제1 악보에 대한 연주 난이도 산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단계(S740)에서는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음표들을 확인하고,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확인한다.
단계(S750)에서는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동시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존재하는 동시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한다.
단계(S760)에서는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꾸밈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한다.
단계(S770)에서는 상기 제1 악보에서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산출한다.
단계(S780)에서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동시음 난이도 및 꾸밈음 난이도를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의 총 합계를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의 개수로 나누어 마디당 평균 난이도를 연산한다.
단계(S790)에서는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곱하여 보정 난이도를 연산하고,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보정 난이도를 기설정된 기준 비율만큼 추가 합산하여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를 연산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750)에서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동시음 난이도 지수에 각 음표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동시음의 개수에 1을 차감한 값을 거듭제곱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고, 단계(S760)에서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음표에서의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꾸밈음 난이도 지수에 꾸밈음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각각 적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지수값을 거듭제곱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연주자의 수준에 기초한 난이도 조정 명령이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연주자의 수준을 표상하는 제1 난이도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난이도와 상기 최종 난이도 간의 차이를 변화 목표량으로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별로, 각 마디에 지정되어 있는 마디별 박자에 대한 각 음표의 박자의 비율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과 상기 변화 목표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한 후 상기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가 생성되면,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하고,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각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난이도의 상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추가하고,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삭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되는 대체 음표 중 꾸밈음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 중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꾸밈음 제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한 대체 음표의 생성과 동시음 조정 및 꾸밈음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한 대체 음표의 생성 결과와 동시음 조정 및 꾸밈음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악보를 재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난이도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체 음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에 상기 변화 목표량을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에 각 음표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기준 음표들 중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서 산출된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매칭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갖도록 대체 음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이도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대체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이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111: 악보 데이터베이스 112: 음표 난이도 테이블 유지부
113: 데이터 추출부 114: 박자 난이도 산출부
115: 동시음 난이도 산출부 116: 꾸밈음 난이도 산출부
117: 검은건반 비율 산출부 118: 평균 난이도 연산부
119: 최종 난이도 연산부 120: 변화 목표량 연산부
121: 대체 음표 생성부 122: 동시음 조정부
123: 꾸밈음 조정 수행부 124: 난이도 조정 수행부

Claims (12)

  1. 복수의 악보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악보 데이터베이스;
    악보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기준 음표의 박자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로 다른 음표별 박자 난이도가 기록되어 있는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음표 난이도 테이블 유지부;
    상기 복수의 악보들 중 제1 악보에 대한 연주 난이도 산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음표들을 확인하고,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확인하는 박자 난이도 확인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동시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존재하는 동시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동시음 난이도 산출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꾸밈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꾸밈음 난이도 산출부;
    상기 제1 악보에서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산출하는 검은건반 비율 산출부;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동시음 난이도 및 꾸밈음 난이도를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의 총 합계를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의 개수로 나누어 마디당 평균 난이도를 연산하는 평균 난이도 연산부;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곱하여 보정 난이도를 연산하고,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보정 난이도를 기설정된(predetermined) 기준 비율만큼 추가 합산하여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를 연산하는 최종 난이도 연산부;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연주자의 수준에 기초한 난이도 조정 명령이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연주자의 수준을 표상하는 제1 난이도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난이도와 상기 최종 난이도 간의 차이를 변화 목표량으로 연산하는 변화 목표량 연산부;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별로, 각 마디에 지정되어 있는 마디별 박자에 대한 각 음표의 박자의 비율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과 상기 변화 목표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한 후 상기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하는 대체 음표 생성부;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가 생성되면,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하고,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각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난이도의 상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추가하고,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삭제하는 동시음 조정부;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되는 대체 음표 중 꾸밈음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 중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꾸밈음 제거를 수행하는 꾸밈음 조정 수행부; 및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한 대체 음표의 생성과 동시음 조정 및 꾸밈음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한 대체 음표의 생성 결과와 동시음 조정 및 꾸밈음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악보를 재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난이도 조정을 수행하는 난이도 조정 수행부
    를 포함하는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음 난이도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동시음 난이도 지수에 각 음표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동시음의 개수에 1을 차감한 값을 거듭제곱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하고,
    상기 꾸밈음 난이도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음표에서의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꾸밈음 난이도 지수에 꾸밈음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각각 적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지수값을 거듭제곱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음표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에 상기 변화 목표량을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에 각 음표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기준 음표들 중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서 산출된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매칭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갖도록 대체 음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하는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이도 조정 수행부는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대체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이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6. 복수의 악보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악보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기준 음표의 박자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로 다른 음표별 박자 난이도가 기록되어 있는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악보들 중 제1 악보에 대한 연주 난이도 산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음표들을 확인하고, 상기 음표 난이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동시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존재하는 동시음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꾸밈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서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악보에서 피아노의 검은건반으로 연주해야 하는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 동시음 난이도 및 꾸밈음 난이도를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개별 난이도의 총 합계를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의 개수로 나누어 마디당 평균 난이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검은건반 음의 존재 비율을 곱하여 보정 난이도를 연산하고, 상기 마디당 평균 난이도에 상기 보정 난이도를 기설정된(predetermined) 기준 비율만큼 추가 합산하여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최종 난이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연주자의 수준에 기초한 난이도 조정 명령이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연주자의 수준을 표상하는 제1 난이도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난이도와 상기 최종 난이도 간의 차이를 변화 목표량으로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마디별로, 각 마디에 지정되어 있는 마디별 박자에 대한 각 음표의 박자의 비율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과 상기 변화 목표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한 후 상기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가 생성되면,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하고, 각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각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난이도의 상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추가하고,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동시음을 1개씩 삭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되는 대체 음표 중 꾸밈음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에 대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에 대응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대체 음표 중 난이도의 하향이 필요한 대체 음표에 대해 꾸밈음 제거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한 대체 음표의 생성과 동시음 조정 및 꾸밈음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한 대체 음표의 생성 결과와 동시음 조정 및 꾸밈음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악보를 재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악보에 대한 난이도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동시음 난이도 지수에 각 음표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동시음의 개수에 1을 차감한 값을 거듭제곱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동시음 난이도를 산출하고,
    상기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각 음표에서의 꾸밈음의 존재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꾸밈음 난이도 지수에 꾸밈음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각각 적용하기 위한 기설정된 서로 다른 지수값을 거듭제곱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꾸밈음 난이도를 산출하는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음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마디별 비중에 상기 변화 목표량을 곱하여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연산하고,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한 음표별 박자 난이도에 각 음표에 대한 음표별 변화량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의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한 음표별 목표 난이도를 산출한 후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기준 음표들 중 상기 복수의 음표들 각각에서 산출된 음표별 목표 난이도에 매칭되는 음표별 박자 난이도를 갖도록 대체 음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음표들에 대응하는 대체 음표를 생성하는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이도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대체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이 상기 제1 악보를 구성하는 각 마디에 존재하는 음표들의 상향 또는 하향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난이도 조정이 수행된 제1 악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악보에 대한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6항, 제7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제7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59454A 2018-12-11 2018-12-11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8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54A KR102158380B1 (ko) 2018-12-11 2018-12-11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54A KR102158380B1 (ko) 2018-12-11 2018-12-11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29A KR20200071929A (ko) 2020-06-22
KR102158380B1 true KR102158380B1 (ko) 2020-09-22

Family

ID=7114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454A KR102158380B1 (ko) 2018-12-11 2018-12-11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0741A (zh) * 2021-06-15 2021-09-28 吴昊臻 一种基于音频和手部关节的钢琴陪练评价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456B1 (ko) 2012-12-17 2014-08-12 조성일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KR101428457B1 (ko) 2012-12-17 2014-08-12 조성일 사용자 맞춤형 악보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14432B1 (ko) 2015-09-03 2017-03-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악보의 난이도 수준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95760B1 (ko) 2015-12-28 2017-11-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악보의 레벨을 분류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456B1 (ko) 2012-12-17 2014-08-12 조성일 사용자 맞춤형 악기교육 장치
KR101428457B1 (ko) 2012-12-17 2014-08-12 조성일 사용자 맞춤형 악보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14432B1 (ko) 2015-09-03 2017-03-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악보의 난이도 수준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95760B1 (ko) 2015-12-28 2017-11-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악보의 레벨을 분류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29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2335B2 (ja) フォルマント変換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US89071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training
CN104134380A (zh) 乐器电子仿真学习工具
Marissen The Social and Religious Designs of JS Bach's Brandenburg Concertos
WO2007092479A2 (en) Braille music systems and methods
Johnston " Maximum Clarity" and Other Writings on Music
CN106463104A (zh) 为用户提供关于卡拉ok歌曲表演的反馈的方法
Tenzer Analytical studies in world music
KR102158380B1 (ko) 난이도와 연주자의 수준을 고려한 악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Bisesi et al. An accent-based approach to automatic rendering of piano performance: Preliminary auditory evaluation
Hagel Reconstructing the auloi from Queen Amanishakheto’s Pyramid
US202100431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osing music with chord accompaniment
Nida et al. The Study Of Western Music History And Development Of Music In Indonesia
Lai A theory of pitch organization in the early music of Chou Wen-chung
Luci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Mohapeloa Critical Edition
Wannamaker The Music of James Tenney: Volume 2: A Handbook to the Pieces
KR20200014060A (ko) 악보 생성 방법 및 악보 제공 방법
JP2015060203A (ja) 演奏データとオーディオデータの同期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lconer The case for Casella: towards new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Italian Modernist pianist-composer
Zhao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Violin Tone in the Computer Music
De'Ath JS Bach, allegory, and the" Kreuz" motif, part 1
KR101333163B1 (ko) 재생속도조절이 가능한 음악파일 재생장치 및 방법
Fox Stockhausen's plus minus, More or Less: Written in Sand
JP6177091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Charlston Patterns of play: Orlando Gibbons, Simon Lohet, and JS Bach’s Fugue in E Major BWV 878/2. Part 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