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063B1 -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 Google Patents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063B1
KR100499063B1 KR10-2003-0038039A KR20030038039A KR100499063B1 KR 100499063 B1 KR100499063 B1 KR 100499063B1 KR 20030038039 A KR20030038039 A KR 20030038039A KR 100499063 B1 KR100499063 B1 KR 10049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body
microphone
directional
microphones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149A (ko
Inventor
김정민
조금행
이상호
황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KR10-2003-003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063B1/ko
Priority to PCT/KR2003/001756 priority patent/WO2004112426A1/en
Priority to AU2003256118A priority patent/AU2003256118A1/en
Priority to CNA03818186XA priority patent/CN1672459A/zh
Publication of KR2004010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좌우 두개의 마이크로폰을 인입식으로 구성하여 오프시에는 두개의 마이크로폰이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스테레오 특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는 지향성을 갖는 두개의 마이크 유니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마이크 유니트 각각에 회동아암이 구비되는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과, 상기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삽입몸체; 상기 삽입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삽입몸체가 수평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몸체와 상기 지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조인트로 구성되어, 사용시에는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인출하여 상기 삽입몸체와 수직이 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상기 삽입몸체 내측으로 인입하여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LEAD-IN STRUCTURE OF EXTERIOR STEREO MICROPHONE }
본 발명은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우수한 스테레오 특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오프시에는 인입식으로 전체 크기를 줄임으로써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레오(Stereo)란 입체음향을 뜻하는 영어단어 ‘stereophonic sound' 의 줄임 말로, 간단히 말해서 2채널(좌, 우)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단 1개의 채널로 이루어진 것은 모노럴(monoral)이라고 한다.
한편, 사람들은 소리를 듣고 양쪽 귀에 전달되는 소리의 세기 및 도달시간의 차이를 포착하여 음원(音源)의 방향을 식별하는 능력이 가지고 있는데, 이를 양이효과(binaural effect)라고 한다. 즉, 인간의 귀가 양쪽에 있기 때문에 한쪽만의 귀로 듣는 경우와 양쪽 귀로 듣는 경우, 귀의 고막에 전달되는 음압의 크기 및 시간차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양이효과로 인하여 작은 소리에도 소리의 방향 및 원근감을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전술한 스테레오는 이러한 인간의 양이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양쪽 귀처럼 마이크로폰을 좌우 두 채널로 구분하여 배치함으로써 현장감, 음장감(臨場感), 음감의 실현을 인간의 귀와 유사하게 구현하고 있다. 스테레오로 녹음된 소리는 모노보다 입체감이 살아있으며, 정확한 위치에서 청취하면 그 효과(현장감, 음장감 등)가 극대화되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이러한 스테레오 방식을 사운드의 기본 녹음 재생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두개의 마이크로폰에 수음된 음향신호를 별개의 전송로를 통하여 소정 거리(약 2~3m 정도) 떨어져 있는 좌우 2개의 스피커(1,2)로 각각 재생하고, 청취자가 두 스피커(1,2)를 밑변으로 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꼭지점(P) 부근에서 두 스피커(1,2)로부터 재생되는 음향신호(S1,S2)를 들으면, 청취자의 양쪽 귀에 세기 및 도달시간이 각각 다른 음이 청취되어 음원의 위치가 재현되는 것처럼 느껴지게 된다. 이때,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두 스피커(1,2)간 거리에 따라, 또는 꼭지점(P)에 해당되는 청취자의 위치에 따라 음의 세기 및 도달시간이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두 스피커(1,2)로부터 재생되는 음향신호(S1,S2)는 두 음향신호(S1,S2)가 재생되는 스피커(1,2)간 거리(d)와, 이를 청취하는 청취자의 위치(삼각형 꼭지점(P)의 위치), 및 각도(θ)에 따라 레벨차가 발생되고 발생된 레벨차는 주파수를 변화시키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스테레오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우수한 스테레오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신호(S1,S2)가 재생되는 두개의 스피커(1,2) 즉, 두 마이크로폰의 위치 및 거리 차이가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한다. 만약, 두 채널의 마이크로폰간 거리가 일정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오히려 스테레오 특성이 감소하게 되며, 청취자가 일정 위치에 설치된 두개의 스피커(1,2)와 먼 거리에 위치하게 되면 음성의 원근감이 줄어들어 오히려 음향신호를 정확히 구별할 수 없어 우수한 스테레오 특성을 제공할 수 없다.
도 2는 기존에 상용화된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스테레오 마이크로폰(10)은 스테레오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두 개의 마이크로폰(12,14)간 거리를 일정 거리이상 유지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었다.
즉, 전기적 플러그(15)를 연결하는 지지몸체(13)를 중앙에 두고 지지몸체(13)의 양측에 지지부재(12a,14a)가 구비된 두 개의 마이크로폰(12,14)을 지지몸체(13)와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함으로써 양측의 마이크로폰(12,14)의 지지부재(12a,14a)에 의해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마이크로폰(12,14) 사이의 거리는 우수한 스테레오 효과를 얻도록 약 15㎝ 이상 떨어져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존의 스테레오 마이크로폰(10)은 스테레오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두개의 마이크로폰간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전체 크기를 줄이는데 제한이 따르며, 이동시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체적으로 크기가 큰 캠코더 등에 주로 이용되며 외부기기와 연계시 외부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우 두개의 마이크로폰을 인입식으로 구성하여 오프시에는 두개의 마이크로폰이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스테레오 특성을 제공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는, 지향성을 갖는 두개의 마이크 유니트를 조합하여 스테레오 기능을 제공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니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마이크 유니트 각각에 회동아암이 구비되는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과, 상기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삽입몸체; 상기 삽입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삽입몸체가 수평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몸체와 상기 지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조인트로 구성되어, 사용시에는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인출하여 상기 삽입몸체와 수직이 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상기 삽입몸체 내측으로 인입하여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폰은 단일 지향성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회동아암은 직경이 다른 제1 마디관과 제2 마디관이 상호 면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좌우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회동아암은 상기 삽입몸체 내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고,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사용 동작시 측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오프시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100)은 후술하는 두개의 마이크로폰(20-1,20-2)을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몸체(10)와, 삽입몸체(10)를 중앙에 두고 양측면에 삽입몸체(10)와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 삽입몸체(10)를 지지하도록 삽입몸체(10) 하면에 설치되는 지지몸체(30), 삽입몸체(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삽입몸체(10)와 지지몸체(30)간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40), 지지몸체(30)에 연결되는 플러그(50)로 구성되어,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은 한방향으로만 전달되는 음만을 선택적으로 수음하는 단일 지향성으로, 내부에 단일 지향성의 마이크 유니트(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이크 유니트가 용이하게 인입/입출되도록 제1 마디관(21a-1,21a-2)과 제2 마디관(21b-1,21b-2)으로 이루어지는 회동아암(21-1,21-2)이 구비되는 한편, 마이크 유니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음원을 수음하기 위하여 일부분에 그릴망(23-1,23-2)이 씌워져 있다. 이때, 그릴망(23-1,23-2)으로 감싼 마이크 유니트는 제2 마디관(21b-1,21b-2)의 일단에 위치되고, 제2 마디관(21b-1,21b-2)은 제1 마디관(21a-1,21a-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디관(21a-1,21a-2)은 양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되, 삽입몸체(10)의 내측과 연결되는 개구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턱(22)이 형성되고, 제2 마디관(21b-1,21b-2)의 타단과 연결되는 개구면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걸림턱(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마디관(21b-1,21b-2)은 제1 마디관(21a-1,21a-2)의 걸림턱2(22')에 걸려지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턱(22'')이 형성되고, 그릴망(23-1,23-2)이 씌워진 마이크 유니트는 제1 및 제2 마디관(21a-1,21a-2,21b-1,21b-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아암(21-1,21-2)이 슬라이딩되어 상호 면접촉하면서 외부로 인출되면, 제1 마디관(21a-1,21a-2)의 걸림턱1(22)은 삽입몸체(10)에 걸리게 되고, 제2 마디관(21b-1,21b-2)의 걸림턱3(22'')은 제1 마디관(21a-1,21a-2)의 걸림턱2(22')에 걸리게 되어 상호 지지되는 한편, 내부로 인입시에는 제2 마디관(21b-1,21b-2)이 제1 마디관(21a-1,21a-2) 내로 삽입되어 마이크 유니트에 의해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조인트(40)는 삽입몸체(10)와 지지몸체(30)를 연결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삽입몸체(10)가 자체내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100)을 사용시에는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이 일정 위치까지 인출함으로써 스테레오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거리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을 인입식으로 삽입몸체(10) 내로 2단 인입함으로써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삽입몸체(10) 자체를 회전하여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을 임의에 따라 위치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100)은 스테레오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에 들어오는 음의 레벨차를 이용하여 작용한다. 음의 레벨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두개의 마이크로폰(20-1,20-2) 사이에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 오른쪽에서 들어오는 신호와 왼쪽에서 들어오는 신호의 크기를 각가 조절하여 수음한다.
예컨대, 좌우 R채널과 L채널로 구분되는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에서 음원이 R채널의 지향성 마이크로폰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 음원은 R채널에 도달되는 시간보다 L채널에 도달되는 시간이 지연될 것이다. 지연되는 L채널의 출력신호는 내부의 제어회로를 통하여 거의 상쇄되어 출력되므로 이것에 의하여 스테레오감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음원이 L채널의 지향성 마이크로폰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L채널에 도달되는 시간이 빠르고 R채널의 출력이 상쇄되어, 음원이 L채널에서만 재생되기 때문에 왼쪽에서 소리가 들리게 된다. 그리고, R채널과 L채널의 중앙에 위치된 음원은 R채널과 L채널에 각각 동일한 소리의 감도로 수음되어 재생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중앙에서 소리가 나는 듯한 이미지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100)의 슬라이딩 동작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나, 외부의 구동스위치에 의한 자동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수동 조작에 의한 구동은 사용자가 직접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을 삽입 또는 출몰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자동 조작에 의한 구동은 구동스위치의 설정에 따른 전동모터(도4a의 11)의 회동에 의하여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이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는 전동모터(11)에 의해 구동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100)의 사용 동작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로, 삽입몸체(10) 내부에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을 슬라이딩 하기 위한 전동모터(11)와, 전동모터(11)의 회전축(23)과 결합되어 회동되는 모터풀리(13), 및 일단이 모터풀리(13)에 권회되고 타단이 양측 회동아암(21-1,21-2)의 중앙공간부를 통하여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과 각각 연결되는 강선(14-1,14-2)으로 구비되어 있다.
즉,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다수의 마디관(21a-1,21a-2,21b-1,21b-2)으로 구성되는 회동아암(21-1,21-2)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일단이 모터풀리(13)에 감겨져 있는 강선(14-1,14-2)은 제1 및 제2 마디관(21a-1,21a-2,21b-1,21b-2)의 중앙공간부를 통과하여 제2 마디관(21b-1,21b-2)에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모터풀리(13)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제2 마디관(21b-1,21b-2)과 각각 연결되는 강선(14-1,14-2)이 권회되도록 요홈(13a,13b)을 두 층으로 각각 형성하고 형성된 요홈(13a,13b)에 각각의 강선(14-1,14-2)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회함으로써, 전동모터(11)의 회동에 의해 모터풀리(13)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어도 두 줄의 강선(14-1,14-2)이 동시에 인입/인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이 온(on)되어 전동모터(11)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면 모터풀리(13)에 감겨져 있는 강선(14-1,14-2)이 서서히 풀어지는 동시에 양측의 제1 마디관(21a-1,21a-2)과 제2 마디관(21b-1,21b-2)이 상호 슬라이딩되어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이 외부로 인출되고, 전동모터(11)가 타방향으로 회동되면 풀려진 강선(14-1,14-2)이 모터풀리(13)에 감겨지는 동시에 양측의 제1 마디관(21a-1,21a-2)과 제2 마디관(21b-1,21b-2)이 상호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이 삽입몸체(10)로 인입된다.
인입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지향성 마이크로폰(20-1,20-2)의 제2 마디관(21b-1,21b-2)이 각각의 제1 마디관(21a-1,21a-2)에 삽입되고, 제2 마디관(21b-1,21b-2)이 내삽된 제1 마디관(21a-1,21a-2)은 삽입몸체(10)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양측의 회동아암(21-1,21-2)이 삽입몸체(10)에 중앙의 모터풀리(13)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어 인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면, 회동아암(21-1,21-2)은 순차적으로 삽입몸체(10) 내로 인입되어 내부의 마이크 유니트를 감싸는 그릴망(23-1,23-2)의 일부만 삽입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5a는 도 3b에 도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사용 동작시 측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b에 도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오프시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200)은 후술하는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을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몸체(210)와, 삽입몸체(210)를 중앙에 두고 양측면에 삽입몸체(210)와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 삽입몸체(210)를 지지하도록 삽입몸체(210) 하면에 설치되는 지지몸체(230), 삽입몸체(2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삽입몸체(210)와 지지몸체(230)간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240), 지지몸체(230)에 연결되는 플러그(250)로 구성되어,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이 상하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삽입몸체(210)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몸체(230)에는 양측면의 중앙 부위가 내부로 파여지는 삽입공간(R)이 형성되어 있어,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이 내측으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삽입공간(R)은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이 내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간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은 한방향으로만 전달되는 음만을 선택적으로 수음하는 단일 지향성으로, 내부에 단일 지향성의 마이크 유니트(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이크 유니트가 슬라이딩 되도록 회동아암(221-1,221-2)이 구비되는 한편, 마이크 유니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음원을 수음하기 위하여 일부분에 그릴망(223-1,223-2)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220-1,220-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마이크로폰(20-1,20-2)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나 전동모터에 의해서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5a를 참조하여 전동모터(221)에 의해 구동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2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삽입몸체(210)의 내측 하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211)가 구비되고, 전동모터(211)의 회전축(212)에 결합되어 전동모터(212)의 회전동력을 상하 직선이동력으로 전달하는 워엄기어(213)가 구비되는 한편, 워엄기어(213)에 맞물려 상하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휠기어(241)가 워엄기어(213)를 중앙에 두고 각각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의 끝단면은 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휠기어(214)를 연결함으로써 상하 회동시 삽입몸체(210) 내에서 유연하게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200)을 사용시, 외부에 설치된 구동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동모터(211)가 회동되면 워엄기어(213)가 회동되어 워엄기어(213)에 맞물려 있는 각각의 휠기어(214)가 A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이 90도 상방으로 회동됨으로써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이 삽입몸체(210)와 수직되게 인출된다.
사용 후, 전술한 구동스위치를 다시 조작하여 전동모터(211)가 역회전되게 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엄기어(213) 또한 역회전되어 워엄기어(213)에 맞물려 있는 각각의 휠기어(214)가 B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220-1,220-2)이 90도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를 설명한 실시 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시에는 두개의 마이크로폰을 일정 거리로 인출하였다가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인출된 두개의 마이크로폰을 내측으로 인입함으로써 스테레오 이미지를 충분히 살리면서도 콤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이동시에 휴대가 편리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현재 개발되고 있는 모든 촬용 기기에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테레오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일반적인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존에 상용화된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를 나타낸 실시예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사용 동작시 측단면도,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오프시 측단면도,
도 5a는 도 3b에 도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사용 동작시 측단면도,
도 5b는 도 3b에 도시된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오프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10,210;삽입몸체
20-1,20-2,220-1,220-2;지향성 마이크로폰 30,230;지지몸체
11,211;전동모터 12,212;회전축
13;모터풀리 13a,13b;요홈
14-1,14-2;강선 213;워엄기어
214;휠기어 21a-1,21a-2;제1 마디관
21-1,21-2,221-1,221-2;회동아암 21b-1,21b-2;제2 마디관
23-1,23-2,223-1,223-2;그릴망 40,240;연결조인트
50,250;플러그

Claims (8)

  1. 지향성을 갖는 두개의 마이크 유니트를 조합하여 스테레오 기능을 제공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니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마이크 유니트 각각에 회동아암이 구비되는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과,
    상기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삽입몸체;
    상기 삽입몸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삽입몸체가 수평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몸체와 상기 지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조인트로 구성되어,
    사용시에는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인출하여 상기 삽입몸체와 수직이 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상기 삽입몸체 내측으로 인입하여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은 단일 지향성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은
    직경이 다른 제1 마디관과 제2 마디관이 상호 면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좌우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폰은 수동에 의하거나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몸체의 내부에 상기 전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모터풀리가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모터풀리에 감겨지고 타단은 상기 제1 마디관과 제2 마디관의 중앙공간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마디관에 고정되는 강선이 각각 두개 구비되어, 상기 강선들이 상기 모터풀리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고 풀어짐에 따라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좌우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은
    상기 삽입몸체 내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폰은 수동에 의하거나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몸체의 내부에 상기 전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하 직선이동력으로 변환하는 워엄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워엄기어에 맞물려 상하 직선으로 이동하는 휠기어가 상기 워엄기어를 중앙에 두고 각각 구비되는 한편, 상기 휠기어가 상기 회동아암의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휠기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양측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인입/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KR10-2003-0038039A 2003-06-12 2003-06-12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KR100499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039A KR100499063B1 (ko) 2003-06-12 2003-06-12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PCT/KR2003/001756 WO2004112426A1 (en) 2003-06-12 2003-08-29 External stereo microphone assembly having built-in structure
AU2003256118A AU2003256118A1 (en) 2003-06-12 2003-08-29 External stereo microphone assembly having built-in structure
CNA03818186XA CN1672459A (zh) 2003-06-12 2003-08-29 具有内置结构的外部立体声麦克风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039A KR100499063B1 (ko) 2003-06-12 2003-06-12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149A KR20040107149A (ko) 2004-12-20
KR100499063B1 true KR100499063B1 (ko) 2005-07-01

Family

ID=3355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039A KR100499063B1 (ko) 2003-06-12 2003-06-12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499063B1 (ko)
CN (1) CN1672459A (ko)
AU (1) AU2003256118A1 (ko)
WO (1) WO20041124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425A1 (ko) * 2019-11-29 2021-06-03 권순근 방향 전환 가능한 다기능 마이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75B1 (ko) * 2005-02-14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음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9576B1 (ko) * 2006-03-02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출력 장치
KR100734045B1 (ko) * 2006-04-11 2007-07-02 김성기 소형 마이크
GB2491636A (en) * 2011-06-10 2012-12-12 Clockaudio Ltd Lift/lower microphone actuator with stepping motor
JP5790414B2 (ja) 2011-11-02 2015-10-0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ステレオマイク装置
JP5786654B2 (ja) 2011-11-02 2015-09-3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ステレオマイク装置
US9699539B2 (en) 2014-09-03 2017-07-04 Ik Multimedia Production Srl Stereo microphone for mobile devices
GB2540224A (en) * 2015-07-08 2017-01-11 Nokia Technologies Oy Multi-apparatus distributed media capture for playback control
JP6389816B2 (ja) * 2015-10-02 2018-09-12 株式会社ズーム ステレオ録音用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EP3200473A1 (en) * 2016-01-29 2017-08-02 Albiral Display Solutions, S.L. Retractable microphone assembly
CN108519434A (zh) * 2018-04-10 2018-09-11 刘明亮 一种现场隔声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84Y1 (ko) * 1985-07-12 1989-05-08 주식회사 금성사 영상카메라의 마이크로폰 녹음시스템
JPH05308695A (ja) * 1992-04-30 1993-11-19 Sony Corp 内蔵型ステレオマイクロフォン
JP3075809U (ja) * 2000-08-23 2001-03-06 新世代株式会社 カラオケ用マイ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425A1 (ko) * 2019-11-29 2021-06-03 권순근 방향 전환 가능한 다기능 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149A (ko) 2004-12-20
AU2003256118A1 (en) 2005-01-04
CN1672459A (zh) 2005-09-21
WO2004112426A1 (en)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7731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再生システム
CN109379654B (zh) 一种降噪空气导管麦克风、降噪安全耳机及降噪安全蓝牙耳机
US3985960A (en) Stereophonic sound reproduction with acoustically matched receiver units effecting flat frequency response at a listener's eardrums
KR100499063B1 (ko) 외장형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의 인입식 구조체
US20070230735A1 (en) Selective type headset
KR20200101834A (ko) 안전 이어폰
US20030103637A1 (en) Headphone
CN103179483B (zh) 具有多动态驱动单元的入耳式耳机
JP2010516122A (ja) 自己内臓式デュアルイヤバッドまたはイヤホ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用途
WO2010106957A1 (ja) ヘッドホン
CN103155589A (zh) 耳道耳塞式声响系统
JP4868459B2 (ja) バイノーラル録音兼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フォン
US20100193221A1 (en) Cable management device, audio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cables
US10028058B2 (en) VSR surround sound tube headphone
EP1318692A1 (en) Headphone
JP3206640B2 (ja) ヘッドフォン装置
WO2008152539A1 (en) A cable management device, and a method of managing cables of an audio playback apparatus
US8577064B2 (en) Sound capturing and guiding system from stereo speakers packed together in a closed box and heard as stereo sound coming from various directions
JP4707160B2 (ja) ヘッドホン
JP2008153856A (ja) 中継コード
KR200357331Y1 (ko) 다채널 헤드폰
JPH0851686A (ja) 密閉形ステレオヘッドホーン装置
JP2005354560A (ja) 多チャンネルの指向を導く構造付きイヤホン
US11240620B2 (en) Methods for making spatial microphone subassemblies, record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left and right ear sounds for use in virtual reality playback
JP3087890U (ja) ヘッドホン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