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016B1 -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016B1
KR100320016B1 KR1019990045948A KR19990045948A KR100320016B1 KR 100320016 B1 KR100320016 B1 KR 100320016B1 KR 1019990045948 A KR1019990045948 A KR 1019990045948A KR 19990045948 A KR19990045948 A KR 19990045948A KR 100320016 B1 KR100320016 B1 KR 10032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ransmission
portable karaoke
connector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747A (ko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주식회사 엔터기술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101999004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0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1)의 일측에 마이크(3)가 형성되고, 마이크(1)의 전면에는 선곡을 위한 키이부(2)와 표시부(4)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있어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의 일단에 형성된 개방부(10)와;
상기 케이스(1)의 끝부분으로 부터 연장형성되고, 그 일단이 케이스(1)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1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장착된 기판(12) 상에 결합되며, 그 몸체가 상기 수납부(11)의 내부로 돌출되는 제 1 콘넥터(13)와;
상기 수납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회로가 구성되며, 그 일측에는 제 1 콘넥터(13)와 접속되어 송수신회로가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제어회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 2 콘넥터 (14)가 형성되어 있는 송수신모듈(15)과;
상기 케이스(1)의 개방부(10)를 개폐하는 덮개(1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에는 수납부(11)로 삽입되는 송수신모듈(15)이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7)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무선 송수신모듈을 착탈할 수 있고, 송수신모듈이 모듈화되어 분리되므로 메인기판의 부피감소되므로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들고 노래할 수 있으며, 넓이가 제한된 메인기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Moduliz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of potable accompanimenting machine}
본 발명은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무선 송수신모듈을 착탈할 수 있고, 송수신모듈이 모듈화되어 분리되므로 메인기판의 부피감소되므로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들고 노래할 수 있으며, 넓이가 제한된 메인기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노래방기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형성된 것으로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의 상단으로 사용자의 육성을 전기적인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3)가 형성되고, 케이스(1)의 일면에는 선곡을 위한 키이부(2) 및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전체적인 동작상황을 표시해주는 표시부(4)가 형성되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선곡할 수 있는 여러곡에 대한 반주데이타 및 화면상에 출력될 배경영상에 대한 영상신호가 저장되고, 이 저장된 신호들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제어회로가 기판상에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노래방기기는 사용자가 키이부(2)를 조작하여 선택한 곡의 반주음, 자막, 배경영상 등을 라디오 또는 TV와 같은 영상표시기기로 무선 송출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자막과 배경영상은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고, 반주음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있고, 일반가정에 구비되어 있는 오디오기기 또는 차량 내에 설치된 카오디오를 통해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체를 잡고 반주음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노래방기기는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회로가 모두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기판상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제어회로 및 송신회로를 기판상에 구성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기판의 크기가 커지게되고, 이에따라 기판이 내장되기 위한 케이스의 크기 또한 커지게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손쉽게 잡고 노래를 부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국내를 포함한 해외 여러나라에서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기기에 대한 주파수 제한이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기판상에 송신회로를 구성하게되면 각국의 무선 송신기기에 대한 주파수규제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노래방기기 케이스의 일부분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에는 데이타의 송신과 수신기능을 갖는 송수신모듈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무선 송수신모듈을 착탈할 수 있고, 송수신모듈이 모듈화되어 분리되므로 메인기판의 부피감소되므로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들고 노래할 수 있으며, 넓이가 제한된 메인기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의 일측에 마이크가 형성되고, 마이크의 전면에는 선곡을 위한 키이부와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있어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일단에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케이스의 끝부분으로 부터 연장형성되고, 그 일단이 케이스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기판 상에 결합되며, 그 몸체가 상기 수납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제 1 콘넥터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회로가 구성되며, 그 일측에는 제 1 콘넥터와 접속되어 송수신회로가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제어회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 2 콘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송수신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수납부로 삽입되는 송수신모듈이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송수신모듈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키이부
3 : 마이크 4 : 표시부
10 : 개방부 11 : 수납부
12 : 기판 13 : 제 1 콘넥터
14 : 제 2 콘넥터 15 : 송수신모듈
16 : 덮개 17 : 가이드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0은 개방부를 나타내는데,이 개방부(10)는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개방부(10)를 통해 송수신모듈(15)이 착탈되며, 개방부(10)는 별도의 덮개(1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덮개(16)는 개방부(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원터치 타입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개방부(10)가 형성된 케이스(1)의 끝부분에는 송수신모듈(15)이 장착되기 위한 수납부(11)가 형성되는데, 이 수납부(11)는 케이스(1)의 끝부분으로 부터 좁고 길게 연장 형성하되, 그 일단에 케이스(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이 수납부(11)에 송수신모듈(15)이 장착되었을때 송수신모듈(15)이 케이스(1) 내부에 장착된 기판(12)과 접속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기판(12)은 케이스(1)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 기판(12) 상에는 사용자가 선곡한 반주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여러가지 제어회로가 구현되어 있으며, 그 끝부분에는 송수신모듈(15)과 접속되기 위한 제 1 콘넥터(13)가 설치된다.
이 제 1 콘넥터(13)는 그 몸체가 수납부(11)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수납부(11)로 착탈되는 송수신모듈(15)과의 접속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송수신모듈(15)은 그 내부에 영상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으로는 상기 제 1 콘넥터(13)와 접속되어 송수신회로가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제어회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 2 콘넥터(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수신모듈(15)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수납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17은 가이드돌기를 나타내는데, 이 가이드돌기(17)는 케이스(1) 상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납부(11)로 삽입되는송수신모듈(15)이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영상 및 음성신호의 무선 송,수신 기능을 별도의 송수신모듈(15)에 구성하고, 이 송수신모듈(15)을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송수신모듈(15)을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착탈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1)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16)를 개방시켜 개방부(10) 상에 형성된 수납부(11)가 노출되도록 한 후 이 수납부(11)에 송수신모듈(15)을 결합하되, 송수신모듈(15)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콘넥터(14)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한다.
송수신모듈(15)을 수납부(11)에 삽입하면, 수납부(11) 내부로 돌출되도록 기판(12) 상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콘넥터(13)에 제 2 콘넥터(14)가 결합되므로서, 송수신모듈(15)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송수신회로가 기판(12)상에 설치된 제어회로와 연결되면서 송수신모듈(15)은 제어회로로 부터 무선 송신할 영상 및 음성신호를 공급받아 영상표시기기 또는 라디오로 송신하며, 외부의 영상재생기기로 부터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해주는 영상 및 음성신호 송수신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송수신기능을 별도의 송수신모듈(15)에 구현하여 착탈식으로 사용하게 되면,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기판(12)에 설치된 부품이 감소되므로 기판(12)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크기 또한 감소하게 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들고 편하게 노래를 부를 수 있게된다.
또한, 모듈화된 송수신모듈(15)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용 노래방기기와 출력수단(영상표시기기, 라디오와 같은 음성출력기기)을 전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해외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무선송신 주파수에 관한 규제를 손쉽게 벗어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노래방기기 케이스의 일부분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에는 데이타의 송신과 수신기능을 갖는 송수신모듈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무선 송수신모듈을 착탈할 수 있고, 송수신모듈이 모듈화되어 분리되므로 메인기판의 부피감소되므로 전체적인 크기가 축소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휴대용 노래방기기를 들고 노래할 수 있으며, 넓이가 제한된 메인기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진일보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2)

  1. 케이스(1)의 일측에 마이크(3)가 형성되고, 마이크(1)의 전면에는 선곡을 위한 키이부(2)와 표시부(4)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노래방기기에 있어서,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의 일단에 형성된 개방부(10)와;
    상기 케이스(1)의 끝부분으로 부터 연장형성되고, 그 일단이 케이스(1)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1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장착된 기판(12) 상에 결합되며, 그 몸체가 상기 수납부 (11)의 내부로 돌출되는 제 1 콘넥터(13)와;
    상기 수납부(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회로가 구성되며, 그 일측에는 제 1 콘넥터(13)와 접속되어 송수신회로가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제어회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제 2 콘넥터 (14)가 형성되어 있는 송수신모듈(15)과;
    상기 케이스(1)의 개방부(10)를 개폐하는 덮개(1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에는 수납부(11)로 삽입되는 송수신모듈(15)이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7)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노래방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KR1019990045948A 1999-10-22 1999-10-22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KR10032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948A KR100320016B1 (ko) 1999-10-22 1999-10-22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948A KR100320016B1 (ko) 1999-10-22 1999-10-22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47A KR20000017747A (ko) 2000-04-06
KR100320016B1 true KR100320016B1 (ko) 2002-01-10

Family

ID=1961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948A KR100320016B1 (ko) 1999-10-22 1999-10-22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809U (ja) * 2000-08-23 2001-03-06 新世代株式会社 カラオケ用マイク
JP2007502452A (ja) * 2003-05-20 2007-02-08 エンター テ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携帯式カラオ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47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538A (en) Voice message recorder for use with telephones
EP0675666A1 (en) Karaoke microphone
US5471018A (en) Audio or video apparatus with a built-in loudspeaker
EP1526438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available-button indicating method
US5781850A (en) Live voice device for cellular phones particularly operable in combination with radio receiver apparatus in motor vehicles
CN101198244A (zh) 车载电子系统和车载电子装置
KR100320016B1 (ko)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모듈화된 송수신장치
JP2626534B2 (ja) 電子機器の送話部構造
EP0806758A1 (en)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JPH09292971A (ja) 翻訳装置
KR970014456A (ko)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JP2006050602A (ja) マルチメディアプレーヤ
JP2007148263A (ja) 薄型表示装置
CN220410442U (zh) 一种k歌车载mp3播放器
KR200323359Y1 (ko) 분리형 통신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노래방 기기
CN213347600U (zh) 蓝牙型电子跳绳结构
CN214591864U (zh) 具有识别能力的无线播放设备
CN219086405U (zh) 一种音频转换设备
CN210039640U (zh) 一种车载蓝牙播放器
CN210101548U (zh) 车载多媒体播放装置
CN101142750A (zh) 内装fm发射机的便携式装置
KR100349103B1 (ko)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반주데이타 다운로드 장치
KR20060094298A (ko) 오디오신호용 트랜스미팅 장치
CA2175961A1 (en)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WO2005090126A1 (en) Audio device interfa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