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524B1 -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524B1
KR100776524B1 KR1020027004071A KR20027004071A KR100776524B1 KR 100776524 B1 KR100776524 B1 KR 100776524B1 KR 1020027004071 A KR1020027004071 A KR 1020027004071A KR 20027004071 A KR20027004071 A KR 20027004071A KR 100776524 B1 KR100776524 B1 KR 10077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ly
reactor
coupling device
transverse
hydrodynamic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887A (ko
Inventor
아라라바
싸또네다니엘
Original Assignee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filed Critical 발레오
Publication of KR2002003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2Mounting or 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2041/246Details relating to one way clutch of the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Retarder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 및 임펠러를 포함하며, 개재된 리액터(134)는 그 중심이 초과 클러치를 통해 출력 샤프트와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리액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초과 클러치는 외부 링(162), 내부 잠금 구성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직접적으로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플랜지(146)를 포함하며, 그 내부 주변에 의해서 일부의 대향하는 내부 링(178)과 결합하여 리액터 본체가 축방향으로 수평이동되고 내부 링과 회전가능하게 안내되게 링크되도록 리액터 본체의 내부 중심부(138)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와셔(190)와 같은 형태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막대형의 구성요소가 제공되어 초과 클러치 또는 리액터 본체의 외부 링(162)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통과하거나 또는 초과 클러치의 내부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HYDROKINETIC COUPLING DEVICE COMPRISING AN IMPROVED REACTOR OVERRUNNING CLUTCH}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는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공개 제2,738,89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장치는 전반적으로 횡단 배향의 벽이 장착된 케이싱 형태의 입력 요소와, 케이싱내에 수용된 터빈 휠 부속품을 포함하는 외부 요소를 포함한다. 터빈 휠은 그 사이에 기계적 링크가 없는 베인이 설비된 3개의 요소로 구성된 유체 동역학적 컨버터에 관계된다. 터빈 휠은 그 자체가 자동차 기어 박스의 입력 샤프트에 링크된 피동 샤프트 또는 종동 샤프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허브와 일체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터빈 휠은 연소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샤프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케이싱과 회전식으로 링크된 임펠러 휠과 상호 작용하며, 터빈 휠과 임펠러 휠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리액터는 리액터의 회전을 엔진 방향이 되게 하지만 대향하는 방향으로는 방지하는 자유 휠의 조절에 의해 종 동 샤프트상에서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 샤프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되기에 적합한 케이싱과, 케이싱내에 수용되어 있는 허브와 일체 결합된 전방 터빈 휠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터빈 휠은 종동 샤프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되기에 적합하여, 상기 전방 터빈 휠과 후방 임펠러 휠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리액터의 조정으로 케이싱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후방 임펠러 휠에 의해서 케이싱 내의 수용된 유체가 순환하는 영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후방 임펠러 휠은 리액터 본체를 포함하며, 그 반경방향 내부 중심부는 자유 휠에 의해 상기 리액터 본체를 통해 통과하는 고정된 슬리브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다.
공지된 방법에서, 상기 자유 휠은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외부 링과, 상기 고정된 슬리브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상기 자유 휠의 외부 링의 외부 트랙 및 내부 링의 내부 트랙과 상호 작용하는 개재된 블럭킹 구성요소와, 자유 휠의 축에 대해 수직하게 횡방향으로 배향된 일반적인 와셔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는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매개된 요소를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 외부 링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자유 휠의 내부 링과 리액터 본체 사이의 링크와, 특히 리액터 본체에 대한 자유 휠의 내부 링이 수평이동되게 하는 링크를 제공하고 리액터 본체에 대한 자유 휠의 회전식 안내를 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플랜지가 리액터 본체를 내부 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링크하거나 및/또는 리액터 본체를 내부 링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도록 그 내부 주변부를 통해 내부 링의 접하는 부분과 상호 작용하게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술된 형태의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가 이미 제안되었다.
그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제 A1-0.549.824 호에 개시 및 제시 되었다.
발명의 요약
구성 요소의 수를 감축시키고 그 조립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의 장치를 제안하는데 있어서, 플랜지를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막대형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막대형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유 휠 또는 리액터의 본체의 외부 링을 통해 축방향으로 통과하거나 또는 자유휠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액터 본체상에서 수행되는 가공 작업의 수를 감소시키고, 자유 휠을 구비하는 리액터로 구성된 조립체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이 조립체의 축방향 크기를 감소시키고, 보다 일반적으로 리액터의 연속 생산을 위해 그 안의 구성 요소의 수와 구성 요소의 형태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리액터의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을 특히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에 따르면, 내부 링은 회전가능하게 링크되도록 고정된 슬리브에 의해 축방향으로 횡단되며,
내부링은 내부 링이 없는 자유 휠이라 칭하는 자유 휠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성을 위한 고정된 슬리브의 일부로 구성되며,
자유 휠은 단일 횡방향 플랜지만을 포함하며, 리액터의 중심부는 상기 단일한 플랜지에 대향하는 자유 휠의 축에 수직하게 배향되어 횡단하는 횡방향 치크(cheek)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치크는 외부 링 및 개재된 구성요소가 배열된 캐비티를 축방향으로 규정하며,
자유 휠은 자유 휠의 축에 수직하게 배향되어 횡단하는 일반적으로 와셔형인 다른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플랜지와 대향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개재된 요소를 축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외부 링보다 더 연장된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후자는 외부 링 및 개재된 구성요소가 배열된 캐비티를 축방향으로 규정하며,
상기 다른 횡방향 플랜지는 리액터 본체가 그 내부 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평행이동 하거나 및/또는 리액터 본체가 내부 링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도록 그 내부 주변을 통해 내부 링의 접하는 부분과 상호 작용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자유 휠은 개재된 구성요소를 축방향으로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케이지(cage)를 포함하며, 그 횡방향 플랜지는 외부 링 및 외부 케이지에 대해 독립적인 구성요소이며,
자유 휠은 개재된 구성요소를 축방향으로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케이지를 포함하고, 그 횡방향 플랜지는 외부 케이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된 구 성요소이며,
횡방향 플랜지는 리액터의 중심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되며,
횡방향 플랜지의 외부 주변은 특히 반경방향 외부쪽 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식 구동 스피곳(spigot)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곳은 플랜지 쪽으로 축방향 개방된 리액터의 중심부의 상보적 리세스내로 수납되며,
횡방향 플랜지가 외부 링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되며,
횡방향 플랜지는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지되며,
횡방향 플랜지는 상보적인 리세스내로 수납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후크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지되며,
막대형 구성요소는 독립적인 구성요소, 특히 리벳의 형태로 제조되며,
리벳형 구성요소는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며, 리벳형 구성요소는 횡방향 플랜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며,
플랜지는 리액터와 터빈 휠의 사이에 또는 리액터와 임펠러 휠 사이에 개재된 축방향 니들형 추력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트랙을 구성하는 횡단면을 포함한다.
도 1은 자유 휠을 구비하는 리액터 본체가 본 기술에 따라 제조된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의 축방향 반부 단면도,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내부 자유 휠 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게 리액터 본체를 링크하기 위한 전방 횡방향 플랜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리액터 본체를 구비하는 전방 플랜지의 회전식 링크와 탄성 클립에 의해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상으로의 축방향의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리액터 본체 및 자유 휠의 중심부의 확대 상세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도 4)를 따른 상세도,
도 5는 전방 횡방향 플랜지가 리액터 본체를 자유 휠의 내부 링에 대해 회전되게 안내 역할을 하는 도 2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6은 축방향으로 수평이동되고 회전식으로 안내되게 링크되기 위한 전방 횡방향 플랜지가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도 3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7은 축방향으로 평행이동되게 링크되기 위한 전방 횡방향 플랜지는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며, 탄성 클립핑에 의해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의 후방 횡단 치크(cheek)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도 3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8은 전방 횡방향 플랜지가 내부 링에 대해 리액터 본체의 회전식 안내를 제공하기도 하는 도 7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리액터 외부 케이지와 일체 결합된 전방 횡방향 플랜지를 본체의 후방 횡방향 치크상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도시하는 도 7 및 도 8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11은 "내부 링을 구비하지 않는 자유 휠"로 불리는 자유 휠과 결합되는, 즉 내부링은 고정된 슬리브의 일부로 구성되는 리액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0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외부 케이지와 일체 결합된 전방 횡방향 플랜지와 외부 케이지의 클림핑에서 유리된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의 후방 횡방향 치크 사이를 축방향으로 링크시키기 위한 수단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 9 내지 도 11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전방 횡방향 플랜지가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에 대해 독립적이며, 리액터의 중심부의 후방 횡방향 치크상으로의 그 축방향 고정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그것들과 동일한 형태인 도 12 내지 도 14의 도면과 유사한 3개의 도면,
도 18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자유 휠은 두 개의 전 방 횡방향 플랜지 및 후방 횡방향 플랜지를 포함하며, 전방 횡방향 플랜지는 리액터 본체에 의해 회전되게 구동되고,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와의 탄성적 클립핑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후방 횡방향 플랜지는 자유 휠의 외부 링에 대해 회전되게 링크되고, 외부 케이지 상으로의 탄성적 클립핑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전방 플랜지는 리액터 본체와 내부 링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수평이동되게 링크를 제공하며, 후방 횡방향 플랜지는 축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그리고 이들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서 회전식으로 안내되게 링크를 제공하는 도 3 및 도 4에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19는 전방 횡방향 플랜지가 리액터 본체와 자유 휠의 내부 링 사이에서의 회전식 안내도 제공하는 도 18에 도시된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20은 내부 링이 없는 자유 휠이라 칭하는 자유 휠에 적합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후방 횡방향 플랜지만이 고정 슬리브에 대한 리액터 본체의 회전식 안내에 관계되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4는 후방 횡방향 플랜지의 다양한 실시예와, 상기 플랜지를 탄성 클립핑에 의해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상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 18 내지 도 20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25 내지 도 27은 전방 횡방향 플랜지가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 22 내지 도 24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28은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에 대해 독립적이며, 양자 모두 리액터가 축방향으로 평행 이동되게 그리고 자유 휠의 내부 링에 대해 회전식으로 안내되게 링크되는 것에 관계되는 2개의 전방 및 후방 횡방향 플랜지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횡방향 플랜지는 리액터의 본체를 통해 통과하는 리벳에 의한 리벳팅 작용에 의해서 리액터 본체로에 그 외부 주변을 거쳐 축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게 그리고 회전되게 링크되며, 리액터와 터빈 휠 사이에 그리고 리액터와 임펠러 휠 사이에 각각 개재된 축방향 니들형 추력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트랙을 그 전방 및 후방 횡단면 각각을 통해 더 구성하는 도 18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29는 설명된 니들형 추력 베어링으로서, 그 니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 플랜지 상을 그리고 터빈 휠의 허브 및 임펠러 휠의 허브에 각각 형성된 트랙상을 직 접적으로 회전하는 도 28에 도시된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30a는 리벳이 리액터 본체와 자유 휠의 외부 링 사이에 회전식 링크를 제공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 28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30b는 도 30a의 화살표(도 30b)를 따른 상세도,
도 31a는 리벳이 축방향 스페이서에 의해 대체된 도 30a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31b는 도 31a의 화살표(도 31b)를 따른 상세도,
도 32는 리벳이 외부 링을 통해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도 28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33은 리벳이 내부 링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도 28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34는 리벳이 외부 케이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도 28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35는 도 34에 따른 구성의 다양한 실시예,
도 36은 리벳을 구성하는 모따기된 구성요소가 후방 횡방향 플랜지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 30a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37은 리벳 형성 구성요소의 전방 선단이 전방 횡단 플랜지내로 탄성적으로 클립핑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38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 38은 도 37의 화살표(도 38)를 따른 확대상세도,
도 39는 도 38의 라인(39-39)을 따른 구간내의 상세도.
하기의 설명에서 동일하며, 유사하거나 상사한 구성부품 또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될 것이다.
청구된 명세서의 작성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방, 후방, 상부, 하부라는 용어를 특히 도면과 관련하여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사용할 것이다.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잘 공지된 구성으로서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는 회전축(X-X)을 구비하며, 전방부(104) 및 후방부(106)의 즉, 도 1 을 고려했을 때 좌우 양측에 있는, 케이싱(102)을 포함하고 있다.
공지된 방법으로, 케이싱(102)의 전방부(104)는 그 내측 반경부(107)에 의해 중심링(108)을 통해서 내연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링크되어 있는데, 상기 중심링은 탄성 스트립(114)에 의해 케이싱(102)의 전방부(104)의 전방 횡단벽(112)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링크되어 있는 브릿지 피스톤(110)과 종동 샤프트 사이의 밀봉 수단을 지지하고 있다.
브릿지 피스톤(110)은 그것과 횡단벽(112) 사이에서 2개의 대향면을 갖는 환형 마찰 디스크(116)를 축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디스크(116)는 탄성 댐핑 장치(120)에 의해 허브(118)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되어 있다.
허브(118)는 허브(118)의 스플라인(124)을 경유하여 상기 회전축(X-X)과 동축 관계에 있는 종동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전방 터빈 휠(122)의 허브를 구성한다.
전방 터빈 휠(122)의 베인(126)은 공지된 방식으로 후방 임펠러 휠(130)의 베인(128)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것의 본체는 케이싱(102)의 후방부(106)의 내측으로 만곡된 횡단벽(132)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베인(136)과 함께 리액터(134)는 전방 터빈 휠(122)과 후방 임펠러 휠(130)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다.
리액터(134)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열된 중실형 본체와, 자유 휠(140)을 통해 고정 슬리브(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되어 있는 원통형 링 형태의 반경방향 내부 중심부(138)를 포함하고 있다.
리액터(134)를 전방 터빈 휠(122) 및 후방 임펠러 휠(130) 대해 상대 회전시키기 위하여, 추력 베어링 수단이 그들 3개의 구성 요소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며, 상기 추력 베어링 수단은 예를 들면, 후방 니들형 축방향 추력 베어링(142)을 구비하고, 도시된 구성에서는 자유 휠(140)의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의 전방이 횡단면(144)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기술의 형태에 따른 실시예는 자유 휠(140)이 내부 링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상기 내부링은 자유 휠(140)의 상보적인 고정 슬리브의 일부에 의해 대체된다.
리액터(134) 본체의 내부 중심부(138)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연장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부시에 의해 연장되는 후방 횡방향 치크(148)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150)의 내측의 오목한 원통형 베어링 표면(152)은, 휠(140)의 내부 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의 경우와 같이 휠(140)이 내부 링, 즉 독립적인 구성요소의 형태로 제조된 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 슬리브(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상보적인 부분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리액터(134)의 내부 중심부(138)를 장착하는 데에 관여한다.
후방 횡방향 치크(148)의 후방 횡단면(154)은 니들 추력 베어링(142)에 대한 축방향 지지면을 구성한다.
리액터(134)의 내부 중심부(138)는 치크(148)의 전방 횡단면(158)에 의해서 그리고 오목한 내부 원통형 표면(160)에 의해서 한정되는 내부 캐비티(156) 또는 하우징을 규정하며, 따라서 캐비티(156)는 전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개방된다.
캐비티(156)에는 환상 원통형 자유 휠 외부 링(162)이 수납되는데, 상기 자유 휠 외부 링(162)은 외측이 치형이고 원통형 베어링 표면(160)에 억지끼워맞춤되어 리액터(134)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링크된다.
캐비티(156)를 포함하는 내부 중심부(138)에 대한 외부 링(162)의 축방향 위치는 후방 횡방향 치크(148)(도 3 참조)의 전방 횡단면(158)의 대향부와 접촉하는 외부 링(162)의 후방 횡단면(164)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캐비티(156)에는, 자유 휠(140)에 마련되어 있는 블로킹 중간 요소(170)를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하고 축방향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외부 링(162)의 외부 트랙(172) 및 내부 트랙(174)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외부 케이지(166) 및 반경방향 내부 케이지(168)가 수납되어 있다.
블로킹 중간 요소(170)와 상호 작용하는 내부 트랙은 내부 링의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 슬리브의 일부에 속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자유 휠(140)의 내부 링(176)에 직접 속할 수도 있으며, 상기 내부 링은 고정 슬리브(도시되지 않음)의 상보적인 스플라인부와 회전 가능하게 링크되기 위해 내부 축방향 스플라인(179)을 포함하는 원통형 부시 또는 슬리브의 일반적인 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링(176)의 외부 주변부는 계단형으로서, 즉 내부 링(176)은 내부 트랙(174)을 규정하는 전방 축방향 대경 세그먼트(175)와, 내부 링(176)(도 6 참조)에 대해 리액터(134)의 본체의 회전 안내 기능을 수행하도록 치크(148)의 부시(150)와 상호 작용하는 볼록한 원통형 베어링 표면(178)을 규정하는 후방 소경 세그먼트(177)를 포함한다.
자유 휠(140)의 계단형 내부 링(176)의 전방 대경 세그먼트(175)와 후방 소경 세그먼트(177)를 축방향으로 규정하는 숄더(180)는 리액터(134)를 내부 링(176)에 대해 축방향으로 위치시키도록 치크(148)의 전방 횡단면(158)의 대향면과 상호 작용한다.
특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에서, 외부 케이지(166)는 대체로 관형상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이며, 이 외측 케이지의 후방 축방향 말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부 링(162)의 표면의 상보적인 내부 반경방향 홈(184)에 수용되어 외부 케이지(166)를 리액터 본체의 내부 중심부(138)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시킨다.
내부 케이지(168)는 블로킹 중간 요소(170)와 함께 캐비티(156)내에 축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는 대체로 관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는 회전축(X-X)에 수직한 횡단 평면상에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와셔형 구성요소로서, 전방 플랜지(146)의 본체(190)의 전방 횡단면(188)으로부터 축방향 전방쪽으로 디스크 또는 와셔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일련의 리브(186)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186)의 전방 횡단면은 허브(118)를 전방에서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플랜지(146)의 전방 횡단면(144)을 구성한다.
각 리브(186)와 정렬되어, 전방 플랜지(146)는 반경반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내부 중심부(138)에 대향하여 형성된 상보적인 리세스(194)내로 수용됨으로써 전방 플랜지(146)와 리액터(134)의 내부 중심부(138) 사이에 회전 링크를 제공하기 위한 캐치부를 구성하는 돌출부(192)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194)는 리세스 또는 노치내로 캐치부(192d)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축방향 도입되게 하도록 축방향 전방쪽으로 개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는, 전술한 리액터(134)에 대해 축방향으로 자체 고정된 외부 케이지(166)의 전방 축방향 말단부(196)상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리액터(134)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지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외부 케이지(166)의 전방 말단부(198)의 환형 횡단 에지는 본 실시예에서 리브(186)와 마찬가지로 4개인 후크(200)에 의해 연장되는데, 각 후크는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의 와셔의 형태로 본체(190)내에 대향하게 구성된 고정 노치(202)를 형성하는 상보적인 구멍 내에 탄성 변형되게 끼워넣어 수용된다.
따라서, 발명의 내용에 따르면, 그리고 도면에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를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본 실시예에서 외부 링(162)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형 요소의 형태를 갖는다.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그리고 특히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셔형 본체(190)는 대체로 환형 디스크 형태의 내부 주변부(206)가 내부 링(176)에 대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즉 회전축(X-X) 방향으로 연장한다.
보다 정확하게, 내부 주변부(206)의 환형 후방 횡단면(208)은 내부 링(176)의 전방 환형 횡단면(210)의 대향부에 대해 대향하여 상호 작용하게 연장한다.
따라서, 리액터(134)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는 리액터(134)의 본체가 내부 링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링크되도록 내부 링(176)과 상호 작용하며, 따라서 그 전방 축방향 대경 세그먼트(175)는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와 리액터(134)의 후방 횡방향 치크(148)와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포획"된다.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146)의 반경 방향 내부 주변부(206)는 내부 링(176)에 대한 리액터(134)의 본체의 회전 안내의 역할을 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내부 주변부(206)의 오목한 내부 환형 원통형 에지(212)는 내부 링(176)의 대경 세그먼트(175)의 전방 축방향 말단부에 형성된 상보적인 볼록형의 외부 원통형 베어링 표면(214)을 둘러싸고 그것과 상호 작용한다.
실제로, 플랜지(146)는 본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지(166)에 마련되어 있는 후크(200)의 영역에서 그 자체가 자유 휠(140)의 외부 링(162)에 대해 중심에 정렬되는 회전축(X-X)에 대해 그 자체가 중심에 정렬되며, 따라서 리액터(134)의 본체에 대해 중심에 위치되며, 따라서 그 내부 주변부(206)를 통한 플랜지(146)의 베어링 표면(214)과의 상호 작용은 내부 링(176)에 대한 리액터(134)의 상보적인 회전방향 안내를 제공한다.
도 6에 나타낸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구성과 비교하면, 플랜지(146)는 기능적 관점에서 동일한 것으로 관찰되며, 즉 내부링(176)에 대해 리액터(134)가 축방향으로 평행 이동하고 회전방향으로 안내하게 링크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의 주조에 의해 플랜지는 자유 휠(140)의 외부 케이지(166)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된다.
케이지(166)의 후방 축방향 말단부에 형성된 스터브(182)는 예를 들면 일정한 각으로 분산되거나 또는 연속된 고정 크라운 링의 형상으로 제조되며, 단일한 부품으로 제조된 외부 케이지(166) 및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가 축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외부 링(162)의 홈(184)내에 수용되며, 연속된 후크(200)에 의해 대체된다.
상기와 같이, 전방 플랜지(146) 및 외부 케이지(166)의 축방향 고정은 탄성 클립핑에 의해 달성되며, 즉 후크(200)를 구비하는 외부 케이지(166)는 외부 링(162)내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후크(200)는 그 축방향 삽입 및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따기되어 있다.
따라서, 홈(184)은 전술한 노치(20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구성이 도 6의 구성과 비교된다면, 외부 케이지(166) 및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와 연관된 단일 구성요소가 더 이상 외부 링(162)에 대해서가 아니라 리액터의 본체의 후방 횡방향 치크(148)상에 탄성 클립핑에 의해서 직접 고정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의 횡방향 플랜지(146)내에 형성된 노치(202)와 유사한 고정 노치(202)를 구성하기 위해 축방향 관통 구멍(218)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후크(200)는 외부 케이지(166)의 탄성 클립핑에 의해서 그 자체가 대항하여 모따기 되어있는 노치(202)내로 축방향 삽입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따기 처리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구성은 단일 부품(146 내지 166)의 축방향 고정이 더 이상 후크에 의해서가 아니라 일정한 각으로 분산된 일련의 스피곳(spigot)에 의해 수행된다는 점에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구성과 상이하며, 상기 스피곳은 외부 케이지(166)의 후방 말단부(222)의 환형 횡단 에지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하며, 각각 리액터(134)의 횡방향 치크(148)의 대향하는 구멍(218)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스피곳(220)은 치크(148)에 속하고 구멍(218)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보적인 클립 와셔(224)에 의해 외측면상에 파지되어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146 내지 166)의 설치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여전히 축방향으로 수행되며, 스피곳(220)은 클립 와셔(224)내로 점진적으로 관통하는데, 상기 클립 와셔는 실질적으로 재차 제거할 수 없도록 축방향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서, 자유 휠(140)이 내부 링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즉 치크(148)의 반경방향 내부 축방향 부시(150) 및 플랜지(146)의 내부 주변부(206)의 내부 오목 원통형 환형 에지(212)는 고정 슬리브(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상호작용하여 자유 휠(140)의 내부 링의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 슬리브의 대응부에 대한 리액터(134)의 정확한 회전 안내를 보장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성은 외부 케이지(166)와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를 형성하는 단일 구성요소가 리액터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지되고 외부 케이지(166)의 후방 축방향 말단부에 의해서 본체의 후방 횡방향 치크(148)에 대해 직접적으로 축방향으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도 9 내지 도 11과 비교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외부 케이지(166)의 후방 말단부(222)의 환형 횡단 에지는 일련의 축방향 스피곳(220)에 의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각 스피곳은 치크(148)의 축방향으로 배향된 상보적인 구멍 내에 수용되어 있다.
다음에, 각 스피곳의 자유 후방 축방향 말단부는 리벳 헤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피곳(220)과, 외부 케이지(166)와,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의 치크(148)에 대한 축방향 고정을 위한 부재를 구성하는 대경의 헤드(232)를 구성하도록 크림핑, 예를 들어 고온 크림핑되며, 구멍(218)은 대경의 후방 축방향 세그먼트(234)와 층져 있어서, 헤드(232)가 변형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구성을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과 비교하면,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는 마찬가지로 외부 케이지(166)와 독립적인 구성요소임을 알 수 있다.
플랜지(146)를 리액터(134)의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리액터(134)의 본체는 일정한 각도로 분산된 축방향으로 배향된 일련의 막대(238)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막대는 전방 플랜지(146)의 와셔형 본체(190)의 후방 횡단면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링(162)의 본체내에, 변형예에서는 리액터(134)의 본체내에, 대향하게 형성된 상보적인 축방향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구멍(240)을 통해 통과한 후에, 막대(238)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케이지(166)의 스피곳(220)과 유사한 축방향 단부 스피곳(220)에 의해 연장되며, 상기 스피곳의 단부 헤드(232)는 횡방향 치크(148)내에 대항하여 형성된 대경의 구멍(234)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크림핑되며, 물론, 이것은 막대(238)의 후방 축방향 말단부에서 스피곳(220)의 통과용 구멍(218)을 포함한다.
리액터의 본체에 대한 전방 플랜지(146)의 회전식 링크는, 그 자체가 본체에 대해 외부방향으로 회전되게 링크된 외부 링(162)의 구멍(240)을 통과하는 막대(238)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지만, 노치내에 수용된 캐치부에 의해 제공 및/또는 보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외부 케이지(166)는 특히 단순한 관형임을 알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구성은 내부 링(176)에 대한 리액터(134)의 본체의 축방향 수평이동 및 회전 방향 안내에 관계된 유사한 구성의 전방 및 후방의 2개의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를 포함하는 첫 번째 구성이다.
후방 횡방향 플랜지 및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의 일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전방 플랜지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되며, 횡방향 플랜지(146)는 참조부호(200)로 증가된다.
따라서 후방 플랜지(346)는 본체의 후방 횡방향 치크(148)를 대체하며, 즉 환형 원통형 본체는 그 후방 축방향 말단부(430)에서 내부 반경방향 홈(458)을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낸 제 2 후방 횡방향 플랜지(346)의 구성의 모든 예에서, 그 반경방향 내부 주변부는 상기 설명된 후방 횡방향 치크(148)의 구성과 유사하며, 즉 부시(150, 152)를 포함한다.
도 18 내지 도 21에서, 횡방향 플랜지(146)는 도 3 내지 도 5의 플랜지와 동일한 형태인 반면, 후방 횡방향 플랜지(346)는 외부 케이지(166)상에서 탄성 클립핑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는 측면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횡방향 플랜지(146)와 동일한 형태이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구성은 보다 간단한 외부 케이지(166)를 제외하고 도 18 내지 도 21 구성과 유사하며, 후크(200, 400)는 각을 이뤄 정렬되지만, 이전의 구성에서의 각에서 벗어난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구성에서, 횡방향 플랜지(146)는 도 7 및 도 8에서 외부 케이지(166)에 속한 그 후크(200)가 후방 횡방향 플랜지(346) 후방의 노치(202)내로 걸리게 도시된 것과 유사하며, 따라서 후방 플랜지(346) 자체가 참조부호(166)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기도 하며, 즉 후크(200 내지 400)는 본체에 대해 2개의 전방 플랜지(146) 내지 후방 플랜지(346)의 탄성적인 클립핑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이중 기능을 가진다.
도 28에 도시된 구성은 본원에서 그 외부 주변 크라운 링(254, 454)의 크림핑에 의해 리액터(134)의 본체에 고정된 2개의 전방 횡방향 플랜지(146) 및 후방 횡방향 플랜지(346)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8 내지 도 27에 도시된 구성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면 절단, 단조 및 스탬핑에 의해 제조된 판금으로 만들어진 2개의 금속 부분이 된다.
따라서, 각기 경질의 재료로 제조되는 2 개의 플랜지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플랜지의 외부 횡방향 면, 즉 전방면(144) 및 후방면(344)은 관련 니들 축방향 추력 베어링(142)의 환형 베어링 트랙을 구성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146, 346)는 추력 볼베어링(142)의 외부 환형 플레이트 즉, 각 전방 플레이트(264) 및 후방 플레이트(464)를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부 주변 크라운 링(254, 454)은 리벳(300)의 섕크(238)에 의해 축방향으로 횡단되며, 상기 리벳(300)의 섕크(238)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보적 구멍(240)을 통해 통과하기도 한다.
따라서, 리벳은 리액터 본체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뿐만 아니라 2개의 전방 플랜지(146) 및 후방 플랜지(346) 축방향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동시에, 외부 링은 그 치형 외주면을 통해 리액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다.
니들은 리벳의 축방향 크림핑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매끄러운 트랙과 상호 작용하도록 리벳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구성요소의 형상 및 제조가 매우 단순하며, 특히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와 외부링(162)에는 구멍(240)의 관통과 크라운 링(254, 454)의 축방향 지지를 위해 횡방향 면(302, 304)의 가공만이 요구된다.
도 29에서의 비교에 의하면, 전방 환형 플레이트(264) 및 후방 환형 플레이트(464)에 속한 트랙상을 회전하는 니들(142)은 그 치수가 감소하여 대응하는 전방 플랜지(146) 및 후방 플랜지(346)에 의해 더 이상 고정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들 플랜지 각각은 터빈 휠의 허브(118)내에, 그리고 임펠러 휠(130)의 허브(310)에 각각 형성된 상보적인 하우징(306, 308)에 수용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편평한 링의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306, 308)은 플레이트(264, 464)가 없는 변형예에서, 니들(142)을 수용하고 이 니들을 반경방향 양측에서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그 구성이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리벳(300)은 외부 링(162)과 리액터 본체 사이에서 "(between hide and flesh)" 배치되어 상기 2개 구성부품 회전 링크를 제공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특히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벳(300)의 섕크(238)의 통과를 위한 축방향 구멍이 외부 링(162)의 볼록한 외부 주변부의 1/2 위치에 그리고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의 오목한 내부 주변부에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의 주변 크라운 링은 그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치수가 감소되며, 섕크의 통로 및 외부 링(162) 및 본체와의 플랜지의 회전식 링크를 위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반원형의 노치(312)를 포함하는 것이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낸 변형예에서, 리벳(300)은 플랜지(146, 346)의 축방향 유지를 위한 한쌍의 헤드(314)를 포함하는 편평한 스페이서에 의해 대체되는 동시에, 구멍(240)은 스페이서의 본체의 구멍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통로이다.
도 28의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도 32의 실시예에서, 리벳(314)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형성된 구멍(240)내의 외부 링(162)의 본체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외부 링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치수 조정되는 동시에, 리액터 본체의 중심부의 내경은 증가한다.
내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보다 접근해 가면, 도 3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구성요소와 외부 케이지(166)의 반경방향 외부쪽 사이에 배열된 자유 휠의 외부 링(162)을 통해 리벳을 축방향으로 연장시키도록 리벳(300)을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니들(142)을 리벳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플랜지(146, 346)내를 확실히 제외하고 통과하기 위한 리벳 섕크용 홀(240)을 형성하는 것이 불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의 것과 유사하지만, 리벳(300)은 외부 케이지(166)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며, 즉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구성과 같다.
도 35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리벳 헤드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러그(316, 318)에 의해 대체된다.
도 3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벳은 후방 횡방향 플랜지(346)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된 러그로 구성되며, 리액터 본체와 외부 링(162) 사이에 정확히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도 30a의 경우와 같이 회전식 링크를 제공한다.
최종적으로,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된 구성은 도 36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리벳 형성 막대(238)의 전방 자유 말단부는 전방 플랜지(246)의 홀(322)내로 탄성적으로 클립핑된다.
발명은 자유 휠이 외부 케이지 및 내부 케이지를 포함하는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외부 및 내부 케이지 없이 롤러 베어링을 구비하는 휠의 경우에의 응용이 밝혀졌다.

Claims (17)

  1. 특히 자동차용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100)로서,
    구동 샤프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되기에 적합한 케이싱(102)과, 케이싱(102)내에 수납되고 허브(118)와 일체형이며, 종동 샤프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되기에 적합하고, 케이싱 내에 수납된 유체의 순환에 의해 후방 임펠러 휠(130)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방 터빈 휠(122)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임펠러 휠(130)은 상기 전방 터빈 휠(122)과 상기 후방 임펠러 휠(130)과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리액터(134)가 개재되는 것에 의해 케이싱(102)에 회전가능하게 링크되고, 리액터 본체를 구비하며 이 리액터 본체의 반경방향 내부 중심부(138)는 자유 휠(140)이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반경방향 내부 중심부(138)를 통과하는 고정 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링크되며, 상기 자유 휠(140)은,
    상기 리액터 본체의 내부 중심부(138)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외부 링(162)과,
    상기 고정 슬리브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상기 자유 휠(140)의 외부 링(162)의 외부 트랙(172) 및 내부 링(176)의 내부 트랙(174)과 상호 작용하는 중간 요소(170)와,
    상기 자유 휠의 축(X-X)에 대해 수직하게 횡방향으로 배향된 일반적인 와셔(190)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146, 346)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는 리액터 본체의 내부 중심부(13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중간 요소를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 외부 링(162)을 넘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플랜지(146, 346)가 그 내부 주변부(206)를 통해 상기 내부 링(176)의 대향부와 상호 작용하고, 상기 리액터 본체를 상기 내부 링(17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도록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리액터 본체를 상기 내부 링(176)에 대하여 회전 안내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134)에 대해 플랜지(146, 346)를 축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막대형 요소가 제공되고, 이 막대형 요소는 자유 휠 또는 리액터(134)의 본체의 외부 링(162)을 통해 축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막대형 요소 자체는 상기 리액터(13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슬리브는 회전가능하게 링크되도록 상기 내부 링(176)을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링은 고정 슬리브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휠(140)은 단일 횡방향 플랜지(146)만을 포함하며, 리액터의 내부 중심부(138)는 상기 단일 횡방향 플랜지(146)에 대향하는 자유 휠의 축에 수직하게 횡단방향을 향하는 횡방향 치크(148)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치크는 상기 플랜지와 함께 내부에 외부 링(162) 및 중간 요소가 배열된 캐비티(156)를 축방향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휠은 자유 휠의 축에 수직하는 횡단방향을 향하는 일반적으로 와셔형인 다른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346)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식 횡방향 플랜지(346)는 리액터 본체의 내부 중심부(13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외부 링(162)을 넘어서 연장되어 상기 중간 요소를 축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플랜지(146)의 대향측에 있으며, 횡방향 플랜지(146)와 함께 내부에 상기 외부 링(162) 및 중간 요소가 배치되는 캐비티를 축방향으로 획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횡방향 플랜지(346)는 그 내부 주변부(150, 152)를 통해 내부 링의 대향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내부 링(176)과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게 리액터 본체와 연결되거나, 및/또는 내부 링(17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리액터 본체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휠은 상기 중간 요소를 축방향으로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케이지(166)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는 외부 링(162) 및 외부 케이지(166)에 대해 독립적인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휠은 상기 중간 요소를 축방향으로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케이지(166)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는 외부 케이지(166)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된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는 리액터의 내부 중심부(138)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의 외부 주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식 구동 스피곳을 포함하며, 이 회전 구동 스피곳은 특히 반경방향 외부쪽 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횡방향 플랜지(146, 346)를 향하여 축방향 개방된 리액터의 중심부의 상보적 리세스(194)내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는 외부 링(16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링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는 리액터 본체의 내부 중심부(138)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는 상보적인 리세스 내로 수납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후크(200, 400)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구성요소는 독립적인 구성요소, 특히 리벳(300)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구성요소는 자유 휠의 외부 케이지(166)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구성요소는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플랜지(146, 346)는 리액터와 터빈 휠의 사이에 또는 리액터와 임펠러 휠 사이에 개재된 축방향 니들형 추력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트랙을 구성하는 횡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KR1020027004071A 1999-09-29 2000-09-29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KR100776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2175 1999-09-29
FR9912175A FR2800142B1 (fr) 1999-09-29 1999-09-29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comportant une roue libre perfectionnee de rea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887A KR20020035887A (ko) 2002-05-15
KR100776524B1 true KR100776524B1 (ko) 2007-11-20

Family

ID=955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071A KR100776524B1 (ko) 1999-09-29 2000-09-29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5941B1 (ko)
JP (1) JP4616533B2 (ko)
KR (1) KR100776524B1 (ko)
DE (1) DE10085050B3 (ko)
FR (1) FR2800142B1 (ko)
WO (2) WO2001023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4790B1 (fr) * 2000-09-29 2003-05-02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comportant une roue libre perfectionnee de reacteur
JP3659243B2 (ja) 2002-10-15 2005-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ータの支持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トルクコンバータ
DE10325917A1 (de) * 2003-06-07 2005-03-31 Mahle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nd Gieß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6083997A (ja) * 2004-09-17 2006-03-30 Exedy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
JP4983020B2 (ja) * 2005-12-28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テータ支持装置
DE102007026007A1 (de) * 2006-06-23 2008-01-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Extrudierte Statorschaufel, Stator mit extrudierter Schaufel und Verfahren zur Bildung einer Statorbaugruppe mit extrudierten Schaufeln
JP4788545B2 (ja) * 2006-09-25 2011-10-05 マツダ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
US7866454B2 (en) * 2006-09-25 2011-01-11 Mazda Motor Corporation Torque converter
DE102008031955B4 (de) * 2007-07-31 2018-12-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wandler mit vom Kolben zentrierter Kupplungsplatte
DE102008048028A1 (de) * 2007-10-15 2009-04-1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112011103242T5 (de) * 2010-09-27 2013-08-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entrierscheibe für einen Stator
US20120193182A1 (en) * 2011-01-31 2012-08-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ator tabs for staking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782A (en) 1971-10-08 1973-08-07 Ford Motor Co High speed overrunning clutch
GB1419236A (ko) 1973-04-26 1975-12-24 Nissan Motor
US3993176A (en) 1975-08-18 1976-11-23 The Torrington Company Overrunning clutch
GB2190440A (en) 1986-05-16 1987-11-18 Honda Motor Co Ltd One-way clutch
US4809831A (en) 1986-06-20 1989-03-07 Nsk-Warner K. K. One-way sprag clutch and assembly method of sprags in retainer
US5056636A (en) 1991-02-07 1991-10-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leg type roller clutch with snap together assembly
EP0549824A1 (en) 1990-08-31 1993-07-07 Ina Bearing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converter having improved stator/clutch assembly
EP0611898A1 (de) * 1993-02-18 1994-08-24 Ford-Werke Aktiengesellschaft Rollen- oder Klemmkörperfreilauf mit einem Kunststoffkäfig
FR2720131A1 (fr) * 1994-05-17 1995-11-24 Renault Cage de roue libre pour convertisseur hydrocinétique de couple.
US5515956A (en) 1993-06-23 1996-05-14 Fichtel & Sachs Ag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EP0743467A2 (en) * 1995-04-21 1996-11-20 Koyo Seiko Co., Ltd. One-way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3289C2 (de) 1973-08-28 1983-12-29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Käfig einer Klemmkörper-Freilaufkupplung
AU8568882A (en) * 1981-07-20 1983-01-27 Borg-Warner Corporation Torque converter
JPS59166729A (ja) * 1983-03-12 1984-09-20 Nippon Seiko Kk 一方向クラツチとスラスト針状ころ軸受との組立体
JPS61294225A (ja) * 1985-06-20 1986-12-25 Daikin Mfg Co Ltd トルクコンバ−タのワンウエイクラツチ機構
JPS62119536U (ko) * 1986-01-22 1987-07-29
JPS62278364A (ja) * 1986-05-27 1987-12-03 Toyota Motor Corp 流体継手の直結クラツチのスリツプ制御装置
US4953353A (en) * 1989-08-23 1990-09-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ller clutch for stator assembly
JPH0380144U (ko) * 1989-12-07 1991-08-16
JP2607205Y2 (ja) * 1993-08-25 2001-05-28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テータ支持構造
DE4413171A1 (de) * 1994-04-15 1995-10-19 Daimler Benz Ag Reibungskupplung mit permanentem Kupplungsschlupf
JP3122009B2 (ja) 1995-03-07 2001-01-09 光洋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と軸受との組立体
DE19533151B4 (de) * 1995-09-08 2005-12-01 Zf Sachs Ag Leitradnabe mit Freilauf
FR2738891B1 (fr) 1995-09-19 1997-10-24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US5642795A (en) * 1995-11-27 1997-07-01 Koyo Seiko Co., Ltd. One-way clutch
DE19605921C1 (de) * 1996-02-17 1997-01-30 Ford Werke Ag Drehmomentwandler mit Überbrückungskupplung in Konusbauform
FR2756029B1 (fr) * 1996-11-20 1998-12-18 Skf France Dispositif de roue libre a flasque de retenue
JP3939840B2 (ja) * 1997-11-18 2007-07-04 ジヤトコ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0130555A (ja) * 1998-10-26 2000-05-12 Exedy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782A (en) 1971-10-08 1973-08-07 Ford Motor Co High speed overrunning clutch
GB1419236A (ko) 1973-04-26 1975-12-24 Nissan Motor
US3993176A (en) 1975-08-18 1976-11-23 The Torrington Company Overrunning clutch
GB2190440A (en) 1986-05-16 1987-11-18 Honda Motor Co Ltd One-way clutch
US4809831A (en) 1986-06-20 1989-03-07 Nsk-Warner K. K. One-way sprag clutch and assembly method of sprags in retainer
EP0549824A1 (en) 1990-08-31 1993-07-07 Ina Bearing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converter having improved stator/clutch assembly
US5056636A (en) 1991-02-07 1991-10-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leg type roller clutch with snap together assembly
EP0611898A1 (de) * 1993-02-18 1994-08-24 Ford-Werke Aktiengesellschaft Rollen- oder Klemmkörperfreilauf mit einem Kunststoffkäfig
US5515956A (en) 1993-06-23 1996-05-14 Fichtel & Sachs Ag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FR2720131A1 (fr) * 1994-05-17 1995-11-24 Renault Cage de roue libre pour convertisseur hydrocinétique de couple.
EP0743467A2 (en) * 1995-04-21 1996-11-20 Koyo Seiko Co., Ltd. One-way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887A (ko) 2002-05-15
DE10085050T1 (de) 2002-11-21
WO2001023778A1 (fr) 2001-04-05
WO2001023779A1 (fr) 2001-04-05
JP4616533B2 (ja) 2011-01-19
DE10085050B3 (de) 2013-02-28
US6675941B1 (en) 2004-01-13
FR2800142A1 (fr) 2001-04-27
JP2003510540A (ja) 2003-03-18
FR2800142B1 (fr)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524B1 (ko)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KR100572271B1 (ko)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JP4474774B2 (ja) 車輪駆動用ユニット
JP3780371B2 (ja) 一方向クラッチ
EP0873883A2 (en) Bearing device for wheels
JP3651196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US11092227B2 (en) Pulley device for a tensioner roller or winding roller
US6725988B2 (en) Hydrodynamic clutch device
US20030178275A1 (en) Hydrodynamic clutch device
JPH09112651A (ja) 流体力学的結合装置
DE112017002254T5 (de) Drehmomentwandler mit Abstandsscheibe für Leerlaufeingriffs-Membranfeder
EP1972807A2 (en) Roller bearing
US5797297A (en) Damping flywheel, notably for motor vehicles
JP2003322171A (ja) ホイールハブユニット
DE112005002233T5 (de) Drehmomentwandler
JPS62163804A (ja) 車輪支承装置
DE4109061C2 (de) Doppel-Dämpfungsschwungrad,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CN107044524A (zh) 减震装置以及液力变矩器的锁定装置
GB2227810A (en) A torsion damping device including viscous damping means, in particular for automotive vehicles
US6620049B1 (en) Drive arrangement
WO2007102273A1 (ja) 車輪用軸受装置
JP3625139B2 (ja) 自動変速機の潤滑構造
DE102017100041A1 (de) Stator für Drehmomentwandler mit Einbuchtung
DE10119915B4 (de) Hydrodynamischer Momentwandl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10094458B2 (en) Torque trans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