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92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922B1
KR100753922B1 KR1020057020390A KR20057020390A KR100753922B1 KR 100753922 B1 KR100753922 B1 KR 100753922B1 KR 1020057020390 A KR1020057020390 A KR 1020057020390A KR 20057020390 A KR20057020390 A KR 20057020390A KR 100753922 B1 KR100753922 B1 KR 10075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contact
socket
pos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401A (ko
Inventor
겐지 오오쿠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소켓 본체를 삽입 또는 압입된 단자보강 금속기구로 보강하는 것에 의해 돌출 테이블을 없애고, 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한다. 소켓 콘택트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1접촉부를 갖는다. 소켓 본체는, 소켓 본체의 상면에 오목(凹)부를 갖는다. 헤더 포스트는 헤더 본체의 측벽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와, 헤더 본체의 측벽의 상단부 근방으로부터 오목(凹)부로 향해 대략 역 U자 모양으로 형성된 만곡부를 갖는다.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의 곡률반경은, 헤더를 소켓 본체의 플러그 홈에 감합시킬 때,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의 자유단이, 만곡부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측에서 접촉하도록, 또 소켓 콘택트가 만곡부에 걸려서 휘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전화기 등의 소형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회로기판끼리나 전자부품과 회로기판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소켓과 헤더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회로기판끼리, 예컨대, FPC와 경질(硬質) 기판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소켓과 헤더로 구성된 커넥터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2002-8753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커넥터에 대해서, 도 7a~7c, 도 8, 도 9a~9c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a~7c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50)은, 수지(樹脂) 성형(成形)에 의해 편평한 대략 직방체(直方體) 모양으로 형성된 소켓 본체(51)와, 소켓 본체(51)의 길이 방향의 측벽(54)에 따라 2열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소켓 콘택트(60)를 갖는다. 정면에서 보아, 소켓 본체(51)의 중앙부에는, 대략 직방체 모양의 돌출 테이블(protruding table)(5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 테이블(53)과 길이 방향의 측벽(54) 및 폭 방향의 측벽(56)의 사이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러그 홈(plug groove)(52)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 콘택트(60)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밴드(band) 모양의 금속재를 소 정 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각 소켓 콘택트(60) 중, 플러그 홈(52)내에 향하는 제1단부에는, 헤더 포스트(post)(80)(도 9a~9c 및 도 10 참조)와 접촉되는 제1접촉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54)의 외측에 위치하는 소켓 콘택트(60)의 제2단부에는,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되는 제1단자부(6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소켓 콘택트(60)는, 소켓 본체(51)의 수지 성형 후에 압입되어 있다.
한편, 도 9a~9c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70)는, 수지 성형에 의해 편평한 대략 직방체 모양으로 형성된 헤더 본체(71)와, 헤더 본체(71)의 길이 방향의 측벽(73)에 따라 2열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헤더 포스트(80)를 갖는다. 헤더 본체(71)에는, 소켓 본체(51)의 돌출 테이블(53)과 대향하는 위치에, 그 돌출 테이블(53)과 감합(嵌合)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감합 홈(72)이 형성되어 있다. 헤더 본체(71)의 양쪽 측벽(73)에는, 헤더 본체(71)의 배면측(회로기판측)의 테두리로부터, 측벽(73)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플랜지부(flange portion)(74)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측벽(73)의 감합 홈(72)측의 벽면에는, 소켓(50)과 헤더(70)를 결합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소켓(50)의 돌출 테이블(53)에 설치된 키 홈(key groove)(55)과 감합되는 감합돌기(75)가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헤더 포스트(80)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밴드(band) 모양의 금속재를 소정 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각 헤더 포스트(80) 중, 측벽(73)의 바깥 표면에 따른 위치에는, 소켓 콘택트(60)의 제1접촉부(61)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74)에서 바깥으로 돌출하는 단부에는, 회로기판 의 도전 패턴에 납땜되는 제2단자부(8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헤더 포스트(80)는, 헤더 본체(71)의 수지 성형 시에, 삽입 성형에 의해 헤더 본체(71)에 일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소켓(50)과 헤더(70)는, 각각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각 소켓 콘택트(60)의 제1단자부(62) 및 각 헤더 포스트(80)의 제2단자부(82)가 납땜되는 것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 헤더(70)를 소켓(50)의 플러그 홈(52)에 결합시키면, 상대적으로 헤더(70)의 감합 홈(72)에 소켓(50)의 돌출 테이블(53)이 감합되는 동시에, 소켓 콘택트(60)의 제1접촉부(61)가 탄성 변형하면서 헤더 포스트(80)의 제2접촉부(81)에 접촉한다. 그 결과, 소켓(50)이 실장된 회로기판과 헤더(70)가 실장된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소켓 본체(51)에, 헤더 본체(71)가 감합되는 플러그 홈(52)을 형성하면, 소켓 본체(51)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며, 변형하기 쉽다.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소켓 본체(51)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플러그 홈(52)의 내측에 돌출 테이블(53)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돌출 테이블(53)과 감합되는 감합 홈(72)을 헤더 본체(71)에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커넥터는, 돌출 테이블(53)의 치수분만큼 소켓 본체(51) 및 헤더 본체(71)의 폭 방향의 치수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소켓 콘택트(60)와 헤더 포스트(80)를 부드럽게 접촉시키기 위해서, 헤더 포스트(80)의 선단부 근방에 곡면부(83)가 설치되어 있지만, 헤더 본체(71)에 감합 홈(72)을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곡면부(83)의 선단을 헤더 본체(71)에 거는(係止)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예컨대 소켓(50)에 대해서 헤더(70)를 비스듬하게 뺏다 끼웠다 하면, 헤더 본체(71)가 변형하고, 헤더 포스트(80)의 곡면부(83)의 선단부가 헤더 본체(71)로부터 부상하여 벗겨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소켓 콘택트(61)의 제1접촉부(61)는, 소켓(50)과 헤더(7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소켓 콘택트(60)의 제1접촉부(61)의 거리는, 그들 한쌍의 소켓 콘택트(60)와 접촉되는 한쌍의 헤더 포스트(80)의 제2접촉부(81) 사이의 거리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50)과 헤더(70)를 결합시킬 때, 소켓 콘택트(60)의 자유단은, 헤더 포스트(80)의 곡면부(83)에 접촉하고, 곡면부(83)상을 슬라이드하여, 제2접촉부(81)측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곡면부(83)의 곡률반경을 너무 작게 하면, 소켓 콘택트의 자유단이 곡면부(83)상을 부드럽게 슬라이드 할 수 없고, 소켓 콘택트(60)의 자유단이 곡면부(83)에 걸려서, 제1접촉부(61)가 휘어지는 것에 의해 변형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헤더 포스트(80)의 곡면부(83)의 외측면의) 곡률반경을 작게 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헤더 본체(71)의 측벽(73)을 두께는 헤더 포스트(80)의 곡면부(83)의 곡률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측벽(73)의 두께, 나아가서는 헤더(70)의 폭을 작게 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그런데, 휴대전화기 등의 소형의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커넥터에서는, 소켓 콘택트(60) 및 헤더 포스트(80)의 피치가, 예컨대 0.4㎜ 정도로 매우 좁다. 또한, 전자기기의 더욱 소형화를 위해, 보다 소형의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커넥 터의 길이 방향(소켓 콘택트(60) 및 헤더 포스트(80)의 배열 방향)의 치수는 소켓 콘택트(60) 및 헤더 포스트(80)의 피치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소켓 콘택트(60) 및 헤더 포스트(80)의 피치를 좁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소형화는, 그 폭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래서, 소켓 본체(51)의 돌출 테이블(53)을 없애서 커넥터의 폭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하고자 하면, 소켓 본체(51)나 헤더 본체(71)의 기계적 강도가 문제가 되지만, 이것은, 예컨대 보강 금속기구를 소켓 본체(51)나 헤더 본체(71)에 삽입 또는 압입하는 것에 의해 해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과 헤더를 결합시킬 때에, 휘어지는 것에 의한 소켓 콘택트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헤더 포스트의 소켓 본체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폭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態樣)에 관한 커넥터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헤더 본체와, 상기 헤더 본체의 측벽에 유지된 1 또는 복수의 헤더 포스트를 구비한 헤더와,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헤더가 감합되는 플러그 홈을 갖는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의 상기 플러그 홈의 측벽에 유지되어, 상기 헤더가 상기 플러그 홈에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헤더 포스트와 접촉되는 1 또는 복수의 소켓 콘택트를 구비한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본체는, 삽입 또는 압입된 단자보강 금속기구를 갖으며,
상기 소켓 콘택트는, 상기 플러그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1접촉부를 갖고,
상기 헤더 본체는, 상기 소켓 본체의 플러그 홈에 감합되는 측의 제1면에 오목(凹)부를 갖으며,
상기 헤더 포스트는, 상기 헤더 본체의 측벽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헤더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1면측 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오목(凹)부를 향해서 대략 역(逆) U자 모양으로 형성된 만곡부를 갖고,
상기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 중, 적어도 만곡부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측의 곡률반경은, 상기 헤더를 상기 소켓 본체의 플러그 홈에 감합시킬 때, 상기 소켓 콘택트의 대략 U자 모양의 제1접촉부의 자유단이, 상기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측에서 접촉하도록, 또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만곡부에 걸려서 휘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켓 본체의 돌출 테이블을 없애는 것에 의해, 커넥터의 폭 방향의 치수를 종래의 것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적어도 헤더에 관해서는,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가 대략 역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오목(凹)부에까지 도달하고 있으므로, 그 부분이 헤더 본체의 보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소켓 본체는, 삽입 또는 압입된 단자보강 금속기구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소켓 본체의 돌출 테이블을 없애도, 소켓 본체의 기계적 강도는 유지된다.
또한,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의 선단은, 헤더 본체의 오목(凹)부에 도달하므로, 사실상 헤더 포스트의 선단이 헤더 본체에 걸린다. 그 때문에, 가령 헤더 본체가 변형했다고 하여도, 헤더 포스트의 선단부가 헤더 본체로부터 부상하는 일은 없어, 헤더 본체로부터의 헤더 포스트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헤더와 소켓을 결합시킬 때, 소켓 콘택트의 대략 U자 모양의 제1접촉부의 자유단이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에 접촉하지만,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의 자유단이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가 만곡부의 정정보다도 제2접촉부측에서 접촉하므로,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의 자유단이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상을 슬라이드하면서 제2접촉부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가 헤더 포스트의 제2접촉부와 접촉하고, 소켓 콘택트와 헤더 포스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만곡부의 곡률반경은, 소켓 콘택트가 상기 만곡부에 걸려서 휘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의 자유단이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에 걸리는 일은 없고, 커넥터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휘어지는 것에 의한 소켓 콘택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소켓과 헤더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일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소켓과 헤더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부 단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일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소켓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그 우측면도, 도 3c는 그 하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소켓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상기 일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헤더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그 우측면도, 도 5c는 그 하면도이다.
도 6a는 도 5a에서의 A-A 단면도, 도 6b는 도 5a에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7a는 종래의 커넥터의 소켓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그 우측면도, 도 7c는 그 하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소켓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 9a는 종래의 커넥터의 헤더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b는 그 우측면도, 도 9c는 그 하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헤더의 측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예컨대 휴대전화기 등의 소형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회로기판끼리나 전자부품과 회로기판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0)과 헤더(30)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플립(flip)형 휴대전화에 있어서는, 회로기판이 복수로 분할되고, 또 힌지 부분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기판(FPC)이 이용되고 있다. 일례로서, 가요성의 FPC와 경질(硬質)의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커넥터(1)를 이용하고, 예컨대 소켓(10)을 경질의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도전 패턴에 납땜에 의해 실 장하는 동시에, 헤더(30)를 FPC상의 도전 패턴에 납땜에 의해 실장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30)를 소켓(10)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경질의 회로기판과 FPC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a~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0)은, 수지 성형에 의해 편평한 대략 직방체 모양으로 형성된 소켓 본체(11)와, 소켓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측벽(13)에 따라 2열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소켓 콘택트(20)를 갖는다. 정면에서 보아, 소켓 본체(11)의 중앙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러그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 본체(11)의 헤더(30)와 대향하는 면(面)상에서, 또 플러그 홈(12)의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의 주연(周緣) 근방에는, 헤더(30)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대략 コ자 모양의 가이드 벽(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벽(15)의 내주(內周)(즉 플러그 홈(12)측에는, 경사면(1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소켓 콘택트(20)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밴드 모양의 금속재를 소정 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각 소켓 콘택트(20)는, 소켓 본체(11)의 수지 성형 후에 압입되어 있다. 전술과 같이, 각 소켓 콘택트(20)의 피치는 0.4mm 정도로 매우 좁기 때문에, 1개씩 소켓 콘택트(20)를 성형하고, 소켓 본체(11)의 측벽(13)에 형성된 홈에 압입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그 때문에, 판(板) 모양의 금속 모재(母材)의 일측변(一側邊)에 슬릿(slit) 가공을 시행해서 빗살(comb) 모양으로 형성하고, 또 빗살 모양 부분을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다. 그리고, 금속 모재를 베이스로 해서 일렬로 배열된 소켓 콘택트(20)를 동시에 소켓 본체(11)의 측벽(13)에 형성된 홈에 압입한다. 최후에, 각 소 켓 콘택트(20)를 금속 모재로부터 분리한다.
소켓 콘택트(20)는,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켓 본체(11)의 측벽(13)의 테두리부를 사이에 두도록 해서 소켓 본체(11)에 유지되는 유지부(21)와, 유지부(21) 중 플러그 홈(12)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고, 유지부(21)의 대략 역 U자 형상에 대해서 역방향의 대략 U자 형상을 갖는 굴곡부(flexure portion)(제1접촉부)(22)와, 유지부(21) 중 측벽(13)의 외측면의 하단부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측 단부)로부터 측벽(13)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되는 단자부(23)를 갖고 있다. 굴곡부(22)는, 플러그 홈(12)의 내측에 있어서, 측벽(13)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휘어짐 가능하다. 또한, 굴곡부(22)에는, 유지부(2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접촉볼록(凸)부(24)(제1접촉부의 자유단)가 구부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에는, 단자보강 금속기구(metal fitting)(14)가 삽입 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단자보강 금속기구(14)는, 소켓 본체(11)의 측벽(13)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고정부(14a)와, 한쌍의 고정부(14a)의 사이를 연결하고, 소켓 본체(11)내에 매설 고정되는 대략 역 U자형의 연결부(14b)를 갖고 있다. 단자보강 금속기구(14)의 고정부(14a)는, 소켓 콘택트(20)의 단자부(23)와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10)의 소켓 콘택트(20)의 단자부(23)를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할 때에, 단자보강 금속기구(14)의 고정부(14a)를 회로 기판의 랜드에 동시에 납땜한다. 그것에 의해, 소켓 본체(11)의 기판으로의 고정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게다가, 단자보강 금속기구(14)의 고정부(14a)에 의해, 소켓(10)과 헤더(30)를 결합할 때에 소켓 콘택트(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a~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30)는, 수지 성형에 의해 가늘고 긴 대략 직방체 모양으로 형성된 헤더 본체(31)와, 헤더 본체(31)의 길이 방향의 양쪽 측벽(33)에 따라 2열로 배열 설치된 복수의 헤더 포스트(40)를 갖는다. 헤더(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헤더 포스트(40)의 사이에는, 각각 격벽(35)이 측벽(33)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2개의 격벽(35)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1쌍의 헤더 포스트(40)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한쌍의 헤더 포스트(40)의 사이, 즉, 소켓 본체(11)의 플러그 홈(12)에 감합되는 측의 제1면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오목(凹)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각 측벽(33)의 하단부(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면측의 단부) 근방에는, 측벽(33)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플랜지부(34)가,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헤더 포스트(40)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밴드 모양의 금속재를 소정 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각 헤더 포스트(40)는, 헤더 본체(31)를 수지 성형할 때, 삽입에 의해, 헤더 본체(31)와 일체화되어 있다. 헤더 포스트(40)는, 헤더 본체(31)의 측벽(33)의 외벽에 따르도록 형성되고,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41)와, 플랜 지부(34)로부터 측벽(33)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되는 단자부(42)와, 측벽(33)의 정상 근방으로부터 측벽(33)을 걸쳐서 오목(凹)부(32)의 바닥 근방에 도달하는 대략 역 U자 모양으로 형성된 만곡부(43)를 갖고 있다. 만곡부(43)의 바깥 표면측의 곡률반경은, 소켓 콘택트(20)의 굴곡부(제1접촉부)(22)가, 이 만곡부(43)에 걸려서 휘어지지 않는 최소의 곡률반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전술의 소켓 콘택트(20)와 같이, 각 헤더 포스트(40)의 피치는 0.4mm 정도로 매우 좁기 때문에, 1개씩 헤더 포스트(40)를 성형하고, 헤더 본체(31)를 수지 성형하는 금형에 삽입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그 때문에, 판 모양의 금속 모재의 일측변에 슬릿 가공을 시행해서 빗살 모양으로 형성하고, 또 빗살 모양 부분을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다. 그리고, 금속 모재를 베이스로 해서 일렬로 배열된 헤더 포스트(40)를 동시에 헤더 본체(31)의 성형용 금형에 삽입한다. 헤더 본체(31)와 헤더 포스트(40)의 삽입 성형에 의한 일체 성형 후에, 각 헤더 포스트(40)를 금속 모재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헤더 본체(31)의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에는, 단자보강 금속기구로서 기능하는 헤더 포스트의 로스 핀(loss pin)(40a)이 삽입에 의해 헤더 본체(31)와 일체적으로 매설되어 있다. 로스 핀(40a)은, 헤더 포스트(40)와 동일한 금속 모재로 형성되어 있고,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 포스트(40)와 거의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단, 로스 핀(40a)의 제2접촉부(41)에 상당하는 부분은, 헤더 본체(31)의 양쪽 단부에 매설되어 있고, 표면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로스 핀(40a)의 단자부(42)에 상당하는 고정부(42a)는, 헤더 본체(31)의 폭 방향의 최대 치수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헤더 포스트(40)의 단자부(42)보다도 짧게 절단되어 있다. 그리고, 헤더 포스트(40)의 단자부(42)를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 할 때에, 로스 핀(40a)의 고정부(42a)도 동시에 회로기판의 랜드에 납땜한다. 그것에 의해, 헤더 본체(31)의 기판으로의 고정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게다가, 로스 핀(40a)의 고정부(42a)에 의해, 소켓(10)과 헤더(30)를 결합할 때에 헤더 포스트(40)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의 소켓(10)과 헤더(30)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회로기판에 각각 실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켓(10)의 소켓 콘택트(20)의 단자부(23)를 한쪽의 회로기판, 예컨대 경질의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하고, 헤더(30)의 헤더 포스트(40)의 단자부(42)를 다른쪽의 회로기판, 예컨대 FPC의 도전 패턴에 납땜한다. 그리고, 헤더(30)를 소켓(10)의 플러그 홈(12)에 감합하면, 소켓(10)의 소켓 콘택트(20)와 헤더(30)의 헤더 포스트(40)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시에, 소켓 콘택트(20)와 헤더 포스트(40)를 통해서, 경질의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과 FPC의 도전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소켓(10)과 헤더(30)를 결합시킬 때,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제1접촉부의 자유단)(24)가, 헤더 포스트(40)의 선단부에 설치된 대략 역 U자 모양의 만곡부(43)의 바깥 표면측에 접촉한다. 그렇지만, 헤더 포스트(40)의 만곡부(43)의 곡률반경은, 적어도 소켓 콘택트(20)가 이 만곡부(43)에 걸려서 휘어지지 않는 최소의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소켓 콘택트(20)의 휘어 짐을 방지하면서, 헤더 본체(31)의 폭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커넥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역 U자 모양의 만곡부(43)는, 오목(凹)부(32)의 양측의 측벽(33)을 걸치도록 해서 헤더 본체(31)에 삽입되고 있고, 만곡부(43) 일단이 오목(凹)부(32)의 바닥면에 걸려져 있다. 그 때문에, 소켓(10)과 헤더(30)를 결합시킬 때에 헤더 본체(31)가 변형되었다고 하여도, 헤더 포스트(40)가 헤더 본체(31)의 표면으로부터 부상하여, 벗겨지는 일은 없다.
또한, 소켓(10)의 플러그 홈(12)에 헤더(30)를 감합시킬 때는, 플러그 홈(12)의 주연부(周緣部)에 설치된 가이드 벽(15)의 경사면(15a)이 헤더(30)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소켓(10)에 대한 헤더(30)의 상대 위치가 다소 어긋나 있었다고 하여도, 헤더(30)를 플러그 홈(12)에 용이하게 감합시킬수 있다.
게다가, 도 1, 도 2, 도 5c 및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 중,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가 슬라이드 접촉하는 위치에는, 돌기(44) 및 오목(凹)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44)는, 헤더 포스트(40)의 높이 방향의 중앙보다도 약간 상측(단자부(42)가 돌출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44)의 외면에는, 단자부(42)에 가까울수록 돌출 치수가 커지도록 경사면(44a)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凹)부(45)는, 헤더 포스트(40)의 높이 방향에 따라 연장된 홈 모양이며, 헤더 포스트(40)의 폭 방향, 즉 상기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대략 V자 모양이 되도록, 폭 방향의 중앙부로 향할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2개의 경사면을 갖고 있다. 헤더 포스트(40)의 폭 방향에서의 오목(凹)부(45) 의 폭 치수는, 돌기(44)의 폭 치수보다도 크고, 또 접촉볼록(凸)부(24)의 폭 치수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더 포스트(40)의 높이 방향에서의 오목(凹)부(45)의 치수 및 위치는, 제2접촉부(41)상을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가 슬라이드하는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30)가 소켓(10)의 플러그 홈(12)의 속까지 삽입된 상태에서는, 접촉볼록(凸)부(24)는 오목(凹)부(45)의 양쪽 측부에 접촉하고 있고, 돌기(44)는 접촉볼록(凸)부(24)보다도 플러그 홈(12)의 바닥면측에 위치한다. 또한, 헤더(30)를 소켓(10)의 플러그 홈(12)에 삽입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에서의 오목(凹)부(45)의 양쪽 측부에 접촉볼록(凸)부(24)가 탄성 접촉한다. 또한, 접촉볼록(凸)부(24) 중, 돌기(44)에 접촉하는 범위와 오목(凹)부(45)의 양쪽 측부에 접촉하는 범위는 겹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소켓(10)과 헤더(30)가 결합되기 전에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나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에 이물이 부착하고 있어도, 접촉볼록(凸)부(24)가 제2접촉부(41)의 표면상을 슬라이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물을 오목(凹)부(45)내에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따라서,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에 오목(凹)부(4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면, 접촉볼록(凸)부(24)와 제2접촉부(41)와의 사이에 이물이 끼일 가능성이 낮아진다. 즉,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에 돌기(44) 및 오목(凹)부(4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이물에 의한 소켓 콘택트(20)와 헤더 포스트(40)의 접촉 불량이 방지된다. 게다가, 접촉볼록(凸)부(24)가 오목(凹)부(45)의 양측의 2점에서 접촉하므로, 소켓 콘택트 (20)와 헤더 포스트(40)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에 있어서, 접촉볼록(凸)부(24)의 슬라이드 범위 내에 오목(凹)부(4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촉볼록(凸)부(24)의 슬라이드 범위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凹)부(45)를 설치한 경우에 비해서, 접촉볼록(凸)부(24)에 부착한 이물을 보다 오목(凹)부(45)로 떨어뜨려 넣기 쉬워진다.
게다가, 헤더(30)를 소켓(10)의 플러그 홈(12)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가 헤더 포스트(40)의 돌기(44)에 접촉하여, 돌기(44)로부터 저항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커넥터(1)가 진동 등을 받았다고 하여도, 헤더(30)가 소켓(10)의 플러그 홈(12)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 헤더(30)를 소켓(10)의 플러그 홈(12)에 삽입할 때에도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가 헤더 포스트(40)의 돌기(44)에 접촉한다. 그렇지만, 돌기(44)에, 단자부(42)에 가까울수록 돌출 치수가 커지도록 경사면(44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더(30)를 플러그 홈(12)에 삽입할 때의 저항은 헤더(30)를 플러그 홈(12)으로부터 빼낼 때의 저항보다도 작아진다. 게다가, 접촉볼록(凸)부(24)에 있어서, 돌기(44)에 접촉하는 범위와 오목(凹)부(45)의 양쪽 측부에 접촉하는 범위가 겹치지 않도록 오목(凹)부(45)의 위치와 형상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접촉볼록(凸)부(24)가 돌기(44)의 표면을 슬라이드 할 때에 접촉볼록(凸)부(24)로 밀어내진 이물은 오목(凹)부(45)에 떨어뜨려 넣어져, 접촉볼록(凸)부(24)와 제2접촉부(41)와의 사이에 끼이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를 헤더 포스 트(40)의 제2접촉부(41)에서의 오목(凹)부(45)의 양쪽 측부에 탄성 접촉시켜, 접촉볼록(凸)부(24)가 제2접촉부(41)의 표면상을 슬라이드하는 과정에서 이물을 오목(凹)부(45)내에 떨어뜨려 넣는 것에 의해, 접촉볼록(凸)부(24)와 제2접촉부(41)와의 사이에 이물이 끼일 가능성이 저감되고,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렇지만,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와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의 형상 및 그 접촉 상태는, 상기의 실시형태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의 제2접촉부(41)에 접촉하는 면을, 그 폭 방향의 중간부가 양쪽 단부보다도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측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형상(예컨대 곡면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 경우,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의 폭 방향의 중간부가 제2접촉부(41)에 설치된 오목(凹)부(45)내에 진입하고, 오목(凹)부(45)내의 2개의 경사면, 또는, 오목(凹)부(45)의 개구테두리에 2점으로 접촉한다. 소켓 콘택트(20)의 접촉볼록(凸)부(24)와 헤더 포스트(40)의 제2접촉부(41)가 서로 평면에서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서 소켓 콘택트(20)의 형상이 복잡해지지만, 접촉볼록(凸)부(24)와 제2접촉부(41)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서, 접촉 압력이 증대한다. 그 결과, 접촉볼록(凸)부(24)와 제2접촉부(41)와의 사이로부터 이물이 배출되기 쉬워져, 소켓 콘택트(20)와 헤더 포스트(40)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헤더 포스트(40)의 만곡부(43) 중, 적어도 만곡부(43)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41)측의 곡률반경이, 헤더(30)를 소켓 본체(11)의 플러그 홈(12)에 감합시킬 때, 소켓 콘택트(20)의 대략 U자 모양의 굴곡부(제1접촉부)(22)의 접촉볼록(凸)부(자유단)(24)가, 헤더 포스트(40)의 만곡부(43)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41)측에서 접촉하도록, 또 소켓 콘택트(20)가 만곡부(43)에 걸려서 휘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헤더 포스트(40)의 만곡부(43) 중, 만곡부(43)의 정점으로부터 제2접촉부(41)와는 반대측의 곡률반경(R2)을, 만곡부(43)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41)측의 곡률반경(R1)보다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헤더(30)의 폭 치수, 나아가서는 커넥터(1)의 폭 치수를 더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4-107303에 근거하고 있고,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에 합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형태에 의해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여러 가진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한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것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그 때문에,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헤더 본체와, 상기 헤더 본체의 측벽에 유지된 1 또는 복수의 헤더 포스트를 구비한 헤더(header)와,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헤더가 감합(嵌合)되는 플러그 홈(plug groove)을 갖는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의 상기 플러그 홈의 측벽에 유지되어, 상기 헤더가 상기 플러그 홈에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헤더 포스트와 접촉되는 1 또는 복수의 소켓 콘택트를 구비한 소켓(socket)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 본체는, 삽입 또는 압입된 단자보강 금속기구를 갖으며,
    상기 소켓 콘택트는, 상기 플러그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1접촉부를 갖고,
    상기 헤더 본체는, 상기 소켓 본체의 플러그 홈에 감합되는 측의 제1면에 오목(凹)부를 갖으며,
    상기 헤더 포스트는, 상기 헤더 본체의 측벽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헤더 본체의 측벽의 상기 제1면측 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오목(凹)부를 향해서 대략 역(逆) U자 모양으로 형성된 만곡부를 갖고,
    상기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 중, 적어도 만곡부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측의 곡률반경은, 상기 헤더를 상기 소켓 본체의 플러그 홈에 감합시킬 때, 상기 소켓 콘택트의 대략 U자 모양의 제1접촉부의 자유단이, 상기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측에서 접촉하도록, 또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만곡부에 걸려서 휘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헤더 포스트의 만곡부 중, 만곡부의 정점에서 제2접촉부와는 반대측의 곡률반경(R2)은, 상기 만곡부의 정점보다도 제2접촉부측의 곡률반경(R1)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포스트의 상기 제2접촉부에는, 상기 헤더 포스트의 높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의 제2면으로 향해, 순차로 돌기 및 오목(凹)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헤더 포스트의 높이 방향의 중앙보다도 약간 상기 제1면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외면에는,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의 제2면에 가까울수록 돌출 치수가 커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凹)부는, 상기 헤더 포스트의 높이 방향에 따라 연장된 홈(溝)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凹)부는, 상기 헤더 포스트의 폭 방향의 단면이 대략 V자 모양이 되도록, 폭 방향의 중앙부로 향할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2개의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포스트의 폭 방향에서 상기 오목(凹)부의 폭 치수는, 상기 돌기의 폭 치수보다도 크고, 또 상기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의 폭 치수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포스트의 높이 방향에서 상기 오목(凹)부의 치수 및 위치는, 상기 제2접촉부 상(上)을 상기 소켓 콘택트의 제1접촉부가 슬라이드 하는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57020390A 2004-03-31 2005-03-28 커넥터 KR100753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7303A JP2005294034A (ja) 2004-03-31 2004-03-31 コネクタ
JPJP-P-2004-00107303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401A KR20060005401A (ko) 2006-01-17
KR100753922B1 true KR100753922B1 (ko) 2007-08-31

Family

ID=3506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390A KR100753922B1 (ko) 2004-03-31 2005-03-28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95494B2 (ko)
EP (1) EP1732170B1 (ko)
JP (1) JP2005294034A (ko)
KR (1) KR100753922B1 (ko)
CN (2) CN100442603C (ko)
TW (1) TWI251375B (ko)
WO (1) WO20050964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4034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4563915B2 (ja) * 2005-10-21 2010-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207952B2 (ja) 2005-12-15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968327B1 (ko) * 2007-03-14 2010-07-0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다극동축커넥터
JP4386089B2 (ja) * 2007-03-27 2009-12-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配線基板に対する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の実装構造
JP4412347B2 (ja) * 2007-04-24 2010-02-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接続体
JP2008270085A (ja) *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CN201060970Y (zh) * 2007-06-11 2008-05-14 江苏华富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120150A (ja) * 2007-11-19 2009-06-04 Aisin Seiki Co Ltd 電気接点機構
CN201160164Y (zh) * 2008-01-05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253129B2 (ja) * 2008-12-19 2013-07-3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374074B1 (ja) * 2009-06-10 2009-12-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2474030A (zh) * 2009-06-29 2012-05-23 Human电子株式会社 板对板连接器
JP2012099276A (ja) * 2010-10-29 2012-05-24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5214798B1 (ja) * 2011-12-27 2013-06-1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CN104137344B (zh) * 2013-02-27 2017-06-3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JP5751434B2 (ja) *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JP6712794B2 (ja) * 2014-08-07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473990B2 (ja) 2014-08-07 2019-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87977B2 (ja) * 2015-06-30 2018-03-07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66653B2 (ja) * 2019-09-06 2023-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505A (ja) * 1998-03-13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H11329622A (ja) * 1998-05-20 1999-11-30 Omron Corp コネクタ構造
JP2003017162A (ja) * 2001-06-26 2003-0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4055464A (ja) * 2002-07-23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低背型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1407B2 (ja) 1992-06-25 1996-12-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温高圧容器の冷却装置
JP2551493Y2 (ja) * 1992-07-14 1997-10-22 ホシデン株式会社 脱着コネクタ
JP3026335B2 (ja) * 1992-09-25 2000-03-27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21553B2 (ja) 1997-10-08 2002-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Bi−CMOS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2002008753A (ja) * 2000-06-16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4111081A (ja) *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KR100511180B1 (ko) 2003-02-19 2005-08-30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US6827588B1 (en) * 2003-06-12 2004-12-0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6793506B1 (en) *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811411B1 (en) * 2003-09-12 2004-11-02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5294034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505A (ja) * 1998-03-13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H11329622A (ja) * 1998-05-20 1999-11-30 Omron Corp コネクタ構造
JP2003017162A (ja) * 2001-06-26 2003-0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4055464A (ja) * 2002-07-23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低背型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1630A (zh) 2006-05-10
CN2789959Y (zh) 2006-06-21
EP1732170A1 (en) 2006-12-13
US20060234525A1 (en) 2006-10-19
CN100442603C (zh) 2008-12-10
EP1732170A4 (en) 2008-03-26
WO2005096445A1 (ja) 2005-10-13
EP1732170B1 (en) 2013-06-26
TWI251375B (en) 2006-03-11
KR20060005401A (ko) 2006-01-17
TW200534540A (en) 2005-10-16
JP2005294034A (ja) 2005-10-20
US7195494B2 (en)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922B1 (ko) 커넥터
KR100753923B1 (ko)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83029B1 (ko) 커넥터
KR100538161B1 (ko) 저 프로파일 커넥터
TWI745923B (zh) 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US732915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arranged with narrow pitch
EP1846990B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KR100876818B1 (ko)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
US71791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KR100556571B1 (ko) 커넥터
EP1775796A2 (en) Board Connector
US7399187B1 (en) I/O connector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200379837Y1 (ko) 커넥터
JP2007149708A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0531938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