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818B1 -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818B1
KR100876818B1 KR1020020023620A KR20020023620A KR100876818B1 KR 100876818 B1 KR100876818 B1 KR 100876818B1 KR 1020020023620 A KR1020020023620 A KR 1020020023620A KR 20020023620 A KR20020023620 A KR 20020023620A KR 100876818 B1 KR100876818 B1 KR 100876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collision
elastic
elastic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059A (ko
Inventor
하라사와마사아키
도모나리요조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Abstract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低背化)를 실현하고, 또한, 양호한 접촉압력이 얻어지는 콘택을 제공한다.
일단에 단자부를 갖고 타단에 접촉부를 갖는 거의 띠형상의 탄성접촉편과, 일단에 고정부를 갖고 타단에 충돌방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 사이에 수용구멍을 형성한 거의 띠형상의 충돌방지편을 구비하고, 이 탄성접촉편과 충돌방지편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탄성접촉편의 접촉부의 선단부를 충돌방지부 내측에 위치시켜 거의 평행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이 수용구멍은 탄성접촉편의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들어갈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이 콘택에 다른 콘택이 탄성접촉편의 접촉부와 접촉하면, 탄성접촉편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변위하고, 접촉부에 연결된 탄성접촉편의 일부, 예를들면, 평탄부, 경사부, 선단부가 수용구멍으로 들어간다.

Description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EQUIPPE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콘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콘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콘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콘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콘택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콘택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콘택을 카드용커넥터에 적용한 전기커넥터로서, 콘택을 장착하여 커버를 벗겨낸 상태에서의 외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콘택을 카드용커넥터에 적용한 전기커넥터로서, 도(a)는 도 7을 위로부터 본 평면도, 도(b)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콘택을 적용한 전기커넥터로서, 도(a, b)는 암컷형소켓, 동도 (c, d)는 수컷형플러그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콘택을 적용한 전기커넥터로서, 도(a)는 암컷형소켓의 평면도, 도(b)는 동소켓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콘택을 적용한 전기커넥터로서, 도(a)는 수컷형플러그의 정면도, 도(b)는 도(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또 도(c)는 암컷형소켓의 정면도, 도(d)는 도(c)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e)는 수컷형플러그와 암컷형소켓을 결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콘택을 커넥터하우징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콘택의 변위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a)는 콘택이 변위하기 전, 도(b)는 변위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콘택을 커넥터하우징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콘택의 변위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a)는 콘택이 변위하기 전, 도(b)는 변위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종래기술의 콘택으로서, 도(a)는 콘택이 변위하기 전, 도(b)는 변위후의 단면도.
도 15는, 종래기술의 콘택으로서, 도(a)는 콘택이 변위하기 전, 도(b)는 변위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10c, 10d, 10e : 콘택
20, 20a, 20b, 20c, 20d, 20e : 탄성접촉편
21, 21a, 21b, 21c, 21d, 21e : 단자부
23, 23a, 23b, 23c, 23d, 23e : 부착고정부
27, 27a, 27b, 27c, 27d, 27e : 접촉부
30, 30a, 30b, 30c, 30d, 30e : 충돌방지편
31, 31a, 31b, 31c, 31d, 31e : 고정부
33, 33a, 33b, 33c, 33d, 33e : 수용구멍
37, 37a, 37b, 37c, 37c', 37d, 37e : 충돌방지부
38a, 38b, 38c, 38c' : 연결부
70, 85 : 수컷형플러그
60, 80, 90 : 암컷형소켓
본 발명은, 카드용커넥터, 프린트배선판용 커넥터 등의 전기커넥터로서, 특히 이들 전기커넥터에 장착되는 벨로즈형 콘택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벨로즈형의 콘택을 장착한 커넥터는, 그 하우징의 높이, 이른바 배고(背高)는, 다른 콘택과의 접촉시에, 콘택이 탄성변형하는 변위량에 따라 좌우되어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에 한도가 있으며, 이 때문에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이 커지게 되어 커넥터의 박형화에 과제가 있었다.
예를들면, 도 14, 도 15는, 벨로즈형의 콘택이 하우징에 장착된 커넥터로서, 각 도면은 그들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커넥터는, 탄성을 갖는 콘택(100)의 선단부가 아래쪽으로 소정의 각도로 굴곡되고, 그 최선단부가 하우징측면벽 내에 잠입한 형이며, 또한 별도의 도 15에 도시한 커넥터는, 콘택(200)을 소정의 각도를 갖고, 위쪽으로 되접어 굴곡시킨 형이다.
이 중, 전자의 도 14에 도시한 벨로즈형 콘택(100)은, 거의 띠형상을 이룬 도전성을 갖는 탄성접촉편으로 이루어지며, 띠형상을 이룬 평탄부분(101)과 이 평탄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접촉부(103)를 갖고, 접촉부의 최선단부(105)는 하우징측면벽(110)내에 잠입되어 있다.
이 하우징측면벽(110)은, 탄성접촉편(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한쪽 측면벽만이 개시되고, 다른 측면벽은 생략되어 있다), 이 측면벽의 높이는, 상면(112)과의 사이에서 콘택(100)이 변위하여 그 최선단부(105)가 저면(114)에 맞닿는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길이는 콘택(100)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를 갖고, 또한 단면(113)과 상면(112)의 모서리부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다른 콘택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런 형의 콘택은, 커넥터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콘택(100)의 평탄부분(101)은 하우징의 양 측면벽(110)간에 위치하고, 접촉부(103)로부터 뻗은 최선단부(105)는 측면벽(110)의 일단면(113)에 근접하고, 또한 상면(112)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도 14(a) 참조).
이 상태에서 예를들면, 프린트배선판상에 형성된 다른 콘택(도시생략)이 도면의 왼쪽방향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삽입되면, 이 콘택의 선단이 접촉부(103)의 경사면에 맞닿고, 이 경사면상을 슬라이드 이동, 압축한다.
또한, 이 콘택이 압입되면, 콘택(100)의 평탄부분(101)과 접촉부(103)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아래쪽으로 변위이동하며, 다른 콘택의 평탄한 면이 하우징 양 측 면벽(110)의 사이를 덮고, 접촉부(103)가 양 측면벽의 상면(112)과 거의 동일한 평면위치까지 변위함과 동시에 콘택의 최선단부(105)는 저면(114)에 맞닿거나 근접하고, 다른 콘택과 접촉하여 접속상태를 유지한다(도 14(b)참조).
또, 후자인 도 15에 도시한 벨로즈형 콘택은, 평탄부분(201)으로부터 뻗은 일단이 위쪽으로 되접어 굴곡되어 형성된 접촉부(203)를 갖는다.
또한, 210은 하우징측면벽, 211은 동 저면, 212는 동 상면, 213은 동 단면이다.
이 콘택(200)은, 접촉부(203)를 위쪽으로 절곡시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다른 콘택(도시생략)과의 접촉시에, 다른 콘택의 선단부가 이 경사면상에 맞닿아 슬라이드 이동하며, 평탄부분(201) 및 접촉부(203)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이들을 아래쪽의 저면(211)으로 이동 변위시키고, 평탄부분(201)의 일단이 저면(211)에 맞닿거나 근접하도록 변위한다.(도 15(b) 참조).
이때, 경사면이 다른 콘택과의 충돌방지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한 벨로즈형 콘택에 있어서, 전자인 도 14에 도시된 콘택(100)에서는, 접촉부(103)로부터 뻗은 최선단부(105)가 측면벽(110)의 일단에 근접함과 동시에 상면(112)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다른 콘택이 삽입된 때, 이 콘택의 선단이 경사면에 맞닿아, 콘택의 충돌방지기능을 갖게 된다.
즉, 가령 콘택의 최선단부(105)가 측면벽(110)보다 위쪽으로 나와 있으면, 다른 콘택이 삽입된 때에 이 콘택의 선단이 콘택(100)의 최선단부(105)에 맞닿는 바, 최선단부(105)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지 않고, 위쪽으로 밀어올려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콘택(100)이 이상변형 내지 영구변형하여, 다른 콘택과의 사이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양호한 접촉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형의 콘택은 충돌방지기능으로서, 접촉부(103)로부터 뻗은 최선단부(105)를 측면벽(110)에 근접시키고, 또한 측면벽 상면(112)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이러한 형의 콘택을 커넥터하우징에 장착시키고, 소정의 탄성변형을 시켜 탄성접촉압력을 얻으려면, 하우징의 양 측면벽의 높이를 최선단부(105)가 저면(114)에 맞닿거나 근접하여, 접촉부(103)가 측면벽(110)의 상면(112)과 거의 같은 위치까지 이동변위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결과, 콘택(100)의 배고는 소정의 높이를 필요로 하며, 또한 이것을 커넥터하우징에 장착시키는 때에, 측면벽(110)의 높이는 이 변위에 필요한 높이로 하지 않으면 안되어, 커넥터의 박형화에 문제가 있었다.
또, 후자인 도 15에 도시된 벨로즈형 콘택(200)은, 평탄부분(201)으로부터 뻗은 일단을 위쪽으로 되접어 굴곡시킨 접촉부(20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탄성변형을 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형과 마찬가지로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에 한도가 있고, 또한 하우징에 장착시키는 때에, 하우징의 측면벽을 소정의 높이로 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결과, 커넥터가 박형화되는 데에 같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목적은,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를 실현하고, 또한, 양호한 접촉압력이 얻어지는 콘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를 더욱 진전시키고, 또한 양호한 접촉압력이 얻어지는 콘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콘택제조시에 있어서의 접촉부의 손상을 없게 하며, 또한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와 함께, 소형화를 달성하는 콘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이들 콘택을 각종 커넥터에 적용해서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을 작게하여, 커넥터하우징의 박형화를 달성하는 각종의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각 목적은 다음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콘택은, 일단에 단자부를 갖고 타단에 접촉부를 갖는 거의 띠형상의 탄성접촉편과, 일단에 고정부를 갖고 타단에 충돌방지부를 갖는 거의 띠형상의 충돌방지편을 구비하고, 이 탄성접촉편과 충돌방지편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탄성접촉편의 접촉부 선단을 충돌방지부 내측에 위치시켜 거의 평행으로 배치시키며, 탄성접촉편의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충돌방지편에 접촉내지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단에 단자부를 갖고 타단에 접촉부를 갖는 거의 띠형상의 탄성접촉편과, 일단에 고정부를 갖고 타단에 충돌방지부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그 사이에 수용구멍을 형성한 거의 띠형상의 충돌방지편을 구비하고, 이 탄성접촉편과 충돌방지편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탄성접촉편의 접촉부 선단을 충돌방지부 내측에 위치시켜 거의 평행으로 배치시키며, 이 수용구멍은 탄성접촉편의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콘택의 실시형태로서, 충돌방지편의 선단을 거의 훅형상으로 굴곡시켜 충돌방지부를 형성하고, 혹은 탄성접촉편의 부착고정부와 충돌방지편의 고정부를 연결한 구성을 갖는다.
또, 탄성접촉편을 단자부로부터 접촉부에 걸쳐 거의 파도형상으로 굴곡시키고 혹은 단자부와 접촉부 사이에 탄성접촉편을 하우징에 장착하는 부착고정부를 설치하여, 부착고정부의 배고를 접촉부의 배고 보다 높게 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접촉편을 단자부로부터 접촉부에 걸쳐 거의 평탄하게 하며, 혹은 탄성접촉편의 일부를 충돌방지편의 수용구멍에 위치시키고, 또 충돌방지편을 길이방향의 거의 중심선을 경계로 분할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콘택을 각종 전기커넥터에 장착해서 구성한다.
그 전기커넥터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측면벽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내에 형성된 콘택수납실을 구비하고, 이 수납실에 상기에 기재한 어느것인가의 콘택을 수납시켜서 암컷형소켓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콘택수납실은 관통구멍의 상하의 편면에 형성하고, 혹은 콘택수납실은 관통구멍의 상하의 양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별도의 전기커넥터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기대, 이 기대로부터 돌출한 돌출체, 이 돌출체에 설치한 콘택수납실을 구비하고, 이 수납실에 상기 기재의 어느것인가의 콘택을 수납시키고, 수컷형플러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콘택수납실은 돌출체의 상하의 편면에 설치하고, 혹은 콘택수납실은 돌출체의 상하의 양면에 설치해도 된다.
이들 콘택은, 커넥터하우징에 장착시키는 때에, 충돌방지편과 탄성접촉편을 거의 평행 또는 거의 일면으로 하며, 또한 탄성접촉편의 선단이 충돌방지편의 충돌방지부의 내측에 배치하고, 그 선단이 충돌방지편의 내면에 접촉 혹은 근접시켜 하우징에 고정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다른 콘택이 탄성접촉편의 접촉부와 접촉하면, 탄성접촉편은 아래쪽으로 이동, 변위하여, 접촉부에 연결된 탄성접촉편의 일부, 예를들면, 평탄부, 경사부, 선단부가 수용구멍에 들어가고, 혹은 선단부가 충돌방지편의 상면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탄성접촉편의 접촉시의 변위량이 확보되고, 콘택은 변위방향에 있어서, 배고가 낮게 되어, 소위 커넥터의 저배화가 실현된다.
또한, 이 콘택을 각종의 커넥터에 장착시키면,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의 측면벽의 높이를 저감시키고, 결과적으로 커넥터가 박형이 된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콘택의 전체사시도로서, 이 콘택은 탄성접촉부재와 충돌방지기능을 갖는 부재로 분리되어 있다.
콘택(10)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양도전성의 얇은 금속판을 펀칭가공 등에 의해 형성 가공된 것으로서, 거의 띠형상을 갖는 탄성접촉편(20)과, 이 접촉편(20)과 조를 이루는 거의 띠형상의 충돌방지편(30)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탄성접촉편(20)은, 리드선 등을 접속하는 단자부(21)와, 이 단자부로부터 위쪽으로 입상 굴곡된 입상부분(22)과, 그 끝의 하우징에 압입 등에 의해 위치결정 고정되는 부착고정부(23)를 갖고, 또한, 이 압입 등은 고정부 단변에 폭방향의 편측 혹은 양측에 걸어맞춤편(도시생략)을 설치해서 행한다.
또, 그 끝의 곡절부(24), 평탄부(25), 그 끝의 경사면(26), 접촉부(27) 및 최선단부(29)를 갖는다.
이 탄성접촉편(20)은, 성형시, 부착고정부(23)가 접촉부(27) 보다 약간 높고, 또한, 단자부(21)로부터 접촉부(27) 및 최선단부(29)에 걸쳐, 거의 파도상으로 굴곡되고, 다른 콘택과의 접촉시에 소정의 탄력성이 얻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착고정부(23)를 접촉부(27)보다 약간 높게한 이유는, 콘택제조시에, 긴길이의 박판금속판을 펀칭하여, 굴곡가공된 복수의 콘택이 수집되는 때에, 콘택이 적층되어 콘택끼리의 충돌이 일어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부착고정부(23)가 접촉부(27)보다 약간 높게되어 있기 때문에, 이 충돌은 부착고정부(23)에서 수용되고, 이 부착고정부끼리의 충돌이 되어, 접촉부(27)끼리의 강한 충돌이 회피되기 때문에, 접촉부(27)의 이상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접촉편(20)은, 평탄부(25)로부터 경사면(26), 접촉부(27) 및 최선단부(29)에 따라 띠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충돌방지부재의 수용구멍에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띠의 폭은 충돌방지편의 수용구멍의 폭치수와의 관계로 결정되고, 구멍폭의 치수가 큰 경우에는, 띠의 폭을 좁게할 필요는 없다.
또, 접촉부(27)에는, 그 표면 중앙부의 일부를 길이방향에 따라 돌기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8)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실시형태의 콘택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형성된다.
이 돌기는, 다른 콘택과의 양호한 전기적 접촉압력을 얻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탄성접촉편의 이면으로부터 압출융기시키므로서 형성된다.
한편, 충돌방지기능을 갖는 부재, 소위 충돌방지편(30)은, 탄성접촉편(20)과 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탄성접촉편(20)의 폭과 동일 내지 약간 광폭으로서, 길이는 약간 짧게해서 거의 띠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길이방향의 거의 중간부로부터 선단으로 향해서,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들어가는 수용구멍(33)이 형성되고, 이 수용구멍(33)은 평탄부(31), 한 쌍의 팔부(34, 35), 충돌방지부(37)로 둘러싸여 있다.
또, 그 선단은 소정각도가 되접어져서 거의 훅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 (36), 충돌방지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콘택은, 탄성접촉편(20)과 충돌방지편(30)으로 분리되고, 또한 굴곡개소도 적은 것에서, 금속판으로부터의 펀칭 및 굴곡가공 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띠형상부재의 평탄부(31)의 단변의 폭방향으로 돌기 등의 걸어맞춤편(도시생략)을 설치하여, 하우징에의 압입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콘택(10)은, 커넥터하우징에의 장착시에, 충돌방지편(30)의 위쪽에 탄성접촉편(20)을 거의 평행으로, 또한, 탄성접촉편(20)의 선단(29)이 충돌방지편 (30)의 충돌방지부(37)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 선단(29)이 충돌방지부(37)의 내면에 접촉 혹은 근접되도록 하우징에 고정된다.
그러면, 다른 콘택(도시생략)이 탄성접촉편(20)의 접촉부(27)와 접촉하면, 탄성접촉편은 아래쪽으로 이동, 변위하여 접촉부(27)에 연결된 탄성접촉편의 일부, 예를들면, 평탄부(25), 경사부(26), 선단부(29)가 수용구멍(33)에 들어가, 탄성접촉편(20)의 접촉시의 변위량이 확보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콘택(10)은 변위방향에 있어서, 배고가 낮은, 소위 저배화가 실현될 수 있고, 또한 이 콘택(10)을 장착시키는 하우징의 수납공간의 측면벽 높이를 저감시킬수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로서, 콘택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콘택(10a)은 전술한 콘택(10)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탄성접촉편 (20a)과 충돌방지편(30a)으로 이루어진다.
탄성접촉편을 구성하는 부분(21a)∼(29a)은, 도 1에 있어서의 탄성접촉편의 부분(21)∼(29)에 대응하고, 같은 모양으로 충돌방지편의 부분(31a)∼(37a)은 각각, 도 1의 충돌방지편의 부분(31)∼(37)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대응부분은, 상호 거의 동일한 구조로서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콘택(10)과 다른 부분은, 콘택(10)은 탄성접촉편(20)과 충돌방지편(30)이 별개였으나, 이 콘택(10a)은 양자간에 연결부(38a)가 형성되어, 양자가 일체로 결합된 것에 있다.
이 결합은, 얇은 금속판을 펀칭하는 때에, 이 연결부(38a)를 형성해서 펀칭하므로서 형성된다.
이 콘택은, 탄성접촉편(20a)과 충돌방지편(30b)이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부품관리에 수고가 걸리지 않으며, 또한 하우징수납부에의 장착이 별도의 것에 비해 간단해진다.
또한, 기타의 기능은 전술한 콘택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로서, 콘택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콘택(10b)은 전술한 제2실시형태의 콘택(10a)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콘택(10a)과 다른 부분은, 탄성접촉편(20b)의 굴곡부(24)를 평탄하게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굴곡부(24a)(도2 참조)를 평탄하게 하므로서 연결부(38b)의 길이는 짧고, 부착고정부(32b)와 평탄부(25b)가 거의 동일 평면에 위치하며, 또한 충돌방지편(30b)의 수용구멍(33b)이 고정부(31b)의 근처까지 뻗고, 수용구멍(33b)이 길게되 어 있다.
수용구멍(33b)이 길게 된 것에 의해, 탄성접촉편(20b)이 변위하는 때에, 전술한 콘택(10a)에 비해, 탄성접촉편의 부분을 보다 많이 수용할 수 있어, 이에 수반하여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콘택의 저배화가 보다 진전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로서, 콘택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콘택은 전술한 제3실시형태의 콘택(10b)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다른 부분은, 충돌방지편(30c)이 길이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 거의 좌우대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에 있다.
즉, 길이방향의 거의 중심선을 경계로 하여 한 쌍의 고정부(31c), 한 쌍의 팔부(34c, 35c), 한 쌍의 충돌방지부(37c, 37c')로 분할되고, 그들간에 수용구멍(33c)이 형성되고, 부착고정부(23c)와 각 고정부(31c)가 연결부(38c, 38c')로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부가 콘택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접촉편(20c)과 충돌방지편(30c)과의 연결이, 한쪽밖에 없는 것에 비해 안정되어, 콘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로서, 콘택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콘택은 전술한 콘택(10a, 10b)과 달리, 부착고정부(23d), 한 쌍의 팔부(34d, 35d), 수용구멍(33d)의 구조가 다르다.
즉, 부착고정부(23d)로부터 한 쌍의 팔부(34d, 35d)가 뻗어 있으며, 이들 팔부는, 부착고정부(23d)와 가까운곳에서 파도상으로 굴곡되어 굴곡부(24d, 24d')가 형성되고, 또 그들 선단은 함께 연결되어 충돌방지부(37d)가 구성되며, 수용구멍(33d)은 이들 한 쌍의 팔부(34d, 35d)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이 콘택은, 다른 콘택과의 비접촉시라도 탄성접촉부(20d)가 수용구멍(33d)내로 들어가 있게 된다.
이 콘택은, 탄성접촉편(20d)과 충돌방지편이 일체로 결합하여, 절곡개소가 적게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적게되어, 콘택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탄성접촉편이 수용구멍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저배화도 개선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로서, 콘택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콘택은 전술한 콘택(10d)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다른 부분은, 굴곡부의 굴곡방향이 다른 점에 있다.
즉, 부착고정부(23e)로부터 한 쌍의 팔부(34e, 35e)가 뻗어 있으며, 이들 팔부는 부착고정부(23e)와 가까운 곳에서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굴곡부(24e, 24e')가 형성되고, 또한 이들의 선단은 함께 연결되어, 충돌방지부(37e)가 구성되며, 수용구멍(33e)은 이들 한 쌍의 팔부(34e, 35e)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 콘택도, 전술한 콘택과 마찬가지로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저배화가 개선되게 된다.
전술한 도 1∼도 6에 도시한 콘택은, 어느 것이나 충돌방지편에 수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나, 각종 커넥터에의 적용에 따라서는 이 수용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같은 모양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즉, 특히, 도 1∼도 4에 도시된 콘택은, 충돌방지편에 수용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콘택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면, 다른 콘택과의 접촉시에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충돌방지편의 평면에 맞닿거나 근접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으로도 탄성접촉편의 변위량은 수용구멍을 형성한 것과 비교하여 약간 적게되지만,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가 달성되게 된다.
이들 콘택과 종래기술의 콘택을 대비하여, 콘택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에 대해 도 12∼도 15를 참조해서 보충 설명한다.
도 12는 충돌방지편에 수용구멍을 형성한 콘택, 도 13은 충돌방지편에 수용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콘택에 관한 것으로서, 도 12(a) 및 도 13(a)는 다른 콘택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콘택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2(b), 13(b)는 다른 콘택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 도 15에 도시한 콘택은 이미 상술한 종래기술의 콘택이다.
우선, 도 1∼도 6에 도시된 충돌방지편에 수용구멍을 형성한 콘택 중, 도 1에 도시한 콘택(10)으로 설명한다.
이 콘택(10)은, 다른 콘택(도시생략)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도 12(a) 참조)에 있어서, 다른 콘택이 좌측으로부터 도시한 방향의 거의 수평으로 삽입되면, 탄성접촉편(20) 및 충돌방지편(30)은, 하우징측면벽의 상면(43)과 거의 동일면까지 이동 변위한다.
이 변위는 탄성접촉편(20)의 선단부(29), 경사부(26), 및 평탄부(25)의 일부가 충돌방지편(30)의 수용구멍(33)에 들어가므로서 달성된다.
따라서, 카드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도 12(a) 참조)와 카드가 삽입되고 탄성접촉편(20)이 변위하여 충돌방지편의 수용구멍(33)에 탄성접촉편(20)의 일부가 들어간 상태(도 12b)를 동일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는 종래기술의 콘택(도 14(b), 도 15(b))를 대비해 보면, 콘택(10)은 그 변위시에 있어서, 저배화가 진전되어 있고, 이에 수반하여, 콘택수납부의 측면벽 높이가 낮게되어, 커넥터의 박형화가 실현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도 6에 도시된 콘택도, 다른 콘택과의 접촉시에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충돌방지편의 수용구멍에 들어가 같은 모양의 저배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 도 13에 도시한 충돌방지편에 수용구멍을 갖지 않는 콘택의 경우는, 다른 콘택과의 접촉시에, 탄성접촉편(10')의 선단부(29')가 충돌방지편(30')의 상면에 맞닿거나 근접하게 된다.
또한, 부호 27'은 접촉부, 37'은 충돌방지부이다.
이 콘택(10')은, 탄성접촉편의 변위량은 수용구멍을 형성한 것과 비교하여 약간 적게되지만,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가 달성될 수 있고, 또한 콘택수납부의 상면(43')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콘택의 박형화가 달성된다.
다음에, 도 1∼도 6에 도시된 각 콘택의 커넥터에의 적용예를 복수 콘택중, 이하의 콘택(10)에 대해 커넥터에의 적용을 설명한다.
이 경우, 다른 각 콘택은 각각 그 구조가 세부에 있어서 다르지만, 커넥터하우징은 이 콘택구조의 차이에 기초하여, 형상, 치수 등이 변경되는 것이며, 이 변경은 설계에 따라, 그 때마다 변경할 수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도 6에는, 충돌방지편에 수용구멍을 형성한 콘택이 도시되어 있으나, 수용구멍이 없는 콘택도 같은 모양이다.
우선, 이들 콘택은, 예를들면, 도 7, 도 8에 도시된 카드용커넥터에 적용된다.
도 7은 콘택을 장착하여 커버를 벗겨낸 상태에서의 커넥터 외관사시도, 도 8(a)는 도 7을 위로부터 본 평면도, 동도 (b)는 동도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종류의 카드용커넥터의 구조는, 한 쌍의 측면부레일(41a, 41b)을 대향시켜 그 사이에 만(50)이 형성되고, 양 측면부레일(41a, 41b)의 단말을 연결한 프레임(40)과, 이 연결부분에 복수의 콘택(101)∼(109)이 각각 수납되는 상호 격리된 복수의 관통구멍(451)∼(459) 및 이 관통구멍에 연통된 콘택수납부(461)∼(46 9)로 이루어진다.
또, 각 측면부레일(41a, 41b)의 내벽에는 카드의 양측부가 삽입되는 홈 (42a, 42b)이 각각 형성되고, 그 홈에 안내되어, 카드(도시생략)가 삽입되며, 카드의 하면에 배설된 콘택과 수납부에 배설된 콘택이 접촉한다.
또한, 콘택을 구성하는 프레임 등은, 이미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커넥터에 복수의 콘택(101)∼(109)이 각각 장착된다.
그 중의 하나, 콘택(106)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커넥터하우징은, 프레임(40)에 설치된 콘택(10)을 삽입하는 관통구멍 (456)과 콘택을 수납시키는 수납부(466)를 구비하며, 이 수납부(466)는, 주위가 벽으로 둘러싸이고, 콘택(106)의 길이방향에 따른 한 쌍의 측면벽(도 8(b)는 한쪽의 측면벽을 도시)과 관통구멍의 반대측에 단면벽을 갖고 있으며, 또한 상하면은 개방되어, 이 개방부에서 콘택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변위될 수 있는 공극으로 되어 있다.(도 8(b) 참조).
우선, 충돌방지편(30)은 충돌방지부(37)를 선두로 하여 관통구멍(456)에 삽입되고, 이 충돌방지편(30)을 하우징의 관통구멍(456)의 저면에 압입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어서, 탄성접촉편(20)의 선단부(29)를 앞으로 하여 관통구멍(456)에 삽입하여 평탄부(23)를 하우징의 관통구멍(456)의 상면에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접촉편(20)의 선단부(27)를 충돌방지부(37)의 내면에 접촉 내지 근접시킨다.
또한, 탄성접촉편과 충돌방지편이 연결되어 있는 콘택은, 양자를 동시에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고정시킬수 있다.
이 커넥터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다른 콘택(도시생략)이 거의 수평으로 삽입되면, 다른 콘택의 선단이, 우선, 충돌방지편(30)의 충돌방지부(37)의 경사면에 맞닿고, 이 면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어서 탄성접촉편(20)의 접촉부(27)의 경사 면에 맞닿고, 이 면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충돌방지편(30)과 탄성접촉편(20)을 그들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아래쪽으로 이동, 변위시키며, 다른 콘택의 평탄면이 하우징의 양 측면벽간을 덮어 다른 콘택과 접촉부(27)가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완성한다.
이에 의해,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저배화 및 콘택수납공간의 저감은, 예를들면, 도 12의 콘택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이들 콘택은, 예를들면, 도 9에 도시한 커넥터에 사용된다.
도 9(a, b)는 암컷형소켓, 동도 (c, d)는 이 암컷형소켓과 결합되는 수컷형플러그로서, 동도 (a)는 정면도, 동도(b)는 A-A선에 따른 단면도, 동도 (c)는 정면도, 동도 (d)는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암컷형소켓(60)은, 거의 상자형상을 이루는 하우징을 갖고, 그 전면에 설치된 개방구부(61)와, 이 개방구부의 길이방향의 상하로 콘택(10)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관통구멍(611)∼(6110)이 천설되고, 또한 이 개방구부의 상하 내면에 콘택이 탄성변형하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611)∼(6110)에 콘택(10)을 각각 삽입, 고정시켜 암컷형소켓을 형성한다(도 9(b) 참조).
한편, 수컷형플러그(70)는, 소정두께를 갖고 평판상을 갖는 돌기부(71)와, 이 평탄부의 표면에 복수의 콘택(711)∼(7110)이 배설된 구조를 갖는다.
암컷형소켓(60)과 수컷형플러그(70)를 결합시키면, 콘택(10)은, 접촉부가 수 컷형플러그의 선단에서 압압되고,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충돌방지편의 수용구멍에 들어가게 된다.
이에 의해, 양호한 접촉이 행해지며, 이 커넥터에서도 전술한 커넥터와 같은 모양으로 커넥터하우징의 각 측면벽의 높이를 낮게할 수 있어, 따라서 커넥터를 박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이들 콘택은, 예를들면, 도 10에 도시되는 암컷형소켓에도 사용된다.
도 10(a)는 평면도, 동도 (b)는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암컷형소켓(80)은, 거의 상자형상을 이루고,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관통하는 관통구멍(81, 82), 콘택을 수납시키는 수납부(83)를 갖고, 수납부 (83)는 저면으로 향해 개방 내지 폐쇄되고, 콘택이 변위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82)으로부터 콘택(10)의 접촉부를 위로 하여 삽입하고, 접촉편 (20)과 충돌방지편(30)을 이 관통구멍(82)의 상하면에 장착하여 암컷형소켓을 조립한다(도 10(b) 참조).
이 상태에서 다른 콘택(도시생략)이 삽입된 때의 콘택(10)의 기능은, 콘택(10)을 하우징에 장착한 때의 기능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들 콘택은 예를들면, 도 11에 도시되는 커넥터에도 사용된다.
도 11은 1조의 수컷형플러그, 암컷형소켓으로서, 동도 (a)는 수컷형플러그의 정면도, 동도 (b)는 도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동도(c)는 수컷형소켓의 정면도, 동도 (d)는 도 (c)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또한 동도 (e)는 수컷형플러그와 암컷형소켓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수컷형플러그는, 하우징 기대(8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86)가 형성되고, 하우징 기대(85)에는 콘택(10)을 삽입관통시키는 복수의 관통구멍(871, 873, 881, 883)이 상하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은, 콘택(10)을 위치결정 고정시키는 홈이 상하에 형성되며, 또한 그 끝에 콘택을 수납시키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서 콘택수납실이 형성되어, 이 수납실에서 콘택이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도 11(a),(b) 참조)
한편, 암컷형플러그는, 상자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수컷형플러그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9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91)의 상하 내면에는 콘택(921, 923, 931, 933)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도 11(c),(d) 참조).
수컷형플러그와 암컷형소켓이 결합되면, 수컷형플러그의 콘택(10)이 암컷형소켓의 콘택과 접촉하여, 접속이 완성된다.
그때, 콘택(10)의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충돌방지편의 수용구멍에 들어가게 된다.
그 결과, 적당량의 접촉압력으로 콘택과 탄성접촉편이 양호한 접촉이 유지됨과 동시에, 수컷형플러그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고, 이에 부수하여 암컷형소켓도 박형화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택은, 다른 콘택과의 접촉시에 탄성접 촉편의 일부가 충돌방지편의 수용구멍으로 들어가거나, 혹은 맞닿게 되므로, 콘택의 변위방향에 있어서의 배고가 낮게되어, 소위 콘택의 저배화가 실현될 수 있다.
또, 굴곡개소 등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콘택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부착고정부의 배고를 접촉부의 배고보다 높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시에 있어서, 접촉부의 손상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 이들 저배화를 도모한 콘택을 각종의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적용에 의해 각종 커넥터의 박형화가 달성된다.

Claims (15)

  1. 일단에 단자부를 갖고 타단에 접촉부를 갖는 띠형상의 탄성접촉편과, 일단에 고정부를 갖고 타단에 충돌방지부를 갖는 띠형상의 충돌방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접촉편과 상기 충돌방지편을 간격을 두고 상기 탄성접촉편의 접촉부 선단을 상기 충돌방지부 내측에 위치시켜 평행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탄성접촉편의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상기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상기 충돌방지편에 접촉 내지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2. 일단에 단자부를 갖고 타단에 접촉부를 갖는 띠형상의 탄성접촉편과, 일단에 고정부를 갖고 타단에 충돌방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그 사이에 수용구멍을 형성한 띠형상의 충돌방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접촉편과 상기 충돌방지편을 간격을 두고 상기 탄성접촉편의 접촉부 선단을 상기 충돌방지부 내측에 위치시켜 평행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수용구멍은 상기 탄성접촉편의 탄성변형에 수반하여, 상기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편의 충돌방지부는, 그 충돌방지편의 선단을 훅형상으로 굴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4. 제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의 부착고정부와 상기 충돌방지편의 고정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이, 상기 단자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에 걸쳐 파도형상으로 굴곡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의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부착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고정부의 배고가 상기 접촉부의 배고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이, 상기 단자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에 걸쳐 평탄하게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의 접촉부가 상기 충돌방지편의 수용구멍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편이,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경계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10.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벽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 내에 형성된 콘택수납실을 구비하며,
    상기 콘택수납실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콘택을 수납하고, 암컷형소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수납실이, 상기 관통구멍의 상하의 편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수납실이, 상기 관통구멍의 상하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3.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대, 상기 기대로부터 돌출한 돌출체, 상기 돌출체에 설치한 콘택수납실을 구비하며,
    상기 콘택수납실에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택을 수납하고, 수컷형플러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수납실이, 상기 돌출체의 상하의 편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수납실이, 상기 돌출체의 상하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20020023620A 2001-06-08 2002-04-30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 KR100876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4895A JP4841756B2 (ja) 2001-06-08 2001-06-08 コンタクトとこれを装着した電気コネクタ
JPJP-P-2001-00174895 2001-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059A KR20020095059A (ko) 2002-12-20
KR100876818B1 true KR100876818B1 (ko) 2009-01-07

Family

ID=1901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620A KR100876818B1 (ko) 2001-06-08 2002-04-30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16485B2 (ko)
EP (1) EP1265317B1 (ko)
JP (1) JP4841756B2 (ko)
KR (1) KR100876818B1 (ko)
CN (2) CN100394648C (ko)
DE (1) DE60223108T2 (ko)
TW (1) TW5695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5939B2 (ja) * 2002-03-29 2004-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152623A (ja) * 2002-10-30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構造並びにコネクタ
US7258550B2 (en) * 2003-04-10 2007-08-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568410U (en) * 2003-05-07 2003-1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965380B2 (ja) 2003-10-30 2007-08-2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オス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オスコネクタ
CN2682631Y (zh) * 2003-12-16 2005-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4170278B2 (ja) * 2004-03-19 2008-10-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WO2005104007A1 (en) * 2004-04-20 2005-11-03 Molex Incorporated Memory card connector
KR100662339B1 (ko) * 2004-07-0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기 기기의 접속 단자
CN2800518Y (zh) * 2005-05-20 2006-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TWM300874U (en) * 2006-06-02 2006-11-11 Advanced Connectek Inc Battery connector
TWM310488U (en) * 2006-08-08 2007-04-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00956424Y (zh) * 2006-09-01 2007-10-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弹片
CN201041855Y (zh) * 2007-03-20 2008-03-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CN201060970Y (zh) * 2007-06-11 2008-05-14 江苏华富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30754Y (zh) * 2007-09-22 2008-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DE202007014596U1 (de) * 2007-10-01 2008-01-0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JP4977659B2 (ja) * 2008-07-18 2012-07-18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04526B2 (ja) * 2008-11-28 2011-11-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1774029U (zh) * 2010-02-08 2011-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547513B2 (ja) * 2010-02-12 2014-07-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及びコンタクト
JP5878363B2 (ja) * 2011-12-26 2016-03-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
US8517779B2 (en) * 2012-01-06 2013-08-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terminal
JP5516914B2 (ja) * 2012-11-26 2014-06-11 Smk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KR101402999B1 (ko) 2012-12-28 2014-06-03 (주)씨엘 심카드 커넥터용 컨택트 단자
CN103427181B (zh) * 2013-01-10 2015-11-1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插头、插座及其电连接器组件
KR101460075B1 (ko) * 2013-06-07 2014-11-1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양방향성 접촉자
JP5852056B2 (ja) * 2013-06-28 2016-02-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
JP2015076130A (ja) * 2013-10-04 2015-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18506B1 (ja) 2014-04-09 2015-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319520B (zh) * 2014-10-14 2017-06-30 深圳君泽电子有限公司 连接器及具有该连接器的终端设备
CN105024204B (zh) * 2014-12-18 2018-07-27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防溃型导电端子、及使用该导电端子的卡座
CN106033850B (zh) * 2015-03-13 2019-01-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卡卡座及电子设备
JP2016184557A (ja) * 2015-03-27 2016-10-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CN105186170B (zh) * 2015-08-10 2017-05-10 昆山科信成电子有限公司 一种防溃pin的导电端子及卡连接器
JP6316911B1 (ja) * 2016-11-24 2018-04-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7994377B (zh) * 2017-03-14 2020-12-22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及端子
CN107275839A (zh) * 2017-06-30 2017-10-2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推挽式大电流连接器
US11050179B2 (en) * 2018-05-11 2021-06-29 Foxconn (Kunshan) Computer Connector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tact formed of first and second contact parts coupled together
CN109326909A (zh) * 2018-11-20 2019-02-12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一种高密度大功率卡类连接端子以及连接器
CN114156671A (zh) * 2021-12-02 2022-03-08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金属簧片结构及电连接器
DE102022002193A1 (de) 2022-06-17 2023-12-2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s Kontaktsystem für einen Steckverbin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540Y1 (ko) * 2000-08-22 2001-02-15 골든콘넥터산업주식회사 콘넥터
KR100519462B1 (ko) * 2004-12-10 2005-10-07 주식회사 우영 접속핀 및 이를 구비한 심 슬라이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4665A (en) * 1980-10-31 1982-08-17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ss terminating individual conductors
US5295843A (en) * 1993-01-19 1994-03-2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ower and signal contacts
FR2714539B1 (fr) * 1993-12-24 1996-01-26 Itt Composants Instr Connecteur é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à mémoire électronique.
US6102744A (en) * 1997-05-27 2000-08-15 The Whitaker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and contact
US6024612A (en) * 1997-09-23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JPH11121118A (ja) * 1997-10-03 1999-04-30 Molex Inc 電気コネクタ
JP3598811B2 (ja) * 1998-05-14 2004-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端子とこれを組み込んだ嵌合検知用コネクタ
FR2785723B1 (fr) * 1998-11-06 2003-05-23 Framatome Connectors France Prise de connexion sur circuit imprime, comprenant une fiche et une embase
JP2000150044A (ja) * 1998-11-10 2000-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540Y1 (ko) * 2000-08-22 2001-02-15 골든콘넥터산업주식회사 콘넥터
KR100519462B1 (ko) * 2004-12-10 2005-10-07 주식회사 우영 접속핀 및 이를 구비한 심 슬라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5317A2 (en) 2002-12-11
US20020187666A1 (en) 2002-12-12
CN1862886A (zh) 2006-11-15
EP1265317B1 (en) 2007-10-24
TW569503B (en) 2004-01-01
CN1391316A (zh) 2003-01-15
EP1265317A3 (en) 2004-01-14
JP4841756B2 (ja) 2011-12-21
KR20020095059A (ko) 2002-12-20
DE60223108D1 (de) 2007-12-06
CN1282277C (zh) 2006-10-25
CN100394648C (zh) 2008-06-11
JP2002367697A (ja) 2002-12-20
US6616485B2 (en) 2003-09-09
DE60223108T2 (de)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818B1 (ko)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KR100683029B1 (ko) 커넥터
KR100753922B1 (ko) 커넥터
EP1981124B1 (en) Low profile connector
EP1846990B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9161463B2 (en) Electronic component
KR100592360B1 (ko) 기판 내장형 압접 커넥터
KR20060006948A (ko)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H07211377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ンタクト
US9876295B2 (en) Electric connector
EP3340389A1 (en) Connector device
JP2024052802A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の製造方法
EP13852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6309244B1 (en) Connector assembly and power shunt contact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EP1530262A2 (en) Multiconnection device
CN113196576A (zh) 线束部件
KR100623473B1 (ko) 압접 단자
US6974355B1 (en) Connector
CN117957728A (zh) 端子零件的连接构造以及接头连接器
JP2023101726A (ja) コネクタ
JP2023175512A (ja) 電気コネクタ
JP2006073324A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KR20110069679A (ko) 소켓, 금속부품 및 래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