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473B1 - 압접 단자 - Google Patents

압접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473B1
KR100623473B1 KR1020047011584A KR20047011584A KR100623473B1 KR 100623473 B1 KR100623473 B1 KR 100623473B1 KR 1020047011584 A KR1020047011584 A KR 1020047011584A KR 20047011584 A KR20047011584 A KR 20047011584A KR 100623473 B1 KR100623473 B1 KR 100623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groove forming
hous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678A (ko
Inventor
고토아키라
다카기요시카즈
미야하라가즈시
치요다메구미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permanent deformation of contact memb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압접 단자(3)는 일체형 판금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단자는 절연 전선이 연장하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판형의 제1 및 제2 압접홈 형성부(71, 72)를 포함한다. 각 압접홈 형성부(71, 72)는 압접홈(73)을 형성하는 거의 U자 형의 압접 블레이드(74)를 포함한다. 압접홈 형성부(71, 72)의 바닥부는 상호 연결부(7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상호 연결부(75)의 한쪽 가장자리에서부터 하측으로 리드(12)가 연장한다. 제1 압접홈 형성부(7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굴곡됨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부(78, 79) 사이에는 절연 전선의 절연체를 위한 유지공간(R)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레이트부(78, 79)는 걸림 돌기(80)와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81)을 갖는다. 각 압접홈 형성부(71, 7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걸림 돌기(76, 77)가 각각 연장한다.

Description

압접 단자{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본 발명은, 전선의 절연체를 벗겨내면서 압접에 의해 절연 전선과 연결되는 하는 압접 단자(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에 관한 것이다.
압접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압접홈을 각각 형성하는 이중의 압접 블레이드를 갖는 종래의 압접 단자가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2-10042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2002-l34179호 공보 참조).
또한, 커넥터 하우징 내에 유지된 압접 단자가 압접에 의해 전선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기술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10-214650호 공보 참조).
이중 압접 블레이드가 일본 특허 공개 2002-10042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2002-134179호에서와 같이 사용되면 압접 단자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10-214650호 공보와 같이, 압접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압접을 행하기 위한 지그가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그 삽입을 위한 공간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압접 단자의 주위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압접 단자 자체의 크기가 큰 경우에, 전기 커넥터의 크기가 커질 우려가 있다.
또한, 최근,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있어서, 각종 ECU(Electronic Control Unit) 간의 접속을 네트워크로 형성하는 기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압접 단자 및 (이 압접 단자가 납땜되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ECU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송 배선에 각 압접 단자를 압접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제안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그러한 방법을 적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콤팩트하고 또한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압접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절연체를 벗겨내기 위한 압접홈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대향하는 압접홈 형성부와, 이들 한 쌍의 압접홈 형성부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호 연결부와, 이 상호 연결부로부터 연장하는 리드와, 적어도 한쪽의 압접홈 형성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굴곡됨으로써 형성되어 그 사이에 절연 전선용 유지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단일의 부재를 이용한 판금 가공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압접 단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전선은 그 전선의 절연체가 상기 압접홈 형성부의 압접홈에 의해 벗겨지면서, 그 압접홈과 이중으로 압접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플레이트부가 압접홈 형성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굴곡됨으로써 형성되어, 그 사이에 절연 전선용의 유지공간을 제공하기 때 문에, 단자의 전체 길이 및 그것의 폭을 훨씬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단자는 하우징에 접촉하도록 각 플레이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접촉부와, 각 플레이트부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을 굴곡함으로써, 절연 전선이 하우징과 한 쌍의 플레이트부에 의해 구획되는 유지 공간에 감금되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부분은 종래의 거의 홈통형을 절연 배럴(insulation barrel)에 비해, 콤팩트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단자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부는 하우징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을 굴곡하는 경우, 각 플레이트부는 그 위치가 어긋나지 않아, 절연 전선의 절연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는, 한 쌍의 압접홈 형성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우징에 걸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접홈 형성부는 하우징에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어, 하우징 내에서 압접 작업을 수행할 때에 생성되는 압접 하중을 하우징에 의해 받을 수 있다.
또, 상기 단자는 상기 리드의 중간부에 마련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굴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하우징 내에서 압접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 동안에 굴 곡부가 변형하고, 그로 인해, 리드 선단에서의 납땜 부분 등에 압접 하중이 부주의하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하우징 내에서의 압접에 대해 매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압접 단자를 포함하는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Ⅵ-Ⅵ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커버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압접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압접 단자가 메인 하우징의 단자 유지부에 유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의 주요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메인 하우징의 단자 유지부에 유지된 압접 단자의 리드가 회로 기판에 납땜된 상태를 도시하는,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의 주요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압접 단자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절연 전선의 절연체가 유지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압접 단자의 주요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3은 압접 단자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를 살펴보면, 도면 부호 1은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2는 절연 전선을, 도면 부호 33A는 압접 단자를, 도면 부호 4는 본체를, 도면 부호 5는 단자 유지부를, 도면 부호 6은 메인 하우징을, 도면 부호 7은 제1 커버 하우징을, 도면 부호 8은 제2 커버 하우징을, 도면 부호 9는 제1 유지 공간을, 도면 부호 10은 회로 기판을, 도면 부호 10a는 제1 표면을, 도면 부호 10b는 제2 표면을, 도면 부호 11은 제2 유지 공간을, 도면 부호 12는 리드를, 도면 부호 12a는 선단을, 도면 부호 13은 바닥판을, 도면 부호 14는 관통공을, 도면 부호 71은 제1 압접홈 형성부를, 도면 부호 72는 제2 압접홈 형성부를, 도면 부호 73은 압접홈을, 도면 부호 74는 압접 블레이드를, 도면 부호 75는 상호 연결부를, 도면 부호 7677은 걸림 돌기(걸림부)를, 도면 부호 7879는 플레이트부를, 도면 부호 78a78b는 하부 가장자리, 도면 부호 78b79b는 상부 가장자리를, 도면 부호 80은 걸림 돌기(걸림부)를, 도면 부호 81은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을, 도면 부호 82는 보강 플랜지를, 도면 부호 8384는 수직홈을, 도면 부호 85는 걸림 구멍을, 도면 부호 R은 유지 공간을, 그리고 도면 부호 B는 굴곡부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의 압접 단자를 포함하는 기판 내 장 압접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1)[이하, "커넥터(1)"로 간단히 칭하기도 한다)는,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전송 배선으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절연 전선(2)의 중간부에 각각의 절연체를 벗겨내면서 압접됨으로써 연결되는 복수의 압접 단자(3)[이하, "압접 단자(3)"로 간단히 칭한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압접 단자(3)만이 도시되어 있다]와, 압접 단자(3)의 본체(4)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부(5)가 있는 메인 하우징(6)과, 이 메인 하우징(6)의 반대측(예컨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조합되는 제1 및 제2 커버 하우징(7, 8)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6)은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6a)과,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6b)을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6)의 제2 부분(6b)의 단부에는 복수의 포트(9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단자(92)[전선(도시 생략)의 단부에 압착된 대응하는 수형 단자가 각각 접속되도록 되어 있음]가 각 포트(90)에 내측으로 배치된 수용 오목부(91)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암형 단자(92)의 일단에 형성된 리드(93)는, 회로 기판(10)을 통해 형성된 관통공(94)을 통과하여, 회로 기판(10)의 제1 표면(10a)의 도전부에 납땜되고, 이에 의해 회로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하우징(6)의 제1 부분(6a)과, 이 메인 하우징과 조합된 제1 커버 하우징(7)과의 사이에 압접 단자(3) 및 절연 전선(2)의 소요 부분을 유지하는 제1 유지 공간(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로 조합된 메인 하우징(6)과 제2 커버 하우징(8)의 사이에 회로 기판(10)을 위한 제2 유지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12)가 압접 단자(3)의 본체(4)로부터 연장하고 있다. 이 리드(12)는, 메인 하우징(6)의 바닥판(13)에 있는 관통공(l4)을 통과하여 제2 유지 공간(11)으로 연장되며, 또 회로 기판(10)의 관통공(15)을 통과하여, 그 선단부에서 회로 기판(10)의 제1 표면(10a)의 도전부에 납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16 및 17은 각각 회로 기판(10)의 제1 및 제2 표면(10a, 10b)에 실장되는 커패시터와 같은 소자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6)과 제1 커버 하우징(7)이 조합된 상태에서, 절연 전선(2)은 제1 방향(X)을 따라 제1 유지 공간(9)을 통과해 연장한다. 제1 유지 공간(9)내에서, 절연 전선(2)의 중간부는 압접 단자(3)의 본체(4)의 압접 블레이드(74)에 압접되어 있다. 절연 전선(2)은 압접 단자(3)의 본체(4)에서의 제1 방향(X)으로 대향하는 양측에서 제1 커버 하우징(7)의 대응하는 돌출 부분에 의해 각각 굴곡되는 제1 및 제2 굴곡 부분(19, 20)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하우징(6)은, 제1 방향(X)으로 나란히 늘어선 동일 높이의 제1, 제2 및 제3 전선 유지부(21, 22, 23)를 갖고 있다. 전선 유지부(21, 22, 23)는 예컨대 홈 형상을 갖고 있고, 전선의 갯수에 대응하게 복수 개로 마련되어 있다. 제2 및 제3 전선 유지부(22, 23)는 제1 방향(X)으로 제1 전선 유지부 (21)로부터 멀리 향해 단자 유지부(5)쪽으로 배치된다. 메인 하우징(6)은 제2 전선 유지부(22)와 제3 전선 유지부(23)의 사이에 배치된 오목부(24)를 구비하며, 이 오목부(24)에 대응하는 볼록부(25)가 제1 커버하우징(7)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전선 유지부(22)와 제3 전선 유지부(23) 사이에 배치되는 각 절연 전선(2)의 부분은 볼록부(25)에 의해 오목부(24) 내로 눌려지고, 이에 의해 제2 굴곡부분(20)을 형성하도록 굴곡된다.
또한, 메인 하우징(6)에는 제1 방향(X)으로 제1 전선 유지부(21)의 외측에 배치된 오목부(26)가 있고, 제1 커버하우징(7)에는 오목부(26)에 대응하는 단부벽(27)이 있다. 제1 전선 유지부(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절연 전선(2)의 부분은 제1 커버 하우징(7)의 단부벽(27)에 의해 메인 하우징(6)의 오목부(26) 내로 눌러지고, 이로 인해 크랭크형으로 굴곡되며, 이러한 크랭크형 굴곡 부분이 제1 굴곡 부분(19)을 형성한다.
분해 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6)의 제1 부분(6a)에는 한 쌍의 벽부(61)와 한 쌍의 벽부(62)가 형성되어 있고[이들 각 쌍의 벽부들은 제2 방향(Y)으로 서로 대향함], 각 벽부(61, 62)에는 (제1 커버 하우징(7)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훅(63, 64)이 걸려 결합될 수 있는, 예컨대 걸어 맞춤홈으로 형성된) 결합부(65, 6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훅(63, 64)을 대응하는 결합부(65, 66)에 각각 걸어 맞춘 상태에서, 제1 커버 하우징(7)의 하면(7a)에 형성된 볼록부(25)가 오목부(24) 안으로 절연 전선(2)의 해당 부분을 압입한다. 또한, 제1 커버 하우징(7)의 단부벽(27)에는 예컨대 한 쌍의 제1 돌기(67)와 한 쌍의 제2 돌기(68)[제1 돌기(67)보다 더 크게 돌출하여 한 쌍의 상호 연결 수단으로서 기능을 함]가 형성되어 그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제1 커버 하우징(7)이 메인 하우징(6)에 조합되는 경우, 2개의 제1 돌기(67)는 각각 인접하는 절연 전선(2)사이에 삽입되어, 메인 하우징(6)의 오목부(26)의 바닥벽(26a)에 접촉하고, 또한 도 2의 Ⅵ-Ⅵ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돌기(68)가 끼워 맞춤부(69)[메인 하우징(6)의 오목부(26)의 바닥벽(26a)에 형성된 끼워 맞춤구멍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한 쌍의 연결수단으로 기능을 함]에 각각 끼워 맞춰진다.
이러한 끼워 맞춤 연결에 의해, 제1 커버 하우징(7)의 단부벽(27)이 메인 하우징(6)에 확고히 연결되어, 외부 인발 하중이 절연 전선(2)에 가해진다 하더라도 그러한 연결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는 소위 제1 커버 하우징(7)의 단부벽(27)이 말려 올라가는 것(turning-up)을 방지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6)의 바닥판(13)의 제1 방향(X)으로 양단부에는 한 쌍의 결합부(30, 31)[이에 제2 커버 하우징(8)의 한 쌍의 훅(28, 29)이 각각 걸려 결합됨]가 형성되어 돌출하고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6)의 바닥판(13)에는, 각 결합부(30, 31)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회로 기판(10)의 제2 표면(10b)의 한 쌍의 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32, 33)가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버 하우징(8)에는 사각형 형상을 하는 바닥벽(34)과, 이 바닥벽(34)의 둘레에 형성된 제1, 제2, 제3 및 제4 측벽(35, 36, 37, 38)이 있다. 제1 및 제2 측벽(35, 36)의 외측으로 외벽(39, 40)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각 외벽(39, 40)의 단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28, 29)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측벽(35)에 대해 평행한 리브(41) 및 제3 측벽(37)에 대해 평행한 리브(42)가 바닥판(34)에 형성되어 그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들 리브(41, 42)와 제1 측벽(35) 및 제4 측벽(38)은 함께 우수한 강도의 박스형 부분(43)을 형성하고, 이 박스형 부분(43)에는 회로 기판(10)을 통해 후술하는 압접 하중을 받기 위한 지지부(44)가 마련된다. 이 지지부(44)는 제1 측벽(35)과 각 리브(41, 42)의 단부면에 의해 형성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의 제1 표면(10a)에 접촉한다. 압접 단자(3)의 리드(l2)의 선단(12a)은, 박스형 부분(43)의 영역 내에 배치된 회로 기판(12)의 부분을 통해 연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방향(X)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및 제2 측벽(35, 36)의 각 단부는 메인 하우징(6)의 대응하는 접촉부(32, 33)와 협동하여, 이들 사이에 회로 기판(10)의 대응하는 단부를 유지한다.
또한, 메인 하우징(6)의 바닥판(13)에는 회로 기판(10)의 제2 표면(10b)에 장착된 (회로 소자(17)를 포함하는) 회로 소자군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45)의 일부에는 회로 기판(10)의 제2 표면(10b)에 접촉하는 리브(46)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46)는, 제2 커버 하우징(8)의 리브(41)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두 리브(46, 41)의 사이에 회로 기판(10)이 유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압접 단자(3)는 전체가 단일의 판금을 이용한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압접 단자(3)의 본체(4)에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판형의 제1 및 제2 압접홈 형성부(71, 72)가 있다. 각 압접홈 형성부(71, 72)에는 각각, 압접홈(73)을 구획하는 예를 들면 거의 U자 형상의 압접 블레이드(74)가 있다.
제1 및 제2 압접홈 형성부(71, 72)의 바닥부(73a, 73b)는 상호 연결부(7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6)의 단자 유지부(5)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부로서 기능을 걸림 돌기(76, 77)가 제1 및 제2 압접홈 형성부(71, 72)의 바닥부(73a, 73b)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그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림 돌기(76, 77)는 메인 하우징(6)의 단자 유지부(5)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수직홈(83, 84)내에 압입되어 그 내에 걸린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플레이트부(78, 79)가 제1 압접홈 형성부(7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레이트부(78, 79)는 이들 사이에 절연 전선(2)을 위한 유지공간(R)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각 플레이트부(78, 79)의 하부 가장자리(78a, 79a)는 단자 유지부(5)의 바닥부(5a)에 접촉하여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6)의 단자 유지부(5)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부로서 기능을 하는 (예컨대, 훅 형상의) 걸림 돌기(80)가 각 플레이트부(78, 79)의 하부 가장자리(78a, 79a)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림 돌기(80)는 메인 하우징(6)의 단자 유지부(5)에 형성된 걸림 구멍(85) 내에 삽입되어 그 내에 걸려 유지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각 플레이트부(78, 79)의 상부 가장자리(78b, 79b)에는 각각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8l)이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굴 곡 가능한 피스 부분(81)은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되어, 절연 전선(2)을 유지공간(R)에 가두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공간(R)은 메인 하우징(6)의 단자 유지부(5)의 대응하는 부분(5b)과, 한 쌍의 플레이트부(78, 79)와, 그리고 굴곡된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81)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리드(12)는 상호 연결부(75)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하며, 그 중간부에 크랭크형 굴곡부(B)(변형가능부분으로 기능을 함)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드(12)는 상호 연결부(75)에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121)과, 이 제1 부분(121)으로부터 거의 측방으로 연장하도록 굴곡부(12b)에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는 제2 부분(122)과, 이 제2 부분(12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하도록 굴곡부(l2c)에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는 제3 부분(123)을 포함한다. 제2 부분(122), 두 굴곡부(12b, 12c), 그리고 이들의 근방 부분에 의해 굴곡부(B)가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분(121)이 메인 하우징(6)의 관통공(14)을 통과하며, 제3 부분(123)이 회로 기판(10)의 관통공(15)을 통과한다. 또한, 굴곡부(B)는 메인 하우징(6)의 바닥판(13)과 회로 기판(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압접 시에 변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압접 하중이 리드(12)의 선단(12a)에 마련된 납땜 부분(S)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1)를 조립하기 위해, 먼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압접 단자(3)를 메인 하우징(6)에 장착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압접 단자(3)의 본체(4)를 걸림 돌기(76, 77, 80)를 이용하여 메인 하우징(6)의 단자 유지부(5)에 고정하고, 또한 리드(12)를 메인 하우징(6)의 바닥판(13)에 있는 관통공(14)을 통과시켜 제2 유지공간(11) 안으로 연장시킨다.
이어서, 사전에 회로 소자군을 실장한 회로 기판(10)을 제2 유지공간(11) 안으로 도입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12)를 회로 기판(10)의 관통공(15)을 통과시킨 후, 리드(12)의 선단(12a)을 납땜한다.
그런 후, 회로 기판(10)이 제2 유지공간(11) 내에 유지되도록 제2 커버 하우징(8)을 메인 하우징(6)과 조립하여, 부조립체(sub-assembly)를 형성한다. 이러한 부조립체 상태로, 예컨대 전송 배선으로서 기능을 하는 절연 전선(2)의 원하는 위치에 압접 단자(3)를 압접에 의해 연결한다. 압접 후에, 제1 커버 하우징(7)을 메인 하우징(6)에 조립하여,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1)의 조립을 완료한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이 제1 및 제2 압접홈 형성부(71, 72)의 압접홈(73)에, 전선의 절연체가 압접홈(73)에 의해 잘려진 상태로 이중으로 압접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신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플레이트부(78, 79)가 제1 압접홈 형성부(7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굴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절연 전선을 위한 유지공간(R)을 제공하기 때문에, 압접 단자(3)의 전체 길이 및 폭을 훨씬 작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78, 79)의 상부 가장자리(78b, 79b)로부터 연장하는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81)을 굴곡함으로써,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6)의 단자 유지부(5)의 바닥부와 한 쌍의 플레이트부(78, 79)에 의해 구획되는 유지 공간(R)에 절연 전선(2)이 가둬져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거의 홈통 형상을 하는 종래의 절연 배럴에 비해, 콤팩트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플레이트부(78, 79)의 하부 가장자리(78a, 79a)에서부터 각각 연장하는 걸림 돌기(80)는 메인 하우징(6)의 걸림 구멍(85)에 각각 걸려 맞물리기 때문에,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81)을 굴곡할 때에 각 플레이트부(78, 79)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아, 절연 전선(2)의 절연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압접홈 형성부(71, 72)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걸림 돌기(76, 77)는 메인 하우징(6)에 형성된 수직 홈(83, 84)에 각각 걸려 맞물리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압접홈 형성부(71, 72)를 메인 하우징(6)에 확고히 결합할 수 있고, 메인 하우징(6) 내에서 압접 작업을 수행할 때에 생성되는 압접 하중을 메인 하우징(6)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6) 내에서 압접 작업을 수행할 때에, 압접 단자(3)의 리드(12)의 굴곡부(B)(변형가능부분으로서 기능을 함)가 탄성변형하고, 이에 의해 리드(12)의 선단의 납땜 부분(S) 및 기타 부분에 부주의하게 압접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하우징 내에서의 압접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제1 커버 하우징(7)을 제외한 모든 부품을 조립한 부조립체 상태에서, 각 단자는 소위 절연 전선(2)의 원하는 위치에 압접될 수 있어, 자유성이 높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서의 각종 ECU 사이의 LAN(Local Area Network) 배선에 사용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특히, 압접 하중을 메인 하우징(6)의 바닥판(13) 및 회로 기판(l0)을 통해 제2 커버 하우징(8)의 지지부(44)에 의해서 받아낼 수 있기 때문에, 바닥판(13) 및 회로 기판(10)이 예기치 않게 굴곡되거나 하지 않아, 확실한 압접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내장 압접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위 하우징내압접을 수행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가능해진다.
또한, 압접시의 하중을 받기 위한 지지부(44)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버 하우징(8)에서의 강도가 우수한 박스형 부분(43)에 마련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는 압접 하중을 확실히 받아내어, 확실한 압접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6)의 바닥판(13)의 리브(46)와 제2 커버 하우징(8)의 리브(41)의 사이에 회로 기판(10)이 유지되기 때문에, 압접하중에 의해 회로 기판(10)이 예기치 않게 굴곡되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접 중에 하중이 리드(12)에 가해졌다하더라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드(12)의 크랭크형 굴곡부(B)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하중을 흡수하기 때문에, 납땜 부분(S)에 불필요한 하중이 가해지는 일이 없을 것이다. 압접 중에 생성된 하중은 리드(12)에 제공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확실하게 흡수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의 압접 단자(3)에 있어서, 플레이트부(78, 79)가 단지 제1 압접홈 형성부(71)에서부터만 연장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공간(R)을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트부(78, 79)가 제2 압접홈 형성부(72)에서 굴곡되어 그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절연 전선(2)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 돌기(68)를 메인 하우징(6)에 설치하는 동시에, 끼워 맞춤구멍(69)을 제1 커버 하우징(7)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굴곡부(20)를 마련하는 것을 생략할 수도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압접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절연체를 벗겨내기 위한 압접홈을 각각 구비한 한 쌍의 대향하는 압접홈 형성부와,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압접홈 형성부의 바닥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호 연결부와,
    상기 상호 연결부에서 연장하는 리드와,
    적어도 한쪽의 압접홈 형성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굴곡됨으로써 형성되어, 그 사이에 절연 전선용 유지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며, 단일의 부재를 이용한 판금 가공에 의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인 압접 단자에 있어서, 하우징에 접촉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접촉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굴곡 가능한 피스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압접 단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인 압접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접홈 형성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 되어, 하우징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압접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압접 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회로 기판을 내장한 압접 커넥터에 사용되며, 상기 리드는 상기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것인 압접 단자.
KR1020047011584A 2002-11-22 2003-11-21 압접 단자 KR100623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39690 2002-11-22
JP2002339690A JP3961935B2 (ja) 2002-11-22 2002-11-22 皮剥圧接端子
PCT/JP2003/014897 WO2004049510A1 (ja) 2002-11-22 2003-11-21 皮剥圧接端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678A KR20040078678A (ko) 2004-09-10
KR100623473B1 true KR100623473B1 (ko) 2006-09-19

Family

ID=3237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584A KR100623473B1 (ko) 2002-11-22 2003-11-21 압접 단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21956B2 (ko)
EP (1) EP1478052B1 (ko)
JP (1) JP3961935B2 (ko)
KR (1) KR100623473B1 (ko)
CN (1) CN100350674C (ko)
AU (1) AU2003284627A1 (ko)
WO (1) WO2004049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7717B2 (en) * 2006-04-12 2008-03-25 Illinois Tool Works Insulation displacement system
US8020744B2 (en) * 2009-02-27 2011-09-20 Lanxess Corporation Methods for connecting a wire to a metalized circuit path on a plastic part
DE202010010754U1 (de) * 2010-07-28 2010-10-21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Schneidklemmen und einem unverlierbaren Isolierkörper
KR101314105B1 (ko) * 2011-10-12 2013-10-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자동변속기용 하네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8637A (en) 1978-10-16 1984-01-31 Continental-Wirt Electronics Corp. Connector structure for flat cable
FR2454195A1 (fr) 1979-04-10 1980-11-07 Cit Alcatel Connecteur electrique autodenudant pour fil ou cable
JPS60150779U (ja) * 1984-03-17 1985-10-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多極圧接コネクタ
JPS6175071A (ja) 1984-09-19 1986-04-17 Fumio Takahashi 振動で前進する装置
JPS6175071U (ko) * 1984-10-22 1986-05-21
DE8437785U1 (de) 1984-12-22 1985-05-02 Thomas & Betts GmbH, 6072 Dreieich Flachkabelverbinder
US5030132A (en) * 1987-12-17 1991-07-09 Amp Incorporated Bidirectional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tact terminal
EP0359709A3 (de) 1988-09-14 1991-03-20 Ciba-Geigy Ag Durch Induktionswärme härtbare Epoxidharzsysteme
JPH02115257U (ko) * 1989-03-04 1990-09-14
JP2826663B2 (ja) 1989-06-12 1998-11-18 コニカ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503572A (en) * 1994-05-17 1996-04-02 Mod-Tap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nectors
JPH10214650A (ja) 1997-01-30 1998-08-11 Yazaki Corp コネクタ
US6379198B1 (en) * 2000-03-13 2002-04-30 Avaya Technology Corp.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construction
JP2002100429A (ja) 2000-07-21 2002-04-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圧接端子
JP2002134179A (ja) 2000-10-19 2002-05-10 Yazaki Corp 圧接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8052A4 (en) 2006-06-07
WO2004049510A1 (ja) 2004-06-10
JP2004172074A (ja) 2004-06-17
CN1692526A (zh) 2005-11-02
JP3961935B2 (ja) 2007-08-22
EP1478052A1 (en) 2004-11-17
CN100350674C (zh) 2007-11-21
US20050079754A1 (en) 2005-04-14
KR20040078678A (ko) 2004-09-10
US7021956B2 (en) 2006-04-04
AU2003284627A1 (en) 2004-06-18
EP1478052B1 (en)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360B1 (ko) 기판 내장형 압접 커넥터
US7153145B2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uning fork terminal
JP4592462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4514723A (ja) ハーネスコネクタ
JPH07272773A (ja) 圧接端子
KR100623473B1 (ko) 압접 단자
JP2005149935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6260238A (ja) 接続端子
KR2004009856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JP2004172072A (ja) 基板内蔵圧接コネクタ
JP3974506B2 (ja) 基板内蔵圧接コネクタ
JP2004236416A (ja) 分岐接続箱
JP3435009B2 (ja) 電気接続箱
JP7433195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CN216450830U (zh) 夹线连接器组件
JPH10224950A (ja) マルチ端子および該マルチ端子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3527656B2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1154230A (ja) 導通コネクタ
JPH09115561A (ja) 圧着端子
JP2000299158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595330B2 (ja) 多重導体ケ―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229895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58728A (ja) マルチ接続形ヘッダーコネクタ並びにこれに接続する縦積形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横置形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0294352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