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540Y1 - 콘넥터 - Google Patents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540Y1
KR200212540Y1 KR2020000023775U KR20000023775U KR200212540Y1 KR 200212540 Y1 KR200212540 Y1 KR 200212540Y1 KR 2020000023775 U KR2020000023775 U KR 2020000023775U KR 20000023775 U KR20000023775 U KR 20000023775U KR 200212540 Y1 KR200212540 Y1 KR 200212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connector
housing
base
elastic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순
Original Assignee
골든콘넥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든콘넥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골든콘넥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3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540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내장되는 콘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접속단자의 형상을 변형 개선하여 콘넥터의 두께를 얇게하며 PCB(인쇄회로 기판)의 메모리 스마트카드 접촉(CONTACT)면에 정확히 접점을 이를 수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내장되는 콘넥터에 관한 것인데,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단자의 형상을 변경하여 접속단자의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도록 하여 접속된 접속단자의 접속력의 저하(低下) 및 접속의 끊김을 방지하고, 특히 상기와 같이 접속단자의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확보하면서도 접속단자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콘넥터의 두께를 얇게 하므로서 통신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려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에 있어서 접속단자(100)는 조립 및 지지대(110)와 탄성접촉부(120) 그리고 리이드(130)가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200)의 양측에서 대칭하여 다수개의 접속단자 조립부(2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접속단자(100)의 기부(110)는 대략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되고 중앙 에 구멍이 만들어진 직사각 링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접촉부(120)와 기부(110)의 연결부분된 부분의 기부(110)가 둥글게 컷팅되어 형성되며,접속단자(100)의 탄성접촉부(120)의 자유단부에 T자 단부(123)가 형성되며,하우징(200)의 접속단자 조립부(210)는 측면에서 관찰할 때 접속단자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평면(하우징 위쪽)에서 관찰할 때 접속단자(100)의 탄성접촉부(120) 가 수용되는 탄성접촉부 수용구(212)가 형성되며, 하우징(200)의 저면측으로 개방되면서 만들어진 공간에 접속단자(210)의 기부(110)가 수용되는 기부수용구(213)가 형성되고,접속단자 삽입구(211)가 형성된 측면에 하우징의 저면(230)과 저면(230)을 연결하여 연결대(24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콘넥터 {CONNECTOR}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내장되는 콘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접속단자의 형상을 변형 개선하여 얇은 두께의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기기에 내장되는 콘넥터로써, 각종 스마트카드의 카드리더(CARD READER )에 사용되며, 스마트 카드 콘넥터(SMART CARD CONNECTOR)로 불리워지는 본 고안의 콘넥터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도난 방지 기능과 함께 스마트 카드만 가지고도 언제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타인의 통신기기에서도 스마트 카드만 자신의 것을 사용하면 통화요금이 자신의 전화번호에 자동계산되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정보화 사회의 실현에 있어서 최적의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콘넥터를 도 1과 도 2에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종래의 콘넥터에 사용되는 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콘넥터는 하우징(10)과 접속단자(20)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은 하주연으로 측벽(11,11a)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측벽(11) 사이로는 격벽(12)이 길이 반대 방향의 측벽(11a) 사이로 간벽(18)이 형성되어, 하방이 개방된 다수의 사각홈(13)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각 접속단자(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으로 된 탄성의 금속판을 절곡 가공한 것으로, 기부(21)와 그 기부로부터 U-턴하여 절곡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탄성접촉부(22) 와 기부(21)의 타측에서 'L'자형으로 절곡되어 단부를 이루는 핀 부분(23)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접속단자(20)의 높이(h)는 상술한 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에 탄성접촉부(22)가 충분한 접속력을 유지하려면 상당한 높이를 갖도록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하우징(10)과 접속단자(20)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을 도 2에 도시하고 있는데 접속단자(20)의 핀 부분(23)은 상기 사각홈 (13)의 상면에 밀착되고, 탄성접촉부(22)는 하우징(10)의 관통공(14)을 관통하여 하우징 상면(15)으로 돌출되게 된다.
기부(21)는 사각홈(13)을 따라 밀착되어져 측벽(11a) 외부로 관통되어 고정되고, 기부(21) 일단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어 인쇄회로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거나 표면실장으로 납땜된다. 이때 탄성접촉부(22)는 관통공(14)에서 상하로 탄성적으로 밴딩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구조로된 하우징(10)과 접속단자(20)로 이루어진 종래의 콘넥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20)가 상당한 높이를 갖고 있어 그만큼 구부림의 정도가 크기에, 이를 응용하여 얇은 콘넥터를 제조하였을 때는 콘넥터가 인쇄회로 기판에 용접 고정되어 상부측에 조립되는 다른 인쇄회로 기판이나 기타 타단자와 콘넥터의 접속단자가 접속됨에 있어 쉽게 탄성력을 잃어 그 접속력이 약화되어 궁극적으로는 접속이 끊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20)가 상당한 높이(실제적으로 대략 2mm)를 갖기에 이에 하우징의 높이도 상대적으로 높아짐이 필연적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콘넥터의 두께가 상당하여 소형화 추세에 있는 각종의 통신기기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창안되었는데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단자의 형상을 변경하여 접속단자의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도록 하여 접속된 접속단자의 접속력의 저하(低下) 및 접속의 끊김을 방지하고, 특히 접속단자의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확보하면서도 접속단자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콘넥터의 두께를 얇게 하므로서 통신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려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넥터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제 1 도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접속단자의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의 조립사시도
도 6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접속단자(100) 110 : 조립 및 지지대
120 : 탄성접촉부
122 : 접점 123 : T자 단부
130 : 리이드 200 : 하우징
210 : 접속단자 조립부 211 : 접속단자 삽입구
212 : 탄성접촉부 수용구 213 : 기부수용구
220 : 상부면 230 : 저면
240 : 연결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의 접속단자 및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 3에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고안의 콘넥터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콘넥터의 단 면도이다.
본 고안의 접속단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탄성재질로된 금속박판으로 가공되어 기부(基部)(110)와 탄성접촉부(120) 그리고 리이드(130)가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기부(基部)(11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대략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되고 중앙 에 구멍이 만들어진 직사각 링상을 하고 있으며, 그 일측 단부는 양측이 경사져 좁게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후술하는 하우징(200)에 접속단자(100)를 조립할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탄성접촉부(120)가 연결된 기부(110)에 있어 탄성접촉부(120)의 탄성복원력의 감소를 막기위하여 그 연결부분을 라운딩 컷팅하여 둥글게 형성하는데, 그 이유는 연결부분에서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됨을 막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접촉부(120)는 일정폭의 긴 판상체가 절곡된 형상을 한 것인데, 상기 기부(110)의 중앙 구멍 상부측으로 그 일측이 탄성 및 지지대(110)와 연결되며, 타 단부는 자유단부를 이루고 있는데, 이 탄성접촉부(12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 같은 형상으로 지지대(110)와 연결된 부분에서는 상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에서 부터는 대략 삼각으로 절곡되고, 그 정점에 둥글게 돌출된 접점(122)형성되며, 탄성접촉부(120)의 자유단부는 영문자 'T'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이부분을 T자 단부(123)라 명명한다.
상기 리드(130)는 기부(110)의 타단부측 즉 상기 탄성접촉부(120)가 연결된 단부측의 타단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부(110)의 외측에서 하방향으로 'L'자 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100)가 삽입되어 조립되기위한 것으로 대략 판상체 형상을 하며 하우징(200)의 양측에서 대칭하여 다수개의 접속단자 조립부(210)가 형성된다.(하우징의 상부면을 부호220으로 나타내고 저면을 부호 230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접속단자 조립부(210)는 측면에서 관찰할 때 접속단자 삽입구(211)가 형성되고 평면(하우징 위쪽)에서 관찰할 때 접속단자(100)의 탄성접촉부(120) 가 조립되면 수용되는 탄성접촉부 수용구(212)가 형성되며, 하우징(200)의 저면측으로 개방되면서 만들어진 공간에 접속단자(210)의 기부(110)가 수용되는 기부수용구(2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 삽입구(211)가 형성된 부분에서 하우징의 저면(2 30)과 저면(230)을 연결하여 연결대(240)가 형성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의 접속단자(100)와 하우징(200)이 조립되어 콘넥터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4의 A-A선 단면도를 도 5에 도시하고, 도 4의 B-B선 단면도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속단자(100)는 하우징(200)의 접속단자 조립부(210)에 연결대(240)가 형성된 측 즉 접속단자 삽입구(211)에 접속단자(100)의 기부(110)를 삽입하여 밀어넣으면 하우징의 기부 수용구(213)에 접속단자의 기부(110)가 안착하여 접속단자(100)가 하우징(200)에 조립되게 되는데 이때 접속단자(100)의 탄성접촉부(120)는 하우징(200)의 탄성접촉부 수용구(212)에 위치하게 되고, 접속단자(100)의 L'자 형태로 절곡되된 리드(130)는 '연결대(240)를 받침삼아 연결대(240)의 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콘넥터는 접속단자(100)의 리드(130)가 휴대용 통신기기의 PCB 기판에 웰딩 조립시키어 타 PCB 기판 또는 기타 부품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접속시 접속압력이 크면 본 고안의 콘넥터의 탄성접속부(120)가 눌려지면서 하우징의 탄성접촉부 수용구(212)의 하방으로 탄성접속부(120)의 T단부(121)가 밀려들어가며, 특히 T단부(121)는 상기 탄성접촉부 수용구(212)가 형성된 하우징의 상부면(220)이 걸림대 역할을 하기에 하우징의 상부면(220) 위로 들려지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의 콘넥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00)에 접속단자(10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우징(200)에 가이딩홈을 형성하고 접속단자( 100)에 기부(110) 및 T자 단부(123)을 형성하고 있어 콘넥터의 생산성이 극히 향상되었고, 접속단자(100)의 탄성접속부(120)의 절곡된 형상을 삼각형으로 하여 그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었으며 상기와 같이 탄성접속부(120)의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었기에, 접속단자(100)의 높이(탄성접속부의 접촉점과 기부까지의 거리)를 낮출수 있어 하우징(200)의 두께 또한 낮출수 있기에 콘넥터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하여(2mm ∼1mm) 휴대용 통신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콘넥터는 그 접속단자(100)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구조로 되어 있기에 PCB의 콘택트 면에 접속함에 있어 장기간 사용시도 그 접속력이 저하되지 않을 뿐아니라 그 접속의 정확도도 지속되며, 기기의 진동에 따른 접속의 불안정성이 저감된다 할 것이다. 특히 탄성접속부(120)의 정점에 돌출 형성된 접점(122)은 접속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한 것이다.

Claims (5)

  1. 접속단자(100)는 기부(110)와 탄성접촉부(120) 그리고 리이드(130)가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접속단자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콘넥터에 있어서, 접속단자(100)의 기부(110)는 대략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되고 중앙에 구멍이 만들어진 직사각 링상으로 된 콘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탄성접촉부(120)와 기부(110)의 연결부분된 부분의 기부(1 10)가 둥글게 컷팅된 콘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단자(100)의 탄성접촉부(120)의 정점에 둥글게 돌출된 접점(122)이 형성된 콘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단자(100)의 탄성접촉부(120)의 자유단부에 T자 단부(123)로 구성된 콘넥터
  5. 판상체로서 다수의 접속단자 조립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접속단자로 구성된 콘넥터에 있어서, 접속단자 조립부(210)는 측면에서 관찰할 때 접속단자 삽입구(21 1)가 형성되고 평면(하우징 위쪽)에서 관찰할 때 접속단자(100)의 탄성접촉부(120) 가 수용되는 탄성접촉부 수용구(212)가 형성되며, 하우징(200)의 저면측으로 개방되면서 만들어진 공간에 접속단자(210)의 기부(110)가 수용되는 기부수용구(213)가 형성되고,접속단자 삽입구(211)가 형성된 측면에 하우징의 저면(230)과 저면(230)을 연결하여 연결대(240)가 형성되는 콘넥터
KR2020000023775U 2000-08-22 2000-08-22 콘넥터 KR200212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75U KR200212540Y1 (ko) 2000-08-22 2000-08-22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75U KR200212540Y1 (ko) 2000-08-22 2000-08-22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540Y1 true KR200212540Y1 (ko) 2001-02-15

Family

ID=7305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775U KR200212540Y1 (ko) 2000-08-22 2000-08-22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5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818B1 (ko) * 2001-06-08 2009-01-07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
KR100949154B1 (ko) 2007-09-17 2010-03-25 (주)하누리일렉트로닉스 휴대폰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
KR20150140162A (ko) 2014-06-05 2015-12-15 주식회사 디팜스 심 카드 접속용 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818B1 (ko) * 2001-06-08 2009-01-07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콘택과 이를 장착한 전기커넥터
KR100949154B1 (ko) 2007-09-17 2010-03-25 (주)하누리일렉트로닉스 휴대폰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
KR20150140162A (ko) 2014-06-05 2015-12-15 주식회사 디팜스 심 카드 접속용 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686B2 (en) Connector
US7794285B1 (en) Audio jack connector
EP1075049A1 (en) Surface-mounted low profile connector
US6155848A (en) Auxiliary device for ZIF electrical connector
US7494381B1 (en) SIM card connector
KR20020000004U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US20030134602A1 (en) Card holding structur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having the same
WO1998039695A2 (en) Miniature card docking connector
US11196207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protective cover
KR20010007572A (ko) 표면 장착식 전기 커넥터
US7238038B2 (en) Card hold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379176B1 (en) Flat cable connector for attaching a flat cable to a circuit board
US6409546B1 (en) Card connector
US20090137136A1 (en) Housing,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Housing and Terminal
KR200212540Y1 (ko) 콘넥터
KR200344494Y1 (ko) 콘넥터
US5244414A (en) Boardlock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814586B1 (en) Electric connector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US2005013047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ick-up cap
JP3122091B1 (ja)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並びにコネクタの実装構造
JPH11111369A (ja) バッテリー用コネクタ
US6126489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0129250Y1 (ko) 콘넥터
JP3783250B2 (ja) 電子部品の保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