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574B1 -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 Google Patents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574B1
KR100740574B1 KR1020047014086A KR20047014086A KR100740574B1 KR 100740574 B1 KR100740574 B1 KR 100740574B1 KR 1020047014086 A KR1020047014086 A KR 1020047014086A KR 20047014086 A KR20047014086 A KR 20047014086A KR 100740574 B1 KR100740574 B1 KR 10074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main body
discharge flow
trigg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111A (ko
Inventor
츠치다하루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4009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4Pump inlet and outlet valve elements integrally formed of a defor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100)는 배출 유동로(111)와 배출 유동로(111)와 평행하게 배치된 실린더(112)를 갖는 본체(110)와, 트리거(130)에 의해서 미끄러지게 되는 실린더(113) 내의 피스톤(140)을 구비하고 있다. 트리거(130)는 트리거(130)의 훅부(131)가 본체(110)에 의해서 스윙 가능하게 유지되고, 훅부(131)의 스윙부(114)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탄성부(132)인 연장부의 하향 굴곡부(132c)가 본체(110)에 대해서 유지되며, 연장부의 선단부(132e)가 훅부(131)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본체(110)는 커버(120)가 설치되어 커버(120)와 배출 유동로(111) 사이에 내부 공간(R)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중심 요소(150)는 배출 유동로(111)와 내부 공간(R) 내로 삽입된다. 중심 요소(150)는 혀 형상 요소(153)와 일체로 형성되고, 배출 유동로(111)의 배출구(111a) 근처에서 배출 밸브로 기능하며, 또한 혀 형상 요소(154)와 일체로 형성된 내부 공간(R) 내에서 흡입 밸브로도 기능한다.
실린더, 피스톤, 탄성부, 하향 굴곡부, 커버, 내부 공간, 혀 형상 요소.

Description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TRIGGER TYPE FLUID EJECTOR}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동로와 상기 배출 유동로의 하부에 배치된 실린더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서 스윙(swing) 가능하게 유지되는 트리거(trigger)와, 상기 트리거와 협동하여 상기 실린더 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에 관한 것이다.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트리거를 끌어 당겨서 펌프 작용을 야기하여 용기 본체 내에 충전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는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동로와 상기 배출 유동로 하부에 배치된 실린더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핀에 의해서 스윙 가능하게 유지되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와 협동하여 상기 실린더 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은 트리거 상에 형성된 돌출부(protrusion)와 피스톤의 접촉에 의한 트리거의 끌어 당기는(pulling) 힘과 협동하여 실린더 내에서 밀어 넣는(push-in) 작용을 야기하고, 손가락을 트리거에서 뗄 때 실린더 내에 배치된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의 가압력에 의해서 실린더 내에서 되미는(push-back)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는 배출 유동로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피스톤의 밀어 넣는 작용에 의해서 개방되는 탄성 밸브로 된 배출 밸브와, 유체를 배출 유동로 내로 흡입하기 위해 피스톤의 되미는 작용에 의해서 개방되는 볼 밸브(ball valve)로 된 흡입 밸브를 구비하고, 이들 밸브에 공통인 밸브 시트(valve seat)를 갖는 흡입구(intake)를 본체 내에 삽입 설치하고 있다. 흡입구는 실린더 내에 형성된 연통공(communicating hole)과 정렬되어 있는 연통공을 가지고 있고, 또한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딥 튜브(dip tube)와 밀봉 부재에 의해서 용기 본체의 입구부(mouth)에 상기 팁 튜브를 설치하기 위한 캡(cap)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는 스핀 요소(spin element)를 통해서 배출 유동로 내에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의 트리거 조작에 의해서 용기 본체로부터 흡입된 내용물은 스핀 요소와 노즐 사이의 부분에서 스핀(spin)을 일으키면서 배출 유동로를 통해서 배출구로부터 안개 형태로 배출된다.
종래의 트리거 펌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조립 작업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리턴 스프링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트리거 펌프는 리턴 스프링이 연통공을 통해서 내용물과 접촉하게 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또한 조립하기가 곤란했을 뿐만 아니라 폐기할 때는 다른 수지로 형성된 부품과 리턴 스프링을 분류해야 하는 등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의 작업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수를 감소시켜서 폐기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동로와 상기 배출 유동로와 평행하게 배치된 실린더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대해서 스윙(swing) 가능하게 유지되는 트리거(trigger)와, 트리거와 협동하여 실린더 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트리거는 상기 본체에 대해서 스윙 가능하게 유지되는 훅부(hook portion)와, 훅부의 스윙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하향 굴곡하고 있는 탄성부를 구비하며, 하향 굴곡부는 본체에 대해서 유지되어 있고, 연장부의 선단부(tip end)는 훅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밀어 넣는 작용은 트리거의 끌어 당기는 조작과 협동하여 발생한다. 이와는 반대로 손가락을 트리거에서 뗄 때,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되미는 작용은 훅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탄성부 내에 생성된 가압력에 의해서 발생한다. 따라서 내용물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고 더욱이 조립하기 곤란한 리턴 스프링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훅부와 탄성부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받는 리턴 스프링을 제거하면 조립의 작업성이 개선되고 제조 비용 또한 감소하게 된다.
또한 트리거가 훅부와 일체적인 탄성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의 모든 부품을 수지(resin)로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제조 및 폐 기가 용이하게 된다. 특히 모든 구성 요소를 동일한 수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로 형성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진 서로 다른 수지를 분류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지며, 따라서 이 구성이 재활용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탄성부는 훅부의 스윙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하향 굴곡하게 되고, 이 하향 굴곡부가 본체의 내벽(internal wall)에 의해서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연장부의 선단부(tip end)는 훅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부가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고, 트리거에서 손가락을 뗀 이후의 되미는 작용이 신속하게 실행되므로 조작성 또한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는 본체 내에 설치되어 유체 유동로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며, 따라서 트리거의 하향 굴곡부가 본체 또는 커버에 의해서 유지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는 피스톤의 밀어 넣는 작용(push-in action)에 의해서 개방되어 배출 유동로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와, 피스톤의 되미는 작용(push-back action)에 의해서 개방되어 유체를 배출 유동로 내로 흡입하는 흡입 밸브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출 밸브와 흡입 밸브는 배출 유동로와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되어 배출 유동로와 내부 공간 사이에 유동로를 형성하는 중심(core) 요소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혀 형상(tongue-shaped) 요소이며, 배출 밸브는 배출 유동로의 배출구 근처에 위치하고, 흡입 밸브는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배출 밸브와 흡입 밸브는 배출 유동로와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되어 배출 유동로와 내부 공간 사이에 유동로를 형성하는 중심 요소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혀 형상 요소이며, 배출 밸브와 흡입 밸브는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흡입 밸브는 내부 공간 내에 또는 내부 공간과 배출 유동로 내에 삽입되고, 내부 유동로를 갖는 제 1 중심 요소와, 배출 유동로 내에 삽입되고 내부 유동로를 폐쇄하는 밸브 요소와 스프링에 의해서 밸브 요소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밸브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중공 튜브를 갖는 제 2 중심 요소를 구비하며, 배출 밸브는 제 1 중공 튜브와 배출 유동로 내에 삽입되어 제 1 중공 튜브를 폐쇄하는 밸브 요소와 스프링에 의해서 밸브 요소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밸브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제 2 중공 튜브를 갖는 제 3 중심 요소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체는 배출 유동로의 배출구 근처에 스핀 요소(spin element)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체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mouth)에 상기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트리거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배출 유동로와 거의 동일한 레벨(level)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탄성부는, 연장부의 하향 굴곡부의 한쪽 측면 상에는 연장부의 적어도 한 부위가 굽혀진 굴곡부(bent portion)가 형성되며, 그 다른 측면 상에는 연장부의 복 수의 부위가 굽혀진 파형부(波形部)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리거 및 상기 피스톤 중의 어느 하나는 유지 핀(holding pin)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하나는 유지 핀보다 직경이 큰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유지 핀을 개구 내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트리거와 피스톤이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trigger pump)와 결합한 용기(vessel)의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선(1B-1B)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2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 1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단면도.
도 3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 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그 단면도.
도 4의 (a)는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그 저면도.
도 5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 커버(cover)의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선(5B-5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트리거의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그 측면도이며, 도 6의 (c)는 도 6의 (a)의 선(6C-6C)을 따라 취한 단면 도.
도 7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피스톤 상부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상기 피스톤의 부분 측단면도.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각각 도 1의 (a)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중심 요소의 상부면과 측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의 (a)는 본체의 배출구 근처에 설치된 노즐의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의 선(9B-9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와 결합한 용기의 단면도.
도 11의 (a)는 도 10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 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11의 (b)는 그 단면도.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각각 도 10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중심 요소의 상부면과 측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3은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와 결합한 용기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전체 부품을 나타낸 분해도.
도 15의 (a)는 도 13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 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선(15B-15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의 (a)는 도 13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제 1 중심 요소의 저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선(16B-16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의 (a)는 도 13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제 2 중심 요소의 평면도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선(17B-17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의 (a)는 도 13에 나타낸 트리거 펌프의 제 3 중심 요소의 평면도이고,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선(18B-18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100)가 용기(40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트리거 펌프(100)는 본체(110), 커버(120), 트리거(130), 피스톤(140), 배출 밸브와 흡입 밸브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중심 요소(150), 노즐(160), 및 딥 튜브(dip tube)(170)의 7 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는 수평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동로(111)와, 배출 유동로의 하부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실린더(112) 및 후술하는 연결부(113)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배출 유동로(111)는 배출 유동로(111)의 배출구(111a)에 근접한 스핀 요소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계단부(step portion)를 형성하는 대직경부인 배출 유동로(111)의 후방 단부 개구(111b)는 제 1 통로(r1)를 통해서 연결부(113) 내의 개구를 통해 도입되는 딥 튜브(170)와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112)는 제 2 통로(r2)를 통해서 배출 유동로(111)와 연통하고, 제 3 통로(r3)를 통해서 연결부(113)와 연통하고 있다.
용기 본체(400)의 입구부(mouth)(410)(도 2 참조)에 트리거 펌프(100)를 연 결하기 위한 부분인 연결부(113)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400)의 입구부(410) 상에 형성된 볼록부(411)가 결합되는 개구(113h)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 본체(110)를 연결부(113) 내에 형성된 개구(113h) 내에서 용기 본체(400)의 볼록부(411)와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으로도 용기 본체(400) 내에 설치되어지고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개구(113h)로부터 노출된 용기 본체(400)의 볼록부(411)가 용기 본체(400)의 내측으로 향해서 밀리는 경우에, 용기 본체(400)로부터 본체(11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연결부(113)는, 오목부가 용기 본체(400) 상에 형성된 볼록부(411)와 결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개구(113h) 대신에 본체(110)의 외측으로 개방되지 않는 오목부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으며, 용기 본체(400) 상에 형성된 볼록부(411)는 이들 오목부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연결부(113)는 용기 본체(400)의 입구부(410) 내에 형성되는 개구 또는 오목부와 결합하는 볼록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13)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된 나사부(thread)는 용기 본체(400)의 입구부(410)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나사부와 맞물릴 수도 있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20)는 두 개의 안내판(121)과, 두 개의 훅부(122) 및 커버(120)의 상판(top plate) 내측 상의 격벽판(123)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안내판(12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에 대해서 커버(120)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두 개의 훅 구멍(110h1) 내에 결합되는 훅부(122)는 본체(110)의 상면(top surface) 상에 형성되며, 따라서 커버(120)를 본체(11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버(120)가 본체(110) 내에 설치되는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판(123)은 배출 유동로(111)의 후방 단부 개구(111b)를 폐쇄하고, 이에 의해서 배출 유동로(111)와 커버(120) 사이에 내부 공간(R)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13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치는 훅부(131)에 형성된 핀 구멍(131h)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핀 구멍(131h)에 본체(110) 상에 형성된 핀(114)이 결합되며, 따라서 본체(110)에 의해서 유지되어 스윙 가능하게 된다. 트리거(130)는 훅부(131)와 일체로 이루어진 탄성부(132)를 구비한다. 탄성부(132)는 훅부(131)의 스윙부인 핀 구멍(131h)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연장부가 하향 굴곡되며, 연장부의 각 선단부(132e)는 소정의 틈(Δc)을 형성하도록 핀 구멍(131h)에 근접하여 형성된 빔(beam)(133)으로 지지되는 형상을 갖는다. 연장부의 하향 굴곡부(132c)의 한쪽 측면 상에는, 연장부의 한 부위가 굽혀진 굴곡부(132a)가 형성되며, 그 다른쪽 측면 상에는, 연장부의 복수의 부위가 굽혀진 파형부(wavy portion)(132b)가 형성된다.
트리거(130)를 본체(110)에 조립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132)는 배출 유동로(111)와 거의 동일한 레벨(level)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연장부를 하향 굴곡시켜 형성된 하향 굴곡부(132c)는 본체(110) 내에 형성된 내벽(110w)에 의해서 유지된다. 동시에 탄성부(132)는 훅부(131)와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34)는 하향 굴곡부(132c) 상에 형성되고, 이 돌출부(134)는 본체(110)의 상면 내에 형성된 장착 구멍(110h2) 내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서 트리거(130)는 보다 견고하게 본체(110)에 고정된다.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140)은 훅부(131) 상에 형성된 핀(131p)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개구(140h)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140)은 개구(140h) 내에 핀(131p)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130)와 협동하여 동작한다. 피스톤(140)의 선단부(140a)는 훅부(131) 내에 형성된 피스톤 도입부(131k) 내에 삽입된다. 핀(131p)과 개구(140h)에 의해서,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 및 탄성부(132)의 가압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트리거(130)의 복귀(return)는 매끄럽게 피스톤(14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면서도 조작성이 개선된다.
중심 요소(150)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심 요소(150)는 배출 유동로(111) 및 본체(111) 내에 형성된 개구(111h) 내에 결합되는 볼록부(151)와 배출 유동로(111)의 내벽과 접촉하는 복수의 리브(152)에 의한 내부 공간(R) 내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서 배출 유동로(111)와 내부 공간(R) 사이에 유동로가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요소(150)는 배출 유동로(111)의 배출구(111a) 근처의 위치와 내부 공간(R)의 위치에 각각 체크 밸브(check valve)로 기능하는 고리 모양의 혀 형상 요소(153, 154)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혀 형상 요소(153, 154)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 요소(150)가 배출 유동로(111)와 내부 공간(R)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혀 형상 요소(153, 154)는 배출구(111a) 근처의 내주면(內周面)(111f1)과 내부 공간(R)의 내주면(111f2)을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폐쇄하며, 이에 의해서 배출 유동로(111)와 중심 요소(150) 사이에 고리 모양의 밀폐 공간(R1)이 획정(define)된다. 따라서 피스톤(140)을 실린더(112) 내로 밀어 넣어 제 2 통로(R2)를 통해서 밀폐 공간(R1)을 가압하면, 혀 형상 요소(153)는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시트부(seat portion)(111f1)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밀폐 공간(R1)은 배출 유동로(111)로부터 외부로 개방되어진다. 피스톤(140)이 실린더(112) 내로 되돌려져 제 2 통로(R2)를 통해서 밀폐 공간(R1)의 가압을 해제하면, 혀 형상 요소(154)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시트부(111f2)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밀폐 공간(R1)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혀 형상 요소(153)는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과 협동하게 되는 피스톤(140)의 밀어 넣는 작용에 의해서 개방되어 배출 유동로(111)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로서 기능하며, 혀 형상 요소(154)는 탄성부(132)의 가압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트리거(130)의 복귀(return)와 협동하게 되는 피스톤(140)의 되돌림 작용에 의해서 개방되어 배출 유동로(111) 내의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밸브로서 기능한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160)은 본체(110) 내의 배출 유동로(111)의 배출구(111a)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110)는 배출 유동로(111)의 배출구(111a) 근처에 스핀 요소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노즐(160)은 그 외주부(外周部)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100)와 결합된 용기(4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트리거(130)의 훅부(131)를 화살표(d) 방향으로 끌어 당기면, 이에 의해서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과 협동하여 트리거(130)의 탄성부(132)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밀폐 공간(R1)의 내부를 가압하도록 피스톤(140)이 실린더(112) 내로 밀어 넣어진다. 이 때, 탄성 부재(132)의 연장부의 선단부(132e)는 훅부(131)를 가압하며, 한편으로는 굴곡부(132a)는 연장되며, 이와 동시에 파형부(132b)가 수축된다.
그 결과, 밀폐 공간(R1)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 밸브(154)는 시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배출 밸브(153)는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시트부(111f1)로부터 분리된다. 밀폐 공간(R1) 내의 공기가 배출 유동로(111)에서 노즐(160)로 배출된 이후에, 배출 밸브(153)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시트부(111f1) 상에 다시 시트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후에 사용자가 트리거(130)에서 손을 떼게 되면, 굴곡부(132a)가 수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파형부(132b)가 연장하여 복원된다. 따라서 피스톤(140)은 탄성부(132)의 가압력에 의해서 트리거(130)를 통해서 되밀려지며, 이에 의해서 밀폐 공간(R1) 내에 음압(negative pressure)이 생성된다. 그러므로 흡입 밸브(154)는 배출 밸브(153)가 시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시트부(111f2)로부터 분리되고, 딥 튜브(170)와 제 1 통로(R1)를 통해서 용기 본체(400) 내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밀폐 공간(R1) 내로 끌어 들인다.
그 후 사용자는 트리거(130)를 끌어 당기는 조작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서 밀폐 공간(R1) 내에 충전된 내용물의 압력이 증감(增減)하며, 따라서 배출 밸브(153)와 흡입 밸브(154)는 교대로 개폐(開閉)된다. 그 결과 용기 본체(400) 내의 내용물이 빨려 올라가고, 빨아 올려진 내용물은 배출 유동로(111)를 통과하고 배출구(111a)와 노즐(160)에서 선회하며, 이에 의해서 노즐(160)의 개구(160a)로부터 내용물이 분무된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12) 내의 피스톤(140)을 밀어 넣는 작용은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과 협동하게 되며, 트리거(130)에서 손가락을 떼게 되면, 훅부(1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탄성부(132)에 의해서 생성된 가압력에 의해서 실린더(112) 내의 피스톤(140)의 되미는 작용이 초래된다. 따라서 트리거 펌프(100)는 내용물과 접촉하게 될 가능성이 높고 또한 조립하기 까다로운 별도의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조립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또한 훅부(131)와 탄성부(132)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받는 리턴 스프링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 비용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트리거(130)는 훅부(131)와 일체적인 탄성부(1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서 트리거 펌프(100) 내의 모든 부품을 수지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및 폐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모든 구성 요소를 동일한 수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진 서로 다른 수지를 분류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지며, 따라서 이 구성이 재활용에 가장 적합한다. 트리거(130)용으로 사용된 수지는 각각의 부품에 따라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용을 고려하는 경우라면 PP(폴리프로필렌)를 사용하고, 내구성을 고려하는 경우라면 POM(폴리아세탈)을 사용한다. 또한 각각의 부품의 기능 및 목적에 따라서 PE(폴리에틸렌) 및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 모든 기존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132)는 훅부(131)의 스윙부인 핀 구멍(131h)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하향 굴곡되고, 이 하향 굴곡부(132c)가 본체(110)의 내벽(110w)에 의해서 유지되며, 또한 연장부의 선단부(132e)가 훅부(131)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탄성부(132)는 용이하게 복원되며, 트리거(130)에서 손가락을 뗀 이후의 되미는 작용이 신속하게 실행되므로, 조작성 또한 개선된다. 본 실시예의 트리거(130)에 대해서, 연장부의 선단부(132e)는 훅부(131)에 대해서 빔(133)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선단부가 분무 방향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변위되거나 끌어 당김부(131)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로 되는 일을 방지한다. 그러나 선단부(132e)는 빔(133)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고도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32)는 연장부가 하향 굴곡되고 선단부(132e)가 훅부(131)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탄성부(132e)의 복원성 및 내구성을 고려한다면, 연장부의 하향 굴곡부(132c)의 한쪽 측면 상에 연장부의 한곳이 굴곡된 굴곡부(132a)가 형성되고, 그 다른 쪽에 복수의 장소에서 연장부가 굴곡된 파형부(132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굴곡부(132a)와 파형부(132b)를 배치하는게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탄성부(132)가 배출 유동로(111)와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도록 트리거(13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커버(120)의 높이 치수는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을 피스톤(140)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도 최소값으로 유지되며, 이에 의해서 트리거 펌프(1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100)는, 배출 유동로(111)와 내부 공간(R) 내에 삽입된 중심 요소(150)가 배출 밸브(153)와 흡입 밸브(15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 펌프(100)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트리거 펌프에서 필수적이었던 흡입구(intake) 및 탄성 밸브와 볼 밸브 중의 하나 등 전부 두 개의 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출 밸브(153)와 흡입 밸블(154)의 공통성에 의해서 달성된 부품수의 감소는 조립의 작업성을 개선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배출 밸브(153)와 흡입 밸브(154)가 탄성 재료로 형성된 고리 모양의 혀 형상 요소이므로 중심 요소(150)와 함께 이들을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스핀 요소가 배출 유동로(111)의 배출구(111a) 근처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따라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10)가 용기 본체(400)의 입구부(410)에 본체(1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13)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따라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연결부(113)는, 예를 들어 용기(400)의 볼록부(411)를 본체(110) 내에 형성된 개구 (113h) 내에 결합하거나, 용기(400)의 볼록부(411)를 본체(110) 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결합하는 등 용기(400)에 대한 위치 결정을 수행하며, 따라서 용기(400)에 트리거 펌프(100)를 설치하고 용기(400)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의 작업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의 배출 유동로와 상기 배출 유동로 하부의 실린더를 구비한 트리거식 토출기에 있어서, 종래의 트리거 펌프가 본체, 트리거, 피스톤, 리턴 스프링, 배출 밸브, 흡입 밸브, 흡입구, 딥 튜브, 밀봉 부재, 캡, 스핀 요소 및 노즐의 12 개 부품을 구비한 반면에, 제 1 실시예의 트리거 펌프(100)는 본체(110), 커버(120), 트리거(130), 피스톤(140), 배출 밸브와 흡입 밸브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중심 요소(150), 노즐(160) 및 딥 튜브(170)의 단지 7 개 부품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200)를 용기(40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트리거 펌프(200)는 본체(210), 커버(220), 트리거(230), 피스톤(240), 배출 밸브와 흡입 밸브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중심 요소(250), 노즐(260) 및 딥 튜브(270)의 7 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 요소(250)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고리 모양의 혀 형상 요소(253, 254)는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10)와 중심 요소(250)를 제외한 부품으로서, 제 1 실시예와 공통인 부품을 사용하며, 이들 공통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의 (a) 및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10)는 수평 방향으 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동로(211)와, 배출 유동로(211)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실린더(212) 및 연결부(21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유동로(211)는 배출 유동로(211)의 배출구(211a)에 근접한 스핀 요소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배출 유동로(211)의 후방 단부 개구(211b)는 단차부(step portion)를 형성하는 대직경부이다. 단차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내벽(211p)을 가지고 있으며, 후방 단부 개구(211b)는 제 1 통로(r1)를 통해서 연결부(213) 내의 개구를 관통하여 도입된 딥 튜브(270)와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212)는 제 2 통로(r2)를 통해서 배출 유동로(211)와 연통하고, 제 3 통로(r3)를 통해서 연결부(213)와 연통하고 있다. 연결부(213)는 용기 본체(400)의 입구부(410) 상에 형성된 볼록부(411)가 결합되는 개구(213h)를 가지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130)는 본체(210)에 의해서 유지되어 핀 구멍(131h) 내에서 본체(210) 상에 형성된 핀(214)과 결합하여 스윙 가능하게 되며, 탄성부(132)의 하향 굴곡부(132c)는 본체(210) 내에 형성된 내벽(210w)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 때 탄성부(132)는 훅부(131)와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하향 굴곡부(132c) 상에 형성된 돌출부(134)는 본체(210)의 상면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장착 구멍(210h2)에 각각 결합되며, 이에 의해서 트리거(130)는 본체(2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20)는 자체 상판(top plate)의 내측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안내판(121)에 의해서 본체(21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고, 본체 (210)의 상면 상에 형성된 두 개의 훅 구멍(hook hole)(210h1) 내에서 커버 상판의 내측 상에 유사하게 형성된 두 개의 훅부(122)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본체(2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커버(120)를 본체(210)에 설치하는 경우에, 커버(220) 상에 형성된 격벽판(123)은 배출 유동로(211)의 후방 단부 개구(211b)를 폐쇄하며, 이에 의해서 배출 유동로(211)와 커버(120) 사이에 내부 공간(R)이 형성된다.
중심 요소(250)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유동로(211)의 내벽과 중심 요소(250) 사이에서 유동로를 형성하는 본체(210)와 유동로 홈(252) 내에 형성된 개구(211h) 내에 결합되는 두 개의 볼록부(251)에 의해서 배출 유동로(211)와 내부 공간(R) 내로 삽입되며, 이에 의해서 배출 유동로(211)와 내부 공간(R) 사이에 유동로가 형성된다. 중심 요소(250)는 내부 공간(R)의 위치에 고리 모양의 혀 형상 요소(253, 254)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혀 형상 요소(253, 254)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요소(250)가 배출 유동로(211)와 내부 공간(R)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혀 형상 요소(253, 254)는 그 탄성력에 의해서 고리 모양의 내벽(211p)의 내주면(211f1)과 내부 공간(R)의 내주면(211f2)을 폐쇄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고리 모양의 밀폐 공간(R1)이 획정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스톤(140)이 실린더(212) 내로 밀어 넣어져서 제 2 통로(r2)를 통하여 밀폐 공간(R1)을 가압하게 되면, 혀 형상 요소(253)는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시트부(211f1)로부터 분리되고, 따라서 밀폐 공간(R1)은 유동로 홈(252)과 배출 유동로(211)로부터 외부로 개방되어진다. 한편 피스톤(140)이 실린더(212) 내로 되밀려져 제 2 통로(r2)를 통해서 밀폐 공간(R1)의 가압을 해제하면, 혀 형상 요소(254)는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시트부(211f2)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밀폐 공간(R1)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혀 형상 요소(253)는 피스톤(140)의 밀어 넣는 작용에 의해서 개방되어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과 협동하고 배출 유동로(211)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로서 기능하며, 혀 형상 요소(254)는 피스톤(140)의 되미는 작용에 의해서 개방되어 탄성부(232)의 가압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트리거(130)의 복귀(return)와 협동하고 배출 유동로(211) 내의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밸브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200)에 결합된 용기(4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트리거(130)의 훅부(131)를 화살표(d) 방향으로 끌어 당기면, 이에 의해서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과 협동하여 트리거(130)의 탄성부(13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피스톤(140)이 실린더(212) 내로 밀어 넣어져서 밀폐 공간(R1)의 내부를 가압한다. 이 때, 탄성 부재(132)의 연장부의 선단부(232e)는 훅부(131)를 가압하며, 한편으로는 굴곡부(132a)는 연장되며, 이와 동시에 파형부(132b)가 수축된다.
그 결과, 밀폐 공간(R1)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 밸브(254)는 시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배출 밸브(253)는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시트부(211f1) 로부터 분리된다. 밀폐 공간(R1) 내의 공기가 유동로 홈(252)과 배출 유동로(211)에서 노즐(160)로 배출된 이후에, 배출 밸브(253)는 그 탄성력에 의해서 시트부(211f1) 상에 다시 시트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후에 사용자가 트리거(130)에서 손을 떼게 되면, 굴곡부(132a)가 수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파형부(132b)가 연장하여 복원된다. 따라서 피스톤(140)은 탄성부(132)의 가압력에 의해서 트리거(130)를 통해서 되돌려지며, 이에 의해서 밀폐 공간(R1) 내에 음압이 생성된다. 그러므로 배출 밸브(253)가 시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흡입 밸브(254)는 그 탄성력에 의해서 시트부(211f2)로부터 분리되고, 딥 튜브(170)와 제 1 통로(r1)를 통해서 용기 본체(410) 내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밀폐 공간(R1) 내로 끌어 들인다.
그 후 사용자는 트리거(130)를 끌어 당기는 조작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서 밀폐 공간(R1) 내에 충전된 내용물의 압력이 증감(增減)하며, 따라서 배출 밸브(253)와 흡입 밸브(254)는 교대로 개폐(開閉)된다. 그 결과 용기 본체(400) 내의 내용물이 빨려 올라가고, 빨아 올려진 내용물은 배출 유동로(211)를 통과하고 배출구(211a)와 노즐(160)에서 선회하며, 이에 의해서 노즐(160)의 개구(160a)로부터 내용물이 분무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200)는 본체(210), 커버(220), 트리거(230), 피스톤(240), 배출 밸브와 흡입 밸브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중심 요소(250), 노즐(260) 및 딥 튜브(270)의 7 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조작 및 효과를 달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300)가 용기(40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4는 트리거 펌프(300)의 분해도이다.
트리거 펌프(300)는 본체(310), 커버(320), 트리거(330), 피스톤(340), 배출 밸브와 흡입 밸브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중심 요소(350), 노즐(360) 및 딥 튜브(37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서도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310)와 중심 요소(350)를 제외한 부품은, 제 1 실시예와 공통인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공통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10)는 수평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동로(311)와, 배출 유동로(311)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실린더(312) 및 연결부(31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배출 유동로(311)는 배출 유동로(311)의 배출구(311a) 근처에 스핀 요소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한편 배출 유동로(311)의 후방 단부 개구(311b)는 단차부(step portion)를 형성하는 대직경부이고, 상기 단차부는 수평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된 유동 홈(flow groove)(311n)을 가지고 있으며, 후방 단부 개구(311b)는 제 1 통로(r1)를 통해서 연결부(313) 내의 개구를 관통하여 도입된 딥 튜브(170)와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312)는 제 2 통로(r2)를 통해서 배출 유동로(311)와 연통하고, 제 3 통로(r3)를 통해서 연결부(313)와 연통하고 있다. 연결부(313)는 용기 본체(400)의 입구부(410) 상에 형성된 볼록부(411)가 결합되는 개구(313h)를 가지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130)는 본체(310)에 의해서 유지되어 핀 구멍(131h) 내에서 본체(210) 상에 형성된 핀(214)과 결합하여 스윙 가능하게 되며, 탄성부(132)의 하향 굴곡부(132c)는 본체(310) 내에 형성된 내벽(310w)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 때 탄성부(132)는 훅부(131)와 접촉하게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하향 굴곡부(132c) 상에 형성된 두 개의 돌출부(134)는 본체(310)의 상면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장착 구멍(310h2)에 각각 결합되며, 이에 의해서 트리거(130)는 본체(3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20)는 그 상판(top plate)의 내측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안내판(121)에 의해서 본체(31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고, 본체(310)의 상면 상에 형성된 두 개의 훅 구멍(310h1) 내에서 상판의 내측 상에 유사하게 형성된 두 개의 훅부(122)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본체(3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커버(120)를 본체(310)에 설치하는 경우에, 커버(120) 상에 형성된 격벽판(123)은 배출 유동로(311)의 후방 단부 개구(311b)를 폐쇄하며, 이에 의해서 배출 유동로(311)와 커버(120) 사이에 내부 공간(R)이 형성된다.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중심 요소(351)는 제 1 중심 요소(351)의 외부면(external surface) 상에 본체(310) 내에 형성된 개구(311h)와 결합하는 볼록부(351p)를 가지고 있으며, 이 볼록부(351p)는 배출 유동로(311)와 내부 공간(R) 내로 삽입된다.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중심 요소(351)는 본체(310) 내의 제 1 통로(r1)를 통해서 딥 튜브(370)와 연통하는 내부 유동로(351r)를 가지고 있다. 내부 유동로(351r)는 자체의 수평 유동로 내에 단차부 (351d)를 가지고 있으며, 유동 구멍(351h)을 통해서 본체(310) 내에 형성된 유동 홈(311n)과 연통하고 있다.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 나타낸 제 2 중심 요소(352)는 본체(310) 내의 배출 유동로(311) 내로 삽입되며, 제 1 중심 요소(351) 내에 형성된 내부 유동로(351r)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 요소(352a)와 스프링(352b)을 통해서 밸브 요소(352a)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중공 튜브(352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중공 튜브(352c)의 중공부는 내부 유동로(352r)를 형성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중심 요소(352)는, 밸브 요소(352a)가 제 1 중심 요소(351) 내에 형성된 내부 유동로(351r) 내로 삽입되도록 조립되며, 내부 유동로(351r) 내에 형성된 단차부(351d)와 접촉하게 된다.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제 3 중심 요소(353)는 본체(310) 내의 배출 유동로(311) 내로 삽입되며, 제 1 중공 튜브(352c) 내에 형성된 내부 유동로(352r)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 요소(353a)와 스프링(353b)을 통해서 밸브 요소(353a)를 유지하기 위한 제 2 중공 튜브(353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2 중공 튜브(353c)의 중공부는 내부 유동로(353r)를 형성한다. 제 3 중심 요소(353)는, 밸브 요소(353a)가 제 1 중공 튜브(352c) 내에 형성된 내부 유동로(352r)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 유동로(352r)의 배출구(352e)와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상술한 세 개의 중심 요소(351 내지 353)가 배출 유동로(311) 및 내부 공간(R)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밸브 요소(352a)는 스프링(352b)의 가압력에 의해서 단차부에 의해 형성된 시트부(351d)를 폐쇄하고, 밸브 요소(353a)는 스프링(353b)의 가압력에 의해서 내부 유동로(352r)의 배출구(352e)를 폐쇄하며, 이에 의해서 밀폐 공간(R1)이 획정된다. 따라서 피스톤(140)이 실린더(312) 내로 밀어 넣어져서 제 1 유동 홈(311h) 및 유동 구멍(351h)을 통해서 제 2 통로(r2)로부터 밀폐 공간(R1)을 가압하게 되는 경우에, 밸브 요소(353a)는 스프링(353b)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시트부(352d)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의해서 배출 유동로(311)에서 외부로 밀폐 공간(R1)이 개방된다. 한편 피스톤(140)이 실린더(312) 내로 되돌려져 유동 홈(311h)과 유동 구멍(351h)을 통해서 제 2 통로(r2)로부터 밀폐 공간(R1)의 가압을 해제하면, 밸브 요소(352a)는 스프링(352b)의 가압력에 의해서 시트부(352d)로부터 분리되면, 이에 의해서 밀폐 공간(R1)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중공 튜브(352c)와 제 3 중심 요소(353)는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과 협동하게 되는 피스톤(140)의 밀어 넣는 작용에 의해서 개방되어 배출 유동로(311)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제 1 중심 요소(351)와 제 2 중심 요소(352)는 탄성부(132)의 가압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트리거(330)의 복귀(return)와 협동하게 되는 피스톤(140)의 되미림 작용에 의해서 개방되어 배출 유동로(111) 내의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 밸브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펌프(300)에 결합된 용기(40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트리거(130)의 훅부(131)를 화살 표(d) 방향으로 끌어 당기면, 이에 의해서 트리거(130)의 끌어 당기는 조작과 협동하여 트리거(130)의 탄성부(13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피스톤(140)이 실린더(112) 내로 밀어 넣어져서 밀폐 공간(R1)의 내부를 가압한다. 이 때, 탄성 부재(132)의 연장부의 선단부(132e)는 훅부(131)를 가압하며, 한편으로는 굴곡부(132a)는 연장되며, 이와 동시에 파형부(132b)가 수축된다. 그 결과, 밀폐 공간(R1)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중심 요소(352)의 밸브 요소(352a)는 시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 3 중심 요소(353)의 밸브 요소(353a)는 스프링(353b)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 2 중심 요소의 시트부(352e)로부터 분리된다. 밀폐 공간(R1) 내의 공기가 제 2 중공 튜브(353c)와 배출 유동로(311)의 내부 유동로(353r)에서 노즐(160)로 배출된 이후에, 제 3 중심 요소(353)의 밸브 요소(353a)는 스프링(353b)의 가압력에 의해서 시트부(353e) 상에 다시 시트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후에 사용자가 트리거(130)에서 손을 떼게 되면, 굴곡부(132a)가 수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파형부(132b)가 연장하여 복원된다. 따라서 피스톤(140)은 탄성부(132)의 가압력에 의해서 트리거(130)를 통해서 되밀려지며, 이에 의해서 밀폐 공간(R1) 내에 음압이 생성된다. 따라서 제 3 중심 요소(353)의 밸브 요소(353a)는 시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 2 중심 요소(352)의 밸브 요소(352a)는 스프링(352b)의 가압력에 의해서 제 1 중심 요소(351)의 시트부(351d)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용기 본체(410) 내의 내용물은 제 1 통로(r1)와 딥 튜브(170)를 통해서 흡입되어 밀폐 공간(R1) 내로 도입된다.
그 후 사용자는 트리거(130)를 끌어 당기는 조작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서 밀폐 공간(R1) 내에 충전된 내용물의 압력이 증감(增減)하며, 따라서 제 3 중심 요소의 밸브 요소(353a)와 제 2 중심 요소의 밸브 요소(352a)는 교대로 개폐(開閉)된다. 그 결과 용기 본체(400) 내의 내용물이 빨려 올라가고, 빨아 올려진 내용물은 배출 유동로(311)를 통과하고 배출구(311a)와 노즐(160)에서 선회하며, 이에 의해서 노즐(160)의 개구(160a)로부터 내용물이 분무된다.
종래의 트리거 펌프가 본체, 트리거, 피스톤, 리턴 스프링, 배출 밸브, 흡입 밸브, 흡입구, 딥 튜브, 밀봉 부재, 캡, 스핀 요소 및 노즐의 12 개 부품을 구비한 반면에, 제 3 실시예의 트리거 펌프(300)는 본체(310), 커버(320), 트리거(330), 피스톤(340), 제 1 중심 요소(350), 제 2 중심 요소(352), 제 3 중심 요소(353), 노즐(360) 및 딥 튜브(370)의 단지 9 개 부품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의 트리거 펌프(300)에 따르면 밸브 요소(352a)는 시트부(351d)를 폐쇄하여 스프링(352b)의 가압력에 의해서 자유롭게 개폐하며, 밸브 요소(353a)는 시트부(352e)를 폐쇄하여 스프링(353b)의 가압력에 의해서 자유롭게 개폐한다. 따라서 스프링(352b, 353b)을 조정하여 트리거 펌프(300)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에서 획정된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예를 들어, 트리거는 본체가 아니라 커버로 유지하여 스윙 가능하게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훅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탄성부의 하향 굴곡부 또한 본체의 내벽이 아니라 커버에 의해 유지되어도 좋다. 또한 트리거 펌프는 종래의 캡 및 스핀 요소를 사용해도 되며, 더욱이 스핀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밀크 로션 등과 같은 내용물을 직접 배출하는 형태라도 좋다.

Claims (11)

  1. 수평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동로와 상기 배출 유동로와 평행하게 배치된 실린더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서 스윙(swing) 가능하게 유지되는 트리거(trigger)와,
    상기 트리거와 협동하여 상기 실린더 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본체에 대해서 스윙 가능하게 유지되는 훅부(hook portion)와, 상기 훅부의 스윙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하향 굴곡하고 있는 탄성부를 구비하며, 하향 굴곡부는 상기 본체에 대해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tip end)는 상기 훅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장부의 각 선단부가 틈을 갖고 스윙부에 근접하여 형성된 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장부의 하향 굴곡부의 한쪽 측면 상에는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한 부위가 굽혀진 굴곡부(bent portion)가 형성되며, 그 다른 측면 상에는 상기 연장부의 복수의 부위가 굽혀진 파형부(波形部)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는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 유동로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의 하향 굴곡부는 상기 본체 또는 커버에 의해서 유지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는 상기 피스톤의 밀어 넣는 작용(push-in action)에 의해서 개방되어 상기 배출 유동로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와, 상기 피스톤의 되미는 작용(push-back action)에 의해서 개방되어 유체를 상기 배출 유동로 내로 흡입하는 흡입 밸브를 더 포함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와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배출 유동로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 유동로와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 유동로를 형성하는 중심(core) 요소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혀 형상(tongue-shape) 요소이며,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배출 유동로의 배출구 근처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와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배출 유동로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 유동로와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 유동로를 형성하는 중심 요소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혀 형상 요소이며, 상기 배출 밸브와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또는 상기 내부 공간과 배출 유동로 내에 삽입되고, 내부 유동로를 갖는 제 1 중심(core) 요소와,
    상기 배출 유동로 내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유동로를 폐쇄하는 밸브 요소와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밸브 요소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중공 튜브를 갖는 제 2 중심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제 1 중공 튜브와 상기 배출 유동로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중공 튜브를 폐쇄하는 밸브 요소와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밸브 요소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제 2 중공 튜브를 갖는 제 3 중심 요소를 구비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 유동로의 배출구 근처에 스핀 요소(spin element)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mouth)에 상기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배출 유동로와 거의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및 상기 피스톤 중의 어느 하나는 유지 핀(holding pin)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유지 핀보다 직경이 큰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지 핀을 상기 개구 내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트리거 및 상기 피스톤이 서로 협동하여 동작되도록 하는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KR1020047014086A 2002-04-30 2003-04-30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KR100740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28712A JP3916998B2 (ja) 2002-04-30 2002-04-30 トリガー式流体吐出器
JPJP-P-2002-00128712 2002-04-30
PCT/JP2003/005550 WO2003092906A1 (fr) 2002-04-30 2003-04-30 Ejecteur de fluide de type declench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111A KR20040093111A (ko) 2004-11-04
KR100740574B1 true KR100740574B1 (ko) 2007-07-19

Family

ID=2939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086A KR100740574B1 (ko) 2002-04-30 2003-04-30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13134B2 (ko)
EP (1) EP1500436B1 (ko)
JP (1) JP3916998B2 (ko)
KR (1) KR100740574B1 (ko)
CN (1) CN1276797C (ko)
AU (1) AU2003235982B2 (ko)
CA (1) CA2474473C (ko)
DE (1) DE60328094D1 (ko)
TW (1) TW584576B (ko)
WO (1) WO2003092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4619U1 (de) * 2001-09-04 2001-12-13 Schuler Pressen Gmbh & Co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Werkstücken in einer Umformpresse
US7384006B2 (en) * 2003-12-18 2008-06-10 Cepia, Llc Power sprayer
US7328859B2 (en) 2003-12-18 2008-02-12 Cepia, Llc Power sprayer
US7588198B2 (en) * 2003-12-18 2009-09-15 S.C. Johnson & Son, Inc. Power sprayer
US7246755B2 (en) * 2003-12-18 2007-07-24 Cepia, Llc Power sprayer
US8602386B2 (en) * 2007-12-21 2013-12-10 S.C. Johnson & Son, Inc. Valve with actuator assist
US7097119B2 (en) * 2003-12-18 2006-08-29 Cepia, Llc Power sprayer
US7648083B2 (en) 2003-12-18 2010-01-19 S.C. Johnson & Son, Inc. Power sprayer
JP4589699B2 (ja) * 2004-11-11 2010-12-01 花王株式会社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NL1027982C2 (nl) * 2005-01-10 2006-07-11 Afa Polytek Bv Dunwandige doseerinrichting met integraal vervaardigde trekker en veer, alsmede werkwijze voor het samenstellen daarvan.
CN101563168B (zh) * 2006-12-19 2011-11-16 古泽正弘 活塞-汽缸机构
JP5025279B2 (ja) * 2007-02-14 2012-09-12 花王株式会社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ITBS20070068A1 (it) * 2007-05-03 2008-11-04 Guala Dispensing Spa Testa di un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un fluido, munita di mezzi di ritorno elastici
US20080308655A1 (en) * 2007-06-13 2008-12-18 Jian Jun Yuan Trigger Sprayer Structure with Children Protection Functions
US20100155430A1 (en) * 2008-12-18 2010-06-24 Darrell J. Schwandt Curved Dip Tube for Sprayer Heads
US20110233234A1 (en) * 2010-03-29 2011-09-29 Suncor Energy Inc. Container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s
IT1399592B1 (it) 2010-04-14 2013-04-26 Guala Dispensing Spa Erogatore a grilletto per liquidi con fermo per la valvola di mandata.
US8322631B2 (en) 2010-05-10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gger pump sprayer having favorabl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specified liquids
US8322630B2 (en) 2010-05-10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gger pump sprayer
IT1402728B1 (it) * 2010-11-22 2013-09-18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JP5624912B2 (ja) * 2011-02-25 2014-1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EP2696990B1 (en) * 2011-04-13 2020-08-05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Improved trigger sprayer valves
ITBS20130114A1 (it) * 2013-07-31 2015-02-01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JP6121308B2 (ja) * 2013-10-31 2017-04-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180926B2 (ja) * 2013-12-27 2017-08-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ITUB20159511A1 (it) * 2015-12-28 2017-06-28 Guala Dispensing Spa Testa di erogazione per un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provvista di una molla di ritorno
JP6910272B2 (ja) * 2017-10-31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795745B2 (ja) * 2018-11-19 2020-12-0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衣類スチーマ
USD883100S1 (en) * 2018-11-27 2020-05-05 Yuen Foong Yu Consumer Products Co., Ltd. Bottle
CN114226097B (zh) * 2021-12-27 2023-03-10 山东蓝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涂料喷涂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546A (ja) * 1996-11-20 1998-06-02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のトリガー付勢用バネ部材
JP2000024561A (ja) * 1998-05-01 2000-01-25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における合成樹脂製復帰ばね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3203A (en) * 1977-03-02 1979-05-08 Tetsuya Tada Trigger type sprayer
JPH01142452A (ja) * 1987-11-30 1989-06-05 Hitachi Chem Co Ltd 高圧交流負荷開閉器用sf↓6分解ガスセンサ
DE3873341T2 (de) * 1988-10-18 1993-01-07 Atsushi Tada Handbetaetigbare austragvorrichtung mit einem ausloesehebel, drallvorrichtung und vorrichtung zur aenderung des stroemungszustandes.
JPH0271178U (ko) * 1988-11-18 1990-05-30
IT1239489B (it) * 1990-03-27 1993-11-03 Guala Spa Dispositivo a grilletto per pompa spruzzatrice da impiegarsi in contenitori impugnabili con una mano
HUT65295A (en) * 1990-09-06 1994-05-02 Meckenstock Fritz Gmbh Sprayer pump
US5385302A (en) * 1990-10-25 1995-01-31 Contico Low cost trigger sprayer
IT222489Z2 (it) 1991-08-30 1995-04-20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Spruzzatore con leva a grilletto dotata di appendici elastiche di ritorno
IT1251196B (it) * 1991-08-30 1995-05-04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Disposotivo spruzzatore perfezionato con leva a grilletto.
US5318206A (en) * 1992-02-24 1994-06-07 Afa Products, Inc. Trigger-piston connection
JPH07308611A (ja) * 1994-05-19 1995-11-28 Tetsuya Tada ポンプディスペンサ−装着方法およびポンプディスペ ンサ−
US5590834A (en) * 1994-07-22 1997-01-07 Contico International, Inc. One-piece trigger sprayer housing
GB9422826D0 (en) * 1994-11-11 1995-01-04 Spraysol Gmbh Dispenser for liquid products
US5706984A (en) 1994-12-24 1998-01-13 Canyon Corporation Pump dispens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pump dispenser
JPH09291879A (ja) * 1996-04-26 1997-11-11 Canyon Corp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JP3580958B2 (ja) * 1996-05-29 2004-10-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ES2154092B1 (es) * 1997-02-28 2001-10-16 Calmar Monturas Sa Pistola pulverizadora accionada por gatillo.
IT237560Y1 (it) * 1997-06-10 2000-09-13 S O R I S R L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fluidi contenuti in flaconi,comprendente un corpo rigido e mezzi elastici integrali con detto
JP3647615B2 (ja) * 1997-07-28 2005-05-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3822369B2 (ja) * 1998-08-28 2006-09-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US6364172B1 (en) * 1998-12-10 2002-04-02 Afa Polytek, B.V. Liquid dispenser and assembly methods therefor
US6116472A (en) * 1998-12-15 2000-09-12 Calmar Inc. Trigger acutated pump sprayer
US6378739B1 (en) * 1999-03-05 2002-04-30 Afa Polytek, B.V. Precompression system for a liquid dispen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546A (ja) * 1996-11-20 1998-06-02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のトリガー付勢用バネ部材
JP2000024561A (ja) * 1998-05-01 2000-01-25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における合成樹脂製復帰ばね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14654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2-02456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0436A1 (en) 2005-01-26
CA2474473C (en) 2009-08-04
AU2003235982B2 (en) 2005-10-13
EP1500436A4 (en) 2007-06-06
US20050189381A1 (en) 2005-09-01
KR20040093111A (ko) 2004-11-04
JP2003320282A (ja) 2003-11-11
JP3916998B2 (ja) 2007-05-23
US7413134B2 (en) 2008-08-19
TW200306231A (en) 2003-11-16
CA2474473A1 (en) 2003-11-13
WO2003092906A1 (fr) 2003-11-13
AU2003235982A1 (en) 2003-11-17
TW584576B (en) 2004-04-21
DE60328094D1 (de) 2009-08-06
CN1630561A (zh) 2005-06-22
CN1276797C (zh) 2006-09-27
EP1500436B1 (en)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574B1 (ko) 트리거식 유체 토출기
US9586222B2 (en) Precompression system for a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uch precompressed system
KR102062001B1 (ko) 펌프 용기
KR20110058876A (ko) 분배기와의 결합을 위해 가요성 기구를 갖춘 펌프
EP0867228B1 (en) A pump mechanism for ejecting liquid
PL193250B1 (pl) Zespół sprężania wstępnego i głowica rozpylająca
US7712636B2 (en) Trigger sprayer piston rod with integral spring and pivoting piston connection
US20050098584A1 (en) Dispensing device with pivoting spray nozzle
EP3723910B1 (en) Trigger dispensing head with locking device
EP0641723A1 (en) A manually operated trigger type dispenser
CN116917049A (zh) 具有阀器件的触发式分配装置
JP3770441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5469826B2 (ja) トリガー式液体吐出器
JP3593230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ポンプ
JP4588851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3741576B2 (ja) トリガ式液体吐出器
JP3770437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H078463Y2 (ja) 吐出容器
JPH09225358A (ja) 小型手動ポンプの押下げノズルヘッド
JP359731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ポンプ
TW202124228A (zh) 分配器
JP2023097836A (ja) 吐出器
JP2023026251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及び、吐出容器
WO2012156830A1 (en) Trigger dispenser with pre-compression valve
JP2024076166A (ja) 吐出ヘッドおよび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628

Effective date: 200705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