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860B1 - 턴버클 장치 - Google Patents

턴버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860B1
KR100730860B1 KR1020027003829A KR20027003829A KR100730860B1 KR 100730860 B1 KR100730860 B1 KR 100730860B1 KR 1020027003829 A KR1020027003829 A KR 1020027003829A KR 20027003829 A KR20027003829 A KR 20027003829A KR 100730860 B1 KR100730860 B1 KR 10073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buckle device
concrete shell
claws
turnbuckle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184A (ko
Inventor
아서 슈뵈러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4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 Y10T403/32319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 Y10T403/32368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including radial interengaging tongue and slot or ser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 Y10T403/32319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 Y10T403/32401Locked by nest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26Plural distinct positions
    • Y10T403/32434Unidirectional movement, e.g., ratch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8Transversely sliding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콘크리트 쉘 부재들을 클램핑하기 위한 턴버클 장치(10)는 고정형 클로(14, 15)와 피봇형 클로(24, 25)를 포함하며, 여기서 피봇형 클로(24, 25)는 두 개의 인접한 콘크리트 쉘 부재(35, 36)에 쐐기(28)를 통하여 고정형 클로(14, 15)와 클램핑될 수 있고 클로(14, 15, 24, 25)는 콘크리트 쉘 부재(35, 36)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맞물린다. 고정형 클로(14, 15)는 콘크리트 쉘 부재(36)의 횡측 스트럿(34) 또는 종측 스트럿(33) 뒤에 맞물리는 아칭(18)을 갖는다. 턴버클 장치(10)는 아칭(18)을 통해 콘크리트 쉘 부재(36) 위에 변위할 수 있게 지지된다. 클로(14, 15, 24, 25)가 콘크리트 쉘 부재(36) 내부에 있는 경우, 턴버클 장치(10)는 횡측 스트럿(34)의 길이방향으로만 콘크리트 쉘 부재(36) 위에서 변위될 수 있으므로 턴버클 장치(10)는 콘크리트 쉘 부재 (36)의 외곽 엣지(39) 위로 돌출하지 않게 된다. 또한 아칭(18)과 클로(14, 15, 24, 25)의 위치는 턴버클 장치(10)가 이동되더라도 콘크리트 쉘 부재(36) 위에 턴버클 장치(10)가 안전하게 고정되어짐을 보장해 준다. 쐐기(28)는 피봇형 클로(24, 25)를 개폐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턴버클 장치(10)를 클램핑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Description

턴버클 장치{TURNBUCKLE DEVI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쉘 부재의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 상에 보유되는 1개 이상의 리테이닝 수단을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추락할 수 없도록 콘크리트 쉘 부재 상에 장착되고, 또한 콘크리트 쉘 부재의 외곽 엣지(outer edge)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욱이 추락할 수 없도록 콘크리트 쉘 부재 상에 장착되는 턴버클 장치로서, 적어도 한개의 구속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수단이 해제되거나 제거될 때에는 콘크리트 쉘 부재 위의 인장위치로 도입되는, 조인트를 가로질러 2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를 상호 클램핑하기 위한 턴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콘크리트 쉘 부재는 종측 스트럿과 횡측 스트럿을 가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클로(claw)가 형성된 본 턴버클 장치로써 덮여진다.
이러한 형태의 턴버클 장치는 미국특허 제 3,550,898호로부터 주지되어 있다.
턴버클 장치에 의해 덮여진 조인트를 따라서 프레임과 그 프레임 위에 장착된 쉘 커버를 포함하는 2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를 상호 클램핑하기 위하여 DE 35 46 832에 개시된 턴버클 장치는 기본적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L"형의 클로를 갖는다. 클로 다리중 한 종류는 각 쉘 부재의 각 경계면 뒤에서 맞물린다. 클로 다리 중 또 다른 종류는 쉘 커버로부터 떨어져 있는 프레임 다리의 표면 상에서 상호 인접하여 연장된다. 클램프 수단들은 이 다리들 상에 연결된다. 쉘 커버로부터 떨어져 있는 종측의 스트럿 표면은 상기 클로의 다리와 접촉된다. 또다른 클 로는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쉘 평면에 대하여 클램핑되도록 2개의 쉘 부재들 사이에서 조인트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축에 대하여 피봇가능하며, 쉘 평면에 직각으로 일측 클로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DE 29 08 339 C2는 콘크리트 벽면용 쉘 패널을 위한 쐐기를 개시하는데, 쐐기 슬라이드는 안쪽으로 돌출된 돌기가 있는 다리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U형인 단면을 가지며, 상기 돌기는 횡측 스트럿 상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써 쐐기를 형성한다. 횡측 스트럿은 종측 스트럿보다 쐐기 슬라이드의 요크부 두께만큼 더 낮다. 횡측 스트럿 위의 컨넥팅 로드 영역에 지지부가 마련되는데, 횡측 스트럿의 높이는 쐐기 슬라이드가 프레임의 영역으로 돌출하지 않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미국특허 제 3,550,898호는 횡측 스트럿을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를 상호 클램핑하기 위한 턴버클 장치를 개시한다. 턴버클 장치는 제 1 및 제 2 잠금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제 1잠금부는 제 2잠금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2개의 잠금부는 전체적으로 볼트에 대하여 피봇될 수 있다. 제 1잠금부의 클로는 볼트를 통해 제 1콘크리트 쉘 부재 위에 유지되고, 반면 제 2잠금부의 클로는 제 2콘크리트 쉘 부재의 볼트와 맞물릴 수 있다. 턴버클 장치를 구속하기 위하여, 제 2잠금부의 클로가 제 2콘크리트 쉘 부재의 볼트와 접촉할 때 전체 턴버클 장치의 피봇팅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구속수단이 제공된다. 구속수단은 잠금부의 상호 클램핑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콘크리트 쉘 부재의 횡측 스트럿 또는 종측 스트럿의 어느 지점에라도 장착 가능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콘크리트 쉘 부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된 지점에 유지되어, 사용시, 두 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 사이의 수준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턴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 1잠금부에 대하여 피봇팅될 수 있는 제 2잠금부를 포함하는 턴버클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며, 여기에서 제 1잠금부는 고정형 제 1클로를 포함하며 제 2잠금부는 제 2클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클로는 프레임상에 직접 맞물리기에 적합하게 조절된다. 구속수단은 제 2잠금부의 피봇팅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제 2클로로 하여금 콘크리트 쉘 부재로부터 턴버클 장치가 해제됨을 방지하며 프레임 섹션 상에서의 턴버클 장치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거나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 턴버클 장치는 한편으로는 일반적인 방식대로 콘크리트 쉘 부재를 상호 클램핑하도록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콘크리트 쉘 부재가 건축 장소에서 이동되어야 할 때 콘크리트 쉘 부재들 중 하나 위에 남겨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장치는 콘크리트 쉘 부재의 엣지에 대하여 더 이상 돌출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 턴버클 장치를 변위시키거나 고정하는 데에는 별도의 부가 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만 당업자에게 주지된 클램핑 커넥션은 종래의 수단으로 해제되어야 한다. 클램핑 커넥션이 해제될 때, 본 턴버클 장치의 일부는 콘크리트 쉘 부재 내부로 위치될 때까지 피봇팅 및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위치에서 본 턴버클 장치의 피봇팅부는 폐쇄위치로 피봇팅 가능하며, 이 폐쇄위치에서 본 턴버클 장치의 고정부는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을 따라 피봇팅부에 부응하도록 배향된다. 피봇팅부는 클램핑 수단 즉 쐐기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리테이닝 수단들은 예컨대 크레인으로 콘크리트 쉘 부재를 이동할 때 본 턴버클 장치의 불시착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쉘 부재에 턴버클 장치의 고정부를 보유한다.
본 턴버클 장치는 더 적은 시간내에 더 간단한 방법으로 대형 쉘 표면의 건 축을 가능케 한다. 턴버클 장치가 잠금 해제되어 리테이닝 수단을 통해 콘크리트 쉘 부재에 장착될 때, 본 턴버클 장치는 콘크리트 쉘 부재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되면서 변위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클램핑 수단을 가동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턴버클 장치는 횡측 또는 종측의 스트럿 상에서 안내되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당업자는 턴버클 장치의 무게를 지탱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턴버클 장치의 취급이나 턴버클 장치의 배치, 제거 또는 클램핑이 용이해진다.
1개 이상의 리테이닝 수단들이 뒤쪽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콘크리트 쉘 부재의 종측 또는 횡측의 스트럿을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들은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의 표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 턴버클 장치는 본 발명 턴버클 장치가 자체적으로는 추락할 수 없도록 간단한 수단으로써 콘크리트 쉘 부재 위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홈들은 프레임 다리나 횡측 스트럿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 가능하다. 이러한 디자인은 콘크리트 쉘 부재 상에서 턴버클 장치를 지지하면서도 콘크리트 쉘 부재의 넓은 영역 내에서 본 턴버클 장치의 변위를 허용한다. 턴버클 장치는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 위에 있는 개구부나 단순한 프로파일 또는 홈들을 통해 콘크리트 쉘 부재 위에 있는 아칭(arching) 또는 볼트와 같은 리테이닝 수단에 의해 안전하게 장착될 수 있다.
턴버클 장치는 구속수단이 해제되거나 제거될 때 콘크리트 쉘 부재로부터 이동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턴버클 장치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안내하는 가장 단순한 수단을 갖춘 특수한 홀더가 제공된다. 상기 리테이닝 수단이 고정형 클로의 내표면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돌출하며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측면홈과 맞물리는 아칭인 경우에는, 아칭은 클로 자체를 가압함으로써 부가적인 재료 없이 형성될 수 있고, 혹은 볼트 형태의 돌출부가 클로 내표면의 적절한 지점에 장착된다. 대향하는 아칭, 볼트 등이 상호 상쇄되면 아칭사이의 간격, 즉 자유길이는 해제상태에서 본 턴버클 장치의 피봇팅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턴버클 장치가 피봇된 상태에서의 상기의 자유길이는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에 비하여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폭보다 더 크므로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이 피봇된 상태에서는 더이상 맞물리지 않게 된다.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축 방향에 대하여 피봇되어 있는 본 발명 턴버클 장치는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턴버클 장치가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 상에 배치되고 턴버클 장치의 아칭이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뒤에서 맞물리게 되면, 아칭은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홈으로 안내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턴버클 장치는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을 따라 용이하게 변위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아칭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각각의 단부 영역은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표면 엣지 영역에 제한된 길이를 갖는 홈을 포함하며, 이 홈은 제 2클로가 피봇된 내부위치 상태에 있을 때 턴버클 장치가 콘크리트 쉘 부재 내에 지지되도록 그 크기(길이, 폭, 높이)가 아칭의 위치와 조화되게 된다. 아칭이 서로에 대하여 직접 대향되는 경우, 피봇형 클로가 턴버클 장치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도록 턴버클 장치를 넓게 개방하여 턴버클 장치가 홈 예컨대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길게 파인 홈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피봇된 내부 위치상태에서 턴버클 장치가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홈을 통해 우연히 미끄러지거나 콘크리트 쉘 부재로부터 떨어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해, 고정형 및 피봇형 클로의 크기 및 형태는 턴버클 장치와 홈의 크기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본 턴버클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수단은 제 1 잠금부를 지지하며 콘크리트 쉘 부재 상으로 이를 안내하는 로드형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섀클(shackle)에 의해 형성된다. 턴버클 장치의 장착 수단, 예를 들면 볼트를 통해 콘크리트 쉘 부재 위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볼트는 섀클 내의 제 1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며 동시에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제 2개구부를 통해 삽입된다. 턴버클 장치는 잠금해제 상태에서 로드형 몸체를 따라 변위될 수 있으며, 본 턴버클 장치의 피봇팅 운동부는 턴버클 장치의 고정부에 비하여 로드형 몸체에 의해 손상되지는 않게 된다. 볼트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섀클 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볼트는 콘크리트 쉘 부재 상의 개구부에 맞물릴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고정될 수도 있다. 본 턴버클 장치는, 필요하다면, 콘크리트 쉘 부재 상에서 볼트 맞물림을 통해 피봇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볼트는 회전축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클로의 피봇팅 범위는 감소될 수 있으며, 본 턴버클 장치의 취급상의 장점 및 안정성은 아무런 제한없이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닝 수단은 고정형 클로 상에 또는 고정형 클로의 영역 내에 제공되는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에 의해 형성되며,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에 연결될 때,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는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의 뒷표면에 맞물리게 된다.
이는 리테이닝 수단이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의 어느 홈에라도 장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는 클로 자체 위나 또는 고정형 클로의 바로 뒤에 배치될 수 있다.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는 콘크리트 쉘 부재 위의 본 턴버클 장치에 안전한 보유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프링 부재나 래치(latch)를 통해 각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과의 연결을 중단하기 위해서는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의 래칭을 반드시 해제하거나 또는 스프링이 장착된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가 스프링 로드로부터 해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리테이닝 수단은 콘크리트 쉘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턴버클 장치를 위하여 간단하고 빠른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구속수단은 피봇된 내부위치 상태에서 피봇형 클로를 차단하거나 2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를 상호 클램핑 하기 위해 턴버클 장치를 클램핑하는 쐐기가 되며, 쐐기는 수평방향의 스트럿 위에서 중력의 작용 방향으로 변위된다. 쐐기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면, 제 2클로는 개방위치 및 변위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개방위치에서 피봇형 클로는 양 클로, 즉 고정형 클로 및 피봇형 클로가 모두 하나의 콘크리트 쉘 부재 내부에서 접할 때까지 고정형 클로를 향하여 밀려들어 올 수 있다. 클로들은 구속수단 즉, 쐐기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므로 턴버클 장치가 횡측 또는 종측 스트럿에 대하여 꼬이거나 또는 콘크리트 쉘 부재의 엣지 위로 돌출되는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턴버클 장치가 수직방향의 스트럿에 장착되면 구속수단, 즉 쐐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변위되어야 한다. 기타 장점들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상술되었거나 후술되는 특징들은 본 발명에 의하여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에 따라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완전한 열거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콘크리트 쉘 부재를 제외한 개방위치에서의 턴버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2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 상에 클램핑된 턴버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클로 프로파일은 콘크리트 쉘 부재의 프레임과 맞물리며 인장수단, 즉 쐐기를 통해 인장된다;
도 3은 개방상태의 본 발명 턴버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고정형 클로는 프레임 뒤에 맞물리며 피봇형 클로는 프레임, 횡측 및 종측 스트럿 외부의 개방위치에 놓인다;
도 4는 콘크리트 쉘 부재의 외곽 엣지 위로 돌출되지 않고 콘크리트 쉘 부재 내에 고정되는, 피봇된 내부위치 상태의 턴버클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턴버클 장치의 고정형 클로 상의 아칭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6은 횡측 스트럿에 피봇된 턴버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칭은 더 이상 횡측 스트럿 뒤에 맞물리지 않는다;
도 7은 고정형 클로 상의 아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턴버클 장치의 횡측과 종측 스트럿을 나타낸다;
도 9는 횡측 스트럿 상의 턴버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또다른 가능성(지지 수단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턴버클 장치 위에 형성된 피봇형 클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턴버클 장치의 고정형 클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제 1잠금부(11)와 제 2잠금부(12)로 이루어진 턴버클 장치(10)를 나타낸다. 제 1잠금부(11)는 기본적으로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로 형성되며,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의 일끝단에는 고정형 제 1클로(14, 15)가 측방향으로 장착된다. 아칭(18)은 제 1클로(14, 15)의 내표면(16, 17) 상에 형성되어 내표면(16, 17) 위로 돌출된다. 도 1은 단지 하나의 아칭(18)만을 도시하나, 고정형 제 1클로(15)의 내표면(17)에 있는 나머지 아칭(18)은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에 의해 가려져 있으며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의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의 측편에는 가이딩 스트립(19, 20)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도시된 제 2잠금부의 위치에서, 제 2잠금부(12)가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를 따라 제 1잠금부(11)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듯이 변위 및 피봇될 수 있도록 제 2잠금부(12)의 돌출부(21)가 뒤에서 맞물리는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의 상부면에는 제 2잠금부(12)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테이닝 수단으로써, 제 2잠금부(12)가 화살표(23) 방향으로 피봇팅할 때, 상기 리테이닝 수 단의 적어도 하나의 치부와 결합되는 치열(22)이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부는 치열(22)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 2잠금부(12)는 피봇형 제 2클로(24, 25)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피봇된 내부위치 상태에서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 위쪽에서 측방향으로 맞물리게 된다. 피봇형 제 2클로(24, 25)는 다리 영역(26)에서 종결되며, 다리영역에서 제 2클로(24, 25)는 서로 연결되고 또한 일측에 쐐기가 형성된 쐐기(28)가 치열(22)과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제 1단부 위치에 있는 이 쐐기(28)를 나타낸다. 이 제 1단부 위치에서, 제 2잠금부(12)는 화살표(29)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 장치(10)의 개방상태에서, 제 2잠금부(12)는 필요시,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를 따라서 변위될 수도 있다.
제 2잠금부(12)의 리테이닝 수단의 하나인 치부가 치열(22)에 맞물릴 때까지 제 2잠금부(12)가 치열(22)을 향하여 화살표(23)의 방향으로 피봇되면, 쐐기(28)는 화살표(30) 방향으로 최종 위치인 제 2단부 위치를 향해 화살표(30)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제 1잠금부(11)에 대한 제 2잠금부(12)의 피봇팅 운동이 차단되게 된다.
도 2는 종측 스트럿(33)과 횡측 스트럿(34)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쉘 부재(35, 36)를 가진 프레임(31, 32) 위에 장착된 도 1의 턴버클 장치(10)를 나타낸다. 턴버클 장치(10)는 조인트(37)에 중첩되는 콘크리트 쉘 부재(35, 36)를 서로 클램핑한다. 콘크리트 쉘 부재(35, 36)는 통상 한편으로는 쉘 커버(38)를 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콘크리트 쉘 부재(35, 36)를 보강하기 위한 횡측과 종측 스트럿(33, 34)을 포함하는 프레임(31, 32)으로 구성된다.
턴버클 장치(10)의 고정형 제 1클로(14, 15)와 피봇형 제 2클로(24, 25)는 프레임(31, 32)의 프로파일 내에서 맞물린다. 도 1에서 도시된 고정형 클로(14)는 도 2의 턴버클 장치 (10)에 의해 덮여 있다. 쐐기(28)는 중력의 작용방향인 화살표(30) 방향으로 변위되며, 쐐기(28)를 제 2잠금부(12)의 개구부(27)로 더욱 진행시키면 제 1잠금부(11)의 고정형 제 1클로(14, 15)와 피봇형 제 2클로(24, 25)가 상호 접근하게 되어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사이의 클램핑 작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콘크리트 쉘 부재(35, 36)가 클램핑될 때, 턴버클 장치(10)는 각각의 프레임(31, 32)의 엣지(39)에 중첩된다.
도 3은 제 2잠금부(12)는 피봇되고 제 1잠금부(11)에 대하여 피봇팅 및 이동되어 피봇형 제 2클로(24, 25)가 더 이상 콘크리트 쉘 부재(35)의 프레임(31) 프로파일 내에 맞물리지 않게 되는 위치의 턴버클 장치를 나타낸다. 피봇형 제 2클로 (24, 25)의 자유 클로의 단부들은 피봇팅되어 엣지(39)의 상부에서 서로 떨어지게 되고, 즉, 제 2잠금부(12)가 콘크리트 쉘 부재(35) 영역 내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정사각형의 프로파일 파이프(13)를 따라서 화살표(40)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잠금부(12)를 피봇하기 위해서는 쐐기(28)가 화살표 (41) 방향으로 최종위치(제 1단부)까지 변위되어야만 한다.
제 1잠금부(11)는 클로(15)가 종측의 스트럿(33)과 접할 때까지 횡측 스트럿(34)를 따라 변위될 수 있다. 턴버클 장치(10)는 피봇형 제 2클로(24, 25)의 자유 단부들이 더 이상 엣지(39) 위로 돌출하지 않을 때까지 횡측 스트럿(34)를 따라서 변위될 수 있도록 프레임(31, 32) 내에 자유공간이 갖춰져 있다. 제 2잠금부(12)는 화살표(4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쐐기(28)를 변위시킴으로써 제 1잠금부에 대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다.
횡측 스트럿(34)은 고정형 제 1클로(14, 15)의 아칭(18)을 통해 뒤로 맞물려서 턴버클 장치(10)가 아칭(18)을 통해 프레임(31) 위에 안전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아칭(18)은 횡측 스트럿(34)의 홈(42)에 맞물린다. 홈(42)은 횡측 스트럿(34)을 따라서 양측면 위에 형성되는 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의 턴버클 장치는 또한 종측 스트럿 위에도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턴버클 장치의 기능은 횡측 스트럿 위의 턴버클 장치와 다르지 않다.
도 4는 콘크리트 쉘 부재(36) (폐쇄 또는 리테이닝 위치)의 프레임(32) 내에 완전히 배치된 턴버클 장치(10)의 배열을 나타내고 있다. 제 1잠금부(11)와 제 2잠금부(12)는 종측 스트럿(33)과 프레임(32) 사이의 자유공간 내에서 접하도록 서로를 향하여 이동된다. 피봇형 제 2클로(24, 25)는 제 1잠금부(11) 대하여 내부위치로 완전히 피봇되며, 쐐기(28)는 제 2클로(24, 25)의 피봇팅을 차단하는 최종위치로 변위된다. 도 4의 도시된 턴버클 장치(10)의 위치에서, 콘크리트 쉘 부재(35)는 콘크리트 쉘 부재(3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턴버클 장치(10)는 두 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35, 36)의 엣지(39)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37)에 접할 만큼 콘크리트 쉘 부재 (36) 안으로 많이 이동된다.
도 4의 턴버클 장치(10)의 위치에서, 콘크리트 쉘 부재(35, 36)가 임의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모든 도면에서 일부만 도시됨)가 다시 상호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콘크리트 쉘 부재(35, 36)는 서로 접촉될 때까지 서로를 향하여 변위되어야 하며, 쐐기(28)가 도 4의 단부 위치에서 상부 끝까지 변위되어 피봇형 제 2클로(24, 25)가 프레임(31, 32)에 중첩될 때까지 피봇될 수 있도록 턴버클 장치(10)가 잠김해제되어야 한다. 피봇형 제 2클로(24, 25)는 프레임(31)의 프로파일 내로 다시 피봇되며, 쐐기(28)가 상단부 위치(제 1단부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위치 방향으로 진입되도록 스플라인 맞물림(spline toothing)이 쐐기(28)를 통하여 가동된다. 쐐기(28)가 제 2잠금부로 더욱 진입될수록, 콘크리트 쉘 부재(35, 36)를 서로 끌어 당기는 힘은 더욱 강력해진다.
도 5는 턴버클 장치(10), 다시말해 잠금부(11) 위에 형성된 아칭(18) 배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내표면(16, 17) 상의 아칭(18)은 간격 X가 종측 스트럿 또는 횡측 스트럿의 폭보다 더 넓어지도록 상호 변위 된다.
도 6은 콘크리트 쉘 부재(36)로부터 제거 가능한 턴버클 장치(10)를 나타낸다. 턴버클 장치(10)는 도 4에 비하여 잠금이 해제되며, 다시말해 쐐기 (28)는 횡측 스트럿(34)에 측방향으로 중첩함으로써 잠금부(12)의 피봇팅이 중첩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단부 위치(제 1단부 위치)로 변위 되어야 한다. 횡측 스트럿(34)의 홈(42) 내의 아칭(18) 위로 지지되는 잠금부(11)는 상쇄, 대향하는 아칭(18)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 라인인 간격 X가 횡측 스트럿(34) 또는 종측 스트럿(33)의 폭 Y보다 더 넓게 될 때까지 횡측 스트럿(34)쪽으로 경사지게 피봇 되어야 한다. 턴버 클 장치가 횡측 스트럿(34) 또는 종측 스트럿(33)에 평행하게 놓이는 경우, 아칭(18)은 횡측 스트럿(34) 또는 종측 스트럿(33)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형성하는 횡측 스트럿(34) 또는 종측 스트럿(33)의 뒤에 맞물리게 된다. 턴버클 장치(10)가 도 6의 기울기를 갖는 경우, 전체 턴버클 장치(10), 다시말해 제 1잠금부(11) 및 제 2잠금부(12)는 횡측 스트럿(34)으로부터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대향하는 아칭(45)을 가진 고정형 제 1클로(43, 44)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아칭(45)은 내표면(46, 47) 위로 돌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고정형 제 1클로(43, 44)는 제 1잠금부 위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형 제 1클로(43, 44)가 사용될 때, 횡측 스트럿과 종측 스트럿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다.
도 8은 콘크리트 쉘 부재(48, 49) 위에 형성되는 더욱 개량된 형태의 횡측 스트럿 및 종측 스트럿을 도시한다. 콘크리트 쉘 부재(48, 49)는 표면에 홈(52)이 형성되는 횡측 스트럿(50)과 종측 스트럿(51)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칭(45)을 포함하는 턴버클 장치(10)는, 개방시, 한 쌍의 대향하는 홈(52)을 통해 횡측 스트럿(50) 또는 종측 스트럿(51)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말해, 피봇형 클로가 개방위치로 피봇되어 고정형 클로는 홈(52)을 통해 홈(53) 내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턴버클 장치가 횡측 스트럿(50) 또는 종측 스트럿(51)을 따라서 변위되어, 피봇형 클로가 내부위치로 피봇될 수 있고 또 내부위치로 피봇되어 쐐기에 의해 고정되면, 클로 폭과 홈(52)의 크기는 턴버클 장치가 횡측 스트럿(50) 또는 종측 스트럿(51)으로부터 자체적으로 탈락하거나 이탈될 수 없도록 조절된다. 도 7의 아칭(45)을 가진 턴버클 장치는 개방시, 즉, 피봇형 클로가 상단부 위치(제 1단부 위치)에 있는 쐐기를 이동하여 개방위치로 피봇될 때에, 횡측 스트럿(50) 또는 종측 스트럿(5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9는 콘크리트 쉘 부재(61, 62) 상에 배치된 턴버클 장치(60)를 나타낸다. 턴버클 장치(60)는 제 1잠금부(63)와 제 2잠금부(64)로 구성된다. 제 1잠금부(63)는 단부 영역에 섀클(66)을 갖는 로드형 몸체(65) 위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섀클(66)은 볼트(68)가 삽입될 수 있는 자유 단부영역의 개구부(67)를 가지며, 볼트는 최종위치에서는 회전 불가능하다. 볼트(68)는 제 1잠금부(63)가 로드형 몸체(65)를 통해 콘크리트 쉘 부재(62) 상에 지지되도록 횡측 스트럿 (69)의 다른 개구부에 맞물릴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잠금부(64)가 피봇될 때, 제 2잠금부(64)는 콘크리트 쉘 부재(62)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잠금부(63)도 또한 제 2잠금부(64)가 내부위치로 피봇될 수 있고, 쐐기(70)에 의해 차단될 수 있을 때까지 섀클(66)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볼트(68)에 의한 고정시, 고정형 클로의 아칭은 불필요해진다. 턴버클 장치(60)가 횡측 스트럿(69)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 볼트(68)는 개구부(67)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볼트(68)가 제거되었을 때 턴버클 장치(60)는 횡측 스트럿(69)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1 및 제 2잠금부(63, 64)의 기능은 상기한 잠금부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9와 관련하여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도 10은 턴버클 장치(10)나 턴버클 장치(60)에서 제 2잠금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제 2잠금부(71)를 도시한다. 상호 간격을 둔 피봇형 클로(72, 73)는 두 개의 클로(72, 73)를 연결하는 공통 다리영역(74)에서 종결한다. 다리영역(74)은 쐐기(도시생략)를 위한 개구부(75)를 갖는다. 제 2잠금부(71)가 제 1잠금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피봇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돌출부(78)는 제 1잠금부 위에 있는 가이딩 스트립 후부와 맞물릴 수 있는 내표면(76, 77) 위로 돌출된다. 돌출부(78)는 상기한 돌출부(21)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도 11은 본 발명 턴버클 장치 위에 형성될 수 있는 고정형 클로(83, 84)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고정형 클로(83, 84)에는 각각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가 제공되며, 이는 지지수단으로서 쓰이고 스프링 부재(89)와 스냅헤드(snap head) 또는 래치(90)로 형성된다.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는 스냅헤드 또는 래치(90)가 고정형 클로(83, 84)의 개구부(91)를 통해 맞물리도록 고정형 클로(83, 84)의 외측에 장착된다. 고정형 클로(83, 84)는 스냅헤드 또는 래치(90)를 위한 안내면으로서 기능하고 하중으로 인한 스냅헤드 또는 래치(90)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딩 섀클(92)을 갖는다.
본 발명 턴버클 장치가 도 11에 도시된 고정형 클로(83, 84)를 갖는 경우, 턴버클 장치는 콘크리트 쉘 부재의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에 대하여 미끄러짐 가능하여, 스냅헤드 또는 래치(90)위에 형성된 경사면(93)을 경유하여 스냅헤드 또는 래치(90)를 통해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 위로 가압된다. 본 턴버클 장치가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 상으로 미끄러지면, 턴버클 장치는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가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의 홈 뒤에서 맞물릴 때 최종 리테이닝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턴버클 장치가 종측 또는 횡측 부재에 대하여 미끄러질 때,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는 처음에는 개방하고 다음으로 틸팅하거나, 초기위치로 다시 피봇팅함으로써 화살표(94)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는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의 뒤에 맞물린다. 본 턴버클 장치가 종측 또는 횡측의 스트럿으로부터 다시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 최소한 하나의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가 더 이상 종측 또는 횡측의 스트럿의 뒤에 맞물리지 않도록 제거되어야만 한다. 적어도 한 개의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가 더 이상 종측 또는 횡측의 스트럿과 맞물리지 않게되면, 턴버클 장치는 콘크리트 쉘 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턴버클 장치가 종측 또는 횡측의 스트럿으로 잠금되어 있을 때, 스냅헤드 또는 래치(90)의 표면(95)은 종측 또는 횡측의 스트럿 상의 아칭이나 언더컷을 형성하는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의 표면과 접한다.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의 스프링 부재(89)는 스냅헤드 또는 래치(90)가 화살표(94)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 11의 실시예에서처럼 판스프링로 형성된다. 도 11은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의 최초 위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는 자동으로 이 위치로 피봇팅된다.
콘크리트 쉘 부재들을 클램핑하기 위한 턴버클 장치(10)는 고정형 클로(14, 15)와 피봇형 클로(24, 25)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피봇형 클로(24, 25)는 두 개의 인접한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상에서 쐐기(28)를 통하여 고정형 클로(14, 15)와 클램핑될 수 있으며, 클로(14, 15, 24, 25)는 콘크리트 쉘 부재(35, 36)의 프레임 상의 프로파일에 맞물린다. 고정형 클로(14, 15)는 콘크리트 쉘 부재(36)의 횡측의 스트럿(34)과 종측의 스트럿(33)의 뒤에 맞물리는 아칭(18)을 갖는다. 턴버클 장치(10)는 아칭(18)을 통해 콘크리트 쉘 부재 상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로(14, 15, 24, 25)가 콘크리트 쉘 부재(36)의 내부에 있는 경우, 턴버클 장치(10)는 횡측의 부재(34)만을 따라 콘크리트 쉘 부재(36) 상에서 많이 변위될 수 있으므로 나아가 턴버클 장치(10)는 더 이상 콘크리트 쉘 부재(36)의 외곽 엣지(39) 위로 돌출하지 않게 된다. 또한 아칭(18)과 클로(14, 15, 24, 25)의 위치는 턴버클 장치(10)가 이동되더라도 콘크리트 쉘 부재(36) 위에 턴버클 장치(10)가 안전하게 고정됨을 보장해 준다. 쐐기(28)는 피봇형 클로(24, 25)의 개방 및 폐쇄수단일 뿐만 아니라 턴버클 장치(10)를 클램핑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Claims (9)

  1. 종측 스트럿(33;51)과 횡측의 스트럿(34;50;69)을 가진 프레임(31, 32)을 포함하는 2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48, 49; 61,62)를 조인트(37)를 가로질러 상호 클램핑하기 위한, 클로가 형성된 턴버클 장치로, 상기 조인트는 이 턴버클 장치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턴버클 장치(10; 60)는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48, 49; 61, 62)의 종측 또는 횡측 스트럿(33, 34; 50, 51; 69) 상에 보유되는 1개 이상의 리테이닝 수단(18; 45; 68; 88)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닝 수단에 의해 자체적으로 추락할 수 없도록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48, 49; 61, 62) 상에 장착되며,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48, 49; 61, 62)의 외곽 엣지(39)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추락할 수 없도록 콘크리트 쉘 부재 상(35, 36; 48, 49; 61, 62)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개의 구속수단(28; 70)을 포함하여 상기 구속수단(28; 70)이 해제되거나 제거될 때에 콘크리트 쉘 부재 위의 인장위치로 도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턴버클 장치(10; 60)는 제 1잠금부(11; 63)에 대하여 피봇형 제 2잠금부(12; 64)를 포함하며, 제 1잠금부(11; 63)는 고정형 제 1클로(14, 15; 43, 44; 83, 84)를 포함하고, 제 2잠금부(12; 64)는 프레임상에 직접 맞물리기에 적합하게 조절되는 두 개의 클로를 가진 제 2클로(24, 25; 72, 73)을 포함하며, 상기 구속수단(28; 70)은 제 2클로(24, 25; 72, 73)로 하여금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48, 49; 61, 62)로부터 턴버클 장치(10; 60)가 해제됨을 방지하고 프레임 섹션(33, 34)에서 턴버클 장치(10; 60)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거나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 2잠금부(12)의 피봇팅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턴버클 장치(10; 60)는 구속수단(28; 70)이 해제되거나 제거될 때 콘크리트 쉘 부재(35, 36; 48, 49; 61, 62)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수단은 고정형 클로(14, 15)의 내표면(16, 17)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아칭임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아칭(18)은 상호 상쇄되고 아칭(18)사이의 거리 X는 종측의 스트럿(33) 또는 횡측의 스트럿(34)의 폭 Y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아칭(45)은 고정형 클로(43, 44)의 내표면(46, 47)상에 대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수단은 제 1잠금부(63)를 지지하고 변위가능하게 안내하는 로드형 몸체(65)로부터 돌출되는 섀클(66)에 의해 형성되며, 섀클(66)내의 제 1 개구부(67)에 삽입 가능한 볼트와 같은 장착 수단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수단은 고정형 클로(83, 84) 상 또는 고정형 클로(83, 84) 영역에서 제공되는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피봇팅 또는 틸팅 레버(88)는 스프링에 의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수단은 중력 방향으로 변위하면서 피봇된 내부위치 상태로 피봇형 제 2클로(24, 25; 72, 73)를 차단하거나 2개의 콘크리트 쉘 부재를 상호 클램핑하도록 턴버클 장치를 클램핑하는 쐐기(28; 70)이며, 상기 쐐기(28; 70)는,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피봇될 때, 피봇형 제 2클로(24, 25; 72, 73)를 해제하여 제 1고정형 클로(14, 15; 43, 44)에 대한 피봇팅 및 변위가능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장치.
KR1020027003829A 1999-09-23 2000-08-18 턴버클 장치 KR100730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5596.1 1999-09-23
DE19945596 1999-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184A KR20020047184A (ko) 2002-06-21
KR100730860B1 true KR100730860B1 (ko) 2007-06-20

Family

ID=792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829A KR100730860B1 (ko) 1999-09-23 2000-08-18 턴버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67154B1 (ko)
EP (1) EP1214487B1 (ko)
JP (1) JP2003510527A (ko)
KR (1) KR100730860B1 (ko)
AT (1) ATE298027T1 (ko)
AU (1) AU7642400A (ko)
DE (4) DE20080177U1 (ko)
ES (1) ES2242639T3 (ko)
WO (1) WO2001021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0902B2 (ja) * 2002-08-02 2007-11-21 株式会社ヤマウラ コンクリート型枠用締結具
DE10330462A1 (de) * 2003-07-05 2005-01-27 Peri Gmbh Einhakbare Spannschlossvorrichtung
US7182308B2 (en) * 2003-08-29 2007-02-27 Precise Forms, Inc.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ES2288325B2 (es) * 2004-04-07 2008-09-16 Antonio Navarro Perez Grapa de anclaje y alineacion de placas de encofrado.
DE102004039470B4 (de) * 2004-08-14 2006-06-08 Peri Gmbh Betonschalungsschloss und Betonschalelement
ES2249188B1 (es) * 2005-04-11 2006-12-01 Ingenieria De Encofrados Y Servicios, S.L. Mordaza para sujecion de paneles de encofrado.
KR100792031B1 (ko) * 2006-10-23 2008-01-04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테두리 결속용 클램프
US8287207B2 (en) * 2007-08-22 2012-10-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lf-centering shaft adapter for actuators
US8205854B2 (en) * 2008-03-10 2012-06-26 Western Forms, Inc. Form clamp
KR101247679B1 (ko) * 2011-06-18 2013-04-01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 체결유닛
KR101295632B1 (ko) * 2011-09-14 2013-08-12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 지지 어셈블리
DE102012214396A1 (de) * 2012-08-13 2014-02-13 Harsco Infrastructure Services Gmbh Wandschalung mit Verbindungseinrichtung
US10087973B2 (en) * 2016-03-16 2018-10-02 A. Raymond Et Cie U-clip assembly
DK3260395T3 (da) * 2016-11-09 2020-06-02 Interroll Holding Ag Monteringsanordning og kartonflowleje
DE102019200404A1 (de) * 2019-01-15 2020-07-16 Hünnebeck GmbH Halterung für ein Keilschloss
DE102019109064A1 (de) * 2019-04-05 2020-10-08 Paschal-Werk G. Maier Gmbh Verbindungsklammer und Schalungselement mit einer Verbindungsklammer
DE102021107526A1 (de) * 2021-03-25 2022-09-29 Peri Se Wandschalungssystem und Verfahren zum Positionieren von Ankereinrichtungen und Verbindungsschlössern bei einem Wandschalungssystem
DE102022107429A1 (de) 2022-03-29 2023-10-05 Peri Se Spannschloss zum Verspannen von Rahmenschalungselementen
DE102022210940A1 (de) * 2022-10-17 2024-04-18 Doka Gmbh Verbindungseinrichtung und Rahmenschal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05131A (ja) * 2021-06-28 2023-01-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0898A (en) * 1969-01-06 1970-12-29 Tru Wall Concrete Forming Ltd Concrete wall forms
DE2908339C2 (de) 1979-03-03 1984-02-16 Peri-Werk Artur Schwörer KG, 7912 Weißenhorn Schaltafel für Betonwände mit Keilverbindungen
DE3307663A1 (de) * 1983-03-04 1984-09-06 Wolfgang 7958 Laupheim Baumann Bausatz zum errichten einer schalung
EP0201887B2 (de) * 1985-05-14 1996-03-20 THYSSEN HÜNNEBECK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und Zusammenhalten nebeneinander angeordneter Schalungselemente wie Schaltafeln
DE3546832C2 (de) 1985-12-20 1998-05-07 Peri Werk Schwoerer Kg Artur Spannschloßvorrichtung für Betonschalelemente
DE8622358U1 (ko) 1986-08-21 1987-12-17 Emil Steidle Gmbh & Co, 7480 Sigmaringen, 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05131A (ja) * 2021-06-28 2023-01-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35131호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51518호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85283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621130호
미국특허 제3550898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080177U1 (de) 2003-04-03
DE50010573D1 (de) 2005-07-21
ATE298027T1 (de) 2005-07-15
EP1214487A1 (de) 2002-06-19
KR20020047184A (ko) 2002-06-21
DE10047203B4 (de) 2004-01-08
WO2001021910A1 (de) 2001-03-29
US6767154B1 (en) 2004-07-27
EP1214487B1 (de) 2005-06-15
DE10082877D2 (de) 2002-10-10
JP2003510527A (ja) 2003-03-18
DE10047203A1 (de) 2001-06-13
AU7642400A (en) 2001-04-24
ES2242639T3 (es)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860B1 (ko) 턴버클 장치
US5709249A (en) Locking structure
US4413432A (en) Wedge and clamp locking system
KR101897248B1 (ko) 슬라이드형 앵커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641569B1 (ko) 지지 헤드, 천장 지지부, 및 이러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한 천장 거푸집
WO1998006289A1 (en) Child's seat
US6220392B1 (en) Scaffold with vertical and transverse supports
KR100917950B1 (ko) 턴버클 장치에 의해 클램핑되는 콘크리트 쉘 부재
KR19990088130A (ko) 슬라이드식발판망판
CZ304057B6 (cs) Zlabový prvek
FI86913B (fi) Haollare foer montering av en radiator.
US3241271A (en) Reglet and flashing therefor
JP2001132369A (ja) 勾配面用梯子および梯子の設置方法
FR2533610A1 (fr) Procede de montage d'un echafaudage, contreventement utilis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et echafaudage equipe dudit contreventement
KR10189724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S583987Y2 (ja) 吊杆部材へのケ−ブル等の支持具
BE1018283A3 (nl) Ophoogkader voor inbouwdozen voor elektrisch materiaal.
JP2008280741A (ja) くさび式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SK286522B6 (sk) Zariadenie cestnej siete s kĺbovým poklopom
JP3782964B2 (ja) 板材用吊り具
JP3012020U (ja) 合成樹脂製溝蓋
KR200216339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US4392762A (en) Locking web fitting with swivel
JP4373975B2 (ja) 開閉体装置及び該開閉体装置に用いられる吊具装置
CZ20032482A3 (cs) Třídicí obložení a třídicí stroj s takovým obložení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