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130A - 슬라이드식발판망판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발판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130A
KR19990088130A KR1019990016384A KR19990016384A KR19990088130A KR 19990088130 A KR19990088130 A KR 19990088130A KR 1019990016384 A KR1019990016384 A KR 1019990016384A KR 19990016384 A KR19990016384 A KR 19990016384A KR 19990088130 A KR19990088130 A KR 19990088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mesh
plate
board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오 후지키
나오히코 하라다
유키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후미오 후지키
유키오 하라다
나오히코 하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미오 후지키, 유키오 하라다, 나오히코 하라다 filed Critical 후미오 후지키
Publication of KR1999008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Landscapes

  • Movable Scaffold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단차(段差)가 없으며,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발판망판 및 발판장치를 제공한다. 수납공간(13)은 제1의 디딤면판(11)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의 디딤면판 (11)의 길이방향(L)의 일단측은 개구하여 있다. 가이드부(141,142)는, 수납공간 (13) 내에서 제1의 디딤면판(11)의 폭방향(W)으로 적어도 그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의 망판부재(2)는 제2의 디딤면판(21)을 포함하고, 제1의 망판부재(1)에 구비된 수납공간(13)의 개구를 통하여 수납공간(13)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의 디딤면판(21)이 제1의 디딤면판(11)에 인접되고, 폭방향(W)의 양측 가이드부(141,142)에 의하여 지지되며 길이방향(L)으로 안내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발판망판{SLIDING TYPE OF SCAFFOLD BOARD}
본 발명은, 건축물건설공사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에 관한 것이다.
주택 등의 건축물공사에 있어서는, 건축물의 주위 또는 필요한 장소에 간격을 두고 건지재를 세움과 아울러, 발판망판 받침부재(송출틀이라 부름)를 건지재(建地材)에 설치하여, 발판망판 받침부재상에, 건지재의 간격에 대응한 정척(定尺)치수의 발판망판을 걸친다. 작업원은, 발판망판을 옮겨다니며, 건설공사를 시공한다.
종래의 발판장치에 있어서, 건지재의 배치간격이, 발판망판의 정척치수에 대응하면, 중복되는 등을 발생하지 않고, 발판망판을 순차적으로 부설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건축물의 길이치수, 안쪽으로의 길이치수 및 형상 등이 다양하다. 또, 발판을 세우는 부지의 형상, 넓이 등도 각각의 현장에서 달라진다. 게다가, 이와 같은 조건중에서 건축물과 발판 사이의 간격을 소정의 치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발판전주에 걸쳐서, 건지재의 배치간격을 발판망판의 정척치수에 대응하는 치수가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며, 예컨대 발판의 코오너부 등에, 발판망판의 정척치수에 대응하지 않는 건지재 간격부분이 발생한다.
종래는, 이와 같은 경우에, 2개의 발판망판을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였다. 이 때문에, 중합되는 2개의 발판망판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며, 발판망판상을 보행하는 작업원이 이러한 단차에 걸려 넘어져, 추락사고를 발생시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게다가, 강풍 등에 의하여 발판망판이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2개의 발판망판이 겹치는 부분을, 번선(番線)으로 호칭되는 철사로 고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발판망판부설작업이 번거로운 일이 었다.
최근에는, 상술한 단차부분에 금속커버를 씌워서, 단차를 해소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속커버의 표면이, 강우(降雨), 강설(降雪) 또는 강상(降霜) 등 때문에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원이 발이 미끄러져서, 의연하게 추락사고를 발생시킬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건지재 사이의 간격변화에 추종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 및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작업원에게 보행장해로 되는 단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건지재 사이의 간격변화로 추종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슬라이드식 발판망판 및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빗장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고정수단의 구조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는 다른 곳에 고정수단을 구비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7-7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을 사용한 발판장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과 조합된 발판망판 받침부재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표시된 코오너용 발판망판과 조합되는 발판망판 받침부재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을 사용한 발판장치의 코오너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표시된 탈출방지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에 표시된 탈출방지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과 발판망판 받침부재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부분결손 평면도이다.
도 15는, 빗장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표시된 상태에서의 빗장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표시된 상태에서의 빗장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표시된 상태에서의 빗장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을 사용한 발판장치의 코오너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과 조합된 발판망판 받침부재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과 발판망판 받침부재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부분결손평면도이다.
도 26은, 종래의 발판장치에서의 문제점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종래의 발판장치에서의 또 하나의 문제점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종래의 발판장치에서의 또 하나의 문제점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종래의 발판장치에서의 또 하나의 문제점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의 망판부재 11 … 제1의 디딤면판
121 … 제1의 측면판 122 … 제2의 측면판
13 … 수납공간 141 … 제1의 가이드홈
142 … 제2의 가이드홈 2 … 제2의 망판부재
21 … 제2의 디딤면판 221,222 … 측면판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제1의 망판부재와 제2의 망판부재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1의 망판부재는, 제1의 디딤면판과 수납공간 및 가이드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수납공간은,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은 개구하여 있다. 상기한 가이드부는, 상기한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의 폭방향으로 적어도 그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제2의 망판부재는 제2의 디딤면판을 포함하고, 상기한 제1의 망판부재로 구비된 상기한 수납공간의 상기한 개구를 통하여 상기한 수납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한 제2의 디딤면판은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에 인접하여, 폭방향의 양측이 상기한 가이드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안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망판부재에 구비된 가이드부는, 수납공간 내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의 망판부재는, 제1의 망판부재에 구비된 수납공간의 개구를 통하여 수납공간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이드부에 의해서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1의 망판부재 및 제2의 망판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신축시켜서, 발판망판 전체의 길이치수를 가변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건지재 사이의 간격이, 발판망판의 정척치수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라도, 한장의 발판망판으로 대응할 수 있다.
제2의 디딤면판은, 제1의 디딤면판에 인접하여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1의 망판부재의 표면과, 제2의 망판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제1의 망판부재의 제1의 디딤면판의 두께부분과 대략 상당하는 작은 단차가 발생할 뿐이다. 이 단차는, 2장의 독립한 발판망판을 겹치게 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던 종래의 단차와 비교해 볼 때,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치수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단차를 실질적으로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발판망판 상을 보행하는 작업원이 단차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추락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발판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번선 결속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발판망판 부설작업이 현저히 간단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차해소용 금속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원이 발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추락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발판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발판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발판파이프용 중간소켓, 발판파이프용 단말소켓, 코오너·브래킷, 건지재 사이의 조정연결부재 또는 발판용 호상(弧狀) 코오너접속부재 등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구성 및 이점에 대해서는, 실시예인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3-3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제1의 망판부재(1)와, 제2의 망판부재(2) 등을 포함한다. 제1의 망판부재(1)는, 제1의 디딤면판(11)과 측면판(121,122)과 수납공간(13) 및 가이드부(141,142) 등을 포함한다.
측면판(121,122)은, 제1의 측면판(121)과 제2의 측면판(122) 등을 포함한다. 제1의 측면판(121) 및 제2의 측면판(122)의 각각은, 제1의 디딤면판(11)의 하측에서, 폭방향(W)의 양측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제3의 측면판 (123)을 더 포함하고, 제3의 측면판(123)은 제1의 디딤면판(11)의 하측에 있어서, 길이방향(L)의 타단측에, 제1의 측면판(121) 및 제2의 측면판(122)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3의 측면판(123)에는 L자형 부재(앵글부재)가 사용되고, L자형 부재를 구성하는 또 한 변은, 제1의 디딤면판(11)과 연관되는 돌출부(101)로서 사용된다.
수납공간(13)은, 제1의 디딤면판(11)과 제1의 측면판(121) 및 제2의 측면판 (122) 등에 의해서 에워싸여지며, 길이방향(L)의 일단측은 개구하여 있다.
가이드부(141,142)는, 제1의 가이드부(141)와 제2의 가이드부(142) 등을 포함한다. 제1의 가이드부(141) 및 제2의 가이드부(142)의 각각은, 수납공간(13) 내에서 폭방향(W)의 양측으로 서로 간격(D)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의 가이드부(141) 및 제2의 가이드부(142)의 각각이, 제1의 측면판(121) 및 제2의 측면판(122)의 하단부 측을 제1의 디딤면판(11)과 대향하도록, 폭방향(W)으로 길이(W1)만큼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망판부재(2)는, 제2의 디딤면판(21)과, 측면판(221,222) 등을 포함하고, 측면판(221,222)은, 제2의 디딤면판(21)의 하측에서 폭방향(W)의 양측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의 망판부재(2)는, 제1의 망판부재(1)에 구비된 수납공간(13)의 개구를 통하여 수납공간(13)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2의 디딤면판(21)이 제1의 디딤면판 (11)에 인접되어, 측면판(221)은 제1의 가이드부(141)에 의해서 지지되어 길이방향(L)으로 안내되고, 측면판(222)은 제2의 가이드부(142)에 의해서 지지되어 길이방향(L)으로 안내된다.
실시예에서, 제2의 망판부재(2)는 측면판(223,224)을 더 포함한다. 측면판 (223,224)은 디딤면판(21)의 하측에서 길이방향(L)의 양측으로 폭방향(W)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3의 측면판(123)과 마찬가지로, 측면판(223)에도 L자형 부재(앵글부재)가 사용되고, L자형 부재를 구성하는 또 한 변은, 제2의 디딤면판(21)과 연관되는 돌출부(201)로서 사용된다.
제1의 망판부재(1)에 있어서, 제1의 측면판(121) 및 제2의 측면판(122)은, 길이방향(L)의 중간부에서, 보강부재(151∼154)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보강부재의 수는 4개로 되어 있지만, 그 수에 대해서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 전체의 길이치수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된다.
여기에서, 보강부재(154)는, 보강부재(151∼153)에 비하여 두께방향의 치수가 크다. 이것은, 본래의 보강된 역할 이외에, 제2의 망판부재(2)가 길이방향(L)의 화살표(L1)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역할도 성취하게 한다.
제2의 망판부재(2)에 있어서도, 측면판(221) 및 측면판(222)이, 길이방향(L)의 중간부에서, 폭방향(W)을 따라서 연장되는 보강부재(251∼25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의 디딤면판(11) 및 제2의 디딤면판(21)은, 평면 내에 다수의 구멍을 개구시킨 그물코 구조를 보유한다. 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의 디딤면판(11) 및 제2의 디딤면판(21)은, 금속판의 표면에 다수의 미소 요철을 부착시킨 것이어도 좋다.
제1의 디딤면판(11)의 표면과 제2의 디딤면판(12)의 표면과의 단차(△G)는, 실제로는 10∼15㎜ 정도이고, 작업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길이방향(L)의 양단부에 발판망판 받침부재에 대한 걸림장치(18)를 더 보유한다. 도 1에 표시한 실시예에서, 걸림장치는 빗장장치로 이루어진다.
제1의 망판부재(1)는, 제3의 측면판(123)에 걸림용 절결부(171,172)를 보유하며, 제2의 측면판(2)은, 측면판(223)에 걸림용 절결부(切缺部)(241,242)를 보유한다. 도면에 있어서, 빗장장치는 걸림용 절결부(171,172,241,242)의 각각에 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빗장장치를 비치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이미, 특개평 96-86087호 공보에 명시되어 있다.
도 4는 괘지용 절결부(171)에 구비된 빗장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다른 괘지용 절결부(172,241,242)에 구비된 빗장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빗장장치로 이루어진 괘지장치(18)는, 지지암(181), 지지암(182), 로크편(183), 돌출편(184), 스토퍼(185) 및 지지암(186)을 구비한다. 지지암 (181,182)은, 제3의 측면판(123)에 있어서, 괘지용 절결부(171)의 양측에, 예컨대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지지암(186)도 지지암(181,182)으로부터 적당한 간격을 두고, 측면판(123)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로크편(183)은, 긴쪽방향(b1 또는 b2)으로 이동할 수 있고, 화살표(a1 또는 a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암(181,182,18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돌출편(184)은 로크편(183)에 설치되며, 측면판(123)에 돌출설치된 스토퍼(185)에 의하여 움직임이 제한된다. 로크편(183)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고정수단(166)을 포함하여. 고정수단(16)은, 제1의 망판부재(1) 및 제2의 망판부재(2)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자간의 신축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신축동작을 금지시킨다. 도 5는 고정수단(16)의 구조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이하에, 도 5를 참조하여 고정수단(16)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의 가이드부(141)는, 구멍(160)과 돌출부(161) 및 너트(162) 등을 보유한다. 구멍(160)은, 제1의 가이드부(141)의 길이방향(L)의 일단측에 구비되어 있다. 돌출부(161)는, 제1의 가이드부(141)의 하측에서, 구멍(160)의 하방으로 배치되며, 제1의 가이드부(141)의 표면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너트(162)는 돌출부(161)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고정수단(16)에는, 예컨대, 나비나사 등이 사용되며, 너트(163)로 나사결합하고 있다. 또, 고정수단(16)은 축방향의 하단측에 스토퍼(163)를 보유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고정수단(16)이 너트(16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고정수단(16)은, 제1의 가이드부(141) 및 제2의 가이드부 (142)의 각각에 한 개씩 구비되어 있지만,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와는 다른 장소에 고정수단을 구비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5에 표시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6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16)이 수납공간(13)의 내부로 배치되며, 측면판(221)과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탈출방지기구(23)를 더 포함하고, 탈출방지기구(23)는 제1의 망판부재(1) 및 제2의 망판부재(2)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2의 망판부재 (2)가 제1의 망판부재(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금지한다. 도 7은 도 1의 7-7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이하에, 도 7를 참조하여 탈출방지기구(23)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탈출방지기구(23)는, 통체(230)와, 가동핀(231)과, 스프링(232) 등을 포함한다. 통체(230)는,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하여 제2의 망판부재(2)의 측면판(224)에 부착된다. 가동핀(231)은, 적어도 한쪽 끝이 구부러지며, 관부(23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화살표(o1 또는 o2)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232)은, 통체(230)의 내부에 배치되며, 다른 쪽 끝은 가동핀(231)과 일체화된 받침판(233)에 의하여 수용된다.
도 7에 표시하듯이, 가동핀(231)은 스프링(232)으로부터 화살표(o1)의 방향으로 탄력(P)을 받아서, 제1의 측면판(121)으로부터 화살표(o2)의 방향으로 눌려지는 압력(F)을 받아서, 이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을 사용한 발판장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단, 수접재(手摺材), 포재, 발판망판 받침부재 등은 생략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건지재(50∼54)의 각각은, 건축물(100)의 주위 및 필요한 장소에, 서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지상에 세워진다. 코오너용 발판망판(60)은, 발판장치의 구석부에 부설되며, 정척발판망판(6) 및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은, 코오너용 발판망판(60)을 끼워두도록 건축물의 주위에 부설된다.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은, 건지재간의 간격(d2)이, 정척발판망판(6)의 길이치수(d1)에 대응하지 않는 장소에 배치되며, 발판망판 받침부재에 걸려진다.
정척 발판망판(6)에는, 예컨대, 600㎜, 1200㎜, 1350㎜ 및 1800㎜와 같이, 길이 치수(d1)가 다른 것 중 어떤 종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도, 상술한 것과 같은 정척치수에 대응할 수 있다. 길이치수(d2)가 다른 것 중 어떤 종류가 준비되고, 각각은 필요에 따라서 구별하여 쓰여진다.
도 9는 도 1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과 조합되는 발판망판 받침부재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표시하듯이, 주간부(主桿部)(40)는, 긴쪽방향의 한쪽끝에 결합부(451)를 보유하며, 다른 쪽 끝에 결합부(452)를 보유한다. 돌기(41,42)는, 주간부(40) 긴쪽방향의 중간부 일단측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며, 돌기(43,44)는 주간부(40)의 긴쪽방향의 중간부의 일단측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며, 돌기(43,44)는 주간부(40) 긴쪽방향의 중간부 타단측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며, 돌기(43,44)는, 주간부(40) 긴쪽방향의 중간부 타단측에서, 폭방향의 양측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돌기(41∼44)의 각각은 관통공(410∼440)을 보유한다. 관통공(410∼440)의 각각은 돌기(41∼44)에 있어서, 긴쪽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발판망판용 괘지부(45)는, 주간부(40)의 측면(404)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주간부(40)의 윗면(403) 측을 향해서 구부러지며, 그 구부러진 선단부와 주간부(40)의 측면(405)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주간부(40)의 윗면(403)측으로 향해서 구부러지며, 그 구부러진 선단부와 주간부(40)의 측면(405)과의 사이에는 간격(D)을 보유한다.
실시예에서, 결합부(451,452)는 클램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주간부(40)의 양단에 용접 등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클램프 형상인 결합부 (451,452)는,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클램프로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 표시된 발판망판 받침부재는, 보강부재(47)를 더 보유한다. 보강부재(47)는 주간부(40)를 긴쪽방향의 양단측 2곳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선단부에 건지받침부(471)를 보유한다. 건지받침부 (471)는 건지재의 외주면과 접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단, 결합부(451,452)를 사용하여 2개의 건지재에 발판망판 받침부재를 결합하는 경우, 보강부재(47)는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보강부재(47)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발판망판 받침부재도 존재한다.
도 10은 도 8에 표시된 코오너용 발판망판(60)과 조합되는 발판망판 받침부재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표시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진다. 도 10에 표시된 실시예의 특징은, 제1의 주간부(40)와, 제2의 주간부(80)를 보유하며, 제1의 주간부(40) 및 제2의 주간부(80)는,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고, 또한, 한쪽 끝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실시예에서, 발판망판 받침부재는 결합부재(451,452, 453)를 보유한다. 결합부재(451)는, 제1의 주간부(40) 및 제2의 주간부(80)의 한쪽 끝을 연결하고, 발판지주에 대한 설치부로서 사용된다. 결합부재(451)의 설치축(O1)은, 제1의 주간부(40) 및 제2의 주간부(80)가 배치된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한다. 결합부재(452)는 제1의 주간부(40)의 자유단(自由端)에 구비되며, 결합부재 (453)는 제2의 주간부(80)의 자유단에 구비된다.
또한, 제1의 주간부(40)는 돌기(41∼44) 및 발판망판용 괘지부(45,46)를 보유하고, 제2의 주간부(80)는 돌기(81∼84) 및 발판망판용 괘지부(85,86)를 보유한다.
돌기(81,82)는, 제2의 주간부(80)의 긴쪽방향의 중간부의 일단측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돌기(83,84)는, 제2의 주간부(80)의 긴쪽방향의 중간부의 다른쪽 끝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돌기(81∼84)의 각각은, 관통공(810∼840)을 보유한다. 관통공(810∼840)의 각각은, 돌기(81∼84)에 있어서, 긴쪽방향에 따라서 설치된다.
발판망판 괘지부(85)는, 제2의 주간부(80)의 측면(804)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의 주간부(80)의 윗면(803)측을 향해서 구부러지며, 그 구부러진 선단부와 제2의 주간부(80)의 측면(804)과의 사이에 간격(D)을 보유한다. 발판망판용 괘지부(86)는, 제2의 주간부(80)의 측면(805)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의 주간부(80)의 윗면(803)측을 향해서 구부러지며, 그 구부러진 선단부와 제2의 주간부(80)의 측면(805)과의 사이에 간격(D)을 보유한다.
도 11은 도 8에 표시된 발판장치의 코오너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확대평면도이다. 여기에서는, 건지재(50∼53) 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을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건지재(50-51,50-52,50-54) 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의 망판부재(1)에 구비된 제1의 가이드부(141) 및 제2의 가이드부(142)는, 수납공간(13)의 내부에서, 폭방향(W)의 양측으로 서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또한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의 망판부재(2)는 제1의 망판부재(1)에 구비된 수납공간(13)의 개구를 통하여 수납공간(13)의 내부로 삽입된다. 2개의 측면판(221,222)의 각각은, 제1의 가이드부(141) 및 제2의 가이드부(142)에 의하여 지지되며, 길이방향(L)으로 안내된다(도 3참조). 이 구조에 의하면, 제1의 망판부재(1) 및 제2의 망판부재(2)를 길이방향(L)으로 신축시켜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 전체의 길이치수를 가변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건지재(50-53)간의 간격(d2)이, 정척발판망판(6)의 길이치수(d1)(도 8참조)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도, 1장의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으로 대응할 수 있다.
제2의 디딤면판(2)은 제1의 디딤면판(11)에 인접하여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1의 망판부재(1)의 표면과 제2의 망판부재(2)의 표면과의 사이에, 제1의 망판부재(1)의 제1의 디딤면판(11)의 두께부분과 대략 상당하는 작은 단차(△G)(도 3참조)가 발생할 뿐이다.
이 단차(△G)는, 2장의 독립한 발판망판을 겹치게 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였던 종래의 단차 비교하여,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치수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단차를 실질적으로 없앨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상을 보행하는 작업원이 단차에 걸려 넘어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추락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안정성의 높은 발판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번선결속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발판망판 부설작업이 현저하게 간단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차해소용 금속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원이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며, 따라서 추락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발판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이점은, 도 26∼도 29에 표시한 종래의 발판과 대비하면, 더욱 명확하게 된다. 예컨대 발판의 중간부 등에, 발판망판의 정척치수에 대응하지 않는 건지재 간격부분이 발생한 경우, 종래는 도 26에 표시하듯이, 2개의 정척발판망판(61,62)을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였다. 그 결과, 2개의 발판망판(61,62) 사이에 단차(G1)가 발생하였다.
예컨대, 정척발판망판(62)의 구체적 일례로서, 전형적인 치수형상을 보유하는 것을 사용한 경우를 상정하면, 측면판(621)은 두께(g1)가 약 5㎝이며, 훅(628)은 디딤면판(620)의 표면으로부터 약 2㎝의 높이(g2)로 돌출한다. 정척발판망판 (61)에 있어서도, 훅(618)이 높이(g3)로 돌출한다. 단차(G1)는 발판망판(61)의 디딤면판(610)을 기준으로 한 높이로 되어 있으므로, G1=g1+g2+g3 으로 된다. 따라서, 실제의 단차(G1)는 약 9㎝도 있다. 종래의 발판망판을 사용한 발판장치는, 발판망판(61,62)상을 보행하는 작업원이 이런 단차(G1)에 걸려 넘어져, 추락사고를 발생시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더욱이, 발판의 코오너부에는, 발판망판의 정척치수에 대응하지 않는 건지재 간격부분이 발생한 경우, 도 27 및 도 28에 표시하듯이, 다른 2방향으로부터 연장되는 정척발판망판(61,62)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였다.
도 27에 표시하듯이, 정척발판망판(62)의 측면판(623)을 정척 발판망판(61)의 훅(618)과 겹쳐서 배치한 경우, 도 2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판망판(61,62) 사이에 약 9㎝의 단차(G1)가 발생한다.
도 28에 표시하듯이, 정척발판망판(62)의 측면판(623)을 정척발판망판(61)의 훅(618)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한 경우, 발판망판(61,62) 사이의 단차는 높이(g3)만큼 작게 되지만, 발판망판(61)의 훅(618)이 발판망판(62)의 폭방향의 측면판(621)으로부터 돌출되어 버린다. 이 훅(618)의 돌출은, 발판의 미관을 손상시킴과 아울러, 시이트 또는 메시시이트의 파손을 초래한다.
최근에는, 도 29에 표시하듯이, 상술한 단차부분에 금속커버(7)를 씌우고, 단차(G1)를 해소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속커버(7)의 표면이, 강우, 강설 또는 강상 등 때문에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원이 발 미끄러지게 되어, 의연하게 추락사고를 발생시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설명에서 명확하듯이, 종래기술이 보유하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도 7를 참조로 하여,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이 성취하는 다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 진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망판부재(1)는, 제1의 측면판(121)과, 제2의 측면판(122) 등을 포함하고, 제1의 측면판(121) 및 제2의 측면판(122)은 제1의 디딤면판(11)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1의 디딤면판(1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한다.
제1의 망판부재(11)는 수납공간(13)을 포함하고, 수납공간(13)은 제1의 디딤면판(11)과 제1의 측면판(121) 및 제2의 측면판(122) 등에 의하여 에워싸여져 있다. 이와 같이, 제1의 망판부재(1)는 적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또 하측에 수납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의 망판부재(1)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제2의 망판부재(2)는 측면판(221,222)을 포함하고, 측면판(221,222)은, 제2의 디딤면판(21)의 하측에서 폭방향(W)의 양측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의 망판부재(2)는 적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2의 디딤면판(21)의 하측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의 망판부재(2)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이 전체적으로 경량한 것으로 되어, 운반시에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다.
게다가, 제1의 디딤면판(11)의 하측이 개구하여 있고, 제2의 디딤면판(21)의 하측이 개구하여 있으므로, 괘지장치(18), 탈출방지기구(23), 또는 고정수단(16)(도 6참조)을 조작하는데 편리하다.
가이드부(141,142)는 제1의 가이드부(141)와 제2의 가이드부(142) 등을 포함하고, 제1의 가이드부(141) 및 제2의 가이드부(142)는, 수납공간(13) 내에서 폭방향(W)의 양측으로 서로 간격(D)을 두고 배치되며, 또 길이방향 (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의 망판부재(2)는, 측면판(221,222)이 제1의 가이드부 (141) 및 제2의 가이드부(142)에 의해서 지지되며 길이방향(L)으로 안내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1의 망판부재(1)와 제2의 망판부재(2) 사이의 미끄러짐 접촉면적이, 측면판 (221,222)의 폭 및 길이에 대응하는 좁은 면적으로 된다. 이 때문에 제1의 망판부재(1) 및 제2의 망판부재(2)의 신축동작시에 마찰저항을 작게 할 수가 있고, 따라서 매끈매끈한 신축동작을 실행할 수가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7에 표시한 탈출방지기구(23)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표시하듯이 제2의 망판부재(2)를 화살표(L2)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 가동핀(231)은 도 13에 표시하듯이 구멍(120)의 위치에서, 스프링(232)의 탄력(P)에 의하여 화살표(O1) 방향을 향해서 되밀어 붙여지며, 구멍(120)으로 끼워 넣어진다. 이 때문에, 제2의 망판부재(2)는 제1의 망판부재(1)에 대하여 로크된다.
도 14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과 발판망판 받침부재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부분결손 평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제1의 망판부재(1)에 착안하여 설명하며, 제2의 망판부재(2)에 대해서는 제1의 망판부재(1)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은, 괘지용 절결부(171)를 발판망판 받침부재 (4)의 돌기(44)에 괘지되며, 발판망판 받침부재(4)의 돌기(42)에, 괘지용 절결부 (172)가 걸려지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에 익숙하지 않는 작업자라도,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부설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괘지용 절결부(171,172)를 괘지하는 돌기(42,44)는, 발판망판 받침부재(4)에 있어서, 주간부(40) 긴쪽방향의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은, 발판망판 받침부재(4)의 긴쪽방향(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폭방향)으로의 위치벗어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측면판(123)은, 발판망판용 괘지부(46)와 주간부(40)의 측면(405)과의 간극내로 괘지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괘지용 절결부와 돌기 등이 로크되어 있지 않아도,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은, 발판망판 받침부재(4)에 대하여 임시로 방지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은, 발판망판 받침부재(4)의 폭방향(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긴쪽방향)으로의 위치벗어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작업에 익숙하지 않는 작업자라도,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발판망판의 부설작업을 안전하고 쉽게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발판망판용 괘지부(46)에 의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측면판(123)의 위치결정을 해제함으로서, 발판망판 받침부재(4)로부터 슬라이드식발판망판(3)을 떼어낼 수 있고, 발판을 안전하고 쉽게 해체할 수 있다.
괘지장치(18)의 로크편(183)은, 관통공(410∼440)을 출입함으로서, 발판망판 받침부재(4)와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 등을 로크하며, 또한 발판망판 받침부재(4)와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 등의 로크를 해제한다.
다음에, 괘지용 절결부(171)에 구비된 빗장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도 15∼도 18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다른 괘지용 절결부(172,241,242)에 구비된 빗장장치 (18)의 작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괘지장치(18)의 닫힌 위치를 나타내고, 돌출편(184)은, 스토퍼(185)와 지지암(182) 등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고, 돌기(44)는 괘지장치(18)의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도 15의 상태에서는, 로크편(183)이, 관통공(410∼440)내를 관통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발판망판 받침부재(4)와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 등이 로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중 또는 강풍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요동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발판망판 받침부재(4)의 폭방향으로의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위치벗어남도 방지할 수 있다.
또, 강풍에 의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위치벗어남,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끼리의 충돌 또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의 바람이 치부는 곳 등에 기인하는 소음을 거의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괘지장치(18)은 빗장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괘지장치(18)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쉬우며, 또한, 열쇠로서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높아서, 발판망판 부설작업의 용이성, 신속성, 신뢰성 및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15의 상태로부터, 로크편(183)을 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6에 표시하듯이, 돌출편(184)은 스토퍼(185)가 있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까지 이동한다.
다음에, 도 16에 표시하듯이, 로크편(183)을 화살표(b1)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도 17에 표시하듯이, 로크편(183)이, 선단부가 돌기(44)의 관통공(440)의 외부에 위치하고, 지지암(182)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된다. 이후에, 도 17에 표시하듯이 로크편(183)을 화살표(a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도 18에 표시하듯이, 돌기(44)의 관통공(440)이 괘지장치 (18)의 로크편(183)에 의한 로크로부터 해제된 상태로 된다. 로크편(183)에 의하여 돌기(44)를 로크하는 데는, 도 15∼도 18에 표시된 공정을 역으로 실행하면 좋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0는 도 19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괘지장치(18)가 훅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훅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고,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발판망판 받침부재와, 복수의 건지재와 아울러 사용하여, 발판장치를 구성한다. 건지재의 각각은 서로 간격을 두고, 지상에 세워진다. 발판망판 받침부재는 건지재의 각각에 의하여 지지된다.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건지재 사이의 간격이 정척발판망판의 길이치수에 대응하지 않는 곳에 배치되고, 또 양단은 발판망판 받침부재에 괘지된다. 이것은, 도 1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사용방법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9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을 사용한 발판장치의 개략 평면도에 대해서는, 도 8를 참조한다.
도 21은 도 19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을 사용한 발판장치의 코오너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확대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1에 표시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1에 표시된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는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9 및 도 20에 표시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괘지장치(18)가 훅 이외에 쐐기(19)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쐐기(19)는, 제1의 망판부재(1)의 측면판(123)의 폭방향(W)의 중간부와, 제2의 망판부재(2)의 측면판(223)의 폭방향(W)의 중간부 등에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2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은, 그 기본적인 구성이 도 19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과 대략 동일하며, 사용방법도 도 19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과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도 22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을 사용한 발판장치의 개략 평면도 및 그 확대평면도에 대해서는, 각각 도 8 및 도 21룰 참조한다.
도 24는, 도 22 및 도 23에 표시된 슬라이드식 발판망판과 조합된 발판받침부재(4)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9에 표시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결합부(451,452)가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과, 주간부(40)가 긴쪽방향의 중간부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접속간부(接續桿部)(481,482)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주간부(40)의 외주면에,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설치부재 (480)를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하고, 설치부재(480)에 접속간부(481,482)를 부착시킨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간부(481,482)는, 나사고정 등의 기계적결합수단 또는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서 설치부재(480)에 고정된다.
도 25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31)과 발판망판 받침부재(4)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확대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4에 표시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발판망판 받침부재(4)의 주간부(40)에 훅을 걸 뿐만 아니라, 쐐기(19)를 접속간부(482)에 끼워넣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a) 건지재 사이의 간격변화로 추종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발판망판 및 발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b) 작업원에게 보행장해로 되는 단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건지재 사이의 간격변화로 추종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슬라이드식 발판망판 및 발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제1의 망판부재와, 제2의 망판부재를 포함하는 발판망판에 있어서, 상기한 제1의 망판부재는 제1의 디딤면판과 수납공간 및 가이드부을 포함하며, 상기한 수납공간은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은 개구하여 있고, 상기한 가이드부는 상기한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의 폭방향으로 적어도 그 양측에 구비되고, 또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한 제2의 망판부재는 제2의 디딤면판을 포함하고, 상기한 제1의 망판부재에 구비된 상기한 수납공간의 개구를 통하여 수납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한 제2의 디딤면판은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에 인접하며, 폭방향의 양측은 상기한 가이드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발판망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의 망판부재는 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한 측면판은 제1의 측면판과 제2의 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한 제1의 측면판 및 상기한 제2의 측면판은 상기한 제1의 디딤면판의 하측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한 수납공간은 상기한 제1디딤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고, 상기한 제1의 가이드부 및 상기한 제2의 가이드부는 상기한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한 폭방향의 양측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한 제2의 망판부재는 2개의 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한 2개의 측면판은 상기한 제2의 디딤면판의 하측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한 제2의 망판부재는 상기한 2개의 측면판이 상기한 제1의 가이드부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망판.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출방지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한 탈출방지기구는 상기한 제1의 망판부재 및 상기한 제2의 망판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한 제2의 망판부재가 상기한 제1의 망판부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망판.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고정수단은 상기한 제1의 망판부재 및 상기한 제2의 망판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양자간의 신축동작을 허용하고, 신축동작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망판.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발판망판 받침부재에 대한 걸림장치를 더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망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장치가 빗장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망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장치가 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망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장치가 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망판.
  9. 발판파이프와 발판망판 받침부재와 발판망판을 포함하는 발판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발판파이프는 건지재를 포함하고, 상기한 건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지상에 세워지며, 상기한 발판망판 받침부재는 상기한 건지재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한 발판망판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으로서, 상기한 발판망판 받침부재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장치.
KR1019990016384A 1998-05-07 1999-05-07 슬라이드식발판망판 KR19990088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11698A JP2965547B1 (ja) 1998-05-07 1998-05-07 スライド式足場布板
JP98-125116 1998-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130A true KR19990088130A (ko) 1999-12-27

Family

ID=1490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384A KR19990088130A (ko) 1998-05-07 1999-05-07 슬라이드식발판망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65547B1 (ko)
KR (1) KR199900881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058A (ko) * 2002-10-23 2004-04-3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작업대
KR101117772B1 (ko) * 2011-07-29 2012-03-21 유은상 건축공사용 슬라이드형 안전발판
KR101251353B1 (ko) * 2012-02-09 2013-04-05 (주)스마일안전 슬라이딩발판을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
KR101589079B1 (ko) * 2015-07-15 2016-01-28 케이블텍 주식회사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작업대
KR20200015220A (ko) * 2018-08-03 2020-02-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KR102358213B1 (ko) * 2021-08-27 2022-02-08 이승우 수동 리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3416B1 (fr) * 2002-08-12 2005-08-26 Fe Ind Plancher telescopique pour echafaudage
GB0616406D0 (en) 2006-08-17 2006-09-27 Airbus Uk Ltd A platform
GB2443473A (en) * 2006-10-30 2008-05-07 Terry Bodley Telescopic plank or batten for staging or scaffolding
NL1033376C2 (nl) * 2007-02-12 2008-08-13 Pieter Gjaltema Steigerdeel, steiger, alsmede werkwijze voor het plaatsen van een dergelijk steigerdeel.
JP2009283080A (ja) * 2008-05-23 2009-12-03 Seiko Epson Corp 回転機構、ドライブ・ベイ、筐体、電子機器
KR101289563B1 (ko) * 2011-07-13 2013-07-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조절이 가능한 비계용 안전발판
WO2017024363A1 (en) * 2015-08-07 2017-02-16 Justin Maher Deck for scaffold
KR101991350B1 (ko) * 2017-11-08 2019-06-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비계
KR102102933B1 (ko) * 2018-06-20 2020-04-21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길이 가변 발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랙 모듈
FR3090713A1 (fr) * 2018-12-14 2020-06-26 Batiroc Protect Dispositif de protection antichute amovible vis-à-vis d’ouvertures constituées au sol, servant de lieu de passage et adaptable à différentes dimensions d’ouvertures
KR102181982B1 (ko) * 2019-03-06 2020-11-23 박영식 가설구조물용 발판
JP2020145873A (ja) * 2019-03-07 2020-09-10 株式会社ゼニス 太陽光パネルの洗浄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橋渡しプレー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058A (ko) * 2002-10-23 2004-04-3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작업대
KR101117772B1 (ko) * 2011-07-29 2012-03-21 유은상 건축공사용 슬라이드형 안전발판
KR101251353B1 (ko) * 2012-02-09 2013-04-05 (주)스마일안전 슬라이딩발판을 구비한 비계용 안전발판
KR101589079B1 (ko) * 2015-07-15 2016-01-28 케이블텍 주식회사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작업대
KR20200015220A (ko) * 2018-08-03 2020-02-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낙하물 방지용 안전발판 보조장치
KR102358213B1 (ko) * 2021-08-27 2022-02-08 이승우 수동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65547B1 (ja) 1999-10-18
JPH11324315A (ja) 199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8130A (ko) 슬라이드식발판망판
US7845468B2 (en) Ladder bracket
PL183548B1 (pl) Wieszak belkowy
US6405830B1 (en) Scaffold toeboard system
CA2461814C (en) Truss assembly clamp apparatus
EP4111015A1 (en) Hop-up scaffold bracket
KR20020047184A (ko) 턴버클 장치
US5634301A (en) Stud wall raising apparatus
US3883106A (en) Telescoping post
US20040050621A1 (en) Removable scaffold hold down
US20020166722A1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JP5156216B2 (ja) 足場用幅木
US20080001049A1 (en) Bracing Structure, Fastener and Method for Bracing a Support Structure Having Props for Ceiling Formworks
WO2007137343A1 (en) Construction shelter
JPH0432909B2 (ko)
JP2543954Y2 (ja) 張出足場用ブラケット
JP3363411B2 (ja) 落下防止プレート用支持具及び支持具の支持構造
NL1015679C2 (nl) Randbeveiligingssysteem voor het beveiligen van randen van een gebouw.
KR0175421B1 (ko) 발판망판, 발판망판 받음부재, 발판지주, 발판 난간부재 및 발판장치
JP2548399Y2 (ja) 大引き固定金具
WO2001065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movement of insulation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JPH0211554Y2 (ko)
KR102181014B1 (ko)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JP3162327B2 (ja) 足場布板受け部材
JPH05325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