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350B1 - 비계 - Google Patents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350B1
KR101991350B1 KR1020170147878A KR20170147878A KR101991350B1 KR 101991350 B1 KR101991350 B1 KR 101991350B1 KR 1020170147878 A KR1020170147878 A KR 1020170147878A KR 20170147878 A KR20170147878 A KR 20170147878A KR 101991350 B1 KR101991350 B1 KR 10199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supporting member
fastening posi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305A (ko
Inventor
이상근
황귀철
이상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3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비계는, 제1 파이프를 포함하는 비계로, 상기 제1 파이프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제1 체결 위치 마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비계{Scaffold}
본 발명은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건설현장이나 구조시험 등을 위해 설치하는 가설물의 일종으로, 고소에 임시로 설치되는 작업바닥이나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의 총칭이다.
이러한 비계는, 복수의 파이프와, 2개의 파이프를 수직되게 연결하는 클램프와, 수평으로 놓인 파이프 사이에 걸치는 발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평으로 놓이는 파이프와 수직으로 놓이는 파이프가 클램프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비계의 층 수를 올릴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비계는, 층의 높이를 작업자가 눈대중으로 대충 계산하고 설치되는 실정이어서, 높이의 정확도를 요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비계의 층 간 높이의 정확도를 요하는 건설현장이나 구조시험(특히, 구조시험을 위해 항공기나 로켓 등의 시험체의 주변이나 치구의 주변) 등에 기존의 비계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작업자가 자를 가지고 다니면서 일일이 클램프가 체결되는 파이프의 체결 위치를 측정하고 그 체결 위치에 클램프를 체결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비계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체결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발판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는, 제1 파이프를 포함하는 비계로, 상기 제1 파이프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제1 체결 위치 마크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 위치 마크는, 상기 제1 파이프에 요입된 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홈 형태의 제1 체결 위치 마크는, 상기 제1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는 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제2 체결 위치 마크가 홈 형태로 요입된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를 수직되게 연결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위치 마크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파이프를 파지하며 상기 제1 삽입 돌기를 가지는 제1 홀더; 및 상기 제1 파이프와 교차하도록 제2 파이프를 파지하고 상기 제2 삽입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1 홀더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홀더 각각은,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일 측이 개구되는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구를 여닫는 덮개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수용 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돌기는, 원판 부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원판 부재는 탄성 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 부재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수용 부재에 형성되는 통과공; 상기 통과공에 타단부가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에 걸리는 걸림 부재; 상기 걸림 부재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 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수용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 부재와 상기 원판 부재를 체결하되 상기 원판 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는,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3 파이프 사이에 구비되는 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판은, 제1 받침 부재; 및 상기 제1 받침 부재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받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받침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받침 부재는 상기 제1 받침 부재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받침 부재에는 길다란 장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받침 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공과 상기 관통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체결 볼트; 상기 체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제1 및 제2 받침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와셔; 및 상기 제1 받침 부재와 상기 체결 볼트의 머리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받침 부재가 상기 제1 받침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되는 동안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파이프를 포함하고, 제1 파이프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제1 체결 위치 마크가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체결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비계의 층 간 높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하는 것으로 비계 작업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홈 형태의 제2 체결 위치 마크를 가지는 제2 파이프와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클램프에는 홈 형태의 제1 및 제2 체결 위치 마크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 돌기가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클램프의 체결이 신속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램프가 체결되면 삽입 돌기가 홈 형태의 체결 위치 마크에 끼워지게 되어 클램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비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발판을 더 포함하고, 발판은 제1 받침 부재와, 제1 받침 부재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받침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파이프 사이의 간격이 클 경우에는 발판의 길이를 이에 맞게 늘릴 수 있고, 파이프 사이의 간격이 작을 경우에는 발판의 길이를 이에 맞게 줄일 수 있어, 파이프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발판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파이프와 발판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중 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중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클램프 중 수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클램프 중 탄성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중 발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발판의 길이가 조절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발판에 고정부가 놓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고정부를 발판에서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중 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10)를 포함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1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제1 체결 위치 마크(M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제1 체결 위치 마크(M1)를 통해 체결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 비계의 층 간 높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하는 것으로 비계 작업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위치 마크(M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10)에 요입된 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클램프(130)의 제1 삽입 돌기(130a)가 이에 끼워질 수 있어, 클램프(130)가 미끄러져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홈 형태의 제1 체결 위치 마크(M1)는, 제1 파이프(110)의 둘레를 감싸는 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 위치 마크(M1)를 찾기 위해 제1 파이프(110)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클램프(130)의 제1 삽입 돌기(130a)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파이프(120)(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3 파이프(120)(140) 각각은 상술한 제1 파이프(110)의 제1 체결 위치 마크(M1)와 동일한 제2 및 제3 체결 위치 마크(M2)(M3)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파이프(110)(120)는 후술할 클램프(130)를 통해 수직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파이프(110)와 제3 파이프(140) 사이에는 후술할 발판(150)이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중 클램프(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중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클램프 중 수용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클램프 중 탄성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4의 탄성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클램프(130)는, 제1 및 제2 파이프(110)(120)를 수직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30)에는 홈 형태의 제1 및 제2 체결 위치 마크(M1)(M2)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 돌기(130a)(130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삽입 돌기(130a)(130b)를 통해 클램프(130)의 체결이 신속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램프(130)가 체결되면 제1 삽입 돌기(130a)가 홈 형태의 제1 체결 위치 마크(M1)에 끼워지게 되어 클램프(13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비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10)를 파지하며 제1 삽입 돌기(130a)를 가지는 제1 홀더(H1)와, 제1 파이프(110)와 교차하도록 제2 파이프(120)를 파지하고 제2 삽입 돌기(130b)를 가지며 제1 홀더(H1)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홀더(H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홀더(H1)(H2)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파이프(110)(120)를 수용하도록 일 측이 개구되는 수용 부재(131)와, 수용 부재(13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개구를 여닫는 덮개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 돌기(130a)는 수용 부재(13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4,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 돌기(130a)는 원판 부재(133)에 형성될 수 있고, 원판 부재(133)는 탄성 유닛(134)에 의해 수용 부재(131)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이프(110)가 수용 부재(131)에 수용되는 동안 제1 파이프(110)의 외주면에 의해 제1 삽입 돌기(130a)가 닿으면 제1 삽입 돌기(130a)가 탄성 유닛(134)을 통해 눌릴 수 있고, 제1 파이프(110)를 그 길이 방향으로 조금 당겨 주변에 인접하여 있는 홈 형태의 제1 체결 위치 마크(M1)가 제1 삽입 돌기(130a)에 위치되면 탄성 유닛(134)의 복원력 의해 제1 삽입 돌기(130a)가 제1 체결 위치 마크(M1)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유닛(13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공(134a), 걸림 부재(134b), 고정 부재(134c), 탄성체(134d), 그리고 고정 볼트(134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과공(134a)은 수용 부재(131)에 형성될 수 있고, 걸림 부재(134b)는 그 타단부가 통과공(134a)에 삽입되고 그 일단부가 통과공(134a)에 걸릴 수 있고, 고정 부재(134c)는 스냅링(snap ring) 등으로 이루어져 걸림 부재(134b)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걸림 부재(134b)의 타단부를 수용 부재(131)에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체(134d)는 걸림 부재(134b)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고, 고정 볼트(134e)는 탄성체(134d)를 사이에 두고 걸림 부재(134b)와 원판 부재(133)를 체결하되 원판 부재(133)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중 발판(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중 발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발판의 길이가 조절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발판에 고정부가 놓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8의 고정부를 발판에서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발판(150)은, 제1 파이프(110)와 제3 파이프(140) 사이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이동 통로로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발판(1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 부재(151)와, 제1 받침 부재(151)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받침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이프(110)와 제3 파이프(140) 사이의 간격이 클 경우에는 발판(150)의 길이를 이에 맞게 늘릴 수 있고, 제1 파이프(110)와 제3 파이프(140) 사이의 간격이 작을 경우에는 발판(150)의 길이를 이에 맞게 줄일 수 있어, 제1 파이프(110)와 제3 파이프(140) 사이의 간격에 무관하게 발판(150)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파이프(110)와 발판(150) 사이의 틈과 제3 파이프(140)와 발판(15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받침 부재(152)는 제1 받침 부재(15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받침 부재(151)에는 길다란 장공(15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받침 부재(152)에는 관통공(152a)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발판(15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받침 부재(151)(152)를 고정하는 고정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53)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볼트(153a), 너트(153b), 제1 와셔(153c), 그리고 제2 와셔(153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볼트(153a)는 장공(151a)과 관통공(152a)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너트(153b)는 체결 볼트(153a)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고, 제1 와셔(153c)는 제1 및 제2 받침 부재(151)(152)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와셔(153d)는 제1 받침 부재(151)와 체결 볼트(153a)의 머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2 받침 부재(152)가 제1 받침 부재(15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되는 동안, 체결 볼트(153a)는 장공(151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제1 파이프 M1: 제1 체결 위치 마크
120: 제2 파이프 M2: 제2 체결 위치 마크
140: 제3 파이프 M3: 제3 체결 위치 마크
130: 클램프 130a: 제1 삽입 돌기
130b: 제2 삽입 돌기 H1: 제1 홀더
H2: 제2 홀더 131: 수용 부재
132: 덮개 부재 133: 원판 부재
134: 탄성 유닛 134a: 통과공
134b: 걸림 부재 134c: 고정 부재
134d: 탄성체 134e: 고정 볼트
150: 발판 151: 제1 받침 부재
151a: 장공 152: 제2 받침 부재
152a: 관통공 153: 고정부
153a: 체결 볼트 153b: 너트
153c: 제1 와셔 153d: 제2 와셔

Claims (12)

  1. 제1 파이프에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제1 체결 위치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위치 마크는 상기 제1 파이프에 요입된 홈 형태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제2 체결 위치 마크가 홈 형태로 요입된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를 수직되게 연결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 위치 마크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파이프를 파지하며 상기 제1 삽입 돌기를 가지는 제1 홀더; 및 상기 제1 파이프와 교차하도록 제2 파이프를 파지하고 상기 제2 삽입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1 홀더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홀더 각각은,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일 측이 개구되는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구를 여닫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수용 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 돌기는 원판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원판 부재는 탄성 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 부재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비계.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홈 형태의 제1 체결 위치 마크는,
    상기 제1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는 환 형상을 가지는
    비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수용 부재에 형성되는 통과공;
    상기 통과공에 타단부가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에 걸리는 걸림 부재;
    상기 걸림 부재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 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수용 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 부재와 상기 원판 부재를 체결하되 상기 원판 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 볼트
    를 포함하는
    비계.
  9. 제1항에서,
    상기 비계는,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3 파이프 사이에 구비되는 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제1 받침 부재; 및
    상기 제1 받침 부재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받침 부재;
    를 포함하는
    비계.
  10. 제9항에서,
    상기 발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받침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비계.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받침 부재는 상기 제1 받침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받침 부재에는 길다란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 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공과 상기 관통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체결 볼트;
    상기 체결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제1 및 제2 받침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와셔; 및
    상기 제1 받침 부재와 상기 체결 볼트의 머리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와셔;
    를 포함하는
    비계.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받침 부재가 상기 제1 받침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되는 동안,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되는
    비계.
KR1020170147878A 2017-11-08 2017-11-08 비계 KR10199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78A KR101991350B1 (ko) 2017-11-08 2017-11-08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78A KR101991350B1 (ko) 2017-11-08 2017-11-08 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305A KR20190052305A (ko) 2019-05-16
KR101991350B1 true KR101991350B1 (ko) 2019-06-20

Family

ID=6667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878A KR101991350B1 (ko) 2017-11-08 2017-11-08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3446B1 (ja) * 2021-04-15 2021-12-17 株式会社クリス・コーポレーション 仮設足場及びクランプの取付方法
KR102591224B1 (ko) * 2023-05-08 2023-10-20 (주)대산이엔지 회피형 공간 구조를 갖는 비계 발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920B2 (ja) * 1989-11-08 2000-03-21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1液型フルオロシリコーン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920U (ja) * 1995-09-20 1996-04-02 俊治 平野 パイプ構造物
JP3805443B2 (ja) * 1996-11-05 2006-08-02 ホリ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仮設足場用建地材
JP2965547B1 (ja) * 1998-05-07 1999-10-18 文雄 藤木 スライド式足場布板
DE102014000387B4 (de) * 2014-01-10 2015-07-30 Oetiker Schweiz Ag Schnellkupp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920B2 (ja) * 1989-11-08 2000-03-21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1液型フルオロシリコー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305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350B1 (ko) 비계
KR102159105B1 (ko) 건축물의 외부 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US6536169B2 (en) Adjustable rack for supporting firestop material in a through-penetration
RU2577035C1 (ru) Патч-панель, монтируемая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ую стойку
US10859218B2 (en) Universal lighting pan with quick splicebox connection
US10411451B2 (en) Hanger bracket for junction box in retrofit applications
JP5689327B2 (ja) ケーブル結束装置
US7576284B2 (en) Gangable electrical bracket
JP7348357B2 (ja) 連結装置
KR20130107061A (ko) 연기 감지기 설치 보조유닛 및 연기 감지기 설치방법
KR20120030051A (ko) 미부착된 천장 패널과 천장 빔을 가진 천장 상에 물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1018097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지지대
JPH0737356Y2 (ja) スタンド構造
KR20180113816A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JP6534346B2 (ja) 浴室部材の締結構造
AU2011226834B2 (en) Cover with Clip Structure
JP2019041506A (ja) 配線・配管材布設具の設置構造及び配線・配管材布設具の設置装置
JP6616914B1 (ja) 被探知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配線方法
JP3957566B2 (ja) 天井埋込みスピーカ取付け器具、かかる取付け器具を含む天井埋込みスピーカ取付けセット及びかかる取付けセットを用いた天井埋込みスピーカ取付方法
JPH07301395A (ja) 空調機における室外機の仮載置具
JP4558990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JPH01275851A (ja) フロアパネルの固定装置
JP3082888B2 (ja) 取付け組合せ体
JP5070181B2 (ja) ケーブル固定具
JP3383414B2 (ja) 浮 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