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816A -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816A
KR20180113816A KR1020170045419A KR20170045419A KR20180113816A KR 20180113816 A KR20180113816 A KR 20180113816A KR 1020170045419 A KR1020170045419 A KR 1020170045419A KR 20170045419 A KR20170045419 A KR 20170045419A KR 20180113816 A KR20180113816 A KR 20180113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wire
body part
wire bol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994B1 (ko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쓰리에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쓰리에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04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9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전선볼트에 체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로프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 및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조오(30)와 제2몸체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조오(4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의 일측은 힌지핀(70)을 이용하여 힌지결합되며, 제2몸체부(40)의 일측에는 안전로프를 체결할 수 있는 결속고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APPARATUS OF FIXING SAFETY ROPE FOR HANGING-BOLT}
본 발명은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 전선볼트에 체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로프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에는 다양한 구조물이 구비되게 되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전선관을 지지하기 위한 행거트레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행거트레이를 설치하기 위한 전선볼트가 대표적인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행거트레이는 케이블 트레이 행거라고도 칭해지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6086호(케이블 트레이 행거, 2005년 07월 07일 출원)에서와 같이 전선볼트에 체결되는 행거프레임 및 상기 행거프레임상에 배치되는 트레이로 구성되는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트레이 행거의 경우 작업자가 배선작업 등을 시행할 때 트레이를 지지하며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낙상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낙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고소작업용 사다리 또는 우마라고 불리우는 작업대를 이용하게 되나,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대부분의 현장작업자는 트레이를 지지하며 연속작업을 시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추락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선볼트와 체결이 용이하고, 우수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으로 적용한 가능한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선작업 등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볼트에 결합되는 행거트레이 상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며 배선작업 등을 시행할 때, 전선볼트의 일측에 연속으로 체결되고, 각각의 일측에 안전로프를 결속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 및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조오(30)와 제2몸체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조오(4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의 일측은 힌지핀(70)을 이용하여 힌지결합되며, 제2몸체부(40)의 일측에는 안전로프를 체결할 수 있는 결속고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부(10)의 일측에는 제2몸체부(20)를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의 결합부분인 힌지의 타측 개방된 부분을 맞닿도록 한 후 체결하여 결속할 수 있는 결속클립(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에는 제1조오(30)를 내삽하여 결착할 수 있는 조오삽입홈(11)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힌지핀(70)이 삽입되는 힌지돌기(12)가 형성되며, 전면부 및 배면부의 일측에는 전선볼트가 내삽될 수 있는 전선볼트홈(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와 대응하는 제2몸체부(20)의 내측에는 제2조오(40)가 내삽되어 결착되는 조오삽입홈(21)이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돌기(12)에 대응하는 힌지돌기(22)가 형성되고, 전면부 및 배면부의 일측에는 전선볼트가 내삽될 수 있는 전선볼트홈(23)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몸체부(20)의 일측에는 결속클립(60)에 대응되는 걸림턱(2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의 일측상부에는 제2몸체부(20)와 힌지결합할 때,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돌기(14)가 더 형성되고, 제2몸체부(20)의 저면부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부(10)의 가이드돌기(14)에 대응하는 가이드홀(24)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조오(30) 및 제2조오(40)의 내주면에는 전선볼트의 나사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조오(30)의 나사홈과 제2조오(40)의 나사홈에는 각각 절개선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1조오(30) 및 제2몸체부(20)와 제2조오(40)의 결합면에는 제1조오(30) 및 제2조오(40)가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볼트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선볼트와 체결이 용이하고, 우수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고소작업시 손쉽게 설치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여 다양한 유형의 작업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설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선볼트용 행거트레이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선볼트용 행거트레이 안전로프 고정장치는 배선작업 등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볼트(200)에 결합되는 행거트레이(300) 상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며 배선작업 등을 시행할 때, 전선볼트(200)의 일측에 연속으로 체결되고, 각각의 일측에 안전로프(400)를 결속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 및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조오(30)와 제2몸체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조오(4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의 일측은 힌지핀(70)을 이용한 힌지결합되도록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70)의 일측에는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클립(71)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20)의 일측에는 안전로프(400)를 결속할 수 있는 결속고리(5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결속클립(6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고리(50)는 코일형상 또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코일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결속고리(50)는 환봉을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으로 코일링하여 형성하고, 중심부에 체결볼트(51)가 구비되어 제2몸체부(20)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결속고리(50)의 개방된 부분으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로프를 통과시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작업시 신속하게 로프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몸체부(10)의 단부에는 결속클립(60)이 구비되고, 제2몸체부(20)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클립(60)에 대응되는 걸림턱(25)이 더 형성된다.
이는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의 결합부분인 힌지의 타측 개방된 부분을 맞닿도록 한 후 결속클립(60)을 체결하여 결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클립(60)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체결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몸체부(10)는 내측에는 제1조오(30)를 내삽하여 결착할 수 있는 조오삽입홈(11)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힌지핀(70)이 삽입되는 힌지돌기(12)가 형성되며, 전면부 및 배면부의 일측에는 전선볼트(200)가 내삽될 수 있는 전선볼트홈(1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선볼트홈(13)은 조오삽입홈(11)의 양측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조오삽입홈(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클립(6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몸체부(10)의 일측상부에는 제2몸체부(20)와 힌지결합할 때,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돌기(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몸체부(10)와 힌지결합되는 제2몸체부(20)의 내주면에는 제2조오(40)가 내삽되는 조오삽입홈(21)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부(10)의 힌지돌기(12)에 대응하며, 힌지핀(70)이 삽입되는 힌지돌기(22)가 형성되며, 제1몸체부(10)의 전선볼트홈(13)에 대응하는 전선볼트홈(23)이 각각 전면부의 일측과 배면부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2몸체부(20)의 저면부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부(10)의 가이드돌기(14)에 대응하는 가이드홀(24)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돌기(22)가 위치하는 제2몸체부(20)의 타측에는 결속클립(60)에 대응하며 체결되는 걸림턱(25)이 형성되며, 상측 중앙에는 결속고리(50)의 체결볼트(51)가 결합되는 결합너트(80)가 인입되는 너트인입홈(26)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인입홈(26)은 체결볼트(51)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결합너트(80)를 적용하였으나, 결합너트(80)를 사용하지 않고, 너트인입홈(26)에 결체결볼트(51)를 직결하는 기술을 적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조오(30)와 제2조오(40)의 사이에 전선볼트가 위치하도록 한 후,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를 결속하여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몸체부(10)의 조오삽입홈(11)과 제2몸체부(20)의 조오삽입홈(21)과 제1조오(30) 및 제2조오(40)의 결합면 사이에 각각 탄성부재(90)를 내삽하여 제1조오(30)와 제2조오(40)가 탄성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조오(30)와 제2조오(40)가 각각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에 삽입되는 전선볼트(200)에 보다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조오(30)와 제2조오(40)의 내주면에는 함몰 형성되는 나사홈(31, 41)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는 전선볼트(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나사홈(31, 41)의 진행방향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조오(30) 및 제2조오(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31, 41)의 진행방향은 전선볼트(200)의 나사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전선볼트의 구조상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를 결속할 경우 내측에 구비되는 제1조오(30)와 제2조오(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31, 41)이 각각 전선볼트의 나사에 대응하여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조오(30)와 제2조오(40)의 나사부(31, 41)의 중심에는 절개선(32, 42)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선(32, 42)은 전선볼트의 다양한 규격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통상의 두께에 대한 규격인 Ø에 따라 접합면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선볼트가 30Ø를 적용할 경우와 50Ø를 적용할 경우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제1조오(30) 및 제2조오(40)의 내주면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절개부를 두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조오(30)의 외측에는 탄성부재(90)가 결속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삽입홈(미도시)가 더 형서되고, 제2조오(40)의 외측에도 또한 탄성부재(90)가 결속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삽입홈(43)이 더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조오(30) 및 제2조오(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삽입홈은 한쌍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탄성력이 일측 단부로 편중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전선볼트(200)에 본 발명의 전선볼트용 행커트레이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체결한 후 일측에 구비되는 결속고리(50)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로프(400)를 체결하게 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이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하여 복수의 전선볼트(200)에 각각 체결된 본 발명의 고정장치의 각각의 결속고리(50)에 연속해서 안전로프(400)를 체결하여, 작업자가 행거트레이(300)를 지지하여 배선작업 등을 시행할 때,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서는 안전로프를 1단으로 설치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예시일 뿐,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2단 또는 3단과 같이 다단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며, 곡선부 및 절곡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작업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선볼트용 행거트레이 안전로프 고정장치는 행거트레이 없이 단일개의 전선볼트에 추락방지용 안전로프를 체결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도 9 참조)
또는 복수개의 전선볼트에 체결한 후 작업자가 착용한 추락방지용 안전로프 등을 체결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복수개의 전선볼트에 각각 고정장치를 체결한 후 복수개의 안전로프를 체결하여, 작업자의 체중을 분산시켜 작업자가 추락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도 10 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전선볼트용 행거트레이 안전로프 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 몸체부 11 : 조오삽입홈
12 : 힌지돌기 13 : 전선볼트홈
14 : 가이드돌기 20 : 몸체부
21 : 조오삽입홈 22 : 힌지돌기
23 : 전선볼트홈 24 : 가이드홀
25 : 걸림턱 26 : 너트인입홈
30 : 제1조오 31 : 나사홈
32 : 절개선 40 : 제2조오
41 : 나사홈 42 : 절개선
43 : 탄성부재삽입홈 50 : 결속고리
60 : 결속클립 70 : 힌지핀
80 : 결합너트 90 : 탄성부재

Claims (8)

  1. 배선작업 등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볼트에 결합되는 행거트레이 상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며 배선작업 등을 시행할 때, 전선볼트의 일측에 연속으로 체결되고, 각각의 일측에 안전로프를 결속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 및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조오(30)와 제2몸체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조오(40)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의 일측은 힌지핀(70)을 이용하여 힌지결합되며, 제2몸체부(40)의 일측에는 안전로프를 체결할 수 있는 결속고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10)의 일측에는 제2몸체부(20)를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20)의 결합부분인 힌지의 타측 개방된 부분을 맞닿도록 한 후 체결하여 결속할 수 있는 결속클립(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10)의 내측에는 제1조오(30)를 내삽하여 결착할 수 있는 조오삽입홈(11)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힌지핀(70)이 삽입되는 힌지돌기(12)가 형성되며, 전면부 및 배면부의 일측에는 전선볼트가 내삽될 수 있는 전선볼트홈(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와 대응하는 제2몸체부(20)의 내측에는 제2조오(40)가 내삽되어 결착되는 조오삽입홈(21)이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돌기(12)에 대응하는 힌지돌기(22)가 형성되고, 전면부 및 배면부의 일측에는 전선볼트가 내삽될 수 있는 전선볼트홈(2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20)의 일측에는 결속클립(60)에 대응되는 걸림턱(2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10)의 일측상부에는 제2몸체부(20)와 힌지결합할 때,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돌기(14)가 더 형성되고, 제2몸체부(20)의 저면부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부(10)의 가이드돌기(14)에 대응하는 가이드홀(2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오(30) 및 제2조오(40)의 내주면에는 전선볼트의 나사의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오(30)의 나사홈과 제2조오(40)의 나사홈에는 각각 절개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10)와 제1조오(30) 및 제2몸체부(20)와 제2조오(40)의 결합면에는 제1조오(30) 및 제2조오(40)가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볼트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KR1020170045419A 2017-04-07 2017-04-07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KR10192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19A KR101928994B1 (ko) 2017-04-07 2017-04-07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19A KR101928994B1 (ko) 2017-04-07 2017-04-07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16A true KR20180113816A (ko) 2018-10-17
KR101928994B1 KR101928994B1 (ko) 2018-12-13

Family

ID=6409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19A KR101928994B1 (ko) 2017-04-07 2017-04-07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0020A (zh) * 2019-04-09 2019-05-21 西安盛光晨建材商贸有限公司 便夹式锁扣
KR20200059815A (ko) * 2018-11-22 2020-05-29 (주)인세이프코리아 자재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05Y1 (ko) * 2001-02-08 2001-07-19 김종찬 비계용 클램프
JP2012075736A (ja) * 2010-10-04 2012-04-19 Sanko Industries Co Ltd 安全帯のフック保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815A (ko) * 2018-11-22 2020-05-29 (주)인세이프코리아 자재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치
CN109780020A (zh) * 2019-04-09 2019-05-21 西安盛光晨建材商贸有限公司 便夹式锁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994B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41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KR200431085Y1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US10188006B2 (en) Bracket mount assembly for light fixtures
US7216848B2 (en) Conduit attachment system for a cable puller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KR200488728Y1 (ko) 걸이구가 구비된 케이블행거
CA2750740A1 (en) Clamp
US8158882B1 (en) Electrical box hanger
US20160047404A1 (en) Spring clip mounting system
US8076573B1 (en) Electrical box hanger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KR101824385B1 (ko) 안전로프 고정장치
KR20210123088A (ko) 와이어 덕트 고정 장치
EP1419324A1 (en) Suspending equipment
JP6992075B2 (ja) 固定アセンブリ
US20190323630A1 (en) Holding device for cables or pipes
US10772231B2 (en) Patch panel including a device for attaching a plug-in module
KR102171303B1 (ko) 자재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치
JP6095831B2 (ja) 照明器具
JPH084714A (ja) 架線用吊り金具
JP6230657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用取付バネ
KR101973400B1 (ko) 와이어 로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고정방법
KR101751650B1 (ko) 천장패널의 낙하 방지장치
JP6293204B2 (ja) 照明器具
KR20190125699A (ko) 파이프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