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247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247B1
KR101897247B1 KR1020170111446A KR20170111446A KR101897247B1 KR 101897247 B1 KR101897247 B1 KR 101897247B1 KR 1020170111446 A KR1020170111446 A KR 1020170111446A KR 20170111446 A KR20170111446 A KR 20170111446A KR 101897247 B1 KR101897247 B1 KR 10189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nger
bridge
upper plat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이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준 filed Critical 이현준
Priority to KR102017011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상판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수직판과 상기 수평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되는 앵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단부가 걸리는 누수방지판; 및 상기 수평판의 일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결합되고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가 걸리는 상측이 개방된 걸림공간이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수직판측 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누수방지판 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를 감싸 상기 누수방지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덮개부가 누수방지판의 단부를 감싸 걸림부재와 누수방지판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고, 누수방지판이 파손되어 교체가 요구될 시에, 덮개부를 상측으로 구부려 누수방지판을 걸림부로부터 탈거할 수 있어, 누수방지판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신축이음장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최소화하여 누수방지판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여, 누수방지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누수방지판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판의 시공 및 핑거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구조물은 교량상판의 일정 길이마다 적정한 간격(일반적으로 "유간"이라고 함)을 두고 그 사이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상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하게 한다.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교량상판에 매입되므로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균열이나 파손 또는 누수방지판의 손상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신축이음장치를 수리 또는 교체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깨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신축이음장치의 부자재들 중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부자재만의 시공이 불가능하여, 신축이음장치 전체를 보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9247호의 "교량용 방수 신축 이음 장치의 시공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방수판과 가이드레일 간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아, 방수판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방수판이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볼트 등을 통해 가이드레일에 방수판을 고정결합시키는 경우, 방수판이 파손되어 교체가 요구될 시에 기존의 방수판의 탈거 및 새 방수판의 장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사이에 넓은 틈이 발생되어, 다량의 이물질이 방수판으로 유입되어 누수방지판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상판의 연결부위가 노출되어, 차량들의 주행에 의해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상판을 연결하는 볼트가 분리됨으로써, 핑거플레이트와 교량상판의 결합력이 약해져 핑거플레이트가 교량상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방지판과 걸림부재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며, 누수방지판 교체시 걸림부재로부터 누수방지판의 탈착이 용이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핑거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최소화하여 누수방지판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켜 누수방지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판으로부터 핑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수직판과 상기 수평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교량상판에 고정되는 앵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단부가 걸리는 누수방지판; 및 상기 수평판의 일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가 걸리는 상측이 개방된 걸림공간이 형성되며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마련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수직판측 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누수방지판 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누수방지판의 단부를 감싸 상기 누수방지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고 상기 수평판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수평판과 체결되는 보강판; 및 상기 보강판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판과 결합되어 상기 핑거의 상부 일부분을 덮는 상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는, 상기 수평판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상판에 의해 상면이 덮히는 제1핑거부; 상기 연접되는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상기 상판과 상기 수평판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핑거부; 및 상기 제1핑거부 및 제2핑거부를 연결하며 상면에 상측으로 돌츨된 돌출부분이 마련되는 제3핑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핑거부의 상면에는 미끌림부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핑거부의 돌출부분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누수방지판의 단부가 걸림부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덮개부가 누수방지판의 단부를 감싸 걸림부재와 누수방지판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므로, 누수방지판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로부터 누수방지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수방지판이 파손되어 교체가 요구될 시에, 덮개부를 상측으로 구부려 누수방지판을 걸림부로부터 탈거할 수 있어, 누수방지판의 탈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복수의 핑거 사이의 틈이 좁게 형성되어, 누수방지판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누수방지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핑거와 수평판의 연결부위가 상판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수평판으로부터 핑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보강판과 상판이 착탈부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상판 시공작업을 행할 때에 별도의 체결부재 및 체결작업을 생략하고, 상판을 보강판에 안착시켜 가압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상판 시공을 완료할 수 있어 상판 시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보강판과 상판를 연결하는 착탈부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가 구비되므로 핑거의 파손에 의해 교체작업이 진행될 때에 작업자는 해제부를 조작하여 상판을 보강판으로부터 분리시켜 파손된 핑거만을 손쉽게 교체하고, 다시 상판을 보강판에 결합시킬 때에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핑거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핑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핑거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핑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핑거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핑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핑거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핑거 및 제2연결핑거가 결합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판 및 보강판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판 및 보강판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제1실시예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본체(100), 걸림부재(200), 누수방지판(300), 핑거(400), 보강판(500) 및 상판(600)을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여, 본체(100)에 대해 설명하면, 본체(100)는 수평판(110), 수직판(120) 및 앵커(130)를 포함한다.
수평판(110)은 교량상판(20)에 고정되며, 그 상부에 설치되는 핑거(400), 보강판(500) 및 상판(6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판(120)은 수평판(110)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교량상판(20)의 측면 일부분을 감싼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수평판(110)과 수직판(120)은 ‘ㄱ’자 형상에 가까운 ‘T’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교량상판(20)의 상면 일부분 및 측면 일부분을 감싼다.
앵커(130)는 수평판(110)의 하측에 결합되어 교량상판(20)에 고정된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앵커(130)는 L형이나 I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교량상판(20) 내부의 철근(21)과 결합되어 교량상판(20)에 고정될 수 있고, 교량상판(20)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부재(G)에 결합되어 교량상판(20)에 고정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충진부재(G)는 에폭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모르타르로 마련될 수도 있고, 콘크리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충진부재(G)는 상판(600)과 동일한 높이까지 충진된다.
걸림부재(200)는 수직판(120)의 측면에 결합되며 누수방지판(300)의 단부가 결합된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걸림부재(200)는 걸림부(210) 및 덮개부(220)를 포함한다.
걸림부(210)는 일측면이 수직판(120)의 측면에 결합되고 누수방지판(300)의 단부가 걸리는 상측이 개방된 걸림공간(210s)이 형성되며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마련된다.
덮개부(220)는 걸림부(210)의 수직판(120)측 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부(220)는 걸림부(210)의 수직판(120)측 상측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꺾여 하측이나 상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정리하면, 누수방지판(300)의 단부가 걸림부(210)에 걸린 상태에서는 덮개부(220)가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구부러져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감싸, 걸림부재(200)로부터 누수방지판(3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누수방지판(300)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교체가 요구될 시, 사용자는 덮개부(220)를 상측으로 구부린 후 누수방지판(300)을 걸림부(21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새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걸림부(210)에 삽입하고 덮개부(220)를 하측으로 구부려 누수방지판(300)의 교체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누수방지판(300)의 교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200)로부터 누수방지판(300)의 탈거와 걸림부재(200)에 누수방지판(300)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누수방지판(300)은 하부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양단부가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연접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에 각각 설치된 교량용 이음장치(10)의 걸림부(210)에 양단부가 걸린다.
그리고, 누수방지판(300)은 고무재질 또는 방수기능 및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누수방지판(300)은 핑거(400) 사이의 틈(T´)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하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핑거(40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일측에 제1힌지결합공(R1)이 형성되어, 수평판(110)의 일측 상부에 볼트(A)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접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 중 일측에 위치한 교량상판(20)에 설치된 핑거(400)와 타측에 위치한 교량상판(20)에 설치된 핑거(400)는 서로 번갈아 교대로 배치된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평판(110)의 일측에는 핑거(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2힌지결합공(R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너트(N)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A)가 핑거(400)에 형성된 제1힌지결합공(R1) 및 수평판(110)에 형성된 제2힌지결합공(R2)을 관통하여 너트(N)와 결합됨으로써, 핑거(400)와 수평판(110)은 힌지결합을 이루게 된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접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이 하중,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싱이나 지진 등에 의해 변형되어, 둘 사이의 간격이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변형되더라도, 핑거(40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거나 핑거(400)가 회전되어, 교량상판(20) 간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강판(500)은 핑거(400)의 일측 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고 수평판(110)의 타측 상부에서 수평판(110)과 볼트(B)를 통해 체결된다.
그리고, 보강판(500)에는 수평판(110)과의 결합을 위한 제1볼트체결공(H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평판(110)에는 제1볼트체결공(H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체결공(H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수평판(110)의 제2볼트체결공(H2)의 하부에는 너트(N)가 마련되어, 보강판(500)과 수평판(110)은 볼트(B)를 통해 체결된다.
상판(600)은 보강판(500)의 상부에서 볼트(C)를 통해 보강판(500)과 결합되어 핑거(400)의 상부 일부분을 덮는다.
그리고, 상판(600)에는 보강판(500)과의 결합을 위한 제3볼트체결공(H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보강판(500)에는 제3볼트체결공(H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볼트체결공(H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보강판(500)과 상판(600)은 볼트(C)를 통해 체결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판(600)은 핑거(400)의 일측 상부를 감싸, 핑거(4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힌지결합공(R1)에 삽입된 볼트(A)를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핑거(400)가 수평판(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판(600), 수평판(110) 및 보강판(50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600s)에는 건너편에 위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핑거(400)의 타측 일부분이 삽입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핑거(400)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T)이 좁게 형성되어져, 누수방지판(30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누수방지판(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핑거(40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핑거(400)는 제1핑거부(410), 제2핑거부(420) 및 제3핑거부(430)를 포함한다.
제1핑거부(410)에는 제1힌지결합공(R1)이 형성되고 수평판(110)과 볼트(A)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상판(600)에 의해 상면이 덮힌다.
제2핑거부(420)는 연접된 교량상판(20)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상판(600), 수평판(110) 및 보강판(50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600s)으로 일부분이 삽입된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접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 중 일측에 위치한 교량상판(20)에 설치된 핑거(400)의 제2핑거부(420)는 타측에 위치한 교량상판(20)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빈 공간(600s)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타측에 위치한 교량상판(20)에 설치된 핑거(400)의 제2핑거부(420)는 일측에 위치한 교량상판(20)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빈 공간(600s)에 일부분이 삽입된다.
또한, 유간의 변동에 따라 제2핑거부(420)가 빈 공간(600s)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변동되어, 유간이 줄어들면 제2핑거부(420)가 빈 공간(600s)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길어지고, 유간이 커지면 제2핑거부(420)가 빈 공간(600s)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핑거부(420)의 상면에는 미끌림부분(421m)이 마련되어, 제2핑거부(420)와 상판(600)의 마찰력이 감소됨으로써, 제2핑거부(420)가 부드럽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2핑거부(420)의 하면에도 미끌림부분(421m)이 마련되어, 제2핑거부(420)와 수평판(110)의 마찰력이 감소됨으로써, 제2핑거부(420)가 더욱 부드럽게 유동될 수 도 있다.
제3핑거부(430)는 제1핑거부(410) 및 제2핑거부(420)를 연결하며 상면에 상측으로 돌츨된 돌출부분(430P)이 마련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돌출부분(430P)은 핑거(40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판(600)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판(600)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낮게 마련된다.
돌출부분(430P)은 상판(600)과 핑거(400) 사이의 높이차를 감소시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상에서 차량들(미도시)의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2.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제2실시예
도8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본체(100), 걸림부재(200), 누수방지판(300), 제1연결핑거(400´), 제2연결핑거(400´´), 보강판(500) 및 상판(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0), 걸림부재(200), 누수방지판(300), 보강판(500) 및 상판(60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의 본체(100), 걸림부재(200), 누수방지판(300), 보강판(500) 및 상판(60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제1연결핑거(400´) 및 제2연결핑거(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제1연결핑거(400´)에 대해 설명하면, 제1연결핑거(400´)는 핑거(400)와 같이 제1핑거부(410´), 제2핑거부(420´) 및 제3핑거부(430´)를 포함하며, 제2핑거부(420´) 및 제3핑거부(430´)의 일측면의 상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440´)와 제2핑거부(400´) 및 제3핑거부(430´)의 타측면의 하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450´)를 더 포함한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제2연결핑거(400´´)에 대해 설명하면, 제2연결핑거(400´´)는 핑거(400)와 같이 제1핑거부(410´´), 제2핑거부(420´´) 및 제3핑거부(430´´)를 포함하고, 제2핑거부(420´´) 및 제3핑거부(430´´)의 일측면의 하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3돌출부(440´´)와 제2핑거부(420´´) 및 제3핑거부(430´´)의 타측면의 상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4돌출부(450´´)를 더 포함한다.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접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 중 일측에 위치한 교량상판(20)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에는 제1연결핑거(400´)가 결합되고 타측에 위치한 교량상판(20)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에는 제2연결핑거(4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연결핑거(400´)의 제1돌출부(440´) 하측에는 제2연결핑거(400´´)의 제3돌출부(440´)가 위치하고, 제1연결핑거(400´)의 제2돌출부(450´) 상측에는 제2연결핑거(400´´)의 제4돌출부(450´)가 위치하여, 제1연결핑거(400´)와 제2연결핑거(400´´)가 서로 번갈아 교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연결핑거(400´)와 제2연결핑거(400´´)가 서로 지지하여, 종래에 비해 핑거(400´, 400´´)간의 연결이 더욱 견고해 질 수 있다.
또한, 제1연결핑거(400´)와 제2연결핑거(400´´)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T´)은 제1실시예에 따른 핑거(400) 사이에 발생되는 틈(T)보다 더욱 좁게 형성될 수 있어, 누수방지판(30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이 줄어들어, 누수방지판(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덮개부(220)가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감싸 걸림부재(200)와 누수방지판(300)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고, 누수방지판(300)이 파손되어 교체가 요구될 시에, 덮개부(220)를 상측으로 구부려 누수방지판(300)을 걸림부(210)로부터 탈거할 수 있어, 누수방지판(300)의 탈착이 용이해짐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핑거(400) 사이의 틈(T, T´)이 좁게 형성되어, 누수방지판(30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누수방지판(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핑거(400)와 수평판(110)의 연결부위가 상판(60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수평판(110)으로부터 핑거(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3.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제3실시예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판(600)을 원터치 방식으로 보강판(500)에 결합시켜 시공할 수 있는 착탈부(720)와, 착탈부(72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여 상판(600)과 보강판(500)을 분리시키는 해제부(73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강판(500)의 상면에 상판(600)을 설치할 때에 상판(600)의 보강판(50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에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착탈부(720)의 작동에 의해 상판(600)과 보강판(500)이 연결되면서 상판(600)의 시공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다수 개의 핑거 중에 어느 하나의 핑거가 파손되어 교체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해제부(730)를 조작하여 상판(600)과 보강판(500)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고, 상판(600)을 보강판(50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외부로 노출되는 핑거의 연결부위를 해체하여 파손된 핑거만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핑거의 교체를 완료한 후에 상판(600)을 보강판(500)의 상면에 안착시켜 가압하면, 착탈부(720)의 작동에 의해 상판(600)의 결합을 이루며 핑거 교체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부(720)는, 상판(6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후크부재(722)와, 후크부재(722)와 대향되도록 보강판(500)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724)와, 결합홈부(724)의 내벽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공간부(726)와, 작동공간부(726)로부터 결합홈부(724)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크부재(722)의 경사면에 대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걸림블록(727)과, 걸림블록(727)을 결합홈부(724)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걸림블록(727)과 작동공간부(726)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728)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판(600)을 보강판(500) 상면에 안착시켜 후크부재(722)를 결합홈부(724)에 삽입하면 후크부재(722)의 경사면이 걸림블록(727)의 경사부를 밀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728)가 압축되면서 걸림블록(727)이 작동공간부(726)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후에, 후크부재(722)의 하강이 완료되어 후크부개의 경사면이 걸림블록(727)의 경사부와 이격되면 탄성부재(728)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블록(727) 결합홈부(724)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걸림블록(727)과 후크부재(722)가 걸림결합되어 후크부재(722)를 구속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후크부재(722)가 각각 결합홈부(724)에 삽입되어 구속되면 상판(600)이 보강판(500)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및 체결작업 없이 상판(600)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게 되므로 상판(600) 시공 및 핑거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해제부(730)는, 걸림블록(727)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작동공간부(726) 외측으로 관통되어 연장되는 와이어(732)와, 와이어(732)의 단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와, 레버부재가 안착되도록 보강판(500) 배면 측에 형성되는 수납홈부(736)를 포함한다.
보강판(500)은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부 및 하부로 이루어져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어 제조되고, 상부와 하부 사이에 와이어(732)가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되므로 다수 개의 결합홈부(724)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따라 와이어(732)가 연장되고, 다수 개의 와이어(732)는 하나의 와이어(732)롤 연결되어 보강판(500) 배면으로는 하나의 와이어(732)가 연장된다.
따라서 보강판(500) 배면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와이어(732)를 레버부재에 의해 당기면 보강판(50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와이어(732)가 동시에 당겨지면서 각각의 결합홈부(724)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걸림블록(727)을 작동공간부(726) 내측으로 당기면서 후크부재(722)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상판(600)의 후단부에는 보강판(500)의 후단부와 비교하여 더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700)가 형성되고, 연장부(700)의 일측 단부에는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개폐되는 도어부재(710)가 설치되고, 도어부재(710)는 수납홈부(736)에 대향되도록 시공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부재를 당겨 후크부재(722)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킬 때에는 도어부재(710)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납홈부(736) 및 레버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에 레버부재를 수납홈부(736) 외측으로 당기면 다수 개의 와이어(732)가 당겨지면서 각각의 결합홈부(724)에 삽입된 후크부재(722)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로써, 한 쌍의 신축이음장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최소화하여 누수방지판으로 낙하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여, 누수방지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누수방지판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판의 시공 및 핑거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100 : 본체 110 : 수평판
120 : 수직판 130 : 앵커
200 : 걸림부재 210 : 걸림부
220 : 덮개부 300 : 누수방지판
400 : 핑거 410 : 제1핑거부
420 : 제2핑거부 430 : 제3핑거부
500 : 보강판 600 : 상판
700 : 연장부 710 : 도어부재
720 : 착탈부 730 : 해제부
20 : 교량상판 21 : 철근

Claims (4)

  1.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교량상판(20)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상판(20)에 고정되는 수평판(110)과 상기 수평판(110)의 일측 하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교량상판(20)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수직판(120)과 상기 수평판(1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교량상판(20)에 고정되는 앵커(130)를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수직판(120)의 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재(200);
    상기 걸림부재(200)에 단부가 걸리는 누수방지판(300); 및
    상기 수평판(110)의 일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핑거(4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200)는,
    일측면이 상기 수직판(120)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누수방지판(300)의 단부가 걸리는 상측이 개방된 걸림공간(210s)이 형성되며 단면이 고리형상으로 마련되는 걸림부(210); 및
    상기 걸림부(210)의 수직판측 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220)는 상기 누수방지판(300) 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누수방지판(300)의 단부를 감싸 상기 누수방지판(3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핑거(400)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고 상기 수평판(110)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수평판(110)과 체결되는 보강판(500);
    상기 보강판(500)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판(500)과 결합되어 상기 핑거(400)의 상부 일부분을 덮는 상판(600);
    상기 상판(600)을 상기 보강판(500)에 구속시키는 착탈부(720); 및
    상기 착탈부(72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상판(600)과 상기 보강판(500)을 분리시키는 해제부(7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720)는, 상기 상판(6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후크부재(722)와, 상기 복수 개의 후크부재(722)와 대향되도록 상기 보강판(500)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724)와, 상기 결합홈부(724)의 내벽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공간부(726)와, 상기 작동공간부(726)로부터 상기 결합홈부(724)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722)의 경사면에 대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걸림블록(727)과, 상기 걸림블록(727)을 상기 결합홈부(724)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걸림블록(727)과 상기 작동공간부(726)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728)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블록(727)은 상기 탄성부재(728)에 의해 상기 결합홈부(724)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후크부재(722)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상판(600)을 구속하고,
    상기 해제부(730)는, 상기 걸림블록(727)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작동공간부(726) 외측으로 관통되어 연장되는 와이어(732)와, 상기 와이어(732)의 단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734)와, 상기 레버부재(734)가 안착되도록 상기 보강판(500) 배면 측에 형성되는 수납홈부(736)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600)의 후단부에는 상기 보강판(500)의 후단부와 비교하여 더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700)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700)에는 상기 수납홈부(736)에 대응되는 위치에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도어부재(710)가 설치되고,
    상기 해제부(730)의 레버부재(734)가 상기 수납홈부(736) 외측으로 당겨져 상기 걸림블록(727)이 상기 작동공간부(726)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걸림블록(727)과 상기 후크부재(722)의 걸림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상판(600)과 상기 보강판(500)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상기 수평판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상판에 의해 상면이 덮히는 제1핑거부;
    상기 연접되는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상기 상판과 상기 수평판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핑거부; 및
    상기 제1핑거부 및 제2핑거부를 연결하며 상면에 상측으로 돌츨된 돌출부분이 마련되는 제3핑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핑거부의 상면에는 미끌림부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핑거부의 돌출부분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170111446A 2017-08-31 2017-08-31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9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46A KR101897247B1 (ko) 2017-08-31 2017-08-31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46A KR101897247B1 (ko) 2017-08-31 2017-08-31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247B1 true KR101897247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446A KR101897247B1 (ko) 2017-08-31 2017-08-31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2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156A (zh) * 2020-03-01 2020-06-26 河南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玄武岩纤维梳板及使用该梳板的伸缩构件和伸缩装置
CN116289647A (zh) * 2023-02-02 2023-06-23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公路桥梁伸缩缝快速更换防水胶条的设备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61B1 (ko) * 2009-10-20 2012-03-27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콘크리트 무타설 교량 연결 방법
KR101374606B1 (ko) * 2012-07-04 2014-03-17 진형건설(주)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CN106245519A (zh) * 2016-10-12 2016-12-21 衡水宝力工程橡胶有限公司 一种防沙降噪伸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61B1 (ko) * 2009-10-20 2012-03-27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콘크리트 무타설 교량 연결 방법
KR101374606B1 (ko) * 2012-07-04 2014-03-17 진형건설(주)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CN106245519A (zh) * 2016-10-12 2016-12-21 衡水宝力工程橡胶有限公司 一种防沙降噪伸缩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5156A (zh) * 2020-03-01 2020-06-26 河南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玄武岩纤维梳板及使用该梳板的伸缩构件和伸缩装置
CN116289647A (zh) * 2023-02-02 2023-06-23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公路桥梁伸缩缝快速更换防水胶条的设备及方法
CN116289647B (zh) * 2023-02-02 2024-02-13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公路桥梁伸缩缝快速更换防水胶条的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248B1 (ko) 슬라이드형 앵커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9724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095203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용 도어 가이드 장치 및 이를포함한 잠금장치
KR101984860B1 (ko)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5534837A (ja) 排水溝またはそれに類似するものを閉鎖するための枠
KR100730860B1 (ko) 턴버클 장치
KR102061496B1 (ko) 내화충전재의 흘러내림 방지구조를 갖는 배관용 입상슬리브
KR100990857B1 (ko) 복공판
KR101266118B1 (ko) 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KR101933804B1 (ko) 거푸집 겸용 배수 부재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방법
JP3914576B2 (ja) 連続補強隔壁、そ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基礎構造
KR100655132B1 (ko)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KR101235246B1 (ko)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KR102012793B1 (ko) 신축이음장치
KR10182357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WO2007021078A1 (en) Replaceable drainage device of expansion joint
KR10172054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KR100791310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235245B1 (ko) 물받이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KR101683185B1 (ko)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KR101841479B1 (ko) 교좌장치를 구비하는 교량 및 이의 보수방법
KR101053705B1 (ko) 메탈패널 연결구조
KR2010009519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2305757B1 (ko)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