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542B1 -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542B1
KR101720542B1 KR1020160064292A KR20160064292A KR101720542B1 KR 101720542 B1 KR101720542 B1 KR 101720542B1 KR 1020160064292 A KR1020160064292 A KR 1020160064292A KR 20160064292 A KR20160064292 A KR 20160064292A KR 101720542 B1 KR101720542 B1 KR 10172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expansion joint
profile
ring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김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주 filed Critical 김원주
Priority to KR102016006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신축이음부의 철근슬래브에 설치된 AL프로파일에 대해 간단하면서도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소성변형이 가능한 신축이음배수관이 결속되는 한편, 신축이음배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시킨 배수관탈고리를 통해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신축이음배수관을 역방향으로 회동 인출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수월하도록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는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철근슬래브의 단부에 대해 앵커볼트를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AL프로파일과, 상기 AL프로파일의 외부 노출된 단부에 형성된 배수관고정홈에 대해 결속 고정시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서 개방된 위쪽의 상측 단부에 각각 프로파일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아래쪽의 중앙부위에는 일정간격으로 고리체결공이 관통되고 소성변형이 가능한 신축이음배수관과,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의 각 고리체결공에 대해 억지끼움 형태로 체결되어 밀폐 고정될 수 있으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아래쪽의 탈착고리핀과 위쪽의 누수방지돌기 사이에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의 고리체결공 크기보다 크게 탈착고리힌지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돌기 위쪽으로는 별도의 걸림수단인 철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철사고리공이 형성된 배수관탈착고리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Easy attachment and removAL bridge expansion joints drainage}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이 비좁은 교량신축이음부의 틈새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배수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보수시 쉽게 외부로 인출시켜 분리시키고 이를 다시 교량신축이음부에 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신축이음부의 철근슬래브에 설치된 AL프로파일에 대해 간단하면서도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소성변형이 가능한 신축이음배수관이 결속되는 한편, 신축이음배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시킨 배수관탈고리를 통해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신축이음배수관을 역방향으로 회동 인출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수월하도록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슬래브 신축이음부 유간은 온도변화, 건조수축, CREEP 등으로 인한 슬래브의 신축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슬래브 유간으로의 누수를 방지하여 구조물의 내구력을 유지시키는데 있으나, 대부분의 구조물에서 누수가 발생하고 그로 인한 구조물의 내구성의 손상으로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현재의 신축이음의 누수 경로는 도로교의 경우, 기존 콘크리트와 후 타설 콘크리트의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신축이음과 후 타설 콘크리트와의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여 이 균열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철도교의 경우도 신축이음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방수 봉함재가 시간이 경과되면 콘크리트와 봉함재의 사이에 접착력이 약해져서 누수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신규설치시 신축이음 본체에 철판을 용접하여 철판과 방수 신축부재를 볼트로 고정 시켰으나, 볼트 고정 지점의 신축부재 파단과 노후화에 의한 누수 발생시, 하부구조물 및 유간의 협소로 상부 신축이음 장치의 철거없이 방수재만 별도 교체가 불가하여,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적기에 보수를 하지 못하여 구조물에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슬래브(철근슬래브) 유간 측면, 하면에 고정홈이 구비된 받침대를 매립, 또는 부착하고 신축부재를 고정대에 고정시켜 받침대 고정홈에 삽입하여 U자 형태의 신축부재를 설치하여, 상부에서 발생되는 신축이음의 모든 누수를 방지하면서도 교체가 가능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가 선보이고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개선된 구조로서 개시된 기술들로서, 국내특허공개 제10-2012-0086984호(고속철도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국내등록특허 제10-1305213호(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국내등록특허 제10-1266118호(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국내등록특허 제10-0707484호(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국내등록특허 제10-0707484호(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장치), 국내등록특허 제10-0936970호(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국내등록특허 제10-1235245호(틀받이와 이들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도면 도 6 참조) 등 수많은 관련들이 개시되었으나, 이들 선행기술들 모두 실제로는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비교적 좁은 틈새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배수관을 한번 설치한 후에는 구조적으로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곤란하다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도 6에 도시한 국내등록특허 제10-1235245호나 또는 현재 많이 시공구조로 많이 적용되는 도 7의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지금까지 소개된 대부분의 교량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들을 공정별 시공방법 및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래브 타설전 신축이음장치 배수판 고정레일을 유간거푸집에 고정한 후, 바닥레벨 및 피복을 확인하고 슬로프에 맞게 설치한다. 그리고 단부측 설치시 제품위치 면끼를 제거하고, 제거된 면끼부에 제품을 밀착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제품의 고정은 용접을 통하여 결속하며, 타설시 콘트리트 유입이 되지 않도록 제품에 실리콘으로 마감 처리한 후, 배수판을 설치하기 전 테이핑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제품에 부착된 버럭을 제거한다.
그리고 레일커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미리 체결된 볼트 제거후 커버를 설치하고, 고정레일에 배수판을 설치하는데, 이때 유간별 배수판 조정 가능하고 교량 구배에 따라 별도 실측을 요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판 위에 레일커버를 설치하고 레일커버 볼트를 체결하는데, 이때 유간이 협소할 경우 작업에 애로사항이 문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수판과 레일커버의 연결부는 누수 방지를 위해 고정패드를 설치하고 코킹처리하면, 최종적으로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시공이 완료되는데, 이미 상술한 것처럼,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비교적 좁은 틈새에 신축이음배수관이 설치되는 관계로, 필요시 신축이음배수관에 대한 유지 보수 자체가 대단히 곤란하다는 구조적인 불편이 해소되지는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교량신축이음부의 철근슬래브에 설치된 AL프로파일에 대해 간단하면서도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소성변형이 가능한 신축이음배수관이 결속되는 한편, 신축이음배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시킨 배수관탈고리를 통해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신축이음배수관을 역방향으로 회동 인출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수월하도록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는 교량신축이음부인 철근슬래브와 철근슬래브 사이의 배수라인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도록, 콘크리트 타설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철근슬래브의 단부에 대해 앵커볼트를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AL프로파일과, 상기 AL프로파일의 외부 노출된 단부에 형성된 배수관고정홈에 대해 결속 고정시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서 개방된 위쪽의 상측 단부에 각각 프로파일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아래쪽의 중앙부위에는 일정간격으로 고리체결공이 관통되고 소성변형이 가능한 고무류의 소성체로 형성된 신축이음배수관과,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의 각 고리체결공에 대해 억지끼움 형태로 체결되어 밀폐 고정될 수 있으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아래쪽의 탈착고리핀과 위쪽의 누수방지돌기 사이에 탈착고리힌지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돌기 위쪽으로는 별도의 걸림수단인 철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철사고리공이 형성된 배수관탈착고리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배수관탈착고리는 신축이음배수관의 고리체결공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탈착고리힌지가 요홈 형성되어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의 고리체결공에 대해 부르럽게 압착끼움되면서 기밀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은 AL프로파일의 배수관고정홈에 대해 기밀 유지되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압착돌기 중간부위에 고정홈밀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되는 AL프로파일은 상기 배수관고정홈과 별도로 내측부위에 앵커볼트가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볼트고정홈이 형성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는, 설치 공간이 비좁은 교량신축이음부의 틈새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배수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보수시 쉽게 외부로 인출시켜 분리시키고 이를 다시 교량신축이음부에 부착할 수 있다.
즉, 교량신축이음부의 철근슬래브에 설치된 AL프로파일에 대해 간단하면서도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소성변형이 가능한 신축이음배수관이 결속되는 한편,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시킨 배수관착탈고리를 통해 간단하게 철사 등을 체결시켜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을 역방향으로 회동 인출시킬 수 있어, 기존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서는 전혀 기대하기 곤란하였던 설치 공간이 비좁은 교량신축이음부(철근슬래브)의 틈새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배수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보수시 쉽게 외부로 인출시켜 분리시키고 이를 다시 교량신축이음부에 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로서 차별화된 작용효과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 적용시킨 신축이음배수관과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이 간단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되는 교량량슬래브에 미리 설치되는 AL프로파일의 결합전과 결합후의 설치상태 단면구조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 적용시킨 신축이음배수관의 고리체결공으로 간단하게 눌러끼우고 별도의 철사 등으로 끼워 역방향으로 상기 신출이음배수관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탈착고리의 정면구조도 및 측면구조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 적용시킨 신축이음배수관의 고리체결공으로 배수관탈착고리가 밀착되게 압입끼워지는 배수관탈착고리의 결합전과 결합후의 작동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가 완성되는 설치상태 공정도.
도 6과 도 7은 종래의 교량신출이음 배수장치에 의해 시공 완성된 참고 실시예의 단면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원리 및 작동관계를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제 제품 구조를 그래픽으로 처리한 3D 입체도면으로 본 발명의 전체 구성관계가 좀더 쉽게 이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원리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함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는 교량신축이음부인 철근슬래브와 철근슬래브 사이의 배수라인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설치 공간이 비좁은 교량신축이음부의 틈새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배수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보수시 쉽게 외부로 인출시켜 분리시키고 이를 다시 교량신축이음부에 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의 구성원리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 역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를 형성함에 있어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상세 언급한 것처럼,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통상 교량슬래브를 이루는 철근슬래브(40)의 단부에 대해 앵커볼트(50)를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AL프로파일(10)이 구성된다.
상기 AL프로파일(10)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재질로 형성되며, 양쪽 철근슬래브(40)에 각각 설치되어 마주보는 외측단부에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핵심구성으로 소성변형이 가능한 신축이음배수관(20)의 양쪽 상측 단부가 각각 체결되어 확실하게 밀착(밀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고정홈(14)과 함께, 외부 노출되지 않고 철근슬래브(40)에 내설되는 내측부위(저면부위 포함)에 각각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일체 구조화되는 앵커볼트(50)가 확실하게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고 결속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볼트고정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소성변형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시 플렉시블하게 변형동작되어 인출작업이 용이한 기본적으로 U자형의 신축이음배수관(20)은, AL프로파일(10)의 외부 노출된 단부에 형성된 배수관고정홈(14)에 대해 결속 고정시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서 개방된 위쪽의 상측 단부에 각각 프로파일압착돌기(22)가 돌출 형성되며, 아래쪽의 중앙부위에는 일정간격으로 고리체결공(26)이 관통된다.
특히, 상기 신축이음배수관(20)의 각 고리체결공(26)에 대해 억지끼움 형태로 체결되어 밀폐 고정될 수 있으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배수관탈착고리(30)는, 화살 형태의 아래쪽 탈착고리핀(34)과 상대적으로 넓게 확장된 위쪽의 누수방지돌기(38) 사이에 상기 신축이음배수관(20)의 고리체결공(26)에 체결 고정되는 탈착고리힌지(32)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돌기(38) 위쪽으로는 유지보수시 별도의 걸림수단으로 이용되는 철사(6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철사고리공(36)이 관통 형성됨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핵심구성으로 적용되는 배수관탈착고리(30)는, 신축이음배수관(20)의 고리체결공(26)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탈착고리힌지가 요홈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신축이음배수관(20)의 고리체결공(26)에 대해 부르럽게 압착끼움되어 기밀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배수관(20)은 AL프로파일(10)의 배수관고정홈(14)에 대해 기밀 유지되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압착돌기(22) 중간부위에 고정홈밀착돌기(24)가 돌출 형성되며, 당연히 상기 신축이음배수관(20)의 프로파일압착돌기(22)가 압입 체결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신축이음배수관(20)의 배수관고정홈(14) 역시 개방 단부에 돌기 형태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관계의 본 발명은,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가 완성되는 설치상태 공정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교량신축이음부의 철근슬래브(40)에 설치된 AL프로파일(10)에 대해 간단하면서도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소성변형이 가능하여 제품 결속시 상하 형상의 변형이 자유로운 신축이음배수관(20)이 결속 구성되는 한편, 상기 신축이음배수관(20)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시킨 배수관착탈고리(30)를 통해 간단하게 철사(60) 등을 체결시켜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상기 신축이음배수관(20)을 역방향으로 회동 인출시킬 수 있어, 기존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에서는 전혀 기대하기 곤란하였던 설치 공간이 비좁은 교량신축이음부인 철근슬래브(40)의 틈새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배수관(20)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보수시 쉽게 외부로 인출시켜 분리시키고 이를 다시 교량신축이음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10 : AL프로파일 12 : 볼트고정홈
14 : 배수관고정홈 20 : 신축이음배수관
22 : 프로파일압착돌기 24 : 고정홈밀착돌기
26 : 고리체결공 30 : 배수관탈착고리
32 : 탈착고리힌지 34 : 탈착고리핀
36 : 철사고리공 38 : 누수방지돌기
40 : 철근슬래브 50 : 앵커볼트

Claims (3)

  1. 콘크리트 타설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철근슬래브의 단부에 대해 앵커볼트를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AL프로파일과,
    상기 AL프로파일의 외부 노출된 단부에 형성된 배수관고정홈에 대해 결속 고정시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서 개방된 위쪽의 상측 단부에 각각 프로파일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아래쪽의 중앙부위에는 일정간격으로 고리체결공이 관통되고 소성변형이 가능한 고무류의 소성체로 형성된 신축이음배수관과,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의 각 고리체결공에 대해 억지끼움 형태로 체결되어 밀폐 고정될 수 있으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아래쪽의 탈착고리핀과 위쪽의 누수방지돌기 사이에 탈착고리힌지가 요홈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돌기 위쪽으로는 별도의 걸림수단인 철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철사고리공이 형성된 배수관탈착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수관탈착고리는 신축이음배수관의 고리체결공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탈착고리힌지가 요홈 형성되어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의 고리체결공에 대해 부르럽게 압착끼움되면서 기밀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은 AL프로파일의 배수관고정홈에 대해 기밀 유지되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압착돌기 중간부위에 고정홈밀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신축이음배수관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되는 AL프로파일은 상기 배수관고정홈과 별도로 내측부위에 앵커볼트가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볼트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064292A 2016-05-25 2016-05-25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KR101720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92A KR101720542B1 (ko) 2016-05-25 2016-05-25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92A KR101720542B1 (ko) 2016-05-25 2016-05-25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542B1 true KR101720542B1 (ko) 2017-03-29

Family

ID=5849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292A KR101720542B1 (ko) 2016-05-25 2016-05-25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7603A (zh) * 2018-12-29 2019-03-12 贵州大学 铁路桥梁用快速安装伸缩缝
CN111778879A (zh) * 2020-07-21 2020-10-16 深圳市和顺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修复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45B1 (ko) * 2012-07-05 2013-02-20 안태환 물받이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KR101538959B1 (ko) * 2014-12-10 2015-07-27 (주) 케이 이엔씨 방수씰 기능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45B1 (ko) * 2012-07-05 2013-02-20 안태환 물받이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KR101538959B1 (ko) * 2014-12-10 2015-07-27 (주) 케이 이엔씨 방수씰 기능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7603A (zh) * 2018-12-29 2019-03-12 贵州大学 铁路桥梁用快速安装伸缩缝
CN111778879A (zh) * 2020-07-21 2020-10-16 深圳市和顺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修复施工方法
CN111778879B (zh) * 2020-07-21 2021-12-07 深圳市和顺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修复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4122C (en) Method of forming and maintaining a concrete structure
US7827665B2 (en) Gasket and mandrel assembly for pipe joints
KR101975763B1 (ko) 양방향 정착 커플러와 인서트 고정장치 및 고점착 유연성 겔 방수재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2054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교량신축이음 배수장치
KR101266118B1 (ko) 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KR101542536B1 (ko)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87937B1 (ko) 교량용 수밀형 신축이음장치
KR100924708B1 (ko)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879277B1 (ko) 지하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1530877B1 (ko) 누수방지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2092644B1 (ko) 터널형 몰딩장치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 방법
JP4567564B2 (ja) 暗渠の耐水圧可撓継手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KR10189724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659978B1 (ko)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을 이용한 틈새 이음구조
JPH1034631A (ja) 部材の連接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部材の凹部形成方法
KR100791310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11119354A (zh) 一种新型通用施工缝防水制作方法
JP2010209620A (ja) 鋼製型枠とコンクリート部材境界部のシール装置、及び、該シール装置を用いた鋼製型枠とコンクリート部材境界部の防水工事方法
KR100865523B1 (ko) 신축이음부용 배수로 시공방법
KR101567819B1 (ko) 수밀성 개선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936461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US20190195070A1 (en) Sealing profile for embedding into a moulding of curable material
KR101245610B1 (ko) 현장타설 연결콘크리트의 증기양생 거푸집장치 및 증기양생방법
KR101088371B1 (ko) 맨홀블록,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