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36B1 -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536B1
KR101542536B1 KR1020140105260A KR20140105260A KR101542536B1 KR 101542536 B1 KR101542536 B1 KR 101542536B1 KR 1020140105260 A KR1020140105260 A KR 1020140105260A KR 20140105260 A KR20140105260 A KR 20140105260A KR 101542536 B1 KR101542536 B1 KR 10154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er
steel
expansion join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숙
안태환
Original Assignee
강형숙
안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숙, 안태환 filed Critical 강형숙
Priority to KR102014010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강재 차수판으로 덮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undrained type expansion joint for ballast railway bridge supporting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of drain apparatus installed slab laying gap for pier}
본 발명은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유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강재 차수판으로 덮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에 설치되는 철도나 도로 등에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량, 건조수축, 크리프 등의 구조물 변형을 흡수하기 위해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이음 영역에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유격에는 교량 상판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는 비배수형 및 유도배수형으로 대별되는데 그에 따른 우수처리 방안으로는, 비배수형은 차수제(신축고무 또는 탄성봉함재)와 일체 제작된 신축이음(도 1 참조)을 상향으로 굴곡시키면서 방호 울타리와 함께 시공하여 교량배수시설에 의해 처리하며, 유도배수형은 우수받이를 신축 이음 내에 설치(도 2 참조)하여 교량배수시설과는 별도의 집수구와 배수연결관을 설치하여 자체 처리하고 있다.
유도배수형 신축이음장치는 자갈이 깔리는 교량에서는 우수받이에 자갈이 메워지기 때문에 적용하기는 적합하지 않다.
비배수형 신축이음장치로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비배수형 신축이음장치(A)는 슬래브(C) 사이의 유간(S)을 덮는 자갈도상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간(S)의 좌우 측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고정대(100)와; 상기 압축고정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봉함재(200)와; 상기 탄성봉함재(200) 상면을 덮는 강재덮개판(300)과; 상기 강재덮개판(300)을 일측의 슬래브(C) 상에 고정하는 세트앵커볼트(400)와; 상기 강재덮개판(300)의 하면과 슬래브(C) 상면 간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패드(500)로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차수판이 탄성봉함재(200)로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강재덮개판(300)과 고무패드(500)가 필요함으로 제조원가 상승 요인이 되고, 탄성봉함재(200)가 강재차수판 보다 가격이 고가이다.
특히, 탄성봉함재(200)의 길이가 통상 교량의 횡방향으로 6M 정도이므로 작업자 2명 이상이 압축 공구를 사용하여 탄성봉함재(200)를 압축하여 설치하는 게 번거로워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돌기(114)가 탄성봉합재(200)의 압축하는데 방해가 되어, 압축고정대(100) 내에 시공(밀어넣기)하거나 교체(빼냄)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탄성봉합재(200)의 시공이나 교체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비배수형 신축이음장치에서는 고무 또는 주름관 등과 같은 신축차수재를 슬래브 사이의 고정대 사이에 지지시킨 후 신축차수재와 함께 신축 되는 상부 덮개 또는 신축이음플랜지를 그 위에 덮어, 신축차수재가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특허문헌 2의 비배수형 신축이음장치는 도 4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신축고무(3); 플랜지(2'')와 수직웨브(2''')로 이루어진 T형 부재로서 좌우 대칭으로 두 개가 설치되며, 마주보는 안쪽의 플랜지(2'')의 단부에는 플랜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신축고무(3)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접속홈(14)이 오목하게 형성된 내부지지강재(2); 사각 판 형상의 지지판(4')과 상기 지지판(4')의 길이방향 측면에 형성된 톱니열(4'')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지지강재(2) 상부면에 상기 톱니열(4'')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두 개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4')의 중앙에는 각각 상기플랜지에 설치된 볼트구멍과 일치하는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플랜지의 길이방향 앙 단부중 한쪽에는 오목하게 파여진 삼각형상의 결합홈(8)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결합홈(8)과 일치하는 삼각형상의 결합돌기(8')가 형성된 두 개의 상부덮개판(4);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부덮개판(4)의 톱니열(4'')이 맞물리는 형태로 신축되기 때문에, 톱니열(4'') 사이의 공간으로 자갈 등이 침투하게 되면, 걸려서 상부덮개판(4)이 신축, 특히 팽창(유간이 서로 좁아짐)되지 않아, 통상 콘크리트 도상의 철도교에는 적용 불가능하다.
특허문헌 3도 특허문헌 2와 마찬가지로 신축이음플랜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신축되기 때문에, 그 공간 사이로 자갈 등이 침투하게 되면, 신축이음플랜지가 신축되지 않아, 통상 콘크리트 도상의 철도교에는 적용 불가능하다.
또한, 탄성봉합재, 신축고무, 차수재 등은 반복되는 신축에 따른 흠결 및 외부환경으로 인한 재질 손상(산화 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복원력 등 물리적 결함이 발견되어 본래의 누수 방지 목적을 상실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9926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8282호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439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 및 교체가 대단히 편리하여 시공이 용이면서도, 별도의 고무판 및 강재덮개판이 불필요하여 자갈도상의 철도교 궤도에 매우 적합하며, 특히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복원력 등 물리적 결함이 없어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제1슬래브와 제2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설치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슬래브의 끝면에 고정되는 제1,2하부고정대; 일단측은 상기 제1하부고정대에 설치되고, 타단측의 밑면은 상기 제2하부고정대에 놓여 상기 유간을 덮는 강재 차수판; 상기 제1하부고정대에 조립되어 상기 강재 차수판의 일단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1상부고정대; 상기 제2하부고정대에 조립되어 상기 강재 차수판의 타단측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강재 차수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재 차수판은 그 일단측이 수직판이고, 그 타단측이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부고정대에는 상기 수직판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고정대는 상기 제1,2하부고정대에 형성되는 제1,2조립홈에 걸리는 제1,2상부고정편과, 상기 제1,2조립홈과 상기 제1,2상부고정편 사이에 끼워지는 제1,2쐐기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재 차수판의 타단측의 꼬리는 아래로 내려가는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제2조립홈과 상기 제2상부고정편 사이에는 상기 원호형상의 꼬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원호 형상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고정편에는 상기 강재 차수판의 상면과 접해 실링하는 제1,2패킹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은, 서포트로 받쳐지는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을 제1교각과 제2교각 사이 및 상기 제2교각과 제3교각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이 마주하는 유간에 공통의 유간 칸막이로 막아 거푸집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유간 칸막이의 좌우 내측면에 제1,2하부고정대를 지지시키는 단계; 상기 완성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제1,2거푸집 및 상기 유간 칸막이를 해체하여 제1교각용 슬래브 및 제2교각용 슬래브가 상기 제1,2교각 사이 및 제2,3교각 사이에 놓이는 단계; 상기 제1.2교각용 슬래브에 고정된 상기 제1하부고정대에 강재 차수판의 일단측을 고정하고 타단측을 상기 제2하부고정대에 놓는 단계; 상기 제1,2하부고정대에 제1,2상부고정대를 조립하여 상기 강재 차수판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간 칸막이에 상기 제1,2하부고정대를 지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2하부고정대의 상부에 조립된 설치용 브라켓에 못으로 상기 유간 칸막이에 지지시키고, 상기 제1,2하부고정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하방돌출편에 타카핀으로 상기 유간 칸막이에 지지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완성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상기 못이 노출되게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며, 상기 유간 칸막이의 해체는 상기 못을 뽑고 상기 설치용 브라켓을 분해한 후 상기 유간 칸막이를 타격하여 상기 타카핀이 전단 또는 굽어지면서 해체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슬래브의 신축은 강재 차수판을 슬라이딩시키기 때문에, 강재 차수판의 복원력과 같은 물리적 결함이 없어 유지보수가 필요 없다.
또한, 강재 차수판만으로 비배수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갈을 깔아도 낄 우려가 전혀 없어 고무판과 강재덮개판이 불필요한 자갈도상 철도교에 매우 적합한 시공이다.
또한, 차수판이 강재이기 때문에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또한, 강재차수판을 조립 형태로 지지 또는 분해시킬 수 있어 시공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강재 차수판의 꼬리가 아래로 경사지는 원호형상이고, 이 꼬리를 아래로 가이드 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브의 신축 변화량이 많아도 강재 차수판의 구부러지는 양만큼 여유가 있어 강재 차수판이 빠지거나 걸려 신축 기능의 상실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비배수형 신축이음의 한 예로 차수재가 신축이음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비배수형 신축이음의 한 예로 우수받이가 설치된 구조로 우수받이 종점부에 집수구 및 연결관 설치가 필요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특허문헌 1의 비배수형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특허문헌 2의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순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표준온도의 유간을 갖는 도 13과 비교할 때 동절기와 하절기에 따른 유간의 신축량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순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표준온도의 유간을 갖는 도 13과 비교할 때 동절기와 하절기에 따른 유간의 신축량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0)는 도 5,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주하는 제1,2고정대(2000a)(2000b)와, 제1고정대(2000a)와 제2고정대(2000b)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강재 차수판(30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2고정대(2000a)(2000b)는 서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 시공할 때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일정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물론, 그 기능에 따라 위치가 정해진 경우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제1,2고정대(2000a)(2000b) 각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슬래브(100a)와 제2슬래브(100b)가 마주하는 끝면에 매립되는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와,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에 조립되는 제1,2상부고정대(2500a)(2500b)로 구성하여 있다.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에는 제1,2상부고정대(2500a)(2500b)가 위에서 아래로 조립되는 제1,2조립홈(2110a)(211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2조립홈(2110a)(2110b)의 바깥쪽 프레임의 상단(2111a)(2111b)은 콘크리트 타설과 실질적으로 같은 선상을 이룬다.
제1,2조립홈(2110a)(2110b)의 안쪽 프레임에는 밑면 걸림턱(2113a)(2113b)과 측면 걸림턱(2114a)(21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에는 강재 차수판(3000)의 일단측이 끼워지는 제1,2끼움홈(2200a)(2200b)이 형성되어 있다.
강재 차수판(3000)의 일단측이 제1끼움홈(2200a)에 끼워지는 경우, 제2끼움홈(2200b)의 상단은 강재 차수판(3000)의 타단측의 밑면을 받치는 기능을 한다.
제1,2끼움홈(2200a)(2200b)의 상단과 측면 걸림턱(2114a)(2114b)을 연결하는 모서리는 위로 볼록한 라운딩부(2115a)(2115b)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2조립홈(2110a)(2110b)의 아래 측면에는 고정용 앙카볼트(2001a)(2001b)가 조립되는 조립프레임(2117a)(2117b)이 형성되어 있다.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의 밑면에는 유간(d) 쪽으로 돌출한 수평돌출편(2119a)(2119b)이 형성되고, 이 수평돌출편(2119a)(2119b)의 자유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하방돌출편(2121a)(2121b)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돌출편(2119a)(2119b)은 그 사이에 탄성봉함재(200)를 놓을 때 받치는 받침턱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탄성봉함재(200)를 시공하지 않을 시 삭제되어도 좋다.
하방돌출편(2121a)(2121b)은 제1거푸집(F1)과 제2거푸집(F2) 사이의 공간 유간(d)을 막는 거푸집인 유간 칸막이(F)에 타카핀(P)으로 지지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2상부고정대(2500a)(2500b)는 제1,2조립홈(2110a)(2110b)에 걸리는 제1,2상부고정편(2510a)(2510b)과, 제1,2조립홈(2110a)(2110b)과 제1,2상부고정편(2510a)(2510b) 사이에 끼워지는 제1,2쐐기블록(2550a)(255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2상부고정편(2510a)(2510b)은 제1,2상판(2511a)(2511b), 제1,2하판(2513a)(2513b), 제1,2상판(2511a)(2511b)의 일단과 제1,2하판(2513a)(2513b)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2연결판(2515a)(2515b)으로 이루어진다.
제1,2상판(2511a)(2511b)의 일단에서 타단의 길이는 제1,2하판(2513a)(2513b)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2상판(2511a)(2511b)과 제1,2연결판(2515a)(2515b)의 모서리 내측에는 위로 볼록한 라운딩(2512a)(251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2하판(2513a)(2513b)의 내측면에는 제1,2밑면걸림턱(2113a)(2113b)과 제1,2측면걸림턱(2114a)(2114b)에 접촉되는 'ㄴ'자 형상의 제1,2계단(2514a)(25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2계단(2514a)(2514b)과 제1,2연결판(2515a)(2515b)에는 제1,2단턱(2516a)(25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2단턱(2516a)(2516b)의 폭은 라운딩(2115a)(2115b)과 라운딩(2512a)(2512b) 사이에 원호 형상의 통로(2210a)(2210b)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2상판(2511a)(2511b)의 밑면에는 제1,2패킹(2400a)(2400b)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쐐기블록(2550a)(2550b)은 제1,2상부고정편(2510a)(2510b)이 제1,2조립홈(2110a)(2110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록이다.
제1,2쐐기블록(2550a)(2550b)은 제1,2조립홈(2110a)(2110b)의 바깥쪽 프레임과 제1,2연결판(2515a)(2515b) 사이의 공간에 끼워진다.
강재 차수판(3000)은 그 일단측이 제1하부고정대(2100a)에 설치되고, 그 타단측의 밑면이 제2하부고정대(2100b)에 놓여 유간(d)을 덮는다.
즉, 강재 차수판(3000)은 그 일단측이 수직판(3100)이고, 그 타단측이 수직판(3100)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3300)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판(3100)은 제1하부고정대(2100a)의 제1끼움홈(2200a)에 끼워진다.
수직판(3100)의 내측에는 보강재(3110)가 스폿 용접되어 있다.
제2끼움홈(2200b)에는 높이를 맞춰주기 위해 별도의 ㄱ자 형상의 보강재(3130)가 끼워져, 수평판(3300)의 밑면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강재 차수판(3000)의 수평판(3300)의 꼬리(3310)는 아래로 내려가는 원호 형상으로 굽어져 있다.
이 꼬리(3310)는 통로(2210b)를 따라 원활히 가이드 되게 한다.
물론 꼬리(3310)는 탄성이 있어, 도 15와 같이 슬래브와 슬래브가 서로 멀어지게 되면 상판(2511b)과 보강재(3130) 사이에서 펴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하,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시공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같이 서포트(S)로 받쳐지는 제1거푸집(F1) 및 제2거푸집(F2)을 제1교각(B1)과 제2교각(B2) 사이 및 상기 제2교각(B2)과 제3교각(B3) 사이에 설치하되, 제1거푸집(F)과 제2거푸집(F2)이 마주하는 유간(d)에 공통의 유간 칸막이(F)로 막아 거푸집을 완성한다.
즉, 제1거푸집(F1)는 제1교각(B1)과 제2교각(B2) 사이에 하부 거푸집을 설치하고, 하부 거푸집의 전후에 측면 거푸집을 설치한다. 물론, 하부 거푸집은 서포트(S)에 지지된 상태로 있다.
마찬가지로 제2거푸집(F2)도 제2교각(B2)과 제3교각(B3) 사이에 하부 거푸집을 설치하고, 하부 거푸집의 전후에 측면 거푸집을 설치한다. 물론, 하부 거푸집은 서포트(S)에 지지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제1거푸집(F1)과 제2거푸집(F2)는 순차 또는 동시에 조립되면 그 사이에 형성된 유간(d)에 공통의 유간 칸막이(F)를 조립하여 완성된 거푸집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7과 같이 제1거푸집(F1)과 제2거푸집(F2) 내부에 철근(500)을 배근하는 게 바람직하다.
철근(500)이 배근 된 후 도 8과 같이, 유간 칸막이(F)의 좌우 내측면에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를 지지시킨다.
즉, 유간 칸막이(F)에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를 지지시키는 단계는,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의 제1,2조립홈(2110a)(2110b)에 제1,2설치용 브라켓(1100a)(1100b)을 넣고 제1,2쐐기블록(2550a)(2550b)로 끼워 고정한다.
제1,2설치용 브라켓(1100a)(1100b)은 제1,2상부고정편(2510a)(2510b)과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제1,2조립 브라켓(2510a')(2510b')과, 제1,2조립 브라켓(2510a')(2510b')의 상판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제1,2상방 돌출편(1111a)(1111b)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2상방 돌출편(1111a)(1111b)에 못(N)을 받아 유간 칸막이(F)에 지지시키고, 제1,2하방 돌출편(2120a)(2120b)에 타카핀(P)을 받아 유간 칸막이(F)에 지지시키는 단계이다.
못(N)은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의 상단(2111a)(2111b)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도 9와 같이 콘크리트에 함몰되지 않고 노출되기 때문에 보다 강하게 지지하기 위한 철물이다.
타카핀(P)은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었을 때 유간 칸막이(F)를 제거할 때 쉽게 전단되어 구부러지거나 절단되게 하기 위한 철물이다.
제1,2고정용 앙카볼트(2001a)(2001b)도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의 조립프레임(2117a)(2117b)에 조립되어 있는 게 좋다.
이와 같은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가 유간 칸막이(F)의 좌우 내측면에 도 8과 같이 지지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완성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콘크리트(C)의 타설 시 제1,2지지대(1000a)(1000b)가 철근(500)이 아니라 유간 칸막이(F)에 지지되어 있어서 철근(500)의 변형에 전혀 영향을 방지 않는다.
콘크리트(C)의 타설은 제1,2하부고정대(2100a)(2100b)의 상단(2111a)(2111b)까지 행한다.
도 9와 같이 콘크리트(C)의 양생이 완료되면, 못(N)을 뽑고 유간 칸막이(F)를 망치 등으로 때려 타카핀(P)의 절단으로 유간 칸막이(F)가 빠지면 이탈방지용 쐐기블록(2550a)(2550b)과 설치용 브라켓(1100a)(1100b)을 순차로 분해한 후 제1,2거푸집(F1)(F2) 및 서포트(S)를 해체하면, 도 10과 같이 제1슬래브(100a)와 제2슬래브(100b)는 유간(d)을 형성하면서 제1,2교각(B1,B2) 사이 및 제2,3교각(B2,B3) 사이에 놓이게 된다.
다음에, 도 11과 같이 제2끼움홈(2200b)에 보강재(3130)를 끼우고, 강재 차수판(3000)의 수직판(3100)을 끼우고 수평판(3300)의 밑면이 보강재(3130)의 상면에 놓는다.
그 다음에, 도 12와 같이 제1,2상부고정편(2510a)(2510b)을 제1,2조립홈(2110a)(2110b)에 끼워 강재 차수판(3000)의 수평판(3300)의 양측 상면에 접촉된다. 물론, 접촉은 패킹(2400a)(2400b)과 이루어지고, 그 사이로 누수 등을 방지하는 실링 역할을 한다. 패킹(2400b)과 수평판(3300)의 접촉은 실링을 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할 정도이다.
이 상태에서 제1,2쐐기블록(2550a)(2550b)을 제1,2조립홈(2110a)(2110b)의 바깥쪽 프레임과 제1,2상부고정편(2510a)(2510b)의 제1,2연결판(2515a)(2515b) 사이의 공간에 끼워, 제1,2상부고정편(2510a)(2510b)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강재 차수판(3000)을 조립하기 전에, 도 10과 같이 수평돌출편(2119a)(2119b)에 탄성봉함재(200)를 받친 채 끼워두어도 좋다.
도 12와 같이 슬래브 사이의 유간(d)에 비배수 타입의 신축이음장치(1000)가 조립되면, 그 위에 자갈(7)을 바로 깔면 도 13과 같이 자갈도상 철도교가 완성된다.
도 12의 신축이음장치(100)는 표준온도 상태에서의 슬래브 사이의 유간(d)을 나타낸다.
표준온도 상태에서 대기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도 14와 같이 슬래브가 서로 늘어나 유간이 d->d'로 좁아지게 된다.
그러면, 강재 차수판(3000)의 꼬리(3310)는 원호 형상의 통로(2210b)를 따라 아래쪽으로 가이드 된다.
반면에, 표준온도 상태에서 대기온도가 낮은 동절기에는 도 15와 같이 슬래브가 서로 축소되어 유간이 d->d''로 넓어지게 된다.
그러면, 강재 차수판(3000)의 꼬리(3310)는 원호 형상의 통로(2210b)를 따라 위쪽으로 가이드 되어 거의 수평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원호 형상의 꼬리(3310)와 통로(2210b)는 최소한의 수평판(3300) 길이로 최대한의 신축 거리를 커버 할 수 있어, 최적의 유간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0 : 신축이음장치 1100a,1100b : 제1,2설치용 브라켓
2001a,2001b : 제1,2앙카볼트 2000a,2000b : 제1,2고정대
2100a,2100b : 제1,2하부고정대 2110a,2110b : 제1,2조립홈
2200a,2200b : 제1,2끼움홈 2210a,2210b : 통로
2400a,2400b : 제,2패킹 2500a,2500b : 제1,2상부고정대
2510a,2510b : 제1,2상부고정편 2550a,2550b : 제1,2쐐기블록
3000 : 강재 차수판 3100 : 수직판
3300 : 수평판 3310 : 꼬리
d,d',d'' : 유간 B1,B2,B3 : 제1,2,3 교각
F1,F2 : 제1,2거푸집 F : 유간 칸막이
N : 못 P : 타카핀

Claims (7)

  1. 제1슬래브와 제2슬래브 사이의 유간에 설치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슬래브의 끝면에 고정되는 제1,2하부고정대;
    일단측은 상기 제1하부고정대에 설치되고, 타단측의 밑면은 상기 제2하부고정대에 놓여 상기 유간을 덮는 강재 차수판;
    상기 제1하부고정대에 조립되어 상기 강재 차수판의 일단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1상부고정대;
    상기 제2하부고정대에 조립되어 상기 강재 차수판의 타단측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강재 차수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상부고정대;를 포함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 차수판은 그 일단측이 수직판이고, 그 타단측이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부고정대에는 상기 수직판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고정대는 상기 제1,2하부고정대에 형성되는 제1,2조립홈에 걸리는 제1,2상부고정편과, 상기 제1,2조립홈과 상기 제1,2상부고정편 사이에 끼워지는 제1,2쐐기블록으로 구성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강재 차수판의 타단측의 꼬리는 아래로 내려가는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제2조립홈과 상기 제2상부고정편 사이에는 상기 원호형상의 꼬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원호 형상의 통로가 형성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고정편에는 상기 강재 차수판의 상면과 접해 실링하는 제1,2패킹이 더 설치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서포트로 받쳐지는 제1거푸집 및 제2거푸집을 제1교각과 제2교각 사이 및 상기 제2교각과 제3교각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이 마주하는 유간에 공통의 유간 칸막이로 막아 거푸집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유간 칸막이의 좌우 내측면에 제1,2하부고정대를 지지시키는 단계;
    상기 완성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제1,2거푸집 및 상기 유간 칸막이를 해체하여 제1,2교각용 슬래브가 상기 제1,2교각 사이 및 제2,3교각 사이에 놓이는 단계;
    상기 제1교각용 슬래브의 끝면에 고정된 상기 제1하부고정대의 끼움홈에 강재 차수판의 일단측인 수직판이 끼워지고, 상기 제2교각용 슬래브의 끝면에 고정되는 상기 제2하부고정대의 상면에 상기 강재 차수판의 타단측인 수평판의 밑면이 놓여 상기 유간을 덮는 단계;
    상기 제1,2하부고정대에 제1,2상부고정대를 조립하여 상기 강재 차수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간 칸막이에 상기 제1,2하부고정대를 지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2하부고정대의 상부에 조립된 설치용 브라켓에 못으로 상기 유간 칸막이에 지지시키고, 상기 제1,2하부고정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하방돌출편에 타카핀으로 상기 유간 칸막이에 지지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완성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상기 못이 노출되게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며,
    상기 유간 칸막이의 해체는 상기 못을 뽑고 상기 설치용 브라켓을 분해한 후 상기 유간 칸막이를 타격하여 상기 타카핀이 전단 또는 굽어지면서 해체되는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40105260A 2014-08-13 2014-08-13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542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60A KR101542536B1 (ko) 2014-08-13 2014-08-13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60A KR101542536B1 (ko) 2014-08-13 2014-08-13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536B1 true KR101542536B1 (ko) 2015-08-06

Family

ID=5388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260A KR101542536B1 (ko) 2014-08-13 2014-08-13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5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9791A (zh) * 2017-01-19 2017-05-31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 一种隧道洞口反坡排水路面截水沟
KR20180036815A (ko) * 2016-09-30 2018-04-10 주식회사 베스탑 유지관리가 용이한 누수방지겸용 교량신축 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2111779B1 (ko) * 2019-10-02 2020-05-1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2169161B1 (ko) * 2020-05-06 2020-10-23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누수 및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WO2021066568A1 (ko) * 2019-10-02 2021-04-08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908Y1 (ko) 2004-12-24 2005-03-16 주식회사 케이.알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229001B1 (ko) 2012-01-19 2013-02-04 하나더이앤씨(주)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908Y1 (ko) 2004-12-24 2005-03-16 주식회사 케이.알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229001B1 (ko) 2012-01-19 2013-02-04 하나더이앤씨(주)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815A (ko) * 2016-09-30 2018-04-10 주식회사 베스탑 유지관리가 용이한 누수방지겸용 교량신축 이음장치의 시공방법
CN106759791A (zh) * 2017-01-19 2017-05-31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 一种隧道洞口反坡排水路面截水沟
KR102111779B1 (ko) * 2019-10-02 2020-05-1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WO2021066568A1 (ko) * 2019-10-02 2021-04-08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US11987942B2 (en) 2019-10-02 2024-05-21 Daebong B.M.Technology Co., Ltd Finger-type expansion joint device without drainage sheet
KR102169161B1 (ko) * 2020-05-06 2020-10-23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누수 및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536B1 (ko) 비배수 타입 자갈도상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3880539A (en) Expansion joint and seal
KR100662035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재의 제작, 설치 및 교체방법
KR101394193B1 (ko)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KR101711202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RU2639760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вставки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го стыка, предупреждающей образование трещи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77615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KR102008773B1 (ko) 탄성폼프리캐스트 조인트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 급속 시공방법
KR10091697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CN104652364A (zh) 一种水利工程垂直止水结构的施工方法
US2181623A (en) Slab joint
RU2718528C1 (ru) Узел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с полушпалком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101230049B1 (ko) 거푸집 및 레일을 이용한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219788B1 (ko) 유압잭을 이용한 압축력 도입이 가능한 교량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CN108506002B (zh) 一种在外壁表面形成浆液扩散凹槽的外壁模板
KR101538959B1 (ko) 방수씰 기능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KR101580194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 이와 공장제작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261661B1 (ko) 폴리우레아 유도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유도배수 시공 방법
JP2007262881A (ja) 高強度鉄筋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版
KR101531148B1 (ko) 기계식 신축이음장치가 배제되는 교량 보수방법
KR100865523B1 (ko) 신축이음부용 배수로 시공방법
KR101559064B1 (ko)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JP5406896B2 (ja) 道路橋継目部の止水構造及び止水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