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310B1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310B1
KR100791310B1 KR1020070114595A KR20070114595A KR100791310B1 KR 100791310 B1 KR100791310 B1 KR 100791310B1 KR 1020070114595 A KR1020070114595 A KR 1020070114595A KR 20070114595 A KR20070114595 A KR 20070114595A KR 100791310 B1 KR100791310 B1 KR 10079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plate
support
upper waterproof
brid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륜
최동철
김학군
Original Assignee
대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산업(주) filed Critical 대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7011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교량에 설치하는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교량 사이의 유간에 형성되되 교량용방호콘크리트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측으로 결합하는 상부 방수판으로 이루어진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측으로 안착홈과 이탈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턱의 하측으로 W자 형상의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의 하측으로는 교량용방호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된 구조를 형성한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부 방수판의 결합이 용이하면서 완전히 결합이 이루질 수 있으면서, 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팽창성지수재에 의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지지부와 교량용방호콘크리트 사이를 밀폐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방수판의 상단부에 알루미늄 덮개판을 형성하여 햇빛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철도교량, 탄성, 덮개판, 신축이음장치

Description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Device for Rail Road Bridg }
본 발명은 철도교량에 설치하는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지지부와 상부 방수판의 결합이 용이하면서 완전히 결합이 이루질 수 있으면서, 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팽창성지수재에 의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지지부와 교량용방호콘크리트 사이를 밀폐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방수판의 상단부에 알루미늄 덮개판을 형성하여 햇빛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가 통행하는 무도상 교량에는 지지부와 방수판을 끼우는 구조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철도교량에 설치하는 종래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등록특허공보 제0659374호(2006. 12. 19)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2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교량용방호콘크리트(2)에 매설되어 있는 앵커볼트(63)에 의해 고정결합되되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이며 하부지지체(155)위에 폭이 하부 지지체(155) 보다 좁은 복부(56)가 형성되고, 상기 복부(156)의 중앙에 통공하여 일측단에 앵커 볼트(63)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복부(156) 위쪽에 양쪽으로 벌어진 가지부(153)를 형성하여 가지부(153)의 내측에 홈부(51)가 형성되도록 하되 가지부(153)의 상단부에는 홈부(151)내로 절곡된 절곡부(152)가 형성된 지지부(150)와,
상기 지지부(150)와 결합되며 중앙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날개부(14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부(142)의 끝단부의 하부에 돌출부(144)가 다수개 형성된 쐐기(143)가 형성된 상부 방수판(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200)는 지지부(150)에 결합하는 상부 방수판(140)의 구조가 결합 및 파손시 탈착이 용이하도록 제작하여 설치비 및 유지보수시 발생하는 비용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에 형성된 절곡부를 통과하여 가지부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하는 방수판의 쐐기와 돌출부가 최초에 결합을 시키기 위해 삽입하였을 때에 돌출부의 쐐기가 절곡부에 맞닿으면서 인력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위해서 과도한 압력을 가해야만 결합이 가능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결합을 하였다 하더라도, 홈부에 삽입된 돌출부의 쐐기와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쐐기를 다시 한번 과도한 압력을 가하여 삽입하여야만 함으로써, 지지부와 상부 방수판을 완전히 결합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철도교량 사이의 유간에 형성되되 교량용방호콘크리트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결합홈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측으로 결합홈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한 상부 방수판으로 이루어진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측으로 안착홈과 이탈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턱의 하측으로 W자 형상의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의 하측으로는 교량용방호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된 것을 그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지지부의 W자 형상의 결합홈에 삽입되 는 상부 방수판의 W자 형상의 결합부가 탄성에 의해 접혀지기 때문에, 지지부에 상부 방수판의 결합이 용이하면서, 지지부의 결합홈에 상부 방수판의 결합부가 완전히 삽입하기 때문에 결합력이 우수하다.
또한, 지지부와 교량용방호콘크리트 사이에 팽창성지수재를 형성하여, 지지부와 교량용방호콘크리트 사이를 밀폐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상부 방수판의 상단부로 알루미늄 덮개판을 형성하여 상부 방수판이 햇빛에 노출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명연장을 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철도교량 사이의 유간(1)에 설치하되, 교량용방호콘크리트(2)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홈(13)을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결합홈(13)에 고무재질의 상측 방수판(20)의 결합부(23)를 결합하는 구조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다.
다만,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량용방호콘크리트(2)에 고정결합하는 지지부(10)는 상측으로 안착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12)의 하측에는 이탈방지턱(12)이 구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12)의 하측으로 W자 형상의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의 결합홈(13)의 하측으로는 교량용방호콘크리트(2)에 매설된 앵커볼트(3)에 의해 지지부(10)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와 교량용방호콘크리트(2) 사이에는 물에 맞닿으면 팽창하는 팽창성지수재(14)가 더 형성되어 있어,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0)에 결합하는 상부 방수판(20)은 상기 지지부(10)의 안착홈(11)에 안착하는 안착부(2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안착부(21)의 하측으로 이탈방지턱(12)에 결합하는 이탈방지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부(22)의 하측으로는 지지부(10)의 결합홈(13)에 결합하는 W자 형상의 결합부(23)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방수판(20)의 상단부에는 햇빛에 의해 상부 방수판(20)이 노후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덮개판(24)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방수판(20)의 결합부(23)는 지지부(10)의 결합홈(13)에 결합시 이탈방지턱(12)을 원활히 통과할 수 있으면서, 지지부(1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된 W자 형상에 의하여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작용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중 지지부(10)와 교량방호용콘크리트(2)의 결합은 종래의 시공방법과 동일하며, 다만, 시공시 교량용방호콘크리트(2)와 지지부(10) 사이에 팽창성지수재(14)를 더 형성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지지부(10)의 상측에 결합하는 상부 방수판(20)을 결합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부(10)의 상측에 상부 방수판(20)을 배치한다.
상기에서 상부 방수판(20)의 배치가 완료되면, 상부 방수판(20)에 형성되어 있는 W자 형상의 결합부(23)를 양 측면에서 외력을 가하면서 지지부(10)의 안착홈(11)과 이탈방지턱(12)을 통과시켜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방수판(20)에 형성된 결합부(23)는 외력을 가하여 상부 방수판(20)이 가지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오므리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지지부(10)의 이탈방지턱(12)을 최초로 통과하는 결합부(23)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다시 복원하려는 힘이 발생되지만, 결합부(23)의 형상이 W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이 발생하면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수판(20)의 결합부(23)가 지지부(10)의 이탈방지턱(12)과 W자 형상의 결합홈(13)에 일정부위까지 삽입되어진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에서 W자 형상의 결합홈(13)에 결합하는 상부 방수판(20)의 결합부(23)는 W자 형상의 결합홈 중 돌출된 부분에 맞닿게 되면서 슬라이딩 작용을 발생하여 결합부(23)가 좌, 우로 벌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측에서 가하는 외력에 의해 결합부(23)와 이탈방지턱(12)에서 발생하는 슬라이딩 작용이 발생하게 되면서,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부 방수판(20)에 소정의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부 방수판(20)의 결합부(23)가 지지부(10)에 형성되어 있는 W자 형상의 결합홈(13)에 의해 미끄러지게 되면서 완전히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상부 방수판(20)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21)가 지지부(10)의 안착홈(11)에 결합되면서 시공을 마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방수판(20)의 결합부(23)가 W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와 같이 외력을 가하더라도 결합부(23)의 외측과 내측에서 슬라이딩 작용을 발생하여 결합력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지지부와 상부 방수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방수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와 상부 방수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제1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와 상부 방수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제2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와 상부 방수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제3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간 2 : 교량용방호콘크리트
3 : 앵커볼트 10 : 지지부
11 : 안착홈 12 : 이탈방지턱
13 : 결합홈 14 : 팽창성지수재
20 : 상부 방수판 21 : 안착부
22 : 이탈방지부 23 : 결합부
24 : 알루미늄 덮개판 50 :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laims (5)

  1. 철도교량 사이의 유간에 형성되되 교량용방호콘크리트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결합홈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측으로 결합홈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한 상부 방수판으로 이루어진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측으로 안착홈과 이탈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턱의 하측으로 W자 형상의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의 하측으로는 교량용방호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판은 지지부의 안착홈에 결합하는 안착부와 이탈방지턱에 결합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W자 형상의 결합홈에 결합하되 결합홈의 형상과 동일한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판은 상단부에 알루미늄 덮개판을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판의 W자형 결합부는 지지부의 결합홈에 결합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탄성에 의해 접힐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교량용방호 콘크리트 사이에는 팽창성지수재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070114595A 2007-11-10 2007-11-10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79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95A KR100791310B1 (ko) 2007-11-10 2007-11-10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95A KR100791310B1 (ko) 2007-11-10 2007-11-10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310B1 true KR100791310B1 (ko) 2008-01-04

Family

ID=3921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595A KR100791310B1 (ko) 2007-11-10 2007-11-10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3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4745A (zh) * 2014-04-30 2014-07-16 马鞍山市智砼建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零应力缝宽自适应式屋面预留缝防水系统及其施工方法
CN108547186A (zh) * 2018-06-20 2018-09-18 杜兴顺 高铁专用伸缩缝橡胶止水连接板
CN114893227A (zh) * 2022-05-10 2022-08-12 山东新宏钢机电科技有限公司 采矿工作面顺槽锚网支护保护缓冲装置
KR102445383B1 (ko) 2021-11-25 2022-09-21 정채규 신축 이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300Y1 (ko) * 2000-09-01 2001-02-15 주식회사다산컨설턴트 교량용 제형 신축이음 장치
KR200363631Y1 (ko) * 2004-07-16 2004-10-02 주식회사 석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지수판
KR20060074048A (ko) * 2004-12-27 2006-07-03 매크로드 주식회사 교량의 레일 신축이음 장치
KR100743043B1 (ko) * 2006-07-31 2007-07-26 주식회사 일원테크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300Y1 (ko) * 2000-09-01 2001-02-15 주식회사다산컨설턴트 교량용 제형 신축이음 장치
KR200363631Y1 (ko) * 2004-07-16 2004-10-02 주식회사 석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지수판
KR20060074048A (ko) * 2004-12-27 2006-07-03 매크로드 주식회사 교량의 레일 신축이음 장치
KR100743043B1 (ko) * 2006-07-31 2007-07-26 주식회사 일원테크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부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 10-743043 B!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4745A (zh) * 2014-04-30 2014-07-16 马鞍山市智砼建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零应力缝宽自适应式屋面预留缝防水系统及其施工方法
CN103924745B (zh) * 2014-04-30 2016-02-03 马鞍山市智砼建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零应力缝宽自适应式屋面预留缝防水系统及其施工方法
CN105369991A (zh) * 2014-04-30 2016-03-02 马鞍山市智砼建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零应力缝宽自适应式屋面预留缝防水系统的施工方法
CN105369991B (zh) * 2014-04-30 2017-06-06 马鞍山市智砼建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零应力缝宽自适应式屋面预留缝防水系统的施工方法
CN108547186A (zh) * 2018-06-20 2018-09-18 杜兴顺 高铁专用伸缩缝橡胶止水连接板
KR102445383B1 (ko) 2021-11-25 2022-09-21 정채규 신축 이음 장치
CN114893227A (zh) * 2022-05-10 2022-08-12 山东新宏钢机电科技有限公司 采矿工作面顺槽锚网支护保护缓冲装置
CN114893227B (zh) * 2022-05-10 2023-08-04 山东新宏钢机电科技有限公司 采矿工作面顺槽锚网支护保护缓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3221B2 (ja) 構造部材のためのカバーアセンブリ
KR100791310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111779B1 (ko)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US7143560B2 (en) Cover assembly for structural members
EP3369870B1 (en) Expansion joint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20070029535A (ko)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KR100924708B1 (ko)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63063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10256Y1 (ko) 누수방지 교체형 신축 이음 장치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789676B1 (ko) 수직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교체방법
KR101381593B1 (ko) 원형 탄성받침
US11401810B2 (en) Removable and replaceable anchored tunnel gasket
CN211420852U (zh) 无型材伸缩装置
KR102104673B1 (ko) 신축이음장치
KR20190012428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구조
KR100519931B1 (ko) 혼성 신축이음구조
KR20120029055A (ko) 누수방지 효과가 우수한 배수형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
KR200377908Y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18579Y1 (ko)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2121019B1 (ko) 신축이음장치용 우수안내장치
RU2267569C1 (ru) Рельсовое анкерное скрепление
KR200374486Y1 (ko)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211815552U (zh) 一种自动适应高差变位的步道伸缩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