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185B1 -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185B1
KR101683185B1 KR1020160067017A KR20160067017A KR101683185B1 KR 101683185 B1 KR101683185 B1 KR 101683185B1 KR 1020160067017 A KR1020160067017 A KR 1020160067017A KR 20160067017 A KR20160067017 A KR 20160067017A KR 101683185 B1 KR101683185 B1 KR 10168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ridge
plate
ancho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현
백운찬
Original Assignee
조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현 filed Critical 조승현
Priority to KR102016006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극에 의해 쉽게 노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물막이판을 신축이음부의 하부에 매달아 설치함에 따라 교량의 신축 또는 물막이판의 신축에 적응하여 물막이판이 교량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preventing water leakage devices for expansion joint on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극에 의해 쉽게 노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물막이판을 신축이음부의 하부에 매달아 설치함에 따라 교량의 신축 또는 물막이판의 신축에 적응하여 물막이판이 교량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하는 교량, 특히,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교량으로 폭이 넓고 긴 교량의 경우 다수의 지주 상에 다수의 상부 구조물인 상판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교량은 중량물인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와 운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변위 및 변형은 물론 온도 차이에 의한 신축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판들 사이에 신축이음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상판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판들 사이를 이격시켜 상판들 사이에 틈이 생기게 하여, 이 틈이 상판의 신축되는 여유 공간이 형성되게 한 것으로, 다양한 구조의 신축이음장치가 있다.
신축이음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판들이 신축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들 사이에는 틈이 있고, 이 틈을 통해 교량의 상판 교면에 발생한 우수나 이물질이 신축이음장치를 통하여 교량의 하부로 흘러갈 수 있고, 이렇게 신축이음장치를 통해 아래쪽으로 흐른 물이나 이물질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을 오염시켜 하부구조물이 쉽게 노후되게 한다.
이에 따라 신축이음장치의 하부에는 교량의 노면으로부터 흐르는 물이나 이물질을 모아 어느 일측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누수 및 이물질 차단 장치(이하, '누수 차단 장치'라 통칭함)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누수 차단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있다.
신축이음장치용 누수 차단 장치와 관련된 기술의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배출 유도 유닛을 신축이음장치 하부의 교량 상판 저면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 유닛에 설치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교량 슬래브 이음새의 개폐식 누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물막이 시설 일측은 힌지연결되어 회동가능하고, 타측은 연결고리가 설치되어 슬래브 하단에 결합된 연결링과 탈착되게 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은 교량 조인트부의 간극으로 교량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틈새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평행한 와이어와, 띠형 탄성 시트재의 길이 방향을 틈새에 설치되고 단면 형상이 U자형이 되도록 굽혀진 상부 양단을 한 쌍의 와이어에서 결합한 지수통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구조물 신축이음장치용 누수 차단 장치가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의 하부는 대부분 작업 공간이 협소하다.
종래의 누수 차단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가 복잡하여 이렇게 협소한 신축이음장치 하부의 공간에서 누수 차단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의 부족과 시공 과정상에서 작업 자세 유지가 어려워 시공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고정된 배출 유도 유닛이나 지수판의 경우, 구조물의 열에 의한 신축에 적응하지 못하여 파손되거나 구조물로부터 배출 유도 유닛이나 지수판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석을 이용하여 배출 유도 유닛을 설치할 경우, 차량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구조물 진동과 풍하중에 의해 유도 유닛이 흔들려 유도 유닛이 고정 구조물로부터 이탈하거나, 자석이 고정되는 금속의 노후 또는 오염에 의해 자석과 고정 금속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져 추락할 위험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84086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6467호 3. 일본 등록특허 제047871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교량의 하부로 콘크리트의 잔재물이나 빗물 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교 및 받침 장치의 부식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를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 및 차량의 안전을 보호 할 수 있는 비너를 이용하여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유로의 청소가 용이하며 비용의 측면에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신축이음이 기 설치된 교량 하부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는 교량의 슬래브들 사이 또는 교량의 교대와 슬래브에 사이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신축이음장치를 통과하여 하부로 흐르는 물을 모아 일측의 집수구로 배출시키는 누수 차단 장치로, 판체를 절곡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슬래브 또는 교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날개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신축이음장치 하부로 흐르는 물을 하기 물막이판의 안쪽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유도날개부로 이루어진 차수채널; 중앙이 아래쪽으로 쳐져 물이 고여 흐르는 유로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의 양단에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차수채널들의 바깥쪽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물막이판; 상기 차수채널을 관통하여 슬래브 또는 교대에 고정되고, 하단에 고리부가 형성된 고리앵커; 및 상기 물막이판에 형성된 결합홀과 고리앵커의 고리부에 끼워져 물막이판을 고리앵커에 걸어 고정시키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막이판은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고무시트의 내부에 섬유보강재를 적층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막이판의 결합홀이 형성된 양 가장자리에는 결합홀에 끼워 결합된 연결고리에 의해 결합홀이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는 카라비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시공 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를, 교량의 슬래브들 사이 또는 교량의 교대와 슬래브에 사이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에 시공하는 방법으로, 슬래브 또는 교대에 고리앵커가 설치될 다수의 앵커고정홀을 천공하는 단계; 차수채널의 고정날개부에 형성된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리앵커를 관통시켜 고리앵커의 앵커관이 앵커고정홀에 삽입되게 한 후, 조임너트를 조여 차수패널이 슬래브 또는 교대에 밀착된 상태로 고리앵커가 고정되게 하는 차수패널 설치단계;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차수패널의 유도날개부의 바깥쪽에 겹쳐지게 물막이판의 길이 방향 단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물막이판에 형성된 결합홀과 고리앵커에 형성된 고리부 사이에 연결고리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는 교량의 하부로 콘크리트의 잔재물이나 빗물 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교 및 받침 장치의 부식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를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 및 차량의 안전을 보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유로의 청소가 용이하며 비용의 측면에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신축이음이 기 설치된 교량 하부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물막이판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누수 차단 장치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고리로 물막이판을 매달아 설치함에 따라 구조물 진동과 풍하중에 의한 물막이판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일부를 도시한 교량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교량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가 설치된 부분만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일부를 도시한 교량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교량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가 설치된 부분만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를 구성하는 물막이판의 일부를 도시한 서로 다른 예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를 구성하는 고리앵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를 구성하는 고리앵커의 고정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물막이판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 진동과 풍하중에 의한 물막이판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는 신축이음부로 흐르는 물을 안내하는 차수패널(10)과, 차수패널에 의해 안내되는 물을 모아 일측의 집수구로 집수시키고 배출시키는 물막이판(20)과, 물막이판을 슬래브에 연결하는 고리앵커(30) 및 연결고리(40)를 포함한다.
상기 차수패널(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신축이음부의 하부에 설치되되, 슬래브나 교대에 고정되어 신축이음부를 통해 아래로 배출되는 물이 물막이판(20)의 안쪽으로 흐르게 안내하여 다른 부분으로 흐르지 않게 한다.
상기 차수패널(10)은 판체로 이루어지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브의 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단이 절곡되어 고정날개부(10f)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개부(10f)와 소정 각을 이루고 연장 형성되어 신축이음장치 하부로 흐르는 물을 물막이판의 안쪽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유도날개부(10g)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날개부와 유도날개부 사이의 각은 차수패널이 설치되는 슬래브 또는 교대, 교각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차수패널(10)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앵커 등에 의해 슬래브나 교각에 고정될 수 있으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설치할 경우 시공에 많은 시간 및 자제가 소요됨으로 상기 고리앵커(3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막이판(20)은 차수패널에 의해 안내되어 아래로 흐르는 물을 받아 일측의 집수구로 안내하여 다른 부분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물막이판(2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이 아래쪽으로 쳐져 물이 고여 흐르는 유로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의 양단에 다수의 결합홀(20h)이 형성되며, 양 가장자리가 상기 차수채널들의 바깥쪽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물막이판(20)은 다양한 폭의 신축이음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가요성(可撓性, flexibility)을 갖는 재질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홀(20h)을 연결고리(40)로 고리앵커(30)에 걸어 고정시킴에 의해 쉽게 슬래브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막이판(20)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고무시트(21)의 내부에 섬유보강재(22)를 적층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이렇게 물막이판(20)을 고무시트(21)의 내부에 섬유보강재(22)를 매설하여 제작함에 따라 물막이판(20)의 강도를 보강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외부의 자극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막이판(20)에는 보강부재(23)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23)는 물막이판(20)의 양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이는 물막이판(20)의 결합홀(20h)에 끼워 결합된 연결고리에 의해 결합홀이 찢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고리에 의해 매달린 물막이판은 바람이 불거나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 흔들릴 수 있고, 이렇게 물막이판(20)이 흔들리면 연결고리(40)와 결합홀(10h) 사이가 마찰되어 결합홀이 쉽게 손상되거나 찢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홀이 형성되는 양 가장자리 전체 또는 일부에 보강부재(23)를 설치하여 연결고리(40)와 결합홀(10h) 사이의 마찰에 의해 결합홀이 찢기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23)는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을 물막이판의 길이 방향 양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결합홀이 형성된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고무시트의 내부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재(23)는 가요성을 갖는 물막이판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막이판의 양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3)는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시트(21)의 양 가장자리 단부에 매설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리앵커(30)는 연결고리를 슬래브나 교대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단에 고리부(30o)가 형성된 앵커볼트가 될 수 있다.
상기 고리앵커(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는 상기 연결고리(4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부(30o)가 형성되고, 타단은 슬래브나 교각에 묻혀 고정된다.
상기 고리앵커(30)의 일단을 슬래브나 교대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고리앵커(30)의 일단을 굽혀 걸림부를 형성하고, 이 걸림부가 슬래브나 교대에 묻히도록 가설한 상태에서 슬래브나 교대를 시공함에 의해 슬래브나 교대에 고정되게 할 수 있으나, 이렇게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고리앵커를 설치할 경우 고리앵커가 설치되는 위치나 고리앵커의 방향이 틀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이 완료된 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량의 시공이 완료된 후 슬래브나 교대에 고정되는 고리앵커(30)는 기존에 만들어져 시판되는 다양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리앵커(30)는 원통형 관체 형상을 이루고 다수의 절개부를 갖는 앵커관(30a)과, 상기 앵커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앵커관의 절개부를 확장시켜 앵커관이 앵커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고정쐐기(30n)와, 상기 앵커관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홀(30s)에 조여져 고정되고, 일단에 고리부(30o)가 형성된 볼트부(30b)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리앵커(30)는 앵커고정홀에 고정쐐기(30n)의 일단이 끼워진 앵커관(30a)를 끼운 후, 타격하면 앵커관이 앵커고정홀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고정쐐기에 의해 절개부가 확장되어 앵커고정홀에 고정되고, 이렇게 앵커고정홀에 고정된 앵커관(30a)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볼트부(30b)를 조임에 고리앵커가 교대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리앵커(30)의 고리부(30o)는 차수패널(10)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40)는 고리앵커(30)에 물막이판(30)을 매다는 수단으로 고리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일측이 개방되어 물막이판(20)에 형성된 결합홀(20h)과 고리앵커의 고리부(30o)를 관통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연결고리(40)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물막이판(20)이 바람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면 개방된 부분으로 결합홀(10h)이나 고리부(30o)이 빠져 나갈 수 있으므로, 카라비너(carabin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설명에서 상기 물박이판(20)은 양단이 모두 고리앵커(30)에 의해 차수패널(10)의 바깥쪽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교대(200)와 슬래브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는 교대에 설치되는 단부는 교대의 측벽에 직접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교대의 측벽에 통상의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물막이판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누수 차단 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시공 방법은 교량의 슬래브(100)들 사이 또는 교량의 교대(200)와 슬래브에 사이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에 누수 차단 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슬래브 또는 교대에 고리앵커(30)가 설치될 다수의 앵커고정홀을 천공하는 단계; 차수채널(10)의 고정날개부(10f)에 형성된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리앵커(30)를 관통시켜 고리앵커(30)의 앵커관(32)이 앵커고정홀에 삽입 고정되게 하여 슬래브 또는 교대에 밀착된 상태로 차수패널이 고정되게 하는 차수패널 설치단계;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차수패널의 유도날개부(10g)의 바깥쪽에 겹쳐지게 물막이판의 길이 방향 단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물막이판에 형성된 결합홀(20h)과 고리앵커(30)에 형성된 고리부(30o) 사이에 연결고리(40)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공 방법은 연결고리(40)가 고리부(30o)와 결합홀(20h)을 관통하도록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의해 물막이판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물막이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 또한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차수패널 설치단계에서, 차수패널(10)을 관통한 고리앵커가 차수패널이 슬래브나 교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앵커고정홀에 고리앵커의 나사를 조임으로 해서 앵커고정홀에 고정하여야 한다. 고정앵커홀은 고정쐐기와 앵커관으로 구성되고 타격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시공되는 누수 차단 장치는 연결고리만 고리앵커와 물막이판 사이에 걸거나 분리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물막이판을 설치할 수 있어 누수 차단 장치의 시공이나 철거 또는 유지보수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10: 차수채널
10f: 고정날개부 10g: 유도날개부
20: 물막이판
20h: 결합홀
21: 고무시트 22: 섬유보강재
23: 보강부재
30: 고리앵커
30o: 고리부 30b: 볼트부
30a: 앵커관 30n: 고정쐐기
40: 연결고리

Claims (5)

  1. 교량의 슬래브(100)들 사이 또는 교량의 교대(200)와 슬래브에 사이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신축이음장치를 통과하여 하부로 흐르는 물을 모아 일측의 집수구로 배출시키는 누수 차단 장치로, 판체를 절곡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슬래브 또는 교대에 고정 설치되며, 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날개부(10f)와, 상기 고정날개부로부터 연장되고 신축이음장치 하부로 흐르는 물을 하기 물막이판의 안쪽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유도날개부(10g)로 이루어진 차수채널(10); 중앙이 아래쪽으로 쳐져 물이 고여 흐르는 유로를 구비하고, 양단이 상기 차수채널들의 바깥쪽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물막이판(20); 및 상기 차수채널을 관통하여 슬래브 또는 교대에 고정되어 차수패널을 슬래브 또는 교대에 고정시키는 고리앵커(30)를 포함하는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판(20)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다수의 결합홀(20h)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0h)이 형성된 양 가장자리에는 결합홀에 끼워 결합된 연결고리(40)에 의해 결합홀이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23)가 더 설치하였으며, 상기 고리앵커(30)의 단부에는 고리부(30o)가 형성되어, 상기 물막이판(20)에 형성된 결합홀(20h)과 고리앵커의 고리부(30o)에 연결고리(40)을 탈착 가능하게 끼워 물막이판을 고리앵커(30)에 탈착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물막이판이 슬래브나 교대에 구속되지 않고 유격이 존재함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무게와 운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이나 온도 차이에 의한 신축작용과 풍하중에 의한 변위 및 변형에도 물막이판이 파손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판(20)은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고무시트(21)의 내부에 섬유보강재(22)를 적층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40)는 카라비너(carabi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5. 삭제
KR1020160067017A 2016-05-31 2016-05-31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KR10168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17A KR101683185B1 (ko) 2016-05-31 2016-05-31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17A KR101683185B1 (ko) 2016-05-31 2016-05-31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185B1 true KR101683185B1 (ko) 2016-12-20

Family

ID=5773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017A KR101683185B1 (ko) 2016-05-31 2016-05-31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7391A (zh) * 2018-06-27 2018-11-13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桥梁用限水导水装置
KR20220066598A (ko) * 2020-11-16 2022-05-24 (주)한국알앤디 물돌리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각 관거 보수 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7910U (ko) * 1978-12-15 1980-06-17
KR19980060175U (ko) * 1997-03-07 1998-11-05 이정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26467Y1 (ko) 2000-12-22 2001-06-15 청송건설주식회사 교량 슬래브 이음새의 개폐식 누수받이
JP2008248494A (ja) * 2007-03-29 2008-10-16 C I Kasei Co Ltd 橋梁用導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84086B1 (ko) 2015-08-06 2016-01-12 시설건설(주)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탈착이 가능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7910U (ko) * 1978-12-15 1980-06-17
KR19980060175U (ko) * 1997-03-07 1998-11-05 이정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226467Y1 (ko) 2000-12-22 2001-06-15 청송건설주식회사 교량 슬래브 이음새의 개폐식 누수받이
JP2008248494A (ja) * 2007-03-29 2008-10-16 C I Kasei Co Ltd 橋梁用導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4787197B2 (ja) 2007-03-29 2011-10-05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橋梁用導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84086B1 (ko) 2015-08-06 2016-01-12 시설건설(주)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탈착이 가능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7391A (zh) * 2018-06-27 2018-11-13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桥梁用限水导水装置
KR20220066598A (ko) * 2020-11-16 2022-05-24 (주)한국알앤디 물돌리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각 관거 보수 공법
KR102473807B1 (ko) 2020-11-16 2022-12-06 (주)한국알앤디 물돌리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각 관거 보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0936969B1 (ko)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KR101683185B1 (ko) 탈착이 용이한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누수 차단 장치
KR101635868B1 (ko) 걸이식 교량 배수관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30253B1 (ko)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US55733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ning or forming a trench
KR20070020294A (ko)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US5613804A (en) Holding means for securing a liner to a trench
KR101305347B1 (ko) 도로 확장형 보도교
KR10143629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방법
KR101342135B1 (ko) 유동형 안전난간
KR20090110519A (ko) 복공판
KR101702272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KR101337024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JP2010150849A (ja) 道路橋の目地部における樋の取付け構造
KR20100009385U (ko) 개량형 에이치빔 연결클램프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KR101235246B1 (ko)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KR100938114B1 (ko) 교량용 물받이 겸용 신축이음장치
JP6068243B2 (ja) 道路用伸縮継手
CN216157235U (zh) 一种楼梯间洞口防护装置
KR101215133B1 (ko)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34580B1 (ko)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3197281U (ja) 道路用伸縮継手
KR100706932B1 (ko) 매달기식 교량 점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