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294A -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294A
KR20070020294A KR1020067026265A KR20067026265A KR20070020294A KR 20070020294 A KR20070020294 A KR 20070020294A KR 1020067026265 A KR1020067026265 A KR 1020067026265A KR 20067026265 A KR20067026265 A KR 20067026265A KR 20070020294 A KR20070020294 A KR 20070020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cover
trench cover
slip
slip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빈센트 바이른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빈센트 바이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빈센트 바이른 filed Critical 데이비드 빈센트 바이른
Publication of KR2007002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10Covering trenches for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원은, 넓고 깊게 파여진 참호와 같은 구덩이 형태의 트렌치를 일시적으로 덮는데 사용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립체는 미끄럼-방지 타일(30)과 분리 형성된 트렌치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타일(30)은 트렌치 덮개에 이탈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미그럼-방지 타일(30)은 몸체(5)의 상부면(6)에서 돌출 형성되고, 타일(5) 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통형 돌출부(21)를 함유하며, 그리고 상기 돌출부가 상부면(6)을 횡단하여 균일하게 이격져 있어서, 바퀴가 미끄럼-방지 타일(30) 위와 트렌치 덮개 위를 지나갈 때에 차량 바퀴의 미끄럼 동작 발생 가능성을 최소로 한다. 상기 몸체(5)는 몸체(5)를 관통하고 연장된 복수의 개구(22)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22)는 상부면(6)을 횡단하여 이격되어 있어서 미끄럼-방지 타일(3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몸체(5)의 상부면에서 빗물과 같은 물을 배수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2개 개구(31a)는 몸체(5)의 서로 반대편 단부 엣지에 위치한다. 조립 과정에서, 다수의 몸체(5)가 트렌치 덮개면에 놓여지고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져서 트렌치 덮개의 표면을 편평하게 덮는다. 반-원형 형태의 브라켓은 각 몸체(5)의 표면에서 대응 개구(31a) 안에 삽입된다. 상기 브라켓은 임팩트 건을 기동하여 경성 못을 박는 방식으로 트렌치 덮개의 표면에 고착된다.
미끄럼-방지 타일, 트렌치 덮개, 돌출부, 못, 브라켓, 필러, 부착부재.

Description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AN ASSEMBLY FOR COVERING A TRENCH}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도로 또는 보도에 만들어진 깊은 참호와 같이 구덩이로 파여진 트렌치(trench)를 일시적으로 덮는데 사용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트렌치를 일시적으로 대형의 강철 트렌치(steel trench) 덮개를 사용하여 그 위를 덮는 방식은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작업을 계속적으로 진행하면서 차량 통행을 할 수 있도록 도로 개방부와 트렌치 부분을 덮는데 사용하는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주물공장에서 압연공정으로 제작된 강판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재료의 사용은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많은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즉, 강철판(steel sheet)의 표면은 좋은 않은 도로/날씨 상태에서 또는 보통 도로/날씨 상태에서 조차도 차량의 미끄러짐 동작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량의 스키드 저항 값(SRV: Skid Resistance Value)을 갖게 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특히, 차량이 트렌치 덮개 위를 지나갈 때에 차량 바퀴의 미끄러짐이나 또는 사람이 트렌치 덮개 위를 지나갈 때에 보행자 발의 미끄러짐은 흔히 발생하는 일이다. 이러한 미끄러짐은 교통체증 및/또는 사고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기 문제의 일부분을 해결시킨 트렌치 위를 덮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분리식으로 형성된 트렌치 덮개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분리식으로 형성된 트렌치 덮개에 부착되는 몸체와;
다른 일 요소가 상기 몸체를 지나갈 때에 상기 요소의 다른 요소가 미끄러질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차량 바퀴가 미끄럼-방지 요소를 지나가고 그리고 트렌치 덮개를 지나면서 차량 바퀴가 미끄러질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로 하거나 또는 보행자가 미끄럼-방지 요소 위를 걸어서 트렌치 덮개 위를 걸어갈 때에 보행자의 발이 미끄러질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로 한 것이다. 따라서, 교통 지체 및/또는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로 한 것이다.
미끄럼-방지 요소를 분리식으로 형성된 트렌치 덮개에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트렌치 덮개가 가장 편리한 방식, 일반적으로 압연 공정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작되게 한다. 특히, 미끄럼-방지 요소가 미끄럼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트렌치 덮개를 제작하는 생산자가 완만한 표면으로 인한 잠재적 미끄럼동작의 위험 가능성의 여부를 고려할 필요 없이 제작할 수 있다.
만일 트렌치 덮개 제작인이 임의 형태의 미끄럼-방지 수단과 일체적으로 트렌치 덮개를 제작하려고 시도한다면, 그러한 시도는 상당히 복잡한 제작공정를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미끄럼-방지 수단과 일체적으로 트렌치 덮개를 제작하는 데에는 압연작업 후에 트렌치 덮개의 표면에 미끄럼-방지 수단을 기계 가공시킬 필요가 있거나 또는 트렌치 덮개와 일체형의 미끄럼-방지 수단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특별한 다이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의 제작공정의 복잡함은 트렌치 덮개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증가하게 할 것이다. 사용되는 추가 시간과 비용은 트렌치 덮개가 상당히 대형인 경우, 예를 들면 2.5m의 길이와 2m의 폭의 트렌치 덮개인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를 일으킬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는 트렌치 덮개에서 이탈(release) 가능하게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다.
상기 몸체가 트렌치 덮개에서 이탈되어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는 사용인이 소망하는 바대로, 자유롭게, 미끄럼-방지 요소를 재-사용 및/또는 재-위치 및/또는 수리할 수가 있다.
상기 몸체는 기계적 부착수단으로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다.
일 경우에서, 상기 요소는 몸체를 관통해 트렌치 덮개 안으로 연장될 수 있는 부착부재를 함유하며,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트렌치 덮개에 상기 몸체를 부착한다. 부착부재는 몸체와 결합하는 두부(head part)와, 몸체를 통해 트렌치 덮개 안으로 연장될 수 있는 레그(leg part)를 포함한다. 두부는 레그에서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서,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 몸체를 떼어내는 이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경우에서, 부착 부재는 임팩트 건에 의해 트렌치 덮개에 박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는 몸체를 관통한 접근 개구(access 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서 부착 부재가 연장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는 주 개구를 함유한 주 몸체 부분(main body part)과, 주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하는 주 개구에 위치한 필러 파트(filler part)를 포함한다. 상기 필러 파트는 필러 파트를 관통하는 접근 개구를 포함한다. 일 경우에서, 상기 몸체는 몸체가 트렌치 덮개에 부착될 때에 트렌치 덮개와 접하는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쪽 내부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진 주 개구를 포함한다. 필러 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되어 있다. 필러 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 경우에서, 주 개구는 주 몸체 부분의 엣지에 위치한다. 주 개구의 종축선에 대한 수직 횡단면에서, 주 개구는 대략 "C"-형태로 있다. 필러 파트의 종축선에 대한 수직 횡단면에서, 필러 파트는 대략 "C"-형태로 있다. 주 개구의 종축선에 대한 수직 횡단면에서, 주 개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략 반원(half-round)의 형태이다. 필러 파트의 종축선에 대한 수직 횡단면에서, 상기 필러 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략 반원의 형태이다.
다른 경우에서는, 주 개구가 대략 주 몸체 부분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다. 주 개구의 종축선에 대한 수직 횡단면에서, 상기 주 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글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러 파트의 종축선에 대한 수직 횡단면에서, 상기 필러 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원형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요소는 상기 몸체를 트렌치 덮개에 고정시키는 부착 부재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는 적어도 몸체 부분 위로 연장하는 립(lip)을 함유하여, 몸체를 트렌치 덮개에 고정시킨다. 부착 부재는 트렌치 덮개에 고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1익부를 포함한다. 상기 요소는 제1익부를 통해 운영할 수 있는 고착 부재를 포함하여, 제1익부를 트렌치 덮개에 고착시킨다. 고착 부재는 임팩트 건에 의해 제1익부를 통해 박혀지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 경우에서, 몸체는 고착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익부는 고착 개구에 위치한다. 상기 부착 부재는 몸체와 트렌치 덮개와의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구조의 제2익부를 함유한다. 상기 몸체는 제2익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1개 부착 부재는 2개 이상의 요소의 몸체를 트렌치 덮개에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임의 경우에서, 사용인은 2개 이상의 미끄럼-방지 요소를 단일 부착 부재를 사용하여 단일 트렌치 덮개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미끄럼-방지 환경을 보장하면서 트렌치를 덮는데 필요한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추가 경우에서는, 상기 몸체가 용접에 의해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다.
미끄럼 최소 수단은 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몸체가 트렌치 덮개에 부착될 때 트렌치 덮개와 이격 대면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미끄럼 최소 수단은 상부면에서 돌출된 1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미끄럼 최소 수단은 상부면을 횡단하여 균일하게 이격져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함유한다. 각각의 돌출부는 대체로 동일한 것이다. 미끄럼 최소 수단은 1개 이상의 제1돌출부와 1개 이상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1개 이상의 제1돌출부는 1개 이상의 제2돌출부보다 상부면으로부터 더 먼거리까지 돌출한다. 제1돌출부는 상부면에서 대략 4mm 돌출하여 있다. 제2돌출부는 상부면에서 대략 2mm 돌출하여 있다. 일 경우에서, 미끄럼 최소 수단은 복수의 제1돌출부와 복수의 제2돌출부를 함유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제2돌출부와 관련하여 대략 "W"-형태의 모양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 배치된다.
미끄럼-방지 요소상에 돌출부의 "W"-형태의 모양은 임의 경우에서 특정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발견되어져 있다. 특히, 상기 형태의 모양은 차량 바퀴가 개시적으로 미끄럼-방지 요소에서 회전함으로서 1개 하부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차량의 접근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1개 상부 돌출부에 걸려지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1개 이상의 중량-감소 불연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불연속부는 몸체를 통해 연장된 개구를 함유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를 통하는 개구는 미끄럼-방지 요소의 전체 중량을 감소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감소 요소는 운영과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미끄럼 발생 가능성을 저하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서,상기 몸체는 배수 수단을 포함한다. 배수 수단은 몸체를 통해 연장된 개구를 함유한다.
상기 개구는 몸체의 상부면에서 빗물과 같은 물을 배수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표면수를 배수시킴으로서, 타일의 전체 미끄럼-방지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몸체의 두께는 25mm와 30mm 사이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트렌치를 덮개용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조립체는: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요소와;
분리식으로 형성된 트렌치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렌치 덮개는 금속재료 및/또는 합성재료를 함유한다. 상기 금속재료는 강철(steel)을 함유한다.
상기 트렌치 덮개는 압연, 인발, 압출, 주조, 또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일 경우에서, 트렌치 덮개의 길이는 2m보다 더 길다. 트렌치 덮개의 폭은 0.3m보다 더 크다. 트렌치 덮개의 표면적은 1㎡보다 더 넓다. 트렌치 덮개의 중량은 5kg보다 더 무겁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렌치 덮개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상부면은 대체로 완만하다.
트렌치 덮개는 트렌치 위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대체로 연속적인 덮개로서 트렌치를 덮는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트렌치를 덮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미끄럼-방지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분리식으로 형성된 트렌치 덮개를 제공하는 단계;
미끄럼-방지 요소를 트렌치 덮개에 부착하는 단계; 및
트렌치를 덮도록 트렌치에 대해서 트렌치 덮개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경우에서, 미끄럼-방지 요소는 상기 트렌치를 덮기 전에 트렌치 덮개에 부착한다. 다른 경우에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트렌치 덮개가 트렌치를 덮는 위치에 있는 동안에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미끄럼-방지 요소를 통해 트렌치 덮개 안으로 부착 부재를 연장 형성하여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다. 임팩트 건을 사용하여 트렌치 덮개에 부착 부재를 박아 넣는다.
미끄럼-방지 요소는 트렌치 덮개에 클램프 고정된다. 일 경우에서, 부착 부재는 적어도 미끄럼-방지 요소의 위로 연장하여 미끄럼-방지 요소를 트렌치 덮개에 클램프 고정시킨다. 상기 방법은 트렌치 덮개에 부착 부재를 고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개 이상의 미끄럼-방지 요소가 1개 부착 부재를 사용하여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다.
일 경우에서, 미끄럼-방지 요소는 트렌치 덮개에서 떼어낼 수 있게 이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방법은 트렌치 덮개에 미끄럼-방지 요소의 부착을 떼어내는 단계와, 미끄럼-방지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 미끄럼-방지 요소는 부착 부재의 레그로부터 부착 부재의 두부를 분리하여 이탈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미끄럼-방지 조립체는:
평판 면에 1개 이상의 오목부를 가진 평판과;
상기 평판 면에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오목부에 위치 설정된 1개 이상의 대응 스터드(stud)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평판은 트렌치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면에서, 본 발명은 트렌치 덮개를 제공하며, 상기 트렌치 덮개는:
트렌치 위로 연장 형성된 덮개 부재;
상기 트렌치의 적어도 일 측에 지면에 대한 덮개 부재의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부재는, 중앙 트렌치 덮개 부분에 의해 가교되는 1쌍의 지지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쿠션 부재는, 트렌치 측부에 있는 지표면이 고르지 않을 때에도, 지면에 대한 덮개 부재의 진동을 최소로 하게 동작한다. 또한, 쿠션 부재는 트렌치 덮개 위를 지나가는 차량과 보행인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로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쿠션 부재는 트렌치의 양측에 지면과 상관하여 덮개 부재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쿠션 부재는 2개 이상의 분리 쿠션동작 요소를 포함한다.
일 경우에서, 쿠션 부재는 트렌치 일 측에 지면과 적어도 지지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구조이다. 쿠션 부재는 지지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쿠션 부재는 지지 부분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일 경우에서, 쿠션 부재는 암 오목부에 수 돌출부가 결합하는 식으로 지지 부분에 장착된다. 상기 쿠션 부재는 수 돌출부를 함유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 부분은 암 오목부를 함유할 수 있다.
쿠션 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쿠션 부재의 일부분이 덮개 부재의 하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덮개는 덮개 부재를 일 요소가 지나갈 때에 상기 요소가 미끄러지는 동작을 행할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추가적으로, 트렌치 덮개를 제공하며, 상기 트렌치 덮개는:
트렌치 위로 연장 형성된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위를 일 요소가 지나갈 때에 상기 요소가 미끄러지는 동작을 행할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 부재는 중앙 트렌치 덮개 부분에 의해 가교된 1쌍의 지지 부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끄럼 최소발생 수단은 덮개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 부재는 덮개 부재가 트렌치 위로 연장 형성될 때에 트렌치와 이격 대면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미끄럼 최소발생 수단은 상부면에서 돌출된 1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 최소발생 수단은 상부면을 횡단하여 균일하게 이격져 있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는 대체로 동일한 것이다.
돌출부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하는 제1횡단면의 경우에, 상기 돌출부는 대체로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하는 제2횡단면에서, 상기 돌출부는 대략 정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돌출부의 상부부분은 대략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부분은 대략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는 덮개 부재에 따르는 트렌치 요소를 포함하여 트렌치에 대한 덮개 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 요소는 덮개 부재에 대한 이동 동작을 할 수 있어서 필요한 폭의 트렌치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양쪽의 트렌치 결합 요소가 덮개 부재와 상관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덮개가 트렌치의 폭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으며, 반면에, 덮개는 트렌치의 각각의 측부에 있는 지지 부분의 양을 대체로 동일하게 갖는 트렌치 위에 중앙에 확실하게 위치하게 된다.
단일체의 매우 콤팩트하게 이루어진 덮개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서로 다른 폭의 트렌치의 광범위한 넓은 부분을 덮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경우에서, 트렌치 결합 요소가 회전운동하기 보다는 길이방향 운동을 하기 때문에, 트렌치 결합 요소의 방향(orientation)은 트렌치의 임의 폭에 맞추어서 사전-결정된다. 따라서, 일정한 예측가능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손잡이 부분은 소망 위치로 트렌치 결합요소를 이동하는데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상기 트렌치 결합요소를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일 경우에서, 상기 덮개는 덮개 부재의 횡단측에 있는 제1상호연결 수단과 덮개 부재의 반대편 횡단측에 있는 상보형 제2상호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또는 제2상호연결 수단은 조립체 상에서 유사 덮개의 나머지 제1 및 제2상호연결 수단과 하부측에서 결합한다.
본 발명은 부가로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조립체는 본 발명의 복수의 트렌치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택식 미끄럼-방지 시스템과 대비되는 많은 잇점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만일 특정 타입의 연마 그릿(grit)이 주입되어진 에폭시 수지의 조합물을 트렌치 덮개에 적용하여 특정한 SRV를 가진 만족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면을 제공하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이를 적용하는데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될 것이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시의 평균 교통흐름량으로 산정하여 볼 때 6개월 내지 18개월의 수명을 가질 것이다. 또한, 처리가공을 위해 매회 특정 설비가 있는 곳으로 강철판을 이송시킬 필요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필요한 SRV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위치에 있는 동안 시스템을 끊임없이 감시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특정 설계 제작된 미끄럼-방지 타일(anti-skid tile)을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과 상당히 늘어난 수명을 갖는 필요한 SRV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타일은 유효한 기계적 수단으로 로드 강철 평판면(the surface of the steel road plate)에 고착되고 그리고 수리를 하여야 할 때에는 개별 유닛으로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주조, 성형 또는 몰드 형성된 타일은, 필요한 스키드 저항 값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특정적으로 설계되고 이격져 있는 상부면상에 설치된 1세트의 돌출부를 갖는 것이다. 주어진 치수의 일반적인 강철판을 사용하여, 전체 세트의 타일을 로드 철판면을 완전하게 덮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기계적 고착 방법은, 일 실시예에서, 타일에 있는 오목부 내부에 위치한 정 위치에서 타일을 유지하는 로케이션 브라켓(location bracket)을 포함한다.
로케이션 브라켓을 직접 통해서 로드 강철 평판면에 경성 강철못을 용접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로케이션 브라켓을 제위치에 고착시키고, 그리고 주어진 위치에 타일을 유지시킨다.
상기 브라켓은 임의 단계에서 수리 또는 교체 필요성이 있을 때에 연마 그라운딩작업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타일에는, 축축한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SRV를 유지하도록 타일 표면에서 물의 배수를 수월하게 하는 수단으로 작용하는 홀(hole)로, 미끄럼-방지 돌출부 사이에 일체형 홀이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을 참고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방식으로 실시예를 통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렌치를 덮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조립체의 미끄럼-방지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에 IV-IV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도3에 V-V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사용 시에, 도1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7은 사용 시에, 도1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렌치를 덮는 다른 조립체의 미끄럼-방지 요소의 위에서 바라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9는 도8의 요소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0은 도8의 요소의 단부도이다.
도11은 도8의 요소의 입면도이다.
도12는 도8에 XII-XII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은 도12의 요소의 단부를 횡단면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14는 도8의 요소의 주 몸체 부분과 2개 필러 파트의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1개 필러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16은 도15의 필러 파트의 입면도이다.
도17은 도15에 D-D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18은 도14의 주 몸체 부분과 도15의 필러 파트의 평면도이다.
도19는 도18에 XIX-XIX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렌치를 덮는 다른 조립체의 미끄럼-방지 요소의 주 몸체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요소의 필러 파트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2는 도21의 필러 파트의 입면도이다.
도23은 도21의 필러 파트의 단부도이다.
도24는 도21의 필러 파트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5는 도21의 필러 파트의 다른 단부도이다.
도26은 도21에 XXVI-XXVI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27은 도21에 XXVII-XXVII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28은 도21의 필러 파트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9는 도21의 필러 파트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렌치를 덮는 다른 조립체의 미끄럼-방지 요소의 몸체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1은 도30의 몸체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2는 도30의 몸체의 입면도이다.
도33은 도30에 XXXIII-XXXIII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34는 도30의 몸체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5는 도30의 몸체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6은 도30의 요소의 부착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7는 도36의 부착 부재의 입면도이다.
도38은 도36의 부착 부재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9는 도36의 부착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렌치를 덮는 다른 조립체의 미끄럼-방지 요소의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41은 도40의 요소의 부착부재의 평면도이다.
도42는 도41의 부착 부재의 단부도이다.
도43은 사용 시에, 도40의 몸체와 도41의 부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44는 도43의 몸체와 도43의 부착부재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4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렌치 덮개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6은 도45의 트렌치 덮개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7은 도45의 트렌치 덮개의 덮개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48은 도47의 덮개 부재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49는 도47의 덮개 부재의 입면도이다.
도50은 도47의 덮개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1은 도47의 덮개 부재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2는 도47의 덮개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다.
도53은 도47의 덮개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54는 도47의 덮개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다른 확대 평면도이다.
도55는 도45의 트렌치 덮개의 트렌치 요소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56은 도55의 트렌치 요소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57은 도55의 트렌치 요소의 입면도이다.
도58은 도55의 트렌치 요소의 다른 입면도이다.
도59는 도55의 트렌치 요소의 단부도이다.
도60은 도55의 트렌치 요소의 다른 단부도이다.
도61은 도55의 트렌치 요소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2는 도55의 트렌치 요소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3은 도45의 트렌치 덮개의 쿠션 부재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64는 도63의 쿠션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65는 도63의 쿠션 부재의 입면도이다.
도66은 도63의 쿠션 부재의 다른 입면도이다.
도67은 도63의 쿠션 부재의 단부도이다.
도68은 도63의 쿠션 부재의 다른 단부도이다.
도69는 도64에 Z-Z선을 따라 절취되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70은 도64에 Y-Y선을 따라 절취되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71은 도64에 X-X선을 따라 절취되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72는 도63의 쿠션 부재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3은 도63의 쿠션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4는 도45의 트렌치 덮개의 다른 쿠션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75는 도74의 쿠션 부재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76은 도74의 쿠션 부재의 입면도이다.
도77은 도76에 W-W선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78은 도74의 쿠션 부재의 위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9는 도74의 쿠션 부재의 아래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을 참고로 하여 참호와 같은 트렌치(2)를 일시적으로 덮는데 사용하기에 적절한 조립체(1)를 설명한다. 상기 조립체(1)는 미끄럼-방지 타일(4)과 분리식으로 형성된 트렌치 덮개(3)를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타일(4)은 트렌치 덮개(3)에 떼어낼 수 있게 부착되어, 바퀴가 타일(4)위를 지나가 트렌치 덮개(3)위를 지나갈 때에 예를 들어, 차량 바퀴가 미끄러지게 동작할 가능성을 최소로 한다.
트렌치 덮개(3)는, 이 경우에는 양호하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 덮개(3)의 형태로 강철을 압연하여 제작된다. 이 경우에, 트렌치 덮개(3)는 대략 1.2m의 폭(W)과, 대략 2.5m의 길이(L)를 갖고 그리고 약 1000kg의 중량을 갖는다.
트렌치 덮개(3)의 상부면은 대체로 원만하다. 트렌치 덮개(3)가 상기 트렌치(2) 위에 연장되어 놓여지게 되면(도6 및 도7), 상기 트렌치 덮개(3)는 대략 연속 덮개로서 상기 트렌치(2)를 덮게 된다. 특히, 여기에서는 트렌치 덮개(2)를 관통하는 갭 또는 공간은 없다.
도3 내지 도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타일(4)은 상부면(6)과 하부면(7)을 가진 몸체(5)를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타일(4)이 트렌치 덮개(3)에 부착되면, 상기 하부면(7)이 트렌치 덮개(3)(도2)와 접촉하고(도2) 그리고 상부면(6)은 트렌치 덮개(3)로부터 이격져 대면한다.(도2) 상기 몸체(5)의 두께는, 이러한 경우에는, 25mm ~ 30mm사이에 있다.
상기 몸체(5)는 주 몸체 부분(14a)과 2개 필러 파트(14b)를 포함한다. 상기 주 몸체 부분(14a)은 몸체를 관통하는 2개 테이퍼진 주 개구(11a)를 갖고 그리고 각각의 필러 파트(14b)는 상기 파트를 관통하는 소직경의 접근 개구(11b)를 갖는 다. 도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주 개구(11a)는 몸체(5)의 하부면(7)을 향하는 내부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이다. 사용 시에, 상기 필러 파트(14b)는 주 개구(11a) 내부에 위치하여, 필러 파트(14b)가 대체로 상기 주 개구(11z)를 충진한다. 각각의 필러 파트(14b)는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미끄럼-방지 타일(4)은 상부면(6)에서 돌출되어 상부면(6)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져 형성된 복수의 원통형 돌출부(8, 9)를 함유한다(도3). 상기 돌출부(8, 9)는 차량 바퀴가 미끄럼-방지 타일(4)위를 지나가 트렌치 덮개(3)위를 지나갈 때에 차량의 바퀴가 미끄러질 가능성을 최소로 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돌출부(8, 9)는 몸체(5)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돌출부는 1세트의 제1돌출부(8)와 1세트의 제2돌출부(9)로 분할된다. 제1돌출부(8)는 제2돌출부(9)보다 더 원거리까지 상부면(6)에서 돌출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1돌출부(8)의 거리는 대략 4mm이고,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9)의 거리 대략 2mm가 된다.
도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타일(4)의 측부 엣지를 따라서, 제1돌출부(8)가 제2돌출부(9)와 상관하여 대략 "W"-형태의 모양으로 정렬 배치된다. 또한, 제1돌출부(8)는 미끄럼-방지 타일(4)의 중앙에 제2돌출부(9)와 상관하여 대략 십자(cross)-형태의 모양으로 정렬 배치된다. 도3에서, 제1돌출부(8)는 X표시를 하여 제1돌출부(8)의 위치와 제2돌출부(9)의 위치와의 사이를 구별시키었다. 그리고, 모든 돌출부(8, 9)는, 이 경우에서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미끄럼-방지 타일(4)은, 이 경우에서는 몸체(5)의 필러 파트(14b)에 있는 대응 접근 개구(11b)를 통해 트렌치 덮개(3) 안으로 2개 부착 부재(10)를 연장시키어서, 기계적 부착 설비로 트렌치 덮개(3)에서 이탈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이 경우에, 각각의 부착 부재(10)가 절두원추형 쐐기 필러 파트(14b)에 대한 결합용 두부(12)를 가진 못(15)의 형태로 주어져서, 몸체(5)의 필러 파트(14b)에 있는 접근 개구(11b)를 통해 트렌치 덮개(3) 안으로 연장되는 레그(13)와 주 개구(11a)의 측부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못(15)은 임팩트 건을 사용하여 트렌치 덮개(3)에 박혀져서, 트렌치 덮개(3)에 있는 정위치에 부착 부재(10)의 레그(13)를 고착 시킨다.
못(15)의 두부(12)는 레그(13)로부터 예를 들어 두부(12)를 연마하여 분리시킬 수 있어서, 트렌치 덮개(3)에 미끄럼-방지 타일(4)의 부착을 떼어내기 수월하게 한다.
사용 시에, 미끄럼-방지 타일(4)은 트렌치 덮개(3)상에 임의적인 소망 위치에서 트렌치 덮개(3)와 접촉하는 몸체(5)의 하부면(7)이 위치하게 한다. 못(15)은 임팩트 건을 사용하여 필러 파트(14b)에 있는 접근 개구(11b)를 통해 트렌치 덮개(3)에 박혀져서, 트랜치 덮개(3)에서의 정위치에 부착 부재(10)의 레그(3)를 고착시킨다. 이러한 고착 위치에서, 두부(12)가, 주 개구(11a)의 측부에 대해 결합하여 트렌치 덮개(3)에 이탈가능하게 부착된 미끄럼-방지 타일(4)을 유지하는 필러 파트(14b)와 결합한다.
다음, 미끄럼-방지 타일(4)이 부착된 트렌치 덮개(3)는 도6과 도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렌치(2)와 상관하여 위치되어서 상기 트렌치(2)를 덮게 된다.
트렌치 덮개(3)에 부착된 미끄럼-방지 타일(4)을 떼어내려 할 때에는, 먼저, 부착 부재(10)의 두부(12)를, 예를 들어 두부(12)를 연마하여 레그(13)에서 이탈 시킨다. 다음, 미끄럼-방지 타일(4)을 제거한다.
미끄럼-방지 타일(4)은 트렌치 덮개(3)가 트렌치(2)를 덮는 위치에 있는 동안에 트렌치 덮개(3)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필요한 정도의 미끄럼-방지 성능은 2개 이상의 미끄럼-방지 타일(4)을 트렌치 덮개(3)상에 임의 소망 위치에 트렌치 덮개(3)에 부착하여 달성한다.
부착 못(15)의 사용에 더하거나 선택적인 기술로서, 용접을 이용하여 몸체(5)를 트렌치 덮개(3)에 부착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 타일(4)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미끄럼-방지 타일(4)이 타일(4)을 관통하는 개구와 같이 재료를 감소시킨 영역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세트의 4개 돌출부(8, 9) 사이에 미끄럼-방지 타일(4)을 관통하는 개구를 설치하여, 미끄럼-방지 타일(4)의 전체 중량을 33%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개구는 또한 타일(4)의 상부표면에서 빗물과 같은 물의 배수 능력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배수 능력의 향상은 미끄럼-방지 성능의 향상과 정비례 한다.
다른 미끄럼-방지 수단이 돌출부(8, 9)에 더해져서 사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인트 또는 요홈(groove)을 몸체(5)의 상부면(6)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8, 9)의 높이를 변경하여 임의적인 소망하는 미끄럼-방지 효과 를 이룰 수도 있다.
미끄럼-방지 타일(4) 및/또는 트렌치 덮개(3)가 선택적으로 임의적인 다른 적절한 금속재료를 사용하거나 또는 비-금속재료를 사용하거나 또는 합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미끄럼-방지 타일(4) 및/또는 트렌치 덮개(3)가 선택적으로 임의적인 다른 적절한 제조공정, 예를 들면, 인발, 압출, 주조 또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음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출성형 공정에 의한 트렌치 덮개(3) 및/또는 미끄럼-방지 타일(4)의 제작으로, 트렌치 덮개(3) 및/또는 미끄럼-방지 타일(4)의 전체 중량이 감소된다.
도8 내지 도1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도1 내지 도7의 타일(4)과 유사한 다른 미끄럼-방지 타일(20)을 설명하며,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서, 미끄럼-방지 타일(20)은 상부면(6)에서 돌출되고 상부면(6)을 횡단하여 일정한 공간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형 돌출부(21)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21)는 대체로 동일하다. 이 경우에서, 각각의 돌출부(21)는 정사각형 정상부를 가진 약간 옴폭 들어간 보조개(dimple) 형태로 이루어진다.
몸체(5)는 몸체(5)를 통해 연장된 복수개의 개구(22)를 갖고, 상기 개구(22)는 상부면(6)을 횡단하여 이격져 있다. 상기 개구(22)는 미끄럼-방지 타일(2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게 한다.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타일의 전체 중량은, 예를 들어, 몸체(5)를 횡단하여 1개 이상의 중량-감소물의 불연속적인 정렬 배치에 의한 것과 같은 많은 가능한 방 식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몸체(5)를 관통하는 개구(22)의 형태(도8 내지 도19), 및/또는 몸체(5)에 있는 오목부의 형태, 및/또는 몸체(5)의 얇은-하향 파트(thinned-down parts)의 형태, 및/또는 몸체(5)를 횡단하는 몸체(5)를 이루는 재료를 변경한 형태가 불연속적으로 정렬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개구(22)는 몸체(5)의 상부면에 있는 빗물과 같은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수단도 제공한다. 표면의 물을 배수시킴으로서, 타일(20)의 전체 미끄럼-방지 성능은 더욱 향상된다.
도1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렌치 덮개(3)와 필러 파트(14b)의 기초부 사이에 고무 그로밋(23) 또는 와셔가 제공된다. 필러 파트(14b)는 강철 요소로서 제공되고 그리고 와셔(24)가 필러 파트(14b)의 상부면과 부착 부재(10)의 두부(12) 사이에 함유된다.
도8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카운터성크(countersunk) 못 삽입 스터드/스페이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강철/알루미늄/플라스틱/덕타일(ductile) 주철로 제조된 카운터성크 스페이서(14b)와, 대응 카운터성크 스페이서(14b)를 수용하는 카운터성크 구역 지점(11a)을 가진 미끄럼-방지 타일(5)을 포함한다.
조립을 하는 중에, 상기 타일(5)은 필요한 곳에 배치된다. 관통-홀(11b) 또는 슬롯 홀을 갖고/갖지않은 상태로 기계가공 되어진 카운터성크 스페이서(14b)를, 강철 못(15)을 삽입시키기 위해 설치한다. 카운터성크 스페이서(14b)는 미끄럼-방지 타일(5)상에 위치한 대응 수용 지점(11a)에 배치된다. 임팩트 건을 기동하여 박혀지는 강철 못(15)이나 또는 전기 용접을 사용하여 상기 스페이서(14b)를 로드 강철평판면(3)에 고착시킨다.
도20 내지 도2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미끄럼-방지 타일(30)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8 내지 도19의 타일(20)과 유사하며, 도20 내지 도29에 있는 유사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 주 몸체 부분(14a)에 있는 2개 주 개구(31a)는 주 몸체 부분(14a)의 반대측 단부 엣지에 위치하게 된다. 도20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주 개구(31a)는 대략 "C"-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반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사하게,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필러 파트(32b)는 대략 "C"-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반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필러 파트(32b)를 관통한 접근 개구(33)는 이 경우에서 대략 신장형이고, 필러 파트(32b)는 몸체(5)의 하부면(7)쪽으로 내부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이다.
도20 내지 도29는 본 발명의 반원형 앵커 브라켓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2mm 마일드 또는 스테인리스강철로 제조되고 그리고 천공된 슬롯 홀(33)이 형성된 반원형 브라켓(32b)과, 반원형 브라켓(32b)과 조화를 이루는 만곡된 엣지 외형상을 가진 미끄럼-방지 타일(5)을 포함한다.
조립을 하는 중에, 1세트의 미끄럼-방지 타일(5)이 로드 강철평판면(3)에 20-50mm 간격으로 이격져 배치되어, 강철평판면(3)을 균일하게 덮는다. 반원형 형태의 브라켓(32b)은 각 타일(5)의 표면에 있는 대응 슬롯(31a) 안에 삽입된다.
상기 브라켓(32b)의 형태는 강성(rigidity)을 창출하는데 유익한 것이다.
브라켓(32b)은 임팩트 건으로 타격되는 경성 못에 의해 로드 강철평판면(3) 에 고착된다. 그리고, 평판면(3)에 각 브라켓(32b)을 고착하여, 결국적으로 타일(30)을 고정하는 브라켓(32b)의 중앙에 전기 아크용접의 형성을 허용하게 하는 슬롯 홀(33)을 설치한다.
타일(30)은 일반적으로, 최소 2개 브라켓으로 고착된다.
다른 방법에서는, 타일(30)의 중앙에 위치한 오직 1개 브라켓 만을 가진 타일(3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정사각형 형태와 같이 원형 이외에 형태로 이루어진 브라켓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타일(30)이 그 중앙 주위를 회전할 수 없을 것이다.
도30 내지 도3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적인 미끄럼-방지 타일(40)을 설명하는데, 도20 내지 도29의 타일(30)과 유사한 것이고 그리고, 도30 내지 도39에 유사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서는, 부착 부재(41)가 제1익부(42)와, 제2익부(43) 및 2개 익부(42, 43)를 가교시키는 상승 립(44)을 포함한다.(도36 내지 도38) 상기 부착 부재(41)는 트렌치 덮개(3)에 몸체(5)를 클램프 고정하기에 적절한 것이다.
제2익부(43)는 몸체(5)에 있는 접근 개구(45)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트렌치 덮개(3)의 상부면과 몸체(5)의 하부면(7)과의 사이에 제2익부(43)가 위치한다. 몸체(5)의 하부면(7)에 오목부(46)를 설치하여, 몸체(5)가 트렌치 덮개(3)와 같은 높이로 놓일 수 있게 하면서 제2익부(43)를 수용한다.
몸체(5)는 몸체(5)의 엣지에서 고착 개구(47)를 갖고 그리고 제1익부(42)는 제1익부(42)를 트렌치 덮개(3)에 고착시키기 위해 고착 개구(47)에 위치한다. 못(15)과 같은 고착 부재는 제1익부(42)를 통해 트렌치 덮개(3) 안에 박혀져서 부착 부재(41)를 트렌치 덮개(3)에 고착한다. 임팩트 건을 사용하여 고착 부재(15)를 제1익부(42)를 통해 박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립(44)이 접근 개구(45)와 고착 개구(47)와의 사이에 가교 핑거(48)위로 연장 형성되며 그리고, 몸체(5)가 트렌치 덮개(3)에 클램프 결합하게 한다.
도30 내지 도39는 본원 발명의 플랩 앵커 브라켓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마일드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고 사각형 브라켓(41)의 상부 중앙 구간에서 상승부(44)가 형성된 플랩/단차진 앵커 브라켓(41)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41)은 2개 측/단부 상에서 직사각형의 슬롯진 만곡부(47)를 가진 미끄럼-방지 타일(5)과 하부 구간(42, 43)과 평행하게 있으며, 상기 만곡부에는 앵커 브라켓(41)이 수용된다.
조립 중에, 상기 타일(5)은 필요한 곳에 배치 된다. 단차진/직사각형 브라켓(41)이 각 단부에서 타일(5)에 주조되어져 있는 대응 30mm 슬롯(45)을 통해 삽입된다. 미끄럼-방지 타일(5)의 하측부에서는, 카운터성크 위치(46)가 사각형 브라켓(45)을 수용하도록 주조되어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끄럼-방지 타일(5)이 로드 강철평판면(3)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게 한다. 다음, 직사각형 브라켓(42)이 임팩트 건을 기동하여 타격되는 강성 못(15)에 의해 로드 강철평판면(3)에 고착된다. 물론, 전기아크 용접에 의한 방법으로 브라켓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도40 내지 도4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미끄럼-방지 타일(50)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30 내지 도39의 타일과 유사한 것으로, 도40 내지 도44에 유사 구성요 소에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서, 부착 부재(51)는 신장되어 있으며, 2개 이상의 몸체(5)위로 연장 형성되어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부착 부재(51)를 사용하여 트렌치 덮개(3)에 몸체(5)를 클램프 고정시킨다.
부착 부재(51)는 복수의 상승 립(53)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익부(52)를 포함한다. 각각의 익부(52)가 몸체(5)의 엣지에 있는 대응 고착 개구(54)에 배치되어지고 그리고 각각의 립(53)은 인접한 고착 개구(54)와의 사이에 몸체(5) 위로 연장된다. 트렌치 덮개(3)에 각각의 익부(52)를 고착시키어서, 예를 들면 각각의 익부(52)를 통해 트렌치 덮개(3) 안으로 고착 부재(15)를 박아 넣어서, 복수의 몸체(5)가 트렌치 덮개(3)에 클램프 고정된다.
도40 내지 도44는 본 발명의 스트립 앵커 방법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언급된 "스트립 앵커 방법(strip anchor method)"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반원형 앵커 브라켓(51)을 프레스(press)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로드 강철평판면(3)상에 1세트 또는 1열의 미끄럼-방지 타일(5)을 배치할 것이다. 이때, 1개 연속된 길이로, 일 시에, 다수의 평판면(3)을 앵커 고정하는 앵커 스트립(51)을 배치할 수 있다. 앵커 스트립(51)은 미끄럼-방지 타일(5)에 있는 절개 노치(54)와 맞추어지는 형태의 카운터성크 부분(52)에 끼워진다. 상기 앵커 스트립에는 강철 못이 임팩트 건에 의해 박혀지거나 전기아크 용접으로 만들어지는 다수의 슬롯 홀(55)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타일을 트렌치 덮개에 부착하는 구조와 관련하여 상 술하였지만, 본원의 상기 미끄럼-방지 타일은 다양한 다른 면에 부착하는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끄럼-방지 타일을 공장과 같은 건물의 바닥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트렌치 덮개는 트렌치 덮개의 상부면에 일련의 오목부를 가지고 제작될 수 있다. 대응 열의 스터드 요소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부분적으로 상부면에서부터 돌출되고, 따라서, 부분적으로 돌출한 스터드 요소가 트렌치 덮개와 스터드 위를 바퀴가 지나갈 때에 차량 바퀴의 미끄럼 동작이 가능한 최소이도록 작용한다.
도45 내지 도7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렌치 덮개(10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트렌치 덮개(101)는, 그 상관 기술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서 기재된 WO 02/084033호와 WO 01/21898호에 기재된 트렌치 덮개와 유사한 것이다. 상기 트렌치 덮개(101)는 지면에 파여진 트렌치를 덮는데 사용되며 그리고 다수 트렌치 덮개(101)가 트렌치가 있는 지면의 지형에 따라서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덮개(101)는 특히 도로에서 파여져 형성된 트렌치 위로 연장된 덮개 부재(102)를 포함한다. 덮개 부재(102)는 중앙 트렌치 덮개부(112)에 의해 가교되는 1쌍의 지지 부분(110, 111)을 함유한다. 횡단면으로 볼 때에 대체로 볼록한 형태(도49)로 이루어진 덮개 부재(102)에서, 측부 부분(110, 111)은 덮개 부재(102)의 반대측 가장자리 엣지(114, 115) 쪽으로 횡단면이 감소하여 약간의 경사로를 형성하여 차량 바퀴 같은 것들이 그 위를 지나가기 편리하게 한다. 덮개 부재(102)의 노출 상부면은,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116)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방지 형성물을 가진다.
상기 돌출물(116)은 덮개 부재(102)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덮개 부재(10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16)는 각각이 대체로 동일하게 이루어진 돌출부(116)상태로, 덮개 부재(102)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이격져 있다. 이 경우에서, 각 돌출부(116)는 대략 둥근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하부 부분과 대략 사각형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상부 부분을 구비한다.(도54) 하부 부분은 상부 부분에 비해 덮개 부재(102)의 상부면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사용 시에, 차량/통행인이 덮개 부재(102)위를 지나가면, 돌출부(116)가 차량/통행인이 미끄러질 가능성을 가능한 최소가 되게 작용한다.
도54는 차량과 통행인용 미끄럼-방지면을 생성하는 약간 패인/거친 면으로 덮여진 덮개 부재(102)의 약간 패인 상부면(dimpled upper surface)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면은 상승/둥근 약간 패인부분이 교통제어 지침에 따라 주어진 SRV(skid resistance value)를 제공하는 사각형 정상부를 가진 것으로 나타난다.
지지 부분(110, 111)에는 앵커 홀(119)이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지면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다. 중앙 오목부 구역(120)은 반사 스트립과 같은 것을 부착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경고 깃발, 표시 또는 그와 같은 것들에 사용되는 지주를 직립설치하기 용이하게, 덮개 부재(102)에는 장착 구멍(121)이 있다. 식별 태그 또는 트랜스폰더 유닛과 같은 부호 수단을 수용하여 추적과 같은 작업을 위해 덮 개(101)를 특정 식별하기 위한 다른 오목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부분(110, 111)은 그 안에 슬롯을 가지어서 덮개(101)를 운반하는 손잡이(109)를 형성한다.
덮개 부재(102)는 마주한 가장자리 엣지(114, 115) 사이를 횡단하고 연장된 1쌍의 횡단 측부(125, 126)를 갖는다. 트렌치 결합 요소(127, 128)로 형성된 한정 수단은 트렌치의 개방부와 관련하여 덮개(101)를 형성한다. 도46을 특정하여 설명하면, 2개 트렌치 결합 요소(127, 128)는 덮개 부재(102)의 중앙 트렌치 덮개 부분(112)에 이어져 있고 그리고 사용 시에 이들이 트렌치의 반대측 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다.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는 덮개 부재(102)에 대해 선형적으로 이동하여 소망 폭의 트렌치에 맞추어 조정하기가 편리하다. 특히, 상기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는 덮개 부재(102)와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신장 슬롯(1020, 1030)을 가진 아암(1000, 1010)을 포함한다.
덮개 부재(102)에 대한 소망 위치에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각각 고착 핀(1040, 1050)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핀(1040, 1050)은 덮개 부재(102)와 아암(1000, 1010)에 있는 정렬 개구를 통해 연장하여 특정 위치에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에서, 고착 핀(1040, 1050)은 대응 나사 너트에 결합된 나사 볼트의 형태로 제공된다.
특정적으로 도55와 도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롯(1020, 1030)은 일정 범위로 분리 확장된 개구(1100)를 갖는다. 각각의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 는 확장 개구(1100)로 한정된 다수의 분리 구역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이다. 상기 덮개는 개구(1100) 및 슬롯(1020, 1030)과 결합하는 2개 돌출부(1500, 1510)를 그 하측부에서 갖는다. 상기 돌출부(1500, 1510)는 각각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에 있는 각각의 개구(1100)와 결합하는 확장 부분(1520, 1530)을 갖는다. 각각의 돌출부(1500, 1510)는 또한 슬롯(1020, 1030)과 결합하는 신장 연장부(1540, 1550)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각각의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에는 5개의 분리 확장된 개구(1100)가 있다.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가 최장 범위로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것은 주어진 트렌치 폭, 말하자면 300mm에 대응한다.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가 최장 범위로 외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것은 최대 트렌치 폭, 말하자면 500mm에 대응한다. 1개 홀에서 인접 홀로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를 조정하는 일은, 고착 거리, 말하자면 25mm로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를 연장한 것을 나타낸다.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를 일 홀에서 다음 홀로 이동시키기 위해, 고착 볼트(1040, 1050)가 풀어지고,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가 돌출부(1500, 1510) 밖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돌출부(1520, 1530)가 소망 홀(1100)과 정렬을 이룰 때까지 선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는 돌출부(1500, 1510)와 결합하고 그리고 고착 볼트(1040, 1050)가 조여져서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가 소망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덮개 부재(102)에 고정된다.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는 각각의 홀(1100)에 인접하여 있는 각인부(imprint)를 가지어서, 사용자에게 대응 트렌치의 폭을 나타낸다.
따라서,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사이에 거리가, 덮여지는 트렌치의 폭에 대응하여 조절하기 위해서, 1개 또는 2개 고착 핀(1040, 1050)을 벗겨내고, 아암(1000, 1010)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고 그리고 고착 핀(1040, 1050)을 재-고정시킨다.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는 일반적으로 300mm 내지 500mm 범위의 트렌치 폭을 수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는 양호하게 일반적으로 25mm의 증분으로 증가 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아암(1000, 1010)은 고착 핀(1040, 1050)과 반대측 단부에서 손잡이 형성부(2500)를 갖는다.(도46) 상기 손잡이(2500)는 사용자가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를 용이하게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덮개 부재(102)와 상관하여 고정된 보호 측벽(2510, 2520)은, 아암(1000, 1010)의 양측에 덮개 부재(102)의 중앙 트렌치 덮개부분(112)에 매달려 설치된다. 상기 측벽(2510, 2520)은 가동 아암(1000, 1010)을 안내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호연결수단이 제1수 상호연결수단과 제2암 상호연결수단의 형태로 제공되며, 인접한 유사 덮개(101)의 상호연결수단은 덮개(101)를 조립할 때에 상호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수 상호연결수단은 덮개 부재(102)의 횡단측(126)에서 돌출된 두부(135)를 함유한다. 상기 두부(135)는 목부(136)를 형성한 감소 횡단면 구역을 갖고 그리고 횡단측(126)의 중앙에 위치한다.
암 상호연결수단은 횡단측(125)에서 하방향 개방 슬롯(140)을 포함한다. 슬롯(140)은 횡단벽 부분과 하방향 연장 벽에 의해 덮개 부재(102)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슬롯(140)의 폭은 수 상호연결부의 두부(135)의 폭에 대해 너무 큰 크기이 어서, 조립 시에 인접한 덮개(101)사이에서의 제한된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여, 덮개(101)가 지면의 외형상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유사하게, 두부(135)의 길이는 오목부(140)의 길이보다 작다. 두부(135)의 상단부는 테이퍼진 형태로 오목부(140)안으로 두부(135)가 용이하게 조립되게 한다.
또한, 이 경우에 상호연결수단은 횡단측(125)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1쌍의 단부 익부(150, 151)도 함유한다. 상기 단부 익부(150, 151)는 오목부(140)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고, 그리고 개별적으로 덮개 부재(102)의 지지 부분(110, 1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조립 시에, 상기 단부 익부(150, 151)는 인접 덮개(101) 밑에 수용된다. 이 경우에, 상기 단부 익부(150, 151)는 두부(135)와 각각 측면에 위치하는 오목부 영역(152, 153)에 수용된다.
슬롯(140)에 있는 두부(135)의 상호연결부와 조합을 이룬 인접 덮개(101) 밑에서 결합하는 단부 익부(150, 151)는, 트렌치의 외형상을 따라서 인접 덮개(101)와의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함께 인접 덮개(101)를 고정한다.
양쪽의 트렌치 결합요소(127, 128)가 덮개 부재(102)에 대해 이동되기 때문에, 덮개(101)는, 덮개(101)가 트렌치 폭을 고려하지 않고 트렌치에 대해서 한정되게 조정될 수 있으면서, 또한, 덮개(101)는 트렌치의 각 측면에서 대체로 동일한 양의 지지 부분(110, 111)으로 트렌치 위에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폭을 조정하여 덮개(101)가 특정 트렌치의 크기에 맞는 구조이도록 위치 또는 부위에 설치되게 한다.
트렌치 덮개(101)는 부가로 각각의 지지부분(110, 111)상에 2개 분리 매트(300, 301)를 포함한다. 대형 "L"-형태 매트(300)는 횡단측(126)과 가장자리 엣지(114, 115)의 코너 영역에 제공되며 그리고, 두부(135)쪽으로 횡단측(126)을 부분적으로 따라서 연장 형성된다.(도46) 소형 매트(301)는 횡단측(125)과 가장자리 엣지(114, 115)의 코너 영역에 제공된다.(도46)
각각의 매트(300, 301)는 지지부분(110, 111)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특정적으로는, 대형 매트(300)가 3개 수 돌출부(302)를 가지며, 상기 수 돌출부는 지지부분(110, 111)의 하부면에 있는 3개 대응 암 오목부(303)와 결합하여 지지부분(110, 111)의 하부면에 매트(300)를 장착한다. 유사하게, 소형 매트(301)는 1개 수 돌출부(304)를 갖고, 상기 수 돌출부는 지지부분(110, 111)의 하부면에 있는 대응 암 오목부(305)와 결합하여 지지부분(110, 111)의 하부면에 매트(300)를 장착한다.
사용 시에, 상기 매트(300, 301)는 트렌치의 각 측부상에 지면과 지지부분(110, 111)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매트(300, 301)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매트(300, 301)는 쿠션 부재로서 작용하여 트렌치 양측면상에 지면에 대해 덮개 부재(102)에 완충력을 제공한다. 특정적으로는, 상기 매트(300, 301)는 차량/보행인이 상기 덮개 부재(102) 위를 지나갈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하고 그리고 진동을 최소로 한다. 상기 매트(300, 301)는 차량/보행인이 덮개 부재(102) 위를 지나갈 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력을 받는 것이다. 매트(300, 301)의 탄성 성질은 매트(300, 301)가 트렌치의 어느 일 측부에 있는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끊임없는 움직임을 수 용할 수 있게 한다.
도72와 도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매트(300)는 단차 구조(stepped configuration)로 이루어진다. 특정적으로, 상기 대형 매트(300)는 "L" 형태의 코너 영역에 위치한 상대적으로 두터운 부분(350)과, 상기 부분(350)의 어느 일측에 있는 2개의 상대적으로 얇은 부분(351, 352)을 갖는다.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터운 부분(350)은 덮개 부재(102)의 하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사용 시에, 상기 두터운 부분(350)이 지면과 약간의 거리로 떨어져서 현수되어 있는 덮개 부재(102)를 지지한다. 차량이 트렌치 덮개(101) 위를 지날 때에, 탄성의 두터운 부분(3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개 부재(102)가 지면과 접촉할 때까지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두터운 부분(350)이 지표면에서의 어느 정도 편평하지 않은 도로 특성을 수용한다.
얇은 부분(351)은 2개 인접한 트렌치 덮개(101)가 상호 연결될 때에 인접한 트렌치 덮개(101)의 단부 익부(150, 151)와 접하게 된다. 2개 트렌치 덮개가 상호 연결되면, 얇은 부분(351)이 1개 트렌치 덮개(101)의 단부 익부(150, 151)와 인접 트렌치 덮개(101)의 오목부(152, 153)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의 얇은 부분(351)이 격리물로서 작용하여, 차량이 상호연결된 트렌치 덮개(101) 위를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로 한다.
상기 쿠션 수단은 가능한 여러 구조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45 내지 도79를 참고로 기술된 바와 같은 특정 형태의 매트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가능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매트를 덮개 부재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익하게, 상기 매트는 필요에 따라 수리/대체를 위해 교체될 수 있다.
사용 시에, 상기 덮개(101)는 트렌치를 가교하는 중앙 부분(112)과 트렌치의 어느 일측에 지지 부분(110, 111)을 가진 지면의 트렌치에 걸쳐 놓여지게 된다.
다음, 유사한 덮개(101)가 인접한 덮개(101)의 슬롯(140) 안으로 덮개(101)의 두부(135)를 놓음으로서 상호 결합하게 된다. 상기 덮개(101)의 단부 익부(150, 151)는 또한 상호 연결동작 하는 중에 인접한 덮개(101)의 오목부(152, 153)에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덮개(101)가 상호 연결되어 임의 길이 또는 형태의 트렌치에 걸쳐진 덮개 조립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트렌치 덮개(101)는 조립체의 인접 덮개(101)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상기 덮개(101)가 예를 들어 곡선진 형태의 트렌치를 덮도록, 곡선 코스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조립 시에, 단부 덮개(101)는 지면에 앵커 고정되고 그리고 양쪽 횡단측(125, 126)에서의 상호 결합으로, 조립체에 있는 덮개(101)가 인가 받지 않은 사람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도난 방지 및 조립체의 안전 면을 향상시키게 한다. 또한, 단부 익부(150, 151)는 이들이 조립 시에 인접 덮개(101)간에 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중요한 잇점을 가진다. 이러한 사실은 또한 자전거 바퀴와 같은 것이 걸려 파손이 발생되는 틈이 없음으로서 매우 중요한 안전 특성이 되기도 한다.
적어도 1개 횡단측, 이 경우에는 횡단측(125)이 인접 덮개(101)의 측부 엣지(125, 126)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을 용이하게 제약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횡단측(125)은 일반적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상기 덮개(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조립되어, 용이하게 조립을 해제할 수 있는 경성의 임시 트렌치 덮개를 형성한다. 중요하게는, 제어식 상대적 이동은, 덮개(101)가 양호하게 수직면과 수평면 양측으로 지면 형상에 따르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트렌치에 걸쳐진 임시면에서 특정한 안전과 평편함을 보장해준다.
상기 덮개(101)는 덮개(101)내부에 수납되어 덮개(101) 구역이 원격 구역에서부터 결정되게 하는 트랜스폰더와 같은 부호 추적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덮개(101)의 임대와 이용을 조절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 범위의 트렌치 폭에 사용되는 간단하면서, 극히 유효한 임시 덮개(101)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접 덮개(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상호 연결된다. 상기 피팅 방식의 설치는 덮개(101)가 용이하게, 트렌치가 파여진 지면의 외형상과 트렌치 길을 따라서 설치되게 한다.
상기 트렌치 덮개(101)는 임의 위치에 앵커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101)는 순차적으로 일시 덮여지게, 예를 들어 앵커 볼트와 같은 것에 의해 어느 일 단부에 앵커 고정된다. 상기 덮개(101)는 또한, 임의적인 적절한 지점, 예를 들면, 5m 길이로 트렌치에 앵커 고정된다. 앵커 고정작업은 덮개(101)와 트렌치 버팀목과의 사이에 떼어낼 수 있는 방식의 후크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트렌치 덮개 조립체는 용이하게 조작되어, 일시 차량 통행을 허락하는데 사용되어서, 임시로 파여진 트렌치를 다시 메꾸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노동력이 최적한 작업공정으로 되는 트렌치를 파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이다.
도1 내지 도79를 참고로 하여 미끄럼-방지 돌출부의 특정 구조를 기술하였지만, 상기 구조는 미끄럼-방지 수단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미끄럼-방지 수단이 단차식 돌출부의 형태로 제공되면, 오목부 또는 개구가 돌출부의 중앙으로 연장되어 제공되고, 인접 돌출부와는 다른 높이로 이루어지거나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술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기술인에 의해 다양한 구성 및 세부요소의 변경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5)

  1. 분리 형성된 트렌치 덮개에 사용하는 미끄럼-방지 요소로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분리 형성된 트렌치 덮개에 부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위를 일 요소가 지나갈 때에 상기 요소의 다른 요소가 미끄러질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트렌치 덮개에 이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미끄럼-방지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기계적 부착 수단에 의해 트렌치 덮개에 부착되는, 미끄럼-방지 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트렌치 덮개에 몸체를 부착하는, 몸체를 통해 트렌치 덮개 안으로 연장가능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몸체와 결합하는 두부와, 몸체를 통해 트렌치 덮개 안으로 연장 형성된 레그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는,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 몸체의 부착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상기 레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미끄럼-방지 요소.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임팩트 건에 의해 트렌치 덮개에 박혀지는 구조인, 미끄럼-방지 요소.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몸체를 관통하는 접근 개구를 함유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가능한, 미끄럼-방지 요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주 개구를 함유한 주 몸체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 개구를 충진하도록 주 개구에 위치 설정된 필러 파트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파트는 필러 파트를 관통하고 형성된 접근 개구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몸체가 트렌치 덮개에 부착될 때에 트렌치 덮개와 접촉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 개구는 하부면 쪽 내부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이퍼진, 미끄럼-방지 요소.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이퍼진, 미끄럼-방지 요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략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 요소.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개구를 주 몸체 부분의 엣지에 위치시킨, 미끄럼-방지 요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개구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적인 횡단면에서, 상기 주 개구는 대략 "C"-형태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 요소.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파트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적인 횡단면에서, 상기 필러 파트는 대략 "C"-형태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 요소.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개구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적인 횡단면에서, 상기 주 개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략 반원의 형태를 갖는, 미끄럼-방지 요소.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파트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적인 횡단면에서, 상기 필러 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략 반원의 형태를 갖는, 미끄럼-방지 요소.
  19.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개구가 주 몸체 부분의 중앙 영역에 대체적으로 위치한, 미끄럼-방지 요소.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개구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적인 횡단면에서, 상기 주 개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원형인 형태를 갖는, 미끄럼-방지 요소.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파트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적인 횡단면에서, 상기 필러 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원형인 형태를 갖는, 미끄럼-방지 요소.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몸체를 트렌치 덮개에 클램핑 고정시키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몸체를 트렌치 덮개에 클램핑 고정시키기 위해 몸체의 적어도 일 부분 위로 연장하는 립(lip)을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트렌치 덮개에 고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1익부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제1익부를 트렌치 덮개에 고착하도록 제1익부를 통 해 운영할 수 있는 고착 부재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부재는 임팩트 건에 의해 제1익부를 통해 박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 요소.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고착 개구를 함유하고, 상기 제1익부는 상기 고착 개구에 위치 설정되는, 미끄럼-방지 요소.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몸체와 트렌치 덮개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2익부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2익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30.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 부착 부재가 2개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진 몸체를 트렌치 덮개에 클램프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 요소.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용접수단으로 트렌치 덮개에 부착되는, 미끄럼-방지 요소.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을 최소로 하는 수단을 몸체에 일체적으로 형성시킨, 미끄럼-방지 요소.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몸체가 트렌치 덮개에 부착될 때에 트렌치 덮개에서 이격 대면된 상부면을 함유하고, 그리고 미끄럼을 최소로 하는 수단은 상부면에서 돌출된 1개 이상의 돌출부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34. 제33항에 있어서,
    미끄럼을 최소로 하는 수단은 상부면을 횡단하여 균일하게 이격져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35. 제34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는 대체로 동일한, 미끄럼-방지 요소.
  36.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미끄럼을 최소로 하는 수단은 1개 이상의 제1돌출부와 1개 이상의 제2돌출부를 함유하고, 상기 1개 이상의 제1돌출부가 상기 1개 이상의 제2돌출부보다 상부면에서 더 원거리로 돌출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부면에서 대략 4mm 돌출된, 미끄럼-방지 요소.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부면에서 대략 2mm 돌출된, 미끄럼-방지 요소.
  39.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을 최소로 하는 수단은 복수의 제1돌출부와 복수의 제2돌출부를 함유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에 대해 대략 "W"-형태의 모양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 배치된, 미끄럼-방지 요소.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1개 이상의 중량-감소 불연속부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부는 몸체를 관통하고 연장 형성된 개구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배수 수단을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수단은 몸체를 관통하고 연장 형성된 개구를 함유하는, 미끄럼-방지 요소.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두께는 25mm와 30mm 사이에 있는, 미끄럼-방지 요소.
  45.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술된 바와 같이, 분리 형성된 트렌치 덮개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요소.
  46.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미끄럼-방지 요소;
    분리 형성된 트렌치 덮개;를 포함하는,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는 금속재 및 합성재를 함유하는,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는 강철(steel)을 함유하는,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49.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는 압연, 인발, 압출, 주조, 또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50. 제4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의 길이는 2m 보다 더 긴,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51. 제46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의 폭은 0.3m 보다 더 넓은,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52. 제4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의 표면적은 1㎡ 보다 더 큰,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53. 제46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의 중량은 5kg 보다 더 무거운,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54. 제46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는 상부면을 함유하고 그리고, 상기 상부면은 대체로 완만한,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55. 제46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는 대체로 연속한 덮개로서 트렌치를 덮도록 트렌치에 걸쳐 연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56.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술된 바와 같은,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57. 트렌치를 덮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미끄럼-방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분리 형성된 트렌치 덮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를 상기 트렌치 덮개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를 덮도록 트렌치와 상관하여 트렌치 덮개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상기 트렌치를 덮기 전에 트렌치 덮개에 부착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트렌치 덮개가 상기 트렌치를 덮는 위치에 있으면서 트렌치 덮개에 부착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0.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미끄럼-방지 요소를 관통하여 트렌치 덮개 안으로 부착 부재가 연장 형성되어 트렌치 덮개에 부착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임팩트 건이 트렌치 덮개에 부착 부재를 박는데 사용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2. 제57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상기 트렌치에 클램프 고정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부착 부재의 일 파트는 트렌치 덮개에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를 클램프 고정하도록 적어도 미끄럼-방지 요소 위로 연장 형성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부착 부재를 트렌치 덮개에 고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5. 제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미끄럼-방지 요소가 1개 부착 부재를 사용하여 트렌치 덮개에 부착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6. 제57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상기 트렌치 덮개에 이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의 부착을 떼어내는 단계와, 미끄럼-방지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덮개에 부착된 상기 미끄럼-방지 요소는, 부착 부재의 레그로부터 부착 부재의 두부를 떼어내는 식으로 이탈되는, 트렌치를 덮는 방법.
  69.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술된 바와 같이, 트렌치를 덮는 방법.
  70. 미끄럼-방지 조립체로서,
    평판면에 1개 이상의 오목부를 가진 평판;
    상기 평판면에서 돌출하게 1개 이상의 오목부에 위치 설정된 1개 이상의 대응 스터드 요소;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조립체.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트렌치 덮개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조립체.
  72. 트렌치 덮개로서,
    트렌치 너머로 연장 형성되고, 중앙 트렌치 덮개 부분에 의해 가교된 1쌍의 지지 부분을 함유한 덮개 부재;
    상기 트렌치의 적어도 일측에 지면에 대한 덮개 부재의 완충작용을 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는, 트렌치 덮개.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트렌치의 양측에 지면에 대한 덮개 부재의 완충작용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트렌치 덮개.
  74.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2개 이상의 분리 쿠션동작 요소를 함유하는, 트렌치 덮개.
  75. 제72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트렌치의 일측에 지면과 적어도 지지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트렌치 덮개.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지지 부분에 장착된, 트렌치 덮개.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지지 부분의 하부면에 장착된, 트렌치 덮개.
  78. 제76항 또는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암 오목부에 수 돌출부가 결합하여 상기 지지 부분에 장착된, 트렌치 덮개.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수 돌출부를 함유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 부분은 암 오목부를 함유한, 트렌치 덮개.
  80. 제72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트렌치 덮개.
  81. 제72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쿠션 부재의 일 부분이 덮개 부재의 하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트렌치 덮개.
  82. 제72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덮개 부재 위를 일 요소가 지나갈 때에 상기 요소가 미끄러지는 동작을 할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트렌치 덮개.
  83. 트렌치 덮개로서,
    트렌치 위로 연장 형성되고, 중앙 트렌치 덮개 부분에 의해 가교된 1쌍의 지지 부분을 함유한 덮개 부재;
    상기 덮개 부재 위를 일 요소가 지나갈 때에 상기 요소가 미끄러지는 동작을 할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트렌치 덮개.
  84. 제82항 또는 제83항에 있어서,
    미끄럼을 최소로 하는 수단은 상기 덮개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트렌치 덮개.
  85. 제82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덮개 부재가 트렌치 위로 연장 형성될 때에 상기 트렌치로부터 원거리에서 대면하는 상부면을 함유하고, 그리고 미끄럼을 최소로 하는 수단은 상부면에서 돌출된 1개 이상의 돌출부를 함유하는, 트렌치 덮개.
  86. 제85항에 있어서,
    미끄럼을 최소로 하는 수단은 상부면을 횡단하여 균일하게 이격져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함유하는, 트렌치 덮개.
  87. 제85항 또는 제86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는 대체로 동일한, 트렌치 덮개.
  88. 제85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적인 제1횡단면에서, 상기 돌출부는 대략 둥근 형태를 갖는, 트렌치 덮개.
  89. 제85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의 종축선에 대해 수직적인 제2횡단면에서, 상기 돌출부는 대략 정사각 형태를 갖는, 트렌치 덮개.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 부분은 대략 정사각 형태를 갖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 부분은 대략 둥근 형태를 갖는, 트렌치 덮개.
  91. 제72항 내지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트렌치에 대해 덮개 부재를 형성하도록 덮개 부재에서 이어져 있는 트렌치 요소를 함유하는, 트렌치 덮개.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요소는 소망 폭의 트렌치로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덮개 부재와 상관하여 이동하는, 트렌치 덮개.
  93. 제72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덮개 부재의 일 횡단측에 있는 제1상호연결 수단과, 덮개 부재의 반대편 횡단측에 있는 상보형 제2상호연결 수단을 함유한 상호연결 수단을 포함 하고, 제1 또는 제2상호연결 수단의 하나는 조립 시에 유사 덮개의 제1 및 제2상호연결 수단의 다른 하나의 밑에서 결합하는, 트렌치 덮개.
  94.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트렌치 덮개.
  95. 제72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복수의 트렌치 덮개를 포함하는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KR1020067026265A 2004-05-14 2005-05-16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KR20070020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E2004/0341 2004-05-14
IE20040341 2004-05-14
PCT/IE2005/000055 WO2005111316A2 (en) 2004-05-14 2005-05-16 An assembly for covering a tre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294A true KR20070020294A (ko) 2007-02-20

Family

ID=3496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265A KR20070020294A (ko) 2004-05-14 2005-05-16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90103986A1 (ko)
EP (1) EP1759066B1 (ko)
JP (1) JP2007537376A (ko)
KR (1) KR20070020294A (ko)
AT (1) ATE477376T1 (ko)
AU (1) AU2005243415A1 (ko)
CA (1) CA2566522C (ko)
DE (1) DE602005022863D1 (ko)
SG (1) SG155208A1 (ko)
WO (1) WO20051113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4394A (en) * 2006-01-19 2007-07-25 Spencer Byrne Trench cover
ATE518033T1 (de) * 2006-11-22 2011-08-15 Constr Res & Tech Gmbh Abdeckungsanordnung für bauteile
GB2448371B (en) * 2007-04-14 2012-03-07 Oxford Plastic Sys Ltd Trench cover
GB2456341A (en) * 2008-01-14 2009-07-15 David Vincent Byrne Trench cover
FR2949838B1 (fr) * 2009-09-04 2012-04-06 Yannick Joubeaux Dispositif de recouvrement et de protection de conduites ou cables enterres
ITVR20120021A1 (it) * 2012-02-14 2013-08-15 Dakota Italia S P A Chiusino maxi.
US9279221B1 (en) * 2014-05-13 2016-03-08 Michael Cardona Orona Pedestrian bridge
JP6083758B2 (ja) * 2014-05-30 2017-02-22 有限会社エマージェンシー 開口部蓋のスリップ防止構造
US9605399B2 (en) * 2014-08-29 2017-03-28 Ground Protection, Llc Sheeting panels and sheeting-panel systems
CN105863189A (zh) * 2016-04-15 2016-08-17 苏州群力防滑材料有限公司 一种双面耐用金刚砂防滑条
CN105839494A (zh) * 2016-04-15 2016-08-10 苏州群力防滑材料有限公司 一种翻盖式复合金刚砂防滑条
CN105908925A (zh) * 2016-04-15 2016-08-31 苏州群力防滑材料有限公司 一种间隔式金刚砂防滑条
GB2585695B (en) * 2019-07-12 2023-07-26 Secure Ground Solutions Ltd Lockable trench shoring apparatus, a lock for a trench shoring apparatus and its method of use
GB2604929A (en) * 2021-03-19 2022-09-21 Oxford Plastic Sys Ltd Temporary cover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449A (en) * 1881-12-27 Chaelbs maetell
US1732288A (en) * 1927-11-25 1929-10-22 Milton F Napier Trench cover
GB404239A (en) * 1933-08-19 1934-01-11 Edward Burto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rtificial ground surfaces
US2185816A (en) * 1937-11-08 1940-01-02 Briggs Mfg Co Trim fastener
US2200047A (en) * 1939-05-06 1940-05-07 Tinnerman Products Inc Fastening device
US2326963A (en) * 1941-08-02 1943-08-17 Morton Mfg Company Tread plate
US2459666A (en) * 1946-05-02 1949-01-18 Marus Michael Closure fastener
US2497837A (en) * 1947-09-27 1950-02-14 Non Skid Surfacing Corp Board for flooring and the like
US2742121A (en) * 1952-03-31 1956-04-17 Jr Ernest C Liskey Metallic grating
US3196763A (en) * 1960-10-05 1965-07-27 Washington Aluminum Company In Panel structure
US3344566A (en) * 1964-05-25 1967-10-03 Corinthian Cornice Systems Inc Building structure
US3436883A (en) * 1966-10-31 1969-04-08 Oglebay Norton Co Insulation panel and fastener assembly
US4348840A (en) * 1980-05-22 1982-09-14 Eltra Corporation Modular hazardous dust collection pan and walkway
FR2492427A1 (fr) * 1980-10-22 1982-04-23 Lamendour Andre Piste metalloplastique et moyen de mise en oeuvre
DK145954C (da) * 1981-02-19 1983-09-26 Kongskilde Koncernselskab As Vinkelbeslag til fastspaending af en harvetand med fladeanlaeg mod en baerestang
US4715743A (en) * 1986-06-13 1987-12-29 Schmanski Donald W Mobility guide tile for visually handicapped
US4801483A (en) * 1987-02-13 1989-01-31 Power-Tel Products Group, Inc. High strength, light weight structural composit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5179752A (en) * 1989-12-04 1993-01-19 British Gas Plc Cover for trenches
GB9004795D0 (en) * 1990-03-02 1990-04-25 Macleod Iain M Cover for grassed area
US5163257A (en) * 1991-01-18 1992-11-17 James Crowell Glazing bar system
US5645912A (en) * 1994-11-30 1997-07-08 Nelson; John Robert Anti-skid staircase treads
US5499888A (en) * 1995-03-29 1996-03-19 Hawkes; E. Gerry Bidirectional roadway for wheeled vehicles
US5713175A (en) * 1995-06-30 1998-02-03 Mitchell; Steven Glenn Protective flooring
US5775835A (en) * 1995-10-26 1998-07-07 Szekely; Kenneth E. J. Embedment tiles for pedestrian platforms and walkways
US5732523A (en) * 1996-05-29 1998-03-31 Advanced Industrial & Marine Services System for securing composite gratings to structural members
JP3163027B2 (ja) * 1997-01-21 2001-05-08 東興産業株式会社 側溝蓋
JP2000336606A (ja) * 1999-05-26 2000-12-05 Hirose Kogyo Kk 滑り止め措置を施した防振・防音鋼板の構造
GB2351110B (en) * 1999-06-18 2003-10-29 South Staffordshire Water Plc Highway repair
US6269508B1 (en) * 1999-09-15 2001-08-07 Lloyd F. Younce Apparatus for allowing wheeled negotiation of an obstacle
NZ517698A (en) * 1999-09-17 2003-10-31 David Vincent Byrne A trench cover element
JP2001220808A (ja) * 2000-02-09 2001-08-17 Ibigawa Concrete Kogyo Kk 排水用ブロック、蓋体及び滑り防止部材
US6449790B1 (en) * 2000-07-03 2002-09-17 Astra Capital Incorporated Transit boarding platform panel
JP3403162B2 (ja) * 2000-11-24 2003-05-06 三山工業株式会社 側溝の踏み板の孔カバー装置
US6496371B2 (en) * 2001-03-30 2002-12-17 Intel Corporation Heat sink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GB2375133B (en) * 2001-04-17 2004-09-15 David Vincent Byrne A trench cover
JP2002339443A (ja) * 2001-05-18 2002-11-27 Hayakawa Rubber Co Ltd 溝 蓋
JP3684188B2 (ja) * 2001-10-16 2005-08-1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滑り止め構造
US7191568B1 (en) * 2002-01-30 2007-03-20 Nick Choate Modular safety surfa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4003256A (ja) * 2002-03-28 2004-01-08 Arao Kk 側溝蓋の孔塞ぎ用キャップ
US6719714B2 (en) * 2002-04-03 2004-04-13 Charles E. Sossong Claw toe straightening clamp
EP1502824A1 (en) * 2003-07-29 2005-02-02 Key Safety Systems, Inc. Fastening device for curtain air bag tether
US7322138B2 (en) * 2005-08-31 2008-01-29 Southern Imperial, Inc. Shelf edge sign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55208A1 (en) 2009-09-30
AU2005243415A1 (en) 2005-11-24
WO2005111316A2 (en) 2005-11-24
US20090103986A1 (en) 2009-04-23
DE602005022863D1 (de) 2010-09-23
WO2005111316A3 (en) 2006-06-08
ATE477376T1 (de) 2010-08-15
CA2566522C (en) 2010-07-27
EP1759066B1 (en) 2010-08-11
US20110142537A1 (en) 2011-06-16
JP2007537376A (ja) 2007-12-20
CA2566522A1 (en) 2005-11-24
EP1759066A2 (en)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0294A (ko) 트렌치 덮개용 조립체
US8028491B2 (en) Replaceable wet-set tactile warning surface unit and method of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US8528278B2 (en) Embedment tile with replaceable top plate
US20060245827A1 (en) Conformable and removable tactile warning mat systems
US6712546B1 (en) Polymeric forms for moldable building material structures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KR101122681B1 (ko)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43788A (ko) 맨홀뚜껑 조립체
US20080118308A1 (en) Curb and gutter concrete form system
CA2851054C (en) Detectable warnings
JP3973042B2 (ja) 橋梁歩道の拡幅方法及び橋梁歩道構造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80109125A (ko) 바이브레이터 및 가이드라인이 부착된 조립식 과속방지턱및 그 설치 방법.
GB2223256A (en) Portable pavement ramp with optional integral drainage channel
KR101973983B1 (ko)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KR20050021422A (ko)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IE20050320A1 (en) An assembly for covering a trench
KR101109128B1 (ko) 보강설치 구성을 갖는 가설 인도교
KR102549772B1 (ko) 임시보호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공법
KR200232743Y1 (ko) 미끄럼 방지용 복공판
WO2018046897A1 (en) A walkway
KR20240064443A (ko) 도로파손을 최소화한 볼라드 및 그를 이용한 볼라드 설치방법
KR200278555Y1 (ko) 도로분리대
JP2968331B2 (ja) マンホールの鉄蓋受け枠構造
KR200392629Y1 (ko) 교량용 우수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